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1615A - 화상형성장치, 그 데이터 저장방법 및 데이터 저장방법을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그 데이터 저장방법 및 데이터 저장방법을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1615A
KR20090051615A KR1020070118087A KR20070118087A KR20090051615A KR 20090051615 A KR20090051615 A KR 20090051615A KR 1020070118087 A KR1020070118087 A KR 1020070118087A KR 20070118087 A KR20070118087 A KR 20070118087A KR 20090051615 A KR20090051615 A KR 20090051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storage device
data
storage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8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8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1615A/ko
Priority to US12/271,079 priority patent/US20090128851A1/en
Publication of KR20090051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16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4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nother still picture apparatus, e.g. hybrid still picture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4Secrecy systems
    • H04N1/448Rendering the image unintelligible, e.g. scrambling
    • H04N1/4486Rendering the image unintelligible, e.g. scrambling using digital data en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7Image storag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85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picture signal storage, e.g. at transmitter
    • H04N2201/3295Deletion of stored data; Preventing such dele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Storing Facsimile Image Data (AREA)

Abstract

휴대용 저장장치에 데이터를 편리하게 저장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데이터 저장방법 및 상기 데이터 저장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를 개시한다. 개시된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 저장방법은, 휴대용 저장장치가 연결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 저장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될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데이터가 저장될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의 저장공간이 부족할 경우, 상기 저장장치의 저장파일 중에서 백업대상 파일을 선택하고 암호화 하는 단계; 상기 백업대상 파일을 삭제하고, 상기 암호화된 백업파일을 백업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그 데이터 저장방법 및 데이터 저장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DATA STOR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RECORDED WITH A PROGRAM TO EXECUTE THE IMAGE DATA STORING METHOD}
본 발명은 것으로서, 화상형성장치 및 그 데이터 저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저장장치에 데이터를 편리하게 저장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데이터 저장방법 및 데이터 저장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스캐너 또는 복사기와 같이, 직접적으로 원고로부터 화상을 독취하거나 팩스 또는 프린터와 같이, 간접적으로 화상데이터를 전화망을 통해 수신하거나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수신함으로써 화상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화상데이터는 인쇄매체에 복사되거나 필요시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최근 개발되는 화상형성장치의 경우 휴대용 저장장치, 가령 USB 메모리에 외부의 호스트 장치의 개입 없이 직접 상기 생성된 화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가 접속 가능한 저장 매체 접속부(미도시)와,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부, 예를 들면 USB 호스트를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에 상기 생성된 화상데이터를 저장할 만한 저장공간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화상데이터가 저장될 수 없다. 이를 위해, 사용자가 별도로 상기 저장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에서 파일을 삭제하는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하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데이터 저장방법 및 데이터 저장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상데이터 저장을 위한 공간확보를 위해 휴대용 저장장치에 삭제되는 파일을 백업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데이터 저장방법 및 데이터 저장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백업되는 파일을 임의의 사용자가 접근할 수 없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데이터 저장방법 및 데이터 저장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저장장치가 연결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 저장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될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데이터가 저장될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의 저장공간이 부족할 경우, 기 저장장치의 저장파일 중에서 백업대상 파일을 선택하고 암호화 하는 단계; 상기 백업대상 파일을 삭제하고, 상기 암호화된 백업파일을 백업하는단계; 및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 저장방법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백업대상파일을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파일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암호화 단계는, 상기 백업대상파일에 암호 및 파일 숨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업단계는 상기 백업대상파일을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저장부 또는 호스트 장치의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백업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암호 및 파일 숨기기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백업대상파일이 백업된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저장장치가 접속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부와;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공간이 없는 경우,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저장파일 중 백업대상파일을 암호화하여 백업하고 삭제한 후, 상기 화상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서 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백업대상파일에 암호 및 파일 숨기기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설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암호 및 파일 숨기기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시패널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백업대상파일을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파일을 