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3029A -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3029A
KR20090063029A KR1020070130544A KR20070130544A KR20090063029A KR 20090063029 A KR20090063029 A KR 20090063029A KR 1020070130544 A KR1020070130544 A KR 1020070130544A KR 20070130544 A KR20070130544 A KR 20070130544A KR 20090063029 A KR20090063029 A KR 20090063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motor
steering
torque
steering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0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9139B1 (ko
Inventor
최해용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0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9139B1/ko
Priority to US12/276,643 priority patent/US20090259367A1/en
Priority to CN2008101727978A priority patent/CN101456429B/zh
Publication of KR20090063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3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6Controlling the motor
    • B62D5/0463Controlling the motor calculating assisting torque from the motor based on driver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81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2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vehicl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Abstract

본 발명은 감속기를 구성하는 웜/웜휠의 기어비를 증가시킴에 따라 발생하는 관성 모멘트의 증가를 보상하는 로직을 추가함으로써 관성 모멘트의 증가에 따른 조향 응답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창안된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구성은, 조향 토크, 조향각, 조향각속도, 차속을 입력받아 토크 부스트 제어, 복원력 제어, 댐핑 제어를 통해 모터의 목표 토크치를 계산하고, 현재 모터의 전류를 센싱한 다음 이에 대한 비례적분 제어(PI 제어)를 통해 상기 목표 토크치와의 과/부족 전압을 보상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최종적인 모터 토크를 제어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례적분 제어 단계에는 실시간으로 센싱되는 모터 속도에 따라 가변하는 비례상수(α)에 의한 모터 속응 제어가 추가된다.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모터 속도, 관성 모멘트, 비례상수

Description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의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Motor Driven Power steering}
본 발명은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 있어서 감속기를 구성하는 웜/웜휠의 기어비를 증가시킴에 따라 발생하는 관성 모멘트의 증가를 보상할 수 있는 로직이 추가된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MDPS: Motor Driven Power Steering)은 모터의 동력에 의해 차량의 주행 속도에 따라 핸들의 조타력을 주차 또는 저속시 가볍게 해주고, 고속시 무겁게 하여 고속 주행 안정성을 제공함과 아울러 비상시 급속한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최적의 조향 조건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스티어링 휠(1)과 이 스티어링 휠(1)과 연결되어 운전자의 스티어링 방향에 따라 회전하는 조향 칼럼(2), 이 조향 칼럼(2)의 끝단에 설치되어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고 특히 모터 토크를 제어하 기 위한 최종 전류치를 출력하는 제어부(3), 상기 조향 칼럼(2)의 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3)로부터 출력되는 최종 전류치에 의해 작동되는 모터(4)와 이 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감속기(5), 상기 스티어링 휠(1)의 조향 토크를 감지하는 토크 센서(6), 상기 모터(4)의 회전력을 차륜으로 전달하는 유-조인트(7) 및 기어박스(8)로 구성된다. 이 밖에, 차속 센서, 조향각 센서, 조향각속도 센서 등이 장착되어 센싱된 결과를 상기 제어부(3)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은 종래의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과 비교할 때, 차량 무게의 감소 및 동력 손실의 방지 등으로 연비 및 유지비가 적게 든다는 점, 오일 삭제로 누유가 없어 환경 친화적이라는 점, 부품수 감소로 경량화를 실현하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 차량 속도별 정확한 조타력 제어가 가능하고 고속주행 안전성이 향상되어 조향 성능이 향상된다는 점 등의 여러 가지 장점이 있어 최근에 급속히 그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중량 및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최적의 시스템 개발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연구 동향의 일환으로 개발된 것으로서,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 있어서 감속기를 구성하는 웜/웜휠의 기어비를 증가시킬 때 발생하는 모터 속도 증가 및 이에 따른 관성 모멘트의 증대를 효과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어비의 증가에 따른 원가 절감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전동식 파 워 스티어링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구성은, 조향 토크, 조향각, 조향각속도, 차속을 입력받아 토크 부스트 제어, 복원력 제어, 댐핑 제어를 통해 모터의 목표 토크치를 계산하고, 현재 모터의 전류를 센싱한 다음 이에 대한 비례적분 제어(PI 제어)를 통해 상기 목표 토크치와의 과/부족 전압을 보상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최종적인 모터 토크를 제어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례적분 제어 단계에는 실시간으로 센싱되는 모터 속도에 따라 가변하는 비례상수(α)에 의한 모터 속응 제어가 추가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비례상수(α)는 모터 속도에 반비례하는 값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웜/웜휠의 기어비를 증가시킬 때 발생하는 모터 속도 증가 및 이에 따른 관성 모멘트의 증대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기어비의 증가에 따른 원가 절감 효과를 달성할 수 있어 저가형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모터의 중량 및 사이즈 저감 효과에 따른 저가형 전동식 파워 스 티어링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 있어서 모터 감속기를 구성하는 웜/웜휠의 기어비를 증가시키면 모터의 정격 운점점이 변동되어 모터의 요구 토크가 감소된다.
