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2183U - 한글 학습 장치 - Google Patents

한글 학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2183U
KR20220002183U KR2020210000693U KR20210000693U KR20220002183U KR 20220002183 U KR20220002183 U KR 20220002183U KR 2020210000693 U KR2020210000693 U KR 2020210000693U KR 20210000693 U KR20210000693 U KR 20210000693U KR 20220002183 U KR20220002183 U KR 202200021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sound
consonant
character
vow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6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6973Y1 (ko
Inventor
김현신
Original Assignee
김현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신 filed Critical 김현신
Priority to KR20202100006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973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1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1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9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9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 Electron Tubes For Measurement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글 학습 장치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한글의 창제원리에 기반하여 초성, 중성, 종성을 나누고, 초성, 중성 또는 종성에 해당하는 자음 또는 모음을 다시 음운별 특성에 따라 분류하고 획이 추가되는 순서에 따라 재배치하여 보다 효과적인 한글 학습을 도모한다. 한편, 초성, 중성 및/또는 종성에 해당하는 자음 또는 모음의 한글 한습 장치를 적층할 수 있도록 하여 초성, 중성 및/또는 종성의 결합으로 인하여 글자의 형성 원리를 단계별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한글 학습 장치{Apparatus for learning HANGUL}
본 발명은 한글 학습 장치에 대한 것이다.
한글은 말소리를 그대로 문자로 표기할 수 있는 소리글자이며, 최소 말소리인 음운(자음과 모음)의 조합으로 모든 한글을 표현할 수 있는 조합글자이며, 훈민정음 창제원리에 따른 기본적인 음운(ㄱ, ㄴ, ㅁ, ㅅ, ㅇ)의 경우 발 음기관의 모양을 본 뜬 상형문자이다. 이러한 한글의 주된 세 가지의 특성(소리글자, 조합글자, 상형문자)을 활용하여 한글을 학습하면 보다 쉽고 빠르게 말하고 읽고 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문자는 무형의 소리를 시각적인 요소로 변환한 것을 표현한 것으로, 영어에서의 알파벳, 일본어에서의 가나 및 한국어에서의 한글 등 각 언어가 갖는 다양한 글자는 각 글자에 대응되는 소리를 갖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한글은 소리의 형태를 형상화한 문자인데, 단어의 의미를 구별할 수 있는 음의 최소 단위인 음소 단위로 추출하여 각 음에 형태를 부여한 것이다. 즉, 하나의 소리를 하나의 낱말로 표현하고, 그 낱말은 각각 초성, 중성 또는 초성, 중성과 종성의 결합 형태를 갖는 시스템인 것이다.
또한 한글은 음절 수와 글자의 수가 동일하고, 음절 내에 존재하는 구조인 초성, 중성 또는 초성, 중성, 종성은 각각 자음과 모음의 결합, 자음과 모음, 그리고 다시 자음의 결합을 통해 명확한 형태상 차이를 갖게 되므로 적은 글자 수로도 각 결합되는 자음과 모음의 조합 등으로 인해 경우의 수가 많아 수 많은 소리를 글자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밤'이라는 글자를 보면, 자음 "ㅂ"과 모음 "ㅏ" 그리고 다시 자음 "ㅁ"이 각각 순서대로 결합된 형태이거니와 그 위치 또한 "ㅂ"과 "ㅏ"이 가로로 결합되어 있고, "ㅁ"이 그 밑에 결합된 형태로 볼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받침의 "ㅁ" 대신 "ㅂ"을 사용할 경우 "밥"이 되어 초성과 중성이 같아도 종성의 차이로 인하여 완전히 다른 뜻을 갖는 글자가 될 수 있다. 이처럼 한글은 자음과 모음이 결합되어 글자가 만들어지는데, 그 결합되는 자음과 모음, 그리고 각 결합 위치와 순서에 따라 다양한 글자를 만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역으로 하나의 글자를 볼 때에 위치와 순서 등을 분석하면 자음인지, 모음인지, 그리고 초성인지, 중성인지, 종성인지를 알 수 있기도 하다.
