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8300B1 -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8300B1
KR102478300B1 KR1020210022902A KR20210022902A KR102478300B1 KR 102478300 B1 KR102478300 B1 KR 102478300B1 KR 1020210022902 A KR1020210022902 A KR 1020210022902A KR 20210022902 A KR20210022902 A KR 20210022902A KR 102478300 B1 KR102478300 B1 KR 102478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thdrawal
coupling
cylinder
control valve
connec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9245A (ko
Inventor
김원봉
Original Assignee
김원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봉 filed Critical 김원봉
Priority to KR1020210022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8300B1/ko
Publication of KR20220119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9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2Saddles resiliently mounted on the frame; Equipment therefor, e.g. springs
    • B62J1/06Saddles capable of parallel motion up and dow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8Frames for saddles; Connections between saddle frames and seat pillars; Seat pillars
    • B62J2001/085Seat pillars having mechanisms to vary seat height, independently of the cycle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함실린더에는 커버링부재 및 실린더헤드가 구성되어 실린더헤드에는 내함실린더가 입설되며, 또한 실린더헤드에는; 오일유체를 제어조절하는 제어발브수단 및 오일유체가 저장되는 오일커버링이 구성되는 것과; 시트포스트에는; 높이조절부재 및 에어주입부재가 제공된 포스트헤드가 결합된채, 상기 포스트헤드 상측으로 안장결합수단이 구성됨과 아울러 포스트헤드 하측으로 피스톤이 포함된 로드부재가 구성되어 시트포스트는 외함실린더 내ㆍ외측으로 출입되며, 또한 상기 로드부재는 내함실린더 내ㆍ외부로 출입되는 것과; 상기 내함실린더는와 포스트헤드의 높이조절부재는 연결줄로 상호 결속되며, 상기 외함실린더와 시트포스트에는 압축유체가 저장되어 연결줄의 길이에 따라 압축유체로 작동되는 시트포스트의 상승작동이 일정 높이로 조절되는 것과; 외함실린더의 커버링부재에는; 인출연결줄이 제공된 인출수단이 구성된채, 상기 제어발브수단과 인출연결줄로 결속되어 인출연결줄의 인출에 따라 제어발브수단이 개폐됨과 아울러 내함실린더에 저장된 오일유체의 출입작용이 연출되는 특징으로 압축유체 및 오일유체에 의한 시트포스트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

Description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Bicycle saddle height adjustment device}
본 발명은 의자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자전거의 안장 높낮이가 조절되는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 안장은 자전거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안장의 높이를 임의로 적절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
특히, 자전거 안장은 주행시 페달이 밑으로 갔을 때 다리를 완전히 펼 수 있어야 가장 힘이 적게 들고 몸의 자세를 바르게 하여 편안하게 주행할 수 있으므로 주행 중 다리를 펴 페달을 밝을 수 있을 정도가 되려면 안장이 높은 위치에 형성되며, 이에 따라 자전거 안장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관(管) 형상의 시트튜브 내부에 삽입되는 시트포스트의 상대적 위치를 변경한 후 시트포스트 클램프로 시트포스트를 고정하는 단순한 방법이 있다.
이럴 경우 자전거 주행중 정차 및 정지시 페달을 밟게되는 발의 위치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자전거 주행중 정지하는 자세가 매우 불안정하여 전도되거나, 정차 대기중 자전거 안장에 앉은채, 지면의 높은 턱을 이용하여 한쪽 발로 지면에 지탱하는 경우, 또는 자전거 안장에서 내려서 정차 대기중을 기다리는 번거롭고 불편한 행동이 야기되고 있었다.
그래서, 자전거 주행중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게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공압 및 유압방식의 높낮이 조절장치와, 기계식 높낮이 조절장치 등의 여러 가지 기술이 적용된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가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에도 자전거 안장의 높낮이 조절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는 있으나, 대부분의 것들이 하나의 작동실린더에 오일과 기체를 함께 혼용 충진하여 사용하는 유압 및 공압 혼용사용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런 유압 및 공압 혼용사용 방식은 최초 제작시에 충진된 오일이나 가스는 일반 사용자가 재충진하여 사용하기 곤란하고, 작동유체를 제어하는 제어발브가 업-다운 인출방식으로 구성되어 자전거 안장을 잡고 들어 올리게 되면, 제어발브가 임의 개폐되는 현상으로 자전거 안장이 작동실린더로부터 일정 높이로 상승되는 시트포스트 상ㆍ하작동 유격현상이 발생되고 있었다.
무엇보다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 제어발브의 레바가 대부분 시트포스트 상측에 배치된채, 원격조절용 리모트 케이블선이 제어발브의 레바에 연결되므로 시트포스트 외주면에 리모트 케이블선의 배치가 가변적으로 유동하여 자전거 시트포스트 주변이 복잡하게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자전거 안장의 높낮이 조절장치 상승 높이는 작동실린더의 최대 상승 높이로 제한되어 있으므로 자전거 이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자전거 시트튜브에 배치된 시트포스트 클램프를 이용하여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를 시트튜브로부터 더 올리거나 더 내리는 높낮이 조정작업을 하는데 있어서, 자전거 안장의 높낮이 조정작업이 부정확하게 이루어져 안장 높낮이 조정작업이 다소 번거롭게 수행되며, 또한 이때 자전거 안장의 방향이 좌ㆍ우로 비틀려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연출되어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정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를 야기하고 있었다.
또 한편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시트포스트의 외주면에 수직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고정요홈과, 이 고정요홈에 삽입되어 시트포스트의 하강 작동 높이를 조절하게 되는 조절부재가 구성된채, 상기 시트포스트의 상승 작동을 유도하는 코일 스프링 등으로 구성된 기계식 높낮이 조절장치는 그 구성이 간단한 장점이 있으나,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시 상기 고정요홈의 배열에 따른 유단계적인 높낮이 조절이 연출되어 안장의 높낮이 조절이 보다 섬세하지 못하며, 무엇보다 고정요홈의 크기가 장기간 접촉되는 조절부재와의 마모 및 변형이 발생될 경우 자전거 안장의 높낮이 조절장치의 상ㆍ하 유동 유격현상이 연출되는 이상 현상이 빈번하게 야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여러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연출한 것으로, 자전거 안장의 상승 작동은 압축유체에 의하여 연출됨과 아울러 연결줄의 길에 따라 일정 높이로 편리하게 조절되며, 또한 자전거 안장의 하강 작동은 내함실린더의 오일유체에 의하여 피스톤 유압력으로 연출되어 높낮이 조절장치 구성이 간단하면서, 정확하게 연출되는 과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외함실린더의 커버링부재에 인출수단이 배치되어 오일유체를 제어조절하는 제어발브수단과 인출연결줄로 연결된채, 인출연결줄의 인출에 따라 제어발브수단이 회전됨과 아울러 제어발브수단의 개폐가 연출되어 자전거 안장의 높낮이가 용이하게 조절되는 특징으로 그 구성이 매우 간단하고, 사용이 더 편리한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의 시트포스트 수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전거의 안장 높낮이를 조절하는 가변식 시트포스트에 있어서, 외함실린더에 구성되는 실린더헤드에는; 내함실린더가 입설됨과 아울러 상기 내함실린더의 오일유체를 제어조절하는 제어발브수단 및 오일유체가 저장되는 오일커버링이 구성되며, 시트포스트의 상부에 구성되는 포스트헤드에는; 높이조절부재 및 에어주입부재가 제공된채, 상기 포스트헤드 상측으로 안장결합수단이 구성됨과 아울러 포스트헤드 하측으로 피스톤이 포함된 로드부재가 구성되어 시트포스트는 외함실린더 내ㆍ외측으로 출입되며, 또한 상기 로드부재는 내함실린더 내ㆍ외부로 출입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내함실린더는와 포스트헤드의 높이조절부재는 연결줄로 상호 결속된채, 상기 외함실린더와 시트포스트에는; 압축유체가 저장되어 연결줄의 길이에 따라 압축유체로 작동되는 시트포스트의 상승작동이 일정 높이로 조절되며, 또한 상기 외함실린더에 구성되는 커버링부재에는; 인출연결줄이 제공된 인출수단이 구성된채, 상기 제어발브수단과 인출연결줄로 결속되어 인출연결줄의 인출에 따라 제어발브수단이 개폐됨과 아울러 상기 내함실린더에 저장된 오일유체의 출입작용이 연출되는 특징으로 압축유체 및 오일유체에 의한 시트포스트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외함실린더 및 시트포스트에는 압축유체가 저장되는 에어압력실이 형성된채, 압축유체의 작용으로 시트포스트가 소정의 상승력으로 상승 작동되며, 또한 상기 내함실린더에는; 오일유체가 저장되는 파워압력실이 형성된채, 상기 로드부재의 피스톤에 작용하는 유압력으로 시트포스트의 하강 작동력이 조절되는 특징으로 시트포스트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외함실린더의 실린더헤드에는; 오일커버링이 결합되어 오일유체를 저장하는 오일챔버가 구성된채, 상기 실린더헤드에는; 축방향으로 관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외함실린더의 에어압력실과 오일챔버가 상호 연통되는 특징으로 오일챔버에 저장된 오일유체가 외함실린더로 출입됨과 아울러 외함실린더에 저장된 압축유체의 작용이 오일챔버에 함께 작용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외함실린더의 실린더헤드에는; 내함실린더 파워압력실의 오일유체가 출입되는 발브시트 및 발브결합부가 형성된채, 제어발브수단이 구성되어 상기 제어발브수단에는 회동하는 스프링 및 인출연결줄이 회동되게 결속된채, 인출연결줄의 인출에 따라 제어발브수단의 개폐가 연출되는 특징으로 시트포스트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외함실린더 커버링부재의 내측에는; 시트포스트의 출입에 따른 압축유체의 누설을 차단하는 씰링부재가 장착되며, 또한 상기 씰링부재 하측의 커버링부재 외주면에는; 인출연결줄이 출입됨과 아울러 압축유체의 누설이 차단되는 인출수단이 구성되는 것과; 상기 외함실린더의 실린더헤드 하측에는; 상기 제어발브수단이 외부로부터 밀폐됨과 아울러 오일유체가 저장되는 오일커버링이 결합되는 특징으로 압축유체 및 오일유체 누설이 차단된채, 인출연결줄의 인출에 따라 제어발브수단의 개폐작용이 연출되어 시트포스트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외함실린더의 커버링부재 외주면는; 인출부재를 포함하여 제1 결합부재 및 제2 결합부재로 구성된 인출수단이 결합되어 상기 인출부재에는; 인출연결줄이 권취된채, 상기 제1 결합부재를 통하여 외함실린더 내측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어발브수단과 결속되는 특징으로 인출연결줄의 인출에 따라 상기 제어발브수단의 개폐가 조절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헤드의 축방향으로 발브시트 및 발브결합부가 형성된채, 발브체를 포함하여 발브몸체 및 구동부로 구성된 제어발브수단이 상기 발브결합부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며, 또한 상기 제어발브수단의 구동부에는 인출연결줄이 회동되게 권취됨과 아울러 상기 제어발브수단을 회전시키는 토션스프링이 구성되는 특징으로 인출연결줄의 인출상태에 따라 제어발브수단의 개폐가 오픈되거나 차단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내함실린더의 외주면 상측에는; 상부결합부재가, 외주면 하측에는 하부결합부재가 결합된채, 상기 내함실린더의 외주면에는 축방향으로 키부재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과; 상기 시트포스트 하부에는; 상기 외함실린더 내벽면으로 슬라이딩되는 안내부재가 구성된채, 상기 안내부재의 내측에는; 축방향으로 키홈이 형성되어 상기 내함실린더의 외주면에 제공되는 키부재와 섭동되는 특징으로 시트포스트의 회전이 방지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외함실린더의 내벽과 상기 시트포스트의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인출연결줄이 상기 커버링부재와 실린더헤드 사이의 상ㆍ하부로 출입되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과; 상기 시트포스트의 하부에는 외함실린더 내벽면과 밀착 슬라이딩되는 안내부재가 결합된채, 상기 안내부재의 외주면에는 인출연결줄이 출입되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상기 인출수단과 제어발브수단은 상기 인출연결줄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특징으로 인출수단의 인출에 따라 제어발브수단이 개폐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포스트헤드의 외주면에는; 압축유체의 누설을 차단하는 씰링부재가 제공된채, 시트포스트의 내측에 고정되게 결합됨과 아울러 압축유체를 주입하는 에어주입부재가 상기 포스트헤드에 구성되며, 또한 상기 포스트헤드 하부에는; 로드결합부가 구성된채, 로드부재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특징으로 