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910B1 -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 - Google Patents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910B1
KR102409910B1 KR1020190158568A KR20190158568A KR102409910B1 KR 102409910 B1 KR102409910 B1 KR 102409910B1 KR 1020190158568 A KR1020190158568 A KR 1020190158568A KR 20190158568 A KR20190158568 A KR 20190158568A KR 102409910 B1 KR102409910 B1 KR 102409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fork
coupling
tube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8946A (ko
Inventor
김원봉
Original Assignee
김원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봉 filed Critical 김원봉
Priority to KR1020190158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910B1/ko
Publication of KR20210068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8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B62K25/06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telescopic fork, e.g. including auxiliary rocking arms
    • B62K25/08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telescopic fork, e.g. including auxiliary rocking arms for front 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6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both gas and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05Throttling passages in or on piston body, e.g. slo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46Adjustment of valve bias or pre-str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Axle Suspensions And Sidecars For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 서스펜션 포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헤드튜브 내측에 댐퍼조절기가 제공되는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자전거 프레임의 헤드튜브에는; 축수부재가 구성되어 상ㆍ하부베어링이 장착되고, 댐퍼조절기는 압축유체의 에어스프링 및 오일유체의 오일댐퍼방식으로 구성된채, 댐퍼조절기의 댐퍼실린더는 시프트로드와 함께 동일회전으로 회동되는 것과; 상기 시프트로드에는 로드결합부재 및 하부축받이가 구성된채, 상기 로드결합부재는; 상기 축수부재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부축받이를 포함하여 자전거 핸들을 지지하는 스탬 및 고정부재 수단으로 헤드튜브 내측에 회동되게 결합되며, 또한 댐퍼조절기에 구성되는 피스톤에는; 오일유체 흐름을 제어조절하는 댐퍼조절수단이 제공된채, 댐퍼조절수단의 조절봉이 상기 로드결합부재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댐퍼조작부가 결합되는 것과; 상기 프런트 포크는; 전륜휠이 지지되는 포크튜브수단 및 포크결합수단으로 구성되어 포크튜브수단을 구성하는 포크튜브에는 압축유체가 저장되며, 포크결합수단에는 댐퍼실린더가 결합된채, 포크튜브와 댐퍼실린더 사이에는 압축유체가 출입되는 특징으로 댐퍼조절기의 댐퍼작용이 연출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

Description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FRONT SUSPENSION FORK FOR BICYCLE}
본 발명은 자전거 서스펜션 포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이륜차의 전륜휠 외부충격을 완충하는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는 자전거 전륜 휠의 양측에 마주보게 구성되어 자전거 전륜 휠의 외부충격 흡수 및 충격완충을 유도하여 자전거의 승차감 개선과 구동 휠의 접지력을 확보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종래의 자전거 서스펜션 포크는 첨부도면 제18도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서스펜션 포크(1)의 스티어링 튜브(10)에서 분기되는 크라운(20)의 양단부에 고정되게 구성된채, 자전거 전륜 휠 양측에 배치되는데 있어서, 일측의 압축서스펜션 포크(60)는 외부 충격에 따라 코일 스프링(64) 또는 밀폐된 에어챔버(65)의 압축공기 탄성력을 이용한 에어 스프링("압축공기의 팽창력을 이용한 탄발력" 이하 에어 스프링이라 칭함)의 탄발력을 이용하여 압축 또는 신장되는 압축서스펜션 포크(60)가 구성되며, 또한 타측의 댐퍼서스펜션 포크(50)는 외부충격에 따른 압축 댐퍼작용 및 리바운드 댐퍼작용을 제어 조절하는 댐퍼서스펜션 포크(50)가 구성된채, 상기 각각의 압축서스펜션 포크(60)와 댐퍼서스펜션 포크(50)는 아치연결부재(40)로 고정되게 연결된 채, 한 쌍의 서스펜션 포크(1)를 구성하게 된다.
이렇게 구성된 서스펜션 포크(1)는 압축서스펜션 포크(60)와 댐퍼서스펜션 포크(50)가 각각 다른 역할기능(예컨데, 압축서스펜션 포크는; 로면의 충격에 따라 압축 또는 신장작용에 신속히 대응되며, 상기 댐퍼서스펜션 포크는; 상기 압축서스펜션의 압축 또는 신장력을 제어하는 상반된 작용을 하여 로면의 충격을 감쇠시킴)으로 상반되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 상기 압축서스펜션 포크(60)와 상기 댐퍼서스펜션 포크(50)를 한 쌍으로 연결하는 상기 아치연결부재(40)는 상기 두 개의 서스펜션 포크(50),(60) 사이에 언발란스가 없도록 견고하게 구성됨과 아울러, 상반되는 다른 기능역할에 따라 상기 두 개의 서스펜션 포크(50),(60)는 좀 더 튼튼하게 구성되어 무게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압축서스펜션 포크(60)에 사용되는 코일 스프링(64)은 압축 및 신장되는 길이변화가 한정되어 서스펜션 포크(1)의 가변량이 제한됨과 아울러 코일 스프링(64)의 무게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소하고자 최근에는 상기 압축서스펜션 포크(60)의 내통 실린더(62)에 피스톤(63)을 장착한채, 상기 피스톤(63) 상측의 에어챔버(65)에 공기압을 이용한 에어 스프링이 함께 도입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64)의 문제점을 보완하였으나, 상기 에어 스프링은 서스펜션 포크의 기능에 있어서, 외부충격에 대항하는 압축 또는 팽창작용에 국한된채, 댐퍼작용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기능상의 제약점이 내포되어 있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상기 압축서스펜션 포크로 활용되는 에어 스프링 방식은 하나의 독립적인 실린더에 한정되어 압축유체의 팽창과 압축작용이 함께 연출되게 되므로 압축서스펜션 실린더의 한정된 밀폐공간 상태에서 압축비가 크게 형성되게 된다.
이리하여 압축유체의 압력이 높을 경우 서스펜션 포크의 댐퍼성능이 저하되며, 또한 압축유체의 압력이 낮을 경우 서스펜션 포크의 외부충격에 따른 압축 팽창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어 이를 개선 하고자 할 경우 압축서스펜션 포크의 크기를 크게 구성하게 되면, 자전거 프레임의 무게가 증가되게 된다.
여기서 미 설명부호 66은 에어주입구 이며, 또한 미 설명부호 51,61은 상기 서스펜션 포크(1)의 외통 실린더이고, 미 설명부호 55는 오일챔버이다.