하지만 알파벳과 같은 타 언어에서는 자음과 모음이 수직으로 결합되는 것은 없이 오로지 가로 쓰기로만 되어 있으므로 알파벳의 구체적인 형태를 하나 하나 모두 다 알고 있는 상태에서야 비로소 전체 낱말의 각 구성 알파벳을 알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APPLE"은 "A", "P", "P", "L", "E"라는 알파벳이 가로로 나열되어 있는데,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각 알파벳의 구체적인 형태, 그리고 결합순서에 따라 단어를 형성하는 것이고, 한글에서와 같이 초성과 중성, 종성이 구분된다거나 자음과 모음이 결합하는 과정에서 결합의 위치나 순서 등과 같은 특징을 알기 어렵게 된다. 즉, "밤"이라고 할 경우 우측에 결합되는 "ㅏ"는 그 구체적인 의미나 소리를 모른다고 할 지라도 어느 한 글자의 우측부에 결합된다는 것을 통해서 모음, 그리고 중성에 해당하는 것임을 알 수 있는 반면, "APPLE"을 보면, 그 순서에만 특징이 있으므로 초성, 중성 및 종성의 구분, 그리고 글자의 특정 위치(예를 들어, 2번째에 등장하는 것이 모음에 해당한다거나 우측부에 있는 것은 모음에 해당한다거나 하는 등)에 따른 구분은 알기 어렵다는 것이다. 게다가 "APPLE"에서 "L"을 다른 알파벳인 "M"으로 바꿀 경우 "APPME"은 의미가 없는 글자여서 알파벳의 변환 또는 교체를 통해 가질 수 있는 글자의 폭은 한글에 비하여 좁을 수밖에 없다.
이처럼, 한글이 가지는 특징 및 이러한 시스템을 고려함이 없이는 한글 학습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한편, 기존의 한글 학습 장치들은 단순한 자음과 모음의 표시, 단어 중심의 통 문장 암기 방식, 단어와 그림의 매칭 방식, 한글 모양의 그림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앞서 서술한 한글이 갖는 특징이나 시스템이 전혀 반영되지 않거나, 반영되어 있다손 치더라도 그 정도는 미비하여 교육상 효율성을 살리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고 보인다.
이를테면, 한글 학습 장치들은 주로 여러 색상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화려한 디자인으로 되어 있을 뿐 한글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며, 소리글자인 한글의 음운(자음과 모음)의 음가(音價)를 제대로 알려주지 않고, 학습자로 하여금 기역, 니은, 디귿 식, 가, 나, 다, 라 식 또는 사자, 호랑이, 토끼 식으로 글자를 암기하도록 하여, 배워야 할 학습량이 매우 방대한 단점이 있다.
특히, 단어 중심의 통 문장 학습법의 경우 학습자가 단어를 빨리 배울 수 있지만 익히 배우지 않은 단어는 읽고 쓰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학습자가 '사자'라는 글자와 동물인 '사자'의 형상은 아는데, '사자'의 '사'자가 '사과'의 '사'자와 동일한 글자인 지 명확하게 알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며, '가구'는 읽을 수 있어도 '가방'의 '가'자, 고구마'의 '구'자는 모르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기계식으로 한글을 암기하도록 하는 한글의 창제원리와 무관한 한글 학습은 한글에 대한 흥미도를 떨어뜨려 기초 학습 실력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한글 창제 원리에 기반한 한글 학습 기구들이 개발, 연구되었으나 단지 자음과 모음을 평면상에 두고 결합하는 형태에 지나지 않았고, 단순한 조합으로부터 만들어진 글자의 학습에 불과하여, 획이나 받침의 추가에 따른 글자의 변화, 각 음운별 특성, 조음 기관, 자음과 모음이 음양 오행과의 관련성 내지 소리로부터 발생되는 느낌, 받침별 연결관계 등을 반영하지 못한 문제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는 데에서 더 나아가 각 자음과 모음의 획이나 받침의 추가에 따른 글자의 변화, 각 음운별 특성, 소리 분류, 조음기관의 위치와 조음도, 자음과 모음의 음양 오행, 받침별 연결관계 등에 따른 변화 등을 수반한 한글 학습 장치로서 한글의 특징과 시스템의 반영이 요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한글 학습 장치에 있어서 획이나 받침의 추가에 따른 글자의 변화, 음운별 특성, 조음기관과 조음도, 음양 오행과의 관련성 등을 수반한 것으로서 한글의 특징과 시스템이 반영된 새로운 한글 학습 장치를 발명하고자 한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한 