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2551A -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2551A
KR20090062551A KR1020070129885A KR20070129885A KR20090062551A KR 20090062551 A KR20090062551 A KR 20090062551A KR 1020070129885 A KR1020070129885 A KR 1020070129885A KR 20070129885 A KR20070129885 A KR 20070129885A KR 20090062551 A KR20090062551 A KR 20090062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terminal
power supply
output voltage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9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7976B1 (ko
Inventor
김성렬
김인태
이병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디텍
Priority to KR1020070129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7976B1/ko
Priority to TW097148227A priority patent/TWI379498B/zh
Priority to PCT/KR2008/007375 priority patent/WO2009075547A2/en
Priority to CN2008801190716A priority patent/CN101884159B/zh
Publication of KR20090062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2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H02M3/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7Converter structures employing plural converter units, other than for parallel operation of the units on a single load
    • H02M1/007Plural converter units in casca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83Converter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or output configuration
    • H02M1/009Converter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or output configuration having two or more independently controlled outpu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H02M3/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 H02M3/071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adapted to generate a negative voltage output from a positive voltage source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한 개의 입력전원으로 정출력전압과 부출력전압을 포함하는 다수개의 전원전압을 생성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에 의하면 입력전압에 무관하게 다수개의 출력 전압을 얻을 수 있으며 , 입력전압의 동작 범위를 증가시키기 쉽다. 또한 레귤레이터를 사용하여 정출력전압을 생성하므로 스위칭 노이즈에 무관한 전압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전원공급장치, 정출력전압, 부출력전압,

Description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 for multiple output voltages}
본 발명은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한 개의 입력전원으로 정출력전압과 부출력전압을 포함하는 다수개의 전원전압을 생성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전하결합소자(Charge Coupled Device:CCD)와 같이 소정의 정출력전압(positive output voltage, VPO)전원과 다른 소정의 부출력전압(negative output voltage, VNO) 전원을 각각 필요로하는 전자장치가 많이 사용되어 왔다.
이와같이 입력전압보다 승압된 정출력전압(VPO) 전원과 다른 소정의 부출력전압(VNO) 전원을 각각 필요로 하는 경우 코일을 이용하여 입력전원 전압을 승압 또는 감압 시키는 스위칭 전원회로를 이용함으로써 전원전압으로부터 변환된 소정의 정출력전압을 발생시킨다.
종래에는 전원전압과 상이한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직류-직류 변환기로서 코일을 구비하는 스위칭 전원장치가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스위칭 전원장치가 승 압형인 경우 코일로 흐르는 전류를 스위치에 의해 온/오프 시킴으로써 직류 입력전압으로부터 고전압을 얻고, 이러한 고전압을 다이오드와 커패시터를 통해 정류하고 평활화 하여 승압된 출력전압을 얻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는 승압형 스위칭 전원공급회로(10), 부출력 전압설정회로(20) 및 부출력 전압발생회로(30)를 구비한다.
승압형 스위칭 전원공급회로(10)에서 전원전압(VCC)과 그라운드전압(GND) 사이에는 스위칭 동작을 하는 NMOS 트랜지스터(Q1)가 인덕터(L1)와 직렬 접속되어 있다. 직렬 접속점(A)에서의 전압은 다이오드(D1)와 커패시터(C1)에 의해 정출력전압(positive output voltage) VPO으로 출력된다.
정출력전압(VPO)에 대응하는 검출전압(Vdet)과, 기준전압원(B1)으로부터의 기준전압(Vref)이 제어회로(Cont)에 입력된다. 제어회로(Cont)는 검출전압(Vdet)과 기준전압(Vref)이 같아지도록 스위치(Q1)를 스위칭 제어하기위한 스위칭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승압형 스위칭 전원공급회로(10)에 의해 정출력전압(VPO)은 전원전압(VCC)을 상승시켜 얻은 소정의 전압[=Vref x (R1+R2)/R2]과 같아지도록 제어된다. 이때 접속점(A)에서의 전압은 스위치(Q1)의 온/오프에 응답하여 각각 0 및 정 출력전압(VPO) 으로 된다.
부출력 전압설정회로(20)에서는 상기 정출력전압(VPO) 노드와 그라운드 사이에 제너다이오드(ZD1, ZD2)를 직렬 접속시켜 소정 전압(Vz) 강하를 얻는다. 제너다이오드와 정전류원(120) 사이의 접속점(B)에서 정출력전압(VPO) 보다 소정전압(Vz)만큼 낮은 부출력전압설정전압(VPO-Vz)이 출력된다.
부출력 전압발생회로(30)에서는 부출력전압설정전압(VPO-Vz)과 스위칭신호를 입력으로 받아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한다. 부출력전압설정전압(VPO-Vz)은 버퍼(BUF)를 통해 부출력 전압발생회로(30)에 공급되며, 적절한 수의 제너다이오드를 선택하여 부출력전압설정전압(VPO-Vz)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는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회로(10A), 부출력 전압설정회로(20A) 및 부출력 전압발생회로(30A)를 구비한다.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회로(10A)는 입력된 전원전압(VCC)을 감압하여 감암된 정출력전압(VPO)을 출력하는 회로이다.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회로(10A)에서 코일(L1A)은 전원전압(VCC)에 의하여 PMOS 트랜지스터인 제1스위치(Q1A)를 통해 통전되고 커패시터(C1A)는 코일(L1A)의 출력단자에 접속된다. 커패시터(C1A)의 충전전압은 정출력전압(VPO) 으로 출력된다. PMOS 트랜지스터인 제1스위치(Q1A)와 NMOS 트랜지스터인 제2스위치(Q2A)는 서로 상보적으로 되도록 스위칭된다.
