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5841A - 평판 표시 장치 검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평판 표시 장치 검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5841A
KR20090065841A KR1020070133351A KR20070133351A KR20090065841A KR 20090065841 A KR20090065841 A KR 20090065841A KR 1020070133351 A KR1020070133351 A KR 1020070133351A KR 20070133351 A KR20070133351 A KR 20070133351A KR 20090065841 A KR20090065841 A KR 20090065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nel
roller conveyor
ai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3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일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3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5841A/ko
Publication of KR20090065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58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6Details
    • G02F1/1309Repairing; Tes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8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using air tracks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 표시 장치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2단 구성을 갖는 롤러컨베이어유니트를 배제하고,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와 배출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가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그 사이에 공기분출을 통해 패널을 부양시키는 에어부상유니트를 배치함으로써 패널을 이송하기 위한 구조를 최대한 컴팩트하게 하여 장비의 소형화에 기여하는 한편, 상기 에어부상유니트와 유입용 및 배출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 사이에 이송되는 패널에 발생되는 외란을 감소시켜 평탄도를 향상시키는 보조롤러유니트를 배치함으로써 종래 이송흡착부를 포함하는 별도의 이송유니트를 구비할 필요없이 검사유니트로 상기 패널을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어, 장비의 소형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이송흡착부의 최초 위치로의 복귀에 따른 시간지연의 문제점이 없어 검사공정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장비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평판 표시 장치 검사 시스템을 제공한다.
평판 표시 장치, 검사, 롤러컨베이어유니트, 에어부상유니트

Description

평판 표시 장치 검사 시스템{FLAT PANEL DISPLAY INSPECTION SYSTEM}
본 발명은 평판 표시 장치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2단 구성을 갖는 롤러컨베이어유니트를 배제하고,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와 배출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가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그 사이에 공기분출을 통해 패널을 부양시키는 에어부상유니트를 배치함으로써 패널을 이송하기 위한 구조를 최대한 컴팩트하게 하여 장비의 소형화에 기여하는 한편, 상기 에어부상유니트와 유입용 및 배출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 사이에 이송되는 패널에 발생되는 외란을 감소시켜 평탄도를 향상시키는 보조롤러유니트를 배치함으로써 종래 이송흡착부를 포함하는 별도의 이송유니트를 구비할 필요없이 검사유니트로 상기 패널을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어, 장비의 소형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이송흡착부의 최초 위치로의 복귀에 따른 시간지연의 문제점이 없어 검사공정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장비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평판 표시 장치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표시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 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평판 표시 장치가 연구되어 왔고, 일부는 이미 상용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평판 표시 장치가 일반적인 화면 표시 장치로서 다양한 부분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경량, 박형, 저소비전력의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고정세, 고휘도, 대면적 등 고품위 화상을 얼마나 구현할 수 있는가가 관건이다. 그리고 이러한 평판 표시 장치의 제작 공정 중 제품 자체의 결함 검사는 제품에 대한 신뢰도와 직결되므로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 장치의 검사 시스템에 대한 종래 기술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종래 기술에 따른 평판 표시 장치 검사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검사 시스템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베이스(20) 상에는 롤러컨베이어유니트(30)가 설치된다. 상기 롤러컨베이어유니트(30)는 다수개의 롤러가 적어도 2줄로 배열되어 검사 대상인 패널(미도시)을 이송시키도록 구성되며, 승강되지 않고 고정되어 설치된다. 상기 롤러컨베이어유니트(30)는 검사 시스템의 이전 공정 설비에서 연장된 롤러컨베이어유니트(미도시) 및 이후 공정 설비로 연결되는 롤러컨베이어유니트(미도시)와 각각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롤러컨베이어유니트(30)와 별개로 2단롤러컨베이어유니트(30')가 상기 롤러컨베이어유니트(30)의 상부에 배치되어 검사가 완료된 패널을 검사 시스 템의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2단롤러컨베이어유니트(30')는 상하방향으로 약간 승강가능하여 검사를 마친 패널이 배출구간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상기 롤러컨베이어유니트(30)의 상부에는 공기를 분출시켜 패널을 소정 높이에 지지하는 에어부상유니트(40, 40')가 설치된다. 상기 에어부상유니트(40, 40')는 투입구간과 배출구간의 것으로 각각 나누어 구성되고, 상기 에어부상유니트(40, 40')의 사이에는 검사부상부(41)가 배치된다.