상기 댐퍼서스펜션 포크(50)는; 댐퍼서스펜션 포크(50) 내통 실린더(52)에 오일을 매개체로하는 오일의 유체흐름 제어를 연출하여 서스펜션 포크(1)의 외부충격에 따라 압축 댐퍼작용을 수행하는 압축 댐퍼수단(53) 및 리바운드 댐퍼작용을 수행하는 리바운드 댐퍼수단(54)의 두 가지 제어조절 기능이 각각 제공되는데 있어서, 상기 압축 댐퍼수단(53)은; 도로 로면이 포장되어 로면이 고른 주행길 또는 언덕길 상승 주행(업 휠)시 페달을 밝는 에너지 손실을 저감하기 위히여 주로 사용하는 기능으로써, 도로 로면이 포장되어 빠른 주행이 필요 하거나, 언덕길 주행시에는 압축 댐퍼수단(53)을 차단(락 아웃)상태로 주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상기 압축 댐퍼수단(53) 제어조절 기능의 댐퍼조절레버(30)은 댐퍼서스펜션 포크(50) 상부에 제공되어 자전거 주행중 임의로 압축 댐퍼작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상기 리바운드 댐퍼수단(54)은; 도로 로면이 비포장되어 요철부가 있는 주행길의 자전거 주행중 통상적인 외부충격에 따라 댐퍼서스펜션 포크(50)가 압축되었다가 팽창 및 신장되는 리바운드 댐퍼작용을 구현하여 자전거 주행의 외부충격 댐퍼작용 기능을 연출하게 되는 것으로, 리바운드 댐퍼수단(54)의 제어조절은 서스펜션 포크(50) 하부에 제공되는 댐퍼조절체(31)에 의하여 리바운드 댐퍼작용 조절이 구현되므로 자전거 주행중 임의로 리바운드 댐퍼작용의 제어조절이 불가능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무엇보다 상기 압축 댐퍼수단(53)과 상기 리바운드 댐퍼수단(54)을 함께 구성하여 연출하는 제어조절수단이 복잡하게 구성되어 댐퍼서스펜션 포크(50)의 구성이 복잡함과 아울러 고장에 따른 수리 및 정비관리가 난이하며, 또한 댐퍼조절 가변길이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댐퍼조절 가변길이를 확장하고자 할 경우 댐퍼서스펜션 포크의 길이가 크게 확장되어 자전거 경량화를 요구하는 수준에 비하여 무게가 크게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종래의 서스펜션 포크(1)는 외부충격에 따른 리바운드 댐퍼수단(54)에 의하여 댐퍼작용이 연출되는 반면에, 압축 댐퍼수단(53)에는 외부충격에 따른 단순 탄발력의 작용이 연출되어 서스펜션 포크의 세밀한 댐퍼제어 및 높낮이 제어 조절의 구성에 따른 댐퍼제어 효율성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여러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연출한 것으로,
종래의 서스펜션 포크는 압축 서스펜션포크 및 댐퍼 서스펜션 포크로 각각 구성된채, 상기 두 개의 서스펜션 포크가 아치연결부재에 의하여 한 쌍으로 구성되는 방식인바' 그 구성이 복잡하고 무게가 증가되는 문제를 해소함과 아울러 자전거의 핸들에서 간단하게 구성되는 조절레바를 이용하여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의 댐퍼조절기 댐퍼제어가 용이하게 연출되고, 또한 자전거 프런트 포크에 압축유체가 저장되어 프런트 포크의 강성이 증가되며, 또 압축유체의 에어스프링으로 작동되는 댐퍼조절기의 압축유체 압축비를 완만하게 연출하여 댐퍼성능이 개선되는 구성이 간단하고, 무게가 가벼운 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전거 프레임을 구성하는 헤드튜브 내부 상측으로 축수부재가 구성된채, 상기 축수부재 하측으로 댐퍼작용이 연출되는 댐퍼조절기가 제공되는데 있어서, 헤드튜브에는; 축수부재가 구성되어 상ㆍ하부베어링이 장착되고, 댐퍼조절기는 에어스프링 및 오일댐퍼방식으로 구성된채, 댐퍼실린더는 시프트로드와 함께 회동되고, 상기 시프트로드에는 로드결합부재 및 하부축받이가 구성된채, 상기 로드결합부재는; 축수부재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부축받이를 포함하여 자전거 핸들을 지지하는 스탬 및 고정부재 수단으로 상기 헤드튜브 내측에 회동되게 결합되며, 또한 댐퍼조절기에 구성되는 피스톤에는; 댐퍼조절수단이 제공된채, 조절봉이 상기 로드결합부재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댐퍼조작부가 결합되는 것과; 상기 프런트 포크는; 전륜휠이 지지되는 포크튜브수단 및 포크결합수단으로 구성되어 포크튜브수단에 구성되는 포크튜브에는 압축유체가 저장되며, 포크결합수단에는 댐퍼실린더가 결합된채, 상기 포크튜브와 댐퍼실린더 사이에는 압축유체가 출입되는 특징으로 댐퍼조절기의 댐퍼작용이 연출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댐퍼조절기는; 댐퍼실린더에 댐퍼조절수단 및 시프트로드가 구성된 피스톤이 배치되어 에어작동실 및 오일댐퍼실이 형성된채, 댐퍼작용이 연출되는데 있어서,
댐퍼실린더의 내측에는 압축유체의 에어스프링으로 작동하는 피스톤이 제공됨과 아울러 댐퍼실린더 내측에서 피스톤의 회전이 방지된채, 함께 회동되고, 상기 시프트로드는; 오일유체를 저장하는 오일챔버가 형성된채, 로드결합부재 및 하부축받이가 구성되는 것과; 상기 피스톤에는 댐퍼결합홀 및 발브챔버가 형성된채, 상기 오일댐퍼실과 발브챔버는 안내유로를 포함하여 첵크발브유로 및 발브유로에 의하여 상호 연통되며, 또한 상기 댐퍼결합홀 및 발브챔버에는; 첵크발브부재를 포함하여 댐퍼조절부재 및 조절봉으로 구성된 댐퍼조절수단이 제공됨과 아울러 댐퍼조절수단의 조절봉은 상기 로드결합부재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조절봉의 제어조절에 따라 댐퍼조절기의 댐퍼작용이 조절되는 수단과 함께 시프트로드의 회전에 따라 댐퍼조절기가 헤드튜브 내측에서 함께 회전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런트 포크는; 포크결합수단 및 포크튜브수단으로 구성되는데 있어서, 상기 포크튜브수단에 구성되는 포크튜브 상측에는 포크결합수단과 결합되는 튜브고정부재가 고정되게 결합되며, 또한 상기 포크튜브의 하측에는 전륜휠을 지지하는 휠고정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포크튜브 내측에는 압축유체가 저장되는 에어챔버가 형성되는 것과; 상기 포크결합수단은 스페이서링을 포함하는 상부결합부재 및 하부결합부재로 구성되어 포크결합수단의 중심에 상기 댐퍼실린더가 고정되게 결합되고, 또한 상기 포크결합수단의 양측에는 상기 튜브고정부재가 고정되게 결합된채, 상기 상부결합부재에 형성되는 에어유로 및 에어주입수단을 통하여 상기 댐퍼실린더와 에어챔버에는; 압축유체가 상호 출입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헤드튜브에는; 축수부재가 고정되게 결합된채, 축수부재에는 상ㆍ하부베어링이 장착되는 것과; 상기 시프트로드의 상단에 구성되는 로드결합부재는 상기 축수부재의 상부베어링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시프트로드의 외주에 구성되는 하부축받이는 상기 하부베어링에 밀착 지지되는 것과; 상기 로드결합부재에 구성되는 원통체의 외곽부 및, 상기 상부베어링 상단에는 상부축받이가 결합된채, 상기 상부축받이의 상면에는 상기 스탬에 구성되는 스탬결합부재가 배치되며, 또한 상기 로드결합부재에 구성되는 고정체에는 고정부재가 체결되어 상기 스탬결합부재 및 시프트로드는 축수부재의 상ㆍ하베어링에 회동되게 결합되는 특징으로 상기 스탬의 회전에 따라 댐퍼조절기가 함께 회전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댐퍼실린더에 구성되는 로드커버부재는 상기 헤드튜브 내면에 밀착되게 배치된채, 로드커버부재의 내측에는 오일패킹 및 