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7384A - 베이스, 당해 베이스를 구비한 열 음극 방전램프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베이스, 당해 베이스를 구비한 열 음극 방전램프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7384A
KR20090057384A KR1020097005142A KR20097005142A KR20090057384A KR 20090057384 A KR20090057384 A KR 20090057384A KR 1020097005142 A KR1020097005142 A KR 1020097005142A KR 20097005142 A KR20097005142 A KR 20097005142A KR 20090057384 A KR20090057384 A KR 20090057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tube
exhaust pipe
pin
glass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5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키 기타가와
시로 이이다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57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73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6Seals between parts of vessels; Seals for leading-in conductors; Leading-in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50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Landscapes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양단부가 기밀 밀봉되고, 일측 단부가 관 축 X방향으로 돌출한 배기관 잔존부(38)를 갖는 유리관(12)의 당해 일측 단부에 장착되는 베이스로, 통부(42)와 밑면부(44)로 이루어지는 밑면이 있는 통 형상을 하며, 상기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베이스 본체(46)와, 베이스 본체(46)에 직립 설치된 한 쌍의 베이스 핀(48, 50)을 가지며, 베이스 본체(46)는 밑면부(44)의 중앙부에서 관 축 X방향으로 돌출한 형상으로 돌기하여 이루어지는 배기관 잔존부(38)의 적어도 일부를 수납하는 배기관 잔존부 수납부(52)를 가지고, 한 쌍의 베이스 핀(48, 50)은 배기관 잔존부 수납부(52)를 사이에 둔 양측의 밑면부(44) 부분에 관 축 X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 배기관, 잔존부, 본체, 핀,

Description

베이스, 당해 베이스를 구비한 열 음극 방전램프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FITTING, HOT CATHODE LAMP HAVING THE FITTING,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베이스 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밀 밀봉된 유리관 단부에 제조시에 사용된 배기관이 잔존하는 열 음극 방전램프에 이용되는 베이스에 관한 것이다.
열 음극 방전램프의 하나인 열 음극 형광램프는 종래에는 실내조명 등의 일반 조명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이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내장되는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 이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이 광원으로는 종래 냉음극 형광램프가 주류였으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최근의 대형화에 수반하여 램프효율이나 비용면에서 우수한 열 음극 형광램프가 그 대체로 재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화면의 좌우에 있는 이른바 사이드 프레임(side frame)의 폭을 가능한 한 짧게 하여 전체적으로 콤팩트한 디자인으로 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 사이드 프레임의 배면 측에 열 음극 형광램프의 전극 코일에서부터 베이스에 이르는 부분이 감추어져 있다. 따라서 베이스의 전체 길이를 단축할 수 있으 면 그만큼 사이드 프레임의 폭을 짧게 할 수 있다.
종래 열 음극 형광램프의 베이스는 밑면이 있는 통 형상을 한 베이스 본체의 밑면부로부터 한 쌍의 베이스 핀이 바깥쪽으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 구성을 하고 있다. 베이스는 양단이 기밀 밀봉된 유리관의 단부에 장착된다. 양단부의 적어도 한쪽에는 제조공정에서 이용한 배기관이 남아있다. 이 배기관 잔존부는 밀봉부에서 유리관의 관 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베이스는 가능한 한 기밀 밀봉된 유리관의 안쪽에 삽입함으로써 열 음극 형광램프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하는 동시에 베이스의 전체 길이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배기관 잔존부가 존재하면 베이스 본체의 밑면부가 배기관 잔존부의 정상부(頂部)에 접촉할 때까지가 베이스를 삽입하는 한계가 된다.