일 수단으로는, 문자 표시부; 및 조작부로 구성된 한글 학습 장치로서, 상기 문자 표시부는, 소리 분류부, 자음 표시부, 조음기관도, 오행도, 및 오행문자표가 표시된 것이고, 상기 소리 분류부는, 어금니소리, 혓소리, 입술소리, 잇소리, 목구멍소리를 포함하는 것으로 각 소리 분류마다 색을 달리한 것이고, 상기 자음 표시부는, 상기 소리 분류부에 따라 일차로 분류된 뒤, 분류된 소리마다 획이 추가되는 순서대로 나열되되, 분류된 소리마다 색을 달리 하되, 획이 추가될 경우 추가되는 획을 기존 획과 다른 색이 표시되며, 상기 조음기관도는, 상기 소리 분류부에 따라 조음기관의 모습을 표시한 것으로, 소리가 나는 위치를 색을 달리 하여 표시하며, 상기 오행도는, 상기 소리 분류부에 따라 나무, 불, 흙, 쇠, 물로 나뉘어 각각의 그림을 갖는 것이고, 상기 오행문자표는, 상기 오행도를 설명하는 것으로 구성되며, 상기 조작부는, 톱니 방식, 다이얼 방식, 또는 막대가 부착되어 있어, 톱니, 다이얼, 또는 부착된 막대를 조작하여 문자 표시부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문자표시부의 뒷면에 들뜸부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 장치로 볼 수 있다.
또한, 일 수단으로 문자 표시부; 조작부로 구성된 한글 학습 장치로서, 상기 문자표시부는, 모음 표시부, 입술 그림이 포함되는 것이고, 상기 모음 표시부는 양성모음, 중성모음 또는 음성모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되, 양성모음, 중성모음 또는 음성모음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그룹이 표시될 경우에는 색을 달리하는 것이고, 상기 조작부는, 톱니 방식, 다이얼 방식, 또는 막대가 부착되어 있어, 톱니, 다이얼, 또는 부착된 막대를 조작하여 문자 표시부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 장치를 일 수단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문자 표시부; 조작부로 구성된 한글 학습 장치로서, 상기 문자 표시부는, 자음 표시부 또는 모음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 그리고 발음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자음 표시부는, 글자 표기와 소리가 같은 자음과 글자 표기와 소리가 다른 자음을 구분하여 표시하되, 상기 발음 표시부는, 상기 글자 표기와 소리가 다른 자음의 경우 하단에 소리 표기 또는 소리형태가 그림으로 추가 표시되며, 상기 자음 표시부상의 자음, 발음 표시부상의 발음 표시는 색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 장치를 일 수단으로 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서술한 각 한글 학습 장치가 각각 면를 달리하여 적층될 경우-예를 들어 초성을 맨 밑에 깔고, 중성을 그 위에, 종성을 중성의 면 위에 쌓아올리는 적층 형태 또는 책의 형태와 같이 맨 앞의 면을 초성으로, 다음 면을 중성으로, 그 다음 면을 종성으로 하는 적층의 형태를 꾀할 수 있다-아래의 면 또는 앞의 면에 위치한 한글 학습 장치가 위의 면 또는 뒤의 면에 위치한 한글 학습 장치에서 보이도록, 위의 면 또는 뒤의 면에 위치한 한글 학습 장치의 특정 위치에 절개창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창은 아래의 면 또는 앞의 면에 위치한 한글 학습 장치의 문자 표시부상의 특정 문자가 보이도록 위치하며, 현재 면에 위치한 한글 학습 장치의 문자 표시부 상의 특정 글자와 조합하면 글자가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조합되는 위치에 따라 현재 면에 위치한 한글 학습 장치의 문자 표시부와 절개창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 장치를 일 수단으로 볼 수 있다(단, 설명의 편의를 위해 청구범위에서는 앞의 면, 뒤의 면이라고 표현하나, 청구범위 내에서의 표현은 수직 적층, 수평 적층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라 할 것이다)
단, 여기서 나열된 것을 본 발명이 갖는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국한하여 해석할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전체 내용에 기반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실체-요지를 포함하는 것은 모두 본 발명에 따른 과제의 해결 수단이 될 수 있다.
