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5005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5005B1
KR100785005B1 KR1020050031405A KR20050031405A KR100785005B1 KR 100785005 B1 KR100785005 B1 KR 100785005B1 KR 1020050031405 A KR1020050031405 A KR 1020050031405A KR 20050031405 A KR20050031405 A KR 20050031405A KR 100785005 B1 KR100785005 B1 KR 100785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terminal
image
folde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1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9111A (ko
Inventor
이진호
최병룡
문용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1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5005B1/ko
Priority to US11/404,927 priority patent/US20060232610A1/en
Publication of KR20060109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9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by tracing or scanning a light beam on a scre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0Collapsible hangers
    • A47G25/4046Collapsible hangers comprising support arms of a series of links
    • A47G25/4061Collapsible hangers comprising support arms of a series of links rotatably connec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28Hang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7G25/30Hang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to prevent slipping-off of the cloth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ojector or beamer module assemb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14Vertical resolution chan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21Horizontal resolution chan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9G2340/145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related to small 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그 장치는, 영상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창을 가지는 단말기; 단말기에 내장되며 영상을 확대투사하는 프로젝션 유닛; 및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확대투사된 영상을 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단말기가 디스플레이 가능한 영상을 단말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창보다 크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ing apparatus}
도 1a 내지 도 1f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참고도들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제3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의 참고도들이다.
도 3은 스크린이 자동 착탈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스크린이 자동 착탈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10 : 단말기
120 : 프로젝션 유닛 140 : 스크린
410 : 구동부 420 : 검사부
430 : 스크린 인출부 440 : 기능 수행부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가 디스플레이 가능한 영상을 그 단말기에 마련되는 스크린에 확대투사함으로써 단말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창보다 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의 많은 현대인들은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한 단말기의 일 예로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MP3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있다. 특히, 휴대폰, PDA, PMP 등은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고 있음이 일반적이다.
이를 위해, 휴대폰, PDA 등은 소정 크기의 디스플레이 창을 갖고 있으며, 사용자는 그러한 디스플레이 창을 통해, 영화를 포함한 각종 동영상 및 사진과 같은 이미지를 감상할 수 있다. 특히,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서비스를 휴대폰을 통해서도 이용할 수 있는 오늘날의 현실을 감안할 때,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창은 필수적이다.
다만, 그 디스플레이 창은 휴대폰 단말기에 구비되므로 그 크기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즉, 그 디스플레이 창은 단말기보다 클 수 없다는 내재적 한계를 지니고 있다.
결국, 사용자는 단말기가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을 작은 크기의 디스플레이 창을 이용해 감상할 수 밖에 없어, 쉽게 눈에 피로를 느끼는 등 장시간 사용시 적지 않은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즉, 종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싱(interfacing)시, 그 디스플레이 창이 갖는 크기의 제약으로 인해 사용에 불편을 준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말기가 디스플레이 가능한 영상을 그 단말기에 마련되는 스크린에 확대투사함으로써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보다 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창을 가지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에 내장되며 영상을 확대투사하는 프로젝션 유닛; 및 상기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확대투사된 영상을 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프로젝션 