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3528A - 방독면 정화통의 셀프록킹 및 걸림해제장치 - Google Patents

방독면 정화통의 셀프록킹 및 걸림해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3528A
KR20090053528A KR1020070120402A KR20070120402A KR20090053528A KR 20090053528 A KR20090053528 A KR 20090053528A KR 1020070120402 A KR1020070120402 A KR 1020070120402A KR 20070120402 A KR20070120402 A KR 20070120402A KR 20090053528 A KR20090053528 A KR 20090053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gas mask
self
stopper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0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4302B1 (ko
Inventor
김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86102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9005352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산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to KR1020070120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302B1/ko
Priority to CN200880117477.0A priority patent/CN101873877B/zh
Priority to TR2010/04117T priority patent/TR201004117T2/xx
Priority to PCT/KR2008/000759 priority patent/WO2009066833A1/en
Publication of KR20090053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3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4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gasproof shelt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0Respiratory apparatus with filt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4Couplings; Supporting fram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5/00Gas separation
    • Y10S55/33Gas mask canis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5/00Gas separation
    • Y10S55/35Respirators and register fil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Separation Of Gases By Adsorption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방독면 정화통의 셀프록킹 및 걸림해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특히, 동일원주상에 복수의 걸림턱이 구비되면서 그 일측에 스토퍼가 구비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하면서 걸림턱에 대응되는 후크와 상기 스토퍼에 지지되거나 해제토록 되는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제2결합부가 상호 대응되는 방독면 및 정화통에 각각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에 따라서, 필터 카트리지의 신속하고 견고한 결합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스토퍼, 후크, 정화통, 흡기유니트

