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9526A - 승강장 선로 인명 구명장치 - Google Patents
승강장 선로 인명 구명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59526A KR20090059526A KR1020070126421A KR20070126421A KR20090059526A KR 20090059526 A KR20090059526 A KR 20090059526A KR 1020070126421 A KR1020070126421 A KR 1020070126421A KR 20070126421 A KR20070126421 A KR 20070126421A KR 20090059526 A KR20090059526 A KR 200900595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form
- airbag
- lifesaving device
- track
- rai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13/00—Other auxiliaries or accessories for railw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13/00—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whee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이 역사내로 진입하는 승강장의 진입부 선로에 설치하여 승강장에서 선로로 추락한 사람이 철도차량과 충돌하여 발생하는 인명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철도차량 승강장에서 선로에 추락한 사람이 있을 경우 선로에 설치된 구명장치의 에어백이 작동하게 되고, 승강장으로 진입하는 철도차량이 상기 구명장치를 밀면서 승강장으로 진입하도록 함으로써 선로에 추락한 사람을 에어백이 감싸도록 하여 철도차량과 추락한 사람의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을 상기 에어백이 완충하여 선로로 추락한 사람의 인명을 보호하는 승강장 선로 추락사고자 구명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승강장 선로 인명 구명장치는 레일 사이에 위치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 상부에 형성되는 에어백과,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고 선로의 보조레일과 접하는 하부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어백, 추락사고, 지하철, 구명장치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도차량이 역사내로 진입하는 승강장의 진입부 선로에 설치하여 승강장에서 선로로 추락한 사람이 철도차량과 충돌하여 발생하는 인명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철도차량 승강장에서 선로에 추락한 사람이 있을 경우 선로에 설치된 구명장치의 에어백이 작동하게 되고, 승강장으로 진입하는 철도차량이 상기 구명장치를 밀면서 승강장으로 진입하도록 함으로써 선로에 추락한 사람을 에이백이 감싸도록 하여 철도차량과 추락한 사람이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을 상기 에어백이 완충하여 선로로 추락한 사람의 인명을 보호하는 승강장 선로 인명 구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도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승하차 하는 승강장, 특히 지하철의 승강장에는 사람들이 붐비는 출퇴근 시간에 철도차량에 승차하기 위하여 승강장에 대기하던 사람이 선로로 추락하거나, 지체장애 및 음주에 의해 몸의 중심을 잃고 승강장에서 선로로 추락하는 사고가 종종 발생하는데, 상기와 같이 승강장으로부터 선로로 추락한 사람을 운전자가 인지하지 못하거나, 인지하더라도 수량의 철도차량이 연결되어 운행하는 열차는 대중량으로 인해 급정차를 할 수 없으므로 열차가 승강장으로 진입하면서 선로로 추락한 사람이 열차와 충돌하여 생명을 잃는 인명사고가 종종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선로에 추락한 사람을 보호하기 위한 구명장치는 도 1과 같이 철도차량(C)의 전두부에 공기가 충진된 에어백(1)을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상기와 같이 철도차량(C)의 전두부에 설치되는 에어백(1)의 경우, 에어백(1)이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철도차량(C)의 주행시 주행속도에 따른 외부공기가 에어백(1)을 가압하게 되면서 에어백(1)의 내부 공기압이 상승하게 되고, 이러한 반복적인 가압에 의해 결국에는 상기 에어백(1)이 파손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에어백(1)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철도차량(C)의 전두부에 설치되어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시 풍화작용에 따른 에어백(1)의 손상으로 인해 에어백(1) 표면강도가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과 함께, 상기 손상된 에어백(1)에서 충진된 내부공기가 누설되게 되면서 철도차량(C)의 대인충돌에 따른 비상 상황시 에어백(1)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더욱이, 종래 에어백(1)의 경우, 날카로운 소재에 취약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와 같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철도차량(C)의 전두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철도차량(C)의 교차 주행시 주행방향으로 비산하는 레일 주 변의 날카로운 돌이나 철재 등에 의해 에어백(1)이 손상되면서 상기 에어백(1)이 터져버리거나, 상기 손상된 에어백(1)으로부터 충진된 내부공기가 누설되어 철도차량(C)의 대인 충돌에 따른 비상 상황시 에어백(1)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종래 에어백(1)은 철도차량의 외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빈번한 손상으로 인해 유지 보수상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철도차량이 진입하는 승강장의 진입부 선로에 에어백이 구비된 구명장치를 설치하고, 승강장의 선로로 추락한 사람이 있을 경우, 상기 구명장치의 에어백이 동작하여 승강장으로 진입하는 철도차량이 상기 에어백이 팽창한 구명장치를 밀면서 승강장 선로로 진입하도록 함으로써, 철도차량이 선로로 추락한 사람과 충돌할 때의 충격을 상기 구명장치의 에어백이 완충하여 선로로 추락하는 사람의 생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레일 사이에 위치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는 에어백과,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고 선로의 보조레일과 접하는 하부롤러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의 양측에는 레일의 측면과 접하는 측부롤러가 더 구성된다.
