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3709B1 - 자동차의 워셔액 펌프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워셔액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709B1
KR100973709B1 KR1020080081780A KR20080081780A KR100973709B1 KR 100973709 B1 KR100973709 B1 KR 100973709B1 KR 1020080081780 A KR1020080081780 A KR 1020080081780A KR 20080081780 A KR20080081780 A KR 20080081780A KR 100973709 B1 KR100973709 B1 KR 100973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er fluid
washer
suction
casing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1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3158A (ko
Inventor
조승현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1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3709B1/ko
Publication of KR20100023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3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50Arrangement of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5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 B60S1/52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moving liquid spreading means, e.g. arranged in wiper ar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워셔탱크의 바닥면까지 인접하게 설치되는 흡입부와 이 흡입부에 끼워져 회전되는 임펠러가 구비되어 워셔탱크의 바닥에 있는 워셔액까지 펌핑하기 위한 자동차의 워셔액 펌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워셔액을 흡입하는 흡입부재가 돌출 형성되고, 워셔액이 배출되는 배출부재가 형성되는 케이싱와,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는 모터 및 상기 흡입부재에 끼워지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되는 임펠러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워셔액 펌프를 제공한다.
윈드쉴드, 워셔액, 워셔펌프, 펌핑, 임펠러

Description

자동차의 워셔액 펌프 {WASHER FLUID PUMP FOR VEHICLES}
본 발명은 자동차의 워셔액 펌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워셔액 저장통에 담겨진 워셔액을 펌핑하는 자동차의 워셔액 펌프에 관한 것이다.
와이퍼는 자동차의 유리인 전방의 윈드 실드와 후방의 리어 윈도우의 외측에 설치되어 비나 눈이 내리는 경우에 운전자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유리에 잔류되어 있는 빗물이나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러한 와이퍼는 전방 윈드 실드와 리어 윈도우의 표면에 이물질이 붙었을 경우 이를 보다 용이하게 씻어내기 위해 워셔액을 윈도우에 분사한 후 와이퍼를 구동시키고 있으며, 이렇게 워셔액을 분사하는 장치가 별도로 구비된다.
워셔액 분사장치는 차량의 보넷(bonnet)의 내부에 설치된 워셔액 저장통과, 워셔액 저장통에 저장된 워셔액을 펌핑(pumping)하는 워셔액 펌프와, 펌핑된 워셔액을 전방의 윈드 실드나 후방의 리어 윈도우로 송수하는 워셔액 호스와, 워셔액 호스의 단부에 설치되어 워셔액이 윈도우를 향해 분사되게 하는 분사노즐로 구성된 다.
이러한 워셔액 분사장치중 워셔액 펌프는 워셔액이 들어있는 워셔액 저장통 옆에 고정되어 워셔액을 분사노즐로 펌핑하여 윈도우로 분사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워셔액 펌프는 워셔액 저장통의 옆에 나란히 설치되어 워셔액을 흡입하기 때문에 워셔액 저장통 내에 잔량이 많이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도 워셔액을 흡입하지 못하여 워셔액을 펌핑할 수 없어서 워셔액을 자주 보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워셔액 저장통의 바닥면까지 인접하게 설치되는 흡입부와 이 흡입부에 끼워져 회전되는 임펠러가 구비되어 워셔액 저장통의 바닥에 있는 워셔액까지 펌핑하여 사용함으로써, 워셔액을 자주 보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워셔액 펌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워셔액을 흡입하는 흡입부재 가 돌출 형성되고, 워셔액이 배출되는 배출부재가 형성되는 케이싱와,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는 모터 및 상기 흡입부재에 끼워지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되는 임펠러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워셔액펌프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흡입부재는 상기 케이싱의 이웃에 설치되는 워셔액 저장통의 