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6832A - 사출성형기 및 사출성형기의 성형품의 취출 방법 - Google Patents

사출성형기 및 사출성형기의 성형품의 취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6832A
KR20090056832A KR1020080114618A KR20080114618A KR20090056832A KR 20090056832 A KR20090056832 A KR 20090056832A KR 1020080114618 A KR1020080114618 A KR 1020080114618A KR 20080114618 A KR20080114618 A KR 20080114618A KR 20090056832 A KR20090056832 A KR 20090056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machine
injection molding
mold
spool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4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시유키 에비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메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메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메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90056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68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2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using means movable from outside the mould between mould parts, e.g.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2045/2683Plurality of independent mould cavities in a singl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2045/4094Ejectors located on the fixed mould hal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복수의 캐버티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금형이 부착된 사출성형기에서, 금형으로부터 성형품을 취출할 때에, 간단한 기구에 의해 성형품 등을 고속으로 취출할 수 있는 취출 장치가 배설된 사출성형기 및 사출성형기로부터의 성형품의 취출 방법을 제공한다.
복수의 캐버티(23a, 23b, 32a, 32b)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금형(17, 20)이 부착된 사출성형기(10)에서, 사출성형기(10)에 배설되는 성형품(P)의 취출 장치(40)에는 회전축(42)의 회전에 의해 선회되는 암(43)이 설치되고, 암(43)에는 성형품(P)을 흡착 유지하는 흡반(47)이 부착되며, 암(43)이 선회 이동될 때에, 흡반(47)이 금형(20)에 유지되어 있는 스풀(S)에 간섭되지 않고 취출 장치(40)의 대기 위치 H에서 보아 먼쪽의 성형품(P)의 전방으로 이동된다.
캐버티, 금형, 사출성형기, 취출 장치, 성형품, 흡반, 스풀, 타이바, 선회축, 암

Description

사출성형기 및 사출성형기의 성형품의 취출 방법{INJECTION MOLDING MACHINE AND METHOD FOR TAKING-OUT A PRODUCT MOLDED BY INJECTION MOLDING MACHINE}
본 발명은 복수의 캐버티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금형이 부착된 사출성형기 및 사출성형기의 성형품의 취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선회되는 암을 가지는 취출 장치가 배설된 사출성형기 및 사출성형기의 성형품의 취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출압축성형기를 포함하는 사출성형기에 설치되어, 성형된 성형품의 취출을 행하는 취출 장치로서는 특허문헌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방의 2개의 타이바(tie bar) 사이로부터 취출 장치를 침입시켜, 성형품을 상방으로 취출하고, 측면쪽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취출 장치가 가장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 취출 장치는 취출 장치의 승강과 수평 이동을 수반하기 때문에 성형품의 취출에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상기 문제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특허문헌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하의 타이바 사이로부터 취출 장치를 침입시키고, 성형품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취출하는 수평 이동식 취출 장치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 나타내는 수평 이동식 취출 장치는 복수의 캐버티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 된 금형의 경우, 가동 금형에 유지되어 있는 스풀(spool)이 방해가 되어 성형품을 흡착하는데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종래의 수평 이동식 취출 장치에서는 대기 위치 A로부터 금형 사이에 침입할 때에 스풀(S)의 선단(Sa)보다 고정 금형측을 수평 이동하고, B의 위치에 정지하고 나서 가동 금형측을 향해서 이동하고, C의 위치에서 성형품을 흡착한다. 따라서 B의 위치부터 C의 위치를 향하여 형개폐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가 길어져, 그것에 따라서 이동 시간도 길어진다. 