정출력 전압검출회로(11A)는 도 1에 나타낸 정출력 전압검출회로(11)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제어회로(ContA)는 제1스위치(Q1A)와 제2스위치(Q2A)로 상보적인 스위칭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회로(ContA)의 나머지 구성 및 동작은 도 1의 제어회로(Cont)와 유사하다.
상기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회로(10A)에 의해 정출력전압(VPO)은 전원전압(VCC)을 감압시켜 얻은 소정의 전압[=Vref x R1/(R1+R2)]과 같아지도록 제어된다. 이때 접속점(A)에서의 전압은 제1스위치(Q1A)의 온/오프에 응답하여 각각 전원전압(VCC) 또는 0 으로 된다.
부출력 전압설정회로(20A)에서는 전원전압(VCC)과 그라운드 사이에 제너다이오드(ZD1, ZD2)를 직렬 접속시켜 소정전압(Vz)강하를 얻는다. 제너다이오드와 정전류원(120) 사이의 접속점(B)에서 전원전압(VCC) 보다 소정전압(Vz)만큼 낮은 부출력 전압 설정 전압(VCC-Vz)이 출력된다.
부출력 전압발생회로(30A)는 도 1에서의 부출력 전압발생회로(30)의 구성과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부출력전압발생회로(30A)에서는 부출력전압설정전압(VCC-Vz)과 스위칭 신호를 입력으로 받아 부출력 전압(VNO)를 생성한다. 부출력전압설정 전압(VCC-Vz)은 버퍼(BUF)를 통해 부출력 전압발생회로(30A)에 공급되며, 적절한 수의 제너다이오드를 선택하여 부출력전압설정전압(VCC-Vz)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한다. 이때 부출력전압(VNO)은 부출력 전압발생회로(30A)에서의 소정전압(Vz)과 같은 전압 준위를 갖는다.
도 1 및 도 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는 입력되는 전원전압(VCC)을 정출력전압(positive output voltage) VPO 으로 만들기 위해 승압형 또는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회로를 사용하고 이때 발생되는 스위칭 신호(switching signal)를 이용하여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한다.
또한 부출력전압(VNO)은 부출력 전압발생회로에서 생성되는 소정의 전압강하(Vz) 값을 버퍼를 통해 부출력전압 발생회로에 공급하여 생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원공급장치는 정출력전압(VPO)을 생성하는 회로에서 발생되는 스위칭 신호(switching signal)를 사용하여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한다. 따라서 정출력전압(VPO)이 전원전압(VCC) 보다 높은 경우와 낮은 경우에 따라 정출력전압(VPO)을 생성하는 회로와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하는 회로가 변경 적용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전원전압(VCC)의 동작 범위가 넓은 구조에는 적합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하는 방법이 부출력전압(VNO)을 직접 모니터링 하는 것이 아니라 정출력전압(VPO)을 생성하고 소정의 전압강하를 통해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하기위한 전압을 생성하고 이를 버퍼링하고 스위칭신호를 입력받아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하는 회로 구성이 되어 정확하면서 일정한 부출력전압(VNO)을 유지하기가 어렵다.
한편 소정의 전압강하(Vz)를 만드는 기준이 되는 전압이 전원전압(VCC)이나 정출력전압(VPO)이 되므로 이들이 가지고 있는 스위칭 노이즈(switching noise)의 영향이 그대로 부출력전압(VNO)에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서 생성된 정출력전압(VPO) 및 부출력전압(VNO)은 전원 노이즈에 민감한 장치에는 사용하기가 적합하지 않으며 이러한 스위칭 노이즈(switching noise)를 제거하는 장치가 부가적으로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의 전압관계에 무관하게 동일한 회로를 사용할 수 있고 전원노이즈에 민감한 장치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입력 전압의 동작 범위가 넓은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는 입력전압(Vin)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전압보다 전압준위가 낮은 기준전압(Vint)을 생성하는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 상기 기준전압(Vint)의 전압준위를 조정하여 제1출력전압(VOUT1)을 생성하는 제1레귤레이터, 상기 기준전압(Vint)을 승압시킨 승압전압(Vx)을 생성하는 승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 상기 승압전압(Vx)을 이용하여 정출력전압(VPO) 및 인에이블신호(En)을 생성하는 정출력전압생성부 및 상기 인에이블신호(En)에 응답하여, 상기 승압전압(Vx) 및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을 이용하여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하는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는 입력전압(Vin)을 이용하여 입력전압보다 전압준위가 낮은 기준전압(Vint) 및 스위칭신호(Sw)를 생성하는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 상기 기준전압(Vint)의 전압준위를 조정하여 제1출력전압(VOUT1)을 생성하는 제1레귤레이터, 상기 입력전압(Vin) 및 상기 스위칭신호(Sw)를 이용하여 승압전압(Vx)을 생성하는 전하펌프승압형 전원공급부, 상기 승압전압(Vx)을 이용하여 정출력전압(VPO) 및 인에이블신호(En)을 생성하는 정출력전압생성부 및 상기 인에이블신호(En)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전압(Vin) 및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을 이용하여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하는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는 입력전압(Vin)을 이용하여 입력전압보다 전압준위가 낮은 기준전압(Vint) 및 스위칭신호(Sw)를 생성하는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 상기 기준전압(Vint)의 전압준위를 조정하여 제1출력전압(VOUT1)을 생성하는 제1레귤레이터, 상기 입력전압(Vin) 및 상기 스위칭신호(Sw)를 이용하여 승압전압(Vx)을 생성하는 전하펌프승압형 전원공급부, 상기 승압전압(Vx)을 이용하여 정출력전압(VPO) 및 인에이블신호(En)을 생성하는 정출력전압생성부 및 상기 제어신호(En)에 응답하여 상기 승압전압(Vx) 및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을 이용하여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하는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는 입력전압(Vin)을 이용하여 입력전압보다 전압준위가 