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3988A - 세벌원판식 한글소리값 변환장치 - Google Patents

세벌원판식 한글소리값 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3988A
KR20090063988A KR1020070131537A KR20070131537A KR20090063988A KR 20090063988 A KR20090063988 A KR 20090063988A KR 1020070131537 A KR1020070131537 A KR 1020070131537A KR 20070131537 A KR20070131537 A KR 20070131537A KR 20090063988 A KR20090063988 A KR 20090063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ul
printed
sound
plate
sound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1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이
Original Assignee
김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이 filed Critical 김순이
Priority to KR1020070131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3988A/ko
Publication of KR20090063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39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1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 G09B1/18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the elements being rotatable
    • G09B1/2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the elements being rotatable and bearing the symbols on a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rot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3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wherein the elements are adapted to be arranged in co-operation with the support to form symbo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글의 소리값을 음절단위로 다른 문자체계로 변환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글을 초성, 중성, 종성의 세 벌로 구분하여 자유롭게 조합되도록 하고, 다른 문자체계도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의 소리값에 대응되도록 세 벌로 구분하여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의 세 벌과 짝을 이루어 놓음으로써, 한글이 한 글자, 즉 한 음절단위로 조합될 때 해당 소리값의 다른 문자체계도 한 음절로 동시에 변환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한글의 초성과 초성의 소리값에 대응되는 다른 문자체계가 함께 인쇄된 초성판과 한글의 중성과 중성의 소리값에 대응되는 다른 문자체계가 함께 인쇄된 중성판, 그리고 한글의 종성과 종성의 소리값에 해당하는 다른 문자체계가 함께 인쇄된 종성판을 포함하되, 상기 3개의 판이 서로 겹쳐졌을 때 한글이 시각적으로 한 글자로 인식될 수 있도록 인쇄하고, 한글이 조합되었을 때 상기 3개의 판 위에 각각 함께 인쇄되어 있는 다른 문자체계도 조합되어 한글에 대응되는 소리값을 가지는 한 음절로 인식될 수 있도록 인쇄한 것으로, 상기 3개의 판의 형태를 원형으로 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다수의 한글과 그에 대응되는 다수의 문자체계를 연속적으로 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한글, 소리값, 음절, 변환, 초성, 중성, 종성, 세벌식, 조합, 원판