시트포스트에는 압축유체가 저장된채, 외함실린더 내ㆍ외부로 출입되고, 상기 로드부재는 내함실린더 내ㆍ외부로 출입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포스트헤드 상면에는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안장결합체 및 회전부재가 구성된채, 상기 안장결합체의 상면 일측에는 안장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또한 상기 안장결합체의 안착홈에 원통형상을 갖는 하부클램프 및 상부클램프로 구성되는 안장결합수단이 제공된채, 상기 안장결합체에 구성된 회전부재와 상부클램프는 고정볼트 및 너트로 체결되어 시트포스트의 포스트헤드에는 상기 안장결합수단이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시트포스트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포스트헤드 내측에는; 연결줄이 권취되는 권취홀이 형성된채, 높이조절부재가 제공되며, 또한 상기 포스트헤드의 로드결합부 일측에는 연결줄이 출입되는 안내구가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부재에 권취된 연결줄이 로드부재의 외곽으로 인출된채, 상기 내함실린더와 연결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외함실린더의 실린더헤드 중심 내측에는; 내함실린더가 결합되는 실린더체결홀이 형성됨과 아울러 하측으로 제어발브수단이 구성되는 발브시트 및 발브결합부가 형성된채, 상기 발브결합부에 나사결합 방식을 갖는 제어발브수단이 결합되는 것과; 상기 외함실린더의 실린더헤드 외주면에는 상기 발브시트가 형성되는 단차원통체를 포함하여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로 구성되어 제1 결합부에는 외함실린더가 접착재 및 고정부재 수단으로 고정되게 결합되며, 또한 제2 결합부에는 상기 제어발브수단이 외부로부터 밀폐됨과 아울러 상기 오일챔버를 형성하는 오일커버링이 나사결합 방식의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헤드의 축방향으로 나사부가 형성된 발브결합부가 관통지게 형성된채, 상기 발브결합부의 상면에는 내경부가 확장되는 실린더결합부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내함실린더의 하부에는; 발브시트가 형성된 발브시트부재가 구성된채, 상기 발브시트부재의 외주면에는 체결부가 형성되어 내함실린더가 발브결합부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실린더결합부에 고정되게 결합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포스트헤드의 상면에는; 제1 체결구 및 제2 체결구가 형성된 제2 결합체가 구성된채, 상기 제2 결합체의 양측면에는; 회전부재가 결합된 안장고정부재가 상호 마주보며 배치된채, 고정볼트에 의하여 조립식으로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과; 상기 안장고정부재 각각의 상면 일측에는 안장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안장결합수단이 배치된채, 회전부재와 상기 상부클램프는 고정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안장고정부재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커버링부재의 외주면에는; 인출밀폐부재를 포함하여 제1a 결합부재 및 인출회동부재로 구성된 제1a 인출수단이 결합되어 인출연결줄은 외함실린더 내측에서 인출밀폐부재를 관통하여 제1a 결합부재 외측으로 돌출된채, 상기 인출회동부재에 결속되는 특징으로 인출회동부재를 작동 하게되면, 인출연결줄이 인출되어 제어발브수단의 개폐가 연출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커버링부재에는; 인출연결줄이 출입되는 출입구 및 제1 수직안내로가 형성된채, 인출연결줄을 인출하는 제3 인출수단이 구성되며, 상기 커버링부재 하면에 배치되는 외함실린더의 외주면에는; 상기 커버링부재의 내경보다 직경이 확장되는 안내고정부재가 고정되게 결합된채, 상기 안내고정부재의 외주면 일측에는; 축방향으로 인출연결줄이 출입되는 제2 수직안내로가 형성되는 특징으로 인출연결줄이 외함실린더 외주면을 따라 상ㆍ하로 출입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외함실린더의 실린더헤드에는; 내함실린더의 오일유체를 제어조절하는 제3 제어발브수단이 구성되는데 있어서, 상기 제어발브수단에 구성되는 구동권취부가 상기 실린더헤드에 구성되는 오일커버링 하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채, 제3 인출수단의 인출연결줄이 회동되게 권취되는 특징으로 상기 제3 인출수단의 인출연결줄을 인출하게 되면, 제3 제어발브수단의 개폐가 연출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오일커버링은; 결합부 및 원통체로 구성되어 상기 실린더헤드에 체결되며, 또한 상기 오일커버링의 원통체에는; 상기 제3 제어발브수단의 구동권취부가 관통되는 출입구가 형성된채, 오일누설이 차단되는 씰링부재가 장착되는 것과; 상기 제3 제어발브수단의 구동부에는; 토션스프링이 제공됨과 아울러 상기 구동권취부의 일단부는 상기 오일커버링의 원통체에 형성된 출입구 외측 하부로 돌출된채, 상기 구동권취부의 외주면에 인출연결줄이 회동되게 권취되는 특징으로 인출연결줄의 인출에 따라 제3 제어발브수단의 개폐가 연출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포스트헤드에는 안장결합수단을 지지하고 고정하는 안장결합체 및 회전부재가 구성된채, 상기 회전부재에 연결줄이 회동되게 권취되는 것과; 상기 외함실린더를 구성하는 커버링부재의 일측에 고정부재가 구성된채, 연결줄이 결속되어 포스트헤드의 높이가 연결줄의 길이에 따라 제한되는 특징으로 시트포스트의 상승 높이가 일정하게 제한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같이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의 가변식 시트포스트에 있어서, 시트포스트는 압축유체의 작용으로 연결줄의 길이에 따라 안장의 상승 높낮이가 조절되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의 시트포스트 클램프의 해체 및 체결작업이 생락되며, 무엇보다 연결줄의 길이 조절에 따라 시트포스트의 상승 높낮이가 안장의 좌ㆍ우 센터링이 유지된채, 세밀하게 조절되어 자전거 안장의 상승 높낮이 조절이 매우 용이하다.
그리고 시트포스트의 포스트헤드에 구성된 로드부재는 내함실린더의 유압력으로 하강 작동이 연출되어 제어발브수단의 개폐에 따라 자전거 안장의 하강 높낮이가 자유롭게 조절 되므로, 자전거 안장의 하강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 진다.
또한 제어발브수단은 나사결합 방식의 회전 상태에 따라 오픈되거나 차단되므로 제어발브수단을 차단하게 되면, 오일챔버로부터 내함실린더에 출입되는 오일유체가 차단되어 내함실린더의 오일유체 수축압력에 따른 피스톤의 상승 작동이 제한 되므로 자전거 안장의 상ㆍ하 유격현상이 방지됨과 아울러 자전거 안장의 상승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 그리고 자전거 안장의 하강 작동력은 내함실린더의 유압력으로 연출되고, 안장의 상승 작동은 압축유체의 팽창력으로 연출되어 압축유체를 저장하는 외함실린더 및 시트포스트는 무게가 가볍고, 두께가 얇은 알루미늄파이프 또는 카본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어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를 더 가볍게 구현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중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중 시트포스트에 구성되는 주요 구성품을 나열하여 예시한 사시도 및 종단면도.
제4도는 제2도중 외함실린더에 구성되는 내함실린더를 포함하여 실린더헤드 및 제어발브수단, 오일커버링을 예시한 도면.
제5도는 제2도중 시트포스트를 포함하여 인출수단이 제공된 커버링부재 및 외함실린더의 결합관계를 예시한 종단면도.
제6도는 제5도중 A-A' 선상에서 예시한 단면도.
제7도는 제5도중 인출수단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종단면도 및 주요 구성품을 나열한 도면.
제8도는 제3도중 시트포스트에 결합되는 포스트헤드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종단면도.
제9도는 제8도중 포스트헤드에서 높이조절부재가 결합되는 일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
제10도는 제3도중 포스트헤드에 결합되는 안장결합체의 다른 일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
제11도는 제4도중 커버링부재에 결합되는 인출수단의 다른 일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
제12도는 제11도중 C-C' 선상에서 예시한 단면도.
제13도는 제4도중 커버링부재에 결합되는 인출수단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
제14도는 제13도중 본 발명 제1b 인출수단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단면도
제15도는 제4도중 실린더헤드에 구성되는 내함실린더를 포함하여 실린더헤드 및 제어발브수단의 다른 일 실시예를 예시한 종단면도
제16도는 제4도중 실린더헤드에 구성되는 내함실린더를 포함하여 실린더헤드 및 제어발브수단과 오일커버링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예시한 종단면도
제17도는 제4도중 본 발명 제어발브수단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종단면도
제18도는 제17도중 본 발명 제어발브수단의 다른 일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
제19도는 본 발명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작동상태에 대한 일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
본 발명은 첨부도면 제1도 내지 제2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자전거의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의 가변식 시트포스트에 관한 것이다.
첨부도면 제2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가변식 시트포스트(200)를 구성하는 외함실린더(100)는 상측에 커버링부재(110)가, 하측에 실린더헤드(120)가 구성되어 상기 실린더헤드(120)에는 내함실린더(300)가 입설되며, 또한 실린더헤드(120)에는 내함실린더(300)의 오일유체를 제어조절하는 제어발브수단(130) 및 오일유체가 저장되는 오일커버링(140)이 구성된채, 상기 커버링부재(110)를 통하여 시트포스트(200)가 상기 외함실린더(100) 내ㆍ외부로 출입되게 된다.
시트포스트(200)에는 높이조절부재(230) 및 에어주입부재(240)가 제공된 포스트헤드(220)가 결합된채, 상기 포스트헤드(220) 상측으로 안장결합체(250)가 구성되어 자전거 안장결합수단(800)이 결합되며, 또한 상기 포스트헤드(220) 하측으로 피스톤(410)이 포함된 로드부재(400)가 구성되어 상기 시트포스트는(200) 상술한 바와같이 외함실린더(100) 내ㆍ외측으로 출입됨과 아울러 상기 로드부재(400)는 내함실린더(300)의 내ㆍ외부로 출입된다.
그리고 외함실린더(100)와 시트포스트(200) 내측에는 에어압력실(P2)이 형성된채, 압축유체가 저장되어 시트포스트(200)의 상승작동이 연출되며, 상기 내함실린더(300)에는 파워압력실(P1)이 형성된채, 오일유체가 저장되어 로드부재(400)의 피스톤(410)에 작용하는 유압력으로 시트포스트(200)의 하강 작동이 제어 조절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가변식 시트포스트(200) 구성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헤드(220)의 높이조절부재(230)와 내함실린더(300)는 유연성을 갖는 고장력 연결줄(20)로 연결되어 높이조절부재(230)의 작동에 따라 연결줄(20) 길이가 가변되는 특징으로 압축유체에 의한 상승작동이 제어 조절된다.
또한 실린더헤드(120)에는 내함실린더(300)의 파워압력실(P1)에 작용하는 오일유체를 제어조절하는 제어발브수단(130) 및 오일챔버(C1)가 구성되어 제어발브수단(130)의 개폐에 따라 내함실린더(300)의 파워압력실(P1) 내ㆍ외부로 출입되는 피스톤(410)이 포함된 로드부재(400)의 하강 작동이 제어 조절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링부재(110)에는; 유연성을 갖는 고장력 인출연결줄(10)이 제공된 인출수단(500)이 구성된채, 상기 제어발브수단(130)과 인출연결줄(10)로 결속되어 인출연결줄(10)의 인출에 따라 제어발브수단(130)이 개폐됨과 아울러 내함실린더(300)의 파워압력실(P1)에 저장된 오일유체의 출입작용이 연출되는 특징으로 압축유체 및 오일유체에 의한 시트포스트(200)의 높낮이가 조절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줄 및 인출연결줄은 유연성을 갖는 고장력 합사줄을 포함하여 피아노선, 와이어로프, 케이블선, 낚시줄, 철선 등등의 다양한 재질 및 구성품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첨부도면 제19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외함실린더(100) 및 시트포스트(200) 내측에 형성되는 에어압력실(P2)에 저장된 압축유체의 작용으로 시트포스트(200)가 소정의 상승력으로 상승 작동되며, 또한 상기 내함실린더(300)에 형성되는 파워압력실(P1)에는 오일유체에 의한 상기 로드부재(400)의 피스톤(410)에 작용하는 유압력으로 시트포스트(200)의 하강 작동력이 조절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첨부도면 제2도 및 제4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외함실린더(100)의 실린더헤드(120)에는; 오일커버링(140)이 결합되어 오일유체를 저장하는 오일챔버(C1)가 형성된채, 상기 실린더헤드(120)에는; 상기 외함실린더(100)의 에어압력실(P2)과 오일챔버(C1)가 상호 연통되도록 축방향으로 관통로(126)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오일챔버(C1)에 저장된 오일유체가 외함실린더(100)에 형성되는 에어압력실(P2)로 출입됨과 아울러 상기 에어압력실(P2)에 저장된 압축유체의 작용이 오일챔버(C1)에 함께 작용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헤드(120)에는; 첨부도면 제4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내함실린더(300)의 오일유체가 출입되는 발브시트(125) 및 발브결합부(124)가 형성된채, 제어발브수단(130)이 구성되어 상기 제어발브수단(130)에는 회전력을 갖는 스프링(150) 및 인출연결줄(10)이 회동되게 결속된채, 인출연결줄(10)의 인출에 따라 제어발브수단(130)의 개폐가 연출되는 특징으로 시트포스트(200)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특징을 갖는다.
