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528Y1 - 영어 학습 교재 - Google Patents

영어 학습 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528Y1
KR200471528Y1 KR2020120009892U KR20120009892U KR200471528Y1 KR 200471528 Y1 KR200471528 Y1 KR 200471528Y1 KR 2020120009892 U KR2020120009892 U KR 2020120009892U KR 20120009892 U KR20120009892 U KR 20120009892U KR 200471528 Y1 KR200471528 Y1 KR 2004715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lish
sentence
learning
korean
senten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8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용
Original Assignee
김석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용 filed Critical 김석용
Priority to KR20201200098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5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5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5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9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printed 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솝 우화 등 알려진 이야기를 내용으로 하는 영어 학습 교재로서, 한글 문장부, 영어 표현부, 영어 문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글 문장부는 한글 문장을 의미 단위로 구분하여 한글 어순으로 표시한다. 영어 표현부는 한글 문장의 의미 단위에 대응되는 다수의 영어 표현을 한글 문장의 의미 단위에 대응시켜 표시한다. 영어 문장부는 영어 표현부의 영어 표현들을 영어 어순으로 재배열하여 표시한다.

Description

영어 학습 교재{English Learning Material}
본 고안은 영어 학습 교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동화, 우화 또는 소설과 같은 잘 알려진 이야기를 이용하여 번역, 작문, 회화 학습을 하도록 구성한 영어 학습 교재에 관한 것이다.
사회 전반에 걸친 글로벌화에 따라 영어의 중요성이 계속 높아져 가고 있고, 이제는 유치원에서부터 영어 교육을 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영어 학습법과 교재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영어 학습 교재는 토익, 토플과 같은 시험에 대비하기 위한 교재들을 제외하면, 크게 문법을 다루는 교재와 회화를 다루는 교재로 나눌 수 있다.
문법을 다루는 교재의 경우 OO기본영어, OO종합영어와 같은 것들이 대표적이며, 문장의 구조, 대명사, 명사, 형용사, 관계사, 시제 등 문법의 각 요소들에 대해 기능, 특징을 설명하고 예가 되는 문장을 설명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회화를 다루는 교재의 경우는 사람을 만났을 때, 공항에 갔을 때, 쇼핑할 때 등 주요 상황들을 설정하고 그러한 상황에서 벌어질 수 있는 가상의 이야기를 통해 가상의 대화가 이루어지게 하거나, 의사 전달을 할 때 사용되는 주요 동사나 패턴을 반복 학습시키는 등의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외에도 영어로 편지쓰기, 영어로 일기 쓰기 등 작문을 위한 영어 학습 교재들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영어 학습 교재들은 학습 이후 기억의 유지 시간이 길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교재를 보고 학습을 할 당시에는 다 이해가 되는 것 같지만, 교재를 덮고 나면 교재 안에서 설명하였던 다양한 상황이나 예제 문장들을 기억해 내는 것이 쉽지 않다. 각각의 문장들이 별개의 내용으로 되어 있거나 만들어진 상황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종래의 영어 학습 교재들은 다양한 편집 방법 등에 의해 보기 좋게 만들어져 있기는 하지만, 정작 한글과 영어에서 문장이 어떤 형태로 변경되는지에 대해서는 한눈에 인식하는 것이 쉽지 않다.
또한, 종래의 영어 학습 교재들은 문법, 회화, 영작 등 각 기능별로 교재들이 달리 구성되어 있어 하나의 교재로 여러 학습 효과를 얻기가 어렵다.
