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6322A -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둘러싸는 가장자리를 정렬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둘러싸는 가장자리를 정렬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6322A
KR20090066322A KR1020097009676A KR20097009676A KR20090066322A KR 20090066322 A KR20090066322 A KR 20090066322A KR 1020097009676 A KR1020097009676 A KR 1020097009676A KR 20097009676 A KR20097009676 A KR 20097009676A KR 20090066322 A KR20090066322 A KR 20090066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member
tubular
wheel
knitted fabric
tubular kn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9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토니오 마그니
네리로 그라시
Original Assignee
골든 레이디 컴퍼니 에스. 피.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골든 레이디 컴퍼니 에스. 피. 에이. filed Critical 골든 레이디 컴퍼니 에스. 피. 에이.
Publication of KR20090066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63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00Sewing machines for temporarily connecting articles, e.g. pairs of sock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3/00Sewing apparatus or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7/00Linking machines, e.g. for joining knitted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2Underwear
    • D10B2501/021Hosiery; Panti-h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장치는 관형상 편성품(M)이 배치되는 관형상부재(377)와 관형상부재의 단부의 정면에 위치결정되고, 복수의 접촉부재(1467; 1447, 1453)를 구비하는 동작헤드(1432)로 이루어진다. 접촉부재는 한 쌍의 휠(1447; 1453)과 복수의 패드(1467)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둘러싸는 가장자리를 정렬하는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TO ALIGN THE EDGE SURROUNDING AN END OF A TUBULAR KNITTED ARTICLE}
본 발명은 관형상 편성품, 특히, 그러나 배타적이지 않은, 스타킹 및 양말 같은 관형상 편성품을 취급하는 머신 또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연속적 동작으로 발가락 부분을 재봉하기 위하여 관형상 편성품에 있어서 발가락 부분이 개방된 채로 제조되는 편성기로부터 하적되는, 전술한 타입의 관형상 편성품의 제조에 유용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상태>
WO-A-2005/100664호에는 바스켓으로부터 각각의 양말 또는 다른 관형상 편성품을 픽업하고, 기요틴(guillotine)을 포함하는 재봉 머신에서 재봉하기 위하여 당해 관형상 편성품을 준비하는 기능을 가지는 복수의 스테이션을 구비한, 복잡한 머신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들 스테이션의 하나는 제품의 단부의 한쪽을 둘러싸는 밴드 또는 가장자리 및 더욱 구체적으로는 개방된 발가락부분을 둘러싸는 가장자리를 평면 위에서 대체로 조절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러한 스테이션은, 관형상 지지체와 수송 부재 위에 삽입된 물품을 향하여 선택적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제어되는, 복수의 접촉부재로 형성된 동작 헤드로 이루어진다. 관형상 물품이 그 위에 삽입된 채로 있는, 관형상 부재와, 접촉 부재 사이의 상대적 이동은, 이들 부재와 관형상 물품 사이의 접촉이, 관형상 수송 부재 위의 관형상 편성품의 위치에 따라서 다른 시간에 발생한다. 관형상 편성품은 점진적으로 접촉하는 패드에 의하여 관형상 수송 부재 위에서 슬라이드하며 해당 관형상 수송 부재의 표면 또는 측벽 위에서 관형상 편성품을 가압한다. 동작의 최종 결과는 관형상 편성품의 개방된 발가락 부분을 둘러싸는 가장자리의 부분 모두를 관형상 수송 부재의 축에 직교하는 평면 위에서 대체로 정렬하여, 전체 밴드 부분 또는 개방된 발가락 부분을 둘러싸는 가장자리는 관형상 부재의 축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동일한 평면 위에 대체로 있다. 이것은 픽업하여 재봉 머신 내에 관형성 편성품의 발가락 부분을 삽입하기 위하여 연속적인 동작을 용이하게 한다.
<발명의 목적과 요약>
특유한 측면에 의하면, 발명의 목적은 상기 개시된 장치를 개선하여 더욱 신속하고 더욱 신뢰성있게 하는 데 있다.