여기에서 제어발브수단의 회전력을 연출하게 되는 상기 “스프링”은 이하 토션스프링(150)이라 칭하기로 하며, 본 발명에는 상기 토션스프링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태엽스프링을 포함하여, 인장스프링, 고무스프링, 코일스프링 등등 다양한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함실린더(100) 커버링부재(110)의 내측에는; 시트포스트(200)의 출입에 따른 압축유체의 누설을 차단하는 씰링부재(116)가 장착되며, 또한 상기 씰링부재(116) 하측의 커버링부재(110) 외주면에는; 인출연결줄(10)이 출입됨과 아울러 압축유체의 누설이 차단되는 인출수단(50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외함실린더(100)의 실린더헤드(120) 하측에는; 상기 제어발브수단(130)이 외부로부터 밀폐됨과 아울러 오일유체가 저장되는 오일커버링(140)이 결합되는 특징으로 압축유체 및 오일유체 누설이 차단된채, 상기 인출수단(500)에 결속된 인출연결줄(10)의 인출에 따라 제어발브수단(130)의 개폐작용이 연출되어 시트포스트(200)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특징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바와같이 제어발브수단(130)의 개폐에 따라 내함실린더(300)에 제공된 로드부재(400)의 피스톤(410)이 오일유체의 유압력으로 높낮이가 조절되는 특징을 갖는다.
상술한 제어발브수단(130)은 첨부도면 제4도중 “도4-2”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실린더헤드(120)의 축방향 중심으로 발브시트(125) 및 발브결합부(124)가 형성된채, 첨부도면 제4도중 “도4-3”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발브체(131)를 포함하여 발브몸체(132) 및 구동부(134)로 구성된 제어발브수단(130)이 첨부도면 제17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발브결합부(124)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어 발브시트(125)는 상기 제어발브수단(130)의 발브체(131)에 의하여 개폐작용이 연출된다.
또한 상기 제어발브수단(130)의 구동부(134)에는 인출연결줄(10)이 회동되게 권취됨과 아울러 상기 제어발브수단(130)을 회전시키는 토션스프링(150)이 배치된다.
이리하여 첨부도면 제17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제어발브수단(130)의 구동부(134)에 권취된 인출연결줄(10)의 인출에 따라 제어발브수단(130)의 회전작용 및 토션스프링(150)의 탄발력에 의한 회전작용으로 제어발브수단(130)이 오픈되거나 차단되게 된다.
첨부도면 제15도는 제4도중 실린더헤드에 구성되는 내함실린더를 포함하여 실린더헤드 및 제어발브수단의 다른 일 실시예를 예시한 종단면도이며, 이하 구성 및 작용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을 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제15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외함실린더의 실린더헤드(120')에는; 실린더결합부(123') 및 발브결합부(124')가 형성되어 내함실린더(300) 및 제어발브수단(130)이 구성되는데 있어서,
상기 실린더헤드(120')의 중심부 축방향으로 첨부도면 제15도중 “도15-2”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나사부가 관통지게 형성된 발브결합부(124')가 형성된채, 실린더헤드(120)의 상면에는 소정의 깊이로 내경부가 상기 발브결합부(124')의 직경보다 단차지게 확장되는 실린더결합부(123')가 형성된다.
또한 첨부도면 제15도중 “도15-1”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내함실린더(300)의 하부 내측에는; 발브시트(353)가 형성된 발브시트부재(350)가 구성된채, 상기 발브시트부재(350)의 하부 외주면에는 나사결합 방식의 체결부(354)가 형성됨과 아울러 발브시트부재(350)의 내측에는 오일유로(355)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브시트부재(350)는 내함실린더(300) 내측에 접착제(록타이트) 등으로 고정되게 결합 되거나 나사체결 방식으로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첨부도면 제15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내함실린더(300)는 실린더헤드(120')의 발브결합부(124')에 나사체결 방식으로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실린더결합부(123')에 밀착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첨부도면 제15도중 “도15-3”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제어발브수단(130)은 상술한 바와같이 발브체(131)를 포함하여 발브몸체(132) 및 구동부(134)로 구성된채, 상기 실린더헤드(120')의 발브결합부(124')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브시트부재(350)와 제어발브수단(130)의 발브몸체(132)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공간부(129')가 형성되어 발브시트(353)로부터 출입되는 오일유체의 출입이 원활하게 이루어 진다.
이리하여 제어발브수단(130)의 발브체(131)에 의하여 상기 발브시트(353)의 개폐가 연출된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발브수단(130)의 발브몸체(132)에는 오일유로(133)가 형성되며, 또한 제어발브수단(130)의 구동부(134)에는; 토션스프링(150)이 장착된채, 인출연결줄(10)이 권취되는 특징으로 토션스프링(150)의 탄발력 및 인출연결줄(10)의 인출에 따라 제어발브수단(130)의 발브체(131)가 상기 발브시트(353)를 열고 닫는 개폐작용이 연출되는 특징을 갖는다.
상세하게는 상기 실린더헤드(120')의 일측에는 축방향으로 관통로(126')가 형성된채, 실린더헤드(120')의 타측 하부에는 지지부재(128')가 돌출되게 구성됨과 아울러 제어발브수단(130)의 구동부(134)에는 고정홀(135)이 형성되어 상기 토션스프링(150)이 장착되며, 또한 상기 제어발브수단(130)의 구동부(134)에는 결속구(136)가 형성되어 인출연결줄(10)이 회동되게 권취된채, 상기 실린더헤드(120')의 관통로(126')를 통하여 출입되게 된다.
한편 첨부도면 제5도중 “도5-1”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외함실린더(100)의 커버링부재(110)는 제1 커버링(112) 및, 제2 커버링(111)로 구성되어 커버링부재(110)의 제1 커버링(112) 내측에 상술한 바와같이 씰링부재(116)가 제공된채, 가이드부재(115)가 체결되어 상술한 바와같이 시트포스트(200)가 커버링부재(110)의 내ㆍ외부로 출입되게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이드부재(115)에는 오링(117)이 장착됨과 아울러 더스트씰(118)이 결합되어 시트포스트(200)의 출입에 따른 압축유체의 누설이 차단됨과 아울러 외부 이물질의 침입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첨부도면 제5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커버링부재(110)의 제2 커버링(111) 내측에는; 외함실린더(100)가 접착제 및 고정부재(114)의 체결로 고정되게 결합되며, 또한 커버링부재(110)의 제2 커버링(111) 외주면에는; 인출부재(510)를 포함하여 제1 결합부재(520) 및 제2 결합부재(530)로 구성된 인출수단(500)이 결합되어 상기 인출부재(510)에는 유연성을 갖는 고장력 인출연결줄(10)이 권취된채, 상기 제1 결합부재(520)를 통하여 외함실린더(100) 내측으로 배치된다.
이리하여 상기 인출연결줄(10)은 첨부도면 제4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제어발브수단(130)과 결속되는 특징으로 인출연결줄(10)의 인출에 따라 상기 제어발브수단(130)의 개폐가 조절되는 특징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첨부도면 제5도 및 제6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외함실린더(100)의 내벽과 시트포스트(200)의 외주면 사이에는 인출연결줄(10)이 출입 되도록 소정의 간격(D)으로 이격된 공간부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첨부도면 제4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커버링부재(110)의 외주면에 구성되는 인출수단(500)과 상기 실린더헤드(120)에 구성되는 제어발브수단(130)은 상기 인출연결줄(1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때 첨부도면 제3도중 “도3-3”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시트포스트(200)의 하부에는 상술한 외함실린더(100) 내벽면과 밀착 슬라이딩되는 안내부재(210)가 결합된채, 상기 안내부재(210)의 외주면에는 상술한 인출연결줄(10)이 출입되는 안내홈(212)이 형성되며, 또한 상기 안내부재(210)의 내벽면에는 키홈(211)이 형성된다.
이리하여 상기 인출연결줄(10)은 상술한 바와같이 커버링부재(110)의 외주면에서 외함실린더(100)의 실린더헤드(120)에 구성되는 제어발브수단(130)과 결속되어 인출연결줄(10)이 상기 안내부재(210)의 안내홈(212)을 통하여 자유스럽게 출입 되므로 인출연결줄(10)의 인출에 따라 상기 제어발브수단(130)의 개폐가 이루어지며, 또한 안내부재(210)의 키홈(211)으로 후술하게 되는 키부재가 슬라이딩되게 배치되어 시트포스트(200)의 회전이 방지되게 된다.
또 바람직하게는 첨부도면 제4도중 “도4-1”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내함실린더(300)의 외주면 상측에는 키부재(310)를 고정하는 상부결합부재(320)가, 상기 내함실린더(300)의 외주면 하측에는 키부재(310)를 고정하는 하부결합부재(330)가 결합된채, 상기 내함실린더(300)의 외주면에는 축방향으로 키부재(310)가 고정되게 결합되며, 또한 상기 시트포스트(200) 하부에는; 상술한 바와같이 첨부도면 제3도중 “도3-3”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안내부재(210)가 고정되게 구성된채, 상기 안내부재(210)의 내측에는; 축방향으로 키홈(211)이 형성된다.
이리하여 첨부도면 제4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내함실린더(300)의 외주면에 제공되는 키부재(310)가 첨부도면 제2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안내부재(210)의 키홈(211)에 섭동되는 특징으로 시트포스트(200)의 회전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첨부도면 제4도에 예시되는 내함실린더(300) 상부결합부재(320)에는 고정홀(321)이 형성되어 첨부도면 제2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연결줄(20)이 결속되어 상기 포스트헤드(220)의 높이조절부재(230)와 연결줄(20)로 상호 결속되며, 또 바람직하게는 내함실린더(300)의 외주면 중앙부에 중앙결합부재(340)가 구성되어 상술한 키부재(310)가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또 한편 첨부도면 제3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포스트헤드(220)의 외주면에는; 압축유체의 누설을 차단하는 씰링부재(221)가 제공된채, 시트포스트(200)의 내측에 고정되게 결합됨과 아울러 압축유체를 주입하는 에어주입부재(240)가 상기 포스트헤드(220)에 구성되며, 또한 상기 포스트헤드(220) 하부에는; 로드결합부(260)가 구성되어 피스톤(410)이 포함된 로드부재(400)가 고정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포스트헤드(220) 상면에는 첨부도면 제3도중 “도3-1”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안장결합체(250) 및 볼트가 체결되는 나사부(271)가 형성된 회전부재(270)가 구성된채, 상기 안장결합체(250)의 상면 일측에는 안장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안착홈(251)이 형성되며, 또한 상기 안장결합체(250)의 안착홈(251)에는 원통형상을 갖는 하부클램프(810) 및 상부클램프(820)로 구성되는 안장결합수단(800)이 제공된채, 상기 안장결합체(250)에 구성된 회전부재(270)와 상부클램프(620)는 고정볼트(280) 및 너트(281)로 체결되어 시트포스트(200)의 포스트헤드(220)에는 상기 안장결합수단(800)이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안장결합수단(800)은 자전거 안장의 안장레일을 고정하게 되는 통상적인 기술수단의 공지기술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첨부도면 제8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시트포스트(200)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포스트헤드(220) 내측에는; 연결줄(20)이 권취되는 권취홀(222)이 형성된채, 높이조절부재(230) 및 록킹부재(236)가 제공되며, 또한 상기 포스트헤드(220)의 로드결합부(260) 일측에는 연결줄(20)이 출입되는 출입구(262)가 형성되어 첨부도면 제3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높이조절부재(230)에 권취된 연결줄(20)이 로드부재(400)의 외곽으로 인출되는 특징으로 상술한 바와같이 상기 내함실린더(300)와 연결줄(20)로 연결되는 특징을 갖는다.