종래, 일반 조명용의 열 음극 형광램프에서는 배기관 잔존부를 가열하여 연화시켜서 그 정상부 부분을 유리관의 관 축 방향으로 눌러서 단축(밀어 넣음)을 시킴으로써 배기관 잔존부의 전체 길이를 2~3㎜ 정도 단축하고 있다. 이에 의해 베이스의 전체 길이가 짧아지고, 따라서 열 음극 형광램프의 전체 길이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 2003-308806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국 실개소 55-146659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국 실개소 55-148157호 공보
그러나 배기관 잔존부의 단축에는 한계가 있으며, 지나치게 눌러서 단축을 시키면 구멍이 뚫려버린다. 배기관 잔존부의 전체 길이만큼의 단축은 매우 곤란하며, 어떻게 해도 밀봉부에는 돌출한 형태로 배기관 잔존부가 남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양단이 기밀 밀봉된 유리관의 배기관 잔존부가 있는 단부 측에 장착되는 베이스의 전체 길이를 더욱 단축할 수 있는 베이스, 그와 같은 베이스를 갖는 열 음극 방전램프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베이스는, 양단부가 기밀 밀봉되고, 적어도 일측 단부가 관 축 방향으로 돌출한 배기관 잔존부를 갖는 유리관의 당해 일측 단부에 장착되는 베이스로, 통부와 밑면부로 이루어지는 밑면이 있는 통 형상을 하고, 상기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베이스 본체와, 상기 베이스 본체에 직립 설치된 한 쌍의 베이스 핀을 가지며, 장착 상태에서 상기 배기관 잔존부의 정상부보다도 관 축 방향으로 유리관 중앙부 쪽에 상기 베이스 핀의 기단부(基端部)가 위치하는 형상으로 상기 베이스 본체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유리관의 관 축 방향으로 적어도 베이스 핀의 기단부에서 배기관 잔존부의 정상부에 이르는 거리만큼 종래보다도 베이스의 전체 길이의 단축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베이스 본체가 상기 밑면부 중앙부에서 상기 관 축 방향으로 돌출한 형상으로 돌기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배기관 잔존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납하는 배기관 잔존부 수납부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핀은 당해 배기관 잔존부 수납부를 사이에 둔 양측의 상기 밑면부 부분에 상기 관 축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설치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하면, 베이스 핀이 유리관의 관 축 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에서 적어도 베이스 핀의 기단부에서부터 배기관 잔존부의 정상부에 이르는 거리만큼 종래보다도 베이스의 전체 길이의 단축이 가능해진다.
또는, 상기 베이스 본체가 상기 배기관 잔존부의 정상부보다도 관 축 방향으로 유리관 중앙부 쪽의 위치에, 상기 유리관의 관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개설된 한 쌍의 핀 구멍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핀은 각각 상기 핀 구멍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하면, 적어도 베이스 핀이 베이스 본체에서 노출되어 있는 길이만큼 종래보다 베이스의 전체 길이의 단축이 가능해진다.
도 1(a)은 실시 예 1에 관한 열 음극 형광램프의 정면도이고, (b)는 동 좌측면도이며, (c)는 동 하면도이고, (d)는 제 2 베이스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c)에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제 2 베이스의 변형 예의 일례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4(a)는 실시 예 2에 관한 열 음극 형광램프의 정면도이고, (b)는 동 좌측면도이며, (c)는 일부 절단한 하면도이고, (d)는 제 2 베이스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c)에서의 D-D선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제 2 베이스의 변형 예의 일례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 예 3에 관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분 해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100 열 음극 형광램프
12 유리관
38 배기관 잔존부
40, 104 제 2 베이스
42, 56, 112, 132 통부
44, 58, 114, 134 밑면부
46, 60, 110, 136 베이스 본체
48, 50, 64, 66, 120, 122, 142, 144 베이스 핀
48A, 50A, 120A, 122A 기단부
300 액정 디스플레이장치
302 액정화면 유닛
304 백라이트 유닛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열 음극 방전램프의 한 종류인 열 음극 형광램프를 예로 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 예 1)
도 1(a)에 실시 예 1에 관한 열 음극 형광램프(10)(이하, 「램프(10)」라 한다)의 정면도를, 도 1(b)에 동 좌측면도를, 도 1(c)에 동 하면도를, 도 1(d)에 후 술하는 제 2 베이스(40)의 외관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또, 도 2에 도 1(c)에서의 A-A선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a), (b),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램프(10)는 양단이 기밀 밀봉된 소다석회 유리제의 유리관(12)을 갖는다. 유리관(12)은 도 1(c)의 B-B선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원의 횡단면을 갖는 직관형상의 유리관이다. 유리관(12) 내에는 수은증기를 공급하기 위한 아말감과 희 가스로서의 아르곤 가스가 봉입이 되어 있다(모두 도시생략). 또, 유리관(10)의 내주 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형광체 층이 형성되어 있다.