상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한글 학습 장치에 있어서 획이나 받침의 추가에 따른 글자의 변화, 음운별 특성, 조음기관과 조음도, 음양 오행과의 관련성 등을 수반한 것으로 한글의 특징과 시스템이 반영된 새로운 한글 학습 장치를 발명하여 효과적인 한글 학습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학습 장치를 도시한 모식도로서, 각각 초성, 중성 및 종성을 표현한 것이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학습 장치를 도시한 모식도로서, 초성, 중성 및 종성을 표현한 면의 결합 형태 및 각 장치의 상대적 위치를 표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히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몇몇의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일(a 또는 an)", "하나(on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학습 장치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은 글자의 초성에 해당하는 자음에 관한 것으로서, 문자 표시부; 및 조작부로 구성된 한글 학습 장치로 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문자 표시부는, 소리 분류부, 자음 표시부, 조음기관도, 오행도, 및 오행문자표가 표시된다.
상기 소리 분류부는, 조음 위치에 따른 분류로 어금니소리, 혓소리, 입술소리, 잇소리, 목구멍소리 등으로 분류할 수도 있으나, 다른 분류 체계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될 수 있을 수 있다.
또한, 각 소리 분류마다 색을 달리한 것으로, 예를 들어 어금니소리, 혓소리는 갈색계열, 입술소리는 녹색 계열, 잇소리는 파란색 계열, 목구멍소리는 보라색 또는 분홍색 계열로 표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아니하며, 다양한 색을 통해 색감의 전달과 구분을 도모하면 족하다.
상기 자음 표시부는, 상기 소리 분류부에 따라 일차로 분류된 뒤, 분류된 소리마다 획이 추가되는 순서대로 나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금니소리로 분류되는 "ㄱ", "ㅋ", "ㄲ"은 "ㄱ"에서 출발하여 획이 추가 될 경우, "ㅋ"이 되고, 획이 더 추가될 경우 "ㄲ"이 될 수 있다. 이처럼, 기본 자음으로부터 획이 추가됨에 따라 순서대로 나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각 소리 별로 분류된 것들을 색을 달리 할 수 있다. 이 때, 자음 표시부상의 색은 소리 분류부의 색과 같은 색으로 할 수도 있고, 소리 분류부와 다른 색으로도 할 수 있다.
또한 같은 분류 내에서 획이 추가되는 순으로 배열된 자음의 경우, 추가되는 획을 기존 획과 다른 색이 표시되게끔 하여, 어떠한 획이 추가된 것인지 시각적으로 보이도록 하여 직관적인 인식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조음기관도는, 상기 소리 분류부에 따라 조음기관의 모습을 표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인체의 두개골과 목구멍, 혀, 구강 구조를 측면에서 바라본 것으로, 혀의 위치나 입술의 모양 등을 표시하며, 소리가 나는 기관(조음기관)에는 색을 달리 표시하여 어디에서 소리가 나는 지 쉽게 알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입술 소리의 경우에는 타 분류된 소리는 다르게 입술 모양만을 보여주어 입술에서 나는 소리임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오행도는, 음양오행의 원리에 따라 소리를 나눈 것으로, 상기 소리 분류부에 따라 나무, 불, 흙, 쇠, 물로 나뉘어 각각의 그림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오행문자표는, 상기 오행도를 설명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어금니소리는 나무의 성질과 닮아 음양오행 중 나무와 연관되도록 하고, 혓소리는 불의 성질과 닮아 음양오행 중 불과 연관되도록 하는 식이다.