또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도 5에 요부가 도시된 다른 형태의 종래의 수평 이동식 취출 장치와 같이, 스풀(S)이 간섭되는 위치 S1을 피하여, 성형품(W)의 중심선(W1) 이외의 부분을 흡착하도록 흡반(C)을 배치하는 것도 생각된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수평 이동식 취출 장치는 흡반(C)의 수가 늘어나 장치가 복잡화하므로 비용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중량도 증가하므로 장치가 수평 이동할 때의 관성 모멘트도 커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디스크의 성형에서는, 특허문헌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선회식 취출기도 사용되고 있는 예는 있지만, 다른 성형품에는 이용되고 있지 않았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2003-145593호 공보(0032, 도 2)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2001-79910호 공보(청구항 1, 도 1)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 공개 2007-15110호 공보(0014, 도 1, 도 3)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문제를 감안하여, 복수의 캐버티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금형이 부착된 사출성형기에서, 금형으로부터 성형품을 취출할 때에, 간단한 기구에 의해 성형품 등을 고속으로 취출할 수 있는 취출 장치가 배설된 사출성형기 및 사출성형기로부터의 성형품의 취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항에 기재된 사출성형기 및 제4항에 기재된 사출성형기의 성형품의 취출 방법은, 복수의 캐버티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금형이 부착된 사출성형기에 배설되는 성형품의 취출 장치에는,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선회되는 암이 설치되고, 암에는 성형품을 흡착 유지하는 흡반이 부착되며, 암이 선회 이동될 때에, 상기 흡반이 금형에 유지되어 있는 스풀에 간섭되지 않고 취출 장치의 대기 위치에서 보아 먼쪽의 성형품의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출성형기 및 사출성형기의 성형품의 취출 방법은, 복수의 캐버티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금형이 부착된 사출성형기에서, 사출성형기에 배설되는 성형품의 취출 장치에는,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선회되는 암이 설치되고, 암에는 성형품을 흡착 유지하는 흡반이 부착되며, 암이 선회 이동될 때에, 흡반이 금형에 유지되어 있는 스풀에 간섭되지 않고 취출 장치의 대기 위치에서 보아 먼쪽의 성형품의 전방으로 이동되므로, 사출성형기에 배설되는 취출 장치가 간단한 기구여도, 보다 고속으로 성형품 등을 취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출성형기 및 사출성형기의 성형품의 취출 방법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도광판의 사출성형기, 성형 금형, 및 취출 장치를 조작반 반대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도광판의 사출성형기, 성형 금형, 및 취출 장치를 상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도광판의 취출 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고정 금형측에서 가동 금형측을 본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성형품인 대각 치수 3인치의 휴대전화용 도광판(Pa, Pb)은 사출성형 중의 한 분야인 사출압축성형(사출 프레스를 포함함)에 의해 성형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성형기(10)(사출압축성형기)는 스크류가 내장된 가열통(12)과 노즐(13)이 구비된 사출 장치(14)와 형체결 장치(11)가 베드(16) 상에 배설되어 있다. 형체결 장치(11)는 베드(16)에 고정되어 있고 고정 금형(17)이 부착되는 고정반(18)과, 베드(16)에 배설된 도시하지 않는 수압반(受壓盤) 사이에 4개의 타이바(19a, 19b, 19c, 19d)가 배설되고, 상기 타이바(19a) 등에는 가동 금형(20)이 부착되는 가동반(21)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 통과되어 있다. 또 수압반에는 형개폐와 형체결을 행하는 형개폐·형체결 기구인 형체결 실린더(15)가 배설되고, 상기 형체결 실린더(15)의 램(15a)이 가동반(21)의 배면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형개폐·형체결 기구는 서보 밸브에 의해 제어되는 형체결 실린더(15)의 예를 나타내지만, 서보 모터와 볼나사 기구를 포함하는 토 글 기구여도 된다.
금형은 가동 금형(20)과 고정 금형(17)으로 이루어지고, 형맞춤된 양 금형(20, 17) 사이에는, 사출압축성형 또는 사출 프레스에 이용되도록 용적 및 두께가 가변의 복수의 캐버티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가동 금형(20)은 금형 본체부(22)와 코어부(23, 23)와 가동 프레임부(24) 등이 설치되어 있다. 금형 본체부(22)에 대해서는, 전면(前面)에 캐버티 형성면(23a, 23b)을 가지는 코어부(23, 23)가 각각 가로 위치에 늘어서도록 고착되고, 그 주위의 가동 프레임부(24)는 스프링(25)에 의해 금형 본체부(22)에 부착되어 있다.
또 상기 좌우의 코어부(23)와 코어부(23) 사이는 러너 형성 블록(26)으로 되어 있고, 스풀 부시(34)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이젝터 장치의 돌출핀(27)이 진퇴 가능하게 배설되며, 그 선단면에는 스풀(S)을 가동 금형(20)측에 뽑아내기 위한 식입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 러너 형성 블록(26)의 상기 식입부 근방으로부터 각 캐버티 형성면(23a, 23b)을 향하여 각각 러너(R)를 형성하는 러너 형성면(26a, 26a)이 양측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 러너 형성면(26a, 26a)과 캐버티 형성면(23a, 23b) 사이에는, 게이트 커터(28, 28)가 각각 진퇴 가능하게 배설되어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금형(20)에서는 스풀(S)과 연통하는 돌출핀(27)의 식입부를 중심으로 하여 캐버티 형성면(23a, 23b)이 대칭 위치에 배설되어 있다. 또 가동 금형(20) 내에는, 캐버티 형성면(23a, 23b)을 냉각하는 도시하지 않는 캐버티용 냉각 매체 유로 등의 유로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금형(20)의 가동 프레임부(24) 등에는 도광판(Pa, Pb)의 취출시에 방해가 될 것 같은 금형 걸어맞춤용 가이드로드 등은 돌출 형성되어 있지 않다.
