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6454A - 휴대용 프로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프로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6454A
KR20090046454A KR1020070112619A KR20070112619A KR20090046454A KR 20090046454 A KR20090046454 A KR 20090046454A KR 1020070112619 A KR1020070112619 A KR 1020070112619A KR 20070112619 A KR20070112619 A KR 20070112619A KR 20090046454 A KR20090046454 A KR 20090046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or
portable
extension
projector module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2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7904B1 (ko
Inventor
계용찬
고길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2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904B1/ko
Publication of KR20090046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6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ojector or beamer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44Cool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3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projector or beamer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프로젝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 시 발생되는 열을 용이하게 방출시킬 수 있는 휴대용 프로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프로젝터 모듈을 포함하며 일단으로 상기 프로젝터 모듈에서 발생된 빛을 조사하는 빔 조사부, 상기 빔 조사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빔 조사부의 타단에 일단이 체결되며 상기 프로젝터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프로젝터 모듈을 구동시키는 회로부를 포함하는 연장부, 및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연장부의 타단에 일단이 체결되며 상기 빔 조사부 및 상기 연장부가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프로젝터와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에 의하면, 연장부의 길이가 연장되므로 영상이 투사되는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들이 근접하게 위치하지 않으므로 프로젝터 모듈 구동 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케이스, 히트 싱크, 프로젝터, LED

Description

휴대용 프로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portable projector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용 프로젝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 시 발생되는 열을 용이하게 방출시킬 수 있는 휴대용 프로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란, 개인 휴대 단말기(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Terminal),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차세대 휴대 단말기(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IMT-2000), 및 무선 랜 단말기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 통신 및 각종 응용 프로그램들을 이용한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를 지칭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꾸준한 발전으로 소형화 및 경량화를 이루었을 뿐만 아니라 mp3, 디지털 카메라, 네비게이션,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다양한 기능을 겸비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복합 통신 단말기로 거듭나고 있으며, 이미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근래에는 마이크로 프로젝터(Micro Projector)가 장착되는 휴대 단말기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마이크로 프로젝터는 LED모듈이나 LD(Laser Diode)모듈을 광원으로 사용하는 소형의 휴대용 프로젝터로,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면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곳이면 어떠한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영상을 투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마이크로 프로젝터(이하, 휴대용 프로젝터)는 일반적으로 프로젝터 모듈과 회로부 등 대부분의 구성요소들이 동일한 공간에 실장된다. 따라서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그 크기가 매우 작은 소형이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벽, 또는 천정 등)에 영상이 조사되도록 높이와 거리 등을 조절하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프로젝터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고, 프로젝터 사용 시 영상의 조사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휴대용 프로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프로젝터는 프로젝터 모듈을 포함하며, 일단으로 상기 프로젝터 모듈에서 발생된 빛을 조사하는 빔 조사부와, 상기 빔 조사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빔 조사부의 타단에 일단이 체결되며, 상기 프로젝터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프로젝터 모듈을 구동하는 회로부를 포함하는 연장부, 및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연장부의 타단에 일단이 체결되며, 상기 빔 조사부 및 상기 연장부가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상기한 휴대용 프로젝터와, 상기 받침부, 상기 연장부, 및 상기 빔 조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프로젝터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연장부의 길이가 연장되므로, 영상이 투사되는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들이 분리되어 위치되고, 'ㄷ' 형상의 방 열판을 이용하여 프로젝터 모듈의 열을 케이스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프로젝터 모듈 구동 시 각 구성 요소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프로젝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휴대용 프로젝터를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프로젝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프로젝터(10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며, 빔 조사부(110), 연장부(120), 및 받침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빔 조사부(110)는 프로젝터 모듈(112)과, 방열판(116), 및 프로젝터 모듈(112)을 보호하는 케이스(118)를 포함한다.
