KR20090070904A - 컨텐츠 표시 상태에 기초한 멀티미디어 컨트롤러를제공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컨텐츠 표시 상태에 기초한 멀티미디어 컨트롤러를제공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0904A
KR20090070904A KR1020070139066A KR20070139066A KR20090070904A KR 20090070904 A KR20090070904 A KR 20090070904A KR 1020070139066 A KR1020070139066 A KR 1020070139066A KR 20070139066 A KR20070139066 A KR 20070139066A KR 20090070904 A KR20090070904 A KR 20090070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area
content
terminal device
multimedia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9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병석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070139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0904A/ko
Priority to JP2008314338A priority patent/JP4869321B2/ja
Priority to US12/343,679 priority patent/US8990180B2/en
Publication of KR20090070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09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8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for implementing user interf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12Applications of a database
    • Y10S707/913Multimed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제작자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영역마다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컨텐츠의 표시 상태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멀티미디어 영역 중 특정 멀티미디어 영역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특정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활성화되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영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를 상기 멀티미디어 영역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조회 요청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저장된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멀티미디어 영역을 참조하여 해당 영역에 부합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시킬 수 있다.
영역 컨트롤, 멀티미디어 컨트롤, 스크롤(Scroll)

Description

컨텐츠 표시 상태에 기초한 멀티미디어 컨트롤러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TERMINAL,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ROLLER BASED ON DISPLAY CONDITION OF CONTENTS}
본 발명은 컨텐츠의 표시 상태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컨트롤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텐츠에 포함된 각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재생될 수 있는 영역을 설정하고, 해당 영역이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경우 해당 영역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인터넷 사용이 점점 더 보편화됨에 따라 인터넷 포털 사이트나 인터넷 서비스 업체 등 전통적인 컨텐츠 배포자가 배포하는 컨텐츠의 양이 증가일로에 있다. 또한, 사용자들 간에는, 단지 전통적인 컨텐츠 배포자로부터의 수동적인 정보 획득에만 초점을 둔 인터넷 사용보다는 사용자 자신이 직접 컨텐츠를 작성, 제공하는 능동적인 양태의 인터넷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즉, 과거에 는 인터넷 포털 사이트 등에 의해서만 주로 제공되던 인터넷 상의 웹 문서, 뉴스 기사, 이미지, 동영상, 미디어 정보 등의 컨텐츠가 근래에는 사용자 개개인에 의해서도 적극적으로 생산, 배포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양상은 근래 들어 보편화된 사용자 제작 컨텐츠 (UCC: User Created Contents) 문화의 활성화와 사용자들이 보다 쉽고 편리하게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여러 기능을 제공하는 블로그 사이트 또는 홈페이지 사이트(이하 “서비스 제공자”라고 함) 등의 활성화로 인하여 더욱 더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 제작 컨텐츠는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텍스트 형태의 데이터뿐만 아니라, 오디오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또는 이들이 결합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등(이하 “멀티미디어 데이터”라 통칭함)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하나의 컨텐츠에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에 사용자들은 다음과 같은 불편함을 겪어왔다.