유닛은,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단색광을 각각 조사하는 다수의 광원; 상기 단색광의 빔들을 각각 색 신호에 따라 변조하는 광변조기; 상기 광변조기에 의해 변조된 단색광들을 하나의 빔으로 합성하는 광합성수단; 및 상기 합성된 빔이 화상을 형성하도록 주사하는 광스캐너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단말기의 일측면에 상기 스크린이 롤 형태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스크린의 일단에는 걸쇠가 형성되며, 상기 단말기는 상기 스크린을 상기 프로젝션 유닛에 대향되게 위치시키기 위한 홀을 상기 걸쇠에 대응되게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단말기는, 상기 스크린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납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영상을 생성하도록 지시하는 구동부; 및 상기 스크린을 상기 수납부에서 자동 인출시키는 스크린 인출부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는, 본 발명은 상기 단말기가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기능수행 지시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 상기 출력된 기능수행 지시신호가 상기 영상의 생성을 지시하는지 검사하는 검사부; 및 상기 스크린을 상기 검사된 결과에 응답하여 자동 인출시키는 스크린 인출부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영상을 생성하도록 지시하는 단계; 및 상기 스크린의 상기 수납부에서의 자동 인출을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단말기는 상기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창 또는 상기 스크린에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창를 가진 제1 폴더 및 상기 제1 폴더에 대해 개폐가능하게 된 제2 폴더를 구비한 단말기; 상기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창보다 큰 스크린; 및 상기 제1 폴더 또는 제2 폴더에 내장되어 상기 영상을 스크린에 확대투사하는 프로젝션 유닛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2 폴더의 일측면에 상기 스크린이 롤 형태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스크린의 일단에는 걸쇠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폴더는 상기 스크린을 상기 프로젝션 유닛에 대향되게 위치시키기 위한 홀을 상기 걸쇠에 대응되게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제2 폴더는, 상기 스크린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납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당해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f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이하 "본 장치(100)"라 함)를 설명하기 위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참고도들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a는 본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제1 실시예의 사용 전 사시도이고, 도 1b는 제1 실시예에 의할 경우 본 장치(100)의 사용 상태도이며, 도 1c는 도 1b의 A-A' 선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또한, 도 1d는 프로젝션 유닛(120)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한편, 도 1e는 본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제2 실시예의 사용 전 사사도이며, 도 1f는 제2 실시예에 의할 경우 본 장치(100)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100)는 단말기(110) 및 스크린(140)을 포함한다. 단말기(110)는 휴대 가능한 단말기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말기(110)는 소정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데, 그 소정의 영상은 동영상일 수도 있고, 사진과 같은 정지된 영상일 수도 있다.
단말기(110)는 플립(flip)형 핸드폰, 폴더(folder)형 핸드폰, PDA, PMP 등 다양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 단말기(110)는 폴더형 핸드폰인 경우로 가정한다.
단말기(110)는 제1 폴더(114)와 제2 폴더(117)를 구비한다. 참조번호 115는 제1 폴더(114)의 정면을 나타내고, 참조번호 116은 제1 폴더(114)의 후면을 나타내며, 참조번호 118은 제2 폴더(117)의 정면을 나타내고, 참조번호 119는 제2 폴더(117)의 후면을 나타낸다.
단말기(110)는 프로젝션 유닛(120), 키패드(125) 및 디스플레이 창(130)을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창(130)은 소정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제1 폴더(114)에 마련되고, 키패드(125)는 사용자가 단말기(110)의 소정 기능 수행을 지시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며 제2 폴더(117)에 마련된다. 그리고, 프로젝션 유닛(120)은 제1 폴더(114) 또는 제2 폴더(117)에 내장되고, 디스플레이 창(130)이 디스플레이하는 영상보다 크게 영상을 확대투사한다. 이 때, 상기 확대투사된 영상은 스크린(140)에 맺힌다.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140)은 단말기(1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프로젝션 유닛(120)으로부터 확대투사된 영상을 받아 디스플레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크린(140)은 제2 폴더(117)의 일측면에 구비된 수납부(112)에 롤 형태로 감겨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폴더(117)의 일측면에 상기 스크린(140)이 롤 형태로 감겨 장착되는 회전 가능한 로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수납부(112)로부터 풀려 나온 스크린(140)의 일단은 제1 폴더(114)의 후면(116)에 장착되어 확대된 영상(195)이 상기 스크린(140)에 맺힐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제1 폴더(1140)의 후면(116)에는 상기 스크린(140)을 상기 프로젝션 유닛(120)에 대향되게 위치시키기 위한 고정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크린(140)의 일단에는 소정의 걸쇠(1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 폴더(114)의 후면(116)에 상기 걸쇠(142)에 대응되는 홀(150)이 형성되어 있다. 걸쇠(142)는 홀(150)에 끼워짐으로써 스크린(140)이 단말기(110)에 고정 결합된다.