상세하게는 상기 로드부재(400)는 제3도중 “도3-2”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안내로(401) 및 안내구(402)가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부재(230)에 권취된 연결줄(20)이 로드부재(400)의 외곽으로 인출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리하여 첨부도면 제2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내함실린더(400)와 높이조절부재(230)가 연결줄(20)로 연결된채, 높이조절부재(230)의 권취에 따른 길이 변화가 연출되어 외함실린더(100)에 형성되는 에어압력실(P2)의 압축유체로 상승 작동되는 시트포스트(200)의 상승 높이가 일정 높이로 조절되는 특징을 갖는다.
또 바람직하게는 첨부도면 제10도중 “도10-3”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포스트헤드(220)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씰링부재(221) 상측의 포스트헤드(220) 내측에는; 상술한 바와같이 연결줄(20)이 권취되는 권취홀(222)이 형성되어 상기 권취홀(222)에 높이조절부재(230)가 제공된채, 상기 포스트헤드(260)의 중심 하부에는 상술한 로드부재가 결합되는 로드결합부(260)가 구성된다.
그리고 포스트헤드(220)에는; 상기 권취홀(222)과 직교 되도록 외주면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기 권취홀(222)을 관통하는 에어유로(225)가 형성된채, 상기 에어유로(225)의 입측에는 에어주입부재(240)가 결합되며, 또한 상기 에어유로(225)의 단부측에서 포스트헤드(220)의 로드결합부(260) 일측 하면으로 안내로(226)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리하여 상기 포스트헤드(220) 안내로(226)를 통하여 시트포스트 내측으로 압축유체가 출입됨과 아울러 상기 높이조절부재(230)에 권취된 연결줄(20)이 상기 로드결합부(260) 외곽으로 출입되는 특징을 갖는다.
그리고 또 바람직하게는 첨부도면 제2도중 “도2-1”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포스트헤드(220)에는 안장결합수단(800)을 지지하고 고정하는 안장결합체(250) 및 회전부재(270)가 구성된채, 상기 회전부재(270)에 연결줄(20a)의 일단부가 회동되게 결속되며, 또한 상기 외함실린더(100)를 구성하는 커버링부재(110)의 일측에는 고정부재(114)가 구성된채, 상기 연결줄(20a)의 타단부가 결속된다.
이리하여 포스트헤드(220)와 커버링부재(110)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연결줄(20a)에 의하여 자전거 안장의 정해진 일정한 높이가 제한 되므로 상술한 바와같이 압축유체로 상승 작동되는 자전거 안장의 높이는 연결줄(20a)의 길이에 따라 일정 높이로 제어조절되게 된다.
이하 상기 제어발브수단(130) 및 오일챔버(C1)를 형성하는 오일커버링(140)으로 구성되는 실린더헤드(120)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제4도중 “도4-2”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외함실린더(100)의 실린더헤드(120) 중심 내측에는; 실린더체결홀(123)이 형성되어 내함실린더(300)가 결합되며, 또한 상기 실린더체결홀(123) 하측으로 제어발브수단(130)이 구성되는 발브시트(125) 및 발브결합부(124)가 형성된채, 상기 발브결합부(124)에 나사결합 방식을 갖는 상술한 제어발브수단(130)이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제4도중 “도4-3”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제어발브수단(130)은 발브체(131)를 포함하여 발브몸체(132) 및 구동부(134)로 구성된채, 제어발브수단(130)의 구동부(134)에는 토션스프링(150)이 장착되어 토션스프링(150)의 탄발력으로 회전되어 제어발브수단(130)의 상승 및 하강 작동을 연출하게 된다.
이리하여 첨부도면 제17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제어발브수단(130)을 회전 시키면, 제어발브수단(130)의 발브체(131)가 상기 발브시트(125)에 배치된채, 제어발브수단(130)의 회전에 따라 제어발브수단(130)의 발브체(131)가 상기 발브시트(125)에 밀착되는 차단상태 또는 발브시트(125)에 이격되는 오픈상태가 연출되게 된다.
그리고 첨부도면 제4도중 “도4-2”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외함실린더(100)의 실린더헤드(120) 외주면에는 상기 발브시트(125)가 구성되는 단차원통체(121b)를 포함하여 제1 결합부(121a) 및 제2 결합부(121c)로 구성되어 제1 결합부(121a)에는 외함실린더(100)가 접착재 및 고정부재(127) 수단으로 고정되게 결합되며, 또한 제2 결합부(121c)에는 상기 제어발브수단(130)이 외부로부터 밀폐됨과 아울러 상기 오일챔버(C1)를 형성하는 오일커버링(140)이 나사결합 방식의 조립식으로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첨부도면 제17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실린더헤드(120)는 외함실린더(100)의 하부 내측에 접착제 및 고정볼트(127) 수단으로 고정되게 결합되며, 또 상기 오일커버링(140)은 나사결합의 조립식 방식으로 결합되므로 오일챔버(C1)의 오일유체 교환 및 상기 제어발브수단(130)의 해체 및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상술한 실린더헤드(120) 및 제어발브수단(130)에 대하여 첨부도면 제4도 및 제17도에 의거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제4도중 “도4-2”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실린더헤드(120)의 발브결합부(124) 하측에 내부 공간부가 형성된 원통체(122)가 구성된채, 상기 원통체(122)에는 안내구(122a) 및 결합구(122b)가 형성된다.
이리하여 첨부도면 제17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안내구(122a)를 통하여 인출연결줄(10)이 상기 제어발브수단(130)의 구동부(134)에 결속된채, 출입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발브수단(130)의 발브몸체(132)에는; 오일유체가 출입되는 오일유로(133)가 형성된채,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발브결합부(124)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 되므로 상술한 바와같이 상기 제어발브수단(130)을 회전 시키면, 제어발브수단(130)이 발브시트(125)를 향하여 상ㆍ하로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또 제4도중 “도4-3”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제어발브수단(130)의 구동부(134)에는 결속구(136)가 형성되어 첨부도면 제17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술한 원통체(122)의 안내구(122a)를 통하여 출입되는 인출연결줄(10)이 회동되게 권취되며, 또한 상기 제어발브수단(130)의 구동부(134)에는 고정홀(135)이 형성되어 토션스프링(150)이 배치된채, 토션스프링(150)의 일단부가 상기 고정홀(135)에 지지됨과 아울러 토션스프링(150)의 타단부가 상기 실린더헤드 원통체(122)의 결합구(122b)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이리하여 토션스프링(150)의 회전력으로 제어발브수단(130)의 발브체(131)가 상기 발브시트(125)에 밀착되게 배치됨과 아울러 인출연결줄(10)의 인출에 따라 제어발브수단(130)의 개폐가 연출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하 상술한 커버링부재 및 인출수단에 대하여 첨부도면 제4도 내지 제7도에 의거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제5도중 “도5-1”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커버링부재(110)의 제2 커버링(111) 외주면에는; 체결홀(113)이 형성되어 첨부도면 제5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인출수단(500)의 제1 결합부재(520)가 고정되게 결합된채, 제1 결합부재(520)의 내측에는 인출부재(510)가 배치되며, 또한 상기 제1 결합부재(520)의 외측에는 제2 결합부재(530)가 결합되어 인출수단(500)이 구성되는데 있어서, 상기 외함실린더(100)에는 상기 인출연결줄(10)이 출입되는 출입구(도시하지 않음)가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바람직하게는 첨부도면 제7도중 “도7-2”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인출수단(500)의 제1 결합부재(520) 내측에는; 인출연결줄(10)이 출입되는 안내로(523)를 포함하여 결합홀(524) 및 권취(525)이 형성된채, 상기 인출부재(510)가 제1 결합부재(520)의 결합홀(524)에 회동되게 배치된다.
상기 인출수단(500)의 제2 결합부재(530)는; 첨부도면 제7도중 “도7-1”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원통부(533)를 포함하여 내경섭동부(532) 및 제2a 체결부(531)로 구성된채, 첨부도면 제7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제1 결합부재(52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인출부재(510)는 제2 결합부재(530)의 원통부(533) 내측에서 회동되게 배치되며, 또한 상기 원통부(533)에는 케이블고정부재(30)가 고정되게 결합된다.
여기서 제2 결합부재(530)의 제2a 체결부(531) 내측에는 나사부(534)가 형성되어 제1 결합부재(520)의 외주면에 체결되며, 또한 제2 결합부재(530)의 내경섭동부(532)에는 내측에 섭동구(535)가 형성되어 상기 인출부재(510)가 밀착 슬라이딩되게 관통된다.
그리고 상기 인출수단(500)의 인출부재(510)는; 첨부도면 제7도중 “도7-3”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인출연결줄(10)이 권취되는 권취부(511)를 포함하여 외경섭동부(512) 및 구동부(513)로 구성된채, 외경섭동부(512)와 권취부(511) 사이에 단차지는 확장부(514)가 구성되어 첨부도면 제7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씰링부재(540)가 장착됨과 아울러 상기 권취부(511)에는 인출연결줄(10)이 권취되며, 또한 상기 인출부재(510)의 구동부(513)는 상기 제2 결합부재(530)의 원통부(533) 내측으로 배치된채, 인출케이블선(30a)이 회동되게 결속 된다.
그러므로 인출부재(510)를 회전하게 되면, 인출부재(510)의 권취부(511)에 인출연결줄(10)이 권취되는 특징으로 상술한 바와같이 제어발브수단의 개폐가 연출되는 특징을 갖는다.
더 상세하게는 첨부도면 제7도중 “도7-1”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인출수단(500)의 제2 결합부재(530) 원통부(533)에는; 상기 인출부재(510)의 구동부(513)가 배치되는 공간부(537)가 형성된채, 케이블고정부재(30)가 결합되는 다 수개의 결합구(53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출부재(510)는; 첨부도면 제7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내측으로 인출연결줄(10)이 출입되는 안내홀(516)이 형성된채, 첨부도면 제7도중 “도7-3”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인출부재(510)의 권취부(511) 외주면에는 축방향으로 상기 안내홀(516)과 연통되는 인출구(515),(515a)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인출부재(510)의 구동부(513)에는; 상기 인출케이블선(30a)이 권취되는 회동부재(550) 및 클램프(560)가 결합된채, 인출케이블선(30a)이 결속되는데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550)는 첨부도면 제7도중 “도7-3”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인출케이블선(30a)이 권취되는 원주상의 권취안내부(551) 및 결합부(553)가 형성된채, 내측에는 상기 인출부재(510)의 구동부(513)가 결합되는 결합홀(552)이 형성된다.
이리하여 첨부도면 제7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제2 결합부재(530)의 원통부(533)에 결합되는 인출케이블선(30a)을 인출하여 인출부재(510)를 회전 시키면, 상기 제1 결합부재(520)의 안내로(523)를 포함하여 상기 인출부재(510)의 안내홀(516) 및 인출구(515)를 통하여 인출연결줄(10)이 인출부재(510)의 권취부(511)에 권취된채, 상기 인출연결줄(10)이 인출되어 인출연결줄(10)의 길이가 가변되게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같이 인출부재(510)의 확장부(514) 외주면에 배치되는 씰링부재(540)는 제1 결합부재(520)와 제2 결합부재(530)에 의하여 밀착되게 결합되어 압축유체의 누설이 방지되게 된다.
이하 시트포스트(200) 상부 내측에 제공되는 상술한 포스트헤드(220)에 대하여 첨부도면 제8도 내지 제9도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제9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술한 포스트헤드(220)의 권취홀(222) 일단부가 외주면으로 관통되고, 상기 권취홀(222)의 타단부는 상기 권취홀(222)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결합홀(224)이 포스트헤드의 외주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권취홀(222)에 장착되는 높이조절부재(230)에는 중앙부 외주면에 연결줄(20)이 권취되는 권취부(231) 및 결합구(232)가 형성되어 연결줄(20)이 회동되게 권취되며, 또한 상기 권취부(231) 외측 각각에 원주상의 요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채, 압축유체의 누설을 차단하는 오링(235)이 장착된다.