상기 표시패널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백업대상파일이 백업된 결과를 상기 표시패널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컴퓨터 독취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술한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 저장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에 포함되는 컴퓨터용 프로그램이 수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독취가능 기록매체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상데이터저장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공간이 없는 경우 저장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그것에 저장되어 있던 저장파일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삭제해야 하는 데, 휴대용 저장장치사용자에게 상기 저장파일 정보를 표시해 줌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둘째, 상기 저장파일 중 삭제대상이 되는 파일을 보안 처리하여 백업함으로써 제3자가 백업된 파일을 무단으로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상데이터 저장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매체 접속부(110), 데이터 출력부(13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저장매체 접속부(110)는 플래시 메모리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방식의 USB 메모리, 이동식 하드디스크, PDA와 같은 휴대용 저장장치(200)가 접속될 수 있는 접속포트(미도시)와 상기 접속포트를 통해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는 접속부 콘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접속부 콘트롤러(미도시)는 저장매체 접속부(110)가 아닌 상기 제어부(170)에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접속포트(미도시)는 USB 포트 일수 있고, 접속부 콘트롤러는 USB 호스트일 수 있다. USB 방식이외에도 공지된 다양한 접속방식이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데이터 출력부(130)는 외부로부터 수신하거나 원고를 독취하는 독취부(133)를 구비하여, 독취된 화상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된 화상데이터는 후술할 인쇄부(150)를 통해 인쇄되거나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200)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독취부(133)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 또는 및 CIS(Contact Image Senso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독취부(133)를 통해 독취된 원고의 화상정보는 제어부(170)의 화상처리부(173)에 의해 디지털화된 화상데이터로 변환된다. 이러한 화상데이터 변환방법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데이터 출력부(130)는 외부로부터, 가령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와 같은 공중전화망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화상데이터를 수신하는 화상데이터 수신부(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상데이터 수신부(135)는 전화모뎀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화상데이터 수신부(135)는 병렬포트 또는 직렬포트 또는 USB포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포트는 도 1에 도시된 호스트 장치(300)와는 별도의 호스트 장치(미도시)에 연결되어 상기 호스트 장치(미도시)로부터 인쇄데이터 또는 화상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인쇄데이터는 호스트 장치(300)의 응용프로그램에서 작성된 화상데이터가 프린터 드라이버 등에 의해 변환된 데이터로서, 화상형성장치(100)가 인식 가능한 데이터이다. 상기 인쇄데이터에는 PCL(Printer Control Language) 또는 포스트 스크립트의 프린터 제어용 랭귀지가 포함될 수 있다.
데이터 출력부(130)는 수신된 상기 인쇄데이터 또는 화상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출력부(30)에 의해 출력되는 데이터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그 데이터의 종류는 달라질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상기 데이터 출력부(130)에 의해 생성된 화상데이터를 제어부(170) 내부의 메모리 또는 후술할 저장부(150)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휴대용 저장장치(200)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파일 시스템을 구동 가능한 OS(Operating System)가 내장된 임베디드 칩(Embeded Chip) 또는 SoC(System on Chip)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상기 저장매체 접속부(110)를 통해 접속된 휴대용 저장장치(200)에 저장공간 유무를 판단하여, 저장공간이 없는 경우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200)에 저장되어 있는 저장파일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삭제한다. 그 결과,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200)에는 상기 임시 저장된 화상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저장공간이 마련된다. 여기서, 사용자에게 상기 저장파일 중 삭제대상파일을 선택하도록 하지 않고 제어부(170)가 강제로 삭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삭제'라는 의미는 개개의 파일을 삭제하는 것 뿐만 아니라,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와 같은 휴대용 저장장치(200)의 경우 FAT32, NTFS와 같은 파일시스템을 새로이 설정하는 포맷(format)의 개념까지 포함하는 의미이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상기 확보된 저장공간에 상기 화상데이터를 저장한다. 휴대용 저장장치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조작패널(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작패널(140)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패널(143)과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키(14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패널(143)은 LCD 또는 PDP 패널로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상기 입력키(145)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데이터 출력부(130)에 의해 출력된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200)에 저장하라는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로부터 다른 요청(가령, 화상데이터를 인쇄하라는 요청)이 없는 경우 디폴트 옵션으로서 상기 화상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200)에 저장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기타,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설계변경이 가능하므로 필요에 따라서, 조작패널(140)은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상기 데이터 출력부(130)에 의해 생성된 화상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200)에 저장하라는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200)에 저장된 저장파일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삭제하기에 앞서, 상기 표시패널(143)을 통해 상기 저장파일 정보를 표시해 줄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상기 표시패널(143)을 통해 삭제를 원하는 파일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파일이 삭제되는 위험을 피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저장부부(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200)에 저장될 화상데이터의 저장공간 확보를 위해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200)에 저장된 파일 중 삭제대상파일이 백업되는 백업저장공간을 제공한다.
