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5853U - 자동차의 카울에 설치된 와셔 노즐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카울에 설치된 와셔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5853U
KR19990005853U KR2019970019234U KR19970019234U KR19990005853U KR 19990005853 U KR19990005853 U KR 19990005853U KR 2019970019234 U KR2019970019234 U KR 2019970019234U KR 19970019234 U KR19970019234 U KR 19970019234U KR 19990005853 U KR19990005853 U KR 199900058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er nozzle
insertion hole
cowl
washer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92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철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192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5853U/ko
Publication of KR199900058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853U/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카울에 설치된 와셔 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와셔노즐이 카울의 삽입공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삽입공의 걸림홈 선단부가 마모가 되면서 와셔 노즐이 삽입공 내부에서 헛돌게 됨에 따라 와셔 노즐의 분사구가 전면 유리를 향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와셔 노즐(200)의 몸통(210) 주연 양측에 설치되는 걸림부(211)를 형성하되, 중심선상에서 일측으로 편심되록 형성하므로서, 카울(100)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공(110)에 와셔 노즐(200)을 삽설시, 와셔 노즐(200)의 양측 걸림부(211)와 함께 와셔 노즐의 몸통(210) 일측이 삽입공(110)의 일측 주연에 접면되면서 와셔 노즐(200)이 삽입공(110) 내부에서 회전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카울에 설치된 와셔 노즐
본 고안은 자동차의 카울에 설치되어 와셔액을 전면 유리에 분사시켜 주는 와셔 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상기 와셔 노즐이 카울에 설치된 후, 카울에 완전히 고정되지 못하고 회전됨에 따라 노즐의 분사구가 전면 유리를 향하지 못하고 다른 방향으로 향하게 되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카울에 설치된 와셔 노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와이퍼는 비 또는 눈으로 인한 물방울이나 그 밖의 오염물질이 전면 또는 후면 유리에 묻어 운전자의 시계가 방해 받는 것을 막기 위하여 자동차의 전면 및 후면 유리를 닦아 내는 작용을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작용을 하는 와이퍼는 유리면의 접촉부위인 블레이드 고무를 포함한 와이퍼 블레이드, 와이퍼 블레이드와 연결된 외이퍼암, 와이퍼암을 구동시키는 모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와셔장치는 전면 및 후면 유리창에 와셔액을 분사하는 장치로서, 탱크에 저장된 와셔를 펌프로 보내 와셔 노즐에서 분사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유리면에 효과적으로 액을 뿌리기 위하여 와셔 노즐의 형태가 단공식, 다공식, 파이프식 있고, 오리피스의 지름은 0.8∼1.0mm 정도이며, 와셔 노즐에는 비닐 호스 등으로 연결되어 정하여진 장소에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와셔액을 분출시키는 펌프의 형식에는 수동식, 진공식, 전기식이 있으며, 현재는 전기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펌프는 전동기 케이스 속에 조립되어 있고, 전동기를 구동시키면 와셔액을 분출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보통 전동기는 8000∼10000 RPM의 회전수를 가진 소형 페라이트 자석식 전동기가 사용되고 전기자축 아래 부분에는 펌프가 조립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전면 유리에 비나 와셔액이 떨어지게 되면 전면 유리가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어, 상기한 비나 와셔액이 모두 하향으로 흘러내려 전면 유리와 몰딩 어셈블리 사이로 흘러들어가 자동차의 실내로 유입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전면 유리의 하부에는 흘러내리는 비나 와셔액이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카울이 설치되어 있어며, 상기 카울에 와셔 노즐이 설치되는 것이다.
즉, 도 1 은 와셔 노즐을 도시한 요부 측면도이고, 도 2 는 와셔 노즐이 삽입될 수 있도록 카울에 형성된 삽입공을 보인 평면도로서, 종래에 자동차의 카울(10)에는 와셔 노즐(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11) 및 걸림홈(1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와셔 노즐(20)의 몸통(21) 주연에는 걸림부(21a)가 형성되어 있어, 와셔 노즐(20)의 몸통(21)이 삽입공(11)에 삽입됨과 동시에 걸림부(21a)가 삽입공(11)의 걸림홈(11a)에 괘지되면서 와셔 노즐(20)이 삽입공(11)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카울(10)에 형성되는 삽입공(11)의 걸림홈(11a) 선단면이 수직으로 형성되지 못하고, 소정각도가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와셔 노즐(20)의 걸림부(21a)가 상기 걸림홈(11a)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걸림홈(11a)의 선단부가 마모가 되면서 와셔 노즐(20)이 삽입공(11)에 설치된 후, 와셔 노즐(20)이 삽입공(11) 내에서 헛돌게 됨에 따라 와셔 노즐(20)의 분사구(22)가 전면 유리를 향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카울에 와셔 노즐을 설치함에 있어서, 와셔 노즐의 몸통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몸통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심되도록 형성하므로서, 와셔 노즐이 삽입공에 설치되면 몸통의 일측면이 삽입공의 주연에 접면되어 와셔 노즐이 삽입공 내부에서 회전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카울에 설치된 와셔 노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와셔 펌프로부터 이송된 와셔액을 유리면에 분사시키도록 분사공이 형성된 와셔 노즐을 구성함에 있어서, 몸통의 주연 양측에 걸림부를 형성하되, 중심선상에서 일측으로 편심되록 형성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자동차의 카울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공에 와셔 노즐을 삽설하게 되면, 와셔 노즐의 주연 몸통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가 몸통의 중심선상에서 일측으로 편심되어 형성됨에 따라 와셔 노즐의 거림부와 함께 몸통의 일측이 삽입공의 일측 주연과 접면되어 와셔 노즐이 회전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와셔 노즐을 도시한 요부 측면도.