Description

세벌원판식 한글소리값 변환장치 {3 Set Disc Style Korean Phonetic Value Converter}
본 발명은 한글의 소리값을 음절단위로 다른 문자체계로 변환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글을 초성, 중성, 종성의 세 벌로 구분하여 자유롭게 조합되도록 하고, 다른 문자체계도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의 소리값에 대응되도록 세 벌로 구분하여 한글과 짝을 이루어 놓음으로써, 한글이 한 글자단위로 조합될 때 해당 소리값의 다른 문자체계도 한 음절로 동시에 변환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음성을 기록하는 문자는 나라마다 달라서, 외국인들에게 자국의 지명이나 관광지 등을 소개할 때 발음기호 역할을 하는 별도의 문자체계를 도입하고 있는데, 로마자 표기가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최근에 개정된 현행 로마자 표기법은 한글의 소리값과 로마자의 소리값을 자음, 모음 별로 일대일 대응시키는 전자법에 기초하고 있는데, 이는 2000년도 7월까지 사용해 오던 전사법, 즉 자음과 모음에 상관없이 글자가 소리나는 대로 표기하던 방법과는 정반대 되는 것이어서 혼돈의 여지가 남아있는 형편이다. 다시 말하면, 로마자 표기법을 활용하여 외국인들을 안 내해야 하는 내국인들, 특히 관광업무 담당자들은 자음과 모음에 대한 로마자와의 대응 일람표를 일일이 확인한 후, 다시 이들을 초성, 중성, 종성의 음절단위로 재조합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자음의 경우 반 이상이 초성에 쓰일 때와 종성에 쓰일 때 소리값이 서로 달라지므로 여전히 어려움이 큰 실정이다.
한글을 처음 접하는 외국인들에게는, 자음과 모음을 소리나는 단위인 초성, 중성, 종성의 문벌, 즉 음절단위로 모아서 읽고 쓰는 한글의 형태가 생소할 수밖에 없으며, 실제로 세계적으로도 유일하기 때문에, 로마자 표기가 없는 한글은 외국 관광객들에게 뜻 모를 기호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로마자 표기가 맞게 되어 있는 경우라 할지라도, 한글에만 존재하는 발음의 경우라면 여전히 외국인들 스스로 정확한 한글의 발음을 알기 어렵다. 결론적으로, 음절단위로 쓰고 읽는 한글을, 그렇지 않은 대부분의 다른 문자체계의 소리값으로 변환시켜 주어야 할 경우, 단순한 자음과 모음에 대한 표기 일람표 이외에는 딱히 서로 다른 체계의 문자 간 소리값을 매개해 줄 수단이 거의 없는 형편이어서 내외국인들 모두에게 불편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문헌1] 문화교육부 고시 제 85-11호, 국어의 외래어 표기법 (1986.1.)
[문헌2] 문화관광부 고시 제 2000-8호,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2000.7.7.1])
본 발명은 한글의 초성과 초성에 해당하는 다른 문자체계를 짝지어 인쇄한 초성판을 만들고, 같은 방식으로 중성판과 종성판을 만들어, 상기 3판을 겹치면 한글과 다른 문자가 동시에 같은 소리값의 음절단위로 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국인 관광객들이 본 장치만을 가지고 스스로 모든 한글의 발음을 확인하여 읽을 수 있도록 하고, 내국인들이 한글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로마자 등의 다른 문자체계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한글의 초성과 초성의 소리값에 대응되는 다른 문자체계가 함께 인쇄된 초성판과 한글의 중성과 중성의 소리값에 대응되는 다른 문자체계가 함께 인쇄된 중성판, 그리고 한글의 종성과 종성의 소리값에 해당하는 다른 문자체계가 함께 인쇄된 종성판을 포함하되, 상기 3개의 판은 서로 겹쳐졌을 때 한글이 시각적으로 한 글자로 인식될 수 있도록 인쇄하고, 한글이 조합되었을 때 상기 3개의 판 위에 각각 함께 인쇄되어 있는 다른 문자체계도 조합되어 한글에 대응되는 소리값을 가지는 한 음절로 인식될 수 있도록 인쇄한 것으로, 상기 3개의 판의 형태를 원형으로 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다수의 한글과 그에 대응되는 다수의 문자체계를 연속적으로 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한글의 초성과 초성에 해당하는 다른 문자체계를 짝지어 인쇄한 초성판을 만들고, 같은 방식으로 중성판과 종성판을 만들어, 상기 3판을 겹치면 한글과 다른 문자가 동시에 같은 소리값의 음절단위로 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국인 관광객들이 본 장치만을 가지고 스스로 모든 한글의 발음을 확인하여 읽을 수 있도록 하고, 내국인들이 한글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로마자 등의 다른 문자체계로 변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한글의 초성과 초성에 해당하는 다른 문자체계의 소리값을 인쇄한 초성판(1)은 빨간색, 중성판(2)은 초록색, 종성판(3)은 파란색으로 각각 구분하였다.