고정 금형(17)은 금형 본체부(31), 캐버티 형성면(32a, 32b)이 형성된 캐버티 형성 블록(32, 32), 러너 형성 블록(33), 스풀 부시(34), 고정 게이트 커터(35), 당접 블록(3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풀 부시(34) 내에서 형성되는 스풀은 직경 2.0~4.Omm정도이며, 길이는 20~50mm로 되어 있다. 또 러너 형성 블록(33)의 표면에는 러너 형성면(33a, 33a)이 형성되어 있다. 또 고정 게이트 커터(35)는 캐버티 형성 블록(32, 32)과 러너 형성 블록(33) 사이에 각각 배설되어, 가동 금형(20)의 게이트 커터(28)와 끼워맞춰지도록 배설되어 있다. 또 고정 금형(17) 내에는 냉각 매체 유로가 설치되어 있다.
그 다음에 사출성형기(10)의 일부를 구성하고, 금형으로부터 성형된 도광판(Pa, Pb)을 취출하는 취출 장치(4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출 장치(40)는 고정반(18)의 반조작측(조작반과는 반대측)의 상면에 본체부(41)가 배설되어 있다. 취출 장치(40)는 형개폐 방향으로 회전축(42)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42)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략 호형상의 암(43)이 고정되어 있다. 회전축(42)은 본체부(41)에 장착된 도시하지 않는 제1 서보 모터와 볼나사 기구에 의해 축방향(형개폐 방향)으로 진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마찬가지로 본체부(41)에 장착된 도시하지 않는 제2 서보 모터에 의해 축이 회전 구동되어, 상기 암(43)이 고속에서의 선회 작동 및 급정지를 고정밀도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취출 장치(40)는 스윙암식 취출 장치라고 불리고 있다. 또한 취출 장치(40)가 부착되는 위치는 회전 축(42)의 축심이 타이바(19a)의 축심의 상방보다 다소 내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취출 장치(40)가 부착되는 위치는 상기 회전축(42)의 축심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그은 수직선(V)과, 회전축(42)의 축심과 스풀(S)의 축심을 연결하는 선(T) 사이의 각도 G가 15˚~45˚, 더욱 바람직하게는 20˚~40˚가 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취출 장치(40)가 부착되는 위치는 취출 장치(40)의 흡반(47)의 직경이나 도광판(Pa)을 흡착하는 위치나 도광판(Pa)의 크기에도 따르지만, 이 각도 G가 15˚를 밑돌면 스풀(S)에 당접하지 않고 흡반(47)을 대기 위치 H에서 보아 먼쪽의 도광판(Pa)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어렵고, 45˚를 웃돌면 취출되는 도광판(Pa)이 타이바(19b)에 접촉할 공산이 높아진다.
가동 금형(20)으로부터 도광판(Pa, Pb)을 취출하는 취출 장치(40)의 암(43)은 소정 두께를 가지고, 회전축(42)에 가까운 측으로부터 회전축(42)에 직각 방향에 설치된 제1 부재(43a)와, 상기 제1 부재(43a)에 대해서 금형 방향을 향하여 각도를 두고 연설되는 제2 부재(43b)와, 상기 제2 부재(43b)에 대해서 더욱 금형 방향을 향하여 각도를 두고 연설되는 제3 부재(43c)가 매끄러운 곡선으로 일체가 된 대략 호형상의 암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암(43)의 형상은 주로 타이바(19a)에 대한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대략 호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상기 타이바(19a)나 타이바(19b)는 도시하지 않은 안전문 등에 간섭되지 않는 한, 복수의 변으로 이루어지는 다각형상, 완전한 원호형상 등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또 암(43)의 주요 부재는 철보다 비중이 가벼운 부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카본 그래파이트(carbon graphite)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서 암 은 부설되어 있는 에어 배관, 전자석으로의 전선 등의 세부 구조는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취출 장치(40)의 암(43)의 끝측에 위치하는 제3 부재(43c)는 고정 금형측의 면과 가동 금형측의 면을 가지는 긴판형상(원호형상인 경우를 포함함)을 하고 있고, 그 선단측에는 기부측을 향하여 V홈(44)이 형성되며, V홈(44)의 양측은 분기 가지부(枝部)(45a, 45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측의 캐버티의 측(도 3에서는 좌측)의 분기 가지부(45a) 쪽이 길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V홈(44)의 내측 공간부에는 척(46)이 배설되어 있다. 척(46)은 상기 분기 가지부(45a, 45b)의 접합 부분보다 기부측의 고정 금형측의 면에 배설된 전자석식 작동 장치(46c) 또는 에어 실린더 등에 의해 2개의 척부재(46a, 46b)가 개폐 작동하여, 스풀(S)을 파지 또는 해방한다. 또 상기 분기 가지부(45a, 45b)의 접합 부분 근방에서의 가동 금형측의 면에는 도시하지 않는 반사형의 검출 센서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검출 센서는 스풀(S)이 검출되고 파지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스풀(S)이 정상적으로 파지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형개폐·형체결 기구의 작동을 정지한다.
