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3510B1 - 백라이트유닛의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유닛의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3510B1
KR101583510B1 KR1020140143382A KR20140143382A KR101583510B1 KR 101583510 B1 KR101583510 B1 KR 101583510B1 KR 1020140143382 A KR1020140143382 A KR 1020140143382A KR 20140143382 A KR20140143382 A KR 20140143382A KR 101583510 B1 KR101583510 B1 KR 101583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acklight unit
backlight
shuttle
upp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3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훈
Original Assignee
이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훈 filed Critical 이성훈
Priority to KR1020140143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5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51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백라이트유닛의 거치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의 거치장치는, 백라이트유닛의 검사장치에 적용되는 백라이트유닛 거치장치에 있어서,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백라이트유닛이 복수개 안착되는 셔틀유닛; 상기 셔틀유닛의 하부에 수직되게 결합되는 기둥; 상기 기둥의 하부가 지지되도록 결합되며, 작업대의 상부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수평판; 상기 기둥의 하단에 결합되어 기둥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수평판의 일측에 형성되며 90도의 사잇각으로 배열되는 제1위치감지센서와 제2위치감지센서; 상기 셔틀유닛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 및 제2위치감지센서를 선택적으로 접촉하면서 위치 정보를 발생하는 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백라이트유닛이 안착된 셔틀유닛을 직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x축 방향의 스캔과 y축 방향의 스캔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정밀한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고, 복수개의 백라이트유닛을 동시에 검사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을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백라이트유닛의 거치장치{BLU MOUNT APPARATUS}
본 발명은 백라이트유닛의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백라이트유닛에 잔재된 이물질이나 손상 부위를 검사하여 불량 여부를 판독할 수 있도록 하는 백라이트유닛의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LCD)는 유리판 두장 사이에 액정을 주입하여 상하 유리판에 설치된 전극에 전원을 인가하여 각 화소에서 액정 분자배열이 변화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자체 발광을 못하는 구조로서 단순히 후면의 광을 투과시키는 기능만을 갖는다. 이로 인해 백라이트 유닛(BLU)은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후면광을 구현하도록 사용하게 된다.
백라이트유닛은 상술한 도광판, 반사 시트,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등을 적층하여 제조되는데, 이러한 제조 과정에서 시트들 자체에 이물이나 스크래치 등의 결함이 존재하거나, 적층되는 시트들 사이에 이물 등이 존재하여 제품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와 같은 불량을 검출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제10-0826097호(2008.04.23)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유닛의 거치장치"에서는 불량 백라이트유닛을 취출함과 더불어 검사 카메라를 통하여 백라이트유닛을 검사하는 검사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술한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조립완료된 백라이트유닛 상에 이물질, 백점, 흑점, 얼룩, 스크래치와 같은 각종 결함이 존재하는지를 검사하여 불량여부를 판별하게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유닛의 거치장치에 있어서, 본체; 본체에 축결합되어 회전되는 회전판과, 회전판의 상부에 결합되며 점등체가 형성된 수납홈을 갖는 수납지그가 구비된 회전체;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수납홈에 수납된 백라이트유닛의 보호필름을 제거하는 보호필름제거부가 구비된 보호필름 제거수단;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보호필름이 제거된 후 회전체에 의해 이동된 백라이트유닛의 수평 방향에서 화면내 불량을 검사하는 스캔카메라가 구비된 백라이트유닛 검사체;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백라이트유닛 검사체를 거쳐 이동된 백라이트유닛의 보호필름을 부착하는 필름흡착 가압부가 구비된 보호필름 부착수단;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보호필름 부착수단을 거쳐 이동된 양품과 불량 백라이트유닛을 자동으로 구분하여 취출하는 취출집게가 구비된 취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종래 백라이트유닛의 검사장치는 1개의 백라이트유닛에 대해 일방향으로 스캔하여 검사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어 적어도 2개의 복수 방향, X,Y축 방향에서 스캔하여 검사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또한 1개의 지그에는 1개의 백라이트유닛만 안착시킨 후 스캔 검사하고 있으므로 복수 방향의 스캔을 하는 과정은 작업 능률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생산성의 하락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백라이트유닛에 대해 적어도 2개의 복수 방향에서 연속적으로 방향을 전환해가면서 스캔하도록 하여 보다 정밀한 검사가 수행될 수 있고, 이러한 스캔 검사 과정이 증가되는 요인으로 인해 작업능률이 저하되지 않도록 지그에 복수개의 백라이트유닛을 안착시켜 1회 스캔으로 복수개의 백라이트유닛에 대한 스캔이 동시에 