이러한 문자 표시부는 회전할 수 있는 원판이 되거나 이에 한하지 아니하며, 회전하는 컨베이어 벨트와 같은 순환 구조이거나 비순환 구조를 갖더라도 상기 나열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이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문자 표시부를 쉽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탈부착부가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작부는, 상기 문자 표시부를 조작하도록 하는 것을 말하며, 톱니 방식, 다이얼 방식, 또는 막대가 부착되어 있는 등 다양한 방식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하는 원판의 외주면을 톱니 방식으로 형성하여 요철 부분을 손가락으로 짚어 돌리게끔 하여 원판을 돌리도록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시야 중앙에 원하는 자음이 위치하도록 하여 학습을 도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다이얼 방식으로 할 경우 회전하는 원판의 바깥쪽 또는 안쪽 부분에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구멍을 뚫어 해당 구멍에 손가락을 집어넣어 조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막대가 부착된 경우라면 레버를 조절하듯이 움직여 문자 표시부를 조작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문자표시부의 뒷면에 들뜸부가 추가로 형성되게끔 하여 회전하는 원판이 보다 더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학습 장치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구체적으로 문자 표시부; 조작부로 구성된 한글 학습 장치로서, 상기 문자표시부는, 모음 표시부와 입술 그림이 포함되는 것이다(단, 조작부는 도 2에서 생략하나 도 1에서 살펴본 형태 또는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상기 모음 표시부는 양성모음, 중성모음 또는 음성모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양성모음, 중성모음 또는 음성모음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그룹이 표시될 경우에는 색을 달리하여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ㅠ", "ㅜ", "ㅡ", "ㅗ", ㅛ"가 표시된 경우 음성모음 3개와 양성모음 2개가 나열된 것으로 이 때에, "ㅠ"와 "ㅜ"는 청색계열로, "ㅡ"는 보라색으로, "ㅗ", "ㅛ"는 분홍색 계열로 표시하여 같은 분류체계에 속하는 모음은 같은 색을 갖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시각적으로 해당 모음의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자음 표시부를 갖는 한글 학습 장치와 적층되게 위치하여, 자음 표시부 상의 특정 자음이 보이게끔 하는 절개창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절개창은 앞면의 자음 표시부에서 특정 자음이 정 위치에 오게 될 경우 그 특정 자음만 보이도록 하는 것을 말하고, 보여지는 특정 자음과 현재 면의 모음이 결합되어 초성과 중성을 이루는 글자를 형성하게끔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초성과 중성을 이루는 글자가 형성될 때에, 모음 표시부는 획의 길이 방향과 절개창을 통해 표시되는 자음과의 결합시 정해지는 상대적인 위치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음 표시부 상에 표시된 모음이 "ㅠ", "ㅜ", "ㅡ", "ㅗ", ㅛ"인 경우 "ㅡ" 획이 중심이 되는 획이 되고, 또한 자음과 결합할 때에 자음의 하단에 위치하기 때문에 앞면의 특정 자음이 보이도록 하는 절개창의 하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만약 모음 표시부 상에 표시된 모음이 "ㅏ", "ㅓ", "ㅣ", "ㅐ" 등인 경우 "ㅣ" 획이 중심이 되는 획이 되고, 또한 자음과 결합할 때에 자음의 우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앞면의 특정 자음이 보이도록 하는 절개창의 우측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조작부나 들뜸부 등 관련 추가 구성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학습 장치를 도시한 모식도로서, 구체적으로 받침 글자 또는 소리에 대한 것이다.
이에 따른 한글 학습 장치는 문자 표시부; 조작부로 구성된 한글 학습 장치이다(단, 조작부는 도 3에서 생략하나 도 1에서 살펴본 형태 또는 관련 설명으로 갈음한다).
상기 문자 표시부는, 자음 표시부와 모음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 그리고 발음표시부를 포함하되, 이는 받침 글자를 표시한 것이다.