프로젝터 모듈(112)은 외부 장치(예컨대, 컴퓨터, 휴대 단말기 등)에서 생성되어 제공되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이하, 영상으로 통칭함)을 외부 스크린이나 벽, 종이, 천에 투사한다. 이를 위해 프로젝터 모듈(112)은 고광도의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도 3의 113)와,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빛을 투과시키며 영상의 화상을 투사하는 이미저(imager; 도시되지 않음), 및 이미저를 통해 투사된 화상을 외부 스크린이나 벽, 종이, 천에 확대하여 투사하는 렌즈(114)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는 LED(Light Emitting Diode) 또는 LD(Laser Diode)를 이용하여 빛을 조사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을 스크린에 투사할 수 있는 정도의 광도를 갖는 램프라면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미저는 LCoS(Liquid Crystal On Semiconductor) 판넬, DLP(Digital Light Processing) 판넬,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판넬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방열판(116)은 프로젝터 모듈(112)의 일측에 체결되어 외부로 열을 방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열판(116)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되며, 중간의 일면(B1)이 프로젝터 모듈(112)의 일측에 체결되고, 나머지 마주보는 양면(B2)이 후술되는 케이스(118)의 마주보는 양 면 내벽에 각각 체결된다. 이때, 방열판(116)은 일면(B1)이 프로젝터 모듈(112)의 표면 중 가장 열이 많이 발생하는 면에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모듈(112)은 도 3과 같이 'H'부분에 광원부(113)가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이에 따라 방열판(116)은 'H'와 가장 근접한 일측면에 체결된다. 그러나 도시된 위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프로젝터 모듈(112) 중 열이 가장 많이 발생되는 부분이라면 어떠한 위치에도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방열판(116)은 열전도성이 높은 재질이라면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Al)이나 마그네슘(Mg)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두랄루민(Duralumin) 등과 같이 열 전도성이 높은 합금이나, 금속이 아니더라도 높은 열전도성을 갖는 합성 수지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열판(116)과 케이스(118)의 사이에는 열전도성 접착수단(예컨데, 금속성 접착 테이프 등; 117)이 개재된다. 즉 방열판의 양면(B2)은 열전도성 접착수단(117)을 통해 케이스(118)에 부착된다.
케이스(118)는 빔 조사부(110)의 외형을 형성하며, 내부에 설치되는 프로젝터 모듈(112)을 보호한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118)는 방열판(116)을 통해 전도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킨다. 이를 위해 케이스(118)는 열 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케이스(118)는 금속, 합금강, 또는 열전도성 수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18)는 내벽에 열을 빠르게 확산시키기 위한 열 확산층(115)이 형성된다. 열 확산층(115)은 열이 면 방향을 따라 빠르게 확산되는 재료(예컨대, 그라파이트(graphite) 시트 등)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방열판(116)과 프로젝터 모듈(112)에서 발생되는 열을 면 방향으로 빠르게 확산시킬 수 있어 케이스(118)의 전체 부분에 보다 신속하게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더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18)는 일단에 프로젝터 모듈(112)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도록 렌즈(114)와 유사한 크기로 투명한 창(119)이 형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면 전체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빔 조사부(110)는 케이스(118)가 열전도도가 높은 케이스(118)로 형성되고, 이를 통해 프로젝터 모듈(112)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게 된다. 여기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방열판(116)은 통해 케이스(118)의 양면(C1, C2)에 각각 체결되므로, 프로젝터 모듈(112)에서 발생되는 열을 보다 신속하게 방출할 수 있다.
연장부(120)는 빔 조사부(110)와 받침부(130) 간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이동 몸체(122)와 고정 몸체(126)를 포함한다.
이동 몸체(122)는 일단이 빔 조사부(110)의 타단에 체결된다. 이때, 빔 조사부(110)는 회전 가능하도록 이동 몸체(122)에 체결된다. 또한, 이동 몸체(122)는 직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 몸체(126)에 체결된다. 즉, 도 3과 같이 이동 몸체(122)의 내부에 고정 몸체(126)의 일부분이 삽입되도록 이동 몸체(122)와 고정 몸체(126)가 연결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 몸체(122)가 고정 몸체(126)로부터 이동되며 가변적으로 연장부(12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몸체(122)가 고정 몸체(126)와 최대한 결합되면, 연장부(120)는 도 5a와 같이 최소 길이인 이동 몸체(122)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가 된다. 반면에 도 5b와 같이 이동 몸체(122)가 고정 몸체(126)로부터 최대한 멀어지도록 이동시키는 경우, 연장부(120)의 길이는 최소 길이의 2배 가까이 늘어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몸체(122)에는 회로부(124)가 포함된다. 회로부(12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몸체(122)의 일면을 따라 이동 몸체(122)의 내부에 설치되며, 빔 조사부(110)의 프로젝터 모듈(112)과 연결되어 프로젝터 모듈(112)을 구동시킨다.