유리관(12)의 양단은 핀치 가공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도 2에서 지면 우측의 밀봉부를 제 1 밀봉부(14), 지면 좌측의 밀봉부를 제 2 밀봉부(16)로 칭한다.
제 1 밀봉부(14)에는 제 1 전극(18)의 제 1 도입 선(20)과 제 2 도입 선(22)이 지지가 되어 있다.
제 1 도입 선(20)과 제 2 도입 선(22)의 유리관(12)의 내측 부분은 유리 비드(24)에 의해 묶여 있다. 제 1 도입 선(20)과 제 2 도입 선(22)의 유리관(12) 내측의 단부 사이에는 이미터(도시생략)가 도포된 코일(26)이 가교(架橋)되어 있다.
제 1 도입 선(20)과 제 2 도입 선(22)은 제 1 밀봉부(14)로부터 유리관(12)의 외부로 도출되어 있다.
유리관(12)의 제 1 밀봉부(14) 측의 단부 부분에는 제 1 베이스(28)가 장착되어 있다.
제 1 베이스(28)는 밑면이 있는 통 형상을 한 베이스 본체(30)를 가지고 있 으며, 베이스 본체(30)가 상기 단부 부분에 장착되어 있다. 베이스 본체(30)는 PET, PBT, PES, PPS 등에서 선택되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료로 이루어진다. 베이스 본체(30)는 실리콘 수지 또는 시멘트(도시생략)에 의해 유리관(12)과 접착되어 있다.
베이스 본체(30)의 밑면부(30A)에는 중공(中空)의 제 1 베이스 핀(32)과 동일한 중공의 제 2 베이스 핀(34)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베이스 핀(32, 34)이 유리관(12)의 관 축 X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베이스 핀(32, 34)은 동합금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유리관(12)의 외부 측의 제 1 도입 선(20) 부분이 제 1 베이스 핀(32)에 삽입되어 있다. 제 1 베이스 핀(32)의 중공부에는 땜납(도시생략)이 충전되어 있어서 제 1 베이스 핀(32)과 제 1 도입 선(20)과의 전기적인 접속이 도모되어 있다. 또, 제 2 도입 선(22)도 마찬가지로 해서 제 2 베이스 핀(34)과의 전기적인 접속이 도모되어 있다. 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방법은 땜납에 한정되지 않으며, 베이스 핀을 코킹함으로써 실시해도 상관없다.
한편, 유리관(12)의 제 2 밀봉부(16) 측에는 제 2 전극(36)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제 2 전극(36)은 제 1 전극(18)과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으므로, 제 2 전극(36)의 구성 부재에는 제 1 전극(18)의 구성 부재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제 2 밀봉부(16)에는 램프(10)의 일련의 제조공정에서의 유리관(12) 내의 배기공정에서 이용된 배기관의 일부가 잔존하고 있다. 여기서, 핀치 가공에 의해 제 2 밀봉부(16)로부터 돌출하고 있는(연장되어 있는) 배기관의 잔존 부분을 「배기관 잔존부(38)」라 한다.
배기관 잔존부(38)는 핀치 가공에 의한 제 2 밀봉부(16)보다도 가늘며(당연히, 유리관(12)의 스트레이트부 외경보다도 가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밀봉부(16)에서 관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돌출되어 있다).
유리관(12)의 제 2 밀봉부(16) 측의 단부 부분에는 제 2 베이스(40)가 장착되어 있다.
제 2 베이스(40)는 통부(42)와 밑면부(44)로 이루어지는 밑면이 있는 통 형상을 한 베이스 본체(46)와, 베이스 본체(46)에 직립(直立)상태로 설치된 제 1 베이스 핀(48) 및 제 2 베이스 핀(50)을 갖는다.
베이스 본체(46)는, 밑면부(44)의 관 축 X를 포함하는 중앙부에서 관 축 X방향으로 돌출한 형상으로 돌기하여 이루어지며, 배기관 잔존부(38)의 적어도 일부를 수납하는 배기관 잔존부(38)의 수납부(이하, 「배기관 잔존부 수납부(52)」라 한다)를 갖는다.
