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6402A - 높낮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6402A
KR20090046402A KR1020070112529A KR20070112529A KR20090046402A KR 20090046402 A KR20090046402 A KR 20090046402A KR 1020070112529 A KR1020070112529 A KR 1020070112529A KR 20070112529 A KR20070112529 A KR 20070112529A KR 20090046402 A KR20090046402 A KR 20090046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fluid
saddle
pist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2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6480B1 (ko
Inventor
조석귀
Original Assignee
조석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석귀 filed Critical 조석귀
Priority to KR1020070112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6480B1/ko
Publication of KR20090046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6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 B62J2001/085Seat pillars having mechanisms to vary seat height, independently of the cycle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조작으로 자전거의 안장 또는 가구의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자전거 주행 중 자전거가 주행하고자 하는 길의 상태나 정지해야 하는 경우, 출발하는 경우 등 상황에 맞게 안장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기존의 자전거를 해체하거나 절단하지 않고 간단하게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한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높낮이 조절장치, 안장, 시트, 실린더, 피스톤, 공압, 유압, 밸브, 레버

Description

높낮이 조절장치{APPARATUS FOR CONTROLING HEIGHT}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조작으로 자전거의 안장 또는 가구의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자전거 주행 중 자전거가 주행하고자 하는 길의 상태나 정지해야 하는 경우, 출발하는 경우 등 상황에 맞게 안장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기존의 자전거를 해체하거나 절단하지 않고 간단하게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한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 안장이나 가구, 예를 들어 탁자나 의자 등의 시트 등은 앉게 되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높이를 임의로 적절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
특히, 자전거 안장은 주행시 페달이 밑으로 갔을 때 다리를 완전히 펼 수 있어야 가장 힘이 적게 들고 편안하게 주행할 수 있으므로 주행 중 다리를 펴 페달을 밝을 수 있을 정도가 되려면 안장이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그러나, 자전거 주행 중 신호 대기 등으로 잠시 정지하는 경우, 안장이 높게 위치하고 있게 되면, 양발이 바닥에 닿지 않아 자세를 옆으로 기울여야 한쪽 발로 지탱해야 하는 불편함을 초래하며, 승ㆍ하차 시에도 안장이 높아 사용이 불편한 문 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자전거 안장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관 형상의 하부 프레임의 내부에 끼워지는 상부 프레임의 상대적 위치를 변경한 후 볼트로 상부 프레임을 고정하는 단순한 방법에서,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게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가스스프링이나 공압, 유압 등을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등 여러 가지 기술이 적용된 높낮이 조절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 높낮이 조절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비용이 상당할 뿐만 아니라 조립이 어렵고, 기존의 자전거를 해체하거나 절단하고 높낮이 조절장치를 장착해야 하는 등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조작으로 자전거의 안장 또는 가구의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전거 주행 중 자전거가 주행하고자 하는 길의 상태나 정지해야 하는 경우, 출발하는 경우 등 상황에 맞게 안장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기존의 자전거를 해체하거나 절단하지 않고 간단하게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한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전거의 안장, 가구의 시트 등에 장착되는 높낮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되고, 한 쪽에 개폐가능한 공기공이 형성된 제1 실린더와; 일측은 제1 실린더의 내주면에 접하여 공기공을 통해 공기가 투입되는 제1 공간부를 형성하되, 제1 공간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유통공이 형성되고, 타측은 제1 실린더의 중심축을 따라 제1 실린더의 상면방향을 향해 연장되되, 중심축을 따라 유체가 주입되고 개폐가능한 제1 유체공이 형성된 제2 피스톤과; 제2 피스톤의 타측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에 유체가 이동되는 제2 유체공이 형성되며, 승강동작에 따라 유통공을 개폐하는 제2 실린더와; 제2 실린더의 일부가 내주면에 접하여 제1 유체공을 통해 주입되어 제2 유체공을 통해 이동된 유체가 일정용량으로 채워지는 제2 공간부가 형성되고, 외면이 제1 실린더의 내 주면에 접하여 승강 가능하며, 상면에 제2 유체공에 대응되어 장착공이 형성되고, 상단이 안장 또는 시트에 장착되는 제1 피스톤; 및 제1 피스톤의 외부로 노출되되, 일부가 