우선, 각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들은 기본적으로 웹 페이지가 로딩되는 시점에 재생이 시작되는지 여부가 결정되므로, 하나의 웹 페이지에 포함된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동시에 재생이 시작되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일일이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에 따르면, 컨텐츠에 포함된 텍스트 데이터와 멀티미디어 데이터 간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멀티미디어 데이터 간에 연관성을 설정하기가 용이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일련의 이미지(또는 텍스트)들로 구성된 컨텐츠에 각각의 이미지(텍스트)에 어울리는 오디오 데이터를 삽입하고자 하는 경우, 각각의 이미지(텍스트) 직전 또는 직후에 오디오 데이터 재생기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컨텐츠를 제작하여야만 했고, 따라서, 추가된 오디오 데이터가 어느 이미지(텍스트)와 연관되는지 여부가 불분명하였으며, 각각의 이미지(텍스트)가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경우에 해당 이미지(텍스트)에 대응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보장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영역을 참조하여 해당 영역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텐츠에 포함된 텍스트 데이터와 멀티미디어 데이터 및/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멀티미디어 데이터 간의 연관성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들이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때 사용자가 보고 있는 특정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니즈(needs)를 보다 충족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유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컨텐츠 제작자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영역마다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컨텐츠의 표시 상태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멀티미디어 영역 중 특정 멀티미디어 영역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특정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활성화되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영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를 상기 멀티미디어 영역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조회 요청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저장된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컨텐츠 제작자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영역마다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컨텐츠의 표시 상태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멀티미디어 영역 중 특정 멀티미디어 영역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특정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활성화되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영역 정보를 생성하는 멀티미디어 영역 설정부, 상기 컨텐츠를 상기 멀티미디어 영역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컨텐츠 등록부,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의 조회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컨텐츠 조회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컨텐츠 제작자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영역마다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상기 컨텐츠를 조회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브라우저 상에서의 표시 상태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브라우저의 표시 영역에 상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각각의 멀티미디어 영역이 상기 브라우저의 표시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각각의 멀티미디어 영역마다 연계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컨텐츠 제작자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 - 상기 컨텐츠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영역마다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존재함 - 를 조회하기 위한 브라우저를 구비하고, 상기 컨텐츠가 상기 브라우저의 표시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표시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단말 장치로서, 상기 컨텐츠가 상기 브라우저의 표시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표시 영역 판단부, 상기 표시 영역 판단부의 모니터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영역이 상기 브라우저의 표시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활성화 영역 판단부, 및 상기 활성화 영역으로 판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 는 멀티미디어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 인해 달성되는 본 발명의 특유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영역을 참조하여 해당 영역에 부합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텐츠를 제작하는 사용자는 컨텐츠에 포함되는 텍스트 데이터와 멀티미디어 데이터 간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상호 간의 연관성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체계적으로 컨텐츠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들이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때 사용자가 보고 있는 특정 멀티미디어 데이터만을 재생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동시에 재생되거나 사용자가 보고 있지도 않은 멀티미디어가 재생되는 등의 불합리함을 방지할 수 있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전체 시스템 구성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의 표시 상태에 기초하여 컨텐츠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컨트롤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컨텐츠를 생성 또는 조회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서버(200)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기기로서, 개인용 컴퓨터(예를 들어, 데 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 워크스테이션,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서 채택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서버(200)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110), 메모리(120), 통신 모듈(130)을 구비하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원격 컴퓨터 등에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인 브라우저(140)가 탑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140)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파이어 폭스, 모질라 등과 같은 공지의 웹 브라우저일 수 있으며, 컨텐츠의 표시 상태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하여 표시 영역 판단부(141), 활성화 영역 판단부(142) 및 멀티미디어 제어부(143)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영역 판단부(141)는 브라우저(140)가 다운로드한 웹 페이지 또는 컨텐츠 중 현재 단말 장치(100)의 화면 상에 표시되고 있는 영역을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성화 영역 판단부(142)는 단말 장치(100)의 화면 상에 표시되고 있는 영역 중 활성화 영역을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화 영역이란, 소정의 기준에 따라 컨텐츠에 포함된 특정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재생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연계되어 있는 표시 영역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제어부(143)는 컨텐츠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시작, 재생 중지, 볼륨 조절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20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 