예를 들어 종래에 일정한 웜/웜휠의 기어비에서 400W의 출력을 내는데 3.7 N·m의 정격 토크가 요구되었는데, 본 발명에서와 같이 웜/웜휠의 기어비를 1.4배 증가시켰을 때는 동일한 출력을 내는데 2.4 N·m의 정격 토크만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정격 토크의 감소는 동일한 출력에서 모터의 중량 및 사이즈 저감 효과를 가져오므로 저가형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하다.
다만, 웜/웜힐의 기어비를 증가시키면 그 반대 급부로 모터 속도가 증가한다.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이 웜/웜휠의 기어비를 1.4배 증가시키면 모터 속도는 1050rpm에서 1500rpm으로 증가된다. 이와 같이 모터 속도가 증가하면 모터의 관성 모멘트가 증가하게 되고 그 결과 조향 제어에 대한 응답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웜/웜휠의 기어비를 증가시킨 저가형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을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모터 속도의 증가에 따른 조향 제어의 응답성 저하를 해결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터 속도의 증가에 따른 속응 제어 로직을 추가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은 그 블록도이다. 참고로 도 3에서 제어부(10) 내에 도시된 구성은 소프트웨어적인 로직을 나타내고, 제어부(10) 외에 도시된 구성은 하드웨어적인 구성요 소를 나타낸다.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의 제어방법은 크게 시스템 제어 단계(S10 ~ S30)와 액추에이터 제어 단계(S40 ~ S9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시스템 제어 단계를 설명하면, 조향 장치 내에 설치된 토크 센서, 조향각 센서, 조향각속도 센서 및 차속 센서에 의해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을 조향함에 따라 발생하는 조향 토크, 조향각, 조향각속도 및 현재 차량의 속도를 센싱하여 제어부(10)로 전송한다(S10).
제어부(10)는 상기 전송된 조향 토크, 조향각, 조향각속도 및 차속 데이터를 가지고 토크 부스트(torque boost) 제어, 복원력 제어, 댐핑 제어를 통해 목표 토크치를 계산한다(S20,S30). 상기 토크 부스트 제어는 운전자의 조향 토크에 따른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복원력 제어는 조향된 스티어링 휠을 센터로 복귀시키는 힘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 복원력은 조향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한다. 댐핑 제어는 조향반력 또는 복원력에 상응하게 작용하여 운전자의 조향감을 향상시켜주는 힘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 댐핑력은 조향력과 동일한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토크 부스트 제어, 복원력 제어, 댐핑 제어를 통해 운전자의 조향 정도에 따라 모터가 작동해야할 목표 토크치를 계산하고 이를 출력한다. 이 단계까지가 시스템 제어 단계에 속한다.