낮은 기준전압(Vint)을 생성하는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 상기 기준전압(Vint)의 전압준위를 조정하여 제1출력전압(VOUT1)을 생성하는 제1레귤레이터, 상기 입력전압(Vin)을 이용하여 승압전압(Vx)을 생성하는 부스트-버크 스위칭 전원공급부, 상기 승압전압(Vx)을 이용하여 정출력전압(VPO) 및 인에이블신호(En)을 생성하는 정출력전압생성부 및 상기 인에이블신호(En)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전압(Vin) 및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을 이용하여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하는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는 입력전압(Vin)을 이용하여 입력전압보다 전압준위가 낮은 기준전압(Vint)을 생성하는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 상기 기준전압(Vint)의 전압준위를 조정하여 제1출력전압(VOUT1)을 생성하는 제1레귤레이터, 상기 입력전압(Vin)을 이용하여 승압전압(Vx)을 생성하는 부스트-버크 스위칭 전원공급부, 상기 승압전압(Vx)을 이용하여 정출력전압(VPO) 및 인에이블신호(En)을 생성하는 제2전압조정기 및 상기 인에이블신호(En)에 응답하여, 상기 승압전압(Vx) 및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을 이용하여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하는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에 의하면 입력전압을 기준전압으로 변환한 후에 이 기준전압을 이용하여 정출력전압 및 부출력전압을 생성하므로 회로의 구성이 입력전압과 정출력전압의 전압에 무관하게 동일한 회로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입력전압의 동작 범위를 확장하기에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에 의하면 부출력전압의 생성을 위해 부출력전압 자체를 모니터링하므로 정확한 부출력전압을 얻을수 있다.
한편 레귤레이터를 사용하여 정출력전압을 생성하므로 스위칭 노이즈에 무관 한 전압을 얻을수 있고 따라서 전원노이즈에 민감한 장치에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이나 구성에 대한 설명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전압용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출력전압용 전원공급장치는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310), 제1레귤레이터(320), 승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330), 정출력전압생성부(340) 및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350)를 구비한다.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310)은 입력전압(Vin)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전압(Vin)보다 전압준위가 낮은 기준전압(Vint)을 생성한다.
제1레귤레이터(320)는 상기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310)의 출력인 상기 기준전압(Vint)의 스위칭 노이즈를 제거하여 제1출력전압(VOUT1)을 생성한다. 상기 제1레귤레이터(320)는 하나 이상을 구비함으로써 원하는 다중출력(VOUT1, VOUT2 ..)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승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330)는 생성된 상기 기준전압(Vint)을 이용하여 승압전압(VX)을 생성한다.
정출력전압생성부(340)는 제2레귤레이터(341)와 인에이블 블록(342)을 구비한다. 상기 제2레귤레이터(341)는 승압전압(VX)을 이용하여 정출력전압(VPO)을 생성하고 상기 정출력전압(VPO)의 생성을 감지한 결과에 따라 인에이블신호(En)를 생성한다.
상기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350)는 상기 인에이블신호(En)에 응답하여 상기 승압전압(VX) 및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을 이용하여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한다.
즉, 입력전압(Vin)을 상기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310)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전압(Vin)보다 전압준위가 낮은 기준전압(Vint)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기준전압(Vint)을 이용하여 정출력전압(VPO)과 부출력전압(VNO) 및 다수개의 제1출력전압(VOUT1)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310)의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310)는 입력전압(Vin)을 이용하여 입력전압(Vin)보다 전압준위가 낮은 기준전압(Vint)을 생성한다.
즉,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310)는 제1 단자에 입력전압(Vin)이 인가되는 제1스위치(Q1), 제1단자가 상기 제1스위치(Q1)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접지되어 있든 제1다이오드(D1), 제1단자가 상기 제1스위치(Q1)의 제2단자 및 상기 제1다이오드(D1)의 제1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제1인덕터(L1), 제1단자가 상기 제1인덕터(L1)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접지되어 있는 제1커패시터(C1), 상기 기준전압(Vint)을 이용하여 제1피드백전압(Vfb1)을 생성하는 제1피드백전압생성부(311) 및 상기 제1피드백전압(Vfb1)을 이용하여 상기 제1스위치의 온/오프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1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1제어부(312)를 구비한다.
상기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310)은 입력전압(Vin)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전압(Vin)보다 전압준위가 낮은 기준전압(Vint)을 생성하는 회로이다.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310)에서 제1인덕터(L1)는 입력전압(Vin)에 의하여 트랜지스터인 제1스위치(Q1)를 통해 통전되고 상기 제1커패시터(C1)는 제1인덕터(L1)의 출력단자에 접속된다. 상기 제1커패시터(C1)의 충전전압은 기준전압(Vint)으로 출력된다.
상기 제1피드백전압생성부(311)는 상기 기준전압의 출력노드에 제1단자가 연결된 제1저항(R1) 및 제1단자가 상기 제1저항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제2저항(R2)을 구비하고, 상기 제1피드백전압(Vfb1)은 상기 제1저항(R1) 및 상기 제2저항(R2)의 공통노드에서 출력된다.