다만, 걸쇠(142)와 홀(150)은 스크린(140)에 영상을 투사하기 위해 단말기(110)에 스크린(140)을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의 일 예일 뿐이며, 스크린(140)의 단말기(110)에의 장착이 걸쇠(142) 및 홀(150)에 의해서만 가능한 것은 아니다. 예컨대, 참조번호 150의 위치에 홀이 형성되지 않고 자석이 실장되어 있으며, 스크린(140)이 그 자석에 끌리는 자성물질로 덮여있다면, 스크린(140)의 일단이 후면(116)을 감싸고 휘어져 자석 부근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스크린(140)이 단말기(110)에 장착되게 된다. 스크린(140)은 양 단부가 서로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에서 단말기(110)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결국,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찰자(160)는 디스플레이 창(130)보다 큰 스크린(140)을 통해 확대된 영상(195)을 관찰할 수 있다.
도 1d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프로젝션 유닛(120)은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단색광을 각각 조사하는 다수의 광원(170), 그 단색광의 빔들을 각각 색 신호에 따라 변조하는 광변조기(175), 그 광변조기(175)에 의해 변조된 단색광들을 하나의 빔으로 합성하는 광합성기(180) 및 그 합성된 빔이 화상을 형성하도록 주사하는 광스캐너(190)로 이루어진다.
광원(170)은 RGB와 같은 삼원색을 각각 방출하는 제1, 제2, 및 제3 레이저(170R, 170G, 170B)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세 개의 레이저(170R, 170G, 170B)로부터 방출된 RGB 광은 각각의 RGB 광에 대응하는 제1, 제2, 및 제3 광변조기(175R, 175G, 175B)로 입사한다.
제1, 제2, 및 제3 광변조기(175R, 175G, 175B)는 제어부(185)의 제어에 따라, 각각의 광변조기(175R, 175G, 175B)에 입사하는 RGB 광을 광변조한다. 그런 후, 광변조기(175R, 175G, 175B)에 의해 변조된 각각의 RGB 광은 특정한 파장의 광을 반사하고 다른 파장의 광은 투과시키는 제1, 제2 및 제3 다이크로익 미러(180R, 180G, 180B)에 의해 하나의 광으로 합성된다.
즉, 제1 다이크로익 미러(180R)는 적색광(R)을 반사시키고, 다른 파장의 광을 투과시킨다. 같은 원리로, 제2 다이크로익 미러(180G)는 녹색광(G)을 반사시키고, 다른 파장의 광을 투과시키며, 제3 다이크로익 미러(180B)는 청색광(B)을 반사시키고, 다른 파장의 광을 투과시킨다. 이렇게 합성된 광은 광스캐너(190)에 의해 스크린(140)을 향해 주사됨으로써, 스크린(140)에 영상(195)이 만들어진다.
영상 신호에 따라 직접 변조가 가능한 레이저(170R, 170G, 170B) 광을 사용할 경우에는 광변조기(175R, 175G, 175B)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영상을 구현함에 있어, 수평 주사와 수직 주사를 위해 2개의 광스캐너(190)가 사용될 수도 있고, 수평 및 수직 주사가 가능한 1개의 광스캐너(190)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 때, 수평 및 수직 주사가 가능한 1개의 광스캐너(190)는 두 개의 축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린(140)은 반사형 또는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투과형 스크린을 예시하였다.
도 1e 및 도 1f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스크린(140)은 제2 폴더(117)의 일측면에 설치된 바(199)에 감겨 마련될 수 있다. 바(199)에서 풀린 스크린(140)의 일측은 제1 폴더(114)에 장착 가능하며, 프로젝션 유닛(120)은 스크린(140)에 영상(195)을 확대투사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제3 실시예의 참고도들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내부에 스크린(240)이 안착된 단말기(210)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스크린(240)이 인출된 단말기(210)의 사시도이며, 도 2c는 도 2b에 도시된 본 장치의 B-B'선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한편, 도 2d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제4 실시예의 참고도이며, 도 2e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제5 실시예의 참고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240)은 단말기(210)의 제2 폴더(217)에 마련된 수납부(21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스크린(240)이 인출되었을 때 영상이 스크린(240)에 비추어질 수 있도록 프로젝션 유닛(220)이 제1 폴더(214)에 장착되고, 영상이 제1 폴더(214)의 후면으로부터 스크린(240)을 통과해 투사된다.