저장부(160)는 DRAM과 같은 휘발성메모리,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메모리 및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저장부저장부(160)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것이든 무방하다. 다만,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이 꺼지더라도 상기 백업된 삭제대상파일이 남아 있을 수 있도록 저장부저장부(160)는 가급적 비휘발성메모리나 하드디스크 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서, 가령 백업저장공간을 후술할 호스트 컴퓨터(300)의 호스터 저장부(310)로 하는 경우에는 저장부저장부(160)는 생략될 수 도 있다.
제어부(170)는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200)에 저장된 저장파일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삭제하기에 앞서, 삭제대상파일을 전부 상기 저장부저장부(160)에 백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200)에 저장된 파일 중 제어부(170)에 의해 강제로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삭제되더라도 삭제되는 파일이 백업되므로 사용자에게 삭제대상파일의 재사용을 보장해 줄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제어부(170)는 '삭제파일 선택모드'에서 삭제대상파일 중 사용자가 백업하고 싶은 파일을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시패널(143)에 표시해 줄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제어부(170)는 상기 삭제대상파일 중 사용자가 백업을 원하는 백업대상파일을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패널(143)에 표시해 줄 수도 있다. 즉, 삭제대상파일 중 전부 백업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선택한 일부 파일만을 백업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제어부(170)는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200)의 상기 백업대상파일을 암호화하여 백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암호화는 상기 삭제대상파일에 암호를 부여하거나 상기 삭제대상파일에 '파일 숨기기 기능'을 부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파일 숨기기 기능'은 윈도우 탐색기 등에서 상기 백업대상파일이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보안 처리된 삭제대상파일을 상기 저장부 저장부(160) 및 상기 호스트 저장부(3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70)는 상기 삭제대상파일에 '암호설정' 및 '파일 숨기기 기능' 중 어느 옵션을 선택할 지 표시패널(143)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해 줄 수 있다. 물론, 상기 기능 중 어느 하나 또는 전부가 디폴트 옵션으로 설정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암호설정' 기능을 선택한 경우, 조작패널(140)의 입력키(145)로부터 암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암호는 기설정된 값일 수도 있다.
가령, 특정 사용자 그룹들이 특정암호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특정암호를 미리 설정해 두고 데이터의 출처가 상기 특정 사용자 그룹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특정암호를 자동으로 부여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입력키(145)를 통해 입력된 암호를 상기 삭제대상파일에 부여하여 저장한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삭제대상파일에 암호를 부여하여 암호가 부여된 PDF(Secure PDF) 파일로 변환하고, 상기 암호가 부여된 PDF파일을 저장함으로써 보안 처리 백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삭제대상파일 중 암호를 설정할 파일을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 암호화 설정과정을 설명하면, 제어부(170)가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200)에 저장된 파일정보(파일이름, 파일 데이터 사이즈 등)를 상기 표시패널(143)에 표시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표시된 파일정보로부터 삭제대상파일을 선택하게 한다. 그 다음에 선택된 파일을 백업할 지 여부 및 백업하고자 하는 경우 '암호설정' 및 '파일 숨기기 기능 설정' 여부를 표시패널(143)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백업될 파일에 암호를 부여하거나 파일 숨기기 기능을 설정한 후 저장부(160)저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입력된 암호와 동일한 암호를 입력하는 경우 또는 파일 숨기기 기능을 해제하는 경우와 같은 보안해제과정을 거쳐야만 백업파일에 접근할 수 있으므로 다른 사용자의 무단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백업될 파일 전체에 걸쳐서 1개의 암호가 설정되도록 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백업될 파일 각각 또는 각각의 군(群)별로 서로 다른 암호가 설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망에 접속되기 위한 네트워크 접속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부(120)는 NIC(Network Interface Card)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부(120)를 