또 암(43)의 끝측의 제3 부재(43c)에서의 분기 가지부(45a)의 외측과, 분기 가지부(45b)의 외측에는 흡반 부착 부재(48a, 48b)가 부착되어 있다. 흡반 부착 부재(48a, 48b)는 각각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서로 일직선이 되도록 배치되며, 각각의 흡반 부착 부재(48a, 48b)의 흡반(47)이 가동 금형(20)의 캐버티 형성면(23a, 23b)에 대향하는 간격으로 되어 있다. 또한 흡반 부착 부재(48a)가 제3 부재(43c)의 중심선(D)(및/또는 척(46)의 개구 방향)에 대하여 부착되는 각도 E와, 흡반 부 착 부재(48b)가 상기 중심선(D)에 대하여 부착되는 각도 F는 각각 30˚로 되어 있다. 이 각도 E 및 F는 취출 장치(40)의 척(46)이 스풀(S)을 끼우는 위치에 침입할 때의 상승 각도(엄밀하게는 원호에 대한 접선과 수평선 사이의 각도)에 대략 일치한다. 또 상기 접선은 척(46)이 스풀(S)을 끼우는 위치에 침입할 때의 제3부재(43c)의 중심선(D)에 대략 일치한다. 그리고 또 상기 각도 E, F는 회전축(42)과 스풀(S)의 위치 관계에 따라 상이하며, 회전축(42)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그은 수직선(V)과, 회전축(42)과 스풀(S)을 연결하는 선(T) 사이의 각도 G에 대략 일치하고, 15˚~45˚, 더욱 바람직하게는 20˚~4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척(46)이 스풀(S)을 끼울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 흡반 부착 부재(48a, 48b)의 각 흡반(47) 및 척(46)은 각각 수평 방향으로 늘어서서 위치하는 상태가 되고, 상기 흡반(47)이 각 캐버티에서 성형된 도광판(Pa, Pb)의 중심선(W2)의 위치가 되도록 배설되어 있다. 또한 흡반(47)이 배설되는 부분은, 암(43)의 제3 부재(43c)를 양쪽의 캐버티의 전면 부분을 모두 커버하는 더욱 면적이 넓은 판체로 하고, 상기 판체에 대해서 흡반을 상기 각도로 배설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암(43)의 도중 부분(예를 들어 제2 부재(43b))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분기된 흡반 부착 부재를 설치해도 된다.
취출 장치(40)의 흡반(47)은 스프링(47a)을 통하여 흡반 부착 부재(48a, 48b)에 고정되고, 도시하지 않는 진공 장치에 접속되는 에어 튜브가 배설되어, 흡반(47)의 흡착면(47b)을 부압 상태로 함으로써 성형품인 도광판(Pa, Pb)이 흡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반(47)은 본체부의 전방에 벨로우즈부가 설치되고, 그 선단에 컵형상의 흡착면(47b)을 가지고 있다. 흡반(47)의 본체부의 직경은 10~15mm이며, 흡착면(47b)의 직경은 8~12mm이다. 또한 이 흡착면의 직경은 도광판의 크기 및 중량 등에 따라 적당히 선택된다. 흡반(47)의 재질은 내열성의 실리콘 고무, 불소 고무, 우레탄 고무, 니트릴 고무 등이 이용되지만, 그러나 다공질 고무 등이어도 된다. 또 베드(16) 상에는 취출 장치(40)로부터 반출된 도광판(Pa, Pb)을 전달 위치에서 수취하여, 도시하지 않는 벨트 컨베이어 등으로 반송하는 선회암식의 도시하지 않는 전달 장치가 배설되어 있다. 따라서 전달 장치에는 상기 전달 위치에서, 선회암에 설치된 흡반이 고정반측을 향하고 있고, 벨트 컨베이어 근방의 개방 위치에서는 선회암의 흡반이 하방향을 향하도록 선회암의 축이 90˚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다음에 사출성형기(10)에 의한 도광판(Pa, Pb)의 성형과, 사출성형기(10)에 배설된 취출 장치(40)에 의한 도광판(Pa, Pb)의 취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형체결 실린더(15)가 작동되어, 고정 금형(17)에 대해서 가동 금형(20)을 당접시킴으로써 형폐쇄가 행해져, 두께 가변의 캐버티가 형성된다.
