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8462A -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8462A
KR20090068462A KR1020070136088A KR20070136088A KR20090068462A KR 20090068462 A KR20090068462 A KR 20090068462A KR 1020070136088 A KR1020070136088 A KR 1020070136088A KR 20070136088 A KR20070136088 A KR 20070136088A KR 20090068462 A KR20090068462 A KR 20090068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nch
conductivity type
type impurity
semiconductor devic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6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Priority to KR1020070136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8462A/ko
Priority to US12/337,511 priority patent/US20090159980A1/en
Publication of KR20090068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84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8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 H01L21/823892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with a particula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wells or tubs, e.g. twin tubs, high energy well implants, buried implanted layers for lateral isolation [BILLI]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 H01L21/76224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trench refilling with dielectric materials
    • H01L21/7623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trench refilling with dielectric materials of trenches having a shape other than rectangular or V-shape, e.g. rounded corners, oblique or rounded trench wa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8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8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 H01L21/823878Complementary field-effect transistors, e.g. CMOS isolation region manufacturing related aspects, e.g. to avoid interaction of isolation region with adjacent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반도체 기판에 제 1 도전형 불순물이 주입되어 형성된 도전형 웰, 도전형 웰의 일 측에 형성되는 소자분리부재 및 소자분리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며, 제 1 도전형 불순물 및 제 2 도전형 불순물이 포함된 절연영역을 포함한다. 반도체 소자는 소자분리부재의 하부에 절연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소자들 사이에 단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트렌치, 소자, 분리, 단락

Description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실시예는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처리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서, 고밀도 고집적화된 반도체 칩들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서, 반도체 소자들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고, 반도체 소자들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단락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시예는 다른 반도체 소자와의 단락을 방지하는 반도체 소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반도체 기판에 제 1 도전형 불순물이 주입되어 형성된 도전형 웰, 상기 도전형 웰의 일 측에 형성되는 소자분리부재 및 상기 소자분리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도전형 불순물 및 제 2 도전형 불순물이 포함된 절연영역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에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 내측에 제 1 도전형 불순물 및 제 2 도전형 불순물을 포함하는 절연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트렌치 내측에 절연물질을 채우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소자분리부재 및 소자분리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는 절연영역에 의해서 다른 반도체 소자들과 절연된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소자분리부재에 의해서만 절연되는 경우와 비교하면, 다른 반도체 소자들 사이에 발생하는 단락 등을 더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씨모스 트랜지스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씨모스 트랜지스터는 반도체 기판(100), 소자분리부재(200), 절연영역(230), NMOS 트랜지스터(NMOS) 및 PMOS 트랜지스터(PMOS)를 포함한다.
상기 반도체 기판(100)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상기 반도체 기판(100)으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로서는 단결정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반도체 기판(100)은 저농도의 n형 불순물 포함하는 영역(110) 및 저농도의 p형 불순물을 포함하는 p-형 웰(120)을 포함한다.
상기 소자분리부재(200)는 상기 p-형 웰(120)의 일 측에 형성된다. 상기 소자분리부재(200)는 트렌치(210) 및 절연막(220)을 포함한다.
상기 트렌치(210)는 절곡 또는 완곡되는 내측면을 포함한다. 즉, 상기 트렌치(210)는 제 1 측면(211a) 및 상기 제 1 측면(211a)으로부터 절곡 또는 완곡되는 제 2 측면(212c)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측면(211a)은 두 개의 평평한 측면들이다. 상기 평평한 측면들은 예를 들어, 서로 마주본다. 상기 제 1 측면(211a)은 상기 반도체 기판(100)의 상면으로부터 절곡 또는 완곡되어 연장된다.
상기 제 2 측면(212c)은 상기 제 1 측면(211a)으로부터 절곡 또는 완곡되어 연장된다. 이때, 상기 트렌치(210)는 상기 제 2 측면(212c)으로부터 절곡 또는 완곡되어 연장되는 제 3 측면(212d)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렌치(210)는 상기 제 3 측면(212d)으로부터 절곡 또는 완곡되 어 연장되는 바닥면(212b)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2 측면(212c), 상기 제 3 측면(212d) 및 상기 바닥면(212b)에 의해서 홈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212b)의 폭(W1)은 상기 트렌치(210)의 입구의 폭(W2)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절연막(220)은 상기 트렌치(210) 내측에 배치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절연막(220)은 상기 트렌치(210) 내측에 채워진다. 상기 절연막(220)으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로서는 산화물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절연막(220)은 상기 홈에 대응하여 돌기(241)가 형성된다.