도1은 원형의 판 위에 한글의 소리값과 다른 문자체계의 소리값이 일정 거리를 두고 인쇄되어 있는 세 벌의 원판의 평면도이다. 상기 3판은 한글의 초성과 그에 해당하는 소리값의 다른 문자체계가 짝을 이루어 나란히 인쇄되어 있는 초성판(1)과, 한글의 중성과 그에 해당하는 소리값의 다른 문자체계가 짝을 이루어 나란히 인쇄되어 있는 중성판(2) 그리고, 한글의 종성과 그에 해당하는 소리값의 다른 문자체계가 짝을 이루어 나란히 인쇄되어 있는 종성판(3)으로 구성된다. 상기 3판을 겹쳐놓으면, 하나의 글자로 인식될 수 있는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각 판 위에 초성, 중성, 종성 글자들을 각각 인쇄하고, 그에 해당하는 소리값을 가진 다른 문자체계도 하나의 음절단위로 인식될 수 있는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3판 위에 각각 한글의 초성, 중성, 종성과 짝을 이루어 인쇄한다. 이때, 상기 3판 위에 인쇄된 한글과 다른 문자체계가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간격을 떨어뜨려 인쇄하되, 한글을 원판의 테두리에 인쇄하고 다른 문자체계를 원판의 안쪽에 인쇄하거나, 혹은 그 반대로 다른 문자체계를 원판의 테두리에, 한글을 안쪽에 인쇄한다.
도2는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초성판(1)과 중성판(2), 그리고 종성판(3)이 겹쳐진 상태에서도 모두 보일 수 있도록, 맨 아래에 위치하는 판을 제외한 중간과 맨 위쪽에 위치하는 판은, 글자 이외의 부분에 구멍을 뚫거나 홈을 파서 중간과 아래에 위치하는 판의 글자들이 잘 보일 수 있도록 한다. 혹은, 판의 재질 자체를 투명이나 반투명 소재로 하여 중간과 아래에 위치한 판에 인쇄된 글자들이 모두 비쳐 보일 수 있도록 한다.
도3에서와 같이, 조합된 한글과 다른 문자체계에 대한 주목성을 높이고 시각적 혼란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3판을 덮는 덮개판(4)이 함께 구성되는데, 조합된 한글은 한글창(5)에 나타나고, 변환된 소리값의 다른 문자체계는 변환창(6)에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은 한글의 음절단위로 쓰고 읽는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3판을 겹치면, 한글이 글자로 인식되도록 조합하였을 때, 다른 문자체계도 동시에 같은 소리값을 가지는 음절단위로 조합되게 함으로써, 각기 다른 문자 간의 소리값 변환을 빠르고 편리하게 해주는 장치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첫째로, 외국인들에게 유용하다. 본 장치의 간단한 사용법만 익히면, 한글만으로 표기된 글자를 별도의 도움 없이 외국인들 스스로 로마자나 국제음성기호, 즉 발음기호 등의 외국인들이 이해하기 쉬운 문자체계로 쉽게 변환할 수 있으므로 모 든 한글을 읽을 수 있게 된다. 이는 한글에 생소한 관광객들에게 매우 유용한 것으로, 본 장치를 사용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한글의 기본 원리까지 익힐 수 있게 되므로 한글교재로서도 활용이 가능하다.
둘째로, 내국인들에게 유용하다. 본 장치를 활용하면 한글을 편리하고 정확하게 현행 로마자 표기법에 맞도록 변환시켜 줄 수 있다. 이는 로마자를 빈번하게 사용해야 하는 관광안내판이나 관광책자 제작자들이 기본 일람표만을 가지고 별도로 소리값을 조합하는 수고를 덜 수 있게 되므로 큰 도움이 된다.
마지막으로, 로마자로 되어 있는 글자를 한글로 분해하는 과정도 또한 간단하므로, 현행 로마자 표기법의 기초원리에 해당하는 전자법의 장점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이는 내외국인 모두에게 유용한 기능이다. 특히, 외국인들은 대부분 표지판에서 로마자가 눈에 먼저 띄게 되므로 발음만 외워두었다가 본 장치를 이용하여 역으로 한글을 찾아낼 수 있으므로, 결국 로마자만 알면 그에 해당하는 한글의 글자를 추후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세벌원판의 평면도
도2은 본 발명에 의한 세벌원판식 한글소리값 변환장치의 구조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세벌원판식 한글소리값 변환장치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초성판, 2 : 중성판, 3 : 종성판, 4 : 덮개판, 5 : 한글창, 6 : 변환창