상기 에어부상유니트(40)는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에어부상유니트(40)의 승강을 위해 승강구동부(41d)가 구비된다. 상기 승강구동부(41d)는 상기 에어부상유니트(40)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에어부상유니트(40)에는 이송흡착부(50)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흡착부(50)는 상기 에어부상유니트(40)에 의해 소정 높이로 떠 있는 패널을 흡착하여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이송흡착부(50)는 리니어모터부(52)의 가동자 상에 설치되며, 상기 리니어모터부(52)는 상기 베이스(20) 상에 설치된 리니어가이드를 따라 가동자가 직선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송흡착부(50)는 패널의 전후 양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총 4개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검사부상부(41)의 상부에 해당되는 위치에는 검사유니트(70)가 배치된다. 상기 검사유니트(70)는 카메라와 조명 등으로 구성되어 패널의 표면에 형성된 전극 등의 결함 여부를 검사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 기술에 따른 평판 표시 장치 검사 시스 템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전 공정의 작업이 완료된 패널이 롤러컨베이어유니트(30)에 의해 검사 시스템 내부로 들어온다. 이때, 투입구간의 에어부상유니트(40)는 하부로 하강하여 상기 롤러컨베이어유니트(30)의 롤러가 상기 에어부상유니트(40)의 상부로 약간 돌출된 상태로 있다.
이후, 상기 에어부상유니트(40)의 에어노즐패드(미도시)를 통해 에어가 분사됨으로써 패널이 약간 부상하게 되면, 이와 동시에 상기 에어부상유니트(40)가 승강구동부(41d)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패널이 검사라인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이송흡착부(50)가 패널을 흡착하고, 리니어모터부(52)의 구동에 의해 상기 패널을 투입구간에서 검사구간을 통과하여 배출구간으로 이송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패널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검사유니트(70)는 검사부상부(41)를 통과하는 상기 패널의 결함 유무에 대한 검사를 수행한다.
상기 패널의 검사가 완료되면, 상기 패널은 배출구간에 있게 된다. 이때, 2단롤러컨베이어유니트(30')가 상승하여 에어부상유니트(40') 상에 떠 있는 패널을 전달받는다. 즉, 상기 에어부상유니트(40')를 통해 더 이상 에어가 분출되지 않게 되면, 패널은 상기 2단롤러컨베이어유니트(30')의 롤러 상에 안착되어 검사 시스템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기술에 따른 평판 표시 장치 검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롤러컨베이어유니트가 롤러컨베이어유니트(30) 및 승강가능한 2단롤러컨베이어유니트(30')와 같이 2단으로 구성되고, 검사라인은 상기 2단롤러컨베이어유니트(30') 상에 설치되며, 상기 검사라인으로 패널을 이송하기 위해서는 에어부상유니트(40)가 승강구동부(41d)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패널이 검사라인상에 위치시킨 후, 다시 이송흡착부(50)가 패널을 흡착하고, 리니어모터부(52)의 구동에 의해 상기 패널을 투입구간에서 검사구간을 통과하여 배출구간으로 이송해야 하므로, 전체적으로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갖는 단점이 있다.