그 중에서 상기 자음 표시부는, 글자 표기와 소리가 같은 자음과 글자 표기와 소리가 다른 자음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ㄴ", "ㄷ"의 경우 글자 표기와 소리가 같은 자음이나, "ㅌ"이나 "ㅍ"의 경우 표기는 "ㅌ"과 "ㅍ"이나, 소리는 "ㄷ" 또는 "ㅂ"으로 발음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자음 표시부 또는 모음 표시부에는 이중 받침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
Figure utm00001
"의 경우 글자 표기 방식은 "ㅂ"과 "ㅅ"이 결합된 이중 자음의 받침이나, 소리는 "ㅂ"으로 발음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에는 문자를 표기하는 부분에는 "
Figure utm00002
"을 표기하고, 그 하단에 발음나는 소리인 "ㅂ"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발음 표시부는, 위의 예시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기 글자 표기와 소리가 다른 자음의 경우 하단에 소리 표기 또는 소리형태가 그림으로 추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음 표시부상의 자음과 발음 표시부상의 발음 표시는 색을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글자 표기와 소리가 같은 경우에는 유채색을 할 수 있되, 이 때에도 색을 달리 할 수 있다. 도 3에 따르면,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경우 글자 표기와 소리가 같은 것으로 보고, 빨간색, 노란색, 주황색, 녹색, 보라색으로 각각 달리 표기할 수 있다.
한편, 글자 표기와 소리가 다른 경우에는 자음 표시부에 표기된 자음을 흰색으로 표기하고, 그 아래에 각각 발음나는 자음의 표기를 하고, 본래 자음 표시부에 표기된 자음의 색으로 표기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ㅋ"의 경우 자음 표시부는 흰색이나, 그 하단에 소리를 표시한 "ㄱ"은 빨간색으로 표시된 것을 볼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 학습 장치를 도시한 모식도이되, 구체적으로는 앞면의 3가지 한글 학습 장치가 적층된 형태로 볼 수 있다.
즉, 초성, 중성 및 종성의 한글 학습 장치를 층층이 쌓아올려 마지막에 절개창을 통해서 완성된 글자를 보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절개창은 도 2 및 도 3에서도 보이듯, 중성과 종성에 관한 학습 장치에서도 있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초성과 중성의 결합 또는 초성, 중성 및 종성의 결합을 통한 글자의 형성 과정을 학습하게 된다.
그리고 여기서 초성, 중성 및 종성의 한글 학습 장치가 적층된 상태에서 최후의 면에 위치한 절개창을 통해서 보여지는 초성을 고정한 상태에서 중성이나 종성의 조작부를 이용하여 조작하는 경우에는 초성이 고정된 상태에서 다양한 중성과 종성의 조합으로 다양한 글자가 형성되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적층의 순서를 초성, 중성 및 종성의 순으로 하여 면의 순서에 따라 자연스럽게 글자의 형성 순서대로 학습을 도모할 수 있고, 적층되는 위치가 완성된 글자의 초성, 중성 및 종성 형태가 반영될 수 있도록 초성 면과 중성 면, 그리고 종성 면에서 절개창과 문자 표시부 등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성이 정해진 상태에서, 중성이 초성의 하단에 결합되는 형태라면, 중성을 표현하는 면 내에서, 이미 정해진 초성이 보이게 되는 절개창은 중성의 문자 표시부의 상단에 위치되게끔 한다. 이를 통해 중성을 표현하는 면에서 조작되는 중성과, 절개창을 통해 보여지는 이미 정해진 초성과의 결합은 자연스럽게 수직 결합(초성의 하단에 중성이 결합)이 된다. 만약 중성이 초성의 우측부에 결합되는 형태라면, 중성을 표현하는 면에서 초성을 표현하는 면에서 정해진 초성이 보여지는 절개창의 우측부에 중성을 표현하는 면의 문자 표시부가 위치되게끔 하여, 초성과 중성이 자연스럽게 횡서 결합(초성의 우측부에 중성이 결합)이 된다.