안장 또는 시트에 소정 간격 떨어져 장착공을 통해 장착되고, 제2 유체공을 개폐하여 안장 또는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밸브; 를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제1 공간부는 유통공이 폐쇄된 상태에서 공기가 투입되어 압축된 압축공기로 채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밸브는 하부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2 유체공의 깊이보다 길이가 더 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밸브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기공 및 제1 유체공에는 각각 캡이 장착되고, 캡을 통해 공기 또는 유체가 높낮이 조절장치에 투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피스톤의 타측은, 말단 일부가 제2 실린더의 내면에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실린더의 상단 일부의 단면 또는 상단 일부의 내측 단면은 반원 또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피스톤은 제1 실린더의 내주면을 따라 승강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피스톤의 하단은 제1 실린더의 상단에 걸림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실린더는 안장을 지지하는 자전거프레임 내부에 장착되고, 제1 피스톤은 안장에 장착되며, 밸브는 레버장치에 의해 동작되되, 레버장치는, 자전거의 핸들에 장착된 레버와; 레버의 동작에 따라 당겨지는 케이블; 및 한쪽은 케이블에 연 결되고, 다른 쪽은 밸브에 연결되며, 힌지부재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레버의 동작에 따라 밸브를 동작시키되 탄성부재에 의해 원위치되는 동작부;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에 의하면, 간단한 조작으로 자전거의 안장 또는 가구의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자전거 주행 중 자전거가 주행하고자 하는 길의 상태나 정지해야 하는 경우, 출발하는 경우 등 상황에 맞게 안장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자전거를 해체하거나 절단하지 않고 간단하게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기에서는 높낮이 조절장치의 예로써 자전거의 안장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가 자전거에 적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는 자전거(100)에 장착되어 안장(110)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를 위해, 자전거프레임(120)에 장착되어 있는 안장(110)을 분리한 후 안장(110)의 하부에 위치된 자전 거프레임(120)의 내부에 높낮이 조절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안장(1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높낮이 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한편,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높낮이 조절장치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100)의 안장(110), 가구의 시트 등에 장착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는 크게 제1 실린더(200)와 제2 피스톤(300), 제2 실린더(400), 제1 피스톤(500) 및 밸브(600)로 구성된다.
제1 실린더(200)는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외면이 도 1의 자전거프레임(120)의 내면과 접하게 된다. 이때, 제1 실린더(200)는 하기에 서술하는 제1 피스톤(500)의 동작에 따라 상단 일부가 벌어지거나 깨지는 등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단 일부에 턱(210)을 두어 직경을 더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실린더(200)의 내부 하측에는 공기투입부(240)가 배치되는데, 공기투입부(240)의 한쪽에는 공기캡(244)에 의해 개폐가능한 공기공(242)이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공기를 제1 실린더(200)의 내부에 투입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공기캡(244)은 축구공이나 농구공 등에 사용되는 공기캡을 사용하여 공기의 투입은 가능하나, 투입된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공기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기투입부(240)는 제1 실린더(200)의 내부에 배치한 후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결합홈(246)에 맞추어 제1 실린더(200)를 회전 시키면서 기계로 눌러줌으로써 제1 실린더(200)의 일부가 공기투입부(240)의 결합홈(246)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제2 피스톤(300)은 장착부(310)와 로드(320)로 구성되어 전체적인 외형이 볼트 또는 나사와 유사하게 형성되는데, 제2 피스톤(300)의 일측, 즉 나사의 머리에 해당되는 장착부(310)는 제1 실린더(200)의 내주면에 접하여 공기공(242)을 통해 공기가 투입되는 제1 공간부(230)를 형성하되, 제1 공간부(230)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유통공(312)이 형성된다. 이때, 장착부(310)의 외주면 둘레에는 전술한 공기투입부(240)의 결합홈(246)과 동일한 결합홈(314)이 형성되며, 공기투입부(240)를 제1 실린더(200)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2 피스톤(300)을 제1 실린더(200)의 내부에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제2 피스톤(300)의 타측, 즉 로드(320)는 제1 실린더(200)의 중심축을 따라 제1 실린더(200)의 상면방향을 향해 연장되며, 장착부(310)와 로드(320)의 중심축을 따라 유체, 예를 들어 오일이 주입되고 오일캡(332)에 의해 개폐가능한 제1 유체공(330)이 형성된다. 이때, 오일캡(332)은 전술한 공기캡(244)과 마찬가지로 유체의 투입은 가능하나, 투입된 유체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오일캡(332)을 사용하게 된다.