등과 통신하며, 사용자 단말 장치(100) 등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서버(200)는 컨텐츠 에디터(210), 컨텐츠 등록부(220), 컨텐츠 조회부(230), 데이터베이스 관리부(240), 제어부(250), 및 통신부(2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에디터(210), 컨텐츠 등록부(220), 컨텐츠 조회부(230), 데이터베이스 관리부(240), 제어부(250), 및 통신부(26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컨텐츠 서버(200)와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컨텐츠 서버(2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컨텐츠 서버(200)와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통신 네트워크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통신 네트워크는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에디터(210)는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입력 도구 모음을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컨텐츠 에디터(210)는 텍스트 입력부(211), 멀티미디어 데이터 입력부(212), 및 멀티미디어 영역 설정부(2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입력부(211)는 사용자가 제작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포함되는 텍스트 데이터를 입력 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 입력부(212)는 사용자가 제작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입력 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영역 설정부(213)는 컨텐츠에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영역 정보를 입력 받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멀티미디어 영역 설정부(213)는 컨텐츠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영역 중 특정 영역이 단말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특정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활성화되도록 하는 영역 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영역 정보는 컨텐츠 내에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식별자 및 상기 멀티미디어 영역을 특정하는 영역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멀티미디어 식별자와 영역 식별자가 연계되어 상기 컨텐츠 내에 삽입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는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 또는 스크립트 언어(Script Language)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등록부(220)는 사용자가 컨텐츠 에디터(210)를 이용하여 생성하거나 기존에 다양한 루트로 수집된 컨텐츠를 상기 영역 정보와 연계하여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41)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조회부(230)는 본 발명의 컨텐츠 서버(200)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조회 요청을 사용자 단말 장치(100) 등으로부터 수신하고, 조회 요청된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 등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관리부(240)는 컨텐츠 등록부(220) 및 컨텐츠 조회부(230)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컨텐츠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들을 쓰거나 컨텐츠 서버(200)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데이터들을 읽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 관리부(240)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기록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41)를 포함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41)는 컨텐츠의 식별자, 컨텐츠를 제작한 사용자 정보, 컨텐츠에 포함된 텍스트 데이터, 컨텐츠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경로, 컨텐츠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영역 정보, 컨텐츠 생성 시각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41)만을 명시하고 있으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41) 이외에 다른 데이터베이스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41)에 기록되는 정보를 분리하여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로 나누어서 구성하는 등의 변형예를 상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50)는 컨텐츠 에디터(210), 컨텐츠 등록부(220), 컨텐츠 조회부(230), 데이터베이스 관리부(240), 및 통신부(26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60)는 본 발명의 컨텐츠 서버(200)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영역의 설정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각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화면에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면서 표시되는 경우에 재생이 시작될 수 있도록 컨텐츠의 특정 영역 또는 특정 객체(Object)(이하 “재생 영역”이라 함)와 연계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b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생성하는 사용자가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영역을 지정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컨텐츠에 오디오 데이터를 추가하며 해당 오디오 데이터의 삽입 위치 이전 또는 삽입 위치 이후를 재생 영역으로서 지정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만약, 오디오 데이터의 삽입 위치 이전을 재생 영역으로 지정한 경우, 직전에 추가된 오디오 데이터의 삽입 위치(만약 직전에 추가된 오디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컨텐츠의 처음 부분) 이후부터 현재 오디오 데이터의 삽입 위치까지가 재생 영역으로 지정될 수 있다. 한편, 이는 사용자가 오디오 데이터의 삽입 위치 이후를 지정하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줄이도록 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컨텐츠 에디터(210) 상에서 작성된 컨텐츠의 일부 영역을, 가령 오디오 데이터 등의 재생 영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에 의해 특정된 영역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 상에 표시되는 경우에 해당 오디오 데이터 등의 재생이 시작될 것이다.
도 3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영역을 컨텐츠에 삽입되는 특정 객체와 연계시키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스크롤 등의 행위에 의해 컨텐츠에 포함되는 각각의 사진이 활성화되는 경우, 각 사진에 관련된 오디오 데이터 등이 재생되도록 지정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영역 설정부(213)는 각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지정된 재생 영역과 연계시키고 컨텐츠 등록부(220)가 이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41)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재생 영역과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연계시키는 방법은 다양한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정된 재생 영역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일 속성을 나타내는 태그 정보로서 컨텐츠에 삽입될 수 있는데, 표 1 내지 표 3은 각각 도 2a, 도 2b, 도 3의 경우에 컨텐츠의 HTML 태그 정보에 삽입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영역에 대한 정보를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07093976993-PAT00001
<표 1: 멀티 미디어 데이터의 삽입 위치를 기준으로 재생 영역을 설정>
Figure 112007093976993-PAT00002
<표 2: 사용자에 의해 특정된 영역을 재생 영역으로 설정>
Figure 112007093976993-PAT00003
<표 3: 이미지 객체를 재생 영역으로 설정>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정된 재생 영역에 대한 정보는 스크립트 언어 등과 같은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컨텐츠에 삽입될 수 있는데, 도 4는 삽입되는 프로그램 코드의 흐름도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컨텐츠 서버(200)에 접속하여 컨텐츠를 다운로드한 후, 컨텐츠가 단말 장치(100)의 화면에 표시되는 초기 정보를 획득한다(S410).