실제로, 이하 설명의 판독으로부터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에서 명백한 본 목적과 이점 및 기타 목적과 이점에 대하여, 전술한 타입의 장치에 의하여 달성되며, 상기 동작 헤드는, 패드 이외에, 관형상 편성품의 패브릭 상에서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휠 또는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휠로 이루어진다. 적절하게 동력화된, 이들 휠은, 관형상 편성품의 패브릭의 일부의 이동을 행하며, 동작 사이클의 초기에 관형상 수송 부재의 정면 단부 위에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관형상 수송 부재의 정면 부분으로부터 관형상 편성품을 하적하기 위한 스텝이 가속화되며, 패드의 이동을 통한 후속의 정렬(혹은 얼라인먼트) 스텝에 따라, 점차로 또한 선택적으로 관형상 부재 상에 삽입된 관형상 편성품의 직물 재료와 접촉하게 된다.
발명의 다른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 본 설명서를 필수적으로 형성하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개시된다.
본 발명은, 발명의 실제적이고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개시하는, 이하의 설명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용이하게 이해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1은 동작 헤드를 가진 장치의 전체적 측면도와 관형상 편성품이 관형상 부재 위에 삽입된 해당 관형상 부재를 도시하는 도;
도 1a는 도 1의 1A-1A를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도;
도 2는 제1동작 스텝에 있어서 도 1에 유사한 도;
도 3a, 3b 및 도3c는 가능한 작업 사이클의 연속적 동작 스텝을 도시하는 도;
도 4 및 도 5는 가능한 동작 사이클의 다른 두 개의 동작 스텝을 도시하는 도.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장치는, 관형상 부재(377)와 연동하는 동작헤드(1432)를 구비하며, 상기 관형상 부재 위에 관형상 편성품이 배치되며, 예를 들면, 동일한 머신의 연속적 머신을 통하여 운반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관형상 운반 부재(337)는 수직으로 배치되지만, 전체 장치의 배향은 회전될 수 있으며, 즉, 그의 수평방향 축에 의해 혹은 심지어 중간 경사에 의해 관형상 이송부재(337)를 배치시킨다.
가능한 실시예에 의하면, 스테이션(1432)은 관형상 부재(337)의 정면 단부를 향하는 플레이트(1435)를 구비한다. 플레이트(1435) 및 관형상 부재(337)는 서로를 향하여 또는 서로로 부터 멀어지는 왕복 이동하기 위하여 양방향 화살표(f1435)를 따라서 서로에 관하여 이동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동작헤드(1432)는 관형상 부재(337)의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지만, 관형상 부재는 고정되거나 또는 머신의 한쪽 스테이션으로부터 다른쪽의 스테이션으로 관형상 편성품을 운반하기 위하여 그 축에 직교하는 이동부로 형성된다. 가능한 실시예에 의하면, 엑츄에이터(1437)는 상기 플레이트(1435)에 이동을 전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피스톤-실린더(1437)가 설치되지만, 전기 스텝퍼 모터 및 암나사에 맞물린 나사산이 형성된 바(threaded bar), 또는 다른 타입의 엑츄에이터를 구비한 것을 포함하는,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플레이트(1435)에 단단하게 접속된 브랙켓(1439)은 진동 레버(1441)을 지지하며, 브랙켓(1439)에 힌지(1443)된다. 엑츄에이터(1445)는 레버(1441)의 진동 이동부를 제어한다. 그 단부에, 레버(1441)가 제1휠(1447)을 지지하며, 그 회전은 전기 모터(도시하지 않음) 또는 다른 적합한 작동원에 의하여 제어된다.
진동 레버(1441)는 휠(1447)에 동축으로 레버(1441)에 힌지된 진동 블랙켓(1449)을 지지한다. 엑츄에이터(1451)는 그 진동의 축 부근의 진동 브랙켓(1449)의 진동 이동부를 제어한다. 진동 브랙켓(1449)은 제2휠(1453)을 지지하며, 상기 제2휠은 작동 전달 벨트(1455)를 개재하여 휠(1447)에 접속되며, 이 모터(도시하지 않음)는 휠(1447)(1453) 모두를 회전하게 한다. 휠(1453)에 대하여 제2분리모터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더욱 제한된 개수의 기계적 부품을 필요로 하는 바와 같이 도시된 구성은 바람직하다.