이때, 로드(320)는 하기에 서술하는 제2 실린더(400)의 내면에 접하게 되는데, 로드(320) 외주면 전체가 제2 실린더(400)의 내면에 접할 경우 제2 실린더(400)의 동작에 큰 힘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로드(320)의 말단 일부의 직경을 더 크게 형성하여 직경이 더 큰 로드(320)의 말단 일부만이 제2 실린더(400)의 내면에 접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실린더(400)와 접하는 로드(320) 의 말단 일부의 외주면에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오일링(322)이 장착되어 유체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방지하게 된다.
제2 실린더(400)는 제2 피스톤(300)의 타측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에 유체가 이동되는 제2 유체공(410)이 형성되며, 승강동작에 따라 유통공(312)을 개폐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실린더(400)가 유통공(312)을 폐쇄한 상태에서 공기공(242)을 통해 제1 공간부(230)에 공기가 투입되어 점차 압축되므로 제1 공간부(230)에 압축공기가 채워지게 된다.
제1 피스톤(500)은 제2 실린더(400)의 일부가 내주면에 접하여 제1 유체공(330)을 통해 주입되어 제2 유체공(410)을 통해 이동된 유체가 일정용량으로 채워지는 제2 공간부(520)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2 공간부(520)에는 진공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량의 공기도 존재한다. 또한, 외면이 제1 실린더(200)의 내주면에 접하여 승강 가능하며, 상면에 제2 유체공(410)에 대응되어 장착공(532)이 형성되고, 제1 실린더(200)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단이 안장(110)에 장착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피스톤(500)의 상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개방된 제1 피스톤(500)의 상면에 탈부착되며, 장착공(532)이 형성된 커버(530)가 포함되도록 구성되나, 제1 피스톤(500)의 상면이 폐쇄된 상태에서 장착공(532)만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피스톤(500)이 제1 실린더(200) 내에서 회전될 경우 제1 피스톤(500)의 상단에 장착되는 안장(110) 또한 회전되어 사용자가 사용하기 불편할 수 있으므로, 제1 실린더(200)의 상단 일부의 단면 또는 상단 일부의 내측 단면이 반 원 또는 부채꼴 형상인 회동방지부(220)를 형성하고, 제1 피스톤(500) 또한 이에 형상맞춤되어 승강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안장(110)의 높이 조절시 제1 피스톤(500)이 제1 실린더(200)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피스톤(500)의 하단은 제1 실린더(200)의 상단에 걸림되는 형상으로, 즉 단면이 원형인 형상의 걸림부(510)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한편, 제1 피스톤(500)과 제2 실린더(400)의 결합시 그 사이에 공기링(420)이 장착되어 제1 실린더(200)의 내주면과 접함으로써 유통공(312)을 통해 이동된 압축공기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방지하게 된다.