그 다음에 사출 장치(14)의 노즐(13)로부터 스풀 부시(34)를 통하여 용융 수지의 사출이 행해지면, 고정 금형(17)의 캐버티 형성면(32a, 32b)과 가동 금형(20)의 캐버티 형성면(23a, 23b)의 간격은, 도 1에 도시된 최초에 형체결력이 미친 위치와 비교하여 넓어진다.
그리고 사출 장치(14)의 스크류 위치가 소정의 보압 전환 위치에 도달하면, 사출 제어로부터 보압 제어로 전환된다. 보압 전환과 동시 또는 전후하여 형체결 실린더(15)의 형체결력이 급상승되어, 캐버티 내의 용융 수지를 압축한다. 또 상기 보압 전환과 동시 또는 전후하여 게이트 커터(28, 28)를 전진시켜 게이트의 절단을 행한다. 게이트 커터(28, 28)에 의해 게이트의 절단이 행해진 후에도, 형체결 실린더(15)의 구동에 의해 가동 금형(20)의 코어부(23, 23)가 전진됨으로써 캐버티의 용융 수지의 압축이 이루어진다.
그 다음에 압력 방출을 행한 후, 가동반(21) 및 가동 금형(20)을 이동시켜 형개방을 행한다. 그 때 게이트 커트된 러너(R)를 포함하는 스풀(S)과 도광판(Pa, Pb)은 가동 금형(20)에 각각이 분리된 상태에서 유지되어, 형개방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형개방 완료에 의해 발신된 형개방 완료 신호를 받고, 또는 형개방 도중에, 취출 장치(40)의 회전축(42)이 가동 금형(20)측에서 고정반(18)측을 본 경우에 반시계 방향(도 3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암(43)이 가동 금형(20)의 정면 근방으로 선회된다. 그리고 암(43)의 선회에 의해 암(43)의 끝측에 부착된 척(46)은 척부재(46a, 46b) 사이에 스풀(S)을 끼울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된다. 또 동시에 암(43)의 끝측에 부착된 각 흡반(47)이 대기 위치 H로부터 도광판(Pa, Pb)의 전방 위치로 이동되고 선회는 정지된다. 이 때 척(46)의 이동 궤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42)을 중심으로 원을 그리듯이 이동되어, 상하의 타이바(19a, 19b)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스풀(S)을 끼울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된다.
취출 장치(40)는 고정반(18) 상의 회전축(42)의 축심이 타이바(19a)의 축심의 상방보다 다소 반조작측(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암(43)의 선단측의 이 동 궤적은 회전축(42)으로부터 바로 아래의 위치가, 가장 암의 선단측이 최하방을 통과하는 위치가 되고 그 후 암(43)은 상승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암(43)의 끝측의 척(46)이 스풀(S)을 끼울 수 있는 위치에 침입할 때의 각도는 수평 방향에 대하여 30˚(정확하게는 원호의 접선과 수평선이 교차하는 각도가 30˚)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척(46)은 스풀(S)의 측면쪽으로부터 스풀(S)을 끼울 수 있는 위치로 직접 이동 가능하므로 이동시의 로스가 적다. 그리고 암(43)이 정지 위치(스풀(S)을 끼울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하면, 척부재(46a, 46b) 사이에, 스풀(S)이 정상적으로 위치하고 있는지가 검출 센서에 의해 검출된다.