또한, 상기 측부롤러의 회전축은 몸체에 설치된 스프링에 의하여 탄력 지지된다.
또한, 상기 에어백의 상부에는 몸체의 일측과 힌지 결합된 덮개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덮개는 에어백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백은 작동하였을 때 구명장치 주행방향의 정 후방과 양측 에 벽형태의 에어백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면이 레일의 두부면보다 낮게 위치(h)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승강장 인명 구명장치는 철도차량과 승강장에 추락한 사람의 충돌시 충격을 대폭 완충함으로써 인명을 보호할 수 있고, 본 발명에 의한 승강장 선로 인명 구명장치는 철도차량의 전두부에 설치하지 않고, 승객의 추락사고가 발생하는 승강장의 진입부 선로에 직접 설치함으로써, 철도차량의 운전자, 선로감시를 하는 통제실의 역무원, 승강장에 대기중인 승객 등 누구라도 상기 인명구명장치를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승객의 추락 사고가 발생하는 즉시 구명장치의 에어백을 작동시켜서 승강장으로 진입하는 철도차량으로부터 추락한 사람의 생명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장의 선로에 설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철도차량의 전두부에 설치하는 종래의 구명장치보다 설비비가 적게 들고, 유지 보수가 매우 간편한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명장치가 승강장의 선로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이 승강장 선로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구명장치의 덮개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구명장치의 에어백이 동작한 상태에서 철도차량이 구명장치를 밀면서 진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승강장 선로 인명 구명장치는 도 2와 같이 철도차량이 승강장(1)으로 진입하는 진입부 선로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선로의 레일(2) 사이에 본 발명의 승강장 선로 인명 구명장치가 설치된다.
상기의 승강장 선로 인명 구명장치는 도 3과 같이 몸체(11)의 내부에 에어백(12)이 접힌 상태로 수납되고, 상기 몸체(11)의 상부에는 덮개(13)가 구성되어 에어백(1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구명장치 몸체(11)의 양측에는 레일(2)의 측면과 접하는 측부롤러(14)가 형성되되, 상기 측부롤러(14)의 측부롤러축(15)은 베어링(16)에 내삽된 상태에서 몸체(11)에 설치되는 스프링(17)에 의하여 상기 측부롤러축(15)이 탄력지지되도록 구성되고, 몸체(11)의 하부에는 선로의 침목(3) 상부에 설치된 보조레일(19)과 접하는 하부롤러(18)가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양측에 측부롤러(14)가 형성되고, 몸체(11)의 하부에는 롤러지지부(18a)가 형성되어, 이 롤러지지부(18a)에 하부롤러(18)가 축지지된 구명장치(10)는 철도차량이 승강장(1)으로 진입하는 진입부 선로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승강장(1)의 선로에 추락한 사람이 발생하였을 때, 상기 구명장치(10)의 에어백(12)이 동작하여 승강장(1)으로 진입하는 철도차량(C)이 상기 에어백(12)이 팽창 한 구명장치(10)를 밀면서 승강장(1)으로 진입하기 때문에 상기 철도차량(C)과 추락한 사람의 충돌시 충격을 완충하여 추락한 사람의 생명을 보호한다.
이때, 상기 구명장치(10)의 에어백(12)이 팽창한 상태에서 철도차량(C)이 상기 구명장치(10)를 밀면서 승강장(1)으로 진입할 때, 상기 구명장치(10)의 양측에 형성된 측부롤러(14)는 레일(2)의 측면을 따라 회전하며 주행하게 되고, 상기 구명장치(1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롤러(18)는 선로의 침목(3) 상부에 설치된 보조레일(19)을 따라 회전하며 주행하게 되어 상기 구명장치(10)가 승강장(1)으로 진입하는 철도차량(C)에 의하여 선로를 이탈하지 않고 철도차량(C)과 함께 승강장(1)으로 진입함으로써 추락한 사람과 철도차량(C)의 충돌 충격을 완충하는 것이다.