또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부재(230)의 일단부에는 각형의 구동부(233)가 형성되며, 또한 높이조절부재(230)의 타단부에는 체결홀(234)이 형성되어 첨부도며 제8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록킹부재(236)가 결합된채, 상기 록킹부재의 일단부가 포스트헤드(220)의 상기 결합홀(224)을 통하여 시트포스트(200) 외주면 외곽으로 돌출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첨부도면 제8도중 “도8-1”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시트포스트(200)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높이조절부재(230)의 구동부(223)와 연통되는 안내구(201)가 형성되어 높이조절부재(230)의 구동을 연출하게 되며, 또한 시트포스트(200)의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록킹부재(236)에 록킹너트(237)가 체결되어 록킹너트(237)를 체결하게 되면 높이조절부재(230)의 일단부가 상기 권취홀(222)의 결합홀(224) 벽면에 밀착되게 결합되는 특징으로 높이조절부재(230)의 회전이 방지되는 특징을 갖는다.
그러므로 포스트헤드(220)의 권취홀(222)에 장착되는 높이조절부재(230)의 회전작용이 록킹된채 제한되므로 높이조절부재(230)에 권취되는 연결줄(20)은 일정한 길이로 조절된채 고정되게 된다.
이하 시트포스트(200) 상부 내측에 제공되는 포스트헤드(220)의 다른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제10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포스트헤드(220)의 상면에는; 제1 체결구(251a) 및 제2 체결구(252a)가 형성된 제2 결합체(250a)가 구성된채, 상기 제2 결합체(250a)의 양측면에는; 회전부재(270a)가 결합된 안장고정부재(290),(291)가 상호 마주보며 배치된채, 고정볼트(295)에 의하여 조립식으로 고정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안장고정부재(290),(291) 각각의 상면 일측에는 안장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안착홈(292)이 형성되어 첨부도면 제2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안장결합수단(800)이 배치된채, 상기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나사부(271a)가 형성된 회전부재(270a)와 상기 상부클램프(620)는 고정볼트(280) 및 너트(281)에 의하여 안장고정부재(290)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첨부도면 제10도중 “도10-3”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제2 결합체(250a)에 형성되는 제1 체결구(251a) 및 제2 체결구(252a)는 소정의 각도(A)로 경사지게 구성되어 상기 안장고정부재(290)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구성된다.
이하 외함실린더의 커버링부재(110)에 구성된채, 제어발브수단(130)을 개폐 시키는 인출연결줄이 결속된 인출수단의 다른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 제11도 내지 제12도에 의거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제11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커버링부재(110)의 제2 커버링(111)에는; 인출밀폐부재(620)를 포함하여 제1a 결합부재(610) 및 인출회동부재(630)로 구성된 제1a 인출수단(600)이 결합되어 인출연결줄(10a)은 외함실린더(100) 내측에서 상기 인출밀폐부재(620)를 관통하여 제1a 결합부재(610) 외측으로 돌출된채, 상기 인출회동부재(630)에 결속되며, 또한 상기 외함실린더(100)에는 상기 인출연결줄(10a)이 출입되는 출입구(도시하지 않음)가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러므로 상기 인출회동부재(630)를 작동하게 되면, 인출밀폐부재(610)를 관통하는 인출연결줄(10a)은 인출밀폐부재(620)에 의하여 압축유체의 누설이 차단된채, 커버링부재(110) 외곽으로 인출되어 상술한 바와같이 제어발브수단(130)의 개폐가 연출되는 특징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첨부도면 제12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커버링부재(110)의 제2 커버링(111) 외주면에는; 상기 인출밀폐부재(620)가 결합되는 체결홀(1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a 인출수단(600)의 제1a 결합부재(610)의 일측에는 결합홀(611)이 형성된채, 상기 인출밀폐부재(620)가 장착되어 상기 커버링부재 제2 커버링(110)의 체결홀(113)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또한 첨부도면 제11도중 “도11-1”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제1a 결합부재(610)의 타측에는 내부공간부(613)가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회동되는 인출회동부재(630)가 구성됨과 아울러 케이불고정부재(30)가 결합된채, 인출케이블선(30a)이 상기 인출회동부재(630)에 권취된다.
첨부도면 제11도중 “도11-1”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제1a 인출수단(600)의 인출밀폐수단(620) 내측에는; 안내로(622) 및 오링부(621)가 형성되어 압축유체의 누설을 차단하는 다 수개의 오링(623)이 장착된채, 상기 인출연결줄(10a)이 상기 오링(623)들을 관통하여 제1a 결합부재에 형성된 안내구(612)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인출회동부재(630)에 결속된다.
그러므로 상기 인출케이블선(30a)의 인출에 따라 인출회동부재(630)가 회전되면, 인출연결줄(10a)이 인출회동부재(630)에 권취되어 인출연결줄(10)의 인출력이 연출되는 특징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첨부도면 제11도중 “도11-1”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인출회동부재(630)의 외주면에는 인출연결줄(10a)이 결속되는 결속구(632) 및 상기 인출케이블선(30a)이 결속되는 결속구(633)가 각각 형성되어 인출회동부재(630)에 인출연결줄과 인출케이블선이 고정되게 권취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첨부도면 제11도중 “도11-2”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인출회동부재(630)의 내측에는 고정샤프트(634)가 배치된채, 상기 제1a 결합부재의 횡방향으로 결합되어 인출회동부재(630)가 회동되며, 또한 제1a 결합부재(610)의 하부에는 케이블고정부재(30)가 결합된채, 제1a 결합부재(610)의 상부에는 개봉구(613)가 형성되어 인출케이블선(30a))의 결속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또 바람직하게는 첨부도면 제11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커버링부재(110)의 제1 커버링(112) 내측에는 씰링부재(116),(116')가 배치된채, 커버링(112) 외주면에는 나사체결부(도시하지 않음) 형성되어 가이드부재(115')가 나사체결 방식으로 결합되며,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115')의 내측 상부에는 더스트씰(118)이 제공되어 외부의 이물질을 차단하게 된다.
이하 커버링부재(110)에 구성된채, 제어발브수단(130)을 개폐 시키는 인출연결줄이 결속된 인출수단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 제13도 및 제14도에 의거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제13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커버링부재(110)의 제2 커버링(111)에는; 제1b 인출부재(510')를 포함하여 제1b 결합부재(520') 및 제2b 결합부재(530')로 구성된 제1b 인출수단(500')이 결합되어 상기 제1b 인출부재(510')에 인출연결줄(10)이 회동되게 권취되는데 있어서, 외함실린더와 시트포스트에는 상기 인출연결줄이 출입 되도록 소정의 간격(D)으로 이격되며, 또한 상기 외함실린더(100)에는 상기 인출연결줄(10)이 출입되는 출입구(도시하지 않음)가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첨부도면 제14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제1b 인출수단의 제1b 결합부재(520')는; 외측에 나사결합부가 형성된 체결부(521') 및 내측에 상기 제1b 인출부재(510')가 수용되는 원통부(522')로 구성되어 상기 제1b 결합부재(520')의 원통부(522') 내측에는; 인출연결줄(10)이 권취되는 권취홀(525') 및 상기 제1b 인출부재(510')의 선단부가 밀착 슬라이딩되는 결합홀(524)이 형성된채, 상기 체결부(521')의 내측으로 인출연결줄(10)이 출입되는 안내로(523')가 형성된다.
상기 제1b 인출수단(500')의 제1b 인출부재(510')는 첨부도면 제14도중 “도14-2”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인출연결줄(10)이 권취됨과 아울러 씰링부재(540)가 장착되는 권취부(511') 및 인출케이블선(30a)이 결속되는 구동부(514')로 구성된채, 상기 제1b 인출부재(510')의 구동부(514')에 형성되는 단차지는 결합부(513')에는 고정볼트(560')가 포함된 클램프(550')가 체결되어 상기 제1b 인출부재(510')의 구동부(514')에 인출케이블선(30a)이 회동되게 권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b 인출부재(510') 권취부(511') 내측에는 인출연결줄이 출입되는 출입구(515') 및 출입로(516')가 형성되어 인출연결줄(10)이 상기 제1b 결합부재(520')의 안내로(523')를 통하여 제1b 인출부재(510')의 권취부(511')에 회동되게 권취되며, 또한 상기 권취부에는 씰링부재(540)가 장착되어 상기 제1b 결합부재(530')에 구성되는 권취홀(525')에 작용되는 압축유체의 누설이 방지되게 된다.
상기 제1b 인출수단(500')의 제2b 결합부재(530')는; 내측에 내부공간부(533') 및 원통체(532')가 구성된채, 상기 제1b 결합부재(520')의 외주면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상기 제1b 인출부재(510')에 구성되는 단차확장부(512')는 상기 제2b 결합부재(530')의 원통체(532')에 의하여 외부 이탈이 방지되며, 또한 상기 제2b 결합부재(530')의 일측 외주면에는 다 수개의 결합구(534')가 형성된채, 케이블고정부재(30)가 고정되게 결합된다.
이리하여 인출케이블선(30a)을 인출하여 제1b 인출부재(510')를 회전하게 되면, 제1b 인출부재(510')의 권취부(511')에 인출연결줄(10)이 권취되는 특징으로 상기 제어발브수단의 개폐가 연출되는 특징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첨부도면 제13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커버링부재(110)의 제2 커버링(112) 내측에는 씰링부재(116)가 배치된채, 제1 커버링(112) 외주면에는 나사체결부(도시하지 않음) 형성되어 가이드부재(115')가 나사체결 방식으로 결합되며,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115')의 내측 상부에는 더스트씰(118)이 제공되어 외부의 이물질을 차단하게 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링부재(110)의 제2 커버링(111)에는 고정부재(114)가 체결되어 상기 외함실린더(100)가 커버링부재(110)의 제2 커버링(111) 내측에서 접착제 수단으로 고정되게 부착된채, 고정되게 결합되며, 이때 상기 외함실린더(100)에는 상기 인출연결줄(10)이 출입되는 출입구(도시하지 않음)가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하 커버링부재에 구성된채, 인출연결줄을 인출하는 인출수단 및 제어발브수단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 제16도에 의거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제16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외함실린더(100)를 구성하는 커버링부재(110a)의 제2 커버링(111a)에는 첨부도면 제16도중 “도16-1”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인출연결줄이 출입되는 출입구(113a) 및 제1 수직안내로(114a)가 형성된채, 첨부도면 제16도중 “도16-6”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인출연결줄(10b)을 인출하는 제3 인출수단(700)이 구성되며, 또한 상기 커버링부재(110a)의 제2 커버링(111a)에는 체결홀(112a)이 형성되어 케이블고정부재(720)가 구성된채, 케이블결합부재(721)가 결합되어 인출케이블선(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상술한 인출수단(700)을 인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링부재(110a) 하면에 배치되는 외함실린더(110)의 외주면에는 첨부도면 제16도중 “도16-2”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커버링부재(110a)의 내경보다 직경이 확장되는 안내고정부재(100a)가 고정되게 결합된채, 상기 안내고정부재(100a)의 외주면 일측에는; 축방향으로 인출연결줄이 출입되는 제2 수직안내로(101a)가 형성된다.
또 첨부도면 제16도중 “도16-3”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외함실린더의 실린더헤드(120)에는 상술한 바와같이 오일유체가 출입되는 발브시트(125) 및 발브결합부(124)가 형성된채, 제3 제어발브수단(130a)이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제어발브수단(130a)은 첨부도면 제16도중 “도16-4”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발브체(131a)를 포함하여 발브몸체(132a) 및 구동부(134a), 구동권취부(135a)로 구성된채, 상기 제3 제어발브수단(130a)의 구동권취부(135a)가 상기 실린더헤드(120)에 구성되는 오일커버링(140a) 하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이리하여 첨부도면 제16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제3 인출수단(700)에는 인출연결줄(10b)이 결속된채, 인출연결줄(10b)의 일단부가 상기 커버링부재(110a)의 제1 수직안내(114a)로 및 안내고정부재(100a)의 제2 수직안내로(101a)를 통하여 외함실린더(100)의 외주면을 따라 제3 제어발브수단(130a)의 구동권취부(135a)에 회동되게 권취되는 특징으로 제3 인출수단(700)의 인출연결줄(10b)을 인출하게 되면, 제3 제어발브수단(130a)의 개폐가 연출되는 특징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첨부도면 제16도중 “도16-5”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오일커버링(140a)은; 결합부(141a) 및 원통체(142a)로 구성되어 상기 실린더헤드(120)에 체결되며, 또한 상기 오일커버링(140a)의 원통체(142a)에는; 상기 제3 제어발브수단(130a)의 구동권취부(135a)가 관통되는 출입구(146a)가 형성된채, 오일누설이 차단되는 씰링부재(147a)가 장착된다.