안내부싱이 장착되며, 또한 로드커버부재의 외주면에는 축방향으로 관통되는 안내홈이 다 수개 형성되어 댐퍼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상기 헤드튜브 내ㆍ외부로 외기가 출입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댐퍼실린더 하부 내측에는 헤드부재가 결합된채, 댐퍼실린더의 하측 외주면에는 상기 포크결합수단과 고정볼트에 의하여 고정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가 구성되고, 또한 상기 댐퍼실린더의 하측 외주면에는 에어출입구 및 에어안내로가 형성되는 특징으로 댐퍼실린더와 포크튜브 사이로 압축유체가 출입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헤드튜브의 내측에 축수부재가 접착재 및 고정볼트 수단으로 고정되게 결합된채, 상기 축수부재에 상ㆍ하부에 베어링이 장착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댐퍼조절기의 피스톤에는; 시프트로드가 결합되는 로드결합체가 구성된채, 상기 로드결합체 중심의 댐퍼결합홀 및 발브챔버가 형성되어 상기 댐퍼조절수단이 제공되며, 또한 상기 댐퍼결합홀의 일측 원주상에는 축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구가 다 수개 형성된채, 댐퍼실린더의 헤드부재에 구성되는 원통키가 피스톤의 상기 관통구에 배치되어 댐퍼실린더에서 피스톤의 회전이 방지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시프트로드는; 내측에 오일챔버를 갖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된채, 하부에는 체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또한 상기 시프트로드의 상부에는 체결부가 형성되어 나사체결부를 갖는 원통체 및 나사체결부를 갖는 고정체로 구성된 로드결합부재가 고정되게 결합되며, 또한 상기 로드결합부재의 고정체에는 고정부재가 체결되어 헤드튜브의 축수부재에 회동되게 결합되고, 또 시프트로드의 외주면에는; 하부축받이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특징으로 시프트로드는 상기 헤드튜브의 축수부재에 회동되게 결합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댐퍼조절수단의 조절봉은; 내측에 안내유로가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된채, 조절봉의 상단에는 안내유로가 형성된 주입부재가 고정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주입부재에는 에어주입수단이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오일챔버에 오일 및 압축유체가 주입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댐퍼조절수단은; 첵크발브부재를 포함하여 댐퍼조절부재 및 조절봉으로 구성되어 오일댐퍼실과 오일챔버 사이의 오일유체 흐름을 제어조절 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댐퍼조절부재는; 나사부를 갖는 원통체 및 발브면을 갖는 조절발브체로 구성되어 내측 축방향으로 오일유로가 형성된채, 상기 원통체의 상측과 조절발브체의 하측 외주면 각각에 상기 오일유로와 관통되는 출입구가 형성되어 댐퍼조절기의 댐퍼작용이 연출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첵크발브부재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된채, 내측에는 상기 조절발브체에 밀착 슬라이딩되는 섭동부 및 상기 섭동부의 내경보다 크게 확장되는 발브작동부가 형성되어 스프링의 탄발력으로 상기 조절발브체의 외주면 상ㆍ하로 왕복작동 되도록 배치되는 특징으로 상기 첵크발브유로는 첵크발브부재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됨과 아울러 상기 발브유로는 댐퍼조절부재에 구성되는 조절발브체에 의하여 오일유체의 제어흐름이 연출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봉은; 상기 댐퍼조절부재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상기 시프트로드의 로드결합부재를 관통하여 댐퍼조절수단을 제어조절 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포크튜브수단은; 파이프 형상을 갖는 포크튜브 상측 외주면에 원통형상의 튜브고정부재가 접착제 수단으로 고정되게 결합된채, 상기 튜브고정부재에는 축방향으로 고정홀 및 다 수개의 출입구가 형성되며, 또한 포크튜브 하단 내측에는 자전거 전륜휠을 지지하는 휠고정부재가 접착제 수단으로 고정되게 결합되어 포크튜브 내측에 형성되는 오일챔버는 외부로부터 차단된채, 상기 튜브고정부재의 출입구로 압축유체가 출입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포크결합수단은; 스페이서링을 포함하여 상부결합부재와 하부결합부재로 구성된채, 상기 튜브고정부재에 의하여 상호 고정되게 결합되는데 있어서, 상부결합부재의 중심에는 결합부가, 양측 각각에는 결합홈 및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결합부재의 중심에는 고정홀이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 각각에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결합부재의 결합홈에 튜브고정부재가 고정볼트에 의하여 고정되게 결합된채, 상부결합부재와 하부결합부재는 스페이서링의 양단부에 상호 밀착하여 고정되게 결합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포크결합수단의 상부결합부재는; 평면판재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결합부재의 결합부와 결합홈은 상호 연통되는 다 수개의 에어유로가 형성된채, 상부결합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에어유로와 연통되는 에어주입수단이 제공되는 특징으로 압축유체가 포트튜브와 댐퍼실린더에 출입됨과 아울러 압축유체가 주입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댐퍼조절기의 피스톤의 하면에 형성되는 상기 관통구 각각에는 오링홈이 형성된채, 오링이 안착되며, 또한 상기 피스톤 하면에는; 상기 오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원판부재가 고정볼트에 의하여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원판부재에는 상기 원통키가 출입되는 출입구가 형성되는 특징으로 상기 피스톤의 관통구를 통하여 유체흐름이 차단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같이 본발명의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는; 프런트 서스펜션 기능을 연출하는 댐퍼조절기가 하나로 구성된채, 자전거 헤드튜브 내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회동되게 결합되어 자전거 핸들의 조작에 따라 상기 댐퍼조절기를 포함하는 프런트 포크가 함께 회동되는 특징으로 종래의 두 개로 이루어진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에서 구성되는 아치연결부재가 생략되어 그 구성이 간단하여 무게가 가볍다.