본 고안은 학습 이후에도 오랜 시간 동안 학습 내용을 연상해 내고 기억할 수 있는 영어 학습 교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한글 문장이 영어 문장으로 어떻게 바뀌는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고, 연상 작용을 유도할 수 있는 영어 학습 교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문법, 영작, 회화의 학습이 모두 가능한 영어 학습 교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영어 학습 교재는 한글 문장부, 영어 표현부, 영어 문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글 문장부는 한글 문장을 의미 단위로 구분하고 한글 어순으로 표시한다. 여기서, 한글 문장부는 의미 단위마다 색을 달리하여 표시한다.
영어 표현부는 한글 문장의 의미 단위에 대응되는 다수의 영어 표현을 한글 문장의 의미 단위에 각각 대응시켜 표시한다. 여기서, 다수의 영어 표현은 대응하는 한글 문장의 의미 단위의 색과 동일한 색으로 표시한다.
영어 문장부는 영어 표현부의 다수의 영어 표현을 영어 어순으로 재배열하여 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영어 학습 교재에서, 영어 문장부는 다수의 영어 표현들 중 일부를 빈 칸으로 표시할 수 있다.
삭제
본 고안에 따른 영어 학습 교재는, 영어 표현에 발음, 문법, 파생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명을 표시하는 설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영어 학습 교재에서, 영어 표현부 또는 상기 영어 문장부의 영어 표현에 대한 원어민 음성을 제공하는 원어민 음성 파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동화나 우화, 소설과 같은 잘 알려진 이야기를 영어 학습의 내용으로 함으로써 교재를 통한 학습 이후에도 알고 있는 내용을 통하여 오랜 시간 동안 학습 내용을 연상해 낼 수 있고, 그 결과 학습 효과가 오래 지속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문장을 의미 단위로 나누고 각 의미 단위를 기준으로 한글에서 영어로 변환시킴으로써, 해당 의미 단위가 어떻게 바뀌었는지, 한글과 영어의 어순이 어떻게 바뀌는지 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각 의미 단위를 동일 색으로 표시함으로써, 인식하기 쉽고 학습 효과가 높일 수 있다.
또한, 한글 문장을 영어 문장으로 번역하는 학습 과정에서, 문법, 발음 등의 학습도 동시에 할 수 있어, 다기능 학습이 가능하다.
특히, 본 고안은 그 동안 한국인들이 학교수업이나 자율학습을 통하여 터득한 어휘, 문법, 독해 능력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즐기며 부담 없이 몇 번 반복하여 읽어 나가기만 해도, 이제까지의 독해 위주의 수준이, 영작이나 회화를 가능하게 하는 수준으로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영어 학습 교재의 문장별 학습 부분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영어 학습 교재의 대화형 문장들에 대한 학습 부분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영어 학습 교재의 학습 문장들에 대한 종합 학습 부분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영어 학습 교재의 문장별 학습 부분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본 고안의 영어 학습 교재는 동화, 우화 또는 소설과 같은 잘 알려진 이야기를 학습 대상 문장으로 하며, 도 1에서는 이솝 우화 중 "도시 쥐와 시골 쥐"의 이야기를 내용으로 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영어 학습 교재는 본 고안의 영어 학습 교재는 한글 문장부(100), 영어 표현부(200), 영어 문장부(300), 설명부(410,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글 문장부(100)는 동화, 우화 또는 소설 등의 한글 문장을 의미 단위로 구분하여 한글 어순으로 표시한다. 한글 문장은 "시골에 사는", "한 쥐가", "있었다" 등과 같이 의미를 갖는 단위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이렇게 구분된 각 의미 단위는 각각 다른 색으로 표시되며, 각 의미 단위는 영어 표현의 의미 단위에 일대일로 대응된다.
영어 표현부(200)는 한글 문장부(100)에 기재된 한글 문장의 의미 단위에 대응되는 영어 표현을 한글 문장의 의미 단위에 대응시켜 표시한다. 예를들어, "시골에 사는", "한 쥐가", "있었다" 등의 한글 의미 단위는 "who lived in the country", "a mouse", "there once was" 등으로 번역되어 표시된다.