사용자(260)는 키패드(225)상의 키 조작에 의해 프로젝션 유닛(220)의 동작을 지시할 수도 있고, 스크린(240)의 자동 인출을 지시할 수도 있다. 도 2c에 도시 된 바에 따르면, 프로젝션 유닛(220)는 인출된 스크린(240)에 영상을 확대투사하게 되며, 관찰자(260)는 디스플레이 창(230)보다 큰 스크린(240)을 통해 확대된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한편, 스크린(240)은 수납부(211)에 안착됨에 있어, 절첩된 상태로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240)은 절첩 가능하면서, 인출되었을 때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반고착형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d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일정 부위(242)를 중심으로 절첩되어 수납부(211)에 안착된 스크린(240)은, 인출되었을 때 펼쳐질 수 있다. 한편, 도 2e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일정 부위(242)를 중심으로 절첩되어 수납부(211)에 안착된 스크린(240)은, 가이드부(290)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크린(240)은 그 일측면(241)에 가이드부(290)의 돌출부(291)가 걸릴 때까지, 수납부(211)로부터 인출가능하다.
도 3은 스크린(114)이 자동 인출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본 장치는 구동부(310), 검사부(320), 스크린 인출부(330) 및 기능 수행부(340)를 포함한다.
구동부(310)는 단말기(210)가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기능수행 지시신호를 출력함이 바람직하다. 검사부(320)는 그 출력된 기능수행 지시신호가 영상의 확대투사를 지시하는지 검사한다. 그 영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동영상일 수도 있고, 정지된 영상일 수도 있다.
스크린 인출부(330)는 수납부(211)에 안착된 스크린(240)을 그 검사된 결과에 응답하여 자동 인출시키고, 스크린인출 확인신호를 생성한다. 즉, 스크린 인출 부(430)는 검사부(420)에서 검사한 결과 그 기능수행 지시신호가 확대투사를 지시한다면, 스크린(240)을 수납부(211)로부터 자동 인출시킨다. 스크린인출 확인신호는 스크린(240)이 인출되었음을 알리는 신호이다.
기능 수행부(340)는 기능수행 지시신호 및 스크린인출 확인신호에 응답하여, 그 인출된 스크린(240)에 소정의 영상을 확대투사한다. 결국, 사용자가 매번 번거롭게 스크린(240)을 인출시킬 필요없이, 스크린(240)의 인출이 요구되는 시점에 자동으로 스크린(240)이 인출된다.
기능 수행부(340)는 프로젝션 유닛(220)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의 블록도에서 검사부(320)는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부(310)는 단말기(210)가 소정의 영상을 확대투사할 것을 지시하는 프로젝션 지시신호를 출력하며, 스크린 인출부(330)는 안착된 스크린(240)을 그 프로젝션 지시신호에 따라 인출시키고, 스크린인출 확인신호를 생성한다.
도 4는 스크린(240)이 자동 인출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로서, 기능수행을 지시하는 단계(제410 단계), 그 지시가 확대투사를 지시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제420 단계), 스크린을 인출시키는 단계(제430 단계) 및 착탈된 스크린에 영상(260)을 확대투사하는 단계(제440 단계)로 이루어진다.
구동부(310)는 단말기(210)가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며(제410 단계), 검사부(320)는 그 지시가 영상의 확대투사를 지시하는지 판단한다(제420 단계).
상기 판단 결과, 그 지시가 영상의 확대투사를 지시한다면, 스크린 인출부 (330)는 안착된 스크린(240)을 인출시킨다(제430 단계). 제430 단계 후에, 기능 수행부(340)의 프로젝션 유닛(220)은 인출된 스크린(240)에 그 영상을 확대투사한다(제440 단계).