Description

방독면 정화통의 셀프록킹 및 걸림해제장치{a device for self-locking and unlock of purifier in gas mask}
본 발명은 동일원주상에 복수의 걸림턱이 구비되면서 그 일측에 스토퍼가 구비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하면서 걸림턱에 대응되는 후크와 상기 스토퍼에 걸리거나 해제토록 되는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제2결합부가 상호 대응되는 방독면 및 정화통에 각각 구비되는 구성으로 정화통의 신속하고 견고한 결합이 가능토록 하는 방독면 정화통의 셀프록킹 및 걸림해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독면 기술 분야에 있어서 방독면에 필터 요소를 부착시키기 위한 많은 기술들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기술은 일례로, 미국 특허 제5,222,488호, 제5,063,926호등을 참고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필터 요소를 방독면의 본체에 부착하기 위하여 본체의 나사 형상 체결부에 대응되는 나사형상 카트리지를 준비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필터 카트리지는, 필터 카트리지의 나사 형성부를 수용하는 암나사, 칼라 또는 소켓과 결합되는 헬리컬 또는 전진 나선형 나사를 구비하 고, 상기 필터 카트리지를 적절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카트리지를 방독면에 장착시키거나 혹은 그로부터 제거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방독면에 나사 결합되는 필터 카트리지는, 필터 재료가 수용되는 하우징 또는 캐니스터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카트리지의 원통형 형상에 의해 필터 카트리지는 통상적으로는 외부 부속물로서 사용되어야 하는데, 이는 착용자의 시야 를 방해할 수 있다.
또한, 나사 체결형 카트리지는 필터 요소의 총 체적과 방독면의 총 중량을 추가하게 되는 많은 부품을 사용하고, 오염지역에서는 교체가 불가능하게 됨은 물론 필터를 쉽게 교체할 수가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414326호에 방독면가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방독면(10)를 이루는 연성대응부(15)의 전방에 흡기유니트(14)를 기밀을 유지토록 연결하고, 상기 흡기유니트(14)의 단부에 형성되는 돌출플랜지(22)를 통하여 정화통(12)의 스커트(24)가 외경측에 밀착토록 하고, 상기 돌출플랜지(22)의 일측에 형성되는 슬롯(36)에 대응토록 스커트(24)의 일측에 후크(34)를 형성하며, 상기 흡기유니트(14) 및 스커트(24)의 대응되는 내측에 상호 밀착되는 돌출표면(26)(28)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방독면는, 후크(34)는 흡기유니트(14) 내의 대응하는 슬롯(36) 내로 삽입되어 필터 카트리지(12)를 흡기유니트(14)로 부착하고, 상기 후크(34)는 힌지 작용을 하면서 카트리지(12)가 흡기유니트(14)를 향해서 또는 흡기유니트(14) 로부터 멀리 축방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선회하게 됨으로써 카트리지를 흡기유니트(14)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카트리지(12) 상에 설치되는 탭(38)을 통하여 그 작업이 용이하게 되며, 플랜지(22)의 압축과 스커트(24)의 팽창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발생하는 구성으로 상호 밀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독면는, 슬롯(36)에 삽입되는 후크(34)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정화통(12)의 타측이 밀착력에 의해 지지되는 구성으로 외부와의 간섭이 쉽게 분리토록 되어 그 신뢰성을 저하시키게 되며, 적절한 재질을 선택함은 물론 스커트 및 돌출플랜지의 제작을 위한 정밀도를 필요로 하여 작업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염지역에서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며, 정화통의 신속하고 견고한 결합이 가능토록 하고, 외부 간섭에 의한 역회전등이 방지되어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역회전에 의한 분리시 기밀불량에 따른 신뢰성 저하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과도한 조작없이 정화통을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독면 정화통의 셀프록킹 및 걸림해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동일원주상에 복수의 걸림턱이 구비되면서 그 일측에 스토퍼가 구비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하면서 걸림턱에 대응되는 후크와 상기 스토퍼에 지지되거나 해제토록 되는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제2결합부가 상호 대응되는 방독면 및 정화통에 각각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 방독면 정화통의 셀프록킹 및 걸림해제장치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정화통의 교체시 오염공기의 유입을 방지토록 하여 오염지역에서의 교체가 가능하며, 한번의 회전을 통하여 정화통의 신속하고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고, 회전에 의한 위치결정이 완료되면 외부 간섭시 역회전에 의한 풀림이 방지되어 기밀불량에 따른 신뢰성저하 현상을 방지하고, 한번의 슬 라이딩에 의해 위치결정으로 과도한 조작없이 정화통의 결합이 가능하며, 동작노브를 누르는 동작에 의해 정화통을 쉽게 분리하고, 스토퍼와 고정수단을 통하여 위치결정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을 단순화 하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화통의 방독면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고, 도3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정화통과 방독면의 결합부를 도시한 사사도 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화통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순서도 이다.
본 발명의 방독면(300)은,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연성재질의 연성대응부(350) 전방에 억지끼움에 의해 기밀을 유지토록 하여 유입을 방지토록 흡기유니트(340)가 연결되고, 상기 흡기유니트(340)에는 정화통(320)이 최소의 슬라이딩으로 위치결정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흡기유니트(340)와 정화통(320)의 대응하는 일면에는 제1결합부(360)와 제2결합부(380)가 선택적으로 구비되어 상호 결합토록 설치되며, 상기 흡기유니트에 제1결합부가 형성될 때 이에 대응토록 정화통에 제2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정화통에 제1결합부가 형성될 때 이에 대응토록 흡기유니트에 제2결합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부(360)는, 동일원주상에 복수의 걸림턱(361)이 구비되면서 그 원주방향 일측에 일측으로만 진입이 가능한 경사면(353a)을 갖는 스토 퍼(35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걸림턱(361)은 일방향에서의 진입이 방지토록 후퇴방지판(361a)이 일체로 구비된다.
더하여, 상기 제2결합부(380)는, 상기 제1결합부(360)에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하면서 걸림턱(361)에 대응되는 후크(381)와 상기 스토퍼(353)에 지지되거나 해제토록 되는 고정수단(385)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수단(385)은, 상기 스토퍼(353)에 대응되어 일방향으로 진입완료시 이탈이 방지토록 설치되는 고정편으로 이루어 진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385)은, 상기 제2결합부에 스프링(390a)을 개재하여 힌지(390)로서 연결되면서 그 일측에 핸들(390b)이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압축 및 본원토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 제1,2결합부(360)(380)는, 상호 밀착되는 고무재의 실링부재(370)가 더 구비되어 정화통이 흡기유니트에 결합될 때 상호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토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한편, 상기 흡기유니트(340)는, 제1,2실링부재를 구비하는 흡기어셈블리(341)가 구비되고, 상기 흡기어셈블리(341)는 다수의 유동공(341a)을 갖는 지지판(343b)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동공(341a)을 커버링하도록 연질재로 형성되는 제1실링부재(341c)가 장착된다.
계속하여, 상기 제2실링부재(341d)는, 상기 지지판에 탄성지지되어 그 일측 에 돌출되는 가압바(341e)를 통하여 정화통의 가압시 유동토록 설치되고, 제1실링부재(341c)의 외측에서 제1실링부재를 덮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4에서와 같이, 방독면(300)의 흡기유니트(340)에 구비되는 제2결합부(380)에 정화통(320)을 압입한 후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정화통(320)에 형성되는 제1결합부(360)의 걸림턱(361)에 제2결합부(380)에 구비되는 후크(381)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된다.
이때, 상기 걸림턱(361)과 동일 원주방향에 위치하면서 소정의 경사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스토퍼(353)에 제2결합부(380)에 구비되는 고정수단(385)이 걸리도록 되어 회전이 방지토록 됨으로써 걸림턱(361)에 걸리는 후크(381)의 위치가 결정되어 정화통(320)가 흡기유니트(340)에 장착토록 된다.
계속하여, 상기 정화통(320)의 장착시 그 일면이 흡기유니트(340)에 구비되는 가압바(341e)을 압입하면서 지지판(343b)에 밀착되는 제2실링부재(341d)를 이동시켜 자유로운 흡기가 가능토록 된다.
또한, 상기 정화통(320)를 분리하면 상기 제2실링부재(341d)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복원되면서 지지판(343b)에 밀착되어 외부에서의 공기유입을 방지토록 한다.
더하여, 상기 제1실링부재(341c)는 지지판(343b)에 밀착될 때 흡기는 가능하면서 배기만을 방지토록 함으로써 배기가 정화통(320) 측으로 향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후크(381)는 일방향에서의 진입이 방지토록 후퇴방지판(381a)이 일체로 구비되어 일방향으로만 진입토록 함으로써 스트로크를 최소화한 상태에서 위치결정이 가능토록 된다.
더하여, 상기 고정수단(385)은, 상기 스토퍼(353)에 대응되어 일방향으로 진입완료시 이탈이 방지토록 설치되는 고정편으로 이루어 져 진입이 완료된 후 후진이 방지토록 되어 견고한 결합이 가능토록 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385)은, 상기 제2결합부에 스프링(390a)을 개재하여 힌지(390)로서 연결되면서 그 일측에 핸들(390b)이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핸들(390b)을 압입하면 스토퍼(353)에서 고정편이 이탈가능토록 되어 정화통(32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정화통의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2결합부(360)(380)는, 상호 밀착되는 고무재의 실링부재(370)가 더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일측으로의 압력작용시 정화통의 회전이 가능토록 되어 상기 정화통를 일측으로 당긴 후 회전시키면서 분리가 가능토록 된다.
또한, 상기 제1,2결합부(360)(380)를 통해 정화통을 흡기유니트에 결합할 때 정화통에 구비되는 고무재의 실링부재(370)가 흡기유니트에 압착되는 상태로 위치결정되어 상호 기밀을 유지토록 함으로써 결합부를 통한 오염공기의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정화통(320)을 회전시킬 때 고정수단(385)에 의해 위치결정되는 상태로 고정되어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져 외부간섭에 의해 정화통의 분리염려가 없 으며, 결합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게 되고, 오염지역에서 정화통의 교환시 제2실링부재(341d)가 유동공(341a)을 밀폐시켜 오염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정화통의 방독면 결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화통의 방독면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
도3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정화통와 방독면의 결합부를 도시한 사사도 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화통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순서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방독면 320...정화통
340...흡기유니트 361...걸림턱
381...후크