영어 문장부(300)는 영어 표현부(200)의 다수의 영어 표현을 영어 어순으로 재배열하여 표시한다. 영어는 한글 어순에 따라 그대로 나열한 것만으로는 완성되지 않으므로, 영문 어순에 따라 다시 재배열하여 표시해야 한다. 예를들어, "There once was a mouse who lived in the country" 로 표시된다. 이때, 영문 어순에 따라 재배열된 각 의미 단위들은 한글 문장의 대응 의미 단위들과 동일한 색으로 표시된다. 이를 통해, 한글 문장이 영어 문장으로 어떻게 변환되고, 어순이 어떻게 바뀌었는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설명부(410, 420)는 한글을 영어로 변환하는데 필요한 문법, 어법, 발음, 파생어 등에 대한 설명을 표시한다. 설명부(410,420)는 학습을 위해 틀에 맞추어 구성된 문법이 아니라 문장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문법을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해 줌으로써 사용 가능한 문법을 익힐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설명부(410,420)는 해당 단어에 대한 발음을 영어식 발음에 가깝게 표현함으로써, 원어민 발음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예를들어, "was a"를 발음할 때, 발음 기호를 "워z어"로 표현하여 잘못된 한글 발음의 사용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적색 등으로 발음 강세 부분을 구분하고, 작은 글씨 등으로 약한 발음을 표시하며, "-"를 통해 긴 발음을 표시한다. 이러한 발음 표기법으로 원어민의 발음을 충실히 재현할 수 있다. 예를들어, "chocolate"은 "쳐(적색으로 표기)컬릍"으로, huge는 "휴-즈(작은 글씨로 표기)" 로 표기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현의 일부를 빈 칸으로 표시한 영어 문장부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영어 표현의 일부를 빈 칸으로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학습자가 영어 문장 완성을 위해 생각을 더 하게 하고, 그 결과 작문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용에 부합하는 그림(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영어 학습 교재의 대화형 문장들에 대한 학습 부분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1의 학습 내용이 일반 문장들이었던 것에 반하여 도 2의 학습 내용은 대화형 문장들을 내용으로 한다.
도 1에서와 같이, 각 문장의 의미 단위들이 구분되고, 한글 문장부의 한글 문장이 의미 단위별로 영어 표현으로 번역되어 나열되는 점은 동일하다. 그러나, 도 1과 달리, 각 의미 단위별로 색을 구분하지 않고, 문장 단위로 색을 구분하여 표시하고 있다.
또한, 한글 문장의 의미 단위들은 영어 문장부에 영문 어순에 따라 배열되어 표시된다.
도 2의 구성을 갖는 영어 학습 교재를 이용하면, 학습자는 대화형 문장에 대한 학습을 자연스럽고 쉽게 익힐 수 있게 된다.
일반적인 영어 학습 교재들이 문법, 영작, 회화 각 목적에 따라 달리 구성되는 것에 반하여 본 고안에 따른 영어 학습 교재는 잘 알려진 이야기를 학습 내용으로 하면서 일반 문장, 대화형 문장을 각각 학습할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학습 과정을 통하여 문법, 영작, 회화의 학습이 모두 가능할 수 있다.
도3는 본 고안에 따른 영어 학습 교재의 학습 문장들에 대한 종합 학습 부분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1,2와 같은 개별 문장들에 대한 학습을 일정량 마친 후에는 그동안 학습한 문장들을 모아, 문장 단위로 번역하는 학습 단계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문장의 의미 단위로 구분하지 않고, 문장 단위로 구분하여 색을 표시하며, 문장 단위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단계를 통하여 학습자는 그동안 학습한 문장들을 정리하고 반복 학습하게 됨으로써, 해당 문장들을 오래 기억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고안에 의한 교재는 잘 알려진 이야기를 학습 문장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학습 내용에 대한 기억 효과는 더욱 높아지게 된다.
덧붙여, 본 고안에 따른 영어 학습 교재는 영어 표현에 대한 원어민 음성 녹음을 CD 등의 형태로 더 제공할 수 있다. CD 등은 영어 학습 교재의 커버 내측에 결합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여러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고안의 사상을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이나 수정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100 : 한글 문장부 200 : 영어 표현부
300 : 영어 문장부 410, 420 : 설명부
500 : 그림

