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8960A - 배출구 구조가 개발된 차량용 와셔펌프 - Google Patents

배출구 구조가 개발된 차량용 와셔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8960A
KR20090058960A KR1020070125775A KR20070125775A KR20090058960A KR 20090058960 A KR20090058960 A KR 20090058960A KR 1020070125775 A KR1020070125775 A KR 1020070125775A KR 20070125775 A KR20070125775 A KR 20070125775A KR 20090058960 A KR20090058960 A KR 20090058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er pump
outlet
housing
vehicle
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5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성
Original Assignee
동양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5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8960A/ko
Publication of KR20090058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89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50Arrangement of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5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 B60S1/52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moving liquid spreading means, e.g. arranged in wiper arms
    • B60S1/528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moving liquid spreading means, e.g. arranged in wiper arms the spreading means being moved between a rest position and a working 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셔펌프는, 자동차의 윈드실드를 세척하기 위한 세정액을 저장하는 저장탱크측에 연결되는 유입구와 상기 윈드실드측으로 세정액을 강제로 송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와셔펌프의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그 하우징과 한 몸체로 그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출구 구조가 개발된 차량용 와셔펌프{Washer pump for vehicle developing outlet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용 와셔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와셔펌프로부터 배출되는 세정액의 배출구의 방향을 그 펌프의 길이방향으로 그 와셔펌프의 하우징과 한 몸체로 그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함으로써 그 와셔펌프에 연결되는 호스의 손상을 방지하고 밴딩 부품이 별도로 추가되지 않는 구조가 개발된 차량용 와셔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앞유리에 먼지가 끼면 운전자의 시야가 흐려져 안전 운행에 방해가 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자동차에는 앞유리에 세정액을 분사하는 와셔장치와 그 와셔장치로부터 분사된 세정액을 이용하여 유리면을 닦는 와이퍼가 설치되어 있다.
이 중에서 세정액을 분사하는 와셔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액이 저장되는 와셔탱크(1)와, 세정액을 유리면을 향해 분사하는 노즐(미도시)과, 탱크(1)에 저장된 세정액을 노즐로 펌핑하는 와셔펌프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와셔펌프는 와셔탱크(1)의 일측에 결합되어 탱크(1)와 함께 자동차의 엔진룸 일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와셔펌프의 배출구로부터 연장하는 공급관(2)을 통해 유리면(3) 전방에 설치된 노즐과 연결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셔펌프(4)는 세정액이 각각 유입 및 유출되는 유입구(5)와 배출구(6)를 가지는 원통형의 하우징(7)과, 하우징(7)의 상부에 설치된 모터(8a)와, 하우징(7)의 하부에 설치되고 모터(8a)의 회전축(8b)과 연결된 임펠러(8c)를 포함하고 있다. 하우징(7)의 유입구(5)는 탱크(1)와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임펠러(8c)를 높게 위치되어 있고, 하우징(7)의 배출구(6)는 임펠러(8c)와 동일한 평면에 위치되어 있다. 모터(8a)는 격벽(9)에 의해 세정액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되고 있다.
운전자가 작동 스위치를 조작하여 모터(8a)를 구동시키면, 모터(8a)의 회전축(8b)에 연결된 임펠러(8c)의 회전에 의해 하우징(7) 하부에 수용된 세정액은 배출구(6)를 통해 배출되고, 공급관(2)을 따라 노즐로 안내된 다음 노즐로부터 유리면(3)을 향해 분사된다.
그런데 종래 와셔펌프(4)에서 배출구(6)는 상기 와셔펌프(4)의 길이방향(X)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급관(2)이 상기 배출구(6)에 연결되어 상기 유리면(3) 측으로 배치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그 공급관(2)이 꺾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공급관(2)은 플라스틱 소재에 의해 제조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관(2)이 상기 배출구(6) 부근에서 꺾이게 되면 그 공급관(2)의 세정액 통로가 막히거나 좁아져서 와이퍼의 성능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셔펌프는 그 와셔펌프의 배출구에 연결된 공급관이 그 배출구 근처에서 꺾이지 않도록 구조가 개발된 차량용 와셔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셔펌프는, 자동차의 윈드실드를 세척하기 위한 세정액을 저장하는 저장탱크 측에 연결되는 유입구와 상기 윈드실드측으로 세정액을 강제로 송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와셔펌프의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그 하우징과 한 몸체로 그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배출구는 상기 와셔펌프 몸체로부터 그 몸체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된 