그리고 제 1 베이스 핀(48)과 제 2 베이스 핀(50)은 배기관 잔존부 수납부(52)를 사이에 둔 밑면부(44) 부분에 관 축 X와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기관 잔존부 수납부(52)를 설치하고, 제 1 베이스 핀(48)과 제 2 베이스 핀(50)의 장착 면(44A)을 배기관 잔존부(38)의 정상부보다 관 축 X방향의 유리관(12)의 중앙부 쪽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종래보다도 베이스 핀을 포함한 베이스의 전체 길이(관 축 X방향의 길이)를 베이스 핀 장착 면(44A)으로부터의 배기 관 잔존부 수납부(52)의 높이 「L1」만큼 단축할 수 있게 된다.
환언하면, 상기와 같이 하여, 배기관 잔존부(38)의 정상부보다도 관 축 X방향으로 유리관(12)의 중앙부 쪽에 제 1 베이스 핀(48)의 기단부(basal end, 48A)와 제 2 베이스 핀(50)의 기단부(50A)가 위치하는 형상으로 베이스 본체(46)의 형상을 구성함으로써 베이스의 전체 길이를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 도 1, 도 2에서는 베이스 핀 장착 면(44A)으로부터의 제 1 및 제 2 베이스 핀(48, 50)의 높이와 배기관 잔존부 수납부(52)의 높이를 일치시킨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제 1 및 제 2 베이스 핀(48)의 높이는 배기관 잔존부 수납부(52)의 높이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관 축 X방향에서 배기관 잔존부 수납부(52)의 단부보다 제 1 및 제 2 베이스 핀(48, 50) 선단 쪽이 유리관(12) 중앙부 측으로 후퇴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적어도 관 축 X방향으로 램프(10)가 어떠한 장해물에 충돌한 때에 제 1 및 제 2 베이스 핀(48, 50)이 파손되는 등의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설명을 생략하였으나, 베이스 본체(46)의 재질은 제 1 베이스(28)의 베이스 본체(30)와 동일하다. 또, 제 1 및 제 2 베이스 핀(48, 50)과 제 1 및 제 2 도입 선(20, 22)과의 접속방법은 상술한 제 1 베이스(28)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 제 2 베이스(40)는 제 1 베이스(28)와 마찬가지로 실리콘 수지 또는 시멘트(도시생략)에 의해 유리관(12)에 접착된다.
(변형 예)
상기 실시 예에서는 타원 단면을 한 유리관(12)의 형상에 적합하게 하기 위 해서 베이스 본체(46)의 통부(42)는 타원의 통 형상으로 형성하였으나, 통부(내주)의 형상은 장착 처의 유리관 형상에 맞춰서 적당히 변경해도 상관없다.
도 3은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유리관에 장착되는 제 2 베이스(54)의 외관 사시도이다.
제 2 베이스(54)는 원통형을 한 통부(56)와 밑면부(58)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본체(60)를 갖는다. 베이스 본체(60)의 밑면부(58) 중앙부에서 관 축 X방향으로 돌출하는 형상으로 돌기한 배기관 잔존부 수납부(62)를 갖는다.
그리고 제 1 베이스 핀(64)과 제 2 베이스 핀(66)은 배기관 잔존부 수납부(52)를 사이에 둔 밑면부(58) 부분에 관 축 X와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실시 예 1이나 그 변형 예에서 배기관 잔존부 수납부의 외주 면에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소켓에 장착할 때의 결합 크로우(engagement claw)를 설치해도 상관없다(말할 필요도 없이, 소켓에도 이 결합 크로우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 배기관 잔존부 수납부의 외형을 실시 예 1이나 그 변형 예에서 설명한 원주 형상이 아니라 각주(角柱) 형상으로 하면 결합 크로우를 설치하기가 쉬워진다.
(실시 예 2)
실시 예 2에 관한 열 음극 형광램프(이하, 「램프(100)」이라 한다)를 도 4, 도 5에 나타낸다. 또, 램프(100)는 베이스의 형상이 다른 것 외에는 실시 예 1의 램프(10)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다. 따라서 공통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하며, 베이스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4(a)는 램프(100)의 정면도이고, 도 4(b)는 동 좌측면도이며, 도 4(c)는 동 하면도이고, 도 4(d)는 후술하는 제 2 베이스(104)의 외관 사시도이다. 또, 도 1(c)에서는 제 2 베이스(104)를 도 1(a)에 나타내는 C-C선으로 절단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5는 도 4(c)에서의 D-D선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리관(12)의 제 1 밀봉부(14) 측의 단부 부분에는 제 1 베이스(102)가, 제 2 밀봉부(16) 측의 단부 부분에는 제 2 베이스(104)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실시 예 2에서는 제 1 베이스(102)와 제 2 베이스(104)는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으므로 제 2 베이스(104)를 대표로 설명한다.
