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4283A - 클램프 장치 - Google Patents

클램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4283A
KR20090064283A KR1020080075179A KR20080075179A KR20090064283A KR 20090064283 A KR20090064283 A KR 20090064283A KR 1020080075179 A KR1020080075179 A KR 1020080075179A KR 20080075179 A KR20080075179 A KR 20080075179A KR 20090064283 A KR20090064283 A KR 20090064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posing
pressing
indenter
base body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히데 이와타
료지 바바
히토시 마부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이마오코오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이마오코오퍼레이션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이마오코오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64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42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으면서, 피고정물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클램프 장치를 제공한다.
클램프 장치(3)는, 베이스체(4)와, 워크(2)를 누르는 누름부(5)와, 손으로 조작되는 조작부(6)와, 전달체(7)를 구비한다. 이 전달체(7)는 누름부(5)가 워크(2)를 누르는 누름 위치와 워크(2)에서 떨어져서 대기하는 대기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조작부(6)의 움직임을 누름부(5)에 전달한다. 또한 베이스체(4)는 전달체(7)에 구비되는 제1 대향부(7a)와 대향하는 제2 대향부(4a)를 갖는다. 그리고, 제2 대향부(4a)에는 그 제2 대향부(4a)로부터 제1 대향부(7a)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는 압자(8a)가 설치되고, 제1 대향부(7a)에는 압자(8a)에 의해 눌리는 피압면(9a)이 설치된다. 따라서, 피압면(9a)에는 누름부(5)가 누름 위치에 위치할 때 압자(8a)가 들어가려고 하는 제1 오목부(9b)가 설치된다.
베이스체, 누름부, 조작부, 전달체, 제1 대향부, 제2 대향부, 압자, 피압면, 제1 오목부, 제2 오목부

Description

클램프 장치{CLAMP DEVICE}
본 발명은 워크 등의 피고정물을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컨대 피고정물로서의 워크를 부착구 베이스 등에 간이하게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 장치로서 토글 클램프가 있었다(예컨대 비 특허 문헌 1 참조). 이 토글 클램프는 레버에 설치된 조작부를 조작하는 손의 힘을 피고정물을 누르는 힘으로 변환하는 링크 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링크 기구를 통하여 피고정물을 클램프하는 것이었다.
[비 특허 문헌 1] "지그용 표준 부품 1990.9→1992.8" 가부시키가이샤 미스미, 1990년, p.335-354
그런데, 상기 종래의 토글 클램프에 있어서는 손의 힘으로 피고정물로서의 워크를 누르는 힘을 발생시켰기 때문에 이것이 작업자의 부담이 되었다. 또한 토글 클램프는 클램프 완료 위치까지 레버를 밀어넣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밀어넣는 정도가 영향을 주어 워크의 고정(클램프)이 불확실해질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으면서, 피고정물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클램프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클램프 장치는, 피고정물을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 장치로서, 베이스체와, 상기 피고정물을 누르는 누름부와, 손으로 조작되는 조작부와, 전달체를 구비한다. 이 전달체는 상기 베이스체에 부착되어 상기 누름부가 상기 피고정물을 누르는 누름 위치와 상기 피고정물에서 떨어져 대기하는 대기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상기 조작부의 움직임을 상기 누름부에 전달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체는 상기 전달체에 구비되는 제1 대향부가 움직이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그 제1 대향부와 대향하는 제2 대향부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1 대향부와 상기 제2 대향부 중 일측의 대향부에는 그 일측의 대향부로부터 타측의 대향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는 압자가 설치되고, 상기 타측의 대향부에는 상기 압자에 의해 눌리는 피압면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피압면에는 상기 누름부가 상기 누름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압자가 들어가려고 하는 제1 오목부가 설치되고, 그 제1 오목부에 상기 압자가 들어가려고 하는 힘을 상기 제1 대향부가 받아 상기 누름부가 상기 피고정물을 누르는 측으로 바이어스된다.
이 클램프 장치에 따르면, 피고정물을 고정할 때에는 피고정물을 고정 위치에 배치한 후, 조작부를 조작하고, 전달체를 통하여 누름부를 대기 위치에서 누름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누름 위치에서는 피압면에 설치된 제1 오목부에 탄성 바이어스되는 압자가 들어가려고 하는 힘을 전달체의 제1 대향부가 받아 누름부가 피고정물을 누르는 측으로 바이어스된다. 따라서, 이 바이어스되는 힘에 의해 누름부는 피고정물을 눌러 그 피고정물은 고정된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클램프 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클램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압면에는 상기 누름부가 상기 대기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압자가 들어가는 제2 오목부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누름부가 대기 위치에 위치할 때에는 탄성 바이어스되는 압자가 제2 오목부에 들어감으로써 누름부는 대기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클램프 장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클램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와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전달체에 일체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달체는 상기 누름부가 상기 누름 위치와 상기 대기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상기 베이스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클램프 장치는 청구항 3에 기재된 클램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대향부가 상기 일측의 대향부가 됨과 아울러 상기 제1 대향부가 상기 타측의 대향부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전달체는 그 대칭 위치하는 양면에 상기 피압면이 설치된 상기 제1 대향부를 가지며, 그들 제1 대향부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체는 상기 압자가 설치된 상기 제2 대향부를 갖는다. 이와 같이 전달체의 대칭 위치하는 양면에 피압면이 설치된 제1 대향부를 배치하고, 그들 제1 대향부 각각에 대응하여 베이스체에 압자가 설치된 제2 대향부를 배치함으로써 압자의 힘을 받는 전달체의 밸런스가 유지되어 전달체의 움직임이 원활해진다. 더욱이, 피압면과 압자가 2벌 설치됨으로써 누름부가 피고정물을 누르는 힘을 크게 할 수 있어 피고정물을 세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클램프 장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클램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달체는 상기 누름부가 선단에 설치된 봉 부재와, 상기 조작부가 선단에 설치된 레버 부재를 구비한다. 여기에 있어서, 상기 봉 부재는 상기 누름부가 상기 누름 위치와 상기 대기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상기 베이스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베이스체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 부재와 상기 봉 부재 사이에는 상기 레버 부재의 회동을 상기 봉 부재의 슬라이드로 변환하는 변환 기구가 설치된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클램프 장치는, 청구항 5에 기재된 클램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대향부가 상기 일측의 대향부가 됨과 아울러 상기 제1 대향부가 상기 타측의 대향부가 된다. 그리고, 상기 봉 부재는 그 대칭 위치하는 양측면에 상기 피압면이 설치된 상기 제1 대향부를 가지며, 그들 제1 대향부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체는 상기 압자가 설치된 상기 제2 대향부를 갖는다. 이와 같이 봉 부재의 대칭 위치하는 양측면에 피압면이 설치된 제1 대향부를 배치하고, 그들 제1 대향부 각각에 대응하여 베이스체에 압자가 설치된 제2 대향부를 배치함으로써 압자의 힘을 받는 봉 부재의 밸런스가 유지되어 봉 부재의 움직임이 원활해진다. 더욱이, 피압면과 압자가 2벌 설치됨으로써 누름부가 피고정물을 누르는 힘을 크게 할 수 있어 피고정물을 세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클램프 장치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클램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압면에는 상기 제1 오목부와 상기 제2 오목부 사이에 상기 압자의 길이 되는 패임이 설치되고, 이 패임은 상기 제1 오목부측으로부터 상기 제2 오목부측으로 진행함에 따라 깊어지도록 경사져서 형성된다.