배출유도부의 단부에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구는 지면에 대해 상방으로 개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셔펌프는 그 와셔펌프의 배출구에 연결된 공급관이 그 배출구 부근에서 꺾이지 않아서 와이퍼의 내구성이 향상된 차량용 와셔펌프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 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셔펌프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량용 와셔펌프의 Ⅳ-Ⅳ 선에 따른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셔펌프(10, 이하 "와셔펌프"라 함)는 하우징(20)과, 유입구(30)와, 배출구(4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20)은 내부가 빈 중공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는 모터부(25)와 임펠러부(27)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모터부(25)는 상기 임펠러부(27)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이다. 상기 모터부(25)와 상기 임펠러부(27)의 구조는 종래의 와셔펌프(4)의 구조와 대동소이하므로 상세한 서술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유입구(30)는 상기 하우징(20)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유입구(30)는 세정액을 저장하고 있는 와셔 탱크(미도시)에 직접 끼워져 연결된다. 상기 유입구(30)에는 상기 임펠러부(27)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출구(40)는 상기 하우징(2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유입구(30)의 반대편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출구(40)는 상기 하우징(20)의 길이방향(X)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배출구(40)는 상기 하우징(20)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배출구(40)와 상기 하우징(20)은 배출유도부(4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배출구(40)는 상기 배출유도부(45)를 매개로 상기 하우징(20)과 한 몸체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배출유도부(45)는 상기 임펠러부(27)와 상기 배출구(40)를 상호 연결하는 중공의 세정액 통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배출구(40)는 상기 배출유도부(45)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배출구(40)는 지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구(40)는 지면에 대해 상방이 개방되어 있다. 상기 배출구(40)의 개방된 부위에는 공급관(100)이 끼워질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차량용 와셔펌프(10)의 작용을 세정액이 저장된 와셔탱크로부터 유리면에 분사되기까지 유체의 흐름을 따라 상세하게 서술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셔펌프(10)가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설명을 시작한다. 운전자가 유리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운전석에 있는 와셔펌프(10) 및 와이퍼(미도시)의 작동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배터리(미도시) 또는 발전기(미도시)로부터 전원이 상기 와셔펌프(10)의 모터부(25)에 공급된다. 상기 모터부(25)의 회전자가 회전한다. 그 회전자에 연결된 모터의 출력축(26)이 회전하게 되며, 그 출력축(26)에 상대 고정된 임펠러(28)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임펠러(28)가 회전함에 따라 와셔탱크로부터 상기 와셔펌프(10)의 유입구를 통해 세정액이 상기 와셔펌프(1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와셔펌프(10)로 유입된 세정액은 상기 임펠러부(27)를 통해 상기 배출유도부(45)를 지나 상기 배출구(40)에 이르게 된다. 상기 배출구(40)에 이른 세정액은 그 배출구(40)를 따라 이동하여 지면에 대해 상방으로 개방된 배출구(40)를 지나 공급관(100)으로 이동한 다. 상기 공급관(100)으로 이동된 세정액은 상기 와셔펌프(10)에 의해 발생된 압력에 의해 그 공급관(100)을 따라 이동하여 노즐을 통해 유리면에 분사된다. 이때 시차를 두고 와이퍼가 좌우로 왕복운동을 함으로써 상기 유리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공급관(100)은 그 일단부가 상기 배출구(40) 주위에 끼워져 있게 되며, 상기 배출구(40)가 상기 와셔펌프(10)의 하우징(20)의 길이 방향(X)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그 공급관(100)이 상기 배출구(40) 주위에서 꺾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와셔펌프(4)에 비하여 상기 공급관(100)이 배출구(40) 주위에서 꺾이지 않게 되므로 그 공급관(100)이 막히거나 손상되지 않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와이퍼 시스템의 내구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와셔펌프 하우징으로부터 그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된 배출유도부의 단부에 배치된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배출구가 상기 배출유도부의 단부에 배치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배출구는 지면에 대해 상방으로 개방된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배출구가 지면에 대해 경사지게 마련된 경우라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에서 차량용 와셔펌프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와셔펌프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셔펌프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량용 와셔펌프의 Ⅳ-Ⅳ 선에 따른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차량용 와셔펌프
20...하우징 25...모터부
26...출력축 27… 임펠러부
28...임펠러 30...유입구
40...배출구 45...배출유도부
100...공급관 X...하우징의 길이방향