제 2 베이스(104)는 관 축 X와 교차하는 방향(본 예에서는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리가능한 복수의(본 예에서는 2개의) 제 1 부재(106)와 제 2 부재(108)의 조립체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본체(110)를 갖는다.
제 1 부재(106)와 제 2 부재(108)는 상호 간에 설치된 미 도시의 결합 크로우에 의해서 결합이 되어서 조립된다. 조립된 상태에서 베이스 본체(110)는 통부(112)와 밑면부(114)로 이루어지는 밑면이 있는 통 형상을 이룬다. 또, 양 부재의 연결수단은 결합 크로우에 한정되지 않으며, 나사나 스프링 핀 등에 의한 것이라도 상관없다.
제 1 부재(106)에는, 배기관 잔존부(38)의 정상부보다도 관 축 X방향으로 유리관(12)의 중앙부 쪽에, 관 축 X와 교차하는 방향(본 예에서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설된 한 쌍의 핀 구멍(제 1 핀 구멍(116)과 제 2 핀 구멍(118))이 개설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핀 구멍(116)에는 제 1 베이스 핀(120)이, 제 2 핀 구멍(118)에 는 제 2 베이스 핀(122)이 각각 압입(壓入)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 1 베이스 핀(120)의 기단부(120A)와 제 2 베이스 핀(122)의 기단부(122A)는 배기관 잔존부(38)의 정상부보다 관 축 X방향으로 유리관(12)의 중앙부 쪽에 위치하게 된다. 또, 말할 필요도 없이 양 베이스 핀은 중공이다.
제 1 핀 구멍(116)과 제 2 핀 구멍(118)은 각각 통부(112)의 두께 방향으로 팽창 돌출한 제 1 보스부(boss part)(124)와 제 2 보스부(126)에 각각 개설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베이스 핀의 압입을 위한 마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베이스 핀을 안정되게 통부(112)(제 1 부재(106))에 설치할 수 있다.
또, 제 1 부재(106)에는 관 축 X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본 예에서는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후퇴한 단차면(128)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 1 및 제 2 베이스 핀(120, 122)은 단차 면(128)에 설치되어 있다. 단차 면(128)을 설치함으로써 제 2 베이스(104)가 장착되는 미 도시의 소켓과 일부가(관 축 X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중첩된(단차만큼이 중첩된다) 상태로 장착될 수 있으므로 백라이트 유닛의 박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밀봉부(16)로부터 도출된 제 1 도입 선(20)은 도중에 대략 직각으로 휘어져서 제 1 베이스 핀(120)에 삽입되고, 제 2 도입 선(22)도 마찬가지로 제 2 베이스 핀(122)에 삽입되어 있다. 제 1 도입 선(20)과 제 2 도입 선(22)은 대략 직각으로 구부려서 삽입하지 않으면 안 되나, 제 1 부재(106)와 제 2 부재(108)의 조립 전에 이를 삽입함으로써 매끄럽게 당해 작업을 할 수 있다.
또,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베이스(104)는 통부(112)의 개구 측 단부 부분이 유리관(12)의 스트레이트부(비 밀봉부)에 중첩되어서 장착되어 있다. 제 2 밀봉부(16)에만 중첩해서 장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핀치 가공에 의한 밀봉부의 형상은 안정적이지 않으므로 제 2 베이스(104)의 유리관(12)에 대한 장착자세가 불안정해진다. 이에, 실시 예에서는 형상이 안정된 상기 스트레이트부에 중첩해서 장착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 제 2 베이스(104)는 실시 예 1과 마찬가지로 실리콘이나 시멘트(도시생략)에 의해 유리관(12)에 접착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 2 베이스(104)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베이스 핀(120, 122)이 관 축 X와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베이스보다도 베이스의 전체 길이(관 축 X방향의 길이)를 적어도 도 5에 나타낸 L2만큼 단축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에 일 점 쇄선으로 도시한 베이스 핀(200)은 종래의 베이스에서의 베이스 핀(200)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실시 예에서는 제 1 및 제 2 베이스 핀(120, 122)을 배기관 잔존부(38)의 정상부보다도 관 축 X방향으로 유리관(12)의 중앙부 쪽에 위치시키고 있으므로, 베이스 본체(110)의 전체 길이(관 축 X방향의 길이)도 가능한 한 단축할 수 있다.