Claims (5)

  1. 본 발명은 한글의 소리값을 음절단위로 다른 문자체계로 변환시켜 주는 장치에 있어서, 한글의 초성과 초성의 소리값에 대응되는 다른 문자체계가 함께 인쇄된 초성판(1)과 한글의 중성과 중성의 소리값에 대응되는 다른 문자체계가 함께 인쇄된 중성판(2), 그리고 한글의 종성과 종성의 소리값에 해당하는 다른 문자체계가 함께 인쇄된 종성판(3)을 포함하되, 상기 3개의 판은 서로 겹쳐졌을 때 한글이 시각적으로 한 글자로 인식될 수 있도록 인쇄되고, 한글이 조합되었을 때 상기 3개의 판 위에 각각 함께 인쇄되어 있는 다른 문자체계도 조합되어 한글에 대응되는 소리값을 가지는 한 음절로 인식될 수 있도록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벌원판식 한글소리값 변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판은 원형으로 만들고, 각 판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3개의 판을 회전시키면서 연속적으로 다수의 한글과 그에 대응되는 다수의 문자체계를 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세벌원판식 한글소리값 변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판 위에 한글이 인쇄된 부분과 다른 문자체계가 인쇄된 부분끼리 서로 겹쳐지거나 가려지지 않도록 간격을 두기 위해 한글을 원판의 테두리 부분에 배치하여 인쇄하고, 다른 문자체계를 안쪽에 배치하여 인쇄하거 나, 혹은 그 반대로 한글을 안쪽에 배치하여 인쇄하고 다른 문자체계를 원판의 테두리에 배치하여 인쇄한 세벌원판식 한글소리값 변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판이 겹쳐진 상태에서도 아래, 혹은 중간에 위치한 판에 인쇄되어 있는 글자들이 가려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중간에 위치한 판과 맨 위의 판에 글자 주변에 홈을 파거나, 판의 재질 자체를 투명, 혹은 반투명한 소재로 하여 아래와 중간에 위치한 판 위에 인쇄된 글자들이 모두 비쳐 보이도록 구성된 세벌원판식 한글소리값 변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판이 겹쳐서 조합된 한글을 볼 수 있는 한글창(5)과 조합된 한글의 소리값에 대응되는 다른 문자체계를 볼 수 있는 변환창(6)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창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가려 시각적인 혼란을 없애고 주목성을 높여주는 덮개판(4)이 포함된 세벌원판식 한글소리값 변환장치.
KR1020070131537A 2007-12-14 2007-12-14 세벌원판식 한글소리값 변환장치 KR200900639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537A KR20090063988A (ko) 2007-12-14 2007-12-14 세벌원판식 한글소리값 변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1537A KR20090063988A (ko) 2007-12-14 2007-12-14 세벌원판식 한글소리값 변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988A true KR20090063988A (ko) 2009-06-18

Family

ID=40992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1537A KR20090063988A (ko) 2007-12-14 2007-12-14 세벌원판식 한글소리값 변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398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8309A (ko) * 2014-07-14 2016-01-22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의사소통장치
KR20220002183U (ko) * 2021-03-04 2022-09-14 김현신 한글 학습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8309A (ko) * 2014-07-14 2016-01-22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의사소통장치
KR20220002183U (ko) * 2021-03-04 2022-09-14 김현신 한글 학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orpodas Literacy acquisition in Greek: Research review of the role of phonological and cognitive factors
Al-Jarf Spelling Error Corpora in EFL.
WO2018076918A1 (zh) 一种英语学习辅助教具及英语单词中字母发音的确定方法
US4515566A (en) Flip card apparatus for forming units of speech
US20100167244A1 (en) Language teaching system of orientation phonetic symbols
JP3230975U (ja) フォニックス学習支援具
KR20160118542A (ko) 한글 모음 제자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방법, 한글 입력 장치 및 한글 교육 시스템
US6551110B1 (en) Visual educational device for teaching literacy
US3823491A (en) Reading and spelling teaching aid
KR20060111602A (ko) 언어 발음 시스템 및 언어 발음 방법
KR200493135Y1 (ko) 음각 글자가 형성된 한글쓰기 글자판
KR20110083268A (ko) 중국어 발음 한글 표기방법
KR20090063988A (ko) 세벌원판식 한글소리값 변환장치
KR101001704B1 (ko) 한글표시블럭
Wang et al. Learning to read Korean
KR200471528Y1 (ko) 영어 학습 교재
EP0040221A1 (en) Teaching aid: phoneti-peuter mobile
Hvenekilde Literacy training for linguistic minorities in Norway
KR100453076B1 (ko) 영어 단어의 이해 및 암기력 향상을 위한 단어 표시방법
KR200198356Y1 (ko) 한글쓰기 연습장
KR101573262B1 (ko) 한글 자음 제자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방법, 한글 입력 장치 및 한글 교육 시스템
Chen Enhancing vocabulary performance through teaching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KR100362227B1 (ko) 한글발음 학습용 카드
CN203405981U (zh) 一种新型拼音卡
KR200294647Y1 (ko) 한글학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