또 상기 암(43)의 선회시에, 암(43)에 고정적으로 부착된 흡반 부착 부재(48a, 48b)와 흡반(47)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부재(43c)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유지한 채 이동되어 도광판(Pa, Pb)의 전면에 각각 도달한다. 그 때 대기 위치 H에서 보아 먼쪽(조작반측)의 도광판(Pa)을 취출하는 흡반(47)은 스풀(S)의 하방을 통과하고 나서 재상승하는 이동 궤적을 그리므로, 스풀(S)에 간섭되지 않고 도광판(Pa)의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척(46)이 스풀(S)을 끼울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하고, 흡반(47)이 도광판(Pa, Pb)의 전방으로 이동되어 암(43)이 정지되면, 회전축(42)을 형개방 방향(도 1에서 우측)을 향하여 5~30mm 이동시키고, 흡반(47)의 흡착면(47b)을 도광판(Pa, Pb)에 당접시킴과 아울러 척부재(46a, 46b)를 닫아 스풀(S)을 파지한다. 또 척부재(46a, 46b)를 닫아 스풀(S)을 파지할 때까지 돌출핀(27)을 전진시켜 식입부로부터 러너(R)를 포함하는 스풀(S)을 취출하기 쉽게 해 둔다.
도시하지 않는 진공 장치에 의한 흡반(47)으로부터 행하는 에어 흡인은, 도광판(Pa, Pb)으로의 당접 이전부터 행해지고 있으므로, 상기 흡반(47)의 당접과 동시에 도광판(Pa, Pb)의 흡착이 행해진다. 그 때의 흡인력은 -50~-120kpa정도이며 성형 직후의 온도가 높은 도광판(Pa, Pb)에 흔적이 남지 않도록 비교적 약한 흡인력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취출 장치(40)를 이동시킴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평 이동식 취출 장치를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도광판(Pa, Pb)이 흡착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흡반(47)에 의한 도광판(Pa, Pb)의 흡착과, 척(46)에 의한 러너(R)를 포함하는 스풀(S)의 파지가 행해지면, 취출 장치(40)는 회전축(42) 및 암(43)을 다시 형폐쇄 방향으로 약간 이동시키고, 캐버티 형성면(23a, 23b)으로부터 도광판(Pa, Pb)을 이형함과 아울러, 돌출핀(27) 선단의 식입부로부터 러너(R)를 포함하는 스풀(S)을 분리시킨다. 가동 금형(20)에서의 이형용 에어의 공급은 취출 장치(40)에 의한 도광판(Pa, Pb) 및 러너(R)를 포함하는 스풀(S)의 이형 사이에도 행해져, 도광판(Pa, Pb) 등의 이형을 보조한다. 또한 가동 금형의 가동 프레임부(24)의 일부를 외측에 열거나, 캐버티 형성면을 전진시키거나 함으로써 더욱 도광판을 취출하기 쉽게 해도 된다.
그 다음에 취출 장치(40)의 회전축(42)이 시계 방향(도 3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암(43)은 침입시와 동일한 궤적상을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사출성형기(10)의 상하의 타이바(19a, 19b) 사이로부터 반출 위치(전달 위치)로 이동되어 취출된다. 이 때 흡반(47)에 흡착 유지된 도광판(Pa, Pb)이 타이바(19a, 19b)에 접촉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그리고 반출 위치에서 도광판(Pa, Pb)의 흡반(47)에 흡착되어 있지 않는 측의 면이, 도시하지 않는 전달 장치의 흡반에 흡착되고, 취출 장치(40)의 흡반(47)에 의한 흡착은 해제된다. 이 때 취출 장치(40)가 형개방 방향으로 약간 이동되거나, 또는 전달 장치가 형폐쇄 방향으로 약간 이동된다. 그리고 그 다음에 도광판(Pa, Pb)은 전달 장치에 의해 벨트 컨베이어로 운반된다. 또 취출 장치(40)는 반출 위치와 대기 위치 H가 상이한 경우는 대기 위치 H를 향하여 이동된다. 상기 일련의 취출 장치(40)의 이동에서, 스풀(S)은 도광판(Pa, Pb)을 전달한 후에, 척(46)의 척부재(46a, 46b)가 열려 하방의 상자 등에 낙하된다. 그러나 척(46)으로부터 스풀(S)이 개방되는 타이밍 및 위치는 스풀(S)이 도광판(Pa, Pb)에 접촉되지 않는 한 적당한 타이밍 및 위치이면 되고, 스풀(S)이 진공에 의해 흡인되는 것이어도 된다.
