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0036A -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0036A
KR20090070036A KR1020070137899A KR20070137899A KR20090070036A KR 20090070036 A KR20090070036 A KR 20090070036A KR 1020070137899 A KR1020070137899 A KR 1020070137899A KR 20070137899 A KR20070137899 A KR 20070137899A KR 20090070036 A KR20090070036 A KR 20090070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substrate
protective film
hard mask
semiconductor device
insula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7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철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Priority to KR1020070137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0036A/ko
Priority to US12/327,109 priority patent/US20090170278A1/en
Publication of KR20090070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00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 H01L21/76224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trench refilling with dielectr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4Mechanical treatment, e.g. grinding, polishing, c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ment Separation (AREA)

Abstract

실시예에서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해 개시된다.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에 하드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드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을 식각하여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에 절연막을 매립한 후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공정을 진행하고 상기 하드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절연막에 인접하고 상기 절연막 보다 돌출된 상기 반도체 기판의 모트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 상에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호막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 상에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고 세정 공정을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반도체 기판의 액티브 영역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기 전 세정 공정을 통해 세정 용액으로 상기 보호막을 제거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반도체, 모트 영역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실시예에서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해 개시된다.
최근에 반도체 소자의 집적도가 증가함에 따라 반도체 소자와 반도체 소자를 분리하는 소자 분리막의 크기도 같은 스케일(scale) 만큼 축소되어 통상의 LOCOS 방법과 같은 소자 분리 방법은 그 적용이 한계에 이르게 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적용된 STI(Shallow Trench Isolation) 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에 반도체 기판과 식각 선택비가 양호한 질화막을 형성하고, 질화막을 하드 마스크(hard mask)로 사용하기 위해 질화막을 포토리소그래피 방법으로 패터닝하여 질화막 패턴을 형성한다.
그리고, 질화막 패턴을 하드 마스크로 사용하여 반도체 기판을 소정 깊이로 건식 식각 방법으로 패터닝하여 트렌치를 형성한 후, 트렌치에 절연막을 매립시킨 후 STI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를 진행하여 트렌치에 매립되는 소자 분리막을 형성한다.
이후, 질화막을 습식 식각으로 제거하는데, 이 공정을 모트 질화막 습식식각(Moat nitride wet etch)이라고 한다.
한편, 트렌치에 절연막을 매립하는 경우 웨이퍼의 중앙부에 비해 웨이퍼의 주변부에서 절연막이 두껍게 증착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차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STI CMP를 하는 경우에 웨이퍼의 중앙부에 비해 웨이퍼의 주변부에서 절연막의 리무벌 레이트(Removal Rate)가 높게 설정된다.
이때,넓은 소자 분리막에 인접한 폭이 좁은 모트 영역은 그 주변에 더미 모트(dummy moat)가 배치되지 않는 경우, STI CMP 시 소자 분리막이 과도하게 제거되어 모트 영역이 소자 분리막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모트 영역은 이후 불순물 주입 공정 내지는 세정 공정에서 영향을 받아 데미지(damage)가 심하게 발생되어 다른 소자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실시예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는 모트 영역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에 하드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드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을 식각하여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에 절연막을 매립한 후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공정을 진행하고 상기 하드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절연막에 인접하고 상기 절연막 보다 돌출된 상기 반도체 기판의 모트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 상에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호막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 상에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고 세정 공정을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반도체 기판의 액티브 영역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기 전 세정 공정을 통해 세정 용액으로 상기 보호막을 제거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실시예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는 모트 영역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 상에 선택비가 양호한 질화막을 형성하고, 질화막을 하드 마스크(hard mask)로 사용하기 위해 질화막을 포토리소그래피 방법으로 패터닝하여 질화막 패턴(2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질화막 패턴(20)을 하드 마스크로 사용하여 반도체 기판을 소정 깊이로 건식 식각 방법으로 패터닝하여 트렌치를 형성한 후, 트렌치에 절연막을 매립시킨 후 STI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를 진행하여 트렌치에 매립되는 소자 분리막(30)을 형성한다.
이때, 액티브 영역(미도시)과 필드 영역을 정의하는 소자 분리막(30)의 면적이 넓고, 좁은 폭을 가진 모트 영역(11)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모트 영역(11)에 인접한 소자 분리막(30)이 과다 폴리싱(Polishing)되어 상기 모트 영역(11)이 소자 분리막(30)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도 2에는 하드 마스크로 사용된 상기 질화막 패턴(20)을 제거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소자 분리막(30)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0) 상의 액티브 영역 상에 문턱전압 조절용 N형 불순물 이온 또는 P형 불순물 이온 주입 공정 후의 세정 공정을 거치거나, 게이트 절연막 형성 전 세정 공정 과정에서 상기 모트 영역(11) 이 손상되어 모트 영역(11)의 Si 손실이 발생되거나 피츠(Pits) 전이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손상된 모트 영역(11)에 이후 게이트 전극 형성 과정에서 폴리 실리콘이 매립되는 경우에 반도체 소자가 제대로 동작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은 상기 모트 영역(11)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모트 영역(11)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10) 상에 보호막(40)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보호막(40)은 CVD 방법으로 증착한 산화막이 될 수 있다. 상기 보호막(40)은 30~50Å의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보호막(40)은 문턱전압 조절용 N형 불순물 이온 또는 P형 불순물 이온 주입 공정 후의 세정 공정에서 상기 모트 영역(11)을 보호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불순물 주입 및 세정 공정 후 상기 반도체 기판(10)의 액티브 영역에 게이트 절연막(미도시)을 형성하는 공정을 진행한다.
이때, 게이트 절연막 형성 전 반도체 기판(10)에 대한 세정 공정을 수행하는데, 이때 세정 공정은 순수(DIW)와 HF가 90:1 내지 110:1 로 혼합된 용액을 사용하여 진행하며, 세정 공정 과정에서 상기 모트 영역(11)을 포함한 반도체 기판(10) 상에 형성된 보호막(40)이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보호막(40)은 액티브 영역의 게이트 절연막 형성 전 상기 모트 영역(11)을 보호하게 되며, 이후 공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제거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Claims (6)