또한 청구항 8에 기재된 클램프 장치는, 청구항 3에 기재된 클램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대향부와 상기 제2 대향부는 상기 전달체가 상기 베이스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방향에서 서로 대향 위치한다.
또한 청구항 9에 기재된 클램프 장치는 청구항 8에 기재된 클램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대향부가 상기 일측의 대향부가 됨과 아울러 상기 제1 대향부가 상기 타측의 대향부가 되고, 상기 압자는 코일 스프링에 의해 탄성 바이어스된다.
또한 청구항 10에 기재된 클램프 장치는 청구항 9에 기재된 클램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체는 베이스체 본체와, 그 베이스체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설치 되어 고정 베이스에 나사끼움되는 부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체 본체로부터 상기 부착부에 걸쳐 상기 압자와 상기 코일 스프링이 수용되는 수용 구멍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체 본체로부터 부착부에 걸쳐 수용 구멍을 설치함과 아울러, 그 수용 구멍에 압자와 코일 스프링을 삽입함으로써 고정 베이스에 나사끼움되는 부착부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 클램프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 장치에 의하면, 탄성 바이어스되는 압자가 제1 오목부에 들어가려고 하는 힘을 이용하여 피고정물을 누르는 힘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게다가, 조작부를 조작하여 누름부를 누름 위치측으로 이동시키면, 탄성 바이어스되는 압자가 제1 오목부에 들어가려고 함으로써 누름부가 자동으로 누름 위치로 이동하여 피고정물을 누르기 때문에 피고정물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도 9는 본 발명이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부호 1은 고정 베이스이다. 2는 피고정물로서의 워크이다. 3은 상기 워크(2)를 상기 고정 베이스(1)에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 장치이다.
이 클램프 장치(3)는 베이스체(4)와, 워크(2)를 누르는 누름부(5)와, 손으로 조작되는 조작부(6)와 전달체(7)를 구비한다. 여기서, 전달체(7)는 베이스체(4)에 부착되어 누름부(5)가 워크(2)를 누르는 누름 위치(도 6, 도 7 참조)와 워크(2)에서 떨어져서 대기하는 대기 위치(도 8, 도 9 참조) 사이를 이동하도록 조작부(6)의 움직임을 누름부(5)에 전달하는 것이다.
그리고, 베이스체(4)는 전달체(7)에 구비되는 제1 대향부(7a)가 움직이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그 제1 대향부(7a)와 대향하는 제2 대향부(4a)를 갖는다. 그리고, 제1 대향부(7a)와 제2 대향부(4a) 중 일측의 대향부(8)에는 그 일측의 대향부(8)로부터 타측의 대향부(9)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는 압자(8a)가 설치되고, 상기 타측의 대향부(9)에는 압자(8a)에 의해 눌리는 피압면(9a)이 설치된다. 따라서, 피압면(9a)에는 누름부(5)가 상기 누름 위치에 위치할 때 압자(8a)가 들어가려고 하는 제1 오목부(9b)가 설치되고, 그 제1 오목부(9b)에 압자(8a)가 들어가려고 하는 힘을 전달체(7)의 제1 대향부(7a)가 받아 누름부(5)가 워크(2)를 누르는 측으로 바이어스된다(도 6, 도 7 참조). 또한, 피압면(9a)에는 누름부(5)가 상기 대기 위치에 위치할 때 압자(8a)가 들어가는 제2 오목부(9c)가 설치되어 있다(도 8, 도 9 참조).
도시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누름부(5)와 조작부(6)는 전달체(7)에 일체로 설치된다. 그리고, 전달체(7)는 누름부(5)가 상기 누름 위치와 상기 대기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베이스체(4)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에 따라, 조작부(6)와 누름부(5)는 전달체(7)를 통하여 일체가 되어 회동하고, 그 회동에 의해 누름부(5)는 상기 누름 위치와 상기 대기 위치 사이를 이동하게 된다. 또한 베이스체(4)에 구비되는 상기 제2 대향부(4a)가 상기 일측의 대향부(8)가 됨과 아울러, 전달체(7) 에 구비되는 상기 제1 대향부(7a)가 상기 타측의 대향부(9)가 된다. 즉, 베이스체(4)의 제2 대향부(4a)에 탄성 바이어스되는 압자(8a)가 설치되고, 전달체(7)의 제1 대향부(7a)에 압자(8a)에 의해 눌리는 피압면(9a)이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전달체(7)는 그 대칭 위치하는 양면에 상기 피압면(9a)이 설치된 제1 대향부(7a)를 가지며, 그들 제1 대향부(7a, 7a) 각각에 대응하여 베이스체(4)는 상기 압자(8a)가 마련된 제2 대향부(4a)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고정 베이스(1)는 보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클램프 장치(3)는 고정 베이스(1)에 베이스체(4)가 부착 고정됨으로써 부착된다.
클램프 장치(3)에 있어서는 베이스체(4)는 바닥판부(4b)와 간격을 두고 대향 위치하도록 상기 바닥판부(4b)로부터 기립한 한 쌍의 기립부(4c, 4c)에 의해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베이스체(4)는 측방으로 돌출하도록 부착용 플랜지부(4d, 4d)를 가지고 있으며, 이 플랜지부(4d)에는 베이스체(4)를 고정 베이스(1)에 부착 고정하기 위한 고정 볼트 삽입용 부착 구멍(4e)이 뚫려 있다.