다음으로, 사용자의 화면 스크롤 상태 및 브라우저의 설정 상태 등의 정보를 고려하여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산출한다(S420).
화면의 스크롤된 위치를 획득하는 방법은 자바스크립트 등과 같은 공지의 프로그래밍 기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표 4는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스크롤 위치를 획득하는 메쏘드(Method)를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07093976993-PAT00004
<표 4: 스크롤 위치를 획득하는 자바스크립트 메쏘드>
다음으로,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에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해당 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하여(S430), 현재 화면에 표시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활성화시키고(S431), 현재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비활성화(S432)시킬 수 있을 것이다.
특정 멀티미디어 데이터 또는 멀티미디어 영역이 현재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방법은 컨텐츠에 포함된 컴포넌트(Component)들의 절대 좌표를 산출하고 해당 컴포넌트가 현재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역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 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자바스크립트 등과 같은 공지의 프로그래밍 기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표 5는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컨텐츠에 포함된 컴포넌트의 절대 좌표를 산출하는 메쏘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07093976993-PAT00005
<표 5: 컴포넌트의 절대 좌표를 산출하는 자바스크립트 메쏘드>
상기의 과정은 사용자의 추가적인 화면 스크롤이 감지되는 경우(S440), S420 단계부터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하나의 컨텐츠의 영역이 다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영역으로 나뉘어진 모습과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화면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재생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컨텐츠의 영역이 세 개의 오디오 데이터 재생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는 상태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b 및 도 5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도 5a와 같은 컨텐츠의 조회를 요청한 후 화면을 스크롤함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영역이 변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화면이 스크롤되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컨텐츠 영역이 바뀌게 됨에 따라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도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면, 도 5b의 경우, 고양이 이미지가 표시된 영역이 화면에 표시되고 있으므로, 고양이 소리의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될 수 있고, 도 5c의 경우, 말 이미지가 표시된 영역이 화면에 표시되고 있으므로, 말발굽 소리의 오디오 데이터가 재생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는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로 하여 오디오 데이터가 선별적으로 재생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재생되는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래시, 동영상 등의 각종 멀티미디어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조회부(230)는 상기와 같이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조회 요청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241)로부터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영역 판단부(141)는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획득한 컨텐츠의 어떠한 영역이 브라우저의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언급한 자바스크립트 등과 같은 웹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지원하는 기능인 프레임(Frame) 내에서의 컨텐츠의 절대 좌표를 획득하는 메쏘드 등과 같은 공지의 프로그래밍 수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고, 또 다른 방법으로서, 브라우저 자체의 화면 렌더링(Rendering) 정보를 이용하여 획득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제어부(143)는 표시 영역 판단부(141)로부터 화면 표시 정보를 전달 받고, 화면 표시 정보 및 앞서 언급하였던 스크립트 언어 또는 HTML 코드 등의 형태로 컨텐츠 내에 포함되어 있는 재생 영역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참조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거나,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을 중단시키는 등과 같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재생 영역에 관한 정보가 컨텐츠 내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존재할 것이고, 이러한 경우에는 표시 영역 판단부(141)로부터 전달 받은 화면 표시 정보만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활성화 영역의 판단
앞서 언급한 기술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화면에 하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만이 표시되는 경우에는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으나, 다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동시에 표시되는 경우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화면에 동시에 표시되는 경우에 우선적으로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결정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화면에 표시된 다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어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우선하여 재생하여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방법에 관하여서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다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배열, 위치 등에 따라 다양한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성화 영역 판단부(142)는 표시 영역 판단부(141)로부터 화면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화면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영역 중 가장 많은 비율(또는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활성화 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6a의 경우, 현재 브라우저의 화면에서 가장 많은 영역을 차지하고 있는 영역 1의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재생될 것이고, 다른 멀티미디어 데이터들은 재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성화 영역 판단부(142)는 표시 영역 판 단부(141)로부터 화면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화면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브라우저의 화면에 새롭게 진입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영역을 활성화 영역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즉,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아래 방향으로 화면을 스크롤해 나감에 따라 새로이 브라우저의 화면에 