상측에서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기 워셔액 저장통의 바닥면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임펠러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방사상으로 복수의 날개가 형성되는 토출날개부와, 상기 토출날개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흡입부재에 끼워지고 상기 복수의 날개에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로 형성되는 흡입날개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브에는 상기 흡입날개부가 회전하여 워셔액을 빨아올릴 때, 워셔액을 위쪽으로 안내하는 워셔액 안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워셔액 안내부는 상기 리브의 양측면에 일정 각격으로 경사져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안내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워셔액 안내부는 상기 리브의 양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경사지고 움푹패여서 형성되는 안내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내홈에는 상기 흡입날개부의 회전에 의해 펌핑되는 워셔액을 위로 퍼올리기 위한 펌핑돌기와 펌핑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워셔액 저장통의 상방에서 아랫방향으로 수직으로 고정되는 흡입부재가 형성되는 케이싱에 워셔액을 흡입하는 임펠러의 일부분이 흡입부재에 끼움 고정되어 흡입 성능을 향상시켜서 워셔액 저장통의 바닥에 깔리는 워셔액까지 흡입하여 배출함으로써, 워셔액을 자주 보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워셔액 펌프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워셔액 펌프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워셔액 펌프에서 임펠러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워셔액 펌프의 임펠러에서 워셔액안내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워셔액 펌프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워셔액 펌프는 워셔액 저장통(200)의 근방에 설치되는 케이싱(110)과, 케이싱(110) 에 설치되는 모터(120)와, 모터(120)의 회전축(121)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임펠러(130)를 포함한다.
케이싱(110)은 워셔액 저장통(200)이나 워셔액 저장통(200)이 설치되는 근방에 다른 부품에 별도로 구비되는 고정부재로 고정되는 구성이다.
케이싱(110)의 외주 둘레에는 고정부재로 고정될 때, 고정부재가 묶여진 상태에서 케이싱(110)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하나이상의 홈(111)이 형성된다. 즉, 고정부재가 케이싱(110)의 둘레를 감쌀 때 홈(111)에 끼워져 고정부재에 묶여진 케이싱(110)이 위 아래로 빠지는 것이 방지되는 구성이다.
케이싱(110)의 내측 상부에는 모터(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접속단자(112)가 구비되다.
케이싱(110)의 상단에는 외부전원에 연결되는 별도의 접속부재가 끼워지는 접속구멍(113)이 형성된다.
케이싱(110)의 하면에는 워셔액 저장통(200)에 끼움 고정되고, 워셔액에 잠수되어 워셔액을 흡입하는 흡입부재(114)가 돌출 형성된다. 즉, 흡입부재(114)는 워셔액 저장통(200)의 상측에서 아랫방향으로 수직으로 결합되어 워셔액 저장통(200)의 바닥면까지 인접하게 형성되는 구성이다.
케이싱(110)의 외주에는 흡입부재(114)로 흡입되는 워셔액이 배출되는 배출부재(115)가 형성된다.
배출부재(115)는 워셔노즐에 연결되어 있는 워셔액호스의 일단에 연결되어 워셔액이 워셔액호스로 배출되는 구성이다.
배출부재(115)의 끝단에는 걸림턱(115a)이 형성되어, 이 배출부재(115)에 끼워져 고정되는 워셔액 호스가 걸림되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또한 케이싱(110)의 내측에는 모터(120)가 설치되되, 모터(120)는 상부에 구비되는 접속단자(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회전축(121)은 하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이다.
임펠러(130)는 회전축(121)에 고정되어 회전되며, 워셔액펌프 하방에 설치되는 워셔액 저장통(200)에서 워셔액을 흡입하는 구성이다.
임펠러(130)는 회전축(121)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홈(131)이 형성되며 방사상으로 복수의 날개(132a)가 구비되는 토출날개부(132)와, 토출날개부(132)에 돌출 형성되며 날개(132a)에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리브(133a)가 구비되는 흡입날개부(133)로 구성된다.
토출날개부(132)는 흡입날개부(133)에 의해 케이싱(110)의 내로 흡입된 워셔액을 보다 빨리 배출시키기 위하여 곡선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리브(134)는 방사상으로 일정한 각도로 형성되어, 리브(134)에는 흡입날개부(133)가 회전될 때, 흡입날개부(133)에 의해 흡입되는 워셔액을 위쪽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워셔액 안내부(135)가 형성된다.