그리고, 베이스체(4)는 기립부(4c)가 상기 제2 대향부(4a)로 되어 그 기립부(4c)에 예컨대 스틸 볼 등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압자(8a)가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각 기립부(4c)에는 그 외측면에 탄성 부재로서의 판스프링(10)이 수용되는 수용 오목부(4f)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기립부(4c)에는 수용 오목부(4f) 부분에 있어서 내외로 관통하도록 하여 상기 압자(8a)가 삽입되는 압자 수용 구멍(4g)과 축 부재(11)를 지지하는 축 구멍(4h)이 뚫려 있다. 따라서, 수용 오목부(4f)에 수용된 판스프링(10)은 일단측이 나사(12)에 의해 고정되어 타단측이 압자 수용 구 멍(4g)에 삽입된 압자(8a)를 탄성 바이어스한다. 또한 이 판스프링(10)은 그 중간 부분에 있어서 축 구멍(4h, 4h)을 연통하는 축 부재(11)를 빠짐 방지한다.
전달체(7)는 부채꼴을 한 판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부채의 일측에 암부(7b)가 돌출 형성되고, 타측에 조작 레버(7c)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암부(7b)에 상기 누름부(5)를 형성하는 수나사(13)가 부착 고정된다. 그리고, 조작 레버(7c)의 선단에는 노브로 이루어지는 상기 조작부(6)가 설치된다. 또한 전달체(7)에는 그 부채를 형성하는 중심 위치에 상기 축 부재(11)가 삽입되는 축 구멍(7d)이 뚫려 있다. 그리고, 이 전달체(7)는 베이스체(4)의 기립부(4c, 4c)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축 부재(11)에 의해 베이스체(4)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세하게는, 축 구멍(7d)에는 부시(14)가 삽입되어 있으며, 그 부시(14)에 축 부재(11)가 삽입됨으로써 전달체(7)는 이들 부시(14) 및 축 부재(11)를 사이에 두고 베이스체(4)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전달체(7)는 그 양면이 상기 제1 대향부(7a, 7a)로 되어 전달체(7)의 각 면의 축 구멍(7d)을 중심으로 한 원호 부분이 상기 제1 오목부(9b) 및 제2 오목부(9c)가 설치된 피압면(9a)이 된다. 이 피압면(9a)에는,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오목부(9b) 및 제2 오목부(9c) 이외에 제1 오목부(9b)와 제2 오목부(9c) 사이에 압자(8a)의 길이 되는 패임(9d)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패임(9d)은 제1 오목부(9b) 측으로부터 제2 오목부(9c) 측으로 진행함에 따라 깊어지도록 경사져서 형성된다.
다음, 제1 실시 형태에 나타낸 클램프 장치(3)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 다. 이 클램프 장치(3)에 의하면, 워크(2)를 고정하려면 워크(2)를 고정 베이스(1)의 고정 위치에 배치한 후, 조작부(6)를 조작(상세하게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조작)하여 전달체(7)를 통하여 누름부(5)를 대기 위치(도 8, 도 9 참조)로부터 누름 위치(도 6, 도 7 참조)로 이동(상세하게는, 회동)시킨다. 이 누름 위치에서는, 피압면(9a)에 설치된 제1 오목부(9b)에 탄성 바이어스되는 압자(8a)가 들어가려고 하는 힘을 전달체(7)의 제1 대향부(7a)가 받아 누름부(5)가 워크(2)를 누르는 측으로 바이어스된다. 따라서, 이 바이어스되는 힘에 의해 누름부(5)는 워크(2)를 눌러 그 워크(2)는 고정 베이스(1)에 고정된다.
여기에 있어서, 누름부(5)가 누름 위치에 위치할 때에는, 제1 오목부(9b)에 탄성 바이어스되는 압자(8a)가 들어가려고 하는 힘에 의해 누름부(5)가 워크(2)를 누르는 측으로 바이어스되기 때문에 조작부(6)를 조작하는 손의 힘의 정도와 무관하게 워크(2)를 누르는 힘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종래의 토글 클램프에서는 손의 힘으로 워크를 누르는 힘을 발생시켰기 때문에 작업자의 부담이 되었으나, 이 클램프 장치(3)에서는 판스프링(10)에 의해 탄성 바이어스되는 압자(8a)가 제1 오목부(9b)에 들어가려고 하는 힘을 이용하여(즉, 판스프링(10)의 탄성력에 의해) 워크(2)를 누르는 힘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게다가, 조작부(6)를 조작하여 누름부(5)를 누름 위치측으로 이동시키면, 탄성 바이어스되는 압자(8a)가 제1 오목부(9b)에 들어가려고 함으로써 누름부(5)가 자동으로 누름 위치로 이동하여 워크(2)를 누르기 때문에 워크(2)를 확실하게 고정(클램프)할 수 있다.
또한 전달체(7)의 대칭 위치하는 양면에 피압면(9a, 9a)이 설치된 제1 대향부(7a, 7a)를 배치하고, 그들 제1 대향부(7a, 7a) 각각에 대응하여 베이스체(4)에 압자(8a)가 설치된 제2 대향부(4a)를 배치함으로써 압자(8a, 8a)의 힘을 받는 전달체(7)의 밸런스가 유지되어 전달체(7)의 움직임이 원활해진다. 더욱이, 피압면(9a)과 압자(8a)가 2벌 설치됨으로써 누름부(5)가 워크(2)를 누르는 힘을 크게 할 수 있고, 워크(2)를 고정 베이스(1)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반대로, 워크(2)를 고정 베이스(1)로부터 떼어내려면 조작부(6)를 반대 방향으로 조작(상세하게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 조작)하여 전달체(7)를 통하여 누름부(5)를 누름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로 이동(상세하게는, 회동)시킨다. 따라서, 워크(2)를 고정 베이스(1)로부터 떼어낸다. 여기서, 누름부(5)가 대기 위치에 위치할 때에는 탄성 바이어스되는 압자(8a)가 제2 오목부(9c)에 들어감으로써 누름부(5)는 대기 위치에 유지된다(도 8, 도 9 참조).