시스템 제어 단계를 통해 출력된 목표 토크치를 실현하기 위해 실제 액츄에이터인 모터의 제어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커패시터(20)에서 인가된 전류가 3상 인버터(30)를 통해 모터(40)로 전송되 는데, 제어부(10)는 현재 모터에 인가되고 있는 3상(U,V,W축)의 전류값을 센싱한다(S40). 그리고, 센싱된 3상의 전류값을 후속하는 비례적분 제어(PI 제어, Proportional Integral Control)에 의해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도록 2상(d,q축)으로 변환한다(S50). 보다 상세하게는, 센싱된 3상 전류값의 직교좌표값(a,b,c)을 정지좌표값(α,β)으로 변환하고, 이 정지좌표값(α,β)을 다시 동기좌표값(d,q)으로 변환한다(11,12).
다음으로, 변환된 2상 전류값을 가지고 전류 제어인 비례적분 제어(15,16)를 행한다(S6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변환된 2상 전류값을 가지고 유효전류 기준신호에 따른 토크 제어(13,q축)와 무효전류 기준신호에 따른 토크 제어(14,d축)를 각각 수행한다. 그 후 상기 시스템 제어를 통해 계산된 목표 토크치에 대해 현재 모터에 인가되고 있는 전압의 과/부족 양을 계산하고, 이를 보상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17)를 발생한다(S70,S80). 상기 PWM 신호는 전원이 과전압일 때 펄스폭을 작게 하고, 저전압일 때 펄스폭을 크게 한다. 이 펄스 형태로 발생되는 신호에 의해 제어부의 출력이 모터에 전달되면 최종적인 모터 토크가 발생된다(S90).
상술한 S10 내지 S90 단계로 수행되는 종래의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제어방법에는 모터 속도에 따라 가변하는 관성 모멘트에 대한 제어 로직이 전혀 없기 때문에 웜/웜휠의 기어비를 증가시키는 저가형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 그대로 적용할 경우 조향 응답성의 저하를 막을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기 S90 단계에서 출력되는 최종 모터 토크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의 속도를 모터 속도센서(50)에 의해 실시간으로 센싱하고, 이 모터 속도를 피드백받아 S60 단계인 비례적분 제어 단계에서 모터 속도에 따른 제어(이를 "모터 속응 제어"라고 한다)를 수행하는 로직을 추가함으로써 관성 모멘트 증가에 따른 조향 응답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모터 속응 제어는 본 발명의 가장 특징적인 기술구성을 이룬다.
이 모터 속응 제어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사양에 따라 구체적인 로직의 구성은 달라지므로 다양한 실시예로 실현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모터 속응 제어는 모터 속도에 따라 변하는 비례상수(α)에 의해 제어된다는 점에서 공통된다.
즉, 모터 속도가 증가하면 할수록 관성 모멘트가 증가하므로 운전자의 조향 응답성은 더 저하된다. 따라서, 모든 모터 속응 제어는 그 다양한 실시예에도 불구하고 상기 비례상수(α)를 모터 속도에 따라 가변하는 값을 가지도록 설정하고, 이에 대한 비례식으로 제어치를 산출하여 관성 모멘트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작아지도록 제어한다는 점에서 공통된다 할 것이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속응 제어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IL*는 토크 기준 신호이고, IL은 최종 출력되는 부하 전류를 의미한다. 그리고, Vdc는 제어부의 입력 전류이고, Vcon는 제어부의 제어 출력 신호이며, Vref* 는 제어부 입력전압 기준 신호이고, Vtri는 제어부 내부의 삼각파 전압 피크치를 의미한다. 그리고, 연산 기호가 포함된 원은 연산자이다. 예를 들어, 원 안에 (+,+)가 기재되어 있다면 2개의 값을 덧셈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4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 제어를 통해 계산된 토크 기준 신호(IL*)가 여러 단계의 연산을 거쳐 모터로 최종 출력되는 부하 전류(IL)로 계산된다. 이 최종 부하 전류(IL)는 상기 도 2의 S40 단계를 통해 센싱되고 피드백되어 토크 기준 신호(IL*)와 연산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 속도센서(50)가 상기 최종 부하 전류(IL)를 피드백받아 모터 속도를 실시간으로 센싱하고, 이 모터 속도에 따른 비례식(60)이 포함된 모터 속응 제어 로직을 구성한다. 여기서 KP는 시스템 사양, 제어 범위 등에 따라 정해지는 비례계수이다.