Claims (6)

  1. 흡기유니트(340)에 정화통(320)이 위치결정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상태로 고정토록 설치되며,
    상기 흡기유니트(340)와 정화통(320)의 대응하는 일면에는 제1결합부(360)와 제2결합부(380)가 선택적으로 구비되어 상호 결합토록 설치되고,
    상기 제1결합부(360)는, 동일원주상에 복수의 걸림턱(361)이 구비되면서 그 원주방향 일측에 스토퍼(353)가 구비되고,
    상기 제2결합부(380)는, 상기 제1결합부(360)에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하면서 걸림턱(361)에 대응되는 후크(381)와 상기 스토퍼(353)에 지지되거나 해제토록 되는 고정구(395)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방독면 정화통의 셀프록킹 및 걸림해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353)는, 일측으로만 진입이 가능한 경사면(353a)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 정화통의 셀프록킹 및 걸림해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381)는 일방향에서 걸림턱의 진입이 방지토록 후퇴방지판(381a)이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 정화통의 셀프록킹 및 걸림해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고정수단에 의해 스토퍼에서 지지및 해제토록 설치되며,
    상기 고정수단(390)은, 상기 제2결합부에 스프링(390a)을 개재하여 힌지(390c)로서 연결되면서 그 일측에 핸들(390b)이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압축 및 본원토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 정화통의 셀프록킹 및 걸림해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유니트(340)는, 제1,2실링부재를 구비하는 흡기 어셈블리(341)가 구비되고, 상기 흡기어셈블리(341)는 다수의 유동공(341a)을 갖는 지지판(343b)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유동공(341a)을 커버링하도록 연질재로 형성되는 제1실링부재(341c)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에 탄성지지되어 그 일측에 돌출되는 가압바(341e)를 통하여 정화통의 가압시 유동토록 하면서 제1실링부재(341c)의 외측에서 제1실링부재를 덮도록 제2실링부재(341d)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 정화통의 셀프록킹 및 걸림해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결합부(360)(380)는, 상호 밀착되는 고무재의 실링부재(370)가 더 구비되어 정화통이 흡기유니트에 결합될 때 상호 밀착되어 기밀 을 유지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 정화통의 셀프록킹 및 걸림해제장치
KR1020070120402A 2007-11-23 2007-11-23 방독면 정화통의 셀프록킹 및 걸림해제장치 KR100914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402A KR100914302B1 (ko) 2007-11-23 2007-11-23 방독면 정화통의 셀프록킹 및 걸림해제장치
CN200880117477.0A CN101873877B (zh) 2007-11-23 2008-02-05 防毒面具
TR2010/04117T TR201004117T2 (tr) 2007-11-23 2008-02-05 Gaz maskesi.
PCT/KR2008/000759 WO2009066833A1 (en) 2007-11-23 2008-02-05 Respiratory unit for gas masks and self-locking/unlocking device for respirator cartridge mounted to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402A KR100914302B1 (ko) 2007-11-23 2007-11-23 방독면 정화통의 셀프록킹 및 걸림해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528A true KR20090053528A (ko) 2009-05-27
KR100914302B1 KR100914302B1 (ko) 2009-09-04