또 본 발명 댐퍼조절기는 압축유체의 에어스프링 작용 및 오일유체 오일댐퍼 방식으로 구성된채, 에어스프링의 압축유체가 프런트 포크의 포크튜브에 저장되는 특징으로 외부충격에 따라 댐퍼조절기의 압축유체 압축비가 완만하게 연출되어 댐퍼조절기의 댐퍼제어 성능이 우수하며, 그 구성이 간단하여 무게가 더 가볍고, 댐퍼조절수단의 댐퍼조작부가 자전거 헤드튜브 상측에 배치되는 특징으로 댐퍼조절기의 제어 조절이 매우 용이하게 실시된다.
또한 상기 댐퍼조절기에 활용되는 압축유체가 자전거의 프런트 포크에 저장되는 특징으로 자전거 프런트 포크의 강성이 증가되어 프런트 포크의 무게를 더 가볍게 구성할 수 있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제 2도는 제1도중 헤드튜브를 포함하여 댐퍼조절기 및 프런트 포크를 종방향으로 절개하여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종단면도
제 3도는 제1도중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의 구성수단 결합관계를 분해하여 나열한 사시도.
제 4도는 제2도중 본 발명의 헤드튜브와 댐퍼조절기가 결합되는 일 실시예를 종방향에서 예시한 종단면도
제 5도는 제2도중 본 발명의 프런트 포크와 댐퍼조절기가 결합되는 일 실시 예를 종방향에서 예시한 종단면도
제 6도는 제2도중 댐퍼조절기의 댐퍼실린더를 예시한 종단면도
제 7도는 제2도중 본 발명 댐퍼조절기의 피스톤을 포함하는 시프트로드 및 댐퍼조절수단을 종방향에서 예시한 종단면도.
제 8도는 제7도중 댐퍼조절수단의 일 실시예를 종방향에 예시한 종단면도
제 9도는 제7도중 댐퍼조절기의 피스톤 및 댐퍼조절수단의 결합관계에 따른 일 실시예를 예시한 종단면도
제 10도는 제7도중에 댐퍼조절기의 피스톤 및 댐퍼조절수단의 결합관계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를 예시한 종단면도
제 11도는 제7도중 댐퍼조절기의 피스톤에 댐퍼조절수단을 취외하여 다른 일 실시예를 예시한 종단면도
제 12도는 제5도중 댐퍼실린더를 취외하여 프런트 포크를 예시한 종단면도
제 13도는 제12도중 포크튜브수단의 튜브고정부재를 취외하여 포크결합수단을 예시한 종단면도
제 14도는 제13도중 포크결합수단의 상부결합부재를 상측에서 예시한 평면도
제 15도는 제13도중 포크결합수단의 하부결합부재를 하측에서 예시한 배면도
제 16도는 제2도중 프런트 포크를 구성하는 포크튜브수단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종단면도
제 17도는 본 발명의 댐퍼조절기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종단면도
제 18도는 종래의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포크를 예시한 종단면도.
본 발명의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은 첨부도면 제1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자전거의 헤드튜브(100) 내측에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의 댐퍼조절기(1000)가 제공되어 헤드튜브(100) 내ㆍ외부로 왕복 작동됨과 아울러 헤드튜브(100) 내측에서 회동되게 구성되고, 또한 댐퍼조절기(1000)의 하부에 자전거 전륜휠이 지지되는 포크튜브수단(300) 및 포크결합수단(200)으로 구성되는 프런트 포크(2000)가 고정되게 결합된다.
헤드튜브(100) 상측에 자전거 핸들이 수용되는 스탬(400)의 스탬결합부재(410)가 댐퍼조절기(1000)와 함께 고정부재(1340)에 의하여 고정되게 결합되어 상기 스탬결합부재(410)를 회전하게 되면, 헤드튜브(100)에서 댐퍼조절기(1000)가 회동됨과 아울러 프런트 포크(200)가 함께 회동되며, 또한 댐퍼조작부(1440)를 조절하게 되면, 댐퍼조절기(1000)의 댐퍼작용이 제어 조절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프런트 포크(2000)를 구성하는 포크튜브수단(300)의 하측에는 자전거 전륜휠이 결합되는 휠고정부재(330),(330')가 구성된채, 포크튜브(310),(310')에 압축유체가 저장되는 특징으로 포크튜브(310),(310')의 강성력이 더 증가된다.
또 바람직하게는 헤드튜브(100) 외주면에는 자전거 프레임을 구성하는 톱튜브(100a) 및 보텀튜브(100b)가 고정되게 결합되어 본 발명이 구성되게 된다.
상세하게는 첨부도면제 제2도 내지 제3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는 외부충격을 흡수하는 댐퍼조절기(1000) 및 전륜휠을 지지하는 프런트 포크(2000)로 구성되어 댐퍼조절기(1000)가 자전거 프레임의 헤드튜브(100) 내측에서 회동되게 구성되는데 있어서,
헤드튜브(100)에는; 축수부재(110)가 구성되어 상ㆍ하부베어링(120),(120')이 장착되고, 상기 댐퍼조절기(1000)는 압축유체의 에어스프링 및 오일유체의 오일댐퍼방식으로 구성된채, 댐퍼조절기(1000)의 댐퍼실린더(1100)는 시프트로드(1300)와 함께 동일 회전으로 회동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시프트로드(1300)에는 로드결합부재(1310) 및 하부축받이(1320)가 구성된채, 상기 로드결합부재(1310)는; 상기 축수부재(11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부축받이(1330)를 포함하여 자전거 핸들을 지지하는 상기 스탬결합부재(410) 및 고정부재(1340) 수단으로 헤드튜브(100) 내측에 회동되게 결합된다.