상기 소자분리부재(200)에 의해서, 상기 반도체 기판(100)은 제 1 활성영역(AR1) 및 제 2 활성영역(AR2)으로 구분된다. 이때, 상기 p-형 웰(120)은 상기 제 1 활성영역(AR1)에 형성된다.
상기 절연영역(230)은 상기 소자분리부재(20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소자분리부재(200)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연영역(230)은 상기 p-형 웰(120)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상기 절연영역(230)은 p형 불순물 및 n형 불순물을 동시에 포함한다. 상기 절연영역(230)에 포함된 p형 불순물의 농도 및 n형 불순물의 농도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절연영역(230)에 포함된 p형 불순물의 농도는 상기 p-형 웰(120)에 포함된 p형 불순물의 농도와 실질적으로 같다.
따라서, 상기 절연영역(230)의 저항은 상기 p-형 웰(120)의 저항보다 높게 된다.
상기 NMOS 트랜지스터(NMOS)는 상기 제 1 활성영역(AR1)에 형성된다. 상기 NMOS 트랜지스터(NMOS)는 제 1 게이트 전극(310), 제 1 스페이서(340), n-형 LDD영역(410) 및 n+형 소오스/드레인 영역(43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310)은 상기 p-형 웰(120)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310)으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로서는 폴리 실리콘 또는 금속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310) 및 상기 반도체 기판(100) 사이에 게이트 절연막(220)이 개재되어,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310) 및 상기 반도체 기판(100)을 절연한다.
상기 제 1 스페이서(340)는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310)의 측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스페이서(340)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로서는 질화물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제 1 스페이서(340)는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310)의 측면을 절연한다.
상기 n-형 LDD영역(410)은 상기 제 1 스페이서(340)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n-형 LDD영역(410)은 저농도의 n형 불순물을 포함하며, 한 쌍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n+형 소오스/드레인 영역(430)은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310)의 일 측에 형성된다. 상기 n+형 소오스/드레인 영역(430)은 상기 n-형 LDD영역(410)에 인접한다.
상기 PMOS 트랜지스터(PMOS)는 상기 제 2 활성영역(AR2)에 형성된다. 상기 PMOS 트랜지스터(PMOS)는 제 2 게이트 전극(320), 제 2 스페이서(350), p-형 LDD영 역(420) 및 p+형 소오스/드레인 영역(440)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320)은 상기 n형 불순물을 포함하는 영역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320)으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로서는 폴리 실리콘 또는 금속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320) 및 상기 반도체 기판(100) 사이에 게이트 절연막(220)이 개재되어,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320) 및 상기 반도체 기판(100)을 절연한다.
상기 제 2 스페이서(350)는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320)의 측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스페이서(350)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로서는 질화물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제 2 스페이서(350)는 상기 게이트 전극의 측면을 절연한다.
상기 p-형 LDD영역(420)은 상기 제 2 스페이서(350)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p-형 LDD영역(420)은 저농도의 p형 불순물을 포함하며, 한 쌍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p+형 소오스/드레인 영역(440)은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320)의 일 측에 형성된다. 상기 p+형 소오스/드레인 영역(440)은 상기 p-형 LDD영역(420)에 인접한다.
상기 NMOS 트랜지스터(NMOS) 및 상기 PMOS 트랜지스터(PMOS)는 상기 소자분리부재(200) 및 상기 절연영역(230)에 의해서 분리되고, 절연된다.
이때, 상기 절연막(220)은 측방으로 돌기되는 돌기(241)를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NMOS 트랜지스터(NMOS)로부터 상기 PMOS 트랜지스터(PMOS)로 전류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가 길다.
즉, 상기 절연막(220)이 돌기(241)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면, 상기 소자분리부재(200)에 의해서, 상기 두 트랜지스터들 사이에 전류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가 더 길어지기 때문에, 상기 소자분리막은 상기 두 트랜지스터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단락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절연영역(230)의 저항은 상기 p-형 웰(120)의 저항보다 높다. 따라서, 상기 절연영역(230)에 의해서,상기 두 트랜지스터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단락이 방지된다.