통해 인터넷망에 접속된 호스트 컴퓨터(300)의 호스트 저장부(310)에 상기 삭제대상파일을 백업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자치(100)는 인쇄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쇄부(150)는 대전-노광-현상-전사-정착이라는 프로세스를 거쳐서 토너로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사진방식, 노즐을 통해 잉크를 토출함으로써 화상을 형성하는 잉크젯 방식, 열전사방식 기타 다른 다양한 방식에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 저장방법을 도 2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 저장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될 데이터를 선택한다(S10).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출력부(도 1의 130)의 독취부(133) 또는 화상데이터 수신부(135)를 통해 출력된 데이터 중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될 데이터가 선택될 수 있다. 저장될 데이터 선택은 상기 독취부(133)에 의한 독취명령이 있는 경우 또는 화상데이터 수신부(135)로부터 데이터 수신이 있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서 수동으로 또는 제어부(170)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다음에, 저장매체 접속부(도 1의 110)에 접속된 휴대용 저장장치(도 1의 200)에 저장공간이 있는 지를 판단한다(S20). 여기서, 저장공간이란 휴대용 저장장치에 상기 화상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저장공간을 포함한다. 즉, 저장공간의 사이즈가 상기 화상데이터 사이즈보다 작더라도 저장공간이 영(zero)이 아닌 이상 저장공간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가령, 화상데이터가 100kByte인데, 저장공간이 50kByte인 경우 저장공간이 있는 것이다.
저장공간이 없는 경우,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저장파일 정보를 상기 표시패널(도 1의 143)에 표시한다(S30). 이와 더불어, 상기 저장파일 정보와 함께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공간이 없어 파일 삭제가 필요함을 상기 표시패널(도 1의 143)에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표시된 상기 저장파일 정보로부터 백업을 원하는 백업대상파일을 선택한다(S40). 여기서, S40단계는 사용자가 아닌 상기 제어부(170)에서 자동으로 상기 백업대상파일을 선택할 수도 있으므로 생략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어 부(170)는 미리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설정해 놓은 방식에 따라 상기 백업대상파일을 선택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랜덤하게 상기 백업대상파일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어부(도 1의 170)는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에 원본과 사본 파일이 동시에 있는 경우 그 원본 파일만을 백업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aaa.doc'라는 파일 네임의 원본파일과 'aaa.bak'라는 파일 네임의 사본파일이 있는 경우, 원본파일인 'aaa.doc'만을 백업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상술한 제어부(도 1의 170)는 상기 백업대상파일을 암호화 한 후 백업한다(S50).여기서, 암호화는 상기 삭제대상파일에 암호를 부여하거나 파일 숨기기 기능을 설정함으로써 가능하다.
여기서, 백업은 제어부(도 1의 170)가 상가 삭제대상파일을 상기 화상형성장치(도 1의 100)의 상기 저장부저장부(160) 및 호스트 컴퓨터(300)의 호스트 저장부부(310) 중 어느 하나에 저장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도 1의 170)는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에서 상기 삭제대상파일을 삭제하여 저장공간을 확보한다(S60).
그 다음에, 제어부(도 1의 170)는 상기 S10단계에서 선택된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로 전송한다(S70).
전송된 데이터가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 완료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하며(S80), 저장완료된 경우에는 종료한다.
저장완료 되지 않은 경우(S80)에는 다시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공간이 있는 지를 판단하는 S20단계로 복귀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S60단계에서 확보된 저장공간의 사이즈가 상기 저장될 데이터의 그것 이상이면 저장완료 될 것이지만, 그렇지 않다면 저장완료 되지 않을 것이므로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에서 다시 상기 저장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S20단계 내지 S60단계를 반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도중에 저장공간이 없더라도 다시 저장공간을 확보하여 상기 데이터를 연속해서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데이터가 완전하게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S20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저장공간이 있는 경우 상기 저장될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로 전송한다(S70).