상기 구명장치(1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롤러(18)와 접하며 구명장치(10)의 주행을 안내하는 판 형태의 보조레일(19)은 승강장(1)에 부설된 선로의 침목(3)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선로의 레일(2)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침목(3)의 상부에 상기 보조레일(19)이 설치됨으로써 구명장치(10)가 선로를 따라 원활히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선로의 레일(2)은 일반적으로 단척의 레일을 여러 개 이은 장대레일로 이루어져 있으나, 단척의 레일을 피시플레이트(fishplate, 미도시)로 여러 개 이어서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렇게 되면 레일(2) 측면의 홈부에 돌출부가 형성되므로 상기 구명장치(10)가 승강장 선로를 따라 주행할 때 구명장치(10)의 양측에 형성된 측부롤러(18)가 상기 피시플레이트에 의해 선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구명장치(10)의 측부롤러(14)는 측부롤러축(15)이 몸체(11)에 설치된 스프링(17)에 의해 탄력 지지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구명장치(10)가 선로를 따라 주행 중 레일(2)이 연결된 지점, 즉,피시플레이트가 돌출되어 있는 곳에서는 상기 측부롤러(14)가 스프링(17)에 의하여 몸체(11)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고, 피시플레이트가 있는 지점을 벗어나면 몸체(11) 내측으로 슬라이등 이동한 측부롤러(14)는 스프링(17)에 의하여 다시 원상태로 돌아와서 레일(2)을 따라 주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명장치(10)의 몸체(11) 내부에 에어백(12)이 접혀진 상태로 수납된 상태에서 승강장(1)으로 철도차량(C)이 정상적으로 진입할 때에는 상기 에어백(12)이 주행하는 철도차량(C)에 의해 날리지 않도록 도 4와 같이 상기 에어백(12)의 상부에 덮개(13)가 몸체(11)에 힌지 결합되어 에어백(12)의 손상을 방지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몸체(11) 상면 즉, 지면으로부터 덮개(13)까지의 높이는 레일(2)의 두부면보다 낮게 위치(h)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지면으로부터 덮개(13)까지의 높이가 레일(2)의 두부면보다 높을 경우 철도차량의 차륜 플랜지에 의해 구명장치가 파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본 발명의 승강장 선로 인명 구명장치는 철도차량(C)이 진입하는 승강장(1)의 진입부 선로에 설치된 상태에서 선로에 추락한 사람이 발생하였을 때 구명장치(10)의 몸체(11) 내부에 수납된 에어백(12)은 작동하게 되어 상기 에어백(12)이 덮개(13)를 열면서 팽창하게 되고, 철도차량(C)이 승강장(1)으로 진입하면서 상기 에어백(12)이 팽창한 상태의 구명장치(10)를 밀면서 승강장(1)으로 진입 하여 승강장 선로로 추락한 사람을 감싸게 되고, 충돌시 충격을 상기 구명장치(10)의 에어백(12)이 완충하여 추락한 사람의 생명을 보호한다.
이때, 상기 덮개(13)는 팽창된 에어백(12)을 후부에서 지지함으로써 철도차량의 전부에 의해 에어백(12)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구명장치(10)의 에어백(12)이 동작할 때에는 도 6과 같이 에어백(12)은 철도차량(C)의 너비보다 약간 넓게 팽창하되, 팽창된 에어백(12)의 양측과 구명장치(10) 주행방향의 정 후방으로 에어백(12)이 벽체 형태로 팽창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철도차량(C)이 상기 에어백(12)이 팽창된 상태의 구명장치(10)를 밀면서 승강장(1)으로 진입할 때, 선로에 추락한 사람이 철도차량(C)의 너비보다 넓게 상기 양측과 정 후방에 벽체 형태로 부풀려진 에어백(12) 내부로 안착되게 함으로써 철도차량(C)과의 충돌시 충격이 완충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구명장치(10)의 에어백(12)을 팽창시키는 압축공기탱크는 구명장치(10)의 몸체(11) 내부에 장착하여 상기 에어백(12)과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승강장(1)의 선로로 추락한 사람이 발생되었을 때, 철도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와 역무원 또는 승강장의 승객이 승강장(1)에 설치된 비상버튼을 눌러 상기 구명장치(10)를 작동하거나, 승강장(1)을 모니터하는 통제실에서 비상버튼을 눌러서 상기 구명장치(10)를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는 공지된 기술로서 따로 기술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승강장 선로 인명 구명장치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그 기술 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철도차량 전두부에 설치되는 구명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구명장치가 승강장의 선로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승강장 선로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명장치의 덮개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명장치의 에어백이 동작한 상태에서 철도차량이 구명장치를 밀면서 진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 : 철도차량 1 : 승강장
2 : 레일 3 : 침목
10 : 구명장치 11 : 몸체
12 : 에어백 13 : 덮개
14 : 측부롤러 15 : 측부롤러축
16 : 베어링 17 : 스프링
18 : 하부롤러 19 : 보조레일
Claims (7)
- 레일 사이에 위치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되는 에어백과,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고 선로의 보조레일과 접하는 하부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선로 추락사고자 구명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몸체의 양측에는 레일의 측면과 접하는 측부롤러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선로 추락사고자 구명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측부롤러의 회전축은 몸체에 설치된 스프링에 의하여 탄력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선로 추락사고자 구명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에어백의 상부에는 몸체의 일측과 힌지 결합된 덮개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선로 추락사고자 구명장치.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덮개는 에어백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선로 추락사고자 구명장치.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에어백은 작동하였을 때 구명장치 주행방향의 정 후방과 양측에 벽형태의 에어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선로 추락사고자 구명장치.