그런데, 전달체(7)의 피압면(9a)에 설치된 패임(9d)은 제1 오목부(9b)측으로부터 제2 오목부(9c)측으로 진행함에 따라 깊어지도록 경사져서 형성된다. 반대로 말하면, 패임(9d)은 제2 오목부(9c)측으로부터 제1 오목부(9b)측으로 진행함에 따라 얕아지도록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조작부(6)를 조작하여 누름부(5)를 대기 위치(도 8, 도 9 참조)로부터 누름 위치(도 6, 도 7 참조)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판스프링(10)(탄성 부재)가 조금씩 휘기 때문에 판스프링(10)(탄성 부재)가 대기 위치측로부터 크게 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손에 가해지는 부하를 작게 할 수 있다.
도 10∼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 형태의 클램프 장치(3)는 제1 실시 형태와 주로 전달체(7)의 구조가 다른데, 다른 기본적 구조는 동일하며, 이하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서로 다른 부분을 주로 설명한다.
도 10은 클램프 장치(3)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클램프 장치(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누름부(5)가 누름 위치에 위치할 때의 종단면도로서, 제1 실시 형태의 도 6에 해당한다. 도 13은 도 12의 E-E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누름부(5)가 대기 위치에 위치할 때의 종단면도로서, 제1 실시 형태의 도 8에 해당한다. 도 15는 도 14의 F-F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전달체(7)는 누름부(5)가 선단에 설치된 봉 부재(21)와, 조작부(6)가 선단에 설치된 레버 부재(22)를 구비한다. 여기에 있어서, 봉 부재(21)는 누름부(5)가 피고정물로서의 워크(2)를 누르는 누름 위치(도 12, 도 13 참조)와 워크(2)에서 떨어져서 대기하는 대기 위치(도 14, 도 15 참조) 사이를 이동하도록 베이스체(4)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레버 부재(22)는 베이스체(4)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따라서, 레버 부재(22)와 봉 부재(21) 사이에는 레버 부재(22)의 회동을 봉 부재(21)의 슬라이드로 변환하는 변환 기구(23)가 설치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베이스체(4)에 구비되는 제2 대향부(4a)가 일측의 대향부(8)가 됨과 아울러, 전달체(7)에 구비되는 제1 대향부(7a)가 타측의 대향부(9)가 된다. 즉, 베이스체(4)의 제2 대향부(4a)에 탄성 바이어스되는 압자(8a)가 설치되고, 전달체(7)의 제1 대향부(7a)에 압자(8a)에 의해 눌리는 피압면(9a)이 설치된 다. 상세하게는, 전달체(7)를 구성하는 봉 부재(21)가 그 대칭 위치하는 양측면에 피압면(9a, 9a)이 설치된 제1 대향부(7a, 7a)를 가지며, 그들 제1 대향부(7a, 7a) 각각에 대응하여 베이스체(4)는 압자(8a)가 설치된 제2 대향부(4a)를 갖는다.
여기서, 피압면(9a)에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누름부(5)가 상기 누름 위치에 위치할 때 압자(8a)가 들어가려고 하는 제1 오목부(9b)가 설치되고, 그 제1 오목부(9b)에 압자(8a)가 들어가려고 하는 힘을 제1 대향부(7a)가 받아 누름부(5)가 워크(2)를 누르는 측으로 바이어스된다(도 12, 도 13 참조). 그리고, 피압면(9a)에는 누름부(5)가 상기 대기 위치에 위치할 때 압자(8a)가 들어가는 제2 오목부(9c)가 설치된다(도 14, 도 15 참조).
구체적으로는, 고정 베이스(1)는 보드 형태의 주베이스(1a)와, 그 주베이스(1a)에 고정된 보조 베이스(1b)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클램프 장치(3)는 고정베이스(1)의 주베이스(1a)에 베이스체(4)가 부착 고정됨으로써 부착된다. 그리고, 워크(2)는 이 클램프 장치(3)에 의해 고정 베이스(1)의 보조 베이스(1b)에 고정된다. 상세하게는, 보조 베이스(1b)는 주베이스(1a)의 상면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워크(2)를 받치는 받침면(1c)과, 그 받침면(1c)과 직교하여 워크(2)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면(1d)을 구비하고 있다.
클램프 장치(3)에 있어서는, 베이스체(4)는 전후로 길다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베이스체(4)는 측방으로 돌출하도록 부착용 플랜지부(4d, 4d)를 가지고 있으며, 이 플랜지부(4d)에는 베이스체(4)를 고정 베이스(1)(상세하게는, 주베이스(1a))에 부착 고정하기 위한 고정 볼트 삽입용 부착 구 멍(4e)이 뚫려 있다.
또한 베이스체(4)에는 전후로 관통하는 안내 구멍(4i)이 뚫려 있으며, 상기 봉 부재(21)는 이 안내 구멍(4i)에 삽입되어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해진다. 그리고, 베이스체(4)는 안내 구멍(4i)을 사이에 두는 좌우의 각 측부가 상기 제2 대향부(4a)가 되고, 그 각 측부에 예컨대 스틸 볼 등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압자(8a)가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좌우의 각 측부의 후부측에는 그 외측면에 탄성 부재로서의 판스프링(10)이 수용되는 수용 오목부(4f)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측부에는 수용 오목부(4f) 부분에 있어서 안내 구멍(4i)에 통하도록 하여 상기 압자(8a)가 삽입되는 압자 수용 구멍(4g)이 뚫려 있다. 따라서, 수용 오목부(4f)에 수용된 판스프링(10)은 일단측이 나사(12)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측이 압자 수용 구멍(4g)에 삽입된 압자(8a)를 탄성 바이어스한다.
더욱이, 베이스체(4)에는 전후로 길쭉해지도록 하여 상면으로부터 상기 안내 구멍(4i)을 지나 하방으로 연장되는 슬릿(4j)이 뚫려 있다. 그리고, 베이스체(4)는 좌우의 각 측부의 전부측이 좁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전부측에는 안내 구멍(4i)에 통하도록 하여 축 부재(24)를 지지하는 축 구멍(4k)이 뚫려 있다. 또한, 부호 4m은 후술하는 핀(27)의 조립을 위하여 사용되는 구멍이다. 또한 부호 25는 축 부재(24)를 빠짐 방지하는 리테이닝링이다.
