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4262A - 코일 반전장치 - Google Patents

코일 반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4262A
KR20090054262A KR1020070121041A KR20070121041A KR20090054262A KR 20090054262 A KR20090054262 A KR 20090054262A KR 1020070121041 A KR1020070121041 A KR 1020070121041A KR 20070121041 A KR20070121041 A KR 20070121041A KR 20090054262 A KR20090054262 A KR 20090054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body member
main body
pallet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1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영진
이원규
박세명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21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4262A/ko
Publication of KR20090054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42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20Revolving, turning-over, or like manipulation of work, e.g. revolving in trio stands
    • B21B39/26Revolving, turning-over, or like manipulation of work, e.g. revolving in trio stands by members, e.g. grooved, engaging opposite sides of the work and moved relatively to each other to revolve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4Transferring coils to or from winding apparatus or to or from operative position therein; Preventing uncoiling during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 반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마련되어 있는 다수의 지지롤러부재; 외주면의 일부분이 원호형상으로 되어 상기 지지롤러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일측에 코일이 안착되는 코일 안착부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부재; 및 상기 메인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코일의 적재와 입,출고시 안전하고 간단하게 코일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코일이 굴러 떨어져 작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송 및 보관이 용이하고, 대차의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코일 반전장치, 방향전환, 지지롤러, 안착, 끼움, 팔레트, 구동수단, 기어, 모터