상세하게는 제3 제어발브수단(130a)의 구동부(134a)에는; 토션스프링(150)이 제공됨과 아울러 상기 구동부(134a)의 일단부에 구성되는 구동권취부(135a)는 상기 오일커버링(140a)의 원통체(142a)에 형성된 출입구(146a) 외측 하부로 돌출된채, 상기 구동권취부(135a) 외주면에 결합부재(137a)가 체결되어 인출연결줄(10b)이 회동되게 권취되는 특징으로 인출연결줄(10b)의 인출에 따라 제3 제어발브수단(130a)의 개폐가 연출되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첨부도면 제16도중 “도16-4”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제3 제어발브수단(130a)의 발브몸체(132a)는; 축방향으로 오일유체가 출입되는 오일유로(133a)가 형성되며, 또한 발브몸체(132a)의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채, 나사결합 방식으로 상기 발브결합부(124)에 결합되어 첨부도면 제18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제3 제어발브수단(130a)의 발브체(131a)가 상기 발브시트(125)에 밀착되게 배치됨과 아울러 발브시트(125)의 개폐가 연출된다.
또 바람직하게는 첨부도면 제도16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실린더헤드(120)의 발브결합부(124) 하부에는 내측 공간부가 형성된 원통체(122)가 구성된채, 하단부 일단부가 개방되는 슬로트홈(122b)이 형성되어 상술한 바와같이 제어발브수단(130a)의 구동부(134a)에 상기 토션스프링(150)의 일단부가 고정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또 첨부도면 제16도중 “도16-4”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제3 제어발브수단(130a)의 발브몸(132a)체 일측 하면에는 고정부재(136a)가 돌출되게 구성된다.
이리하여 첨부도면 제18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토션스프링(150)의 타단부가 상기 제어발브수단(130a)의 발브몸체(132a) 고정부재(136a)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토션스프링(150)의 탄발력으로 상술한 바와같이 상기 제3 제어발브수단(130a)의 발브체(131a)가 발브시트(125)에 밀착되며, 또한 상기 제3 제어발브수단(130a)의 구동권취부(135a)는 오일커버링(140a) 하측으로 돌출된채, 결합부재(137a)가 체결되어 상기 인출연결줄(10b)이 회동되게 권취되는 특징으로 인출연결줄(10b)의 인출에 따라 상기 제3 제어발브수단(130a)의 개폐가 연출되는 특징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일커버링(140a) 하면에는 원통형상을 갖는 안내체(143a)가 구성된채, 안내구(144a)가 형성되어 인출연결줄(10b)이 일정한 방향으로 안내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내함실린더 파워압력실(P1)에 작용되는 오일유체의 제어발브수단에 대하여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제17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실린더헤드(120)의 상면에는 내함실린더(300)가 구성된채, 피스톤(410)이 포함된 로드부재(400)가 고정되게 결합되어 오일유체가 저장되는 파워압력실(P1)이 형성되고, 또한 실린더헤드(120)의 하측에는 오일커버링(140)이 결합된채, 오일유체가 저장되는 오일챔버(C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헤드(120)에는 내함실린더의 파워압력실(P1)과 오일챔버(C1가 상호 연통되는 발브시트(125) 및 발브결합부(124)가 형성된채 상기 발브시트(125)를 개폐하는 제어발브수단(130)이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발브수단(130)은 발브체(131)를 포함하여 발브몸체(132) 및 구동부(134)로 구성된채, 제어발브수단(130)의 구동부(134)에는 토션스프링(150)과 인출연결줄(10)이 회동되게 권취되어 제어발브수단(130)의 개폐를 오픈하거나 차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헤드(120)에는 상술한 바와같이 상기 외함실린더(100)에 형성되는 에어압력실(P2)과 오일챔버(C1)가 상호 연통되는 관통로(126)가 형성된채, 인출연결줄(10)이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출연결줄(10)은 실린더헤드(120)의 원통체(122)에 형성된 안내구(122a)를 통하여 상기 제어발브수단(130)의 구동부(134)에 회동되게 권취되며, 그리고 또 바람직하게는 내함실린더(300)의 하부결합부재(331)는 외곽으로 확장되어 상기 인출연결줄(10)이 외함실린더(100)의 내벽을 따라 수직으로 출입되게 된다.
이리하여 제어발브수단(130)은 구동부(134)에 배치된 토션스프링(150)의 회전력으로 회전된채, 발브결합부(124)의 나사결합 방식에 따라 내함실린더(300) 측으로 상승 작동되어 상기 발브시트(125)가 차단되는 반면에, 인출연결줄(10)을 인출하게 되면, 제어발브수단(130)의 구동부(134)가 역회전으로 구동 되므로 상기 발브시트(125)가 개방된채, 내함실린더(300)의 파워압력실(P1)에 저장된 오일유체가 제어발브수단(130)의 발브몸체(132)에 형성된 오일유로(133)를 통하여 오일챔버(C1)로 유출되어 내함실린더(300)에 배치되는 피스톤(410)을 포함하는 로드부재(400)의 하강 작동이 이루어 진다.
한편 상술한 바와같이 제어발브수단(130)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내함실린더(300)의 피스톤(410)이 상승 작동될 경우, 내함실린더(300)의 파워압력실(P1)은 체적이 증가되는 흡입력이 형성되므로 오일챔버(C1)에 저장된 오일유체는 제어발브수단(130)의 발브몸체(132)에 형성된 오일유로(133)를 통하여 흡입된다.
이때 오일챔버(C1)에는 외함실린더(100)의 에어압력실(P2)에 저장된 압축유체가 관통로(126)를 통하여 오일챔버(C1)에 작용하게 되므로 오일챔버(C1)에 저장된 오일유체는 에어압력실(P2)의 압축유체 팽창압력에 의하여 내함실린더(300)로 원활하게 유입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어발브수단(130)이 차단 상태에서는 내함실린더(300)에 형성된 파워압력실(P1)의 오일유체 비압축성 특성에 따라 피스톤(410)의 상승 작동이 제한되므로 제어발브수단(130)의 개폐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시트포스트 상승작동 및 하강작동 높낮이를 자유롭게 제어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함실린더 파워압력실(P1)에 작용되는 오일유체 제어발브수단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제18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실린더헤드(120)의 하부에는 오일챔버(C1)를 형성하는 오일커버링(140a)이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실린더헤드(120)에는 발브시트(125)가 형성된채, 상술한 바와같이 제어발브수단(130a)이 나사 결합방식으로 구성되는데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발브수단(130a)은 발브체(131a)를 포함하여 발브몸체(132a) 및 구동부(134a), 구동권취부(135a)로 구성된채, 상기 발브몸체(132a)에는 오일유체가 출입하는 오일유로(133a)가 형성됨과 아울러 발브몸체(132a)의 하면 일측으로 고정부재(136a)가 구성되어 제어발브수단(130a)의 구동부(134a)에 제공되는 토션스프링(150)의 일단부가 고정되며, 이때 토션스프링(150)의 타단부는 실린더헤드(120)의 하면에 구성된 원통체(122)의 결합구(122b)에 고정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어발브수단(130a)의 구동부(134a) 하부에 구성되는 구동권취부(135a)는 상기 커버링부재(140a)에 제공된 씰링부재(147a) 및 출입구(146a)를 관통하여 하측으로 돌출된채, 결합부재(137a)에 의하여 인출연결줄(10b)이 회동되게 권취되어 오일챔버(C1)에 저장된 오일유체의 누설이 방지됨과 아울러 인출연결줄(10b)의 인출에 따라 제어발브수단의 개폐가 연출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출연결줄(10b)은 오일커버링(140a) 하부 일측에 형성된 안내구(144a)를 통하여 외함실린더(100) 외주면을 따라 상술한 커버링부재의 인출수단과 연결된다.
이리하여 인출연결줄(10b)을 인출하게 되면, 제어발브수단(130a)이 개방되어 내함실린더(300)의 파워압력실(P1)에 저장된 오일유체는 발브시트(125) 및 발브몸체(132a)의 오일유로(133a)를 통하여 오일챔버(C1)로 배출됨과 아울러 내함실린더(300)에 배치된 피스톤(410)은 하강작동 되며, 이때 오일챔버(C1)로 배출되는 오일유체가 충만할 경우 실린더헤드(120)에 형성된 관통구(126)를 통하여 외함실린더(100)에 형성되는 에어압력실(P2)로 유출되게 된다.
한편 인출연결줄(10b)의 장력을 해제하게 되면, 제어발브수단(130a)의 구동부(134a)에 제공된 토션스프링(150)의 탄발력에 의하여 제어발브수단(130a)이 구동되어 제어발브수단(130a)의 발브체(131a)는 발브시트(125)를 차단하게 되므로 내함실린더(300)의 파워압력실(P1)은 오일챔버(C1)와 차단 상태가 연출됨과 아울러 내함실린더(300)의 피스톤(410) 상승 작동이 정지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내함실린더(300)의 파워압력실(P1)은 비압축성 오일유체의 특성으로 흡입압력이 크게 증가되어 피스톤(410)을 포함하는 로드부재(400)의 상승 작동이 제한되므로 시트포스트(200)는 정지된 상태로 유지된채, 자전거 안장의 상ㆍ하 유격 현상이 방지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 및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 하였으며, 이하 본 발명의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에 대하여 시트포스트의 상승 및 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는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첨부도면 제19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내함실린더(300)의 파워압력실(P1) 및 오일커버링(140)에 형성된 오일챔버(C1)에는 오일유체가 저장됨과 아울러 시트포스트(200) 및 외함실린더(100)에 구성되는 에어압력실(P2)에는 에어주입부재(240)를 통하여 압축유체가 저장되게 된다.
그러므로 시트포스트(200)는 에어압력실(P2)의 압축유체 작용으로 상승 작동되는데 있어서, 자전거 안장결합수단(800)에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로드 어프” 상태(예컨데, 안장에서 일어나 안장에 외력이 가하지 않은 상태)이며, 이때 시트포스트(200)의 높이조절부재(230)와 내함실린더(300)는 소정의 길이로 제한되어 조절된 연결줄(20)에 의하여 상호 결속되어 시트포스트(200)는 연결줄(20)의 길이에 따라 소정의 높이로 상승 작동됨과 아울러 내함실린더(300)의 파워압력실(P1)은 제어발브수단(130)의 개방 상태에 따라 오일챔버(C1)에 저장된 오일유체를 흡입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시트포스트(200)의 상승 작동은; 안장결합수단(800)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Load Off” 상태와 제어발브수단(130)의 개방 상태에서 상승 작동이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제어발브수단(130)은 인출수단(500)에 연결된 인출연결줄(10)의 인출에 따라 제어발브수단(130)의 개방 상태가 연출된다.
이렇게 시프포스트(200)의 상승 작동이 완료되어 인출수단(500)을 조작하여 인출연결줄(10)을 인출 상태에서 풀어(인출연결줄의 인장력이 없는 루프상태)주면, 제어발브수단(130)은 토션스프링(150)의 탄발력으로 차단 되므로 내함실린더(300)의 파워압력실(P1)은 오일챔버(C1)와 차단상태가 연출되어 시트포스트(200)의 높이가 설정된 높이로 유지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같이 시트포스트(200)가 상승 완료한 상태에서, 안장결합수단(800)에 외력이 작용하는 “Load On” 상태(예컨데, 사람이 안장에 앉아서 안장에 외력이 가해지는 상태)가 되면, 내함실린더(300)의 파워압력실(P1)은 상술한 제어발브수단(130)의 차단 상태에 따라 외력에 비례한 유압력이 작용 되므로 내함실린더(300)에 배치되는 로드부재(400)의 하강 작동이 정지되게 된다.
그러므로 로드부재(400)에 고정되게 결합된 포스트헤드(220) 및 시트포스트(200)의 하강 작동은 정지된채, 설정된 자전거 안장의 높이가 유지되게 된다.
자전거 주행중 자전거 안장의 높이를 낮게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경우 첨부도면 제19도중 “도19-1”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자전거 안장결합수단(800)에 외력이 작용하는 “Load On” 상태(예컨데, 사람이 안장에 앉아서 안장에 외력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인출수단(500)을 이용하여 제어발브수단(130)을 개방하게 되면, 내함실린더(300)의 파워압력실(P1)에 저장된 오일유체가 오일챔버(C1)로 배출된다.