상기 제1제어부(312)는 상기 제1피드백전압(Vfb1)을 이용하여 원하는 기준전압(Vint)이 출력될 수 있도록 스위치(Q1)를 제어하기위한 제1제어신호(Con1)를 생성한다. 상기 제1제어부(312)의 동작에 따라 입력전압(Vin)보다 감압된 전압준위를 갖는 기준전압(Vint)이 출력된다. 상기 제1스위치(Q1)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또는 모스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승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330)의 회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승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330)는 제1 단자에 상기 기준전압이 인가되는 제2인덕터(L2), 제1 단자가 상기 제2인덕터(L2)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접지되어 있는 제2스위치(Q2), 제1 단자가 상기 제2인덕터(L2)의 제2단자 및 상기 제2스위치(Q2)의 제1단자에 공통으로 접속되는 제2다이오드(D2), 제1단자가 상기 제2다이오드(D2)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제2커패시터(C2), 상기 승압전압을 이용하여 제2피드백전압(Vfb2)을 생성하는 제2피드백전압생성부(331) 및 상기 제2피드백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2스위치의 온/오프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2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2제어부(332)를 구비한다.
상기 승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330)에서 제2인덕터(L2)는 기준전압(Vint)에 의하여 트랜지스터인 제2스위치(Q2)를 통해 통전되고 상기 제2커패시터(C2)는 제2인덕터(L2)의 출력단자에 접속된다. 상기 제2커패시터(C2)의 충전전압은 승압전 압(Vx)으로 출력된다.
상기 제2피드백전압생성부(331)는 상기 승압전압의 출력노드에 제1단자가 연결된 제3저항(R3) 및 제1단자가 상기 제3저항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제4저항(R4)을 구비하고, 상기 제2피드백전압(Vfb2)은 상기 제3저항(R3) 및 상기 제4저항(R4)의 공통 노드에서 출력된다.
상기 제2제어부(332)는 상기 제2피드백전압(Vfb2)을 이용하여 원하는 승압전압(Vx)이 출력될 수 있도록 제2스위치(Q2)를 제어하기위한 제2제어신호(Con2)를 생성한다. 상기 제2제어부(332)의 동작에 따라 기준전압(Vint)보다 승압된 전압준위를 갖는 승압전압(Vx)이 출력된다. 상기 제2스위치(Q2)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또는 모스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350)의 회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350)는 상기 승압전압과 접지전압 사이에서 동작하고, 제1입력단자에 상기 인에이블신호(En)가 인가되는 드라이버(353), 제1단자가 상기 드라이버의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제3커패시터(C3), 제1단자가 상기 제3커패시터(C3)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제3다이오드(D3), 제1단자가 상기 제3커패시터(C3)의 제2단자 및 상기 제3다이오드(D3)의 제1단자에 공 통으로 연결되고 제2단자가 부출력전압(VNO)의 출력노드에 연결되는 제4다이오드(D4), 제1단자가 상기 부출력전압(VNO)의 출력노드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제4커패시터(C4), 상기 부출력전압(VNO)을 이용하여 제3피드백전압(Vfb3)을 생성하는 제3피드백전압 생성부(351) 및 상기 제3피드백전압(Vfb3)을 이용하여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드라이버의 제2입력단자에 인가하는 제3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350)는 상기 인에이블신호(En)에 응답하여 상기 승압전압(VX) 및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을 이용하여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하는 회로이다.
상기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350)는 전하펌프반전기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350)에서 제3피드백전압발생부(351)가 없는 경우 상기 드라이버(353)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승압전압(VX)이 반전되어 부출력전압(VNO)으로 출력된다.
따라서 원하는 부출력전압(VNO)을 얻기 위해 제3피드백전압발생부(351)는 상기 부출력전압(VNO)의 출력노드에 제1단자가 연결된 제5저항(R5) 및 제1단자가 상기 제5저항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에 연결되어 있는 제6저항(R6)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5저항(R5) 및 상기 제6저항(R6)의 공통 노드에서 제3피드백전압(Vfb3)이 출력되어 제3제어부(352)에 입력되며, 제3제어부(352)에서는 상기 제3피드백전압(Vfb3)을 이용하여 제3제어신호(Con3)를 생성하여 상기 드라이버(353)에 입력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드라이버(353)는 상기 제3제어신호(Con3)와 상기 승압전압(VX)을 이용하여 상기 제3커패시터(C3), 제4커패시터(C4), 제3다이오드(D3) 및 제4다이오드(D4)의 동작을 통해 원하는 부출력전압(VNO)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3피드백전압(Vfb3)을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부출력전압(VNO)을 얻을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5저항(R5), 상기 제6저항(R6) 및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을 변경함으로써 원하는 부출력전압(VNO)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버(353)는 정출력전압(VPO)의 생성을 감지한 결과로서 발생한 상기 인에이블신호(En)에 응답하여 동작하게 되므로 정출력전압(VPO)이 생성된 이후부터 상기 드라이버(353)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전압용 전원 공급장치는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710), 제1레귤레이터(720), 전하펌프승압형 전원공급부(730), 정출력전압생성부(740) 및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750)를 구비한다.
상기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7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전압(Vin)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전압(Vin)보다 전압준위가 낮은 기준전압(Vint)을 생성한다.
제1레귤레이터(720)는 상기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710)의 출력인 상기 기준전압(Vint)의 스위칭 노이즈를 제거하여 제1출력전압(VOUT1)을 생성한다. 상기 제1레귤레이터(7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함으로써 원하는 다중출력(VOUT1, VOUT2 ..)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전하펌프승압형 전원공급부(730)는 제1단자에 상기 입력전압이 연결되는 제5다이오드(D5), 제1단자는 상기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710)의 스위칭 신호(Sw)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상기 제5다이오드(D5)의 제2단자에 연결되는 제5커패시터(C5), 제1단자가 상기 제5커패시터의 제2단자 및 상기 제5다이오드의 제2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제6다이오드(D6) 및 제1 단자는 상기 제6다이오드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접지되어 있는 제6커패시터(C6)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승압전압은 상기 제6다이오드(D6)의 제2단자와 상기 제6커패시터(C6)의 제1단자의 공통 노드에서 출력된다.