실시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능률을 안정되게 유지해줄 수 있도록 하는 백라이트유닛의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백라이트유닛의 검사장치에 적용되는 백라이트유닛 거치장치에 있어서,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백라이트유닛이 복수개 안착되는 셔틀유닛; 상기 셔틀유닛의 하부에 수직되게 결합되는 기둥; 상기 기둥의 하부가 지지되도록 결합되며, 작업대의 상부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수평판; 상기 기둥의 하단에 결합되어 기둥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수평판의 일측에 형성되며 90도의 사잇각으로 배열되는 제1위치감지센서와 제2위치감지센서; 상기 셔틀유닛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 및 제2위치감지센서를 선택적으로 접촉하면서 위치 정보를 발생하는 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유닛의 거치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기둥의 하부 외주에 형성된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와 치차 결합되는 랙기어가 일측에 형성된 로드와, 상기 로드의 인입 및 인출작동을 유발하는 실린더몸체로 구성되는 공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셔틀유닛은 백라이트유닛이 복수개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유닛안착부와, 백라이트유닛의 상면에 덮여지는 필름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필름안착부가 상부에 형성된 지그; 상기 유닛안착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지그의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접지대; 상기 유닛안착부의 저부에 형성되는 램프; 상기 램프를 온오프시키도록 지그의 일단에 설치되어 승강작동되는 스위칭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닛안착부 및 필름안착부에는 진공흡입력이 발생되는 흡착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칭수단은 지그의 일단에 수직되게 형성된 공압실린더본체; 상기 공압실린더본체의 상부로 출몰작동되는 로드; 상기 로드의 상단에 연결되며 수평으로 형성되어 상기 접지대에 접촉되는 접지단자가 하부에 형성된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셔틀유닛의 상부에 형성되어 백라이트유닛의 표면 이물질을 흡입 제거하는 집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부는, 셔틀유닛의 상부에 장착되며 셔틀유닛의 폭과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의 상부에 호스로 연결되며 진공흡입력을 발휘하는 진공흡입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셔틀유닛에 안착된 백라이트유닛을 협지하여 이송하는 취출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취출수단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 상기 레일에 결합되어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형성되며 저면에 백라이트유닛이 밀착되도록 진공흡입구가 형성된 진공플레이트; 상기 진공플레이트의 하단 외측에 대향되게 형성되어 백라이트유닛의 양측단을 협지하는 그리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백라이트유닛이 안착된 셔틀유닛을 직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x축 방향의 스캔과 y축 방향의 스캔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정밀한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고, 복수개의 백라이트유닛을 동시에 검사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을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의 거치장치를 나타낸 측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의 거치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의 거치장치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의 거치장치의 90도 회전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의 거치장치를 구비한 검사장비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의 거치장치를 나타낸 측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의 거치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의 거치장치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의 거치장치의 90도 회전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의 거치장치를 구비한 검사장비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의 거치장치는, 백라이트유닛(B)의 검사장치에 적용되는 것으로,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백라이트유닛(B)이 복수개 안착되는 셔틀유닛(200); 상기 셔틀유닛(200)의 하부에 수직되게 결합되는 기둥(310); 상기 기둥(310)의 하부가 지지되도록 결합되며, 작업대의 상부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수평판(350); 상기 기둥(310)의 하단에 결합되어 기둥(31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300); 상기 수평판(350)의 일측에 형성되며 90도의 사잇각으로 배열되는 제1위치감지센서(S1)와 제2위치감지센서(S2); 상기 셔틀유닛(20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S1) 및 제2위치감지센서(S2)를 선택적으로 접촉하면서 위치 정보를 발생하는 검지부(S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백라이트유닛의 검사장치는 백라이트유닛(B) 상에 이물질, 백점, 흑점, 얼룩, 스크래치와 같은 각종 결함이 존재하는지를 검사하여 불량여부를 판별하게 하는 것으로, 본체(100), 본체 내에 구비되며 백라이트유닛(B)이 안착되는 셔틀유닛(200), 셔틀유닛(200)을 회전시키는 회전부(300), 백라이트유닛(B)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집진부(400), 백라이트유닛(B)를 스캔 및 검사하는 검사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0)는 상부가 평평한 작업대(110)와, 작업대(110)의 양측에 수직되게 형성되는 측벽으로 구성되고, 전면에는 개구되는 도어(120)를 갖는다.