Description

코일 반전장치{Apparatus for coil posture change}
본 발명은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송 및 보관이 용이하고, 대차의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코일 반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재를 생산할 때에는 빌렛(Billet)을 이용하여 연속압연공정을 수행하면서 소정의 직경으로 압연하고, 압연된 선재는 권취기를 이용하여 코일 형태로 권취한다. 이러한 선재 코일은 호이스트 등을 이용하여 공급 및 입,출고된다.
또한, 코일 형태의 원재료는 종류에 따라서 그 크기가 매우 다양하고, 일정 양만큼 코일 형태로 권취되어 보관되고, 이송된다.
한편, 선재 코일의 방향을 전환하는 종래의 반전장치는 일정장소에 고정되어 반복적으로 반전 역할을 수행하도록 설치된다.
종래의 코일 이송장치 및 반전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코일의 이송은 전용 크레인을 이용하여 자동 반송차로 운반되지만, 코일의 방향전환과 이동시 굴러 떨어져 코일이 파손되거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마련되어 있는 다수의 지지롤러부재; 외주면의 일부분이 원호형상으로 되어 상기 지지롤러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일측에 코일이 안착되는 코일 안착부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부재; 및 상기 메인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코일 반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재는 원통형상이고, 상기 코일 안착부는 상기 본체부재와 동일한 중심을 가지며 90°의 중심각을 가지는 부채꼴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코일 안착부에는 팔레트 안착부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팔레트 안착부에 안착되고, 내측에 상기 코일의 일부분이 안착되어 상기 코일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에 리프트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는 팔레트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재의 원호형상으로 된 외주면에는 외주면을 따라 제1기어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1기어부와 치합되는 제2기어부가 형성되어 있는 휠과, 상기 휠을 구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코일 반전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코일의 적재와 입,출고시 안전하고 간단하게 코일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코일이 굴러 떨어져 작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코일을 팔레트부재와 함께 이송 및 보관하면 되므로 이송 및 보관이 용이하다.
나아가, 메인프레임은 이동이 용이하므로 코일의 반전뿐만 아니라 대차의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코일 반전장치는 메인프레임(10)과 다수의 지지롤러부재(20)와 본체부재(30)와 구동수단(40)과 팔레트부재(50)을 포함한다.
메인프레임(10)은 통상 육면체 형상으로 상면에 여러 가지 부재가 놓일 수 있는 것을 말하며, 본 명세서에서 도시한 메인프레임(10)의 형상은 일실시예에 불과하고, 실시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메인프레임(10)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부에 바퀴(11)가 구비되어 있고, 메인프레임(10)의 일측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구동수단(40)의 작동을 온/오프(ON/OFF)하는 스위치(13)가 마련되어 있다.
다수의 지지롤러부재(20)는 메인프레임(10)의 상면에 마련되어 있다. 즉, 지지롤러부재(20)는 메인프레임(10)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지지대(21)와, 상기 지지대(21)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롤러(23)로 구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 도시한 지지롤러부재(20)의 개수와 배치는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체부재(30)는 외주면의 일부분이 원호형상으로 되어 지지롤러부재(20)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일측에 코일이 안착되는 코일 안착부(31)가 마련되어 있다.
코일 안착부(31)에는 팔레트 안착부(35)가 고정되어 있다. 팔레트 안착 부(35)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팔레트부재(50)가 안착되고, 이때 팔레트 안착부(35)에는 팔레트부재(50)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돌기(37)가 있어 팔레트부재(50)는 팔레트 안착부(35)에 고정될 수 있다.
본체부재(30)는 원통형상이고, 코일 안착부(31)는 본체부재(30)와 동일한 중심을 가지며 90°의 중심각을 가지는 부채꼴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부재(30)의 원호형상으로 된 외주면에는 외주면을 따라 제1기어부(3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하기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구동수단(40)은 메인프레임(10)에 마련되어 본체부재(30)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구동수단(40)은, 제1기어부(32)와 치합되는 제2기어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는 휠(41)과, 휠(41)을 구동시키는 모터(4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체부재(30)의 외주면에는 제1기어부(32)가 형성되어 있고, 구동수단(40)은 제1기어부(32)와 치합되는 휠(41)과, 휠(41)을 구동시키는 모터(43)로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모터(43)의 구동으로 본체부재(30)를 회전시킬 때 큰 구동력을 내어 회전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본체부재(3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기어부(32)의 길이는 본체부재(30)의 회전각도를 결정하며, 본 실시예에서 본체부재(30)는 90° 회전이 가능하다. 제1기어부(32)의 길이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팔레트부재(50)는 팔레트 안착부에 안착되어 지지돌기(37)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팔레트부재(50)의 내측에는 코일의 일부분이 안착되어 코일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안착홈(51)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에 리프트가 끼워지는 끼움 홈(53)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코일 반전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팔레트부재(50)의 안착홈(51)에 코일(C)의 일부분이 안착되도록 코일(C)을 안착한다. 코일(C)은 본체부재(30)에 세워진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스위치(13)를 켜면, 모터(43)가 구동되어 휠(41)을 회전시키고, 휠(41)과 치합되어 있는 제1기어부(32)가 함께 회전함으로써 본체부재(30)가 도면 상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90° 회전된 본체부재(30)는 도 3의 (b)와 같은 상태로 됨으로써, 코일(C)은 본체부재(30)에 눕혀진 상태로 되므로 코일(C)의 방향전환이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본체부재(30)의 회전각도 및 회전방향은 실시예에 따라 달리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메인프레임(10)에는 바퀴(11)가 마련되어 있어 이동이 용이하므로 코일(C)을 본체부재(20)의 코일 안착부(31)에 안착된 팔레트부재(50)에 안착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어 대차의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코일(C)의 이송 및 보관시에는 코일 안착부(31)에 안착된 팔레트부재(50)를 코일 안착부(31)로부터 탈착하여 팔레트부재(50)와 함께 코일(C)을 이송하여 보관할 수 있다.
즉, 팔레트부재(50)의 끼움홈(53)에 리프트를 끼워 팔레트부재(50)를 코일 안착부(31)로부터 탈착하여 들어올린 후 이송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일 반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코일 반전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코일 반전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정면도 및 본체부재로부터 탈착된 팔레트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인프레임 11 : 바퀴
13 : 스위치 20 : 지지롤러부재
21 : 지지대 23 : 롤러
30 : 본체부재 31 : 코일 안착부
32 : 제1기어부 35 : 팔레트 안착부
40 : 구동수단 41 : 휠
43 : 모터 50 : 팔레트부재
51 : 안착홈 53 : 끼움홈

Claims (4)