봉 부재(21)는 전후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선단에 상기 누름부(5)를 형성하는 수나사(13)가 부착 고정된다. 그리고, 이 봉 부재(21)는 좌우의 양측면이 상기 제1 대향부(7a, 7a)로 되어 특히 봉 부재(21)의 각 측면의 후부 부분이 상기 피압면(9a)이 된다. 이 피압면(9a)에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오목부(9b) 및 제2 오목부(9c)가 설치되고, 더욱이 이들 제1 오목부(9b)와 제2 오목부(9c) 사이에는 압자(8a)의 길이 되는 패임(9d)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 패임(9d)은 제1 오목부(9b)측으로부터 제2 오목부(9c)측으로 진행함에 따라 깊어지도록 경사져서 형성된다.
또한 봉 부재(21)에는 전후로 길쭉해지도록 하여 상하로 관통하는 슬릿(21a)이 뚫려 있다. 그리고, 봉 부재(21)에는 슬릿(21a)을 가로질러 좌우로 관통하는 구멍(21b)이 뚫린다.
레버 부재(22)는 그 선단(상단)에 노브로 이루어지는 상기 조작부(6)가 설치된다. 이 레버 부재(22)는 그 선단과 반대측(하부측)이 협폭부(22a)로 되어 있다. 그리고, 협폭부(22a)에는 단부 부분에 축 부재(24)가 삽입되는 축 구멍(22b)이 뚫리고, 더욱이 협폭부(22a)의 중간 부분에는 장공(22c)이 뚫려 있다. 따라서, 레버 부재(22)는 그 협폭부(22a)가 베이스체(4)의 슬릿(4j) 및 봉 부재(21)의 슬릿(21a)에 삽입되어 상기 축 부재(24)에 의해 베이스체(4)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세하게는, 축 구멍(22b)에는 부시(26)가 삽입되어 있으며, 그 부시(26)에 축 부재(24)가 삽입됨으로써 레버 부재(22)는 이들 부시(26) 및 축 부재(24)를 사이에 두고 베이스체(4)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레버 부재(22)는 봉 부재(21)와 장공(22c) 및 구멍(21b)을 연통하도록 통과되는 핀(27)에 의해 연결된다. 이 때, 핀(27)은 상대적으로 장공(22c) 내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레버 부재(22)를 축 부재(24) 둘레로 회동시키면 봉 부재(21)는 안내 구 멍(4i)에 안내되어 전후로 슬라이드하게 된다. 즉, 레버 부재(22)의 회전을 봉 부재(21)의 슬라이드로 변환하는 상기 변환 기구(23)는 레버 부재(22)에 뚫린 장공(22c)과 봉 부재(21)에 뚫린 구멍(21b)과 핀(27)으로 이루어진다.
다음 제2 실시 형태에 나타낸 클램프 장치(3)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클램프 장치(3)에 의하면, 워크(2)를 고정하려면 워크(2)를 고정 베이스(1)(상세하게는, 보조 베이스(1b))의 고정 위치에 배치한 후, 조작부(6)를 조작(상세하게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조작)하여 전달체(7)(레버 부재(22) 및 봉 부재(21))를 통하여 누름부(5)를 대기 위치(도 14, 도 15 참조)로부터 누름 위치(도 12, 도 13 참조)로 이동(상세하게는, 슬라이드)시킨다. 이 누름 위치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피압면(9a)에 설치된 제1 오목부(9b)에 탄성 바이어스되는 압자(8a)가 들어가려고 하는 힘을 전달체(7)(상세하게는, 봉 부재(21))의 제1 대향부(7a))가 받아 누름부(5)가 워크(2)를 누르는 측으로 바이어스된다. 따라서, 이 바이어스되는 힘에 의해 누름부(5)는 워크(2)를 누르고 그 워크(2)는 고정 베이스(1)(상세하게는, 보조 베이스(1b))에 고정된다.
여기에 있어서, 누름부(5)가 누름 위치에 위치할 때에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오목부(9b)에 탄성 바이어스되는 압자(8a)가 들어가려고 하는 힘에 의해 누름부(5)가 워크(2)를 누르는 측으로 바이어스되기 때문에 조작부(6)를 조작하는 손의 힘 정도에 관계 없이 워크(2)를 누르는 힘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종래의 토글 클램프에서는 손의 힘으로 워크를 누르는 힘을 발생시켰기 때문에 작업자의 부담이 되었으나, 이 클램프 장치(3)에서는 판스프링(10)에 의해 탄 성 바이어스되는 압자(8a)가 제1 오목부(9b)에 들어가려고 하는 힘을 이용하여(즉, 판스프링(10)의 탄성력에 의해) 워크(2)를 누르는 힘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게다가, 조작부(6)를 조작하여 누름부(5)를 누름 위치측으로 이동시키면, 탄성 바이어스되는 압자(8a)가 제1 오목부(9b)에 들어가려고 함으로써 누름부(5)가 자동으로 누름 위치로 이동하여 워크(2)를 누르기 때문에 워크(2)를 확실하게 고정(클램프)할 수 있다.
또한 봉 부재(21)의 대칭 위치하는 양측면에 피압면(9a, 9a)이 설치된 제1 대향부(7a, 7a)를 배치하고, 그들 제1 대향부(7a, 7a) 각각에 대응하여 베이스체(4)에 압자(8a)가 설치된 제2 대향부(4a)를 배치함으로써 압자(8a, 8a)의 힘을 받는 봉 부재(21)의 밸런스가 유지되어, 봉 부재(21)의 움직임이 원활해진다. 더욱이, 피압면(9a)과 압자(8a)가 2벌 설치됨으로써 누름부(5)가 워크(2)를 누르는 힘을 크게 할 수 있고, 워크(2)를 고정 베이스(1)(상세하게는, 보조 베이스(1b))에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반대로, 워크(2)를 고정 베이스(1)(상세하게는, 보조 베이스(1b))로부터 떼어내려면 조작부(6)를 반대 방향으로 조작(상세하게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 조작)하여 전달체(7)(레버 부재(22) 및 봉 부재(21))를 통하여 누름부(5)를 누름 위치에서 대기 위치로 이동(상세하게는, 슬라이드)시킨다. 따라서, 워크(2)를 고정 베이스(1)(상세하게는, 보조 베이스(1b))로부터 떼어낸다. 여기서, 누름부(5)가 대기 위치에 위치할 때에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탄성 바이어스되는 압자(8a)가 제2 오목부(9c)에 들어감으로써 누름부(5)는 대기 위치에 유지된다(도 14, 도 15 참조).