상기 전하펌프승압형 전원공급부(730)에서는 상기 제5커패시터(C5)에 충전된 기준전압이 상기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710)에서 생성되는 스위칭신호(Sw)에 따라 상기 제6커패시터(C6)에 충전되어 상기 입력전압(Vin)보다 승압된 승압전압(Vx)을 생성한다.
상기 정출력전압생성부(740)는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레귤레이터(741)와 인에이블 블록(742)을 구비한다. 상기 제2레귤레이터(741)는 승압전압(VX)을 이용하여 정출력전압(VPO)을 생성하고 상기 정출력전압(VPO)의 생성을 감지한 결과에 따라 인에이블신호(En)를 생성한다.
상기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750)는 상기 인에이블신호(En)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전압(Vint) 및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을 이용하여 상술한 동작원리에 따라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한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전압용 전원공급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와 동일하게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710), 제1레귤레이터(720), 전하펌프승압형 전원공급부(730), 정출력전압생성부(740) 및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750)를 구비한다.
상기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710), 제1레귤레이터(720), 전하펌프승압형 전원공급부(730) 및 정출력전압생성부(740)의 구성 및 동작원리는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다만 도 7에 도시된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가 기준전압(Vint) 및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을 이용하는 것과 달리 도 9에 도시된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750)는 상기 인에이블신호(En)에 응답하여 상기 승압전압(Vx) 및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을 이용하여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는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710), 제1레귤레이터(720), 부스트-버크 스위칭 전원공급부(730), 정출력전압생성부(740) 및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750)를 구비한다.
상기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710), 제1레귤레이터(720) 및 정출력전압생성부(740) 및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750)의 구성 및 동작원리는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다만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에서는 상기 입력전압(Vin)을 승압시키기 위해 전하펌프승압형 전원공급부를 사용한 것에 반해 도 11에 도시된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에서는 부스트-버크 스 위칭 전원공급부(730)를 사용하고 있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상기 부스트-버크 스위칭 전원공급부(730)의 회로도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부스트-버크 스위칭 전원공급부(730)는 제1 단자에 상기 입력전압이 인가되는 제3인덕터(L3), 제1 단자가 상기 제3인덕터(L3)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 단자는 접지되어 있는 제3스위치(Q3), 제1 단자가 상기 제3인덕터(L3)의 제2단자 및 상기 제3스위치(Q3)의 제1단자에 공통으로 접속되는 제7커패시터(C7), 제1 단자가 상기 제7커패시터(C7)의 제1단자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8커패시터(C8), 제1 단자가 상기 제8커패시터(C8)의 제2단자에 직렬로 연결되고 제2단자가 상기 제7커패시터(C7)의 제2단자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9저항(R9), 제1단자가 상기 제7커패시터(C7)의 제2단자 및 상기 제9저항(R9)의 제2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되고 제2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제7다이오드(D7), 제1단자가 상기 제7커패시터(C7)의 제2단자 및 상기 제9저항(R9)의 제2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되고 제2단자는 승압전압의 출력노드에 연결되는 제4인덕터(L4), 상기 승압전압을 이용하여 제4피드백전압(Vfb4)을 생성하는 제4피드백전압생성부(731) 및 상기 제4피드백전압(Vfb4)을 이용하여 상기 제3스위치의 온/오프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4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4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부스트-버크 스위칭 전원공급부(730)는 안정된 승압전압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와 동일하게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710), 제1레귤레이터(720), 부스트-버크 스위칭 전원공급부(730), 정출력전압생성부(740) 및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750)를 구비한다.
상기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710), 제1레귤레이터(720), 부스트-버크 스위칭 전원공급부(730), 정출력전압생성부(740)의 구성 및 동작원리는 상술한 바와같다.
다만 도 11에 도시된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가 기준전압(Vint) 및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을 이용하는 것과 달리 도 12에 도시된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750)는 상기 인에이블신호(En)에 응답하여 상기 승압전압(Vx) 및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을 이용하여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 이다.