하기 표 1은 도 4와 같이 구성된 모터 속응 제어 로직에서 사용되는 모터 속도에 따른 비례상수(α)의 변화값을 예시한 것이다.
모터 속도(rpm) 비례상수(α)
0 ~ 1000 1
1000 ~ 1500 0.8
1500 ~ 2000 0.6
2000 ~ 2500 0.4
2500 ~ 3000 0.2
3000 이상 0
표 1에 따르면 모터 속응 제어 로직을 구성하는 비례상수(α)는 모터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더 작은 값을 가진다. 즉, 모터 속도에 반비례하는 값을 가지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모터 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상수(α)가 감소하고, 그 결과 도 4에 도시된 비례식(60)인 (1-α)KP에 의해 피드백되는 전체 제어치도 커지게 된다. 따라서, 모터 속도의 증가에 따라 관성 모멘트가 증가할 경우 이에 대한 제어치도 함께 증가시켜 관성 모멘트의 증가에 따른 조향 응답성 저하를 감소시켜주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의 제어방법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의 제어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속응 제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어부 20: 커패시터
30: 3상 인버터 40: 모터
50: 모터 속도센서

Claims (2)

  1. 조향 토크, 조향각, 조향각속도, 차속을 입력받아 토크 부스트 제어, 복원력 제어, 댐핑 제어를 통해 모터의 목표 토크치를 계산하고, 현재 모터의 전류를 센싱한 다음 이에 대한 비례적분 제어(PI 제어)를 통해 상기 목표 토크치와의 과/부족 전압을 보상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최종적인 모터 토크를 제어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례적분 제어 단계에는 실시간으로 센싱되는 모터 속도에 따라 가변하는 비례상수(α)에 의한 모터 속응 제어가 추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의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례상수(α)는 모터 속도에 반비례하는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의 제어방법.
KR1020070130544A 2007-12-13 2007-12-13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의 제어방법 KR100999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544A KR100999139B1 (ko) 2007-12-13 2007-12-13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의 제어방법
US12/276,643 US20090259367A1 (en) 2007-12-13 2008-11-24 Method for controlling motor-driven power steering system
CN2008101727978A CN101456429B (zh) 2007-12-13 2008-12-12 用于控制电机驱动动力转向系统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544A KR100999139B1 (ko) 2007-12-13 2007-12-13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3029A true KR20090063029A (ko) 2009-06-17
KR100999139B1 KR100999139B1 (ko) 2010-12-08

Family

ID=40767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0544A KR100999139B1 (ko) 2007-12-13 2007-12-13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259367A1 (ko)
KR (1) KR100999139B1 (ko)
CN (1) CN101456429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307B1 (ko) * 2008-02-21 2013-01-0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서어보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N109747704A (zh) * 2017-11-07 2019-05-14 株式会社捷太格特 转向操纵控制装置
CN109911000A (zh) * 2017-12-13 2019-06-2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估算车辆的方向盘转矩的方法
CN112407036A (zh) * 2020-11-18 2021-02-26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电动助力转向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15425A1 (de) * 2010-04-19 2011-10-20 Audi Ag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Antriebseinheit eines Kraftfahrzeugs
DE102011002997A1 (de) * 2011-01-21 2012-07-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rfahren zum Erkennen einer freihändigen Fahrsituation eines Kraftfahrzeuges
US8924082B2 (en) * 2012-03-30 2014-12-30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motor
CN104661898B (zh) * 2013-01-29 2016-11-30 日本精工株式会社 电动助力转向装置
US9663139B2 (en) 2013-02-26 2017-05-30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Electric motor feedforward control utilizing dynamic motor model
US9136785B2 (en) 2013-03-12 2015-09-15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Motor control system to compensate for torque ripple
US9143081B2 (en) 2013-03-14 2015-09-22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Motor control system having bandwidth compensation
JP6365866B2 (ja) * 2013-11-22 2018-08-01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491391B1 (ko) * 2013-12-30 2015-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주행 경로 이탈 감지 방법