다만, 상기 판단 결과, 그 지시가 영상의 확대투사를 지시하지 않는다면,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방법은 수행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말기가 디스플레이 가능한 영상을 단말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창보다 크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인터넷 검색이나 영화 감상 등 다양한 내용을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보다 편리하고 실감나게 확대된 스크린을 통해 상기 내용을 감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효율이 높고 소비 전력이 매우 낮은 레이저 주사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영상을 스크린에 장시간동안 확대투사할 수 있다.

Claims (16)

  1. 영상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창을 가지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에 내장되며 영상을 확대투사하는 프로젝션 유닛;
    상기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확대투사된 영상을 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수납부로부터 자동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션 유닛은,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단색광을 각각 조사하는 다수의 광원;
    상기 단색광의 빔들을 각각 색 신호에 따라 변조하는 광변조기;
    상기 광변조기에 의해 변조된 단색광들을 하나의 빔으로 합성하는 광합성수단; 및
    상기 합성된 빔이 화상을 형성하도록 주사하는 광스캐너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션 유닛은,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단색광을 상기 단색광의 세기에 따라 변조시켜 각각 조사하는 다수의 광원;
    상기 조사된 단색광들을 하나의 빔으로 합성하는 광합성수단; 및
    상기 합성된 빔이 화상을 형성하도록 주사하는 광스캐너를 포함함을 특징으 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스크린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납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영상을 생성하도록 지시하는 구동부; 및
    상기 스크린을 상기 수납부에서 자동 인출시키는 스크린 인출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단말기가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기능수행 지시신호를 출 력하는 구동부;
    상기 출력된 기능수행 지시신호가 상기 영상의 생성을 지시하는지 검사하는 검사부; 및
    상기 스크린을 상기 검사된 결과에 응답하여 자동 인출시키는 스크린 인출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영상을 생성하도록 지시하는 단계; 및
    상기 스크린의 상기 수납부에서의 자동 인출을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창 또는 상기 스크린에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영상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창을 가진 제1 폴더 및 상기 제1 폴더에 대해 개폐가능하게 된 제2 폴더를 구비한 단말기;
    상기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창보다 큰 스크린;
    상기 제1 폴더 또는 제2 폴더에 내장되어 상기 영상을 스크린에 확대투사하는 프로젝션 유닛; 및
    상기 스크린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납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수납부로부터 자동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더는,
    상기 스크린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납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절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영상을 생성하도록 지시하는 구동부; 및
    상기 스크린을 상기 수납부에서 자동 인출시키는 스크린 인출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50031405A 2005-04-15 2005-04-15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85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405A KR100785005B1 (ko) 2005-04-15 2005-04-15 디스플레이 장치
US11/404,927 US20060232610A1 (en) 2005-04-15 2006-04-17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405A KR100785005B1 (ko) 2005-04-15 2005-04-15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111A KR20060109111A (ko) 2006-10-19
KR100785005B1 true KR100785005B1 (ko) 2007-12-12

Family

ID=37108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1405A KR100785005B1 (ko) 2005-04-15 2005-04-15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60232610A1 (ko)
KR (1) KR1007850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904B1 (ko) * 2007-11-06 2014-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프로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US20100287513A1 (en) * 2009-05-05 2010-11-11 Microsoft Corporation Multi-device gesture interactivity
US20100309442A1 (en) * 2009-06-05 2010-12-0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built-in projecting screen
WO2014175296A1 (en) 2013-04-24 2014-10-3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US9857674B2 (en) 2015-03-26 2018-01-02 Arovia, Inc. Spontaneous pop-up display device
EP3365728B1 (en) 2015-10-21 2022-04-13 Arovia, Inc. Improved spontaneous pop-up display device
US10955921B2 (en) 2016-08-23 2021-03-23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optical user input modes and localized haptic response, and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s