셔틀유닛(200)은 상기 본체(100)의 작업대(110)의 상면에 회전되도록 장착되는 기둥(310)의 상부에 결합되며, 백라이트유닛(B)이 복수개로 안착될 수 있다.
기둥(310)은 셔틀유닛(200)의 하부에 수직되게 결합되는 원통형이며, 하부에 구동부(300)가 형성되어 90도 간격으로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구동부(300)의 일 실시예로써 기둥(310)의 하부 외주에 형성된 기어부와, 기어부와 치차 결합되는 랙기어가 일측에 형성된 로드와, 로드의 인입 및 인출작동을 유발하는 실린더몸체로 구성되는 공압실린더를 포함한다.
기어부는 대략 기둥의 외주에 일부에만 호형으로 형성됨으로써 기둥이 90도만 회전될 수 있는 궤적을 유도하게 된다.
셔틀유닛(200)은 백라이트유닛(B)이 복수개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유닛안착부(210)와, 백라이트유닛(B)의 상면에 덮여지는 필름(F)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필름안착부(220)가 상부에 형성된 지그(201); 상기 유닛안착부(210)의 일측에 형성되며 지그(201)의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접지대(203); 상기 유닛안착부(210)의 저부에 형성되는 램프(미도시); 상기 램프를 온오프시키도록 지그(201)의 일단에 설치되어 승강작동되는 스위칭수단(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그(201)에 형성된 유닛안착부(210) 및 필름안착부(220)에는 진공흡입력이 발생되는 흡착판(209)이 형성된다.
한편 수평판(350)에는 90도의 사잇각으로 배열되는 제1위치감지센서(S1)와 제2위치감지센서(S2)가 형성된다.
셔틀유닛(20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S1) 및 제2위치감지센서(S2)를 선택적으로 접촉하면서 위치 정보를 발생하는 검지부(S3)가 구비된다.
따라서 검지부(S3)가 제1위치감지센서(S1)와 제2위치감지센서(S2)를 검지함으로써 90도 간격의 회전 작동이 연속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들 검지부(S3) 및 제1위치감지센서(S1)와 제2위치감지센서(S2)는 광센서가 적용된다.
스위칭수단(240)은, 지그(201)의 일단에 수직되게 형성된 공압실린더본체(241); 상기 공압실린더본체(241)의 상부로 출몰작동되는 로드(243); 상기 로드(243)의 상단에 연결되며 수평으로 형성되어 상기 접지대(203)에 접촉되는 접지단자(242)가 하부에 형성된 레버(2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공압이 공급됨에 따라 로드(243)가 수직으로 승강작동되고, 그에 종동되어 레버(245)가 승강작동됨으로써 하강시에는 접지대(203)에 접촉되어 램프가 온되도록 하고, 상승시에는 접지대(203)와 이격되어 램프가 오프되도록 한다.
램프의 온 상태에서 백라이트유닛(B)에 대해 검사부(500)가 스캔 및 카메라 촬영이 수행된다.
한편 셔틀유닛(200)의 상부에 형성되어 백라이트유닛(B)의 표면 이물질을 흡입 제거하는 집진부(400)가 포함된다.
집진부(400)는 셔틀유닛(200)의 상부에 장착되며 셔틀유닛(200)의 폭과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직육면체로 되어 하부가 개구된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의 상부에 호스로 연결되며 진공흡입력을 발휘하는 진공흡입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흡입구는 셔틀유닛(200)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셔틀유닛(200)의 폭과 동일하거나 더 큰 폭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박스 형상이며 하부는 개구되어 있고, 상부에는 호스가 결합되어 진공흡입펌프와 통하도록 연결된다.
한편 상기 셔틀유닛(200)에 안착된 백라이트유닛(B)을 협지하여 이송하는 취출수단(600)이 포함된다.
검사가 종료된 백라이트유닛(B)은 셔틀유닛(200)으로부터 이송되어 외부로 배출되어야 하므로 취출수단(600)에 의해 백라이트유닛(B)이 제거되도록 한다.