이에 따라, 평면상에서 초성, 중성 및 종성이 모두 배치되어 있어, 단일한 평면 상에 초성, 중성 및 종성을 조합하여 글자를 만드는 것과는 달리, 초성, 중성 및/또는 종성이 입체적으로 면을 달리하여 적층 구조로 쌓아가는 경우에는 자연스레 초성, 중성 및 종성의 순서대로 학습하게 되어 글자의 형성 순서를 익히기 쉽고, 초성과 중성의 결합 위치에 따라, 그리고 초성과 중성이 정해진 상태에서 종성의 결합 위치에 따라서도 학습이 가능해진다. 초성, 중성 및 종성 각각에 대한 음운적 특성 등을 추가로 설명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초성은 고정한 채, 중성을 조작하여 변화하는 다양한 글자의 형성 방식을 익힐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앞서 살펴본 예와 같이 같은 초성과 중성을 가지더라도, 같은 위치상의 종성만을 조작함으로써 다양한 글자가 만들어지는 원리를 알 수 있게 한다.
즉, 달리 말하면, 한 면에 초성, 중성 및 종성을 표시하는 장치가 모두 있을 경우엔 초성, 중성 및 종성의 순서를 구분하기가 어렵고, 음운적 특성 등을 설명하는 공간이 없거나 협소할 수 있으며, 초성을 고정하고, 중성이나 종성을 바꿔 글자를 형성하는 데에 다소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4)

  1. 문자 표시부; 및 조작부로 구성된 한글 학습 장치로서,
    상기 문자 표시부는,
    소리 분류부, 자음 표시부, 조음기관도, 오행도, 및 오행문자표가 표시된 것이고,
    상기 소리 분류부는, 어금니소리, 혓소리, 입술소리, 잇소리, 목구멍소리를 포함하는 것으로 각 소리 분류마다 색을 달리한 것이고,
    상기 자음 표시부는, 상기 소리 분류부에 따라 일차로 분류된 뒤, 분류된 소리마다 획이 추가되는 순서대로 나열되되, 분류된 소리마다 색을 달리 하되, 획이 추가될 경우 추가되는 획을 기존 획과 다른 색이 표시되며,
    상기 조음기관도는, 상기 소리 분류부에 따라 조음기관의 모습을 표시한 것으로, 소리가 나는 위치를 색을 달리 하여 표시하며,
    상기 오행도는, 상기 소리 분류부에 따라 나무, 불, 흙, 쇠, 물로 나뉘어 각각의 그림을 갖는 것이고,
    상기 오행문자표는, 상기 오행도를 설명하는 것으로 구성되며,
    상기 조작부는, 톱니 방식, 다이얼 방식, 또는 막대가 부착되어 있어,
    톱니, 다이얼, 또는 부착된 막대를 조작하여 문자 표시부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문자표시부의 뒷면에 들뜸부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 장치.
  2. 문자 표시부; 조작부로 구성된 한글 학습 장치로서,
    상기 문자표시부는,
    모음 표시부, 및 입술 그림이 포함되는 것이고,
    상기 모음 표시부는 양성모음, 중성모음 또는 음성모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되, 양성모음, 중성모음 또는 음성모음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그룹이 표시될 경우에는 색을 달리하는 것이고,
    상기 조작부는,
    톱니 방식, 다이얼 방식, 또는 막대가 부착되어 있어,
    톱니, 다이얼, 또는 부착된 막대를 조작하여 문자 표시부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 장치.
  3. 문자 표시부; 조작부로 구성된 한글 학습 장치로서,
    상기 문자 표시부는,
    자음 표시부 또는 모음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 그리고 발음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자음 표시부는, 글자 표기와 소리가 같은 자음과 글자 표기와 소리가 다른 자음을 구분하여 표시하고,
    상기 자음 표시부 또는 모음 표시부는 이중 모음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발음 표시부는, 상기 글자 표기와 소리가 다른 경우 하단에 소리 표기 또는 소리형태가 그림으로 추가 표시되며,
    상기 자음 표시부상의 자음, 발음 표시부상의 발음 표시는 색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 장치.