그러므로 파워압력실(P1)의 피스톤(410) 유압작용이 연출되는 로드부재(400)에 고정되게 결합된 시트포스트(200)의 하강 작동이 연출되어 설정된 자전거 안장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며, 이때 오일챔버(C1)로 배출되는 일부의 오일유체는 외함실린더(100)의 에어압력실(P2)로 유출되게 된다.
또한 이때 시트포스트(200)의 하강 작동에 따라 외함실린더(100)의 에어압력실(P2)은 체적이 수축되는 압축유체 상승작용이 연출됨과 아울러 상술한 연결줄(20)은 유연성에 따라 자유상태가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어압력실(P2)의 압축유체 압력은 자전거 안장결합수단(800)의 외력에 따라 자전거 안장의 하강 작동이 충분히 연출될 수 있도록 낮은 압력으로 형성되는 반면에, 자전거 안장결합수단(800)에 외력이 제거될 경우, 자전거 안장의 상승 작동이 충분히 연출될 수 있는 팽창력을 갖는 압축유체로 저장되어야 한다.
자전거 주행중 자전거 안장의 높이를 낮은 상태에서 높게 할 경우, 자전거 안장결합수단(800)에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로드 어프” 상태(예컨데, 안장에서 일어나 안장에 외력이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인출수단(500)을 이용하여 인출연결줄(10)을 인출하게 되면 상술한 바와같이 제어발브수단(130)이 개방되어 에어압력실(P2)의 압축유체 작용으로 포스트헤드(220) 및 시트포스트(200)는 상승 작동되며, 이때 내함실린더(300)와 포스트헤드(220)의 높이조절부재(230)에 연결된 연결줄(20)에 의하여 자전거 안장의 높이는 연결줄의 설정된 길이에 따라 일정 높이로 상승 작동되게 된다.
이렇게 시트포스트(200)의 상승 작동이 이루어지면, 내함실린더(300)의 파워압력실(P1)은 체적이 증가 되므로 오일챔버(C1)에 저장된 오일유체는 상술한 바와같이 에어압력실(P1)의 압축유체 작용으로 제어발브수단(130)의 개방에 따라 파워압력실(P1)로 자유롭게 유입되어 저장된다.
한편 시트포스트(200)의 상승작동 또는 하강작동이 완료되어 제어발브수단(130)이 차단된 상태에서, 자전거 안장을 들어 올려 운반할 경우 상기 파워압력실(P1)과 오일챔버(C1)는 차단 상태가 연출되어 파워압력실(P1)은 비압축성 오일유체의 특성으로 흡입 압력이 크게 증가되게 되므로 시트포스트(200)는 정지된 상태로 유지된채, 자전거 안장의 상ㆍ하 유격 현상이 방지된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자전거 안장의 하강 작동력은 내함실린더(300)의 유압력으로 연출되고, 안장의 상승 작동은 압축유체의 팽창력으로 연출되어 압축유체를 저장하는 외함실린더(100) 및 시트포스트(200)는 두께가 얇고, 무게가 가벼운 알루미늄파이프 또는 카본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어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를 더 가볍게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외함실린더 110 : 커버링부재
120 : 실린더헤드 130 : 제어발브수단
140 : 오일커버링 150 : 스프링
200 : 시트포스트 210 : 안내부재
220 : 포스트헤드 230 : 높이조절부재
240 : 에어주입부재 250 : 안장결합체
260 : 로드결합부 270 : 회전부재
280 : 고정볼트 300 : 내함실린더
310 : 키부재 320 : 상부결합부재
330 : 하부결합부재 340 : 중앙결합부재
400 : 로드부재 410 : 피스톤
500 : 인출수단 510 : 인출부재
520 : 제1 결합부재 530 : 제2 결합부재
540 : 오링 550 : 회동부재
560 : 너트 600 : 제1a 인출수단
610 : 제1a 결합부재 620 : 인출밀폐부재
630 : 인출회동부재 700 : 제3 인출수단
720 : 고정부재 721 : 케이블결합부재
800 : 안장결합수단 810 : 하부클램프
820 : 상부클램프

Claims (21)

  1.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의 가변식 시트포스트에 있어서,
    외함실린더에는; 커버링부재 및 실린더헤드가 구성된채, 상기 실린더헤드에 내함실린더가 입설되며, 또한 상기 실린더헤드에는; 내함실린더의 오일유체를 제어조절하는 제어발브수단 및 오일유체가 저장되는 오일커버링이 구성되는 것과;
    시트포스트에는; 높이조절부재 및 에어주입부재가 제공된 원통형상을 갖는 포스트헤드가 결합된채, 상기 포스트헤드 상측으로 안장결합수단이 구성됨과 아울러 포스트헤드 하측으로 피스톤이 포함된 로드부재가 구성되어 시트포스트는 외함실린더 내ㆍ외측으로 출입되며, 또한 상기 로드부재는 내함실린더 내ㆍ외측으로 출입되는 것과;
    상기 내함실린더는와 포스트헤드에 구성된 높이조절부재는 연결줄로 상호 결속된채, 상기 외함실린더와 시트포스트에는 압축유체가 저장되어 연결줄의 길이에 따라 압축유체로 작동되는 시트포스트의 상승작동이 일정 높이로 조절되며, 또한 외함실린더의 커버링부재에는; 인출연결줄이 제공된 인출수단이 구성된채, 상기 제어발브수단과 인출연결줄로 결속되어 인출연결줄의 인출에 따라 제어발브수단이 개폐됨과 아울러 내함실린더에 저장된 오일유체의 출입작용이 연출되는 특징으로 압축유체 및 오일유체에 의한 시트포스트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함실린더 및 시트포스트에는 압축유체가 저장되는 에어압력실이 형성된채, 압축유체의 작용으로 시트포스트가 소정의 상승력으로 상승 작동되며, 또한 상기 내함실린더에는; 오일유체가 저장되는 파워압력실이 형성된채, 상기 로드부재의 피스톤에 작용하는 유압력으로 시트포스트의 하강 작동력이 조절되는 것과;
    외함실린더의 실린더헤드에는; 오일커버링이 결합되어 오일유체를 저장하는 오일챔버가 구성된채, 상기 실린더헤드에는; 상기 외함실린더의 에어압력실과 오일챔버가 상호 연통 되도록 관통로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실린더헤드에는; 내함실린더 파워압력실의 오일유체가 출입되는 발브시트 및 발브결합부가 형성된채, 제어발브수단이 구성되어 상기 제어발브수단에는 회동되는 스프링 및 인출연결줄이 회동되게 결속된채, 인출연결줄의 인출에 따라 제어발브수단의 개폐가 연출되는 특징으로 시트포스트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함실린더 커버링부재의 내측에는; 시트포스트의 출입에 따른 압축유체의 누설을 차단하는 씰링부재가 장착되며, 또한 상기 씰링부재 하측의 커버링부재 외주면에는; 인출연결줄이 출입됨과 아울러 압축유체의 누설이 차단되는 인출수단이 구성되는 것과;
    상기 외함실린더의 실린더헤드 하측에는; 상기 제어발브수단이 외부로부터 밀폐됨과 아울러 오일유체가 저장되는 오일커버링이 결합되는 특징으로 압축유체 및 오일유체 누설이 차단된채, 상기 인출수단에 결속된 인출연결줄의 인출에 따라 제어발브수단의 개폐작용이 연출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외함실린더의 커버링부재는; 제1 커버링 및, 제2 커버링로 구성되어 커버링부재의 제1 커버링 내측에 씰링부재가 제공된채, 가이드부재가 체결되어 시트포스트가 커버링부재의 내ㆍ외부로 출입되는 것과;
    상기 커버링부재의 제2 커버링 내측에는; 외함실린더가 고정되게 결합되며, 또한 커버링부재의 제2 커버링 외주면에는; 인출부재를 포함하여 제1 결합부재 및 제2 결합부재로 구성된 인출수단이 결합되어 상기 인출부재에는; 인출연결줄이 권취된채, 상기 제1 결합부재를 통하여 외함실린더 내측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제어발브수단과 결속되는 특징으로 인출연결줄의 인출에 따라 상기 제어발브수단의 개폐가 조절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헤드의 축방향으로 발브시트 및 발브결합부가 형성된채, 발브체를 포함하여 발브몸체 및 구동부로 구성된 제어발브수단이 상기 발브결합부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어 발브시트는 상기 제어발브수단의 발브체에 의하여 개폐작용이 연출되며, 또한 상기 제어발브수단의 구동부에는 인출연결줄이 회동되게 권취됨과 아울러 상기 제어발브수단을 회전시키는 토션스프링이 구성되는 특징으로 인출연결줄의 인출상태에 따라 제어발브수단의 개폐가 연출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함실린더의 외주면 상측에는 키부재를 고정하는 상부결합부재가 구성된채, 상기 상부결합부재에는; 연결줄이 결속되어 상기 포스트헤드의 높이조절부재와 연결줄로 상호 결속되며, 또한 상기 내함실린더의 외주면 하측에는 키부재를 고정하는 하부결합부재가 결합된채, 상기 내함실린더의 외주면에는 축방향으로 키부재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과;
    상기 시트포스트 하부에는; 상기 외함실린더 내벽면으로 슬라이딩되는 안내부재가 고정되게 구성된채, 상기 안내부재의 내측에는; 축방향으로 키홈이 형성되어 상기 내함실린더의 외주면에 제공되는 키부재와 섭동되는 특징으로 시트포스트의 회전이 방지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함실린더의 내벽과 상기 시트포스트의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인출연결줄이 커버링부재와 실린더헤드 사이의 상ㆍ하부로 출입 되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과;
    상기 시트포스트의 하부에는 외함실린더 내벽면과 밀착 슬라이딩되는 안내부재가 결합된채, 상기 안내부재의 외주면에는 인출연결줄이 출입되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커버링부재의 외주면에 구성되는 인출수단과 상기 실린더헤드에 구성되는 제어발브수단은 상기 인출연결줄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헤드의 외주면에는; 압축유체의 누설을 차단하는 씰링부재가 제공된채, 시트포스트의 내측에 고정되게 결합됨과 아울러 압축유체를 주입하는 에어주입부재가 상기 포스트헤드에 구성되며, 또한 상기 포스트헤드 하부에는; 로드결합부가 구성되어 피스톤이 포함된 로드부재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과;
    상기 포스트헤드 상면에는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안장결합체 및 회전부재가 구성된채, 상기 안장결합체의 상면 일측에는 안장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또한 상기 안장결합체의 안착홈에 원통형상을 갖는 하부클램프 및 상부클램프로 구성되는 안장결합수단이 제공된채, 상기 안장결합체에 구성된 회전부재와 상부클램프는 고정볼트 및 너트로 체결되어 포스트헤드에는 상기 안장결합수단이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외함실린더의 실린더헤드 중심 내측에는; 내함실린더가 결합되는 실린더체결홀이 형성됨과 아울러 하측으로 제어발브수단이 구성되는 발브시트 및 발브결합부가 형성된채, 상기 발브결합부에 나사결합 방식을 갖는 제어발브수단이 결합되는 것과;
    상기 외함실린더의 실린더헤드 외주면에는 상기 발브시트가 형성되는 단차원통체를 포함하여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로 구성되어 제1 결합부에는 외함실린더가 접착재 및 고정부재 수단으로 고정되게 결합되며, 또한 제2 결합부에는 상기 제어발브수단이 외부로부터 밀폐됨과 아울러 오일챔버를 형성하는 오일커버링이 나사결합 방식의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외함실린더의 실린더헤드에는; 실린더결합부 및 발브결합부가 형성되어 내함실린더 및 제어발브수단이 구성되는데 있어서,
    상기 실린더헤드의 축방향으로 나사부가 형성된 발브결합부가 관통지게 형성된채, 상기 발브결합부의 상면에는 내경부가 확장되는 실린더결합부가 형성되는 것과;
    상기 내함실린더의 하부에는; 발브시트가 형성된 발브시트부재가 구성된채, 상기 발브시트부재의 외주면에는 체결부가 형성되어 내함실린더가 발브결합부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실린더결합부에 고정되게 결합는 것과;
    상기 제어발브수단은 발브체를 포함하여 발브몸체 및 구동부로 구성된채, 상기 발브결합부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며, 또한 제어발브수단의 구동부에는; 토션스프링이 장착된채, 인출연결줄이 권취되는 특징으로 인출연결줄의 인출에 따라 제어발브수단의 발브체에 의하여 상기 발브시트의 개폐작용이 연출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부재의 제2 커버링 외주면에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인출수단의 제1 결합부재가 고정되게 결합된채, 상기 제1 결합부재의 내측에는 인출부재가 배치되며, 또한 상기 제1 결합부재의 외측에는 제2 결합부재가 결합되어 인출수단이 구성되는데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재의 내측에는; 인출연결줄이 출입되는 안내로를 포함하여 결합홀 및 권취홀이 형성된채, 상기 인출부재가 회동되게 배치되는 것과;
    상기 제2 결합부재는; 원통부 및 내경섭동부로 구성된채, 제1 결합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인출부재는 제2 결합부재의 원통부 내측에서 회동되게 배치되며, 또한 상기 원통부에는 케이블고정부재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과;
    상기 인출수단의 인출부재는; 권취부를 포함하여 외경섭동부 및 구동부로 구성되어 외경섭동부와 권취부 사이에 씰링부재가 장착된채, 상기 권취부에는 인출연결줄이 권취되며 또한 상기 인출부재의 구동부는 상기 제2 결합부재의 원통부 내측으로 배치된채, 인출케이블선이 회동되게 결속되는 특징으로 제어발브수단의 개폐가 연출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
  12.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헤드의 발브결합부 하측에 내부 공간부가 형성된 원통체가 구성된채, 상기 원통체에는 안내구 및 결합구가 형성되어 상기 안내구를 통하여 인출연결줄이 상기 제어발브수단의 구동부에 결속되는 것과;