둘째, 상기 에어부상유니트(40)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41d)의 모터, 축간 커플링 및 감속기 등에 많은 하중이 집중되어 수명이 크게 단축되기 때문에 주기적인 점검 및 교체가 필요하게 되고, 그에 따른 시간적, 비용적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상기 에어부상유니트(40)는 승강구동부(41d)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패널을 검사라인상에 위치시킨 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해야 하며, 상기 이송흡착부(50) 역시 패널을 흡착하고, 리니어모터부(52)의 구동에 의해 상기 패널을 투입구간에서 검사구간을 통과하여 배출구간으로 이송한 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검사 공정 시간이 증가되는 결과를 초래하여 평판 표시 장치의 전 제조 공정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상기 에어부상유니트(40)가 승강구동부(41d)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패널을 검사라인상에 위치시킨 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그 위치 정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패널의 이송 구간에 단차가 생겨 상기 패널의 하면 에 스크래치 등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고, 그 위치 정렬의 오차가 심할 경우, 패널의 파손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 2단 구성을 갖는 롤러컨베이어유니트를 배제하고,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와 배출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가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그 사이에 공기분출을 통해 패널을 부양시키는 에어부상유니트를 배치함으로써 패널을 이송하기 위한 구조를 최대한 컴팩트하게 하여 장비의 소형화에 기여하는 한편, 상기 에어부상유니트와 유입용 및 배출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 사이에 이송되는 패널에 발생되는 외란을 감소시켜 평탄도를 향상시키는 보조롤러유니트를 배치함으로써 종래 이송흡착부를 포함하는 별도의 이송유니트를 구비할 필요없이 검사유니트로 상기 패널을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어, 장비의 소형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이송흡착부의 최초 위치로의 복귀에 따른 시간지연의 문제점이 없어 검사공정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장비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평판 표시 장치 검사 시스템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평판 표시 장치 검사 시스템은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어 전공정을 거친 패널을 시스템 내부로 유입시키는 복수개의 롤러를 포함한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타측에 배치되어 검사공정을 완료한 패널을 후공정으 로 전달하는 복수개의 롤러를 포함한 배출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와; 상기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와 상기 배출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 사이에 배치되어 이송되는 상기 패널을 소정 높이로 부상시키는 에어부상유니트와; 상기 에어부상유니트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의 결함을 검사하는 검사유니트; 및 상기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와 상기 에어부상유니트 사이에 배치되어 이송되는 상기 패널에 발생하는 외란을 감소시켜 평탄도를 향상시키는 보조롤러유니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의 주위에는 상기 패널의 정렬을 수행하는 정렬유니트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렬유니트는 상기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의 후단에 배치되어 승강작용을 통해 이송되는 상기 패널을 정지시키는 정지정렬유니트와; 상기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의 전단에 배치되어 승강작용 및 수평이동을 통해 상기 패널의 후단을 가압하는 후단정렬유니트; 및 상기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의 좌·우측단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가이드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수평이동을 통해 상기 패널의 좌·우측단을 가압하는 좌·우정렬유니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렬유니트에 의한 상기 패널의 정렬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의 각 롤러는 그 회전을 정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는 상기 패널의 좌·우측단과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패널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롤러유니트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롤러유니트는 상기 유입용 롤러컨베이어 유니트에 구비되는 롤러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롤러유니트에 구비되는 롤러는 단위면적당 상기 패널을 지지하는 개수가 상기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에 구비되는 롤러보다 많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조롤러유니트는 수직방향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부상유니트와 상기 배출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 사이에도 상기 보조롤러유니트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부상유니트는 공급되는 에어를 저장하는 복수개의 에어저장라인을 그 내부에 구비하고, 상기 에어저장라인과 연통되어 저장된 에어를 상방향으로 분출하는 에어분출홀을 구비한 에어부상판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분출홀은 상방향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부상판에는 상기 패널의 이송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검사의 기준 라인을 제시하는 검사라인이 마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 표시 장치 검사 시스템에 의하면, 종래 2단 구성을 갖는 롤러컨베이어유니트 및 일부 구간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시스템을 배제하고,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와 배출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가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한편, 그 사이에 공기분출을 통해 패널을 부양시키는 에어부상유니트를 배치함으로써 패널을 이송하기 위한 구조를 최대한 컴팩트하게 하여 장비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상기 패널이 동일평면상에서 일방 향으로만 이동되기 때문에 검사공정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에어부상유니트와 유입용 및 배출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 사이에 이송되는 패널에 발생되는 외란을 감소시켜 평탄도를 향상시키는 보조롤러유니트를 배치함으로써 종래 클램핑수단인 이송흡착부를 포함하는 별도의 이송유니트를 구비할 필요없이 검사유니트로 상기 패널을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어 장비의 소형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이송흡착부의 클램핑 과정에서 패널에 발생할 수 있는 스크래치 등의 손상을 방지하고, 상기 이송흡착부의 최초 위치로의 복귀에 따른 시간지연의 문제점이 없어 검사공정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장비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평판 표시 장치 검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 표시 장치 검사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도, 도 5는 도 4의 B부 확대도, 도 6은 도 4의 C부 확대도, 도 7 및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정렬유니트의 작용 설명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에어부상판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평판 표시 장치 검사 시스템은 크게 메인 프레임(110), 각각 복수개의 롤러(121, 131)를 포함하는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120) 및 배출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130), 에어부상유니 트(140), 검사유니트(150), 보조롤러유니트(160, 160'), 및 정렬유니트(17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110)은 시스템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술한 구성요소들이 설치된다.