도 2 는 종래의 카울에 형성된 삽입공을 도시한 평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와셔 노즐을 도시한 정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요부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와셔노즐 210 : 몸통
211 : 걸림부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와셔 노즐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와셔 노즐의 설치 상태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로서,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의 카울에 설치되는 와셔 노즐을 구성함에 있어서, 와셔 노즐(200)의 몸통(210) 외주연 양측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걸림부(211)를 형성하되, 몸통(210)의 중심선상에서 일측으로 편심되도록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00)은 자동차에 설치된 카울이며,(110)은 상기 카울(100)에 형성된 삽입공이고, (111)은 삽입공(11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자동차의 카울(100)에 와셔 노즐(2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1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공(110)의 양측에는 걸림홈(111)이 설치되어 있어, 와셔 노즐(200)이 상기 삽입공(110)에 삽입되면서 와셔 노즐(200)의 몸통(210)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부(211)가 상기 삽입공(110)의 걸림홈(111)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때 상기 걸림부(211)는 와셔 노즐(200)의 몸통(210) 중심선상서 일측으로 편심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삽입공(110)에 와셔 노즐(200)을 삽입시, 와셔 노즐(200)의 양측 걸림부(211)가 카울(100)의 삽입공(110)에 형성된 걸림홈(111)에 걸림과 동시에 와셔 노즐(200)의 몸통(210) 일측이 삽입공(110)의 일측 주연에 접면되는 것이다.
즉, 와셔 노즐(200)의 몸통(210) 일측이 삽입공(110)의 주연에 접면되고, 와셔 노즐(200)의 양측 걸림부(211)가 걸림홈(111)에 괘지되어 있어 3 점이 지지됨에 따라 와셔 노즐(200)의 회전중심이 삽입공(110)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심되므로서 와셔 노즐(200)이 삽입공(110) 내부에서 회전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의 카울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공에 와셔 노즐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와셔 노즐이 삽입공에서 회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와셔 노즐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와셔 노즐의 중심선상에서 일측으로 편심되도록 설치함에 따라 와셔 노즐이 삽입공에 삽입되면 와셔 노즐의 양측 걸림부와 함께 와셔 노즐의 몸통 일측이 삽입공의 일측면에 접면되면서 와셔 노즐이 삽입공 내부에서 쉽게 회전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카울에 설치되는 와셔 노즐을 구성함에 있어서, 몸통(210) 주연의 양측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걸림부(211)를 구성하되, 몸통(210)의 중심선상에서 일측으로 편심되도록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카울에 설치된 와셔 노즐.
KR2019970019234U 1997-07-21 1997-07-21 자동차의 카울에 설치된 와셔 노즐 KR1999000585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234U KR19990005853U (ko) 1997-07-21 1997-07-21 자동차의 카울에 설치된 와셔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234U KR19990005853U (ko) 1997-07-21 1997-07-21 자동차의 카울에 설치된 와셔 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853U true KR19990005853U (ko) 1999-02-18

Family

ID=69680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9234U KR19990005853U (ko) 1997-07-21 1997-07-21 자동차의 카울에 설치된 와셔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585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05853U (ko) 자동차의 카울에 설치된 와셔 노즐
KR19990005852U (ko) 자동차의 카울에 설치되는 와셔노즐
KR100680544B1 (ko) 자동차용 와셔 커넥터
KR100398112B1 (ko) 자동차용 회전식 와셔액 분사 노즐
KR100427340B1 (ko) 자동차용 와셔액 분사 장치
KR200144782Y1 (ko) 빗물제거장치가 설치된 승용차용 후사경
KR100823838B1 (ko) 자동차의 와셔 분사장치
KR100466517B1 (ko) 차량용 윈도우 브러시
KR100196077B1 (ko) 와이퍼 노즐 자동 조절 장치
KR19990024742U (ko) 자동차 윈드 시일드 와이퍼의 워셔 노즐장치
KR100523588B1 (ko) 차량용 와셔액 분사장치
KR19990034569A (ko) 자동차의 윈드실드 와셔 노즐
KR19980048223U (ko) 자동차의 전면유리 와셔액 분사장치
KR19980025939U (ko) 차량의 헤드 램프 및 윈드시일드 워셔용 분사장치
KR20040038488A (ko) 와이퍼액 분사노즐
KR20060067225A (ko) 자동차의 와셔액 분사장치
KR19980048317U (ko) 자동차의 전면유리 와셔액 분사장치
KR19980068379U (ko) 자동차의 와셔액 분사노즐구조
KR20010000206U (ko) 와이퍼 장착용 와셔노즐
KR19980052290U (ko) 회전분사식 와셔 노즐
KR19980054791A (ko) 차량용 분사노즐장치
KR19980047896U (ko) 자동차의 와셔 노즐
KR20000001073U (ko) 루프에 설치되는 자동차용 와셔액 분사 장치
KR19990020779A (ko) 자동차의 워셔액 분사장치
KR19990034613A (ko) 자동차의 윈드실드 와셔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