밸브(600)는 제1 피스톤(5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장착공(532)을 통해 장착되는데, 밸브(600) 자체가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눌려져 동작될 수도 있고, 다양한 형태의 레버(142)에 연결되어 레버(142)의 동작에 따라 눌려져 동작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밸브(600)는 하부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2 유체공(410)의 깊이보다 길이가 더 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밸브홈(610)이 형성되어 동작에 따라 제2 유체공(410)을 개폐하여 안장(110)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밸브홈(610)을 밸브(600)의 외면에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밸브(600) 내에서 상호 연통되도록 구성하여 유체가 이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 유체공(410)은 일정 깊이를 기점으로 하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커지도록 구성되어 밸브(600)와 제2 유체공(410)이 접하는 길이를 줄여줌으로써 밸브(600)에 형성되는 밸브홈(610) 길이를 적정한 길이로 조절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밸브(600)가 장착되는 장착공(532)의 내주면을 따라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오일링(534)을 배치하고, 밸브(600)에는 오일링(534)이 결합되는 링결합홈(620)을 형성하여 제2 공간부(520)에 채워진 유체와 공기가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제1 피스톤(500)의 상면을 개폐하는 커버(530)에 장착공(532)이 형성되고, 이러한 장착공(532)에는 오일링(534)이 배치되며, 커버(530)의 하부에 오일링(534)을 지지하며 밸브(600)가 관통되는 홀(542)이 형성된 보조커버(540)를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안장의 높이를 높이는 경우를 나타낸 동작도이고,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안장의 높이를 낮추는 경우를 나타낸 동작도이다. 여기서, 밸브를 동작시키는 레버장치에 대한 설명은 도 8에서 상세히 하기로 한다.
먼저, 안장(110)의 높이를 높여서 사용하고 싶을 경우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밸브(600)의 상측에서 힘이 가해져 밸브(600)가 눌려진다. 밸브(600)는 별도의 레버장치(140)에 연결되어 눌려지도록 동작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가 자전거(100)의 안장(110)에 앉아서 주행 중일 경우 발로 페달을 밟고 약간 일어서는 등 안장(110)에 가해지는 힘을 일정 수준 줄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600)가 눌려짐에 따라 밸브(600)의 말단에 의해 폐쇄되어 있던 제2 유 체공(410)이 개방된다. 즉, 밸브홈(610)의 길이가 제2 유체공(410)의 깊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 공간부(520)에 채워져 있던 유체, 예를 들어 오일이 밸브홈(610)을 통해 로드(320)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제1 공간부(230)에 채워져 있던 압축공기는 유통공(312)을 폐쇄하고 있던 제2 실린더(400)를 밀어올리게 되므로 제2 실린더(400)와 로드(320) 사이에 점차 공간이 형성되어 제2 공간부(520)로부터 이동되는 유체가 제2 실린더(400)와 로드(320)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피스톤(500)이 제1 실린더(200)의 내주면을 따라 상승하게 되며, 결국 안장(110)의 높이가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안장(110)의 높이가 되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밸브(600)에 가해지는 힘을 해제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밸브(600)가 상승하여 말단이 제2 유체공(410)을 폐쇄하게 된다. 이러한 밸브(600)의 상승은 밸브(600)에 탄성부재(미도시), 예를 들어 스프링을 연결하여 밸브(600)에 힘이 가해지면 스프링이 늘어나 복원력을 축적하고 있다가 밸브(600)에 가해지는 힘이 해제되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밸브(600)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유체공(410)을 통한 유체의 이동이 중지되며 제2 실린더(400)와 로드(320) 사이에 채워진 유체가 제2 실린더(400)를 떠받치는 힘과, 압축공기가 제1 공간부(230)로부터 유통공(312)을 통해 제2 실린더(400)를 떠받치는 힘에 의해 안장(110)의 높이가 상승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의 (a) 및 (b)에 도시되어 있는 것은 일정 높이로 상승되어 있는 안장(110)을 낮춰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이다. 안장(110)을 낮추고자 하는 경우에도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밸브(600)가 눌려진다. 이때, 자전거(100) 주행 중 안장(110)을 낮추고자 할 경우 앉은 채로 조작이 가능하다.