상기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120)는 유입구측에 해당하는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이전공정을 거친 후, 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진입되는 검사대상체인 패널을 시스템 내부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복수개의 샤프트(123) 각각에 소정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롤러(121)로 구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롤러(121) 각각은 상기 샤프트(123)에 구속되어 단독 회전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며, 그 개수는 패널의 크기에 비례하여 많을수록 유리하다.
배출구측에 해당하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타측(110)에는 검사공정을 완료한 패널을 후공정으로 전달하는 복수개의 롤러(131)를 포함하는 배출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130)가 상기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120)와 동일평면상에 배치된다. 상기 배출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130)의 구체적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120)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120)의 주위에는 상기 패널의 정렬을 수행하는 정렬유니트(170)가 배치된다. 상기 정렬유니트(170)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정렬유니트(171)와, 후단정렬유니트(173) 및 좌·우정렬유니트(175)를 포함한다.
상기 정지정렬유니트(171)는 상기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120)의 후단에 배치되어 미도시된 구동실린더에 의한 승강작용을 통해 이송되는 상기 패널을 정지시킨다.
상기 후단정렬유니트(17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120)의 전단에 배치되어 승강작용 및 수평이동을 통해 상기 패널의 후단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패널을 전후단 방향으로 정렬시킨다. 이를 위한 상기 후단정렬유니트(173)는 상기 패널의 후단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패드부(173a), 상기 패드부(173a)를 지지하는 지지바(173b), 상기 지지바(173b)를 수평이동시키는 구동실린더(173c) 및 상기 구동실린더(173c)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좌·우정렬유니트(175)는 상기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120)의 좌·우측단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가이드플레이트(112)에 설치되어 수평이동을 통해 상기 패널의 좌·우측단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패널을 좌·우방향으로 정렬한다. 미설명부호 175a는 상기 패널의 좌·우측단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패드부를 나타내고, 미설명부호 175b는 상기 패드부를 수평이동시키는 구동실린더를 나타낸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정렬유니트(170)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120)의 롤러(121)에 의해 이전공정을 거친 패널(P)이 시스템 내부로 유입될 때, 상기 후단정렬유니트(173)의 패드부(173a)는 상기 패널(P)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패널(P)의 이송이 진행되어 그 전단이 상기 정지정렬유니트(171)의 위치로 근접하게 되면, 상기 정지정렬유니트(171)가 상승하여 상기 패널(P)의 진행을 막는다. 이때, 상기 유 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120)의 각 롤러(121)는 그 회전을 정지함으로써 상기 롤러(121)에 의해 상기 패널(P)의 하면에 생길 수 있는 스크래치 등의 손상을 방지한다. 이후, 상기 후단정렬유니트(173)의 승강구동부 및 구동실린더(173c)가 작동하여 상기 패드부(173a)가 상승 및 수평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패널(P)의 후단을 가압하여 상기 패널(P)을 전후단 방향으로 정렬시킨다. 이후, 상기 좌·우정렬유니트(175)의 구동실린더(175b)가 작동하고, 그에 따라 패드부(175a)가 수평이동하여 상기 패널(P)의 좌·우측단을 가압하여 상기 패널을 좌·우방향으로 정렬함으로써 상기 패널(P)의 전체적인 정렬을 완료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12)에는 상기 패널의 좌·우측단과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패널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롤러유니트(180)가 배치된다. 상기 이탈방지롤러유니트(180)는 상기 패널이 초기에 상기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120)로 유입되는 각도가 다소 틀어지더라도 상기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120) 상에서 올바른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상기 패널의 이탈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파손 등의 문제를 예방하는 한편, 상기 정렬유니트(170)에 의해 수행되는 정렬작용을 미리 간접적으로 보조한다.