도 1은 종래의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 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승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의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의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 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부스트-버크 스위칭 전원공급부의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기호의 설명>
310 : 감압형스위칭 전원공급부 320 : 제1레귤레이터
330 : 승압형스위칭 전원공급부 340 : 정출력전압생성부
341 : 제2레귤레이터 342 : 인에이블 블록
350 :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

Claims (28)

  1. 입력전압(Vin)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전압보다 전압준위가 낮은 기준전압(Vint)을 생성하는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
    상기 기준전압(Vint)의 전압준위를 조정하여 제1출력전압(VOUT1)을 생성하는 제1레귤레이터;
    상기 기준전압(Vint)을 승압시킨 승압전압(Vx)을 생성하는 승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
    상기 승압전압(Vx)을 이용하여 정출력전압(VPO) 및 인에이블신호(En)을 생성하는 정출력전압생성부; 및
    상기 인에이블신호(En)에 응답하여, 상기 승압전압(Vx) 및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을 이용하여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하는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는
    제1 단자에 입력전압(Vin)이 인가되는 제1스위치(Q1);
    제1단자가 상기 제1스위치(Q1)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접지되어 있든 제1다이오드(D1);
    제1단자가 상기 제1스위치(Q1)의 제2단자 및 상기 제1다이오드(D1)의 제1단 자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제1인덕터(L1);
    제1단자가 상기 제1인덕터(L1)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접지되어 있는 제1커패시터(C1);
    상기 기준전압(Vint)을 이용하여 제1피드백전압(Vfb1)을 생성하는 제1피드백전압생성부;
    상기 제1피드백전압(Vfb1)을 이용하여 상기 제1스위치의 온/오프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1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1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드백전압생성부는
    상기 기준전압의 출력노드에 제1단자가 연결된 제1저항(R1); 및
    제1단자가 상기 제1저항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제2저항(R2)을 구비하고, 상기 제1피드백전압(Vfb1)은 상기 제1저항(R1) 및 상기 제2저항(R2)의 공통노드에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는
    제1 단자에 상기 기준전압이 인가되는 제2인덕터(L2);
    제1 단자가 상기 제2인덕터(L2)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접지되어 있는 제2스위치(Q2);
    제1 단자가 상기 제2인덕터(L2)의 제2단자 및 상기 제2스위치(Q2)의 제1단자에 공통으로 접속되는 제2다이오드(D2);
    제1단자가 상기 제2다이오드(D2)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제2커패시터(C2);
    상기 승압전압을 이용하여 제2피드백전압(Vfb2)을 생성하는 제2피드백전압생성부; 및
    상기 제2피드백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2스위치의 온/오프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2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2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피드백전압생성부는
    상기 승압전압의 출력노드에 제1단자가 연결된 제3저항(R3); 및
    제1단자가 상기 제3저항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제4저항(R4)을 구비하고, 상기 제2피드백전압은 상기 제3저항(R3) 및 상기 제4저항(R4)의 공통 노드에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는
    상기 승압전압과 접지전압 사이에서 동작하고, 제1입력단자에 상기 인에이블신호(En)가 인가되는 드라이버;
    제1단자가 상기 드라이버의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제3커패시터(C3);
    제1단자가 상기 제3커패시터(C3)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제3다이오드(D3);
    제1단자가 상기 제3커패시터(C3)의 제2단자 및 상기 제3다이오드(D3)의 제1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되고 제2단자가 부출력전압(VNO)의 출력노드에 연결되는 제4다이오드(D4);
    제1단자가 상기 부출력전압(VNO)의 출력노드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제4커패시터(C4);
    상기 부출력전압(VNO)을 이용하여 제3피드백전압(Vfb3)을 생성하는 제3피드백전압 생성부(351);
    상기 제3피드백전압(Vfb3)을 이용하여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드라이버의 제2입력단자에 인가하는 제3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피드백전압생성부는
    상기 부출력전압(VNO)의 출력노드에 제1단자가 연결된 제5저항(R5); 및
    제1단자가 상기 제5저항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에 연결되어 있는 제6저항(R6)을 구비하고 상기 제3피드백전압은 상기 제5저항(R5) 및 상기 제6저항(R6)의 공통 노드에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귤레이터는
    상기 기준전압의 스위칭 노이즈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귤레이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출력전압생성부는
    상기 승압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정출력전압(VPO)을 생성하는 제2레귤레이터; 및
    상기 정출력전압(VPO)의 생성을 감지하여 상기 인에이블신호(En)를 생성하는 인에이블 블록를 구비하고, 상기 승압전압의 스위칭 노이즈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Q1)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또는 모스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치(Q2)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또는 모스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
  13. 입력전압(Vin)을 이용하여 입력전압보다 전압준위가 낮은 기준전압(Vint) 및 스위칭신호(Sw)를 생성하는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
    상기 기준전압(Vint)의 전압준위를 조정하여 제1출력전압(VOUT1)을 생성하는 제1레귤레이터;
    상기 입력전압(Vin) 및 상기 스위칭신호(Sw)를 이용하여 승압전압(Vx)을 생성하는 전하펌프승압형 전원공급부;
    상기 승압전압(Vx)을 이용하여 정출력전압(VPO) 및 인에이블신호(En)을 생성하는 정출력전압생성부; 및
    상기 인에이블신호(En)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전압(Vin) 및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을 이용하여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하는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를 구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
  14. 입력전압(Vin)을 이용하여 입력전압보다 전압준위가 낮은 기준전압(Vint) 및 스위칭신호(Sw)를 생성하는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
    상기 기준전압(Vint)의 전압준위를 조정하여 제1출력전압(VOUT1)을 생성하는 제1레귤레이터;
    상기 입력전압(Vin) 및 상기 스위칭신호(Sw)를 이용하여 승압전압(Vx)을 생성하는 전하펌프승압형 전원공급부;
    상기 승압전압(Vx)을 이용하여 정출력전압(VPO) 및 인에이블신호(En)을 생성하는 정출력전압생성부; 및
    상기 제어신호(En)에 응답하여 상기 승압전압(Vx) 및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을 이용하여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하는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