안장(110)을 어느 정도 상승시킨 경우 제2 공간부(520)에 채워져 있던 유체는 제2 유체공(410)을 통해 제2 실린더(400)와 로드(320)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공간부(520)를 채우고 있던 유체가 빠져나가게 되므로 제2 공간부(520)는 소량의 유체만 남고 다른 공간은 진공에 가까운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 유체공(410)을 밀폐하고 있던 밸브(600)가 눌려져 밸브홈(610)을 통해 제2 유체공(410)이 개방되면 제2 실린더(400)와 로드(320) 사이에 위치해있던 유체가 제2 공간부(520)로 빨려들어가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실린더(400)와 로드(320) 사이에 형성되어 있던 공간이 점차 줄어들게 되므로 제2 실린더(400)가 하강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안장(110)에 앉아 자전거(100) 주행 중인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몸무게가 안장(110)에 힘을 가하게 된다. 또한, 유통공(312)을 통해 제2 실린더(400)를 떠받치고 있는 압축공기의 힘은 제2 실린더(400)의 위치가 높으면 높을수록 약해지게 되므로 사용자의 몸무게와 제2 공간부(520)로 빨려들어가는 유체에 의해 결국 제1 피스톤(500)이 하강하게 되며, 유체가 어느 정도의 양이 빨려들어간 후에는 제2 실린더(400)가 하강하는 힘에 의해 유체가 눌려져 제2 공간부(520)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까지 안장(110)이 낮춰진 경우 밸브(600)에 가해 지는 힘을 해제하여 제2 유체공(410)을 폐쇄시키게 되면, 제2 실린더(400)와 로드(320) 사이에 남아있는 유체가 제2 실린더(400)를 떠받치는 힘과, 압축공기가 제2 실린더(400)를 떠받치는 힘에 의해 안장(110)의 높이가 고정되는 것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높낮이 조절장치가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7을 살펴보면, 제1 실린더(200)는 안장(110)을 지지하는 자전거프레임(120) 내부에 장착되고, 제1 피스톤(500)은 안장(110)에 장착된다.
밸브(600)는 레버장치(140)에 의해 동작되는데, 이러한 레버장치(140)는 레버(142)와 케이블(144) 및 동작부(146)로 구성된다.
레버(142)는 자전거(100)의 핸들(130)에 장착되는데, 사용환경 등에 따라 안장(110)이나 자전거프레임(120) 등에 배치할 수도 있다.
케이블(144)은 레버(142)의 동작에 따라 당겨지며, 통상 자전거(100)의 브레이크에 사용되는 케이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동작부(146)는 한쪽이 케이블(144)에 연결되고, 다른 쪽은 밸브(600)에 연결된다. 또한, 힌지부재(146a)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레버(142)의 동작에 따라 케이블(144)이 당겨지면, 케이블(144)에 연결된 한쪽이 당겨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승하고, 밸브(600)에 연결된 다른 쪽은 하강하게 되므로 밸브(600)를 눌러주어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를 동작시키게 된다. 이때, 동작부(146)는 탄성부재(미도시), 예를 들어 스프링 등에 연결되어 있어서 레버(142)의 동작에 의해 케이블(144)이 당겨지고 있는 동안, 즉 밸브(600)를 눌러주고 있는 동안에는 스프링이 늘어나 복원력을 축적하고 있게 되며, 레버(142)의 동작이 멈추어 케이블이 더 이상 동작부(146)의 한쪽을 당기지 않게 되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탄성부재는 힌지부재(146a)에 결합되어 동작부(146)가 동작된 후 레버(142)의 동작이 멈추면 힌지부재(146a)에 결합된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힌지부재(146a)가 반대로 동작되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밸브(600)가 눌려짐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밸브(600)의 하단 형상과 로드(320)의 형상을 바꾸어 밸브(600)가 잡아 당겨져 높낮이 조절장치를 작동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실린더(200)의 내부에 고정배치되는 제2 피스톤(300)과 공기투입부(240)가 별개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2 피스톤(300)과 공기투입부(240)가 일체로 구성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공기공(242)은 제1 공간부(230)가 위치되는 부분의 제1 실린더(200) 측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가 자전거에 적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높낮이 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높낮이 조절장치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안장의 높이를 높이는 경우를 나타낸 동작도이다.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안장의 높이를 낮추는 경우를 나타낸 동작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높낮이 조절장치가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자전거 110: 안장