또한 댐퍼조절기(1000)에 구성되는 피스톤(1200)에는; 오일유체 흐름을 제어 조절하는 댐퍼조절수(1400)단이 제공된채, 댐퍼조절수단(1400)의 조절봉(1430)이 상기 로드결합부재(1310)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댐퍼조작부(1440)가 결합된다. 이리하여 댐퍼조작부(1440)를 조작하면, 상기 댐퍼조절수단(1400)에 의하여 댐퍼조절기(1000)의 댐퍼작용이 제어 조절된다.
그리고 프런트 포크(2000)는; 전륜휠이 지지되는 포크튜브수단(300) 및 포크결합수단(200)으로 구성되어 2개가 한 쌍으로 구성되는 포크튜브(310),(310')에는 압축유체가 저장되며, 포크결합수단(200)은 댐퍼조절기(1000)의 댐퍼실린더(1100)와 고정되게 결합된채, 댐퍼실린더(1100)와 포크튜브(310),(310') 사이에 압축유체가 출입되게 구성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포크튜브(310),(310')와 댐퍼실린더(1100) 사이에는 압축유체가 출입되는 특징으로 댐퍼조절기(1000)의 압축유체 에어스프링의 댐퍼작용이 연출됨과 아울러 상기 포크튜브(310),(310')는 압축유체에 의하여 강성력이 증가되며, 또한 이때 외부충격에 의한 댐퍼조절기(1000)의 댐퍼실린더(1100)에 작용되는 압축유체가 포크튜브(310),(310')로 자유롭게 출입되는 특징으로 댐퍼실린더(1100)의 압축유체 압축비가 완만하게 연출되므로 댐퍼작용이 완만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포크튜브(310),(310') 및 헤드튜브(100)는 특정 재질에 국한 되는 것이 아니고 알루미늄 포함하여 카본, 티타늄, 스틸, 강화플라스틱, 대나무 등등의 다양한 재질을 이용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는 자전거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오토바이 및 전동킥보드 등등의 이륜차량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요소별 구성수단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댐퍼조절기는; 첨부도면 제2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댐퍼실린더(1100)에 댐퍼조절수단(1400) 및 시프트로드(1300)가 구성된 피스톤(1200)이 배치되어 에어작동실(P1) 및 오일댐퍼실(P2)이 형성된채, 댐퍼작용이 연출되는데 있어서,
댐퍼실린더(1100)의 내측에는 압축유체의 에어스프링으로 작동하는 피스톤(1200)이 제공됨과 아울러 댐퍼실린더(1100) 헤드부재(1130)에 입설되는 원통키(1140)가 피스톤(1200)의 상ㆍ하로 출입되는 특징으로 댐퍼실린더(1100) 내측에서 피스톤(1200)의 회전이 방지된채, 함께 회동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피스톤(1200)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로드결합부재(1310)가 구성된 시프트로드(1300)는 댐퍼실린더(1100)와 함께 헤드튜브(100) 내측에서 회동되게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프트로드(1300)는; 오일유체를 저장하는 오일챔버(C1)가 형성된채, 시프트로드(1300) 상단에 로드결합부재(1310)가 고정되게 결합됨과 아울러 시프트로드(1300) 외주에는 하부축받이(1320)가 구성된다. 이리하여 상기 시프트로드(1300)는 상기 축수부재(110) 및 하부베어링(120')에 지지되어 회동되게 결합됨과 아울러 본 발명의 댐퍼조절기(1000)가 헤드튜브(100) 내측에서 자유롭게 회전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1200)에는; 첨부도면 제7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댐퍼결합홀(1211) 및 발브챔버(1212)가 형성된채, 상기 오일댐퍼실(P2)과 발브챔버(1212)는 안내유로(1217),(1215)를 포함하여 첵크발브유로(1216) 및 발브유로(1215)에 의하여 상호 연통되며, 또한 상기 댐퍼결합홀(1211) 및 발브챔버(1212)에는; 첵크발브부재(1420)를 포함하여 댐퍼조절부재(1410) 및 조절봉(1430)으로 구성된 댐퍼조절수단(1400)이 제공된다.
이리하여 상기 첵크발브유로(1216)는 상기 첵크발브부재(142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오일유체의 출입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브유로(1215)는 댐퍼조절부재(1410)에 구성되는 조절발브체(1412)에 의하여 오일유체 흐름이 제어 조절되어 상기 오일댐퍼실(P2)과 오일챔버(C1) 사이에 오일유체 흐름제어의 댐퍼작용이 연출된다.
바람직하게는 댐퍼조절수단(1400)의 조절봉(1430)은 상기 로드결합부재(131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조절봉(1430)의 제어조절에 따라 댐퍼조절기의 댐퍼작용이 조절되며, 또한 시프트로드(1300)의 회전에 따라 댐퍼조절기가 헤드튜브 내측에서 함께 회전되는 특징을 갖는다.
그리고 첨부도면 제2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프런트 포크(2000)는 포크결합수단(200) 및 한 쌍의 포크튜브(310),(310')를 갖는 포크튜브수단(300)으로 구성되는데 있어서,
상기 포크튜브(310),(310') 상측에는 상기 포크결합수단(200)과 결합되는 튜브고정부재(320),(320')가 고정되게 결합되며, 또한 상기 포크튜브(310),(310')의 하측에는 자전거 전륜휠을 지지하는 휠고정부재(330),(330')가 고정되게 결합되어 상기 포크튜브(300),(300')내측에는 압축유체가 저장되는 에어챔버(C2),(C2')가 형성된다.
상기 포크결합수단(200)은; 스페이서링(230)을 포함하는 상부결합부재(210) 및 하부결합부재(220)로 구성되어 포크결합수단(200)의 중심에 댐퍼실린더(1100)가 고정되게 결합되고, 또한 상기 포크결합수단(200)의 양측에는 상기 포크튜브수단(300)의 튜브고정부재(320),(320')가 고정되게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첨부도면 제5도에 예시되는 바와가팅 상기 포크결합수단(200)의 상부결합부재(210)에 형성되는 에어유로(217) 및 에어주입수단(240)을 통하여 상기 댐퍼실린더(1100)와 에어챔버(C2)에는; 압축유체가 상호 출입되게 된다.
그러므로 상술한 바와같이 댐퍼실린더(1100)의 압축유체 압축비가 완만하게 연출됨과 아울러 포크튜브(310),(310')는 압축유체에 의하여 강성력이 증가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하 상기 헤드튜브와 댐퍼조절기의 결합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제4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헤드튜브(100) 상부 내측에 구성되는 축수부재(110)의 상부에는; 상부베어링(120)이, 축수부재(110)의 하측에는; 하부베어링(120')이 각각 배치되고, 또한 상기 시프트로드(1300)의 상단에 구성되는 로드결합부재(1310)는 상기 상부베어링(120)을 관통하고, 또한 상기 시프트로드(1300) 외주에 구성되는 상기 하부축받이(1320)는 상기 하부베어링(120')에 밀착 지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드결합부재(1310)에 구성되는 원통체의 외곽부 및, 상기 상부베어링(120) 상단에는 상부축받이(1330)가 결합되며, 또한 상기 상부축받이(1330)의 상면에는 상기 스탬(400)에 구성되는 스탬결합부재(410)가 배치된채, 상기 로드결합부재(1310)에 구성되는 고정체(1312)에 고정부재(1340)가 체결된다.
