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5634A - 차량용 연료 송출 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용 연료 송출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5634A
KR20090055634A KR1020097007693A KR20097007693A KR20090055634A KR 20090055634 A KR20090055634 A KR 20090055634A KR 1020097007693 A KR1020097007693 A KR 1020097007693A KR 20097007693 A KR20097007693 A KR 20097007693A KR 20090055634 A KR20090055634 A KR 20090055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base
swirl pot
delivery unit
fuel deli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7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6660B1 (ko
Inventor
칼 에크
디이터 하기스트
마티아스 카들러
마르틴 마스츠
올리버 쇠네르트
미카엘 타이헤르트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90055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5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08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 F02M37/10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submerged in fuel, e.g. in reservoir
    • F02M37/106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submerged in fuel, e.g. in reservoir the pump being installed in a sub-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17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related to fuel pipes or their connections, e.g. joints or sea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2Feeding by means of suction apparatus, e.g. by air flow through carburettors
    • F02M37/025Feeding by means of a liquid fuel-driven jet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08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 F02M37/10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submerged in fuel, e.g. in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연료 송출 유닛(2)에 관한 것으로, 스월 포트(5)는 상부 부품(16) 및 하부 부품(17)으로 형성되는 베이스(9)와 그 베이스(9)에 연결되어 밀봉부를 형성하는 외벽(8)을 구비한다. 상부 부품(16) 및 하부 부품(17)은 흡입 제트 펌프(10) 및 피드 라인(4)의 섹션(14)의 연료 송출 영역을 한정한다. 이러한 배치는 특히 낮은 비용으로 연료 송출 유닛(2)이 제조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연료 송출 유닛{FUEL DELIVERY UNIT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스월 포트(swirl pot)로부터 피드 라인(feed line)으로 연료를 송출하기 위해 스월 포트에 배치되는 연료 펌프를 구비하고, 스월 포트로 연료를 송출하기 위한 흡입 제트 펌프를 구비하고, 연료 펌프로부터 스월 포트의 노즐로 안내되는 추진 라인을 구비하고, 스월 포트와 소통되는, 흡입 제트 펌프의 혼합관을 구비하며, 스월 포트는 베이스에 고정되는 케이싱을 구비하는, 차량용 연료 송출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연료 송출 유닛은 흔히 현대의 차량에 사용되며 실무상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연료 송출 유닛에서, 개개의 구성부품은 일반적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스월 포트에 삽입되고 서로 연결된다. 연료 펌프로부터 돌출되는, 피드 라인을 위한 포트는 일반적으로 스월 포트 밖으로 돌출된다. 그러나, 피드 라인에 배치되는 미세 필터가 흔히 스월 포트 내에 배치되므로, 연료 펌프로부터의 피드 라인은 다시 스월 포트 내로 미세 필터로 안내된다. 또한, 스월 포트의 충진을 위해 제공되는 분기관이 일반적으로 피드 라인으로부터 흡입 제트 펌프로 안내된다. 이는 공지된 연료 송출 유닛의 매우 큰 설치 공간 및 복잡한 조립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서두에 언급한 유형의 연료 송출 유닛을 특히 간단하면서도 컴팩트한 구성으로 개량시키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가 연료 펌프 쪽을 향하는 상부 부품 및 연료 펌프로부터 이격된 쪽을 향하는 하부 부품을 구비하고, 상부 부품 및 하부 부품은 서로에 대해 밀봉되며, 베이스의 상부 부품과 하부 부품 사이에 연료 안내 영역(fuel-guiding region)이 배치됨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라인과 같은 연료 안내 영역의 부분 영역이 스월 포트의 베이스 내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람직하게는 상부 부품 및 하부 부품은 라인의 섹션(section)을 수용하는 쉘(shell) 형상 구성부품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라인은 더 이상 별도로 장착될 필요가 없다. 스월 포트로부터 돌출되는 구성부품이 이러한 방식으로 쉽게 회피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에서의 분할면의 대응 배치에 의해, 상부 부품 및 하부 부품이 각각 축방향으로 탈형가능한(demoldable)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제조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송출 유닛은, 베이스의 연료 안내 영역이 연료 펌프로부터 스월 포트에 배치된 미세 필터로 연장되는, 피드 라인의 섹션을 구비하고, 상기 피드 라인의 섹션이 부분적으로 베이스의 상부 부품 및 하부 부품에 의해 한정되면, 특히 간단한 구조적 구성을 갖는다. 상부 부품 및 하부 부품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하프-쉘(half-shell)의 방식으로 형성되고 서로에 대해 지지되어 피드 라인의 섹션을 한정한다. 이는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송출 유닛의 컴팩트한 구성에 기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송출 유닛의 구조적 구성을 더욱 단순화하기 위해서, 베이스의 연료 안내 영역이 흡입 제트 펌프의 혼합관을 구비하고, 혼합관이 부분적으로 상부 부품 및 하부 부품에 의해 형성되면 편리하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부품 및 하부 부품은 각각 하프-쉘의 방식으로 형성되고 혼합관을 한정하도록 서로에 대해 지지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송출 유닛의 특히 컴팩트한 구성에 기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송출 유닛의 구성부품의 수를 더욱 감소시키기 위해서, 베이스의 상부 부품 및 케이싱이 스월 포트에 배치되는 미세 필터를 밀봉하면 편리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의 상부 부품 및 하부 부품이 각각 서로에 대해 지지되는 환형의 가장자리를 구비하면, 베이스 플레이트의 구성부품의 정확한 정렬을 위한 구조적 비용이 특히 낮게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부품 및 하부 부품은 서로 대응되는 밀착 고정 표면들(positively locking surfaces)을 구비하며, 이를 통해 상기 상부 부품 및 하부 부품이 서로 밀착 고정 방식으로 체결된다.