도 2a 내지 도 2f는 실시예의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따른 공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저농도의 n형 불순물을 포함하는 실리콘 기판상에 선택적으로 저농도의 p형 불순물이 주입되어, p-형 웰(120)을 형성한다. 이로써, n형 불순물을 포함하는 영역(110) 및 상기 p-형 웰(120)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100)이 형성된다.
이후, 상기 반도체 기판(100)상에 열산화 공정 또는 화학기상증착 공정에 의해서 산화막(130)이 형성되고, 상기 산화막(130) 상에 질화막(140)이 화학기상증착 공정에 의해서 형성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질화막(140)이 형성된 후, 상기 질화막(140), 상기 산화막(130) 및 상기 반도체 기판(100)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제 1 트렌치(211) 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트렌치(211)는 상기 p-형 웰(120) 및 상기 n형 불순물을 포함하는 영역(110) 사이에 형성된다.
이후, 상기 제 1 트렌치(211) 내측 및 상기 질화막(140) 상에 화학기상증착 공정에 의해서, 보호막(150)이 형성된다. 상기 보호막(150)으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렌치(211)는 상기 반도체 기판(100)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측면(211a)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측면(211a)은 두 개의 평평한 측면이며, 상기 평평한 측면들을 서로 마주 볼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질화막(140) 상에 형성되는 보호막(150) 및 상기 제 1 트렌치(211)의 바닥면(212b) 상에 배치되는 보호막(150)이 등방성 식각 공정에 의해서 제거되고, 상기 보호막(150)은 상기 제 1 트렌치(211)의 측면 상에만 배치된다.
도 2d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트렌치(211)의 하부의 반도체 기판(100)은 이방성 식각 공정에 의해서 식각되고, 상기 제 1 트렌치(211)의 하부에 제 2 트렌치(212)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트렌치(212)는 바닥면(212b) 및 상기 평평한 측면들로부터 측방으로 형성된 홈(212a)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2 트렌치(212)의 폭은 상기 제 1 트렌치(211)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트렌치(211)는 테이퍼 질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 2 트렌치(212)의 폭(W2)은 상기 제 1 트렌치(211)의 폭 중에서 제일 큰 폭(W1)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트렌치(211) 및 상기 제 2 트렌치(212)를 포함하는 트렌치(210)가 형성된다.
도 2e를 참조하면, 상기 트렌치(210)가 형성된 후, 상기 반도체 기판(100)에 포토레지스트 패턴(500)이 형성된 후,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500)을 마스크로 사용하여, n형 불순물이 상기 p-형 웰(120)의 일부에 주입되어, 절연영역(23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주입되는 n형 불순물의 농도는 상기 p-형 웰(120)에 주입된 p형 불순물의 농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절연영역(230)은 상기 p-형 웰(120)의 저항 또는 상기 n형 불순물이 주입된 영역(110)보다 저항이 높다.
도 2f를 참고하면, 상기 포토레지스트 패턴(500)이 제거되고, 상기 트렌치(210) 내측에 산화물이 채워져서, 절연막(220)이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트렌치(210) 및 상기 절연막(220)을 포함하는 소자분리부재(200)가 형성되며, 상기 소자분리부재(200)에 의해서 제 1 활성영역(AR1) 및 제 2 활성영역(AR2)으로 구분된다.
이후, 상기 질화막(140)이 제거되고, 상기 반도체 기판(100) 상에 폴리 실리콘층이 형성된 후, 상기 폴리 실리콘층 및 상기 산화막(130)은 패터닝 되어, 제 1 게이트 전극(310) 및 제 2 게이트 전극(320)이 형성된다.
이후, 상기 제 1 활성영역(AR1)에 선택적으로 저농도의 n형 불순물이 주입되 어, n-형 LDD영역(410)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활성영역(AR2)에 선택적으로 저농도의 p형 불순물이 주입되어 p-형 LDD영역(420)이 형성된다.
이후, 상기 반도체 기판(100) 전면에 질화막이 형성되고, 에치백 등의 이방성 식각 공정에 의해서, 제 1 스페이서(340) 및 제 2 스페이서(350)가 형성된다.