가능한 실시예에 의하면, 플레이트(1435)는 플레이트(1435) 아래에 배치된 지지체부재(1463)에 접속된 부가적 엑츄에이터(1461)를 지지한다. 복수의 브랙켓(1465)은 지지체부재(1463) 아래에서 신장되며 단단하게 접속된다.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들 브랙켓(1465)의 3개가 설치되며, 90°만큼 서로로부터 떨어져있다(도 1a참조).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브랙켓(1465)은 이동성 패드(1467)로 설치된다. 각각의 패드(1467)는 방사 방향, 즉, 축(Ax-Ax)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그 이동은 엑츄에이터(1469)에 의하여 제어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탭(225)은 관형상 부재(337)의 내부에 하우징되어 설치되며, 이 관형상 부재의 원통형 측 벽에 설치된 슬롯을 통하여 뽑아내고 쑥 들어가게하는 것이 가능하다. 탭과 슬롯은 관형상 부재의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는 방향으로 신장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탭(225)은 (225X)로 표시되는 슬롯 또는 세로로 슬롯된 개구로 형성된다.
이하에서 더욱 자세하게 잘 개시된 바와 같이, 휠(1447), (1453) 및 각각의 패드(1467)는 각각의 센서가 제공되며,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센서는, (1471) 및 (1473)으로 표시되는 광에미터와 광리시버로 이루어지며 다른 쪽의 정면에 한쪽이 배치되어 광빔이 적어도 동작 사이클의 일부 동안 통과한다.
장치(1432)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도 1에 있어서, 관형성부재(377)와 관형상 편성품(M)은 장치(1432)의 플레이트(1435)와 정렬되게 된다. 물품(M)의 발가락 부분은 관형상 부재(377)의 상부 가장자리를 부분적으로 덮으며 플레이트(1435)는 관형상부재(377)에 관하여 떨어져서 배치되며, 패드(1467)와 휠(1447)(1453)은 관형상부재(377)에 접촉하지 않으며 물품(M)은 그 위에 배치된다.
이어진 스텝(도 2)에 있어서, 엑츄에이터(137)는 플레이트(1435)를 낮추며 휠(1447)이 관형상부재(377)의 상부 가장자리를 가압할 때까지 진동 레버(1441)는 반시계방향으로 진동하게 한다. 진동 브랙켓(1449)는 관형상부재(377)의 측 표면에 대하여 휠(1453)을 가압하도록 또한 이동된다. 이 스텝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탭(225)은 관형상부재(377)의 내부로 쑥 들어가게 되며, 즉, 탭은 관형상 부재(377)의 원통형 측 표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다.
물품(M)의 발가락 부분의 패브릭이 관형상부재(377)의 가장자리로부터 완전하게 제거되고 일정한 길이에 대하여 그 원통형 측표면을 따라서 슬라이드하게 될 때까지 휠(1447)(1453)이 회전하게 된다. 가능한 동작 모드에 있어서, 이 시점에서, 탭(225)을 부분적으로 뽑아내고 휠의 회전 방향이 역전되며, 휠(1453)에 의하여 맞물리는 패브릭의 부분은 관형상부재(377)의 상부 가장자리 방향으로 약간 이 동한다. 센서(1471)가 해당하는 탭(225) 내부에 형성된 슬롯 홀(225X)을 통하여 관형상 편성품(M)의 발가락 부분(P)의 밴드(F) 또는 가장자리를 검출하자 마자 이러한 이동이 정지된다. 최종 위치에 대하여 도3b에 도시되어 있다. 슬롯 홀(225X)이 없는 경우, 광센서가 탭(225)의 세로 가장자리 상의 패브릭 두께를 검출하도록 상기 광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밴드 또는 가장자리(F)의 남은 부분은 통상적으로 사전에 알려지지 않은 하위 위치에 있다. 동작 사이클의 이어진 스텝의 목적은 거의 동일한 높이로, 즉 대략 관형상부재(377)의 축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평면 위에, 발가락 부분의 전체 밴드(F)를 정렬하게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체 부재(1463)는 관형상 부재(377)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각각의 패드(1467)가 낮추어진다(도3c). 해당하는 센서(1473)가 관형상 편성품(M)의 발가락 부분을 둘러싸는 밴드(F) 또는 가장자리를 검출하자마자, 해당하는 엑츄에이터 (1469)는 관형상부재(377)에 대하여 패드를 밀어내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부분적으로 뽑아지는 탭(225)의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하는 세로 가장자리에 대하여 패드를 밀어낸다. 센서의 광의 빔이 상기 슬롯(225X)을 통과하며 빔이 패브릭과 만나자마자 차단되므로, 슬롯(225X)에 의하여 검출이 용이하게 된다. 동일한 동작 모드가 센서(1471)에 대하여 형성된다.