이리하여 상기 스탬결합부재(410) 및 시프트로드(1300)는 상기 로드결합부재(1320)의 고정체(1312)에 고정부재가(1340)가 체결되는 것에 의하여 축수부재(110)의 상ㆍ하베어링(120),(120')에 회동되게 결합된다.
그러므로 자전거 핸들이 수용되는 스탬(400)의 회전에 따라 헤드튜브(100)에서 댐퍼조절기가 함께 회전되는 특징을 갖는다.
여기서 상술한 로드결합부재(1310)는 첨부도면 제7도중 “도7-1”에 상세히 예시되는 바와같이 나사체결부를 갖는 원통체(1311) 및 나사체결부를 갖는 고정체(1312)로 구성되어 상기 로드결합부재(1310)의 고정체(1312)에는 상술한 고정부재(1340)가 체결되어 상기 헤드튜브(100)의 축수부재(110)에 회동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축받이(1330)는; 첨부도면 제4도중 “도4-1”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내측에 결합부(1334)가 형성되는 원통체(1331)로 구성된채, 상기 원통체(1331)의 내측 하면(도면상에서)에는 소정의 각도를 갖는 경사체(1332)가 구성되어 상기 상부베어링(120)의 상단에 밀착 지지되며, 또한 상기 원통체(1331)의 외주면에는 확장부(1333)가 구성되어 상기 헤드튜브(100)의 상단에 배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축받이(1320)는 첨부도면 제7도중 “도7-2”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내측에 결합부(1323)가 형성된 원통체(1321)로 구성된채, 원통체(1321)의 내측 상면(도면상에서)에는 소정의 각도를 갖는 경사체(1322)가 구성되어 상기 하부베어링(120')의 하단에 밀착 지지되게 된다.
상술한 상기 축수부재(110)는; 첨부도면 제4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ㆍ하부베어링(120),(120')을 수용하는 원통체로 구성된채, 헤드튜브 내측에 접착재 수단으로 고정되게 결합된채, 고정볼트(130)로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자전거 핸들이 수용되는 스탬(4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제3도 내지 제4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평면판재로 구성되는 스탬(400)의 스탬결합부재(410)는 상기 로드결합부재(1310)가 관통되는 결합부(411)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411)의 타측에 자전거 핸들이 수용 장착되는 원통형상의 클램프체(420)가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클램프체(420)에는 체결홀(421)이 형성된채, 고정볼트(430)에 의하여 핸들바(도시하지 않음)가 고정되게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탬결합부재(410)의 결합부(411) 일측에는 키홀(412)이 형성되어 첨부도면 제4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스탬결합부재(410)와 상기 로드결합부재(1310)는 고정키(413)에 의하여 회전이 방지되게 결합된다.
이하 본 발명 댐퍼조절기의 댐퍼실린더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제6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댐퍼실린더(1101)에 상측에 구성되는 로드커버부재(1110)는 상기 헤드튜브(100) 내면에 밀착 슬라이딩되게 구성된채, 로드커버부재(1110)의 내측에는 오일패킹(1112) 및 안내부싱(1113)이 장착되며, 또한 로드커버부재(1110)의 외주면에는 축방향으로 관통되는 안내홈(1114)이 다 수개 형성된다.
이리하여 첨부도면 제2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댐퍼실린더(1100)의 작동에 따라 상기 헤드튜브(100) 내ㆍ외부로 외기가 자유스럽게 출입되게 된다.
그리고 댐퍼실린더(1100) 하부 내측에는 헤드부재(1130)가 결합된채, 댐퍼실린더(1100)의 하측 외주면에는 상기 포크결합수단(200)과 고정볼트에 의하여 고정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1120)가 구성되고, 또한 상기 댐퍼실린더(1100)의 하측 외주면에는 에어출입구(1102) 및 에어안내로(1103)가 형성된다.
이리하여 첨부도면 제5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댐퍼실린더(1100)의 고정부재(1120)은 상기 포크결합수단(200)의 상부결합부재(210)에 배치된채, 고정볼트(301),(301')에 의하여 고정되게 결합되며, 또한 상기 에어출입구(1102)는 포크결합수단(200)의 에어유로(217)와 연통되어 댐퍼실린더(1100)와 포크튜브의 에어챔버(C2) 사이로 압축유체가 출입되는 특징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첨부도면 제6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댐퍼실린더(1100)의 헤드부재(1130)는; 하단부 직경이 확장되는 확장부(1132)를 갖는 원통체(1131)로 구성되어 상기 댐퍼실린더(1100) 내벽 및 하단부에 밀착하여 고정되게 결합된채, 헤드부재(1130) 중심으로부터 외곽부 일측의 원주상에 피스톤의 회전을 방지하는 원통키(1140)가 다 수개 입설되며, 또한 상기 헤드부재(1130)에는; 축방향으로 체결홀(1133)이 형성되는 특징된다.
그러므로 첨부도면 제5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댐퍼실린더(1100)가 상기 포크결합수단(200)의 하부결합부재(220)에 배치된채, 고정볼트(303)에 의하여 상기 헤드부재(1130)가 포크결합수단(200)의 하부결합부재(220)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 댐퍼조절기의 댐퍼조절수단(1400)을 포함하는 피스톤(1200) 및 시프트로드(13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제7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댐퍼조절기의 시프트로드(1300)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어 내측에 오일챔버(C1)가 형성된채, 피스톤(1200)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시프트로드(1300)의 상단에는 상술한 바와같이 로드결합부재(1310)가, 시프트로드(1300)의 외주면에는 하부베어링이 지지되는 하부축받(1320)이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1200)의 중심 축방향으로 댐퍼결합홀(1211) 및 발브챔버(1212)가 형성된채, 첵크발브부재(1420)를 포함하여 댐퍼조절부재(1410) 및 조절봉(1430)으로 구성된 댐퍼조절수단(1400)이 제공됨과 아울러 댐퍼조절수단의 조절봉(1430)은 상기 로드결합부재(1310)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또한 피스톤(1200)의 상기 댐퍼결합홀(1211) 일측에는 축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구(1218)가 다 수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관통구(1218)에는 첨부도면 제2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원통키(1140)가 밀착 슬라이딩되게 배치된채, 상기 원통키(1140)는 댐퍼실린더(1100)의 헤드부재(1130)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이리하여 피스톤(1200) 및 시프트로드(1300)는 댐퍼실린더(1100)와 함께 회전되며, 또한 댐퍼조절수단(1400)에 의한 오일유체의 댐퍼작용이 연출되는 특징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첨부도면 제7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시프트로드(1300)는 내측에 오일챔버(C1)를 갖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된채, 하부에는 체결부(1301)가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1200)에 구성된 로드결합체(1220)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또한 상기 시프트로드(1300)의 상부에는 체결부(1302)가 형성되어 로드결합부재(1320)가 나사체결로 고정되게 결합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로드결합부재(1310)는 첨부도면 제7도중 “도7-1”에 예시되는 나사체결부를 갖는 원통체(1311) 및 나사체결부를 갖는 고정체(1312)로 구성되어 상기 시프트로드(1300)에 나사체결 수단 및 접착제로 고정되게 결합되며, 상기 로드결합부재(1310)의 중심에는 섭동부(1314)가 형성된다.