그런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피압면(9a)에 설치된 패임(9d)은 제1 오목부(9b)측으로부터 제2 오목부(9c)측으로 진행함에 따라 깊어지도록 경사져서 형성된다. 반대로 말하면, 패임(9d)은 제2 오목부(9c)측으로부터 제1 오목부(9b)측으로 진행함에 따라 얕아지도록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조작부(6)를 조작하여 누름부(5)를 대기 위치(도 14, 도 15 참조)에서 누른 위치(도 12, 도 13 참조)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판스프링(10)(탄성 부재)이 조금씩 휘기 때문에 판스프링(10)(탄성 부재)이 대기 위치측으로부터 크게 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손에 가해지는 부하를 작게 할 수 있다.
도 16∼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클램프 장치(3)는 제1 실시 형태와는 주로 제1 대향부(7a) 및 제2 대향부(4a)의 배치 위치, 그리고, 압자(8a)를 탄성 바이어스하는 수단이 다른데, 다른 기본적 구조는 동일하여 이하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다른 부분을 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은 클램프 장치(3)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클램프 장치(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누름부(5)가 누름 위치에 위치할 때의 종단면도로서, 제1 실시 형태의 도 6에 해당한다. 도 19는 그 요부 확대도로서, 제1 실시 형태의 도 7에 해당한다. 도 20은 누름부(5)가 대기 위치에 위치할 때의 종단면도로서, 제1 실시 형태의 도 8에 해당한다. 도 21은 그 요부 확대도로서, 제1 실시 형태의 도 9에 해당한다.
제1 대향부(7a)와 제2 대향부(4a)는 전달체(7)가 베이스체(4)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방향에서 서로 대향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제2 대향부(4a)가 일측의 대향부(8)가 됨과 아울러 제1 대향부(7a)가 타측의 대향부(9)가 되어 제2 대향부(4a)(일측의 대향부(8))에 그 제2 대향부(4a)(일측의 대향부(8))로부터 제1 대향부(7a)(타측의 대향부(9))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는 압자(8a)가 설치되고, 제1 대향부(7a)(타측의 대향부(9))에 상기 압자(8a)에 의해 눌리는 피압면(9a)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압자(8a)는 탄성 부재로서의 코일 스프링(31)에 의해 탄성 바이어스된다. 또한 베이스체(4)는 베이스체 본체(401)와 그 베이스체 본체(401)로부터 연장 설치되어 고정 베이스(1)에 나사끼움되는 부착부(40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베이스체 본체(401)로부터 부착부(402)에 걸쳐 상기 압자(8a)와 상기 코일 스프링(31)이 수용되는 수용 구멍(4n)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베이스체(4)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상기 베이스체 본체(401)와, 그 베이스체 본체(401)의 축심 방향으로 연장되어 외주에 수나사가 설치된 상기 부착부(402)로 이루어진다. 베이스체 본체(401)는 선단측(도시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단측)에 홈(4q)이 설치되어 있고, 그 홈(4q)의 바닥 부분이 상기 제2 대향부(4a)(도시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일측의 대향부(8))가 된다. 그리고, 베이스체 본체(401)는 홈(4q)을 사이에 두는 양측이 서로 대향하는 기립부(4c, 4c)로 되어 각 기립부(4c)에는 축 부재(11)를 지지하는 축 구멍(4h)이 뚫려 있다. 또한 베이스체 본체(401)로부터 부착부(402)에 걸쳐 설치되는 상기 수용 구 멍(4n)은 제2 대향부(4a)(일측의 대향부(8))에 개구하도록 하여 베이스체 본체(401) 및 부착부(402)의 축심 방향이 되는 상하 하방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 구멍(4n)에는 압자(8a)와 코일 스프링(31)이 삽입되고, 하측이 나사(32)에 의해 폐쇄된다. 그리고, 압자(8a)가 코일 스프링(31)에 의해 제2 대향부(4a)(일측의 대향부(8))로부터 홈(4q) 안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탄성 바이어스된다. 또한, 부호 33은 부착부(402)의 수나사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이다. 따라서, 부착부(402)를 고정 베이스(1)의 나사 구멍(1e)에 적당한 위치까지 박아넣은 후에 이 너트(33)를 고정 베이스(1)에 맞닿을 때까지 회전함으로써 부착부(402), 나아가서는 클램프 장치(3)는 고정 베이스(1)에 부착된다.
전달체(7)는 대략 원호형의 둘레면을 구비한 판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전달체(7)의 일측에 암부(7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암부(7b)에 누름부(5)를 형성하는 수나사(13)가 부착 고정된다. 그리고, 전달체(7)의 타측에는 그 전달체(7)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된 조작부(6)가 설치된다. 또한 전달체(7)에는 그 중심 위치에 상기 축 부재(11)가 삽입되는 축 구멍(7d)이 뚫려 있다. 그리고, 이 전달체(7)는 베이스체(4)의 기립부(4c, 4c) 사이, 즉 홈(4q) 내에 배치되어 축 부재(11)에 의해 베이스체(4)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세하게는, 축 부재(11)는 기립부(4c, 4c)에 설치된 축 구멍(4h, 4h) 및 전달체(7)에 설치된 축 구멍(7d)을 관통하도록 삽입되며, 멈춤 나사(34)에 의해 전달체(7)에 고정된다. 따라서, 전달체(7)와 축 부재(11)는 일체로 되어 베이스체(4)의 축 구멍(4h, 4h)의 축심 둘레로 회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달체(7)는 베이스체(4)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다.
그리고, 전달체(7)는 상기 원호형의 둘레면이 상기 제1 대향부(7a)(도시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타측의 대향부(9))로 되어 그 제1 대향부(7a)(타측의 대향부(9))에 피압면(9a)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 피압면(9a)에는 제1 오목부(9b) 및 제2 오목부(9c)가 설치되고, 더욱이 제1 오목부(9b)와 제2 오목부(9c) 사이에 압자(8a)의 길이 되는 패임(9d)이 설치된다. 그리고, 패임(9d)은 제1 오목부(9b)측으로부터 제2 오목부(9c)측으로 진행함에 따라 깊어지도록 경사져서 형성된다.