영역 5가 진입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 경우 새롭게 진입된 영역 5의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재생되도록 할 수 있으며, 영역 5가 화면에 진입하기 이전까지 재생되던 영역 4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그 재생이 중단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성화 영역 판단부(142)는 표시 영역 판단부(141)로부터 화면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화면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브라우저의 중앙 부분에 위치한 재생 영역을 활성화 영역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아래 방향으로 화면을 스크롤해 나감에 따라 브라우저 화면의 중앙 부분에 영역 2가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 경우 중앙 부분에 위치한 영역 2의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재생되도록 할 수 있으며, 영역 2가 브라우저 화면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기 이전까지 화면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여 재생되고 있던 영역 1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그 재생이 중단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화면에 표시된 다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재생 방법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변형예를 상정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만화 서비스에의 적용
지금까지는 일반적인 컨텐츠에 포함된 멀티미디어의 재생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본 발명은 만화 서비스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 NHN에서 제공하고 있는 컨텐츠 생성기의 일종인 스마트 에디터의 메뉴 중에는 “툰”이라는 메뉴가 제공되고 있으며, “툰”메뉴에 따르면 사용자가 만화를 그려서 스마트 에디터 상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툰 서비스에 의해 제공되는 만화의 각 객체(가령, 한 컷 또는 한 프레임)에도 BGM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한 컷 또는 한 프레임마다 적절한 BGM을 깔 수 있으므로, 다채로운 UCC 생산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만화의 특정 객체에 멀티미디어를 걸기 위한 인터페이스로는 다양한 예를 상정해 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로그인 기반 사용자가 기존에 유료로 구입한 음악을 연계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고, 타 사이트 등을 포함한 컨텐츠 서버의 특정 URL로 걸 수도 있는 등의 예를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 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의 표시 상태에 기초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컨트롤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b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생성하는 사용자가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영역을 지정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영역을 컨텐츠에 삽입되는 특정 객체(Object)와 연계시키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재생 영역에 대한 정보가 스크립트 언어 등과 같은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컨텐츠에 삽입되는 경우, 삽입되는 프로그램 코드의 흐름도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하나의 컨텐츠의 영역이 다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영역으로 나뉘어진 상태와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컨텐츠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재생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다수의 멀티미디어 영역이 동시에 화면에 표시되는 경우, 활성화시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결정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사용자 단말 장치
110: 중앙 처리 장치
120: 메모리
130: 통신 모듈
140: 브라우저
141: 표시 영역 판단부
142: 활성화 영역 판단부
143: 멀티미디어 제어부
200: 컨텐츠 서버
210: 컨텐츠 에디터
211: 텍스트 입력부
212: 멀티미디어 데이터 입력부
213: 멀티미디어 영역 설정부
220: 컨텐츠 등록부
230: 컨텐츠 조회부
240: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250: 제어부
260: 통신부

Claims (33)

  1. 컨텐츠 제작자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영역마다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컨텐츠의 표시 상태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멀티미디어 영역 중 특정 멀티미디어 영역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특정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활성화되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영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를 상기 멀티미디어 영역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조회 요청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저장된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영역 정보는,
    상기 컨텐츠 내에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식별자 및 상기 멀티미디어 영역을 특정하는 소정의 영역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식별자와 상기 영역 식별자가 연계되어 상기 컨텐츠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 또는 스크립트 언어(Script Language)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지 않은 상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비활성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멀티미디어 영역이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에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기설정된 규칙에 따라 우선 순위가 높게 배정된 멀티미디어 영역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각각의 멀티미디어 영역이 상기 화면 상에서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을 기초로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규칙,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의 특정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는 멀티미디어 영역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규칙,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새로이 등장하는 멀티미디어 영역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규칙
    중 적어도 하나의 규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영역 정보는,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객체(Object)가 활성화되는 경우의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적어도 한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만화 컨텐츠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마다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마다 삽입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만화 컨텐츠의 표시 상태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컨텐츠 제작자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영역마다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컨텐츠의 표시 상태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멀티미디어 영역 중 특정 멀티미디어 영역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특정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활성화되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영역 정보를 생성하는 멀티미디어 영역 설정부,