-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상기 몸체는 상면이 레일의 두부면보다 낮게 위치(h)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장 선로 추락사고자 구명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6421A KR100911019B1 (ko) | 2007-12-06 | 2007-12-06 | 승강장 선로 인명 구명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26421A KR100911019B1 (ko) | 2007-12-06 | 2007-12-06 | 승강장 선로 인명 구명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59526A true KR20090059526A (ko) | 2009-06-11 |
KR100911019B1 KR100911019B1 (ko) | 2009-08-05 |
Family
ID=40989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26421A KR100911019B1 (ko) | 2007-12-06 | 2007-12-06 | 승강장 선로 인명 구명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11019B1 (ko)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86391B2 (ja) * | 1999-06-28 | 2004-11-10 | 一良 阿原 | 列車の人身事故防止装置 |
KR100767764B1 (ko) * | 2006-12-26 | 2007-10-17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휴대용 선로 작업자 보호장치 |
-
2007
- 2007-12-06 KR KR1020070126421A patent/KR10091101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11019B1 (ko) | 2009-08-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474489B2 (en) | Collision attenuator | |
KR101309184B1 (ko) | 영구자석과 전자석을 이용한 차량의 완충장치 | |
ES2865416T3 (es) | Vehículo ferroviario con un dispositivo de protección para transeúntes y dispositivo de protección para transeúntes | |
JP4275354B2 (ja) | 車両の緊急救助装置及び緊急救助システム | |
JP4405904B2 (ja) | 車両の衝突転倒防止装置 | |
US20080134930A1 (en) | Train car compensator for platform gap spacing | |
KR100911019B1 (ko) | 승강장 선로 인명 구명장치 | |
US3774543A (en) | Passenger vehicle static switching apparatus | |
JP2008024292A (ja) | 対人対車両事故防止装置 | |
KR101040370B1 (ko) | 선로 점유자 보호 장치 | |
JP4259993B2 (ja) | 車両用ステップ装置 | |
KR100604387B1 (ko) | 철도차량의 선로 작업자 및 보행자 구명장치 | |
JPH08100412A (ja) | 磁気浮上式鉄道のプラットホームに設置する乗降設備 | |
KR20070059472A (ko) | 전동차의 안전범퍼 | |
WO2001068407A1 (en) | Collision attenuator assembly | |
KR20100093162A (ko) | 충격흡수 생명보호 스므스 범퍼 | |
CN219857155U (zh) | 一种市域车辆防撞前端结构 | |
KR100604398B1 (ko) | 도시철도용 선로 작업자 및 공중인명 구명장치 | |
CN201158358Y (zh) | 防撞击汽车装置 | |
CN214149856U (zh) | 一种车辆安全检测系统 | |
KR102717672B1 (ko) | 도로터널의 화재 피난 장치 | |
CN216034214U (zh) | 一种汽车租赁用安全型汽车碰撞防护装置 | |
CN113071440B (zh) | 用于因路面塌陷或侧翻坠坑的公交车逃生系统及逃生方法 | |
KR20060020332A (ko) | 전동차 안전사고 방지 위한 영상 장치 구조 | |
US533067A (en) | William thomas lac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