(변형 예)
상기 실시 예 2에서는 타원 단면을 한 유리관(12)의 형상에 적합하게 하기 위해서 베이스 본체(110)의 통부(112)는 타원의 통 형상으로 형성하였으나, 실시 예 1의 변형 예와 마찬가지로 통부(내주)의 형상은 장착 처의 유리관 형상에 맞춰서 적당히 변경해도 상관없다.
도 6은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유리관에 장착되는 제 2 베이스(130)의 외관 사시도이다.
제 2 베이스(130)는 개구 측 단부 부분이 원통형을 한 통부(132)와 밑면부(134)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본체(136)를 갖는다.
베이스 본체(136)는 관 축 X와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리 가능한 제 1 부재(138)와 제 2 부재(140)의 조립체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1 부재(138)는 관 축 X와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후퇴한 단차 면(138A)을 가지며, 단차 면(138A)에 제 1 베이스 핀(142) 및 제 2 베이스 핀(144)이 관 축 X와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실시 예 3)
도 7에 도시한 것은 실시 예 3에 관한 액정 디스플레이장치(30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예를 들어 32[inch]의 액정 텔레비전 모니터이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패널 등을 포함한 액정화면 유닛(302)과 액정화면 유닛(302)의 배면에 배치된 백라이트 유닛(304) 및 점등회로(306)를 구비한다.
액정화면 유닛(302)은 액정패널(컬러필터 기판, 액정, TFT 기판 등)(도시생략) 및 구동모듈 등(도시생략)을 구비하며, 외부로부터의 화상 신호에 의거하여 컬러 화상을 형성한다.
백라이트 유닛(304)은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직하 방식이며, 하우징(308)과, 하우징(308)의 내부에 수납된 복수 개의 열 음극 형광램프(10)와, 하우징(308) 의 액정화면 유닛(302) 측 개구부를 덮는 광학 시트류(310)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308)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제이며, 그 밑면에 은이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이 증착되어서 반사 면(312)이 형성되어 있다.
광학 시트류(310)는 예를 들어 확산시트(310A)와 렌즈시트(310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점등회로(306)는 백라이트 유닛(304) 내부의 형광램프(10)를 점등시킨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백라이트 유닛(304)의 광원으로 실시 예 1의 열 음극 형광램프(10)를 사용하였으나, 이에 대신하여, 실시 예 2에 관한 열 음극 형광램프(100)를 사용해도 상관없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며,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1) 실시 예 2에서는 보스부(124, 126)(도 4(c), 도 5)를 설치하여, 베이스 핀을 압입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실시 예 1에서도 마찬가지로 보스부를 설치해도 상관없다.
(2) 베이스 본체의 내부 형상은 장착 처가 되는 유리관의 외형에 맞춘 것이 바람직하나, 베이스 본체의 외형은 반드시 유리관의 외형에 맞출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원형이나 타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유리관에 대하여 베이스의 외형을 각주(角柱) 형상이나 다각 주(多角柱)(정다각주를 포함) 형상으로 형성해도 상관없다.
(3) 상기 실시 예에서는 베이스 본체를 절연체인 수지로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금속으로 형성해도 상관없다. 그러한 경우에는 베이스 핀의 베이스 본체에 대한 장착부분에 수지 등의 절연 슬리브를 삽입함으로써 베이스 핀과 베이스 본체 사이의 전기적인 절연을 도모할 수 있다.
(4) 상기 실시 예에서는 열 음극 형광램프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열음극 자외선램프에도 적용할 수 있다. 열음극 자외선램프는 예를 들어 살균등으로 이용되며,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 이용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에는 램프의 전체 길이를 종래보다 단축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을 일반 조명용의 열 음극 형광램프나 그 베이스에 적용한 경우에도 램프의 전체 길이를 종래보다 단축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을 얻을 수 있음은 말할 것도 없다.