그 다음에 사출성형기(10)의 금형이 교환되어 캐버티의 배치나 캐버티의 크기가 변경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콜드 러너를 이용한 금형에서는, 스풀의 위치는 변경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리고 스풀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풀로부터 성형품까지의 간격 및 성형품의 크기에 따라서 흡반(47)의 배치 위치를 조정한다. 또 성형품이 대형인 것으로 변경되어, 취출시에 타이바에 접촉할 때에는, 취출 장치(40)의 높이(회전축(42)의 높이)를 조정한다. 또 그 때에는 암(43)의 끝측에서의 흡반(47) 열의 배설 각도도 변경할 필요가 있다. 또 핫 러너를 사용한 금형에서는 스풀의 위치도 변경되는 경우가 있지만, 그 경우는 고정반(18) 상의 취출 장치(40)의 수평 방향의 부착 위치나 취출 장치(40)의 높이(회전 축(42)의 높이) 및 흡반(47) 열의 배설 각도를 변경 조정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광판(Pa, Pb)의 성형이 고속화되고 있어, 형폐쇄 완료로부터 사출을 거쳐 형개방 개시까지의 시간이 4.2초 이내, 형개방 개시로부터 도광판(Pa, Pb)의 취출을 거쳐 형폐쇄 완료까지의 시간이 1.8초 이내, 취출 장치(40)에 의한 취출 시간이 0.15~0.7초, 전체의 성형 사이클 시간이 6초 이내로 성형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형개방 시간이 단축되었으므로, 캐버티 형성면(23a, 23b, 32a, 32b)이 실온에 의해 냉각되는 정도도 적어지고, 성형에서도 양호한 결과를 가져왔다.
본 발명에 대해서는, 일일이 열거하지는 않지만, 상기 서술한 본 실시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가 본 발명의 취지를 근거로 하여 변경을 더한 것에 대해서도 적용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는 것이다. 사출성형기(10)에서의 취출 장치(40)의 재치 위치도, 고정반(18) 상에 한정되지 않고 베드(16) 상의 대, 타이바(19a) 등에 설치한 것이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금형 내에서 스풀(S)과 성형품인 도광판(Pa, Pb)이 게이트 커트되어 분리되는 것에 대해서 기재했지만, 성형품을 취출 장치의 흡반에 의해 흡착하여 취출하는 것이면 성형품과 스풀이 일체로 되어 있어 분리되어 있지 않는 것이어도 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도광판의 사출성형기, 성형 금형, 및 취출 장치를 반조작반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도광판의 사출성형기, 성형 금형, 및 취출 장치를 상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도광판의 취출 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고정 금형측에서 가동 금형측을 본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수평 이동식 취출 장치의 이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다른 형태의 종래의 수평 이동식 취출 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0…사출성형기
17…고정 금형
19a, 19b, 19c, 19d…타이바
20…가동 금형
23a, 23b, 32a, 32b…캐버티 형성면
40…취출 장치
42…회전축
43…암
46…척
46a, 46b…척부재
47…흡반
48a, 48b…흡반 부착 부재
P…도광판
S…스풀

Claims (6)

  1. 복수의 캐버티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금형이 부착된 사출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사출성형기에 배설되는 성형품의 취출 장치에는,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선회되는 암이 설치되고,
    상기 암에는 성형품을 흡착 유지하는 흡반이 부착되며,
    상기 암이 선회 이동될 때에, 상기 흡반이 금형에 유지되어 있는 스풀에 간섭되지 않고 취출 장치의 대기 위치에서 보아 먼쪽의 성형품의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2. 복수의 캐버티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금형이 부착된 사출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사출성형기에 배설되는 성형품의 취출 장치에는,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선회되는 암이 설치되고,
    상기 암에 성형품을 흡착 유지하는 흡반과 스풀을 파지하는 척이 부착되며,
    상기 암이 선회 이동될 때에, 상기 흡반이 금형에 유지되어 있는 스풀에 간섭되지 않고 취출 장치의 대기 위치에서 보아 먼쪽의 성형품의 전방으로 이동됨과 아울러, 척이 스풀의 측면쪽으로부터 스풀을 끼울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반의 적어도 하나는, 성형품의 중심선 상에 당접하 여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4. 복수의 캐버티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금형이 부착된 사출성형기로부터 성형품을 취출하는 사출성형기의 성형품의 취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출성형기에 배설되는 성형품의 취출 장치에는,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선회되는 암이 설치되고,
    상기 암에 성형품을 흡착 유지하는 흡반이 부착되며,
    상기 암이 선회 이동될 때에, 상기 흡반이 금형에 유지되어 있는 스풀에 간섭되지 않고 취출 장치의 대기 위치에서 보아 먼쪽의 성형품의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성형품의 취출 방법.