여기서, 상술한 S30단계 내지 S40단계는 필요에 따라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생략될 수도 있다. 전부 생략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도 1의 170)가 삭제대상파일을 랜덤하게 또는 미리 설정된 소정방식으로 선택하여 사용자의 의사를 묻지 않고 강제로 삭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소정방식은 앞에서 예로든 바와 같이, 동일한 파일네임의 원본 및 사본이 2개가 있는 지를 검색하여 사본파일만을 먼저 우선적으로 삭제하는 방식일 수 있다. 이 이외에도 상기 소정방식은 다양한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정방식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도 있다. 가령, 사용자가 미리 삭제대상파일로서 특정 확장자명('hwp' 또는 'bak' 또는 'doc'등) 또는 특정 파일네임을 설정해 놓으면 제어부(도 1의 170)가 해당여부를 판별하여 삭제대 상파일로 선정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방법은 제1실시예와 유사하다. 동일한 참조번호의 단계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에 비해 달라지는 부분은, 제1실시예의 S50단계가 S210 내지 S260단계로 대체되는 점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선택된 백업대상파일에 대해 사용자에 의한 암호화 옵션(암호설정 및 파일 숨기기 기능 설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선택이 있는 지를 판단한다(S210).
선택이 있는 경우 선택된 옵션에 따라 상기 백업대상파일을 암호화하고(S220), 사용자에 의한 선택이 없는 경우에는 디폴트 옵션에 따라 상기 백업대상파일을 암호화한다(S230).
그 다음에 암호화된 파일을 백업(S240)하고, 백업이 완료된 경우(S250)에는 백업 결과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S260).
여기서, 백업 결과정보란 사용자가 설정한 암호, 파일 숨기기 기능이 설정 여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백업된 파일 이름 정보 및 백업된 날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업결과는 상기 백업대상파일이 백업된 호스트 장치의 IP주소, MAC 주소 또는 그 장치의 이름과, 상기 백업대상파일의 이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암호화 방식은 상술한 암호 설정 및 파일 숨기기 기능 외에 특정 사용자외에 다른 사용자의 무단사용이 배제될 수 있는 한 다른 방식이 채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제3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될 데이터를 선택한다(S110).
그리고, 상기 선택된 데이터의 사이즈와,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도 1의 200)의 저장공간 사이즈를 검출한다(S120)
상기 화상데이터의 사이즈가 상기 저장공간 사이즈보다 큰 지를 판단하여(S130), 전자가 후자보다 같거나 작은 경우에는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에 전송하여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저장한다(S170).
만약, 큰 경우라면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저장파일 정보를 상기 표시패널(도 1의 143)에 표시하며(S140), 사용자는 표시된 저장파일 중 삭제대상파일을 선택한다(S150). 상기 저장파일 정보에는 상기 저장파일의 이름 및 파일 사이즈 및 작성된 날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일정시간 동안 상기 표시패널(도 1의 143)에 상기 저장파일 정보가 표시되더라도 사용자로부터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저장파일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백업대상파일로 선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강제적인 백업대상파일 선택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 다음에, 상기 백업대상파일을 암호화하여 백업한다(S160). 그리고, 상기 백업대상파일을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로부터 삭제하여 저장공간을 마련하며(S170), 상기 저장공간의 사이즈가 상기 화상데이터의 그것보다 같거나 클 때까지, 즉 상기 화상데이터가 저장될 만한 저장공간이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도 1의 200)에 생길 때까지 S130 내지 S170단계를 반복한다.
만약, 상기 화상데이터가 저장될 만한 저장공간이 생긴 경우(S130)에는 상기 화상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에 전송하여 저장한다(S180).
제3실시예의 경우,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도 1의 200)에 저장공간이 화상데이터가 저장될 만한 공간으로 확보된 후에 비로소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도 1의 200)로 전송한다는 점에서, 저장공간이 조금이라도 확보되면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로 전송하는 제 1 및 제2실시예와 다르다.
한편,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방법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의 그것과 유사하다.
양 실시예의 차이점은 제3실시예의 S160단계가 제4실시예에서는 S210 내지 S260단계로 대체된다는 점이다.