  15. 입력전압(Vin)을 이용하여 입력전압보다 전압준위가 낮은 기준전압(Vint)을 생성하는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
    상기 기준전압(Vint)의 전압준위를 조정하여 제1출력전압(VOUT1)을 생성하는 제1레귤레이터;
    상기 입력전압(Vin)을 이용하여 승압전압(Vx)을 생성하는 부스트-버크 스위 칭 전원공급부;
    상기 승압전압(Vx)을 이용하여 정출력전압(VPO) 및 인에이블신호(En)을 생성하는 정출력전압생성부; 및
    상기 인에이블신호(En)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전압(Vin) 및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을 이용하여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하는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
  16. 입력전압(Vin)을 이용하여 입력전압보다 전압준위가 낮은 기준전압(Vint)을 생성하는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
    상기 기준전압(Vint)의 전압준위를 조정하여 제1출력전압(VOUT1)을 생성하는 제1레귤레이터;
    상기 입력전압(Vin)을 이용하여 승압전압(Vx)을 생성하는 부스트-버크 스위칭 전원공급부;
    상기 승압전압(Vx)을 이용하여 정출력전압(VPO) 및 인에이블신호(En)을 생성하는 제2전압조정기; 및
    상기 인에이블신호(En)에 응답하여, 상기 승압전압(Vx) 및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을 이용하여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하는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
  1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는
    제1 단자에 입력전압(Vin)이 인가되는 제1스위치(Q1);
    제1단자가 상기 제1스위치(Q1)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접지되어 있든 제1다이오드(D1);
    제1단자가 상기 제1스위치(Q1)의 제2단자 및 상기 제1다이오드(D1)의 제1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제1인덕터(L1);
    제1단자가 상기 제1인덕터(L1)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접지되어 있는 제1커패시터(C1);
    상기 기준전압(Vint)을 이용하여 제1피드백전압(Vfb1)을 생성하는 제1피드백전압생성부;
    상기 제1피드백전압(Vfb1)을 이용하여 상기 제1스위치의 온/오프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1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1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드백전압생성부는
    상기 기준전압의 출력노드에 제1단자가 연결된 제1저항(R1); 및
    제1단자가 상기 제1저항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제2 저항(R2)을 구비하고 상기 제1피드백전압(Vfb1)은 상기 제1저항(R1) 및 상기 제2저항(R2)의 공통노드에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
  19.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펌프승압형 전원공급부는
    제1단자에 상기 입력전압이 연결되는 제5다이오드(D5);
    제1단자는 상기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의 스위칭 신호(Sw)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상기 제5다이오드(D5)의 제2단자에 연결되는 제5커패시터(C5);
    제1단자가 상기 제5커패시터의 제2단자 및 상기 제5다이오드의 제2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제6다이오드(D6); 및
    제1 단자는 상기 제6다이오드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접지되어 있는 제6커패시터(C6);를 구비하되
    상기 승압전압은 상기 제6다이오드(D6)의 제2단자와 상기 제6커패시터(C6)의 제1단자의 공통 노드에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
  20.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트-버크 스위칭 전원공급부는
    제1 단자에 상기 입력전압이 인가되는 제3인덕터(L3);
    제1 단자가 상기 제3인덕터(L3)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 단자는 접지되어 있는 제3스위치(Q3);
    제1 단자가 상기 제3인덕터(L3)의 제2단자 및 상기 제3스위치(Q3)의 제1단자에 공통으로 접속되는 제7커패시터(C7);
    제1 단자가 상기 제7커패시터(C7)의 제1단자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8커패시터(C8);
    제1 단자가 상기 제8커패시터(C8)의 제2단자에 직렬로 연결되고 제2단자가 상기 제7커패시터(C7)의 제2단자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9저항(R9);
    제1단자가 상기 제7커패시터(C7)의 제2단자 및 상기 제9저항(R9)의 제2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되고 제2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제7다이오드(D7);
    제1단자가 상기 제7커패시터(C7)의 제2단자 및 상기 제9저항(R9)의 제2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되고 제2단자는 승압전압의 출력노드에 연결되는 제4인덕터(L4);
    상기 승압전압을 이용하여 제4피드백전압(Vfb4)을 생성하는 제4피드백전압생성부; 및
    상기 제4피드백전압(Vfb4)을 이용하여 상기 제3스위치의 온/오프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4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4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4피드백전압(Vfb4)은
    상기 승압전압의 출력노드에 제1단자가 연결된 제7저항(R7)과.
    제1단자가 상기 제7저항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제8저항(R8)을 구비하고, 상기 제4피드백전압(Vfb4)은 상기 제7저항(R7) 및 상기 제8저항(R8)의 공통노드에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
  22. 제13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는
    상기 입력전압과 접지전압 사이에서 동작하고, 제1입력단자에 상기 인에이블신호(En)가 인가되는 드라이버;
    제1단자가 상기 드라이버의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제3커패시터(C3);
    제1단자가 상기 제3커패시터(C3)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제3다이오드(D3);
    제1단자가 상기 제3커패시터(C3)의 제2단자 및 상기 제3다이오드(D3)의 제1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되고 제2단자가 부출력전압(VNO)의 출력노드에 연결되는 제4다이오드(D4);
    제1단자가 상기 부출력전압(VNO)의 출력노드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제4커패시터(C4);
    상기 부출력전압(VNO)을 이용하여 제3피드백전압(Vfb3)을 생성하는 제3피드백전압 생성부; 및
    상기 제3피드백전압(Vfb3)을 이용하여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드라이버의 제2입력단자에 인가하는 제3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3피드백전압생성부는
    상기 부출력전압(VNO)의 출력노드에 제1단자가 연결된 제5저항(R5); 및
    제1단자가 상기 제5저항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에 연결되어 있는 제6저항(R6)을 구비하고 상기 제3피드백전압은 상기 제5저항(R5) 및 상기 제6저항(R6)의 공통 노드에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
  24. 제14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는
    상기 승압전압과 접지전압 사이에서 동작하고, 제1입력단자에 상기 인에이블신호(En)가 인가되는 드라이버;
    제1단자가 상기 드라이버의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제3커패시터(C3);
    제1단자가 상기 제3커패시터(C3)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제3다이오드(D3);
    제1단자가 상기 제3커패시터(C3)의 제2단자 및 상기 제3다이오드(D3)의 제1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되고 제2단자가 부출력전압(VNO)의 출력노드에 연결되는 제4다 이오드(D4);