  1. 반도체 기판 상에 하드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드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을 식각하여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에 절연막을 매립한 후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공정을 진행하고 상기 하드마스크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절연막에 인접하고 상기 절연막 보다 돌출된 상기 반도체 기판의 모트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 상에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호막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 상에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고 세정 공정을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반도체 기판의 액티브 영역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기 전 세정 공정을 통해 세정 용액으로 상기 보호막을 제거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마스크는 질화막으로 형성된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은 CVD 공정으로 증착한 산화막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 이온은 문턱전압 조절용 N형 불순물 이온 또는 P형 불순물 이온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은 30~50Å의 두께로 형성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 형성 전 세정 공정에서 사용되는 세정 용액은 순수(DIW)와 HF가 90:1 내지 110:1 로 혼합된 용액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20070137899A 2007-12-26 2007-12-26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9007003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899A KR20090070036A (ko) 2007-12-26 2007-12-26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US12/327,109 US20090170278A1 (en) 2007-12-26 2008-12-03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899A KR20090070036A (ko) 2007-12-26 2007-12-26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036A true KR20090070036A (ko) 2009-07-01

Family

ID=40798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7899A KR20090070036A (ko) 2007-12-26 2007-12-26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170278A1 (ko)
KR (1) KR20090070036A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1998A (en) * 1985-12-02 1987-10-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fabricating a bipolar transistor
US6352885B1 (en) * 2000-05-25 2002-03-05 Advanced Micro Devices, Inc. Transistor having a peripherally increased gate insulation thickness and a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WO2006007453A1 (en) * 2004-07-01 2006-01-19 Fsi International, Inc. Cleaning process for semiconductor substra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70278A1 (en) 200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3980A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
EP3288070B1 (en) Fabrication method for semiconductor structure
KR20060129037A (ko) 반도체 제조 동안 sti 디봇 형성 감소 방법
US7361571B2 (en) Method for fabricating a trench isolation with spacers
US8269307B2 (en) Shallow trench isolation structur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KR100700279B1 (ko) 플랫 노아 마스크롬의 제조 방법
KR20090070036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937661B1 (ko)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70002945A (ko) 반도체 소자의 트렌치형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KR100466207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967673B1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KR100579851B1 (ko) 반도체 소자의 분리 방법
KR100455726B1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KR100632053B1 (ko) 반도체 장치의 소자 분리막의 제조 방법
KR100480919B1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KR101006510B1 (ko) 반도체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KR100607799B1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산화막 형성 방법
KR100499409B1 (ko) 반도체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KR20030001179A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 격리층 형성 방법
KR20020003031A (ko) 반도체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
KR20060104198A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분리막 제조 방법
KR20100003837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20054666A (ko) 반도체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KR20100038927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30085997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