  5. 복수의 캐버티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금형이 부착된 사출성형기로부터 성형품을 취출하는 사출성형기의 성형품의 취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출성형기에 배설되는 성형품의 취출 장치에는,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선회되는 암이 설치되고,
    상기 암에 성형품을 흡착 유지하는 흡반과 스풀을 파지하는 척이 부착되며,
    상기 암이 선회 이동될 때에, 상기 흡반이 금형에 유지되어 있는 스풀에 간섭되지 않고 취출 장치의 대기 위치에서 보아 먼쪽의 성형품의 전방으로 이동됨과 아울러, 척이 스풀의 측면쪽으로부터 스풀을 끼울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성형품의 취출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취출 장치의 대기 위치에서 보아 먼쪽의 성형품을 취출하는 흡반은,
    상하의 타이바 사이를 통과한 후, 스풀의 하방을 통과하여 성형품의 전면 근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성형품의 취출 방법.
KR1020080114618A 2007-11-29 2008-11-18 사출성형기 및 사출성형기의 성형품의 취출 방법 KR200900568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08230A JP2009131975A (ja) 2007-11-29 2007-11-29 射出成形機および射出成形機の成形品の取出方法
JPJP-P-2007-308230 2007-11-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832A true KR20090056832A (ko) 2009-06-03

Family

ID=40740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4618A KR20090056832A (ko) 2007-11-29 2008-11-18 사출성형기 및 사출성형기의 성형품의 취출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9131975A (ko)
KR (1) KR20090056832A (ko)
CN (1) CN101444948A (ko)
TW (1) TW2009249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59499A (zh) * 2020-12-23 2021-04-16 恒林家居股份有限公司 一种椅子扶手注塑成型系统及椅子垫片检测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6312A1 (ja) * 2011-06-23 2012-12-27 センチュリーイノヴェーション株式会社 射出成形用型装置および射出成形機
KR101629671B1 (ko) 2011-12-12 2016-06-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출금형
JP2013006408A (ja) * 2012-04-27 2013-01-10 Century Innovation Corp 射出成形用型装置および射出成形機
TWI489179B (zh) * 2012-12-14 2015-06-21 Wistron Corp 製造導光板的方法、治具以及相關的導光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59499A (zh) * 2020-12-23 2021-04-16 恒林家居股份有限公司 一种椅子扶手注塑成型系统及椅子垫片检测方法
CN112659499B (zh) * 2020-12-23 2023-09-15 恒林家居股份有限公司 一种椅子扶手注塑成型系统及椅子垫片检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24949A (en) 2009-06-16
JP2009131975A (ja) 2009-06-18
CN101444948A (zh)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6603A (en) Pivoting workpiece removal device
KR100979667B1 (ko) 도광판 취출 장치 및 도광판 취출 방법
JP2006504557A (ja) 射出成形機用のサイド・シャットル装置及び方法
KR20090056832A (ko) 사출성형기 및 사출성형기의 성형품의 취출 방법
JPH08252845A (ja) 成形品ハンドリング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冷却アセンブリと移送アセンブリ
US4737098A (en) In-mold labeling apparatus
CN111906991A (zh) 一种带有保护结构的注塑模具
CN110370576A (zh) 一种数据线连接器注塑机
JPH0615200B2 (ja) ラベル付延伸吹込中空容器の成形方法及び装置
JP5362202B2 (ja) 成形品取出機
CN112123800B (zh) 眼镜腿插针设备
CN114043668B (zh) 一种汽车门把手的上下料系统
CN217944122U (zh) 多点程控开闭式热流道注塑模具及夹取装置
JPH0741641B2 (ja) 射出成形機
JP7150948B2 (ja) 成形品の成形方法
CN215359535U (zh) 一种高效电子烟吸嘴注塑模具设备
CN219724564U (zh) 一种开合箱机及铸造生产线
JP2008284867A (ja) 導光板の成形方法
JP5218537B2 (ja) 成形品取出し装置及び成形品取出し方法
JP4044609B1 (ja) 導光板の成形方法
JP2008265279A (ja) 導光板の射出圧縮成形機および導光板の取出方法
WO2016149383A1 (en) Post mold cooling system
JP2001038655A (ja) 生産機械用ロボット
JP2005186333A (ja) 射出成形機
JPS63166514A (ja) ブロ−成形のワ−クインサ−トロボツ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