120: 자전거프레임 130: 핸들
140: 레버장치 142: 레버
144: 케이블 146: 동작부
146a: 힌지부재 200: 제1 실린더
210: 턱 220: 회동방지부
230: 제1 공간부 240: 공기투입부
242: 공기공 244: 공기캡
246, 314: 결합홈 300: 제2 피스톤
310: 장착부 312: 유통공
320: 로드 322, 534: 오일링
330: 제1 유체공 332: 오일캡
400: 제2 실린더 410: 제2 유체공
420: 공기링 500: 제1 피스톤
510: 걸림부 520: 제2 공간부
530: 커버 532: 장착공
540: 보조커버 542: 홀
600: 밸브 610: 밸브홈
620: 링결합홈

Claims (7)

  1. 자전거의 안장, 가구의 시트 등에 장착되는 높낮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되고, 한 쪽에 개폐가능한 공기공이 형성된 제1 실린더와;
    일측은 상기 제1 실린더의 내주면에 접하여 상기 공기공을 통해 공기가 투입되는 제1 공간부를 형성하되, 상기 제1 공간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유통공이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제1 실린더의 중심축을 따라 상기 제1 실린더의 상면방향을 향해 연장되되, 중심축을 따라 유체가 주입되고 개폐가능한 제1 유체공이 형성된 제2 피스톤과;
    상기 제2 피스톤의 타측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에 상기 유체가 이동되는 제2 유체공이 형성되며, 승강동작에 따라 상기 유통공을 개폐하는 제2 실린더와;
    상기 제2 실린더의 일부가 내주면에 접하여 상기 제1 유체공을 통해 주입되어 상기 제2 유체공을 통해 이동된 상기 유체가 일정용량으로 채워지는 제2 공간부가 형성되고, 외면이 상기 제1 실린더의 내주면에 접하여 승강 가능하며, 상면에 상기 제2 유체공에 대응되어 장착공이 형성되고, 상단이 상기 안장 또는 상기 시트에 장착되는 제1 피스톤; 및
    상기 제1 피스톤의 외부로 노출되되, 일부가 상기 안장 또는 시트에 소정 간격 떨어져 상기 장착공을 통해 장착되고, 제2 유체공을 개폐하여 상기 안장 또는 상기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밸브; 를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부는 상기 제2 실린더에 의해 상기 유통공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가 투입되어 압축된 압축공기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하부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유체공의 깊이보다 길이가 더 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밸브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 및 상기 제1 유체공에는 각각 캡이 장착되고,
    상기 캡을 통해 상기 공기 또는 상기 유체가 상기 높낮이 조절장치에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피스톤의 타측은, 말단 일부가 상기 제2 실린더의 내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린더의 상단 일부의 단면 또는 상단 일부의 내측 단면은 반원 또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피스톤은 상기 제1 실린더의 내주면을 따라 승강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피스톤의 하단은 상기 제1 실린더의 상단에 걸림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린더는 상기 안장을 지지하는 자전거프레임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 피스톤은 상기 안장에 장착되며,
    상기 밸브는 레버장치에 의해 동작되되,
    상기 레버장치는,
    상기 자전거의 핸들에 장착된 레버와;
    상기 레버의 동작에 따라 당겨지는 케이블; 및
    한쪽은 상기 케이블에 연결되고, 다른 쪽은 상기 밸브에 연결되며, 힌지부재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레버의 동작에 따라 상기 밸브를 동작시키되 탄성부재에 의해 원위치되는 동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장치.