    상기 제어발브수단의 발브몸체에는 오일유체가 출입되는 오일유로가 형성된채,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발브결합부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과;
    상기 제어발브수단의 구동부에는; 토션스프링이 배치된채, 토션스프링의 일단부가 상기 원통체의 결합구에 지지됨과 아울러 토션스프링의 타단부는 제어발브수단의 구동부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특징으로 토션스프링의 회전력으로 제어발브수단의 발브체가 상기 발브시트에 밀착되게 배치됨과 아울러 인출연결줄의 인출에 따라 제어발브수단의 개폐가 연출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헤드의 상면에는; 제1 체결구 및 제2 체결구가 형성된 제2 결합체가 구성됨과 아울러 제2 결합체의 양측면에는; 회전부재가 결합된 안장고정부재가 상호 마주보며 배치된채, 고정볼트에 의하여 조립식으로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과;
    상기 안장고정부재 각각의 상면 일측에는 안장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안장결합수단이 배치된채, 회전부재와 상기 상부클램프는 고정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안장고정부재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
  14. 제 8항에 있어서,
    포스트헤드에 장착되는 씰링부재의 상부 내측에는; 연결줄이 권취되는 권취홀이 형성되어 상기 권취홀에 높이조절부재가 제공된채, 상기 포스트헤드의 중심 하부에는 상기 로드결합부가 구성되는 것과;
    포스트헤드에는; 상기 권취홀과 직교 되도록 외주면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기 권취홀을 관통하는 에어유로가 형성된채, 상기 에어유로의 입측에는 에어주입부재가 결합되며, 또한 상기 에어유로의 단부측에서 포스트헤드의 로드결합부 일측 하면으로 안내로가 형성되는 특징으로 상기 안내로를 통하여 시트포스트 내측으로 압축유체가 출입됨과 아울러 상기 높이조절부재에 권취된 연결줄이 상기 로드결합부 외곽으로 출입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헤드의 권취홀은 일단부가 외주면으로 관통되고, 상기 권취홀의 타단부는 상기 권취홀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결합홀이 포스트헤드 외주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된채, 상기 권취홀에는; 연결줄이 권취되는 권취부 및 결합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압축유체의 누설이 방지되는 오링이 장착된 높이조절부재가 제공되는 것과;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일단부에는 각형의 구동부가, 타단부에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록킹부재가 결합된채, 상기 록킹부재가 포스트헤드의 상기 결합홀을 통하여 시트포스트 외주면 외곽으로 돌출되며, 또한 시트포스트의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록킹부재에 록킹너트가 체결되어 높이조절부재의 일단부가 권취홀의 결합홀 벽면에 밀착되게 결합되는 특징으로 높이조절부재의 회전이 방지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
  1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부재의 제2 커버링에는; 인출밀폐부재를 포함하여 제1a 결합부재 및 인출회동부재로 구성된 제1a 인출수단이 결합되어 인출연결줄은 외함실린더 내측에서 인출밀폐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인출회동부재에 결속되는 특징으로 인출회동부재를 회동하게 되면, 상기 인출연결줄이 인출되어 제어발브수단의 개폐가 연출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부재의 제2 커버링 외주면에는; 상기 인출밀폐부재가 결합되는 체결홀이 형성되는 것과;
    상기 제1a 결합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인출밀폐부재가 고정되게 결합된채, 상기 제2 커버링의 체결홀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또한 상기 제1a 결합부재 타측에는; 횡방향으로 회동되는 인출회동부재가 구성됨과 아울러 케이블고정부재가 결합된채, 인출케이블선이 상기 인출회동부재에 권취되는 것과;
    상기 인출밀폐수단 내측에는; 다 수개의 오링이 장착된채, 상기 인출연결줄이 관통되어 제1a 결합부재에 형성된 안내구를 통하여 인출회동부재에 권취되는 특징으로 상기 인출회동부재의 회전에 따라, 인출연결줄의 인출력이 연출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
  1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부재의 제2 커버링에는; 제1b 인출부재를 포함하여 제1b 결합부재 및 제2b 결합부재로 구성된 제1b 인출수단이 결합되어 상기 제1b 인출부재에 인출연결줄이 회동되게 권취되는데 있어서,
    상기 제1b 결합부재는; 체결부 및 원통부로 구성된채, 제2 커버링에 결합되어 상기 체결부 내측에는 인출연결줄이 출입되는 안내로가 형성되며, 또한 제1b 결합부재의 원통부 내측에는; 권취홀 및 결합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b 인출부재의 선단부가 상기 결합홀에 밀착 슬라이딩되게 배치되는 것과;
    상기 제1b 인출부재는; 권취부 및 구동부로 구성되어 권취부에는; 씰링부재가 장착됨과 아울러 인출연결줄이 권취된채, 상기 구동부에는; 인출케이블선이 클램프에 의하여 회동되게 권취되며, 또한 상기 권취부에는 출입구 및 출입로가 형성된채, 인출연결줄이 상기 제1b 결합부재의 안내로를 통하여 제1b 인출부재의 권취부에 회동되게 권취되는 것과;
    상기 제2b 결합부재는; 내부공간부 및 원통체가 구성된채, 상기 제1b 결합부재의 외주면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상기 제1b 인출부재의 이탈을 방지 시키며, 또한 상기 제2b 결합부재의 일측 외주면에는 케이블고정부재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특징으로 인출케이블선을 이용하여 제1b 인출부재를 회전하게 되면, 제1b 인출부재의 권취부에 인출연결줄이 권취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
  19. 제 1항에 있어서,
    외함실린더를 구성하는 커버링부재에는; 인출연결줄이 출입되는 출입구 및 제1 수직안내로가 형성된채, 인출연결줄을 인출하는 제3 인출수단이 구성되는 것과;
    상기 커버링부재 하면에 배치되는 외함실린더의 외주면에는; 상기 커버링부재의 내경보다 직경이 확장되는 안내고정부재가 고정되게 결합된채, 상기 안내고정부재의 외주면 일측에는; 인출연결줄이 출입되는 제2 수직안내로가 형성되는 것과;
    외함실린더의 실린더헤드에는; 발브체를 포함하여 발브몸체 및 구동부, 구동권취부로 구성된 제3 제어발브수단이 제공된채, 상기 제3 제어발브수단의 구동권취부가 상기 실린더헤드에 구성되는 오일커버링 하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3 인출수단에 결속된 인출연결줄의 일단부가 상기 구동권취부에 회동되게 권취되는 특징으로 상기 제3 인출수단의 인출연결줄을 인출하게 되면, 제3 제어발브수단의 개폐가 연출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헤드에 구성되는 오일커버링은; 결합부 및 원통체로 구성되어 상기 실린더헤드에 체결되며, 또한 상기 오일커버링의 원통체에는; 상기 제3 제어발브수단의 구동권취부가 관통되는 출입구가 형성된채, 오일누설이 차단되는 씰링부재가 장착되는 것과;
    상기 제3 제어발브수단의 구동부에는; 토션스프링이 제공됨과 아울러 상기 구동권취부는 상기 오일커버링의 원통체에 형성된 출입구 외측 하부로 돌출된채, 상기 구동권취부의 외주면에 인출연결줄이 회동되게 권취되는 특징으로 인출연결줄의 인출에 따라 제3 제어발브수단의 개폐가 연출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헤드에는 안장결합수단을 지지하고 고정하는 안장결합체 및 회전부재가 구성된채, 상기 회전부재에 연결줄의 일단부가 회동되게 결속되는 것과;
    상기 외함실린더를 구성하는 커버링부재의 일측에 고정부재가 구성된채, 상기 연결줄의 타단부가 결속되어 포스트헤드의 안장결합수단과 외함실린더의 커버링부재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연결줄로 상호 결속되는 특징으로 연결줄의 길이에 따라 시트포스트의 상승 높이가 일정하게 제한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
KR1020210022902A 2021-02-20 2021-02-20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 KR102478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902A KR102478300B1 (ko) 2021-02-20 2021-02-20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902A KR102478300B1 (ko) 2021-02-20 2021-02-20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9245A KR20220119245A (ko) 2022-08-29
KR102478300B1 true KR102478300B1 (ko) 2022-12-15

Family

ID=83113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902A KR102478300B1 (ko) 2021-02-20 2021-02-20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83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21873B2 (ja) * 2019-10-09 2023-08-07 株式会社シマノ 人力駆動車用の制御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480B1 (ko) 2007-11-06 2010-01-14 조석귀 높낮이 조절장치
KR100939140B1 (ko) 2009-08-13 2010-01-28 신재익 유량 조절식 높낮이 조절장치
KR101089428B1 (ko) 2011-06-17 2011-12-07 이명아 높낮이 조절장치
KR101803626B1 (ko) 2016-01-20 2017-12-28 김원봉 높낮이 조절장치
US9878754B2 (en) 2016-02-24 2018-01-30 Taiwan Hodaka Industrial Co., Ltd.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 bicycle seat pos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1717A (ko) * 2012-04-02 2013-10-11 이명아 좌부의 높이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480B1 (ko) 2007-11-06 2010-01-14 조석귀 높낮이 조절장치
KR100939140B1 (ko) 2009-08-13 2010-01-28 신재익 유량 조절식 높낮이 조절장치
KR101089428B1 (ko) 2011-06-17 2011-12-07 이명아 높낮이 조절장치
KR101803626B1 (ko) 2016-01-20 2017-12-28 김원봉 높낮이 조절장치
US9878754B2 (en) 2016-02-24 2018-01-30 Taiwan Hodaka Industrial Co., Ltd.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 bicycle seat po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9245A (ko) 202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8300B1 (ko) 자전거 안장 높낮이 조절장치
CN104443239B (zh) 链张紧设备
TWI419808B (zh) 自行車座椅高度調整方法
US8177251B2 (en) Bicycle seatpost assembly
TWI589475B (zh) 可調式自行車座管結構及其自行車
US20130307299A1 (en) Adjustable seat post assembly for bicycles and the like
NZ233968A (en) Diving regulator demand valve
US20110037011A1 (en) Non-adjustable water pressure and flow speed regulating flush system
KR101803626B1 (ko) 높낮이 조절장치
KR20200083888A (ko)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
JP4741950B2 (ja) 流体シリンダを用いた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チョークバルブ装置
EP3954836B1 (en) Slide shower
KR200309576Y1 (ko) 자전거 안장, 탁자, 의자 시트등의 높이조절장치
KR102409910B1 (ko)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
KR101892421B1 (ko) 단열팽창을 이용한 운동기구
CN108131346B (zh) 一种三通单向调速阀
US7134534B2 (en) Damper for front fork of vehicle
KR101925450B1 (ko) 압축/인장에 따른 속도 제어 기능을 갖는 가스 실린더
KR20210053463A (ko) 자전거 리어 서스펜션 프레임
CN219375763U (zh) 可移动式中心供氧装置
CN110274065A (zh) 一种燃气调压器防喘振装置
JPH07232900A (ja) バランス装置
US3020891A (en) Constant flow valve
CN205618747U (zh) 止回阀
US674889A (en) Speed-controller for vertical hydraulic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