한편, 상기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120)와 상기 배출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 사이(130)에는 이송되는 상기 패널을 소정 높이로 부상시키는 에어부상유니트(140)가 배치된다. 상기 에어부상유니트(140)는 상기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120)에 의해 이송되어 상부로 진입하는 패널의 하면으로 공기를 분출해 상기 패널을 부상시켜 검사가 진행되는 패널에 이송과정에서 발생된 진동과 같은 외란을 상쇄시킴으로써 상기 패널의 평탄도를 향상시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에어부상유니트(140)의 구체적 구성을 도 5 및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미도시된 에어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저장하는 복수개의 에어저장라인(143)을 그 내부에 구비하고, 상기 에어저장라인(143)과 연통되어 저장된 에어를 상방향으로 분출하는 복수개의 에어분출홀(145)이 상기 에어저장라인(143)을 따라 형성된 에어부상판(141)을 포함한다.
상기 에어저장라인(143)은 에어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에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되, 상기 에어공급부와 상기 에어저장라인(143)를 연결하는 공급파이프를 따라 전달되어 오는 공기압의 불규칙한 변동을 억제하여 상기 복수개의 에어분출홀(145)을 통해 일정한 압력으로 에어가 분출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저장라인(143)은 원통형 형상을 가지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복수개의 에어분출홀(145) 각각은 상방향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된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다. 이는 상기 에어분출홀(145)을 통해 분출되는 에어에 의한 공기압이 상기 패널의 하면에 동압을 주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패널을 부양시키기 위해 분출되는 에어의 작용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에어부상판(141)은 스테인리스 소결금속을 사용하는 대신, 에어포켓을 이용한 직공타입을 적용하여 일체형으로 제작함으로써 이물질 발생을 최소화하고, 그 수명을 증가시켰다. 상기 에어부상판(141)에는 상기 패널의 이송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검사의 기준 라인을 제시하는 검사라인(147)이 마련된다. 상기 검사라인(147)에 후술할 검사유니트(150)의 라인카메라(151) 및 조명(153)의 초점이 맞추어진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에어부상유니트(140)의 상부에는 상기 패널의 결함을 검사하는 전술한 검사유니트(150)가 배치된다. 상기 검사유니트(150)는 기본적으로 라인카메라(151)와 조명(153) 및 상기 조명(153)을 이동시키는 구동수단(155)을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120)와 상기 에어부상유니트(140) 사이에는 이송되는 상기 패널에 발생하는 외란을 감소시켜 평탄도를 향상시키는 보조롤러유니트(160)가 배치된다. 상기 보조롤러유니트(160)는 상기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120)에 구비되는 롤러(121)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롤러(161)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롤러유니트(160)에 구비되는 롤러(161)는 단위면적당 상기 패널을 지지하는 개수가 상기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120)에 구비되는 롤러(121)보다 많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120)는 단순히 상기 패널을 이송시키기 위한 것이어서 상기 패널을 지지하는 롤러(121)의 개수가 부족하여 패널의 평탄도를 저하시키고, 진동 등의 외란 노이즈에 취약하다. 따라서 직경이 보다 작고, 단위면적당 상기 패널을 지지하는 개수가 많도록 구성된 롤러(161)를 포함하는 상기 보조롤러유니트(160)를 통해 상기 패널에 발생할 수 있는 진동 등의 외란 노이즈를 1차적으로 제거하여 그 평탄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패널의 이송성능 및 평탄도 향상을 위해 상기 보조롤러유니트(160)는 수직방향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조롤러유니 트(160)를 수직방향으로 높이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기구적 구성은 공지된 다양한 종래 기술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상기 보조롤러유니트(160)와 동일한 구조 및 작용을 갖는 보조롤러유니트(160')가 상기 에어부상유니트(140)와 상기 배출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130) 사이에도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평판 표시 장치 검사 시스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이전공정을 거친 패널이 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진입하면,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120)가 상기 패널을 시스템 내부로 유입시킨다. 이때, 상기 패널이 초기에 유입되는 각도가 다소 틀어지더라도 이탈방지롤러유니트(180)의 안내를 통해 상기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120) 상에서 올바른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유도된다.