이 클램프 장치(3)의 작용 효과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데, 압자(8a)는 탄성 부재로서의 코일 스프링(31)에 의해 탄성 바이어스된다. 즉, 이 클램프 장치(3)에서는 코일 스프링(31)에 의해 탄성 바이어스되는 압자(8a)가 제1 오목부(9b)에 들어가려고 하는 힘을 이용하여(즉, 코일 스프링(31)의 탄성력에 의해) 피고정물로서의 워크(2)를 누르는 힘을 발생시킨다(도 19 참조). 또한, 도시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워크(2)는 고정 베이스(1)에 직접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고정 베이스(1)에 부착된 지지 부재(1f)를 사이에 두고 고정된다.
또한 베이스체 본체(401)로부터 부착부(402)에 걸쳐 수용 구멍(4n)을 설치함과 아울러 그 수용 구멍(4n)에 압자(8a)와 코일 스프링(31)을 삽입함으로써 고정 베이스(1)에 나사끼움되는 부착부(402)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부착부(402)를 유효 이용함으로써 이 클램프 장치(3)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피고정물은 가공이나 측정 등의 대상이 되는 워크(2)가 아니라 지그 또는 부착구 등일 수도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암부(7b)에 누름부(5)를 형성하는 수나사(13)가 부착되는데,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부(7b)에 예컨대 나사(17, 17)를 이용하여 보조 암(15)이 부착되고, 그 보조 암(15)에 누름부(5)를 형성하는 수나사(13)가 부착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여기에 있어서, 수나사(13)를 설치하지 않고 암부(7b) 또는 보조 암(15)의 선단 부분을 누름부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이 도 22에 있어서는 베이스체(4)에는 예컨대 나사(18, 18)를 이용하여 전달체(7)의 피압면(9a, 9a)을 덮도록 커버(16, 16)가 부착되는데, 제1 실시 형태에 나타낸 클램프 장치(3)에 있어서도 동일한 커버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 커버(16)는 베이스체(4)와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져도, 베이스체(4)와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피압면(9a)에는 제2 오목부(9c) 또는 패임(9d)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없어도 된다.
또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클램프 장치(3)에는 피압면(9a)과 압자(8a)와의 세트가 2벌 설치되어 있는데, 1벌만 설치될 수도 있고, 또한 3벌 이상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클램프 장치(3)에는 피압면(9a)과 압자(8a)와의 세트가 1벌 설치되어 있는데, 2벌 이상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대향부(7a)는 봉 부재(21)에 설치되어 있는데, 레버 부재(22)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베이스체(4)에 구비되는 제2 대향부(4a)가 압 자(8a)가 설치되는 일측의 대향부(8)가 되고, 전달체(7)에 구비되는 제1 대향부(7a)가 피압면(9a)이 설치되는 타측의 대향부(9)로 되어 있으나, 반대로 제1 대향부(7a)가 일측의 대향부(8)가 되고 제2 대향부(4a)가 타측의 대향부(9)로 되어도 무방하다. 즉, 전달체(7)에 압자(8a)가 설치되고, 베이스체(4)에 피압면(9a)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레버 부재(22)의 회동을 봉 부재(21)의 슬라이드로 변환하는 변환 기구(23)는 레버 부재(22)에 뚫린 장공(22c)과 봉 부재(21)에 뚫린 구멍(21b)과 핀(27)으로 이루어지지 않아도, 기타 링크 기구 또는 캠 기구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조작부(6)는 회동 조작되는 것이 아닐 수도 있으며, 슬라이드 조작 등 다른 방향으로 조작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전달체(7)는 조작부(6)의 움직임을 누름부(5)에 전달하는 것이면, 어떠한 구조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판스프링(10)은 단독 즉 하나가 사용될 수도 포개도록 하여 복수 장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포개는 판스프링(10)의 수를 조정함으로써 누름부(5)가 워크(2)를 누르는 힘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압자(8a)를 탄성 바이어스하는 바이어스 수단으로서 판스프링(10) 또는 코일 스프링(31)의 탄성 부재를 이용하였으나, 다른 탄성 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압자(8a)는 판스프링(10)(탄성 부재)과 별도로 설치되어 있으나, 예컨대 판스프링(10)(탄성 부재)의 선단 부분에 압자 가 될 볼록부를 형성함으로써 압자를 판스프링(10)(탄성 부재)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마찬가지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마찬가지로 누름부가 누름 위치와 대기 위치 사이에 위치할 때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마찬가지로,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마찬가지로 도 3의 B-B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마찬가지로 누름부가 누름 위치에 위치할 때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마찬가지로 도 6의 C-C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마찬가지로 누름부가 대기 위치에 위치할 때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마찬가지로 도 8의 D-D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마찬가지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마찬가지로 누름부가 누름 위치에 위치할 때의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마찬가지로 도 12의 E-E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마찬가지로 누름부가 대기 위치에 위치할 때의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마찬가지로 도 14의 F-F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3 실시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마찬가지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마찬가지로 누름부가 누름 위치에 위치할 때의 종단면도이다.
도 19는 마찬가지로 도 18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20은 마찬가지로 누름부가 대기 위치에 위치할 때의 종단면도이다.