회로부(124)는 후술되는 접속부(134)를 통해 접속되는 컴퓨터(예컨대, PC)나 휴대 단말기 등에서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 또한, 회로부(124)는 입력되는 다양한 영상 데이터를 투사 가능한 영상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연성 기판(Flexible PCB; 140)을 통해 변환된 영상 신호를 프로젝터 모듈(112)로 전송한다. 이러한 회로부(124)는 프로젝터 모듈(112)을 구동하는 각종 드라이버들과, 프로젝터 모듈(112)에 정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변압기(DC-DC Conver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회로부(124)가 연장부(120)의 이동 몸체(122)에 위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 몸체(126)나 후술되는 받침부(130) 등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 몸체(126)는 일단이 이동 몸체(122)의 내부에 삽입되며 이동 몸체(122)가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 몸체(122)와 체결된다. 그리고 고정 몸체(126)의 타단은 받침부(130)가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몸체(126)는 받침부(130)의 배터리(132) 및 접속부(134)와 이동 몸체(122)의 회로부(124)를 연결하는 연결선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고정 몸체(126)는 내부적으로 연성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130)는 회전 가능하도록 연장부(120)의 타단 즉, 고정 몸체(126)의 타단에 일단이 체결되며, 빔 조사부(110) 및 연장부(120)가 고정되도록 지지한다. 받침부(130)는 회로부(124)와 연결되어 상기 회로부(124)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32)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130)는 배터리(132)의 무게를 이용하여 연장부(120)와 빔 조사부(110)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받침부(130)는 일측에 외부 기기과 연결되는 접속부(134)가 형성된다. 접속부(134)는 회로부(124)와 연결되며, 이를 통해 회로부(124)는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 외에도 무선 통신부를 구비하여 무선 통신을 통해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프로젝터(100)는 받침부(130)와 연장부(120)가 포개지며 접히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130)와 연장부(120)는 유사한 크기로 형성되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연장부(120)와 받침부(130)가 포개져 접힌 상태의 전체 두께와, 빔 조사부(110)는 동일한 두께로 형성된다. 이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프로젝터(100)가 최소한의 크기로 접혔을 때 전체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프로젝터(1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프로젝터가 변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도 1에 도시된 상태로 휴대용 프로젝터(100)를 휴대하게 된다. 사용자가 휴대용 프로젝터(100)를 이용하여 영사(映寫)하기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휴대용 프로젝터(100)를 원하는 위치에 안착시킨 후, 접혀있는 휴대용 프로젝터(100)를 열어 영사하기에 적합한 구조로 변형시키게 된다.
영상이 표시될 스크린이 전방에 있는 경우, 사용자는 도 1b나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프로젝터(100)의 형태를 변형하게 된다. 물론 도 1과 같은 휴대 시의 형태로 영사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 휴대용 프로젝터(100)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휴대용 프로젝터(100)는 일반적으로 프로젝터 모듈(112), 회로부(124), 배터 리(132)로 구성되며, 이를 통해 영상을 외부에 투사한다. 이 때, 각 구성 요소인 프로젝터 모듈(112), 회로부(124), 배터리(132)는 모두 열을 방출하게 된다. 따라서 휴대용 프로젝터(100)는 영상을 투사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각 구성 요소들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해소시켜야 한다. 종래의 휴대용 프로젝터나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프로젝터(100)의 휴대 상태(도 1의 상태)의 경우, 상기한 각 구성 요소들이 동일한 공간에 위치되거나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구성 요소들 상호간에 방출되는 열에 의해 서로 영향을 받게 된다. 또한 전체적인 표면적이 매우 협소하므로, 열이 원활하게 방출되지 않는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프로젝터(100)는 도 1 b나 도 4a에 도시된 형태로 휴대용 프로젝터(100)를 변형시켜 이용한다. 이 경우, 열을 방출하는 각각의 구성 요소들이 분리되어 각각 열을 방출하므로 각 구성 요소에서 발생되는 열이 다른 구성 요소에게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된다. 또한 휴대용 프로젝터(100)가 최대한 개방되어 전체적인 표면적이 매우 넓게 형성되므로, 보다 원활하게 열을 방출할 수 있다.