이후, 정렬유니트(170)를 통해 상기 패널의 위치정렬이 이루어진다. 상기 정렬유니트(170)를 통한 정렬작용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상기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120)의 각 롤러(121)는 그 회전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패널의 정렬이 완료되면, 상기 정렬유니트(170)의 정지정렬유니트(171), 후단정렬유니트(173) 및 좌·우정렬유니트(175) 각각은 최초 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패널이 이송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패널은 상기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120)의 각 롤러(121)가 다시 회전함에 따라 이송되고, 보조롤러유니트(160)를 지나면서 이송과정에서 발생된 진동 등의 외란 노이즈가 1차적으로 제거된다.
이후, 에어부상유니트(140)의 작용에 의해 부상되어 모든 외란 노이즈가 제거되며, 그와 같이 부상된 상태로 계속 이동하면서 상기 에어부상유니트(14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검사유니트(150)를 통해 검사가 수행된다.
이후, 보조롤러유니트(160')를 거쳐 배출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130)에 의해 후공정을 위한 설비로 배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평판 표시 장치 검사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평판 표시 장치 검사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 표시 장치 검사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도,
도 5는 도 4의 B부 확대도,
도 6은 도 4의 C부 확대도,
도 7 및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정렬유니트의 작용 설명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에어부상판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메인 프레임 120 :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
121 : 롤러 123 : 샤프트
130 : 배출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 140 : 에어부상유니트
141 : 에어부상판 143 : 에어저장라인
145 : 에어분출홀 150 : 검사유니트
151 : 라인카메라 153 : 조명
160 : 보조롤러유니트 170 : 정렬유니트
171 : 정지정렬유니트 173 : 후단정렬유니트
175 : 좌·우정렬유니트 180 : 이탈방지롤러유니트

Claims (11)

  1.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어 전공정을 거친 패널을 시스템 내부로 유입시키는 복수개의 롤러를 포함한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
    상기 메인 프레임의 타측에 배치되어 검사공정을 완료한 패널을 후공정으로 전달하는 복수개의 롤러를 포함한 배출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
    상기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와 상기 배출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 사이에 배치되어 이송되는 상기 패널을 소정 높이로 부상시키는 에어부상유니트;
    상기 에어부상유니트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의 결함을 검사하는 검사유니트; 및
    상기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와 상기 에어부상유니트 사이에 배치되어 이송되는 상기 패널에 발생하는 외란을 감소시켜 평탄도를 향상시키는 보조롤러유니트를 포함하는 평판 표시 장치 검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의 주위에 배치되어 상기 패널의 정렬을 수행하는 정렬유니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 장치 검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유니트는 상기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의 후단에 배치되어 승강작용을 통해 이송되는 상기 패널을 정지시키는 정지정렬유니트와; 상기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의 전단에 배치되어 승강작용 및 수평이동을 통해 상기 패널의 후단을 가압하는 후단정렬유니트; 및 상기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의 좌·우측단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가이드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수평이동을 통해 상기 패널의 좌·우측단을 가압하는 좌·우정렬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 장치 검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유니트에 의한 상기 패널의 정렬이 수행되는 동안 상기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의 각 롤러는 그 회전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 장치 검사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패널의 좌·우측단과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패널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롤러유니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 장치 검사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롤러유니트는 상기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에 구비되는 롤러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복수개의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롤러유니트에 구비되는 롤러는 단위면적당 상기 패널을 지지하는 개수가 상기 유입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에 구비되는 롤러보다 많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 장치 검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롤러유니트는 수직방향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 장치 검사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롤러유니트가 상기 에어부상유니트와 상기 배출용 롤러컨베이어유니트 사이에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 장치 검사 시스템.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부상유니트는 공급되는 에어를 저장하는 복수개의 에어저장라인을 그 내부에 구비하고, 상기 에어저장라인과 연통되어 저장된 에어를 상방향으로 분출하는 에어분출홀을 구비한 에어부상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 장치 검사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분출홀은 상방향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 장치 검사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부상판에는 상기 패널의 이송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검사의 기준 라인을 제시하는 검사라인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 장치 검사 시스템.