상기 취출수단(600)은, 본체(10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610); 상기 레일(610)에 결합되어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지지대(620); 상기 지지대(620)의 하부에 형성되며 저면에 백라이트유닛(B)이 밀착되도록 진공흡입구가 형성된 진공플레이트(630); 상기 진공플레이트의 하단 외측에 대향되게 형성되어 백라이트유닛(B)의 양측단을 협지하는 그리퍼(6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퍼(640)는 진공플레이트(630)에 흡착된 백라이트유닛(B)의 양측단을 지지하여 위치를 정렬시킨다.
진공플레이트(630)는 저면에 도시되지 않은 흡착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적절한 흡입력으로 백라이트유닛(B)을 흡입하여 지지대(620)의 저면에 밀착시킴으로써 지지대(620)가 레일(610)을 타고 이동되는 동안 낙하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업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가 셔틀유닛(200)에 유닛안착부(210)에 백라이트유닛(B)을 안착시키고, 필름안착부(220)에 필름을 안착시켜 작업을 준비한다.
이후 집진부(400)가 구동되어 셔틀유닛(200)의 상부를 흡입하여 백라이트유닛(B)의 표면을 청소한다.
이후 셔틀유닛(200)의 상부에 검사부(500)가 위치된다.
이후 스위치레버(240)가 작동하여 램프가 점등되도록 하여 백라이트유닛(B)이 발광된다.
이후 검사부(500)가 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스캔카메라(520)가 백라이트유닛(B)을 스캔하고, 그 영상자료를 제어부(미도시)로 송신함과 동시에 에러를 검사한다.
이 1차 검사를 x축 방향 검사라 한다.
이후 검사부(500)는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고, 동시에 구동부(300)가 구동되어 셔틀유닛(200)이 90도 회전한다.
이후 검사부(500)가 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스캔카메라가 백라이트유닛(B)을 스캔하고, 그 영상자료를 제어부로 송신함과 동시에 에러를 검사한다.
이 2차 검사를 y축 방향 검사라 한다.
이후 필름(F)을 백라이트유닛(B)의 상면에 얹은 후 취출수단(600)이 백라이트유닛(B)을 협지하여 취출한 다음 컨베어벨트(800)에 안착시켜 배출한다.
따라서 셔틀유닛(200)을 90도 회전시켜 2차례에 걸쳐 서로 다른 방향에서 스캔 검사를 실시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검사가 가능해진다.
또한 작업능률의 저하를 막기 위해 셔틀유닛(200)에 복수개의 백라이트유닛(B)을 거치한 후 동시에 스캔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 본체 110 : 작업대
120 ; 도어 200 ; 셔틀유닛
210 : 유닛안착부 220 : 필름안착부
203 : 접지대 240 : 스위칭수단
242 : 접지단자 300 : 구동부
400 : 집진부 500 : 검사부

Claims (7)

  1. 백라이트유닛의 검사장치에 적용되는 백라이트유닛 거치장치에 있어서,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백라이트유닛이 복수개 안착되는 셔틀유닛;
    상기 셔틀유닛의 하부에 수직되게 결합되는 기둥;
    상기 기둥의 하부가 지지되도록 결합되며, 작업대의 상부와 이격되어 형성되는 수평판;
    상기 기둥의 하단에 결합되어 기둥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수평판의 일측에 형성되며 90도의 사잇각으로 배열되는 제1위치감지센서와 제2위치감지센서;
    상기 셔틀유닛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위치감지센서 및 제2위치감지센서를 선택적으로 접촉하면서 위치 정보를 발생하는 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유닛의 거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기둥의 하부 외주에 형성된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와 치차 결합되는 랙기어가 일측에 형성된 로드와, 상기 로드의 인입 및 인출작동을 유발하는 실린더몸체로 구성되는 공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유닛의 거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유닛은
    백라이트유닛이 복수개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유닛안착부와, 백라이트유닛의 상면에 덮여지는 필름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필름안착부가 상부에 형성된 지그;
    상기 유닛안착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지그의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접지대;
    상기 유닛안착부의 저부에 형성되는 램프;
    상기 램프를 온오프시키도록 지그의 일단에 설치되어 승강작동되는 스위칭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유닛안착부 및 필름안착부에는 진공흡입력이 발생되는 흡착판이 형성되며,
    상기 스위칭수단은
    지그의 일단에 수직되게 형성된 공압실린더본체;
    상기 공압실린더본체의 상부로 출몰작동되는 로드;
    상기 로드의 상단에 연결되며 수평으로 형성되어 상기 접지대에 접촉되는 접지단자가 하부에 형성된 레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유닛의 거치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유닛의 상부에 형성되어 백라이트유닛의 표면 이물질을 흡입 제거하는 집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부는
    셔틀유닛의 상부에 장착되며 셔틀유닛의 폭과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의 상부에 호스로 연결되며 진공흡입력을 발휘하는 진공흡입펌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유닛의 거치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유닛에 안착된 백라이트유닛을 협지하여 이송하는 취출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취출수단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
    상기 레일에 결합되어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형성되며 저면에 백라이트유닛이 밀착되도록 진공흡입구가 형성된 진공플레이트;
    상기 진공플레이트의 하단 외측에 대향되게 형성되어 백라이트유닛의 양측단을 협지하는 그리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유닛의 거치장치.