    상기 컨텐츠를 상기 멀티미디어 영역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컨텐츠 등록부,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의 조회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컨텐츠 조회부
    를 포함하는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영역 정보는,
    상기 컨텐츠 내에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식별자 및 상기 멀티미디어 영역을 특정하는 소정의 영역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식별자와 상기 영역 식별자가 연계되어 상기 컨텐츠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지 않은 상태의 멀티미디어 영역과 연계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비활성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코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멀티미디어 영역이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에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기설정된 규칙에 따라 우선 순위가 높게 배정된 멀티미디어 영역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각각의 멀티미디어 영역이 상기 화면 상에서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을 기초로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규칙,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의 특정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는 멀티미디어 영역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규칙,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새로이 등장하는 멀티미디어 영역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규칙
    중 적어도 하나의 규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7. 컨텐츠 제작자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영 역마다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상기 컨텐츠를 조회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브라우저 상에서의 표시 상태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브라우저의 표시 영역에 상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각각의 멀티미디어 영역이 상기 브라우저의 표시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각각의 멀티미디어 영역마다 연계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영역은 상기 컨텐츠 상에 포함된 프로그램 코드를 참조하여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식별자 및 상기 멀티미디어 영역을 특정하는 소정의 영역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식별자와 상기 영역 식별자가 연계되어 상기 컨텐츠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멀티미디어 영역이 상기 브라우저의 표시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를 재생시키고, 상기 멀티미디어 영역이 상기 브라우저의 표시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를 재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상기 브라우저의 표시 영역이 스크롤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멀티미디어 영역이 상기 브라우저의 표시 영역에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제어 대상이 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 대상이 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대상이 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브라우저의 표시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각각의 멀티미디어 영역이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을 기초로 결정하는 방법,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브라우저의 표시 영역 상의 특정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는 멀티미디어 영역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결정하는 방법,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브라우저의 표시 영역 상에 새로이 등장하는 멀티미디어 영역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결정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컨텐츠 제작자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 - 상기 컨텐츠는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영역마다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존재함 - 를 조회하기 위한 브라우저를 구비하고, 상기 컨텐츠가 상기 브라우저의 표시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표시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단말 장치로서,
    상기 컨텐츠가 상기 브라우저의 표시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태를 모니 터링 하는 표시 영역 판단부,
    상기 표시 영역 판단부의 모니터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영역이 상기 브라우저의 표시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활성화 영역 판단부, 및
    상기 활성화 영역으로 판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멀티미디어 제어부
    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와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된 원격 컴퓨터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영역은 상기 컨텐츠 상에 포함된 프로그램 코드를 참조하여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식별자 및 상기 멀티미디어 영역을 특정하는 소정의 영역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식별자와 상기 영역 식별자가 연계되어 상기 컨텐츠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제어부는 상기 활성화 영역으로 판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 영역이 상기 브라우저의 표시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를 재생시키고, 상기 멀티미디어 영역이 상기 브라우저의 표시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의 재생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0.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 판단부는,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상기 브라우저의 표시 영역이 스크롤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고,
    상기 활성화 영역 판단부는,
    상기 스크롤에 따라 상기 멀티미디어 영역이 상기 브라우저의 표시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멀티미디어 영역이 상기 브라우저의 표시 영역에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상기 활성화 영역 판단부는,
    상기 복수의 멀티미디어 영역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제어 대상이 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결정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제어부는,