스월 포트의 구성부품의 정렬을 더욱 간단히 하기 위해서, 상부 부품 또는 하부 부품의 가장자리들 중 최소한 하나가 스월 포트의 케이싱에 대해 밀봉되면 편리하다. 스월 포트의 베이스는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신뢰성 있게 밀봉된다.
흡입 제트 펌프의 혼합관은 예를 들면 베이스 밸브에 의해 폐쇄되는, 스월 포트의 챔버와 소통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송출 유닛의 구성부품의 수를 더욱 감소시키기 위해서, 스월 포트의 케이싱과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관(riser tube)에 혼합관이 밀봉되어 연결되고, 수직관이 베이스로부터 이격된, 스월 포트의 의도된 최대 충진 레벨의 영역으로 연장되면 편리하다. 이러한 구성의 결과로, 수직관의 길이가 스월 포트의 충진 레벨을 한정하므로, 스월 포트는 베이스 밸브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수직관이 스월 포트의 케이싱에 배치되고 그것의 높이의 부분 영역 위로 연장되므로, 스월 포트는 수직관과 함께 축방향으로 탈형가능한 사출 몰드에서 특히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송출 유닛의 구성부품의 수를 더욱 감소시키기 위해서, 미세 필터로부터 연장되는, 피드 라인의 섹션이 스월 포트의 케이싱과 일체로 형성되면 편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송출 유닛의 조립은 연료 펌프로부터 미세 필터로 연장되는, 피드 라인의 섹션 및 흡입 제트 펌프의 노즐의 포트가 스월 포트의 베이스의 표면에 수직으로 정렬되면 특히 간단하다. 이러한 구성의 결과로서, 연료 펌프는 간단한 방식으로 포트에 축방향으로 플러깅(plugging)되어 완전히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연료 펌프의 흡입 포트는 스월 포트의 베이스 영역과 소통된다.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더욱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들 중 하나를 도면에 도시하여 아래에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송출 유닛을 구비한 차량 내연 기관용 연료 공 급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송출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송출 유닛의 스월 포트의 베이스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은 차량의 내연 기관(3)에 연료를 송출하기 위해 차량의 연료 탱크(1)에 배치되는 연료 송출 유닛(2)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연료 송출 유닛(2)은 연료 탱크(1)의 베이스 영역으로부터 연료를 흡입하여, 상기 연료를 내연 기관(3)으로 안내되는 피드 라인(4)으로 송출한다.
도 2는, 스월 포트(5) 내에 배치된 전기 작동 연료 펌프(6)를 구비한 도 1의 연료 송출 유닛(2)의 확대 단면도이다. 미세 필터(7)도 또한 스월 포트(5) 내에 배치된다. 스월 포트(5)는 케이싱(8)에 연결되는 베이스(9)를 구비한다. 베이스(9) 및 케이싱(8)은 미세 필터(7)를 밀봉한다. 베이스(9)는 또한 흡입 제트 펌프(10)를 구비한다. 흡입 제트 펌프(10)는 연료 펌프(6)에 의해 추진제로서 연료를 공급받아, 스월 포트(5)의 포위부(surrounding) 밖으로 연료를 흡입하여서, 그 연료를 스월 포트(5)로 송출한다. 이를 위해, 흡입 제트 펌프(10)는 연료 펌프(6)에 연결되는 노즐(11)을 구비한다. 스월 포트(5)의 케이싱(8)은 수직관(12)에 일체로 연결된다. 수직관(12)은 베이스(9)에 배치되는, 흡입 제트 펌프(10)의 혼합관(13)에 연결된다. 연료 펌프(6)로부터 미세 필터(7)까지의 피드 라인(4)의 섹션(14)은 또한 베이스(9)를 통해 안내된다. 유동 방향으로 미세 필터(7)의 하류에 배치되는, 피드 라인(4)의 또 다른 섹션(15)은 스월 포트(5)의 케이싱(8)과 일체로 형성된다.