US10389289B2 (en) 2014-02-06 2019-08-20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Generating motor control reference signal with control voltage budget
US10003285B2 (en) 2014-06-23 2018-06-19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Decoupling current control utilizing direct plant modification i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SE542604C2 (en) * 2014-08-22 2020-06-16 Scania Cv Ab A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al steering system and an electrical steering system
US9809247B2 (en) 2015-01-30 2017-11-07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Motor control current sensor loss of assist mitigation for electric power steering
JP6354925B2 (ja) * 2016-02-29 2018-07-11 日本精工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10135368B2 (en) 2016-10-01 2018-11-20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Torque ripple cancellation algorithm involving supply voltage limit constraint
CN116853344B (zh) * 2023-09-05 2023-12-12 天津德星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eps反馈型阻尼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44070A1 (de) * 2002-09-06 2004-03-11 Volkswagen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Lenkunterstützung für Fahrzeuge mit elektromechanischer Lenkung
JP4319112B2 (ja) * 2004-08-27 2009-08-26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N2753645Y (zh) * 2004-12-10 2006-01-2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动助力转向电子控制器
JP4884056B2 (ja) * 2005-06-09 2012-02-22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操舵制御装置
JP5130716B2 (ja) * 2007-01-09 2013-01-30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モータ制御装置および電気式動力舵取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307B1 (ko) * 2008-02-21 2013-01-0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서어보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N109747704A (zh) * 2017-11-07 2019-05-14 株式会社捷太格特 转向操纵控制装置
CN109911000A (zh) * 2017-12-13 2019-06-2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估算车辆的方向盘转矩的方法
CN109911000B (zh) * 2017-12-13 2022-07-2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估算车辆的方向盘转矩的方法
CN112407036A (zh) * 2020-11-18 2021-02-26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电动助力转向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59367A1 (en) 2009-10-15
CN101456429B (zh) 2012-08-22
KR100999139B1 (ko) 2010-12-08
CN101456429A (zh) 200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9139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의 제어방법
JP4498353B2 (ja) 電動機制御装置
US6639379B2 (en) Electric power steer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862323B2 (en) Motor control device and vehicle-steering device comprising same
US20050045414A1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JP4022552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の駆動方法とその駆動制御装置
EP1334899A2 (en) Electric power assist torque check
CN106797193A (zh) 用于电动马达的噪音调制和噪音降低的方法
JP2012044837A (ja) 車両用操舵装置
US11091196B2 (en) Steering control device
JP5351002B2 (ja) モータ制御装置
CN103192868A (zh) 汽车电动助力转向系统
US11273865B2 (en) Steering control device
EP3434557A1 (en) Steering control apparatus
CN110061671B (zh) 一种基于变速趋近率的永磁同步电机控制方法及控制系统
JP4797565B2 (ja) モータ駆動制御装置
JP5495020B2 (ja) モータ制御装置および車両用操舵装置
US20070248338A1 (en) Motor Controlling Device for Mounting on Vehicle
JP2005192338A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の駆動方法およびブラシレスモータの駆動制御装置
JP5561515B2 (ja) モータ制御装置
JP2010132150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制御装置
JP5595436B2 (ja) モータ制御装置
JP7213697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5505681B2 (ja) モータ制御装置
KR20160092226A (ko) 랙추력 센싱을 이용한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피드백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