이어서, 각각의 패드(1467)가 관형상 부재(377) 또는 탭(225)에 대하여 이동된 후, 바람직하게는 지지체 부재(1463)의 이동은 일정한 길이에 대하여 연속적으 로 행해진다. 패드(1467)가 해당하는 탭(225)의 가장자리에 대하여 가압하도록 이동되면, 지지체 부재(1463)가 중지될 때까지 이 탭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패브릭을 끌어당긴다. 따라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센서(1473)가 해당하는 패드 (1467)에 관하여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므로, 지지체부재(1463)의 아래 방향으로 이동의 단부에, 패드(1467)와 접촉하는 패브릭의 부분은 관형상부재(377)의 상부 가장자리에 관하여 모두 동일한 높이이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패드(1467)가 휠(1453)에 의하여 맞닿는 패브릭의 일부에 관한 동일한 높이로 패브릭을 취할 때까지 지지체부재(1463)의 이동이 역전된다. 이 동작의 최종 결과에 대하여 도5에 도시되며, 관형상 편성품(M)의 발가락 부분(P)의 가장자리(F) 또는 밴드는 관형상부재(377)의 상부 가장자리에 평행한 평면을 따라서 대체로 정렬된다.
개시된 이들로부터 약간 상이한 동작 시퀀스는 관형상 편성품(M)의 가장자리(F)의 정렬의 최종 결과를 얻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장치는 휠(1447)(1453)을 개재하여 관형상부재(377)의 정면 단부 또는 부분으로부터 발가락 부분의 패브릭의 포켓을 하적하기 위하여 제1스텝을 행하며, 이 동작은, 관형상부재의 축에 평행하는 방향을 따라서 동작헤드(1432)와 관형상부재(1437) 사이에 왕복 이동에 의하여 행해지며, 이 때 센서(1473)에 의하여 생성된 신호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제어되는 패드(1467)의 실질적인 반지름 방향의 이동과 결합한다. 결국, 관형상부재(377) 상의 패드의 폐쇄와 슬라이딩은 소망하는 높이의 정렬부에 발가락 부분(P)의 가장자리(F)를 취한다.
도면은 발명의 실시예를 단지 개시하지만, 이것은 발명이 기저하는 컨셉의 영역으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면서 형태와 구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의 어떠한 번호도 명세서와 도면을 참조하여 청구항의 판독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제공되며, 청구항에 의하여 표현되는 보호의 영역을 제한하지 않는다.

Claims (20)

  1. 관형상 편성품의 가장자리를 정렬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형상 편성품이 배치되어 있는 관형상부재 및 상기 관형상부재의 단부의 정면에 위치 가능한 동시에 복수개의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동작헤드를 포함되며, 상기 접촉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휠과 복수의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품의 가장자리를 정렬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헤드의 축 둘레에 배치된 복수개의 상기 접촉부재 및 2개의 인접하는 패드 사이에 위치결정된 상기 적어도 1개의 휠을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품의 가장자리를 정렬하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휠은 동력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품의 가장자리를 정렬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의 하나는 제1휠과 제1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사편성품의 가장자리를 정렬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휠은 관형상부재의 단부에 대하여 작용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휠은 관형상부재의 측벽에 대하여 작용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품의 가장자리를 정렬하는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휠이 동력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품의 가장자리를 정렬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휠과 상기 제2휠은 전송벨트에 의하여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품의 가장자리를 정렬하는 장치.
  8. 전술한 청구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휠은 작동 헤드에 관하여 진동하는 지지체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품의 가장자리를 정렬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동작헤드에 관한 상기 휠의 상기 진동지지체의 진동을 제어하는 엑츄에이터 를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품의 가장자리를 정렬하는 장치.
  10. 제3항 내지 제7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휠은 상기 동작헤드에 관한 제1진동지지체 및 제2진동지지체에 의하여 각각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편품의 가장자리를 정렬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진동지지체 및 상기 제2진동지지체의 진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1엑츄에이터 및 제2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품의 가장자리를 정렬하는 장치.