    제1단자가 상기 부출력전압(VNO)의 출력노드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제4커패시터(C4);
    상기 부출력전압(VNO)을 이용하여 제3피드백전압(Vfb3)을 생성하는 제3피드백전압 생성부; 및
    상기 제3피드백전압(Vfb3)을 이용하여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드라이버의 제2입력단자에 인가하는 제3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3피드백전압생성부는
    상기 부출력전압(VNO)의 출력노드에 제1단자가 연결된 제5저항(R5); 및
    제1단자가 상기 제5저항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에 연결되어 있는 제6저항(R6)을 구비하고 상기 제3피드백전압은 상기 제5저항(R5) 및 상기 제6저항(R6)의 공통 노드에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
  26.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귤레이터는
    상기 기준전압의 스위칭 노이즈를 제거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
  27.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정출력전압생성부는
    상기 승압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정출력전압(VPO)을 생성하는 제2레귤레이터; 및
    상기 정출력전압(VPO)의 생성을 감지하여 상기 인에이블신호(En)를 생성하는 인에이블 블록를 구비하고, 상기 승압전압의 스위칭 노이즈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
  2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Q1)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또는 모스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
KR1020070129885A 2007-12-13 2007-12-13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 KR100917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885A KR100917976B1 (ko) 2007-12-13 2007-12-13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
TW097148227A TWI379498B (en) 2007-12-13 2008-12-11 Multiple-voltage power supply apparatus
PCT/KR2008/007375 WO2009075547A2 (en) 2007-12-13 2008-12-12 Power supply for multiple output voltages
CN2008801190716A CN101884159B (zh) 2007-12-13 2008-12-12 多重电压电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885A KR100917976B1 (ko) 2007-12-13 2007-12-13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551A true KR20090062551A (ko) 2009-06-17
KR100917976B1 KR100917976B1 (ko) 2009-09-18

Family

ID=40755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9885A KR100917976B1 (ko) 2007-12-13 2007-12-13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0917976B1 (ko)
CN (1) CN101884159B (ko)
TW (1) TWI379498B (ko)
WO (1) WO2009075547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8959A1 (ko) * 2012-02-09 2013-08-15 (주)태진기술 고전압 집적회로
US11929678B2 (en) 2019-04-15 2024-03-12 Sj Solution Co., Ltd. Power supply device using intelligent pre-regul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37733B (zh) * 2011-12-01 2014-01-22 无锡中星微电子有限公司 一种电源管理电路
CN112737290B (zh) * 2020-12-23 2022-07-08 深圳市航天新源科技有限公司 一种高集成非隔离正负压输出多端口变换器电路
CN113765369B (zh) * 2021-09-01 2024-01-23 深圳市爱协生科技股份有限公司 在复杂电源域中的新型正电压转负电压的电压转换电路
CN113824315B (zh) * 2021-10-20 2024-02-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源生成电路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831Y2 (ja) * 1989-10-25 1995-06-21 富士電機株式会社 昇降圧dc―dcコンバータ
JPH03278208A (ja) * 1990-03-28 1991-12-09 Seiko Epson Corp 電源回路
US5483152A (en) * 1993-01-12 1996-01-09 United Memories, Inc. Wide range power supply for integrated circuits
CA2377166C (en) * 1999-06-25 2006-05-30 Dragan Danilo Nebrigic Dynamically-switched power converter
US6445623B1 (en) * 2001-08-22 2002-09-0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harge pumps with current sources for regulation
US6903535B2 (en) 2002-04-16 2005-06-07 Arques Technology, Inc. Biasing system and method for low voltage DC—DC converters with built-in N-FETs
US6756772B2 (en) * 2002-07-08 2004-06-29 Cogency Semiconductor Inc. Dual-output direct current voltage converter
JP4094487B2 (ja) * 2003-05-21 2008-06-04 ローム株式会社 正負出力電圧用電源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8959A1 (ko) * 2012-02-09 2013-08-15 (주)태진기술 고전압 집적회로
US11929678B2 (en) 2019-04-15 2024-03-12 Sj Solution Co., Ltd. Power supply device using intelligent pre-regu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37821A (en) 2009-09-01
CN101884159B (zh) 2013-07-31
CN101884159A (zh) 2010-11-10
TWI379498B (en) 2012-12-11
KR100917976B1 (ko) 2009-09-18
WO2009075547A3 (en) 2009-09-03
WO2009075547A2 (en) 200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14813C (zh) Dc-dc变换器及其控制单元和方法
US10110124B2 (en) Control circuit and control method for switching regulator and switching regulator with the same
KR100917976B1 (ko)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
KR100701911B1 (ko) 전원 회로 및 그 전원 회로의 출력 전압을 상승시키는 방법
US9041371B2 (en) Switching regulator
JP2008061452A (ja) 電源装置及びその動作制御方法
EP1715568A2 (en) Constant-voltage circuit capable of reducing time required for starting, semiconductor apparatus including constant-voltage circuit, and control method of constant-voltage circuit
KR100790650B1 (ko) 정/부 출력 전압용 전원 장치
JP2010191870A (ja) 電源回路及びその動作制御方法
TW201701097A (zh) 電源供應器、電源供應系統、以及電壓調整方法
WO2006046731A1 (ja) 電源装置、および携帯機器
US10886845B2 (en) Detection method, detection circuit, controller and switching power supply
JP6608866B2 (ja) Dc−dcコンバータ
JP4673350B2 (ja) 直流電源装置
CN110868054B (zh) 直流-直流变换器用的软启动装置及方法
JP2006277760A (ja) 電源回路及び電源電圧供給方法
US20140111177A1 (en) Dc-dc converter and method for driving same
CN102055321B (zh) Dc-dc转换器中的求和电路
JP2005168298A (ja) 電源回路及び電源電圧供給方法
CN112987843B (zh) 一种自举驱动电路、驱动方法及无线充电系统
JP5212494B2 (ja) 複数電圧出力型電源装置
JP5397227B2 (ja) 電源回路装置および電圧制御方法
EP2713492A1 (en) Power Conversion Arrangement and Method for Power Conversion
JP2019179662A (ja) 光源駆動装置および光源駆動方法
JP2006101637A (ja) 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