Claims (3)

  1. 자동차의 윈드실드를 세척하기 위한 세정액을 저장하는 저장탱크 측에 연결되는 유입구와 상기 윈드실드측으로 세정액을 강제로 송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와셔펌프의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그 하우징과 한 몸체로 그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구 구조가 개발된 차량용 와셔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와셔펌프 하우징으로부터 그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된 배출유도부의 단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구 구조가 개발된 차량용 와셔펌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지면에 대해 상방으로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구 구조가 개발된 차량용 와셔펌프.
KR1020070125775A 2007-12-05 2007-12-05 배출구 구조가 개발된 차량용 와셔펌프 KR200900589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775A KR20090058960A (ko) 2007-12-05 2007-12-05 배출구 구조가 개발된 차량용 와셔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775A KR20090058960A (ko) 2007-12-05 2007-12-05 배출구 구조가 개발된 차량용 와셔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960A true KR20090058960A (ko) 2009-06-10

Family

ID=40989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5775A KR20090058960A (ko) 2007-12-05 2007-12-05 배출구 구조가 개발된 차량용 와셔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896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4167B2 (en) Dishwasher
US6951223B2 (en) Cleaning liquid supply system having pumps connected to tank
JP6847256B2 (ja) 洗浄装置および検出装置
JP5393217B2 (ja) ヘッドランプクリーナーのモーターポンプ
KR101536699B1 (ko) 차량용 엔진 세척 장치
US6470527B1 (en) Environmentally friendly windshield wiper and cleaning assembly
KR20090058960A (ko) 배출구 구조가 개발된 차량용 와셔펌프
US9623846B2 (en) Vehicle surface wash apparatus with heated wash fluid
KR100973709B1 (ko) 자동차의 워셔액 펌프
KR20090058959A (ko) 펌프와 저장탱크의 록킹 구조가 개발된 와셔 펌프 장치
JP5876355B2 (ja) ウインドウウォッシャ装置
KR20070022998A (ko) 차량용 와셔액 재활용 장치
JP2007276675A (ja) キャブのワイパー補助装置
KR100680544B1 (ko) 자동차용 와셔 커넥터
KR100328983B1 (ko) 차량용 와셔액 탱크
KR100587935B1 (ko) 차량용 와셔액 분사의 막힘 방지장치
KR100591829B1 (ko) 워셔노즐 어셈블리
KR200269220Y1 (ko) 워셔액 분사 장치
JP6652892B2 (ja) ウォッシャ一体型ワイパ装置
KR101584649B1 (ko) 후드 인슐레이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워셔 장치
KR200142579Y1 (ko) 와셔액 분사장치
KR19980064277U (ko) 자동 세척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JP2008254613A (ja) 車両用ウォッシャ装置
KR19980034224U (ko) 엔진 후드 일체형 윈드 실드 워셔
KR20060067225A (ko) 자동차의 와셔액 분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