KR1020070112529A 2007-11-06 2007-11-06 높낮이 조절장치 KR100936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529A KR100936480B1 (ko) 2007-11-06 2007-11-06 높낮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529A KR100936480B1 (ko) 2007-11-06 2007-11-06 높낮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402A true KR20090046402A (ko) 2009-05-11
KR100936480B1 KR100936480B1 (ko) 2010-01-14

Family

ID=40856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2529A KR100936480B1 (ko) 2007-11-06 2007-11-06 높낮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648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140B1 (ko) * 2009-08-13 2010-01-28 신재익 유량 조절식 높낮이 조절장치
KR100968038B1 (ko) * 2009-12-17 2010-07-07 신재익 압력 변동식 높낮이 조절장치
EP2594467A1 (en) * 2011-11-17 2013-05-22 Jung-Yu Hsu Restriction unit for inner tube of bicycle seat tube assembly
EP3210871A1 (en) * 2016-02-24 2017-08-30 Taiwan Hodaka Industrial Co., Ltd.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 bicycle sea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781B1 (ko) 2016-05-23 2018-01-10 김원봉 높낮이 조절장치
KR102478300B1 (ko) * 2021-02-20 2022-12-15 김원봉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92917B4 (de) 2001-07-06 2010-04-22 Andreas Felsl Fahrrad
JP2003104257A (ja) 2001-09-27 2003-04-09 Bridgestone Cycle Co サドル昇降装置及びその昇降装置を用いた自転車
KR20040023471A (ko) * 2002-09-10 2004-03-18 이숭복 자전거 안장, 탁자, 의자 시트등의 높이조절장치
KR20040034385A (ko) * 2002-10-16 2004-04-28 이숭복 자전거 안장의 높이조절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140B1 (ko) * 2009-08-13 2010-01-28 신재익 유량 조절식 높낮이 조절장치
KR100968038B1 (ko) * 2009-12-17 2010-07-07 신재익 압력 변동식 높낮이 조절장치
WO2011074833A2 (ko) * 2009-12-17 2011-06-23 이명아 압력 변동식 높낮이 조절장치
WO2011074833A3 (ko) * 2009-12-17 2011-09-22 이명아 압력 변동식 높낮이 조절장치
EP2594467A1 (en) * 2011-11-17 2013-05-22 Jung-Yu Hsu Restriction unit for inner tube of bicycle seat tube assembly
EP3210871A1 (en) * 2016-02-24 2017-08-30 Taiwan Hodaka Industrial Co., Ltd.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 bicycle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6480B1 (ko) 201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6480B1 (ko) 높낮이 조절장치
US8567630B2 (en) Receptacle with motion dampers for lid and air filtration device
CN105923098B (zh) 液压制动机构
TWI589475B (zh) 可調式自行車座管結構及其自行車
JP6422155B2 (ja) 駐輪機
TWI543903B (zh) 自行車座椅高度調整方法
TWI385094B (zh) Adjustable bicycle seat tube oil circuit structure
KR101420862B1 (ko) 고정장치가 구비된 의자
US6761339B2 (en) Leg part for a barber or beauty chair
US20110037208A1 (en) Gas spring with speed control function
CN105539641B (zh) 自行车座管升降结构
TWM517710U (zh) 自行車之氣油壓式座管總成
KR200434197Y1 (ko) 독서실용 의자의 바퀴 고정장치
JP2002037158A (ja) 自転車のサドル高さ調整装置
KR200309576Y1 (ko) 자전거 안장, 탁자, 의자 시트등의 높이조절장치
KR101756799B1 (ko) 자전거 안장 각도조절장치
JPH09301241A (ja) 二輪車のサドルシート構造
KR101216438B1 (ko) 상사점과 하사점에서 쿠션이 가능한 가스 실린더
JP4304665B2 (ja) 安全自転車サドル
TWM630646U (zh) 座墊的升降裝置
KR200298219Y1 (ko) 자전거 안장, 탁자, 의자 시트등의 높이조절장치
TWI641762B (zh) Telescopically adjustable pressure bar and bicycle lifting seat tube assembly
KR101744599B1 (ko) 가변 싯포스트
JP2728869B2 (ja) 患者昇降装置における昇降機構
TWI435818B (zh) Hydraulic locomotive fix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