워셔액 안내부(135)는 리브(134)의 양면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내돌기이다.
또한, 이 워셔액 안내부(13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134)의 양면에 움푹패여서 형성되는 안내홈(136)으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 안내홈(136)의 일측에는 흡입날개부(133)의 회전에 의해 펌핑되는 워셔액 을 퍼올리기 위한 펌핑돌기(136a)와 펌핑홈(136b)이 형성된다.
펌핑돌기(136a)는 펑핑되는 워셔액이 펌핑돌기(136a)가 부딪치지 않고 부드럽게 안내홈(136)을 타고 위로 올라갈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안내홈(136)의 상부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워셔액이 펌핑될 때 아무런 저항없이 위쪽으로 올라갈 수 있도록 된 구성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워셔액 펌프의 임펠러가 회전할 때 워셔액 저장통의 워셔액이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흡입된 후에 배출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워셔액 펌프의 임펠러가 회전할 때 케이싱내로 유입된 워셔액이 토출부재를 통하여 배출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워셔액 펌프의 작용을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자동차의 운전자가 운전전 또는 운전중에 앞 유리나 뒷 유리가 더러워서 시야를 가린 다고 판단될 때, 운전자는 운전석에 마련된 워셔펌프 작동버튼을 눌러 워셔액 펌프(100)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케이싱(110) 내에 설치된 모터(120)가 구동되어 회전축(121)에 고정된 임펠러(130)가 회전하게 된다.
임펠러(130)의 흡입날개부(133)가 흡입부재(114)에 끼워진 상태로 회전하면 워셔액저장통(200)에 담겨진 워셔액이 회전하는 흡입날개부(133)의 리브(133a)를 따라 상승되어 케이싱(110) 내로 유입된다.
이렇게 케이싱(110) 내로 유입된 워셔액은 회전하는 임펠러(130)의 토출날개 부(132)에 의해 같이 와류를 일으키면서 회전되어 케이싱(110) 내로 연통되어 케이싱(110) 외주에 돌출 형성되는 배출부재(115)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렇게 배출부재(115)를 통하여 배출되는 워셔액은 배출부재(115)에 연결되는 워셔액호스를 통하여 워셔액노즐까지 이동되어, 워셔액 노즐에 의해 자동차의 앞 유리나 뒤 유리로 분사되는 것이다.
이렇게 자동차의 앞 유리나 뒤 유리로 워셔액이 분사되면, 운전자는 와이퍼의 작동스위치를 조작하여, 와이퍼를 작동시켜서 앞 유리나 뒤 유리의 이물질을 깨끗하게 닦아 내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워셔액 펌프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워셔액 펌프의 임펠러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워셔액 펌프의 임펠러에서 워셔액 안내부의 안내홈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워셔액 펌프가 워셔액 저장통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워셔액 펌프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워셔액펌프 110 : 케이싱
114 : 흡입부재 115 : 배출부재
120 ; 모터 121 : 회전축
130 : 임펠러 131 : 고정홈
132 ; 토출날개부 133 : 흡입날개부
134 : 리브 135 : 워셔액안내부

Claims (7)

  1. 워셔액을 흡입하는 흡입부재가 돌출 형성되고, 워셔액이 배출되는 배출부재가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는 모터; 및
    상기 흡입부재에 끼워지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되는 임펠러를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방사상으로 복수의 날개가 형성되는 토출날개부; 및
    상기 토출날개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흡입부재에 끼워지고 상기 복수의 날개에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로 형성되는 흡입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브는 상기 흡입날개부가 회전하여 워셔액을 빨아올릴 때, 워셔액을 위쪽으로 안내하는 워셔액 안내부를 형성하고,
    상기 워셔액 안내부는 상기 리브의 양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경사지고 움푹패여서 형성되는 안내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워셔액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재는 상기 케이싱의 이웃에 설치되는 워셔액 저장통의 상측에서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기 워셔액 저장통의 바닥면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워셔액 펌프.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셔액 안내부는 상기 리브의 양측면에 일정 각격으로 경사져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안내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워셔액 펌프.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에는 상기 흡입날개부의 회전에 의해 펌핑되는 워셔액을 위로 퍼 올리기 위한 펌핑돌기와 펌핑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워셔액펌프.