한편, 프로젝터 모듈(112)의 높이가 너무 낮게 위치된 경우, 투사된 영상의 일부가 바닥면으로 조사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프로젝터(100)는 도 4a와 같이 연장부(120)를 최대한 길게 연장함으로써 이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영상이 표시될 스크린이 천정에 있는 경우, 즉 사용자가 천정에 영상을 투사하여 영상을 보기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 4b와 같이 휴대용 프로젝 터(100)의 형태를 변경하게 된다.
이와 같이 휴대용 프로젝터(100)를 열어 영사에 적합한 구조로 변형시킨 후, 사용자는 휴대용 프로젝터(100)를 구동시킨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PC나 휴대 단말기 등을 휴대용 프로젝터(100)와 연결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 과정은 휴대용 프로젝터(100)의 구조를 변형시키기 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PC나 휴대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 회로부(124)는 영상 데이터를 투사 가능한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젝터 모듈(112)로 전송한다. 이에 프로젝터 모듈(112)은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이용하여 해당 영상을 투사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진행되면서 광원부에서 발생되는 열은 방열판(116)에 전달된다. 그리고 방열판(116)은 전달된 열을 확산시켜 케이스(118)로 열을 전달한다. 이 과정에서 방열판(116)의 열은 케이스(118)의 양면에 동시에 전달된다. 따라서, 열이 빠르게 케이스(118)의 전체 부분으로 확산되며 케이스(118) 외부로 방출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프로젝터(100)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연장부(120)의 길이가 연장되므로, 영상이 투사되는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ㄷ'자 형태의 방열판(116)을 이용하여 프로젝터 모듈(112)의 열을 빠르게 케이스(118)로 전달하고, 각 구성 요소들이 근접하지 않은 위치에서 열을 방출하므로, 내부적으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프로젝터는 다양한 장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휴대 단말기에 적용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프로젝터를 갖는 휴대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00)는 전술한 휴대용 프로젝터(도 2의 100)와 유사한 구조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00)는 외부적으로 받침부(230)의 일면(연장부와 접하는 면)에 터치 스크린(260)과 마이크로폰(270)이 설치되고, 빔 조사부(210)의 일면 상단부에 스피커(280)가 설치된다. 또한, 내부적으로는 휴대 단말기(200)의 기능을 담당하는 구성 요소(예컨대, 제어부, 신호 처리부, 메모리 등)이 회로부(도시되지 않음)에 함께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260)은 터치가 발생된 위치에 따라 발생되는 전압 또는 전류 신호로부터 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 전송한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260)으로 터치 패널(touch panel)이 이용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260)은 인듐-주석-옥사이드(Indium-Tin-Oxide; 이하 'ITO'라 함) 전극막이 형성된 ITO 또는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 필름으로 형성된 상부 및 하부 기판과, 상기 전극막 상에 형성된 전극 패턴, 및 상부 및 하부기판 사이에 적절한 간격을 유지시키는 스페이서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ITO 전극막의 가장자리에는 전도성 X축 패턴 및 Y축 패턴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X축 패턴과 Y축 패턴은 절연체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상부 기판을 가압하면 상부 기판 상의 ITO 전극막이 하부기판 상의 ITO 전극막에 접촉되며, 이에 따라, X축 패턴 및 Y축 패턴으로부터 전압을 읽어 가압된 지점의 좌표를 추출하여 제어부로 전 달한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260)은 사용자에 의해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좌표를 제어부로 전달한다. 즉, 그 터치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하나의 좌표 및 좌표의 자취를 모두 포함한다)에 해당하는 전압 또는 전류 신호를 감지하여 해당 좌표를 제어부로 전달한다. 이에, 제어부는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좌표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터치 스크린(260)은 터치를 통해 해당 좌표가 지속적으로 눌려진 시간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달한다. 그러면, 제어부는 그 시간에 대응하는 이벤트에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는 터치 스크린(260) 상의 눌려진 위치 및 시간에 따라 각각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터치 이벤트의 예로, 클릭(click) 및 드래그(drag)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클릭은 신호를 길게 입력하는 롱 키(long key)와 신호를 짧게 입력하는 숏 키(short key)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받침부(230)의 일면에 터치 스크린(260)이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빔 조사부(210)의 일면이나, 연장부(220)의 일면 등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00)는 별도의 키패드가 포함되지 않으며, 터치 스크린(260)이 표시부의 역할과 더불어 입력부의 역할 즉, 키패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단말기(200)의 다른 일면, 예컨대, 연장부(220)나 빔 조사부(210)의 일면에 별도의 키패드를 형성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이처럼 휴대의 기능과 프로젝터의 기능이 함께 구비되는 경우, 휴대 단말기(260)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나, 터치 스크린(260)에 표시되는 영상 화면을 프로젝터 모듈(도시되지 않음)로 