(5) 상기 실시 예에서는 기밀 밀봉된 유리관의 한쪽의 단부에만 배기관 잔존부가 있으나, 본 발명은 유리관의 양단부에 배기관 잔존부가 있는 것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6) 상기 실시 예에서는 유리관은 직관 형상으로 하였으나, 유리관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U」자형, 「コ」자형, 또는 「N」자형이라도 상관없다. 요는, 액정 디스플레이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서 사용된 경우에, 전극 코일에서부터 베이스에 이르는 부분이 화면 주위에 존재하는 이른바 사이드 프레임에 감춰지는 램프에 본 발명은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베이스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장치에 장착되는 직하 방식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 이용되는 열 음극 형광램프의 베이스로서 적합하게 이용가능하다.

Claims (14)

  1. 양단부가 기밀 밀봉되고, 적어도 일측 단부가 관 축 방향으로 돌출한 배기관 잔존부를 갖는 유리관의 당해 일측 단부에 장착되는 베이스(base)로,
    통부(筒部)와 밑면부로 이루어지는 밑면이 있는 통 형상을 하며, 상기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베이스 본체와,
    상기 베이스 본체에 직립(直立) 설치된 한 쌍의 베이스 핀을 가지며,
    장착 상태에서, 상기 배기관 잔존부의 정상부보다도 관 축 방향으로 유리관의 중앙부 쪽에 상기 베이스 핀의 기단부(basal end)가 위치하는 형상으로 상기 베이스 본체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본체는, 상기 밑면부 중앙부에서 상기 관 축 방향으로 돌출한 형상으로 돌기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배기관 잔존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납하는 배기관 잔존부 수납부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핀은 당해 배기관 잔존부 수납부를 사이에 둔 양측의 상기 밑면부 부분에 상기 관 축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관 축 방향에서, 상기 배기관 잔존부 수납부 단부보다도 상기 베이스 핀 선단 쪽이 유리관 중앙부 측으로 후퇴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본체는, 상기 배기관 잔존부의 정상부보다도 관 축 방향으로 유리관 중앙부 쪽의 위치에, 상기 유리관의 관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개설된 한 쌍의 핀 구멍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핀은 각각 상기 핀 구멍에 삽입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본체는 상기 통부의 일부가 그 두께 방향으로 팽창 돌출한 보스부를 가지며,
    상기 핀 구멍은 당해 보스부에 개설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핀은 그 일측 단부 부분이 상기 핀 구멍에 압입(壓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본체는 상기 관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분리 가능한 적어도 2개의 부재의 조립체이며,
    상기 한 쌍의 핀 구멍은 하나의 부재에 개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7. 제 4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본체의 상기 통부는 상기 관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후퇴한 단차면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 핀은 상기 단차면에 직립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8. 양단부가 기밀 밀봉되고, 적어도 일측 단부가 관 축 방향으로 돌출한 배기관 잔존부를 갖는 유리관의 당해 일측 단부에 장착되는 베이스로,
    통부와 밑면부로 이루어지는 밑면이 있는 통 형상을 하고, 상기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베이스 본체와,
    상기 베이스 본체의 상기 통부에 상기 관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직립 설치된 한 쌍의 베이스 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본체는 상기 통부의 일부가 그 두께 방향으로 팽창 돌출한 보스부를 가지며,
    상기 핀 구멍은 당해 보스부에 개설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 핀은 그 일측 단부 부분이 상기 핀 구멍에 압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본체는 상기 관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분리 가능한 적어도 2개의 부재의 조립체이고,
    상기 한 쌍의 핀 구멍은 하나의 부재에 개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11. 제 8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본체는 상기 통부의 개구 측 단부 부분이 상기 유리관의 비 밀봉부의 일부에 중첩되어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본체의 상기 통부는 상기 관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후퇴한 단차면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 핀은 상기 단차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13. 양단부가 기밀 밀봉되고, 적어도 일측 단부가 관 축 방향으로 돌출한 배기관 잔존부를 갖는 유리관과,
    상기 유리관의 상기 일측 단부에 장착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베이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음극 방전램프.