S210 내지 S260단계는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제3자에 의해 백업된 파일이 무단으로 사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블록선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 저장방법의 순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 저장방법의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 저장방법의 순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 저장방법의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화상형성장치 110: 저장매체 접속부
120: 네트워크 접속부 130: 화상데이터 출력부
133: 독취부 135: 화상데이터 수신부
140: 조작패널 150: 인쇄부
160: 저장부 170: 제어부
200: 휴대용 저장장치 300: 호스트 컴퓨터
310: 호스트 저장부

Claims (12)

  1. 휴대용 저장장치가 연결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 저장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될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데이터가 저장될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의 저장공간이 부족할 경우, 상기 저장장치의 저장파일 중에서 백업대상 파일을 선택하고 암호화 하는 단계;
    상기 백업대상 파일을 삭제하고, 상기 암호화된 백업파일을 백업하는단계; 및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 저장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대상파일을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파일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화상데이터 저장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단계는,
    상기 백업대상파일에 암호 및 파일 숨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 저장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단계는 상기 백업대상파일을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저장부저장부 또는 호스트 장치의 저장부에저장부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화상데이터 저장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암호 및 파일 숨기기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화상데이터 저장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대상파일이 백업된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화상데이터 저장방법.
  7. 휴대용 저장장치가 접속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부와;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공간이 없는 경우,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저장파일 중 백업대상파일을 암호화하여 백업하고 삭제한 후, 상기 화 상데이터를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백업대상파일에 암호 및 파일 숨기기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표시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암호 및 파일 숨기기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시패널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표시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백업대상파일을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파일을 상기 표시패널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표시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백업대상파일이 백업된 결과를 상기 표시패널에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컴퓨터 독취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데이터 저장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에 포함되는 컴퓨터용 프로그램이 수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독취가능 기록매체.
KR1020070118087A 2007-11-19 2007-11-19 화상형성장치, 그 데이터 저장방법 및 데이터 저장방법을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 KR2009005161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087A KR20090051615A (ko) 2007-11-19 2007-11-19 화상형성장치, 그 데이터 저장방법 및 데이터 저장방법을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
US12/271,079 US20090128851A1 (en) 2007-11-19 2008-11-14 Image forming apparatus, data stor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program executing the data stor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087A KR20090051615A (ko) 2007-11-19 2007-11-19 화상형성장치, 그 데이터 저장방법 및 데이터 저장방법을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1615A true KR20090051615A (ko) 2009-05-22

Family

ID=40673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8087A KR20090051615A (ko) 2007-11-19 2007-11-19 화상형성장치, 그 데이터 저장방법 및 데이터 저장방법을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128851A1 (ko)
KR (1) KR2009005161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87050B2 (ja) * 2010-06-22 2014-09-1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30097122A1 (en) * 2011-10-12 2013-04-18 Jeffrey Liem Temporary File Storage System and Method
US11241835B2 (en) * 2013-09-27 2022-02-08 The Western Union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production of financial instrument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15662A1 (en) * 2002-07-22 2004-01-22 Aron Cummings Memory card, memory card controller, and software therefor
JP2006224665A (ja) * 2005-01-21 2006-08-31 Seiko Epson Corp 印刷装置
JP2006270744A (ja) * 2005-03-25 2006-10-05 Orion Denki Kk 予約転送機能を備えた録画再生装置
US20070026371A1 (en) * 2005-08-01 2007-02-01 Beryl Wood Personal electronic text library system patent
EP1808807A1 (en) * 2005-12-14 2007-07-18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er, control method, and used amount acquiring method
US20080010405A1 (en) * 2006-07-10 2008-01-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ectable profiles and actions for removable memory devices
JP5029113B2 (ja) * 2007-04-13 2012-09-19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クアップシステム、バックアップ装置、バックアップ要求装置及びバックアッ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28851A1 (en) 2009-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9060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US20140009795A1 (en) Image input/output apparatus and image input/output method
JP2006302257A (ja) メモリ管理ソフトウェア、印刷制御装置、及び印刷制御装置のメモリ管理方法
JP4209789B2 (ja) ファイル作成方法、サーバ、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追加システム
US819935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2007928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US9019523B2 (en) Printing system, printing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for
JP2008052318A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マルチファンクションプリンタ
KR20090051615A (ko) 화상형성장치, 그 데이터 저장방법 및 데이터 저장방법을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
US928655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08024398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network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for
KR102278901B1 (ko) 화상 형성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JP7058975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17581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28428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8201044A (ja) 画像形成装置
JP6598453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99560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066288A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システム、データ処理方法及び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JP7238087B2 (ja) ジョブ処理装置、ジョブ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12731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メモリ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084974A (ja) 情報処理装置
JP4803601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701386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211229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