Claims (5)

  1. 영어 학습 교재에 있어서,
    한글 문장을 의미 단위로 구분하고, 의미 단위마다 색을 달리하여 한글 어순으로 표시하는, 한글 문장부;
    상기 한글 문장의 의미 단위에 대응되는 다수의 영어 표현을 상기 한글 문장의 의미 단위에 각각 대응시키고, 상기 다수의 영어 표현은 대응하는 상기 한글 문장의 의미 단위와 동일한 색으로 각각 표시하는, 영어 표현부;
    색을 달리하는 상기 다수의 영어 표현을 영어 어순으로 재배열하여 표시하는 영어 문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학습 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어 문장부는
    상기 다수의 영어 표현 중 일부를 빈 칸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학습 교재.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20009892U 2012-10-31 2012-10-31 영어 학습 교재 KR2004715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892U KR200471528Y1 (ko) 2012-10-31 2012-10-31 영어 학습 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892U KR200471528Y1 (ko) 2012-10-31 2012-10-31 영어 학습 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528Y1 true KR200471528Y1 (ko) 2014-02-28

Family

ID=51483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892U KR200471528Y1 (ko) 2012-10-31 2012-10-31 영어 학습 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52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526Y1 (ko) * 2019-12-04 2020-05-04 주식회사 임서영영재교육연구소 영어 학습 교재
KR102442824B1 (ko) * 2022-04-29 2022-09-15 김상윤 언어 학습 교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077A (ko) * 1998-06-24 1998-10-07 정은숙 한글과 문법적 어순이 다른 외국어의 효과적인 학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077A (ko) * 1998-06-24 1998-10-07 정은숙 한글과 문법적 어순이 다른 외국어의 효과적인 학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526Y1 (ko) * 2019-12-04 2020-05-04 주식회사 임서영영재교육연구소 영어 학습 교재
KR102442824B1 (ko) * 2022-04-29 2022-09-15 김상윤 언어 학습 교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se The Japanese writing system: Challenges, strategies and self-regulation for learning kanji
Bahrani et al. Authentic language input for language learning in EFL/ESL contexts
KR101102520B1 (ko) 한글 자모의 메트릭스 결합 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시청각 한글학습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2173240B1 (ko) 한글학습교재
KR20160118542A (ko) 한글 모음 제자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방법, 한글 입력 장치 및 한글 교육 시스템
JP4914808B2 (ja) 単語学習装置、対話型学習システムおよび単語学習プログラム
CN202601020U (zh) 外语记忆卡
KR200471528Y1 (ko) 영어 학습 교재
KR20060111602A (ko) 언어 발음 시스템 및 언어 발음 방법
KR20160109377A (ko) 한글 교습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학습 장치
KR20120020043A (ko) 동영상 자막 해설 표시를 이용한 언어 교육 방법
KR102624420B1 (ko) 중국어 교재
KR101630412B1 (ko) 영어 훈련교재 및 기록매체
KR101573262B1 (ko) 한글 자음 제자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방법, 한글 입력 장치 및 한글 교육 시스템
KR101841324B1 (ko) 한글교육블록 및 이를 제작하기 위한 한글교육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한글교육세트
Jjingo et al. (Re-) examining the standard kiswahili alphabet in the teaching syllabus for lower secondary schools in Uganda Caesar Jjingo Makerere University Marianna Visser Stellenbosch University
KR20130005496A (ko) 외국어 학습 제어 방법
KR20090063988A (ko) 세벌원판식 한글소리값 변환장치
Manning et al. Visual design principles and effective sentence diagrams for the 21st century
RU2404455C1 (ru) Способ обучения детей началам грамот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Young et al. Pointing on charts is a third way of working in the pronunciation classroom
Adoniou How do we produce literate students?
KR101512553B1 (ko) 외국어 표현 학습 교재
KR20070114233A (ko) 한글의 언어적 특징을 이용한 한글 학습 방법
JP6370571B2 (ja) 学習教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