도 3은, 도 1의 스월 포트(5)의 베이스(9)의 확대도이다. 여기서, 베이스(9)가 상부 부품(16) 및 상기 상부 부품(16)에 밀봉되어 연결되는 하부 부품(17)을 구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상부 부품(16) 및 하부 부품(17)은 각 경우 흡입 제트 펌프(10)의 혼합관(13)의 일부 및 연료 펌프(6)로부터 미세 필터(7)로 안내되는 피드 라인(4)의 섹션(14)을 형성한다. 연료 펌프(6)와 미세 필터(7) 사이에 배치되는 피드 라인(4)의 섹션(14) 및 흡입 제트 펌프의 포트(18)는 베이스(9)의 표면에 수직으로 정렬되어, 도 2에 도시된 연료 펌프(6)가 쉽게 플러깅되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도 3은 베이스(9)의 상부 부품(16) 및 하부 부품(17) 각각이 서로에 대해 지지되는 환형 가장자리(20, 21)를 구비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가장자리(20, 21)는 도 2에 도시된 스월 포트(5)의 케이싱(8)에 대하여 밀봉된다.

Claims (9)

  1. 스월 포트로부터 피드 라인으로 연료를 송출하기 위해 스월 포트에 배치되는 연료 펌프를 구비하고, 스월 포트로 연료를 송출하기 위한 흡입 제트 펌프를 구비하고, 연료 펌프로부터 스월 포트의 노즐로 안내되는 추진 라인을 구비하고, 스월 포트와 소통되는, 흡입 제트 펌프의 혼합관을 구비하며, 스월 포트는 베이스에 고정되는 케이싱을 구비하는, 차량용 연료 송출 유닛에 있어서,
    베이스(9)는 연료 펌프(6) 쪽을 향하는 상부 부품(16) 및 연료 펌프(6)로부터 이격된 쪽을 향하는 하부 부품(17)을 구비하고, 상부 부품(16) 및 하부 부품(17)은 서로에 대해 밀봉되며, 베이스(9)의 상부 부품(16)과 하부 부품(17) 사이에 연료 안내 영역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송출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9)의 연료 안내 영역은 연료 펌프(6)로부터 스월 포트(5)에 배치된, 피드 라인(4)의 미세 필터(7)로 안내되는 섹션을 구비하고, 상기 피드 라인(4)의 섹션(14)은 부분적으로 베이스(9)의 상부 부품(16) 및 하부 부품(17)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송출 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베이스(9)의 연료 안내 영역은 흡입 제트 펌프(10)의 혼합관(13)을 구비하 고, 혼합관(13)은 부분적으로 상부 부품(16) 및 하부 부품(17)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송출 유닛.
  4.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9)의 상부 부품(16) 및 케이싱(8)은 스월 포트(5)에 배치되는 미세 필터(7)를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송출 유닛.
  5.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9)의 상부 부품(16) 및 하부 부품(17)은 각각 서로에 대해 지지되는 환형 가장자리(20, 2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송출 유닛.
  6.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 부품(16) 또는 하부 부품(17)의 가장자리(20, 21)의 최소한 하나는 스월 포트(5)의 케이싱(8)에 대하여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송출 유닛.
  7.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혼합관(13)은 스월 포트(5)의 케이싱(8)과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관(12)에 밀봉되게 연결되고, 수직관(12)은 베이스(9)로부터 이격된, 스월 포트(5)의 의도된 최대 충진 레벨의 영역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송출 유닛.
  8.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세 필터(7)로부터 연장되는, 피드 라인(4)의 섹션(15)은 스월 포트(5)의 케이싱(8)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송출 유닛.
  9.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료 펌프(6)로부터 미세 필터(7)로 안내되는 피드 라인(4)의 섹션(14) 및 흡입 제트 펌프(10)의 노즐(11)의 포트(18, 19)는 스월 포트(5)의 베이스(9)의 표면에 수직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송출 유닛.