    상기 제어 대상이 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영역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각각의 멀티미디어 영역이 상기 화면 상에서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 상의 특정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는 멀티미디어 영역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의 화면 상에 새로이 등장하는 멀티미디어 영역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제어 대상이 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3. 제1항 내지 제10항 및 제17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70139066A 2007-12-27 2007-12-27 컨텐츠 표시 상태에 기초한 멀티미디어 컨트롤러를제공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2009007090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066A KR20090070904A (ko) 2007-12-27 2007-12-27 컨텐츠 표시 상태에 기초한 멀티미디어 컨트롤러를제공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JP2008314338A JP4869321B2 (ja) 2007-12-27 2008-12-10 コンテンツの表示状態に基づいてマルチメディアのコントローラ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12/343,679 US8990180B2 (en) 2007-12-27 2008-12-24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multimedia based on display condition of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066A KR20090070904A (ko) 2007-12-27 2007-12-27 컨텐츠 표시 상태에 기초한 멀티미디어 컨트롤러를제공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904A true KR20090070904A (ko) 2009-07-01

Family

ID=40799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9066A KR20090070904A (ko) 2007-12-27 2007-12-27 컨텐츠 표시 상태에 기초한 멀티미디어 컨트롤러를제공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990180B2 (ko)
JP (1) JP4869321B2 (ko)
KR (1) KR2009007090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39957B2 (ja) * 2013-09-20 2015-06-24 ヤフー株式会社 配信装置、配信方法、および配信プログラム
US10560760B2 (en) * 2014-10-27 2020-02-11 Zed Creativ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multimedia content
JP5941204B1 (ja) * 2015-09-08 2016-06-29 ヤフー株式会社 情報表示プログラム、配信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情報表示装置
CN112148896A (zh) * 2020-09-10 2020-12-29 京东数字科技控股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终端媒体监播的数据处理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3727A (en) * 1996-06-18 1999-05-11 Sun Microsystems, Inc. Processing HTML to embed sound in a web page
JP2001022879A (ja) * 1999-03-31 2001-01-26 Canon Inc 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US7296230B2 (en) * 2002-11-29 2007-11-13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Linked contents browsing support device, linked contents continuous browsing support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therewith
JP4430882B2 (ja) * 2003-03-19 2010-03-10 富士通株式会社 複合メディアコンテンツの変換装置及び変換方法並びに複合メディアコンテンツ変換プログラム
JP2005092495A (ja) * 2003-09-17 2005-04-07 Canon Inc 音声、動画等を具備するベクタグラフィックスのフォーマット方式
JP4684626B2 (ja) * 2004-05-27 2011-05-18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および情報表示方法、情報表示プログラム、記録媒体
US7844354B2 (en) * 2006-07-27 2010-11-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djusting the volume of an audio element responsive to a user scrolling through a browser window
AU2006252196B2 (en) * 2006-12-21 2009-05-14 Canon Kabushiki Kaisha Scrolling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72037A1 (en) 2009-07-02
JP2009159607A (ja) 2009-07-16
US8990180B2 (en) 2015-03-24
JP4869321B2 (ja) 201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2433B2 (ja) 手持ち式電子装置及びそのマルチメディアクリップ記録方法
US20080288536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ng Browsing Histories with Media Playlists
US20110016000A1 (en) Creating content experience with video widgets
JP2007036830A (ja) 動画管理システム、動画管理方法、クライアント、およびプログラム
US11989224B2 (en) Retrieving and playing out media content for a personalized playlist including a content placeholder
US11489915B2 (en) Retrieval and playout of media content
JP2016058798A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6077083B1 (ja)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情報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配信装置
JP2018022386A (ja) 配信装置、配信方法、配信プログラム及び情報表示プログラム
KR20090070904A (ko) 컨텐츠 표시 상태에 기초한 멀티미디어 컨트롤러를제공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JP5306555B1 (ja) 複数のデジタルコンテンツを提供可能な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方法
KR102029167B1 (ko) 사용자 상황에 따른 음악감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27118A (ko)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7011893A (ja) Rss文書の閲覧方法及び装置及び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JP2007088967A (ja) コンテンツ供給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再生端末
JP6234080B2 (ja) 複数のデジタルコンテンツを提供可能な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方法
JP2006285714A (ja) ウェブコンテンツ閲覧・編集システム、ウェブコンテンツ閲覧・編集方法およびウェブコンテンツ閲覧・編集用プログラム
JP6089315B2 (ja) 端末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端末装置の制御方法
JP4755948B2 (ja) 端末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記録方法
Sharifi et al. Automatic Content Bookmarking and Summarization for Resuming Paused Content
KR20090072772A (ko) 텍스트에 기초하여 아이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시스템,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819756B1 (ko) 온라인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AU2005263189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ng browsing histories with media playlis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