  12. 전술항 청구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통상 지지체 구성요소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기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는 방향으로 동작헤드에 관하여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품의 가장자리를 정렬하는 장치.
  13. 전술한 청구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각각은, 관형상부재의 측벽 방향으로 및 상기 측벽과 떨어져서 이동부를 제어하는 엑츄에이터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 품의 가장자리를 정렬하는 장치.
  14. 전술한 청구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상 부재 상에 삽입된 관형상 편성품을 검출하도록 배치되고 설계된, 상기 패드의 각각에 대한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품의 가장자리를 정렬하는 장치.
  15. 전술한 청구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휠은, 상기 관형상부재 상에 삽입된 관형상 편성품을 검출하도록 배치되고 설계된, 다른 센서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품의 가장자리를 정렬하는 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에미터와 리시버를 가진, 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품의 가장자리를 정렬하는 장치.
  17. 전술한 청구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상부재는, 관형상부재의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는 방향으로 신장하는, 뽑아내고 쑥 들어갈 수 있는 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품의 가장자리를 정렬하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및 상기 휠 또는 휠들은, 상기 탭의 정면에 배치되며, 탭의 개수는 패드의 개수에 한 개를 플러스한 개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 편성품의 가장자리를 정렬하는 장치.
  19. 관형상부재 상의 관형상 편성품의 가장자리 정렬방법으로서,
    관형상부재 상에 상기 관형상 편성품을 배치하여, 가장자리의 부분을 관형상부재의 정면 단부 위에 위치결정시키고 가장자리의 부분을 관형상 편성품의 측표면 상에 위치결정시키는 단계와;
    관형상부재의 정면 단부에 위치결정되는 관형상물품의 패브릭과 접촉하도록 관형상 부재 방향의 휠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관형상부재의 단부로부터 패브릭을 하적하여 측벽 상에서 슬라이드하는 단계와;
    관형상부재의 측벽 상에 위치하는 관형상 편성품의 패브릭 방향으로 점진적 및 선택적으로 상기 패드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패드와 관형상부재의 왕복이동을 통하여 관형상부재의 축에 거의 직교하는 평면을 따라서 관형상물품의 가장자리를 정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부재 상의 관형상 편성품의 가장자리 정렬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관형상 편성품의 패브릭의 일부를 제2휠을 통하여 관형상부재의 표면 상에서 슬라이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상부재 상의 관형상 편성품의 가장자리 정렬방법.
KR1020097009676A 2006-10-13 2007-10-10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둘러싸는 가장자리를 정렬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900663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FI2006A000249 2006-10-13
IT000249A ITFI20060249A1 (it) 2006-10-13 2006-10-13 Dispositivo per allineare il bordo circondante una estremita' di un manufatto a maglia tubolare e relativo metod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6322A true KR20090066322A (ko) 2009-06-23

Family

ID=39047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9676A KR20090066322A (ko) 2006-10-13 2007-10-10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둘러싸는 가장자리를 정렬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8109220B2 (ko)
EP (1) EP2078107B1 (ko)
JP (1) JP4882001B2 (ko)
KR (1) KR20090066322A (ko)
CN (1) CN101522975B (ko)
AT (1) ATE509151T1 (ko)
BR (1) BRPI0719522A2 (ko)
CA (1) CA2665906A1 (ko)
DK (1) DK2078107T3 (ko)
ES (1) ES2364682T3 (ko)
IT (1) ITFI20060249A1 (ko)
MX (1) MX2009003528A (ko)
PL (1) PL2078107T3 (ko)
PT (1) PT2078107E (ko)
RU (1) RU2455405C2 (ko)
SI (1) SI2078107T1 (ko)
WO (1) WO2008044260A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86471A (en) * 1966-03-31 1969-12-30 Southern Textile Machinery Co Method and apparatus for seaming and inspecting hosiery
US4784070A (en) * 1985-09-10 1988-11-15 Detexomat Machinery Limited Pantihose manufacture
IT1262476B (it) * 1993-04-01 1996-06-28 Solis Srl Metodo e macchina per la cucitura automatica di due calze da donna performare un collant.