영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프로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연장부의 길이가 연장되므로, 영상이 투사되는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들이 근접하게 위치하지 않으며 단면이 'ㄷ'자 형태인 방열판을 이용하여 프로젝터 모듈의 열을 빠르게 케이스로 전달하므로, 프로젝터 모듈 구동 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프로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방열판이 'ㄷ'자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ㅁ' 구조나 '工'구조 등 프로젝터 모듈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케이스의 양면에 전달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프로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는 받침부와 연장부가 유사한 크기로 형성되어 서로 포개지며 접히도록 구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받침부의 크기를 빔 조사부와 연장부를 합한 크기로 형성하여 빔 조사부와 연장부의 일면에 받침부가 포개지도록 형성하는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가 고정 몸체, 이동 몸체 이외의 구성 요소(예컨대, 고정 몸체와 이동 몸체 사이를 연장시키며 연결하는 샤프트 등)를 구비하고 이를 이용하여 보다 길게 연장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프로젝터가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 외에도 다양한 전자 기기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프로젝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휴대용 프로젝터를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프로젝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에 따른 부분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프로젝터가 변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프로젝터를 갖는 휴대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휴대용 프로젝터 200 : 휴대 단말기
110, 210 : 빔 조사부 112 : 프로젝터 모듈
116 : 방열판 120, 220 : 연장부
122 : 이동 몸체 126 : 고정 몸체
124 : 회로부 140 : 연성 기판
130, 230 : 받침부 132 : 배터리
134, 234 : 접속부 260 : 터치 스크린
270 : 마이크로폰 280 : 스피커

Claims (19)

  1. 프로젝터 모듈을 포함하며, 일단으로 상기 프로젝터 모듈에서 발생된 빛을 조사하는 빔 조사부;
    상기 빔 조사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빔 조사부의 타단에 일단이 체결되며, 상기 프로젝터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프로젝터 모듈을 구동하는 회로부를 포함하는 연장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연장부의 타단에 일단이 체결되며, 상기 빔 조사부 및 상기 연장부가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프로젝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빔 조사부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의 일측에 체결되어 외부로 열을 방출하는 방열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프로젝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빔 조사부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 및 상기 방열판을 둘러싸며 상기 프로젝터 모듈을 보호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프로젝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은
    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되며, 중간의 일면이 상기 프로젝터 모듈의 일측에 체결되고, 나머지 마주보는 양 면이 상기 케이스의 마주보는 양 면 내벽에 각각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프로젝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은
    알루미늄, 마그네슘, 또는 두랄루민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프로젝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고정 몸체; 및
    상기 빔 조사부와 상기 받침부 간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직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에 체결되는 이동 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몸체는,
    일단이 상기 빔 조사부의 타단에 체결되며, 타단에는 상기 고정 몸체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프로젝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상기 이동 몸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프로젝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몸체는,
    일단이 상기 이동 몸체의 삽입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이동 몸체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받침부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프로젝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회로부와 연결되어 상기 회로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프로젝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연장부와 유사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와 포개지며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프로젝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빔 조사부는,
    상기 연장부와 상기 받침부가 포개져 접힌 상태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프로젝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 모듈과 상기 회로부는 연성 기판을 통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프로젝터.