  14. 액정표시패널과,
    광원으로 청구항 13에 기재된 열 음극 방전램프를 가지며,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배면에 배치된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97005142A 2006-09-28 2007-09-21 베이스, 당해 베이스를 구비한 열 음극 방전램프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200900573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65543 2006-09-28
JP2006265543 2006-09-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7384A true KR20090057384A (ko) 2009-06-05

Family

ID=39268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5142A KR20090057384A (ko) 2006-09-28 2007-09-21 베이스, 당해 베이스를 구비한 열 음극 방전램프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085505A1 (ko)
EP (1) EP2063446A1 (ko)
JP (1) JPWO2008041515A1 (ko)
KR (1) KR20090057384A (ko)
CN (1) CN101517685A (ko)
TW (1) TW200822170A (ko)
WO (1) WO20080415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62577A1 (en) * 2009-09-15 2012-06-28 Sharp Kabushiki Kaisha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9062870B2 (en) * 2013-05-10 2015-06-23 Caldesso, Llc UV bulb configurati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2682Y2 (ko) 1979-04-06 1982-05-17
JPS5722683Y2 (ko) 1979-04-11 1982-05-17
JPS57151845U (ko) * 1981-03-19 1982-09-24
JPS6144785U (ja) * 1984-08-27 1986-03-25 ニツポ電機株式会社 螢光ランプ装置
JPS63150458U (ko) * 1987-03-25 1988-10-04
JPH03126347U (ko) * 1990-04-05 1991-12-19
JPH07211293A (ja) * 1995-02-13 1995-08-11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表示用ランプ素子
JP3456067B2 (ja) * 1995-09-21 2003-10-14 松下電工株式会社 直管形蛍光ランプ及びこのランプを用いた照明器具
JPH09259750A (ja) * 1996-03-21 1997-10-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平板型蛍光ランプの口金部
JPH10112256A (ja) * 1996-10-09 1998-04-28 Matsushita Electron Corp 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US6211618B1 (en) * 1999-04-27 2001-04-03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 Arc discharge lamp with bimetal strip for fast passive lamp failure
JP2003308806A (ja) 2002-04-15 2003-10-31 Sharp Corp 放電管、並びに、それを備えた光源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17685A (zh) 2009-08-26
JPWO2008041515A1 (ja) 2010-02-04
US20100085505A1 (en) 2010-04-08
EP2063446A1 (en) 2009-05-27
WO2008041515A1 (fr) 2008-04-10
TW200822170A (en) 200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2679B2 (en) Discharge tube, ferrule,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EP2045831B1 (en) Electric discharge tube, ferrule, and illuminating device, display, and tv receiver with said discharge tube
JP4180624B2 (ja) コネクタ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組立体
KR20090057384A (ko) 베이스, 당해 베이스를 구비한 열 음극 방전램프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CN1198312C (zh) 放电灯、灯装置及灯装置的制造方法
JPWO2006114975A1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用ランプ
US7999452B2 (en) Connecting member improved in assemblability with respect to a connection object and a combination thereof
US20080012498A1 (en) External Electrode Flourescent Lamp, 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JP4584051B2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当該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を有する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7157565A (ja) 点灯装置、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テレビ
US8044563B2 (en) Light emitting unit and conductive device thereof
JP4482721B2 (ja) 反射鏡付ランプの製造方法及びそのランプ
JP4826767B2 (ja) 放電管用コネクタ、コネクタ付き放電管及び面光源装置
KR20030067127A (ko)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니트
JP2007157564A (ja) 点灯装置、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テレビ
JP2001307683A (ja) 放電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US20100102726A1 (en) Illumination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3029267U (ja) 背面光源装置
KR100912760B1 (ko) 방전관용 커넥터, 커넥터부착 방전관 및 면광원장치
JP2002184350A (ja) 放電灯用マウント、および放電灯用マウントの製造方法
JP2003168302A (ja) 電球形蛍光ランプ
JP2006351349A (ja) 屈曲型蛍光ランプ、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屈曲型蛍光ランプの製造方法
CN1497335A (zh) 带有反射镜的灯和图像投影装置
JPH10208534A (ja) 小型蛍光ランプ装置
JP2010108724A (ja) 口金及び口金付き放電灯及び光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