Family

ID=40861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0402A KR100914302B1 (ko) 2007-11-23 2007-11-23 방독면 정화통의 셀프록킹 및 걸림해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3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52221A1 (en) * 2013-03-15 2014-09-25 Scott Technologies, Inc Respirator filter interface
KR20170124435A (ko) * 2016-03-09 2017-11-10 가부시키가이샤 시게마쯔 세이사쿠쇼 탈착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583Y1 (ko) 2010-06-24 2011-11-08 삼공물산 주식회사 다양한 정화통 체결이 가능한 방독면
KR200462395Y1 (ko) 2010-06-25 2012-09-10 삼공물산 주식회사 방독면용 정화통 결합 안전장치
KR101267802B1 (ko) 2012-11-15 2013-06-04 삼공물산 주식회사 방독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4420A (en) * 1996-09-24 1999-07-2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ull face respirator mask having integral connectors disposed in lens area
JP4746247B2 (ja) * 2000-04-18 2011-08-10 エイヴォン プロテクション システムズ,インク. 自己密封フィルター接続部およびそれを取り入れたガスマスクおよびフィルター組立体
WO2003008043A1 (en) * 2001-07-18 2003-01-30 Avon Rubber & Plastics, Inc. Respirator module with speech transmission and exhalation valv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52221A1 (en) * 2013-03-15 2014-09-25 Scott Technologies, Inc Respirator filter interface
KR20170124435A (ko) * 2016-03-09 2017-11-10 가부시키가이샤 시게마쯔 세이사쿠쇼 탈착 커넥터
US10576313B2 (en) 2016-03-09 2020-03-03 Shigematsu Works Co., Ltd. Detachable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4302B1 (ko) 200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58864B2 (en) Respirator with floating elastomeric sleeve
JP5663394B2 (ja) 調質機器の容器着脱装置
US8845897B2 (en) Drain valve for filter service and method
KR20090053528A (ko) 방독면 정화통의 셀프록킹 및 걸림해제장치
US11091895B2 (en) High capacity filter element end cap
JP2012501832A (ja) 濾過システム
US11154800B2 (en) Fluid purification device
KR101957684B1 (ko) 정수필터 조립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100951399B1 (ko) 정화통
WO2005014148A1 (ja) 簡易型フィルタ装置
JP4033739B2 (ja) フィルタ装置
JP2016083643A (ja) フィルタ装置
JP2006082010A (ja) 流体濾過フィルタ
JP2002192150A (ja) 浄水器の取付装置
KR101904301B1 (ko) 방독면
JP3820416B2 (ja) 浄水器用連結具
JP5946263B2 (ja) ストレーナ
KR100878896B1 (ko) 정수기용 필터 하우징
JP5875836B2 (ja) 流体装置
JP2000126758A (ja) 浄水器及び浄水器用接続具
JP5664218B2 (ja) エアクリーナ
JP3715296B2 (ja) ドレン機構およびこれを備えた流体フィルタ
JP2001205256A (ja) 原水ホースプラグ接続手段を備える浄水器
JP2011167636A (ja) 浄水器
JPH05192653A (ja) 流し台組込式浄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11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2087;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20725

Effective date: 20230330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200011791;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30530

Effective date: 2024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