KR1020080081780A 2008-08-21 2008-08-21 자동차의 워셔액 펌프 KR100973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780A KR100973709B1 (ko) 2008-08-21 2008-08-21 자동차의 워셔액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780A KR100973709B1 (ko) 2008-08-21 2008-08-21 자동차의 워셔액 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158A KR20100023158A (ko) 2010-03-04
KR100973709B1 true KR100973709B1 (ko) 2010-08-04

Family

ID=42175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1780A KR100973709B1 (ko) 2008-08-21 2008-08-21 자동차의 워셔액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37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327B1 (ko) * 2010-10-06 2013-01-04 보그워너베루시스템즈코리아 주식회사 워셔 펌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736B1 (ko) * 2014-11-05 2015-05-04 이규한 수위센서가 부착된 워셔액용 모터펌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25195U (ko) * 1987-02-09 1988-08-16
JPH0354392A (ja) * 1989-07-20 1991-03-08 Jidosha Denki Kogyo Co Ltd 自動車用小型ポンプ
JPH06227370A (ja) * 1993-01-09 1994-08-16 Robert Bosch Gmbh 洗浄液体を貯蔵タンクから自動車のガラス板に向いた洗浄ノズルに搬送する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25195U (ko) * 1987-02-09 1988-08-16
JPH0354392A (ja) * 1989-07-20 1991-03-08 Jidosha Denki Kogyo Co Ltd 自動車用小型ポンプ
JPH06227370A (ja) * 1993-01-09 1994-08-16 Robert Bosch Gmbh 洗浄液体を貯蔵タンクから自動車のガラス板に向いた洗浄ノズルに搬送する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327B1 (ko) * 2010-10-06 2013-01-04 보그워너베루시스템즈코리아 주식회사 워셔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158A (ko) 201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5653B1 (ko) 차량용 워셔액 분사장치
KR100957702B1 (ko) 리어와셔 시스템용 와셔액 노즐
KR100973709B1 (ko) 자동차의 워셔액 펌프
KR101355587B1 (ko) 차량용 워셔펌프
KR100823838B1 (ko) 자동차의 와셔 분사장치
CN218165216U (zh) 拖把桶的存水装置及拖把桶
JP2009225179A (ja) ウォッシャ付きカメラケース
KR200269220Y1 (ko) 워셔액 분사 장치
KR20000001068U (ko) 자동차용 와셔액 공급 장치
JPH0554124U (ja) 自動車のウィンドウォッシャノズル装置
KR200173036Y1 (ko) 회전식 와셔액 리저버
KR200238724Y1 (ko) 와셔액이 와이퍼에서 분사되며 와이퍼의 진행방향쪽으로만 와셔액이 분사되는 차량용 와이퍼.
KR101584649B1 (ko) 후드 인슐레이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워셔 장치
JP6652892B2 (ja) ウォッシャ一体型ワイパ装置
US20160009254A1 (en) Wiper apparatus having integrally formed washer nozzle
JP5216223B2 (ja) ブリーザチューブ及びそれを用いたウォッシャポンプ
JP2007253867A (ja) ウォッシャ液供給装置
KR19990005853U (ko) 자동차의 카울에 설치된 와셔 노즐
KR100270586B1 (ko) 자동차용 와셔액 탱크 구조
KR19980018756U (ko) 자동차 와셔액 탱크의 주입구
KR0158860B1 (ko) 덮개 일체형 노즐을 구비한 와셔액 분사장치
KR20090058960A (ko) 배출구 구조가 개발된 차량용 와셔펌프
KR100196077B1 (ko) 와이퍼 노즐 자동 조절 장치
KR20060055627A (ko) 자동차용 워셔노즐
JP3854739B2 (ja) 浴用気泡発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