도 21은 마찬가지로 도 20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22는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2…워크(피고정물) 3…클램프 장치
4…베이스체 4a…제2 대향부
5…누름부 6…조작부
7…전달체 7a…제1 대향부
8…일측의 대향부 8a…압자
9…타측의 대향부 9a…피압면
9b…제1 오목부 9c…제2 오목부
9d…패임 21…봉 부재
22…레버 부재 23…변환 기구
31…코일 스프링 401…베이스체 본체
402…부착부 4n…수용 구멍

Claims (10)

  1. 피고정물을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 장치로서,
    베이스체와,
    상기 피고정물을 누르는 누름부와,
    손으로 조작되는 조작부와,
    상기 베이스체에 부착되어 상기 누름부가 상기 피고정물을 누르는 누름 위치와 상기 피고정물에서 떨어져 대기하는 대기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상기 조작부의 움직임을 상기 누름부에 전달하는 전달체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체는 상기 전달체에 구비되는 제1 대향부가 움직이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그 제1 대향부와 대향하는 제2 대향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대향부와 상기 제2 대향부 중 일측의 대향부에는 그 일측의 대향부로부터 타측의 대향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되는 압자가 설치되고, 상기 타측의 대향부에는 상기 압자에 의해 눌리는 피압면이 설치되며,
    상기 피압면에는 상기 누름부가 상기 누름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압자가 들어가려고 하는 제1 오목부가 설치되고, 그 제1 오목부에 상기 압자가 들어가려고 하는 힘을 상기 제1 대향부가 받아 상기 누름부가 상기 피고정물을 누르는 측으로 바이어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압면에는 상기 누름부가 상기 대기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압자가 들어가는 제2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와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전달체에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전달체는 상기 누름부가 상기 누름 위치와 상기 대기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상기 베이스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대향부가 상기 일측의 대향부가 됨과 아울러, 상기 제1 대향부가 상기 타측의 대향부가 되고,
    상기 전달체는 그 대칭 위치하는 양면에 상기 피압면이 설치된 상기 제1 대향부를 가지며, 그들 제1 대향부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체는 상기 압자가 설치된 상기 제2 대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체는 상기 누름부가 선단에 설치된 봉 부재와, 상기 조작부가 선단에 설치된 레버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봉 부재는 상기 누름부가 상기 누름 위치와 상기 대기 위치 사이를 이동하도록 상기 베이스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베이스체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레버 부재와 상기 봉 부재 사이에는 상기 레버 부재의 회동을 상기 봉 부재의 슬라이드로 변환하는 변환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대향부가 상기 일측의 대향부가 됨과 아울러, 상기 제1 대향부가 상기 타측의 대향부가 되고,
    상기 봉 부재는 그 대칭 위치하는 양측면에 상기 피압면이 설치된 상기 제1 대향부를 가지며, 그들 제1 대향부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체는 상기 압자가 설치된 상기 제2 대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압면에는 상기 제1 오목부와 상기 제2 오목부 사이에 상기 압자의 길이 되는 패임이 설치되고, 이 패임은 상기 제1 오목부측으로부터 상기 제2 오목부측으로 진행함에 따라 깊어지도록 경사져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향부와 상기 제2 대향부는 상기 전달체가 상기 베이스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방향에서 서로 대향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대향부가 상기 일측의 대향부가 됨과 아울러, 상기 제1 대향부가 상기 타측의 대향부가 되고,
    상기 압자는 코일 스프링에 의해 탄성 바이어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체는, 베이스체 본체와 그 베이스체 본체로부터 연장 설치되어 고정 베이스에 나사끼움되는 부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체 본체로부터 상기 부착부에 걸쳐 상기 압자와 상기 코일 스프링이 수용되는 수용 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장치.
KR1020080075179A 2007-12-14 2008-07-31 클램프 장치 KR200900642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23722 2007-12-14
JPJP-P-2007-00323722 2007-12-14
JPJP-P-2008-00117901 2008-04-28
JP2008117901A JP5108613B2 (ja) 2007-12-14 2008-04-28 クランプ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4283A true KR20090064283A (ko) 2009-06-18

Family

ID=40767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179A KR20090064283A (ko) 2007-12-14 2008-07-31 클램프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108613B2 (ko)
KR (1) KR20090064283A (ko)
CN (1) CN10145613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47350A (zh) * 2021-07-27 2021-10-26 孙淑芝 一种具有过载保护功能的限位固定机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72634B (zh) * 2011-03-14 2014-04-16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夹紧机构
CN103286703B (zh) * 2012-02-24 2015-07-15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夹紧机构
CN103963036B (zh) * 2013-01-31 2016-04-06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工作台
CN105364737A (zh) * 2015-12-04 2016-03-02 苏州明远冲压件厂 一种电动双压台压板夹具
CN206945445U (zh) * 2017-09-30 2018-01-30 富准精密电子(鹤壁)有限公司 拉拔力测试装置
CN112338243A (zh) * 2020-11-21 2021-02-09 于建庆 一种工件加工多轴铣削设备
CN115609312B (zh) * 2022-11-14 2023-03-28 宁波金汇精密铸造有限公司 一种摇臂支架机加工工装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986706A1 (ru) * 1981-04-22 1983-01-07 За витель Эксцентриково-рычажный зажим
JPH05177476A (ja) * 1992-01-09 1993-07-20 Kenseishiya:Kk ワーククランプ装置
DE29713482U1 (de) * 1997-07-29 1998-01-08 Kleinbongartz & Kaiser Werkzeu Spannwerkzeug
JP3177836B2 (ja) * 1997-12-19 2001-06-18 備前発条株式会社 クランプ装置
DE19915468A1 (de) * 1999-04-06 2000-10-12 Trusco Nakayama Corp Spannvorrichtung
CN1422725A (zh) * 2001-12-03 2003-06-11 徐长祥 随动精密虎钳
ITMI20030666A1 (it) * 2003-04-04 2004-10-05 Univer Spa Apparecchiatura elettrica di bloccaggio con comando manuale
CN2659635Y (zh) * 2003-10-23 2004-12-01 张庆宗 夹具改良构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47350A (zh) * 2021-07-27 2021-10-26 孙淑芝 一种具有过载保护功能的限位固定机构
CN113547350B (zh) * 2021-07-27 2022-09-13 苏州硕力重工有限公司 一种具有过载保护功能的限位固定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08613B2 (ja) 2012-12-26
JP2009160723A (ja) 2009-07-23
CN101456134B (zh) 2013-06-05
CN101456134A (zh) 200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64283A (ko) 클램프 장치
US5265343A (en) Blade collet
US7441338B2 (en) Clamping device for toolless clamping of a saw blade
KR100393540B1 (ko) 클램프장치
US7097616B2 (en) Surgical clamp
EP2070654A2 (en) Clamping device
JP2001341039A (ja) クランプ装置
KR102188407B1 (ko) 회전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2 자유도 회전 암
JP2001062658A (ja) バイス装置
US10799024B2 (en) Holding device for a front panel of a drawer
US7213803B2 (en) Clamp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EP3993195A1 (en) Gripping tool
JP5886981B2 (ja) 医療器具
JP3644882B2 (ja) クランプ装置
US11260482B2 (en) Flexible ring fitting device
JPS61241047A (ja) 工作機械
JP2008518253A (ja) 光ファイバまたは光ファイバ束を調整するための装置
CN109702525B (zh) 固定装置
JP2023019607A (ja) 固定装置
WO2023120273A1 (ja) ドリルストッパ
JP2020059070A (ja) クランプ装置
US20200338628A1 (en) Chain tool
SU97714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оединени листовых заготовок
JP3679032B2 (ja) 止め輪取り付け用工具
JP2002370110A (ja) 管穿孔機の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