KR1020070133351A 2007-12-18 2007-12-18 평판 표시 장치 검사 시스템 KR200900658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351A KR20090065841A (ko) 2007-12-18 2007-12-18 평판 표시 장치 검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351A KR20090065841A (ko) 2007-12-18 2007-12-18 평판 표시 장치 검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841A true KR20090065841A (ko) 2009-06-23

Family

ID=40994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3351A KR20090065841A (ko) 2007-12-18 2007-12-18 평판 표시 장치 검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584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523B1 (ko) * 2013-10-29 2015-03-24 (주) 인텍플러스 디스플레이 패널 정렬장치
KR20180082268A (ko) * 2017-01-10 2018-07-18 (주)로보토보 안정화 구간을 포함하는 광학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CN117276160A (zh) * 2023-11-21 2023-12-22 上海隐冠半导体技术有限公司 一种气浮刹车装置、运动装置及气浮刹车装置的控制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523B1 (ko) * 2013-10-29 2015-03-24 (주) 인텍플러스 디스플레이 패널 정렬장치
KR20180082268A (ko) * 2017-01-10 2018-07-18 (주)로보토보 안정화 구간을 포함하는 광학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CN117276160A (zh) * 2023-11-21 2023-12-22 上海隐冠半导体技术有限公司 一种气浮刹车装置、运动装置及气浮刹车装置的控制方法
CN117276160B (zh) * 2023-11-21 2024-02-13 上海隐冠半导体技术有限公司 一种气浮刹车装置、运动装置及气浮刹车装置的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53517B2 (ja) 基板の水平及び上下移送装置
JP2006206324A (ja) 基板搬送装置
KR101264849B1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제조장치
CN109521017B (zh) 具有可进行AOI θ轴对齐的输送设备的在线台架
KR100540632B1 (ko) 평판표시장치 제조용 기판 절단장치
KR101032089B1 (ko) 기판검사장치
KR20090065841A (ko) 평판 표시 장치 검사 시스템
KR101185532B1 (ko) 기판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송 방법
KR20060081053A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글래스 이송장치 및 이를 사용한검사시스템
KR101264848B1 (ko) 백라이트 유닛 제조장치의 지그 이송장치
KR101384092B1 (ko) 기판 이송장치 및 이것을 포함하는 기판 검사장비
KR101162056B1 (ko) 기판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검사장치
KR20200031375A (ko) Pcb기판 이송장치
KR20090027405A (ko) 편광필름 검사장치 및 편광필름 검사방법
KR100599489B1 (ko) 엘시디 검사라인용 이송로봇
KR101318212B1 (ko) 글라스 이송 장치
KR20030039400A (ko) 피씨비 기판의 공급, 반출 및 검사장치
KR101125751B1 (ko) 기판 이송장치 및 그 이송방법
CN219957776U (zh) 一种vrs自动检修装置
KR101583510B1 (ko) 백라이트유닛의 거치장치
KR101146345B1 (ko) 배터리용 필터 조립장치
KR20140015848A (ko) 기판 절단 장치
CN217931426U (zh) 一种自动偏贴后外观检查装置
CN115008881B (zh) 一种玻璃基板印刷设备
KR200469814Y1 (ko) 캔용기 기밀 테스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