AU2017429200B2 (en) * 2017-08-23 2021-09-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US10845921B2 (en) 2018-05-21 2020-11-24 Motorola Mobility Llc Methods and systems for augmenting images in an electronic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1909A (ja) * 2001-09-25 2003-04-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型電子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5995B2 (ja) * 1992-10-23 2002-0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テレビ電話装置
US6935566B1 (en) * 1997-02-03 2005-08-30 Symbol Technologies, Inc. Portable instrument for electro-optically reading indicia and for projecting a bit-mapped image
US5510806A (en) * 1993-10-28 1996-04-23 Dell Usa, L.P. Portable computer having an LCD projection display system
US6085112A (en) * 1995-05-03 2000-07-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Communication device
US5970418A (en) * 1995-09-21 1999-10-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ersonal communicator including a handset phone with an integrated virtual image display
US5658063A (en) * 1995-11-02 1997-08-1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onitorless video projection system
US6525750B1 (en) * 1996-03-08 2003-02-25 Duke University Projection display for computers
US5728998A (en) * 1996-03-29 1998-03-17 Motorola, Inc. Secure smart card reader with virtual image display and pull-down options
US6486862B1 (en) * 1996-10-31 2002-11-26 Kopin Corporation Card reader display system
US6122023A (en) * 1998-07-28 2000-09-19 Motorola, Inc. Non-speckle liquid crystal projection display
US6873460B1 (en) * 1999-07-09 2005-03-29 Sarnoff Corporation Retractable rear projection display
US7124952B2 (en) * 2000-06-27 2006-10-24 Symbol Technologies, Inc. Portable instrument for electro-optically reading indicia and for projecting a bit-mapped image
US6489934B1 (en) * 2000-07-07 2002-12-03 Judah Klausner Cellular phone with built in optical projector for display of data
US7184796B2 (en) * 2000-12-04 2007-02-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built in projection display
US6623127B2 (en) * 2000-12-04 2003-09-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nlarging a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of a personal data assistant
US6806850B2 (en) * 2001-02-23 2004-10-19 Shane Ch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projection screen
GB2374663A (en) * 2001-04-18 2002-10-23 Nokia Corp Presentation of images
US20030071780A1 (en) * 2001-10-16 2003-04-17 Vincent Kent D. High resolution display
US6637896B2 (en) * 2001-10-31 2003-10-28 Motorola, Inc. Compact projection system and associated device
KR100436666B1 (ko) * 2001-12-14 2004-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홀로그램 스크린을 이용한 표시 장치가 적용된 휴대용단말기
US6930669B2 (en) * 2002-03-18 2005-08-16 Technology Innovations, Llc Portable personal computing device with fully integrated projection display system
WO2005069114A1 (ja) * 2004-01-15 2005-07-28 Vodafone K.K. 移動体通信端末
US7201420B2 (en) * 2004-11-23 2007-04-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display scre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1909A (ja) * 2001-09-25 2003-04-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型電子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32610A1 (en) 2006-10-19
KR20060109111A (ko) 200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500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989716B (zh) 影像显示装置及影像显示系统
JP5019853B2 (ja) プロジェクタ/プロジェクション兼用の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960056B1 (ko) 휴대용 다중 모드 디스플레이 장치
US8109638B2 (en) Diffuser configuration for an image projector
CN101782715B (zh) 投影图像显示设备以及投影光学系统
JP4403844B2 (ja) 投写型表示装置
US20020021419A1 (en) Combination overhead projector and electronic display device
CN101937162A (zh) 光源装置、投影装置以及投影方法
JP2005107211A (ja) 画像投影装置
KR20050030855A (ko) 촬상 장치
TW200627054A (en) Rear projector
JP2011128366A (ja) 投写型表示装置、携帯端末装置および携帯型カメラ
JP2005148556A (ja) プロジェクタ
US20080002154A1 (en) Projectio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6082865A (en) Projection type display device with image pickup func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JP5444399B2 (ja) 電子装置
JP2005189472A (ja) 表示装置及びそれに使用する照明装置
JP2005266602A (ja) 透過型スクリーン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
JP2001313702A (ja) 携帯通信端末
JPH11249098A (ja) プロジェクタ
JP2005148560A (ja) 書き込み可能プロジェクタおよび光ポインタ
JP2016180786A (ja) 投影装置、端末、投影システム及び投影方法
JP2009134147A (ja) 携帯端末
KR20050010545A (ko) 프로젝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