KR1020140143382A 2014-10-22 2014-10-22 백라이트유닛의 거치장치 KR101583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382A KR101583510B1 (ko) 2014-10-22 2014-10-22 백라이트유닛의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3382A KR101583510B1 (ko) 2014-10-22 2014-10-22 백라이트유닛의 거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3510B1 true KR101583510B1 (ko) 2016-01-08

Family

ID=55170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3382A KR101583510B1 (ko) 2014-10-22 2014-10-22 백라이트유닛의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35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21707A (zh) * 2017-10-27 2018-01-23 东莞市兴为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屏背光源模组表面缺陷自动光学检测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1709A (ko) * 2001-06-28 2004-04-13 에스 앤드 에스 인더스트리, 인코포레이티드 브래지어용 개선된 언더와이어
KR20040036144A (ko) * 2002-10-23 2004-04-30 대한민국(관리부서:산림청 임업연구원) 폐기될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액화방법 및 동 액화물을이용한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제조방법
KR20040091096A (ko) * 2002-03-08 2004-10-27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802.11 무선 lan에서 하나의 통합된 채널 정적/측정요청 요소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21543A (ko) * 2005-08-18 2007-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1709A (ko) * 2001-06-28 2004-04-13 에스 앤드 에스 인더스트리, 인코포레이티드 브래지어용 개선된 언더와이어
KR20040091096A (ko) * 2002-03-08 2004-10-27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802.11 무선 lan에서 하나의 통합된 채널 정적/측정요청 요소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36144A (ko) * 2002-10-23 2004-04-30 대한민국(관리부서:산림청 임업연구원) 폐기될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액화방법 및 동 액화물을이용한 폴리우레탄 발포재의 제조방법
KR20070021543A (ko) * 2005-08-18 2007-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21707A (zh) * 2017-10-27 2018-01-23 东莞市兴为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屏背光源模组表面缺陷自动光学检测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43328B (zh) 光學檢測裝置
KR101146722B1 (ko) 디스플레이용 패널의 검사장치
KR100829892B1 (ko) 표시용 패널의 검사장치
CN106873195B (zh) 探针单元更换装置
KR101032089B1 (ko) 기판검사장치
JP2000009661A (ja) フラットパネル検査装置
KR20080083567A (ko) 인라인 자동 검사 장치 및 인라인 자동 검사 시스템
KR20100113711A (ko) 백라이트 유닛용 도광판에 fpcb를 부착하는 자동 부착유니트와 도광판 반전유니트, 도광판을 몰드 프레임에 자동삽입하는 자동조립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도광판 자동 조립방법
KR101610316B1 (ko) 백라이트유닛 검사장치
CN112051276A (zh) 一种镜片表面除尘和瑕疵检测装置及方法
CN110967168A (zh) 一种背光源成品外观检测机
CN217237794U (zh) 一种多方位外观检测装置
KR101583510B1 (ko) 백라이트유닛의 거치장치
KR101236286B1 (ko) 기판의 결함 검사장치
CN108956646A (zh) Tp外观检测设备
CN112684617A (zh) 一种液晶屏Bonding异物自动检测机
KR101264848B1 (ko) 백라이트 유닛 제조장치의 지그 이송장치
KR20120004249A (ko) 오엘이디 패널의 검사장치
KR101149056B1 (ko) 오엘이디 패널의 검사장치
KR100676071B1 (ko) 백라이트유닛의 이송용 트레이 자동 이송시스템
CN116698745A (zh) 全自动复测aoi设备
JP2006344705A (ja) 基板のステージ装置、検査装置及び修正装置
CN211652024U (zh) 一种背光源成品外观检测机
KR100819540B1 (ko)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용 물류이송장치
CN213780591U (zh) 显示面板的检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