  4. 제1항과 제2항 또는 제3항의 한글 학습 장치가 각각 면를 달리하여 적층될 경우로서,
    제1면은 초성, 제2면은 중성, 그리고 제3면은 종성을 표현한 것이며,
    제2면 또는 제3면은 앞의 면에 위치한 한글 학습 장치가 뒤에 위치한 한글 학습 장치에서 보이도록 절개창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창은 앞의 면에 위치한 한글 학습 장치의 문자 표시부상의 특정 문자가 보이도록 위치하며,
    절개창을 통해 보이는 앞의 면에 위치한 한글 학습 장치의 문자 표시부상의 특정 문자와, 현재 면에 위치한 한글 학습 장치의 문자 표시부 상의 특정 글자와 조합하면 글자가 만들어지는 것이되,
    조합되는 위치에 따라 현재 면에 위치한 한글 학습 장치의 문자 표시부와 절개창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결정되는 것이고,
    제1면, 제2면 또는 제3면이 적층된 상태에서 각 면당 조작부를 이용하여 각 면에서 특정되는 문자를 달리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 장치.?

KR2020210000693U 2021-03-04 2021-03-04 한글 학습 장치 KR2004969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693U KR200496973Y1 (ko) 2021-03-04 2021-03-04 한글 학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693U KR200496973Y1 (ko) 2021-03-04 2021-03-04 한글 학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183U true KR20220002183U (ko) 2022-09-14
KR200496973Y1 KR200496973Y1 (ko) 2023-06-20

Family

ID=83278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693U KR200496973Y1 (ko) 2021-03-04 2021-03-04 한글 학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973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8505U (ko) * 1989-07-28 1991-03-22
KR20090063988A (ko) * 2007-12-14 2009-06-18 김순이 세벌원판식 한글소리값 변환장치
KR20140101163A (ko) * 2013-02-08 2014-08-19 유한책임회사 아빤가로다 한글 학습용 아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한글 표현 방법
KR20190057934A (ko) * 2017-11-21 2019-05-29 김현신 한글 학습 장치 및 한글 학습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8505U (ko) * 1989-07-28 1991-03-22
KR20090063988A (ko) * 2007-12-14 2009-06-18 김순이 세벌원판식 한글소리값 변환장치
KR20140101163A (ko) * 2013-02-08 2014-08-19 유한책임회사 아빤가로다 한글 학습용 아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한글 표현 방법
KR20190057934A (ko) * 2017-11-21 2019-05-29 김현신 한글 학습 장치 및 한글 학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973Y1 (ko) 202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046274A (ja) アルファベットのイメージ音読システム
KR101293467B1 (ko) 영어 발음 학습 교재
Eyre et al. Interactions between orality and literacy in ancient Egypt
KR20100092541A (ko) 중국어 학습장치 및 방법
US8629341B2 (en) Method of improving vocal performance with embouchure functions
CN107041159B (zh) 发音助手
KR102298115B1 (ko) 한글 자.모음 학습 방법,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 및 한글 학습용 미니 북
MacMahon Orthography and the early history of phonetics
KR20190057934A (ko) 한글 학습 장치 및 한글 학습 방법
KR200496973Y1 (ko) 한글 학습 장치
WO2017164849A1 (en) System, learning material,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executing hangul acquisition method based on phonetics
KR102624420B1 (ko) 중국어 교재
JP6126339B2 (ja) 中国語の教材
KR200471528Y1 (ko) 영어 학습 교재
Lee A study of Korean diction for choral conductors using the principles of the Korean writing system
KR101841324B1 (ko) 한글교육블록 및 이를 제작하기 위한 한글교육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한글교육세트
JP3245581U (ja) 言語の発音教材
RU2195708C2 (ru) Звуковизуальное представление с надписями на нем, способ связывания выразительных устных произнесений с записями по порядку на звуковизуальном представлении и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е для линейного и интерактивного представления
Juan-Checa Comparing phonetic difficulties by EFL learners from Spain and Japan.
Atkielski Phonetic transcription can be a useful tool for teaching or correcting pronunciation in the ESL/EFL classroom
KR102389954B1 (ko) 한글 학습 장치
KR102180681B1 (ko) 한글 학습 장치
JP6449506B1 (ja) 外国語音声用日本語文字列表示装置、同表示システム、同表示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同表示媒体
KR20230131044A (ko) 외국어 발음 표기 방법 및 외국어 발음 표시 장치
Habib Translating the Qurʾān: Towards A New Approa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