  1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내벽에 면 방향으로 열을 확산시키는 열 확산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프로젝터.
  1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과 상기 케이스 사이에 열전도성 접착수단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프로젝터.
  16. 제 1 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휴대용 프로젝터와,
    상기 받침부, 상기 연장부, 및 상기 빔 조사부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연장부와 접하는 상기 받침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 상기 회로부, 및 상기 빔 조사부 중 적어도 하나는 일면에 키 입력을 위한 키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70112619A 2007-11-06 2007-11-06 휴대용 프로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437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619A KR101437904B1 (ko) 2007-11-06 2007-11-06 휴대용 프로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619A KR101437904B1 (ko) 2007-11-06 2007-11-06 휴대용 프로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454A true KR20090046454A (ko) 2009-05-11
KR101437904B1 KR101437904B1 (ko) 2014-09-04

Family

ID=40856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2619A KR101437904B1 (ko) 2007-11-06 2007-11-06 휴대용 프로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9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605B1 (ko) * 2014-01-03 2015-01-16 주식회사 큐브전자 빔프로젝터를 갖는 태블릿컴퓨터
CN109739066A (zh) * 2019-02-01 2019-05-10 深圳一维山科技有限公司 微型投影仪
CN110392242A (zh) * 2019-08-05 2019-10-29 东南大学成贤学院 一种动态影像装置及投影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4301A (ko) * 2003-07-30 2005-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로젝터 디스플레이장치
KR100785005B1 (ko) * 2005-04-15 2007-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81265B1 (ko) * 2005-09-27 2007-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24942B1 (ko) 2005-07-26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이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스크린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605B1 (ko) * 2014-01-03 2015-01-16 주식회사 큐브전자 빔프로젝터를 갖는 태블릿컴퓨터
CN109739066A (zh) * 2019-02-01 2019-05-10 深圳一维山科技有限公司 微型投影仪
CN110392242A (zh) * 2019-08-05 2019-10-29 东南大学成贤学院 一种动态影像装置及投影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7904B1 (ko) 2014-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2008B1 (ko) 핸드헬드 전자 디바이스
EP3584783B1 (en) Light-emitt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9116267B2 (en) Backlight structures and assemblies for electronic device displays
US8057047B2 (en) Heat radiation structure for portable projector
CN107728380B (zh) 背光模组及显示装置
JP4238921B2 (ja) 照明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WO2019154323A1 (zh) 光敏组件和移动终端
WO2015066898A1 (zh) 双面显示装置及其背光模组
CN110297378B (zh) 拍摄装置、电子设备及电子设备的控制方法
JP2007286467A (ja)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337253B1 (ko) 구부림이 가능한 방열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JP2010101941A (ja) 表示パネルを備えた表示装置及び該表示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KR101437904B1 (ko) 휴대용 프로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US9739929B2 (en) Electronic device with light-emitting diode array
JP2001230503A (ja) 部品実装用fpc及び面状照明装置
JP2020057701A (ja) 電子機器
JP2008204943A (ja) 導光装置
WO2018149239A1 (zh) 电子设备
JP6827183B2 (ja) 表示装置
JP2007208339A (ja) 携帯電子機器
JP5343571B2 (ja) 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
JP2009110890A (ja) 携帯機器
JP2006270930A (ja) 携帯機器
JP6197430B2 (ja) 照明装置および前記照明装置を使用する表示装置
JP2021089791A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