이리하여 상기 댐퍼조절수단의 조절봉(1430)이 로드결합부재(1310)의 섭동부(1314) 밀착 슬라이딩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로드결합부재(1310)의 고정체(1312)에는 첨부도면 제4도에 예시되는 바오같이 고정부재(1340)가 체결되어 상기 헤드튜브(100)의 축수부재(110)에 회동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시프트로드(1300)의 외주면에는; 직경이 작게 구성되는 결합체(1303)가 구성된채, 상기 하부축받이(1320)가 접착제 수단으로 고정되게 결합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 댐퍼조절기의 시프트로드(1300)는 오일챔버(C2)에 오일이 저장됨과 아울러 상술한 바와같이 상기 시프트로드(1300)는 헤드튜브(100)의 축수부재(110)에 회동되게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 피스톤에 제공되는 댐퍼조절수단에 의한 댐퍼작용이 연출되는 피스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제9도 내지 제10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피스톤(1200)에는 시프트로드가 결합되는 로드결합체(1220)가 구성되어 나사체결부(1211a)를 갖는 댐퍼결합홀(1211) 및 발브챔버(1212)가 형성된채, 상기 발브챔버(1212) 하부에 발브시트(1214)를 갖는 발브유로(1213)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피스톤(1200)에 제공되는 오링(1230) 상측의 피스톤 몸체(1210) 외주면에는; 상기 오일댐퍼실(P2)과 수직으로 연통되는 안내유로(1217)가 형성된채, 상기 발브챔버(1212)와 연통되는 첵크발브유로(1216) 및 상기 발브유로(1213)와 수평으로 연통되는 안내유로(1215)가 형성된다.
이리하여 상기 댐퍼결합홀(1211) 및 발브챔버(1212)에는 댐퍼조절수단(1400)을 구성하는 첵크발브부재(1420) 및 댐퍼조절부재(1410)가 제공되는 특징으로 상기 첵크발브유로(1216)는 첵크발브부재(142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됨과 아울러 상기 발브유로(1213)는 댐퍼조절부재(1410)에 구성되는 조절발브체(1413)에 의하여 오일유체의 제어흐름이 연출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하 상기 피스톤(1200)에 제공되어 댐퍼작용이 연출되는 댐퍼조절수단(14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제 8도는 제7도중 댐퍼조절수단의 일 실시예를 종방향에 예시한 도면이고, 제 9도는 제7도중 댐퍼조절기의 피스톤 및 댐퍼조절수단의 결합관계에 따른 일 실시예를 예시한 종단면도이다.
첨부도면 제8도에 예시되는 상기 댐퍼조절수단(1400)은; 첵크발브부재(1420)를 포함하여 댐퍼조절부재(1410) 및 조절봉(1430)으로 구성되어 상기 오일댐퍼실(P2)과 오일챔버(C1) 사이의 오일유체 흐름을 제어 하는데 있어서,
상기 댐퍼조절부재(1410)는; 나사부를 갖는 원통체(1411) 및 발브면(1413)을 갖는 조절발브체(1412)로 구성되어 내측 축방향으로 오일유로(1414)가 형성된채, 상기 원통체(1411)의 상측과 조절발브체(1412)의 하측 외주면 각각에 상기 오일유로(1414)와 관통되는 출입구(1415),(1416)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조절봉(1430)은; 내측에 안내유로(1431)가 형성된채, 상기 댐퍼조절부재(1410)의 원통체(1411)에 형성되는 결합홀(1417)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이리하여 댐퍼조절부재(1410)의 나사부를 갖는 원통체(1411)는 첨부도면 제10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피스톤(1200)에 형성된 나사체결부(1211a)를 갖는 댐퍼결합홀(1211)의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되어 댐퍼조절부재(1410)를 회전하게 되면, 댐퍼조절부재(1410)가 댐퍼결합홀(1211) 및 발브챔버(1212)에서 “S” 범위로 상ㆍ하 작동되면서, 첵크발브유로(1216) 및 발브유로(1213)의 개폐정도를 제어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첵크발브부재(1420)는; 첨부도면 제8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원통형상으로 구성된채, 내측에는 상기 조절발브체(1412)에 밀착 슬라이딩되는 섭동부(1422) 및 상기 섭동부(1422)의 내경보다 크게 확장되는 발브작동부(1423)가 형성된다.
이리하여 상기 첵크발브부재(1420)은 스프링(1425)의 탄발력으로 상기 조절발브체(1412)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상ㆍ하로 밀착 슬라이딩 상태로 왕복작동 된다.
그러므로 첨부도면 제9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피스톤(1200)의 첵크발브유로(1216)는 상기 첵크발브부재(142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됨과 아울러 상기 발브유로(1213)는 조절발브체(1412)의 발브면(1413)에 의하여 오일유체의 제어흐름이 연출되는 특징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첨부도면 제10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첵크발브부재(1420)은 댐퍼조절부재(1410)의 원통체로부터 소정의 이격거리(S)로 이격된채, 상기 댐퍼조절부재(1410)의 조절발브체(1412) 외주면으로 왕복 작동된다.
여기서 상기 이격거리(S)는 첵크발브부재(1420)가 상기 피스톤(1200)에 형성되는 발브챔버(1212)에 수용된채, 상ㆍ하로 왕복 작동되면서 상기 첵크발브유로(1216)를 개폐하여 오일유체가 충분히 출입되는 범위가 포함된다.