KR1020097007693A 2006-09-18 2007-09-13 차량용 연료 송출 유닛 KR1013966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43695.4 2006-09-18
DE102006043695A DE102006043695A1 (de) 2006-09-18 2006-09-18 Kraftstoff-Förder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PCT/EP2007/059645 WO2008034757A1 (de) 2006-09-18 2007-09-13 Kraftstoff-förder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634A true KR20090055634A (ko) 2009-06-02
KR101396660B1 KR101396660B1 (ko) 2014-05-16

Family

ID=38805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7693A KR101396660B1 (ko) 2006-09-18 2007-09-13 차량용 연료 송출 유닛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069844B2 (ko)
EP (1) EP2066518B1 (ko)
JP (1) JP4922403B2 (ko)
KR (1) KR101396660B1 (ko)
CN (1) CN101516664B (ko)
AT (1) ATE487633T1 (ko)
DE (2) DE102006043695A1 (ko)
WO (1) WO20080347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08273A1 (de) * 2012-09-06 2014-03-06 Emitec Denmark A/S Kunststofftank für eine Betriebsflüssigkeit
CA2973819A1 (en) 2014-12-19 2016-06-23 Alder Biopharmaceuticals, Inc. Humanized anti-acth antibodies and us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42242C2 (de) * 1992-12-15 2003-04-30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Versorgen der Brennkraftmaschine eines Kraftfahrzeuges mit in einem Vorratstank vorhandenem Kraftstoff
JP3967799B2 (ja) * 1997-08-29 2007-08-29 京三電機株式会社 インタンク型のフュ−エルフィルタ
US5960775A (en) * 1997-12-08 1999-10-05 Walbro Corporation Filtered fuel pump module
FR2778948B1 (fr) * 1998-05-19 2002-03-08 Bitron France Ensemble de pompage de carburant et reservoir de vehicule automobile equipe d'un tel ensemble de pompage
US6155793A (en) * 1999-06-08 2000-12-05 Walbro Corporation Recessed fuel pump module
DE19932684C2 (de) * 1999-07-13 2001-05-17 Bosch Gmbh Robert Reservoir für Fördermodule
ATE291692T1 (de) * 1999-11-23 2005-04-15 Siemens Ag In einem schwalltopf eines kraftstoffbehälters eines kraftfahrzeuges angeordnete fördereinheit
DE19961923A1 (de) * 1999-12-22 2001-07-05 Bosch Gmbh Robert Kraftstofffördermodul für Kraftfahrzeuge
DE29922473U1 (de) * 1999-12-22 2001-05-03 Bosch Gmbh Robert Kraftstofffördermodul für Kraftfahrzeuge
DE10028458A1 (de) * 2000-06-08 2001-12-13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Fördern von Kraftstoff aus einem Vorratstank zu einer Brennkraftmaschine eines Kraftfahrzeugs
DE10044610B4 (de) * 2000-09-09 2006-05-18 Siemens Ag Filtermodul für eine Kraftstofffördereinheit und Kraftstoffförder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DE10328206A1 (de) * 2003-06-24 2005-01-13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Fördern von Kraftstoff aus einem Vorratsbehälter zu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06003420B4 (de) * 2006-01-24 2008-02-14 Siemens Ag Fördereinhe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503797A (ja) 2010-02-04
JP4922403B2 (ja) 2012-04-25
ATE487633T1 (de) 2010-11-15
KR101396660B1 (ko) 2014-05-16
US20090266341A1 (en) 2009-10-29
EP2066518B1 (de) 2010-11-10
CN101516664B (zh) 2013-05-29
DE102006043695A1 (de) 2008-03-27
CN101516664A (zh) 2009-08-26
EP2066518A1 (de) 2009-06-10
WO2008034757A1 (de) 2008-03-27
DE502007005630D1 (de) 2010-12-23
US8069844B2 (en) 2011-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6342B1 (en) Fuel supply system
US7303378B2 (en) Apparatus for delivering fuel from a tank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694340B1 (ko) 연료 탱크
US8590563B2 (en) Device for delivering fuel
US9416759B2 (en) Fuel feed device with integrated vertical ejector pump
KR101222010B1 (ko) 연료펌프모듈
US20160305381A1 (en) Fluid delivery system
KR100554191B1 (ko) 연료공급장치
KR20010067450A (ko) 차량용 연료공급장치
RU2439361C2 (ru) Подающий блок
US7665446B2 (en) Feed unit
JP2001512803A (ja) 燃料供給システム
US6708673B2 (en) Fuel feed unit
KR20050040916A (ko) 흡입 젯트 펌프
KR20090055634A (ko) 차량용 연료 송출 유닛
JP2002048022A (ja) 燃料圧送システム
US9726200B2 (en) Modular ejector pump for a fuel delivery device
US20090188574A1 (en) Device for controlling fuel in a fuel tank
CN101146992B (zh) 输送单元
US20080193300A1 (en) Jet Suction Pump
US20070104589A1 (en) Delivery unit that is mounted in a fuel tank
JP2020029863A (ja) 内燃機関用燃料ポンプ
KR20010101711A (ko) 이젝터 펌프
JP2017106322A (ja) エンジンの燃料供給装置
JP2006322366A (ja) 燃料ポンプ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