이후, 상기 제 1 활성영역(AR1)에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310) 및 상기 제 1 스페이서(340)를 마스크로 사용하여, 고농도의 n형 불순물이 주입되고, n+형 소오스/드레인 영역(430)이 형성되어, NMOS 트랜지스터(NMOS)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활성영역(AR2)에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320) 및 상기 제 2 스페이서(350)를 마스크로 사용하여, 고농도의 p형 불순물이 주입되고, p+형 소오스/드레인 영역(440)이 형성되어, PMOS 트랜지스터(PMOS)가 형성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씨모스 트랜지스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f는 실시예의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따른 공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Claims (10)

  1. 반도체 기판에 제 1 도전형 불순물이 주입되어 형성된 도전형 웰;
    상기 도전형 웰의 일 측에 형성되는 소자분리부재; 및
    상기 소자분리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도전형 불순물 및 제 2 도전형 불순물이 포함된 절연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영역에 포함된 제 1 도전형 불순물의 농도 및 상기 제 2 도전형 불순물의 농도는 서로 대응하는 반도체 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분리부재는 내측면에 홈이 형성된 트렌치 및 상기 트렌치 내측에 채워지는 절연물질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는 서로 마주보는 평평한 제 1 측면들 및 상기 제 1 측면으로부터 절곡 또는 완곡되는 제 2 측면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는 바닥면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면의 폭은 입구의 폭보다 큰 반도체 소자.
  6. 반도체 기판 상에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 내측에 제 1 도전형 불순물 및 제 2 도전형 불순물을 포함하는 절연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트렌치 내측에 절연물질을 채우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는
    반도체 기판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제 1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트렌치의 내부면을 식각하여, 상기 제 1 트렌치의 내측면에 대하여 측방으로 형성된 홈을 포함하는 제 2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트렌치 내측에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호막의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일부가 제거된 보호막을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제 1 트렌치의 내부면을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반도체 기판에 제 1 도전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도전형 웰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도전형 웰의 일부에 제 2 도전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절연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형 불순물을 주입하는 단계에서, 상기 도전형 웰에 주입된 제 1 불순물의 농도에 대응하는 농도를 가지도록 제 2 도전형 불순물을 주입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20070136088A 2007-12-24 2007-12-24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6846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088A KR20090068462A (ko) 2007-12-24 2007-12-24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US12/337,511 US20090159980A1 (en) 2007-12-24 2008-12-17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088A KR20090068462A (ko) 2007-12-24 2007-12-24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8462A true KR20090068462A (ko) 2009-06-29

Family

ID=40787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6088A KR20090068462A (ko) 2007-12-24 2007-12-24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159980A1 (ko)
KR (1) KR20090068462A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8128A (en) * 1984-12-03 1986-03-25 Ncr Corporation Process for forming retrograde dopant distributions utilizing simultaneous outdiffusion of dopants
US4740827A (en) * 1985-09-30 1988-04-26 Kabushiki Kaisha Toshiba CMOS semiconductor device
US5861330A (en) * 1997-05-07 1999-01-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tructure to reduce latch-up using edge implants
KR100386446B1 (ko) * 1998-12-31 2003-08-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장치의소자격리막형성방법
US6313008B1 (en) * 2001-01-25 2001-11-06 Chartere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Inc. Method to form a balloon shaped STI using a micro machining technique to remove heavily doped silic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59980A1 (en) 200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3050B2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TWI637520B (zh) 半導體器件
JP2001352057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30150B1 (ko)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531794B (zh) 高压金属氧化物半导体晶体管元件及其制造方法
JP2010062564A (ja) ポリエミッタ型バイポーラトランジスタ、bcd素子、ポリエミッタ型バイポーラ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及びbcd素子の製造方法
TWI414023B (zh) 用於製造一半導體器件的方法
US819306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KR20140015508A (ko) 반도체 장치
KR100922915B1 (ko) 반도체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9152442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390465B2 (ja) 抵抗素子、半導体装置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100898252B1 (ko)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64659A (ko)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JP4579512B2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WO2008123491A1 (ja) 電離衝突によるキャリア増倍を用いた半導体素子及びその作製方法
KR100331844B1 (ko) 씨모스소자
JP2005209792A (ja) 半導体装置
TWI514540B (zh) 垂直靜電放電保護元件及其製作方法
JP2009004441A (ja) 半導体装置
KR20090068462A (ko)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2305299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90068461A (ko)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JP4604492B2 (ja) Soi半導体集積回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25213A (ko) 엠엠엘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