  1.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마련되어 있는 다수의 지지롤러부재;
    외주면의 일부분이 원호형상으로 되어 상기 지지롤러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일측에 코일이 안착되는 코일 안착부가 마련되어 있는 본체부재; 및
    상기 메인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코일 반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재는 원통형상이고, 상기 코일 안착부는 상기 본체부재와 동일한 중심을 가지며 90°의 중심각을 가지는 부채꼴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반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안착부에는 팔레트 안착부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팔레트 안착부에 안착되고, 내측에 상기 코일의 일부분이 안착되어 상기 코일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에 리프트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는 팔레트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반전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재의 원호형상으로 된 외주면에는 외주면을 따라 제1기어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1기어부와 치합되는 제2기어부가 형성되어 있는 휠과, 상기 휠을 구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반전장치.
KR1020070121041A 2007-11-26 2007-11-26 코일 반전장치 KR200900542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041A KR20090054262A (ko) 2007-11-26 2007-11-26 코일 반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1041A KR20090054262A (ko) 2007-11-26 2007-11-26 코일 반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4262A true KR20090054262A (ko) 2009-05-29

Family

ID=40861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1041A KR20090054262A (ko) 2007-11-26 2007-11-26 코일 반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426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85118A (zh) * 2012-07-16 2012-11-21 燕山大学 移动/转动双平台4/2自由度双臂大型件90/180度翻转机
CN102785119A (zh) * 2012-07-16 2012-11-21 燕山大学 双卷扬正反驱动翻转工作台的多功能翻转设备
CN105414218A (zh) * 2015-12-15 2016-03-23 安徽楚江特钢有限公司 一种钢带卷沥油翻转机
CN105562461A (zh) * 2016-02-29 2016-05-11 天津德祥鹏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拉丝机放线设备
CN106269992A (zh) * 2016-08-19 2017-01-04 江苏高尔德汽车钢管有限公司 钢卷加工用上料机构
CN109399151A (zh) * 2018-11-28 2019-03-01 江苏美凯奥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特氟龙网带的翻卷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85118A (zh) * 2012-07-16 2012-11-21 燕山大学 移动/转动双平台4/2自由度双臂大型件90/180度翻转机
CN102785119A (zh) * 2012-07-16 2012-11-21 燕山大学 双卷扬正反驱动翻转工作台的多功能翻转设备
CN105414218A (zh) * 2015-12-15 2016-03-23 安徽楚江特钢有限公司 一种钢带卷沥油翻转机
CN105562461A (zh) * 2016-02-29 2016-05-11 天津德祥鹏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拉丝机放线设备
CN106269992A (zh) * 2016-08-19 2017-01-04 江苏高尔德汽车钢管有限公司 钢卷加工用上料机构
CN109399151A (zh) * 2018-11-28 2019-03-01 江苏美凯奥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特氟龙网带的翻卷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54262A (ko) 코일 반전장치
CN207618549U (zh) 一种卷径圆膜翻转机
EP2809607B1 (en) A method, a device and a hoist for handling tyres
US20140250831A1 (en) Method for converting a wrapping machine into a transport condition, and a wrapping machine
JP2017149565A (ja) 巻上げ装置
JP2007302408A (ja) 移動式リフター
EP2212978B1 (en) Cable reel device
CN114074900A (zh) 一种面粉厂用物料运输叉车
KR20200026602A (ko) 수송용 탱크 제조장치
JP2007099492A (ja) 荷搬出入装置
CN113442977A (zh) 一种纺织生产车间用纺织纱管运输设备及其使用方法
US644368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urning a roll
JP3200480U (ja) 移動式簡易荷役装置
KR101838863B1 (ko) 전동타입 롤 이송대차
JP2009062053A (ja) フィルム包装機
KR200402696Y1 (ko) 전동형 이동식 파렛트 랩 포장기
JP2011148268A (ja) 環状部材の保管装置
JP2014015304A (ja) 昇降支柱の回転制御装置および回転制御方法並びに物品格納装置
KR200302110Y1 (ko) 컨베이어를 장착한 이동대차
JP6401685B2 (ja) 荷台装置
KR101489203B1 (ko) 코일 변형방지 이송대차
KR101224837B1 (ko) 선박의 곡블록용 핀지그
EP1943170B1 (en) Method for turning paper rolls
WO2020121892A1 (ja) ウェブロール搬送用台車およびガラス板の製造方法
JP6329220B2 (ja) 駐車棚、駐車装置、及び昇降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