RU2075269C1 (ru) * 1994-07-04 1997-03-20 Мичуринская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ая академия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межствольных полос в саду
JPH0966179A (ja) * 1995-08-31 1997-03-11 Takatori Corp パンティストッキングのつま先縫製方法と装置
US6158367A (en) 1999-03-17 2000-12-12 B. B. & S. Knitting Consultants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orienting hosiery articles for closing toe ends thereof
FR2811340B1 (fr) * 2000-07-05 2002-08-30 Vetrotex France Sa Ensemble et procede de coupe de meches formees de filaments en matiere thermoplastique
ITPI20010021A1 (it) * 2001-03-21 2002-09-21 S R A S R L Metodo ed apparecchiatura per l'orientamento longitudinale di articoli di calzetteria
ITFI20010164A1 (it) * 2001-08-28 2003-02-28 Metalworking And Finance Group Dispositivo per il trasferimento di un manufatto tubolare in tessuto a maglia dalla macchina che lo produce a mezzi di chiusura della punta
ITFI20040090A1 (it) 2004-04-16 2004-07-16 Golden Lady Spa Metodo e dispositivo per manipolare un manufatto tubolare a maglia,in specie un calzino
WO2005100664A1 (en) 2004-04-16 2005-10-27 Golden Lady Company S.P.A. Machine for handling tubular knitted articles, such as socks or the lik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509151T1 (de) 2011-05-15
CN101522975B (zh) 2013-01-30
RU2009117878A (ru) 2010-11-20
ITFI20060249A1 (it) 2008-04-14
EP2078107B1 (en) 2011-05-11
BRPI0719522A2 (pt) 2015-06-16
US8109220B2 (en) 2012-02-07
JP4882001B2 (ja) 2012-02-22
ES2364682T3 (es) 2011-09-12
SI2078107T1 (sl) 2011-08-31
MX2009003528A (es) 2009-04-15
PT2078107E (pt) 2011-06-15
DK2078107T3 (da) 2011-08-15
CA2665906A1 (en) 2008-04-17
US20100089299A1 (en) 2010-04-15
JP2010505581A (ja) 2010-02-25
CN101522975A (zh) 2009-09-02
WO2008044260A1 (en) 2008-04-17
EP2078107A1 (en) 2009-07-15
PL2078107T3 (pl) 2011-10-31
RU2455405C2 (ru) 2012-07-10
WO2008044260A8 (en) 2009-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06332A2 (en) Automatic rewinder particularly for flexible film of plastic material and relative method for producing rolls
EP1735490B1 (en) Method and device for handling a tubular knitted article, in particular a sock
US20070081884A1 (en) Method for Withdrawing Flat Folded Piled up Articles from the Open Bottom of a Magazine and an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is Method
JP5365876B2 (ja) ロール体用自動搬送車
KR20090066322A (ko) 관형상 편성품의 단부를 둘러싸는 가장자리를 정렬하는 장치 및 방법
JP6386972B2 (ja) ハンド装置、物品移送装置および物品移送方法
EP1293434A1 (en) A method and unit for automatically feeding a packaging machine for socks or similar hosiery products
US502591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ilting substantially rotationally symmetrical bodies such as cross-wound bobbins
JP4185353B2 (ja) 布類展張搬送方法及び布類展張搬送機
JP4224155B2 (ja) 搬送間隔調整装置
US613216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ing textile articles
JP4558151B2 (ja) タイヤ構成部材の貼付け装置
JP4071763B2 (ja) 布類供給方法および装置
KR20190062568A (ko) 판형 요소를 위한 방향 변경 및 샘플링 기기와 방법
JP2024520582A (ja) 靴下類等のための円形編機、及び管状製品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JPH09151034A (ja) ボビン支持装置
WO2000005937A1 (en) Conveying method and device for loading/unloading articles
JP4287248B2 (ja) 成形品分離装置および成形品分離方法
JP2634986B2 (ja) 成形品のトリミング前の位置決め装置
WO202118565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joining an annular band to a knitted article comprising a body
JPH0891650A (ja) 可撓性シート状物の端部継合せ装置
JP2019512416A (ja) 連続的なストリップをタイヤ部品にするための切断装置及び方法
JPH04142222A (ja) 包装装置
JP2002104304A (ja) 物品箱詰装置
JPS587588B2 (ja) 縫製物の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