한편 상기 댐퍼조절수단(1400)의 조절봉은(1430) 첨부도면 제8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내측에 안내유로(1431)가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된채, 조절봉(1430)의 상단에는 안내유로(1431a)가 형성된 주입부재(1430a)가 고정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주입부재(1430a) 외주면에는 오링(1434a)이 장착된다.
이리하여 첨부도면 제7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로드결합부재(1310)에 형성된 섭동부(1314)에 밀착 슬라이딩되게 관통되어 상기 오일챔버(C1)의 오일유체 및 압축유체의 누설이 방지되며, 또한 상기 주입부재(1430a)의 상단부 내측에는 에어주입수단(1430b)이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오일챔버(C1)에 오일이 주입됨과 아울러 상기 에어주입수단(1430b)을 통하여 압축유체가 오일챔버(C1)에 주입된다.
그러므로 상기 시프트로드(1300)의 오일챔버(C1)에는 압축유체의 가압력을 갖는 오일유체에 의한 댐퍼작용이 연출되게 된다.
이하 상기 피스톤(1200)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제9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피스톤(1200)의 상기 관통구(1218) 하면에는 오링홈(1219)이 형성된채, 오링(1240)이 안착되며, 또한 상기 피스톤(1200) 하면에는; 상기 오링(12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원판부재(1250)가 고정볼트(1260)에 의하여 고정되게 결합는데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판부재(1250)에는 상기 원통키(1140)가 출입되는 출입구(1251)가 형성된다.
이리하여 상기 관통구(1218)를 왕복 출입하는 원통키(1140)는 상기 오링(1240)에 의하여 댐퍼실린더(1100) 내측의 압축유체 및 오일챔버(C1)에 저장되는 오일유체 누설이 차단되게 된다.
이하 상기 피스톤(1200)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피스톤(1200)은 첨부도면 제11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시프트로드(1300)가 결합되는 로드결합체(1220)를 포함하여 오링(1230)이 제공되는 오링장착부(1210) 및, 상기 발브챔버(1212)와 연통되는 오일안내부(1270)로 구성되는데 있어서, 상기 피스톤(1200)의 오일안내부(1270)의 크기(A2)는 상기 로드결합체(1220)에 결합된 시프트로드(1300)의 직경 크기(A3)보다 크고, 오링장작부(1210)의 직경 크기(A1)보다 작게 구성된다.
이리하여 상기 댐퍼실린더(1100)와 오일안내부(1270) 사이에 오일유체가 자유롭게 출입되며, 또한 상기 오일안내부(1270)에서 상기 발브챔버(1212)와 상호 연통되는 첵크발브유로(1216) 및 상기 발브유로(1213)와 연통되는 안내유로(1215)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발브챔버(1212)와 오일댐퍼실(P2) 사이에 오일유체가 출입되는 특징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스톤(1200)의 오링장착부(1210) 하단에는 상기 댐퍼실린더(1100)의 내경면에 밀착 슬라이딩되는 직경의 크기(A0)를 갖는 원판부재(1250)가 고정볼트(1260)에 의하여 상기 피스톤(1200)에 착탈식으로 고정되게 결합된다. 그러므로 피스톤(1200)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상기 원판부재(1250)에 의하여 댐퍼실린더(1100) 내측에서 피스톤(1200)의 안정성이 더 확보되는 특징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오일안내부(1270)의 직경 크기(A2) 및 원판부재(1250)의 직경 크기(A0)는 특정 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오일안내부(1270)의 직경 크기(A2)는 시프트로드(1300)의 직경 크기(A3)보다 작게 구성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원판부재(1250)의 직경 크기(A0)는 피스톤(1200)의 오링장착부(1210) 직경 크기(A1)보다 작게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하 상술한 포크결합수단(200) 및 포크튜브수단(300)로 구성되는 프런트 포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포크튜브수단(300)는; 첨부도면 제16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파이프 형상을 갖는 포크튜브(310) 상측 외주면에 원통형상의 튜브고정부재(320)가 접착재 수단으로 고정되게 결합된채, 상기 튜브고정부재(320)에는 축방향으로 고정홀(324) 및 다 수개의 출입구(326),(326a)가 형성되며, 또한 포크튜브(310) 하단 내측에는 자전거 전륜휠을 지지하는 휠고정부재(330)가 접착재 수단으로 고정되게 결합된다.
그러므로 포크튜브(300) 내측에 형성되는 오일챔버(C2)는 외부로부터 차단된채, 압축유체가 저장됨과 아울러 상기 튜브고정부재(320)의 출입구(326),(326a)로 압축유체가 출입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포크결합수단(200)은 첨부도면 제12도 내지 제13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스페이서링(230)을 포함하여 상부결합부재(210)와 하부결합부재(220)로 구성된채, 상기 튜브고정부재(320)(320')에 의하여 상호 고정되게 결합되는데 있어서,
상기 상부결합부재(210)의 중심에는 댐퍼실린더(1100)가 관통되는 결합부(213)가 형성된채, 양측 각각에는 첨부도면 제13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튜브고정부재(320),(320')가 결합되는 결합홈(214),(214) 및 고정홀(216),(216')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하부결합부재(220)의 중심에는 댐퍼실린더(1100)에 구성되는 헤드부재(1130)가 결합되는 고정홀(224)이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 각각에는; 튜브고정부재(320),(320')가 관통되는 결합부(225),(225')가 형성된다.
이리하여 첨부도면 제12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상부결합부재(210)의 결합홈(214),(214')에 튜브고정부재(320),(320')가 고정볼트(302),(302)에 의하여 고정되게 결합된채, 상부결합부재(210)와 하부결합부재(220)는 스페이서링(230)의 양단부에 상호 밀착하여 고정되게 결합된다.
또한 상부결합부재(210)는; 상기 결합홈(214),(214')과 결합부(213) 사이에 압축유체가 출입되는 에어유로(217),(217') 형성된채, 상기 결합부(211) 외곽 양측에 첨부도면 제13도 내지 제14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댐퍼실린더(1100)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체결홀(215),(215')이 형성된다.
이리하여 첨부도면 제5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포크결합수단(200)의 상부결합부재(210) 및 하부결합부재(220)의 중심부에 댐퍼실린더(1100)가 배치된채, 댐퍼실린더(1100)의 고정부재(1120)가 고정볼트(301),(301')에 의하여 포크결합수단(200)의 상부고정부재(210)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포크결합수단의 상부결합부재(210)는; 첨부도면 제13도 내지 제14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평면판재로 구성되어 중심부에는 원통체(211)가 구성된채, 결합부(213)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결합부재(210) 양측 각각에는 원통체(212),(212')가 구성된채, 결합홈(214),(214') 및 고정홀(216),(216')이 형성되며, 또한 상기 결합부(213)와 상기 결합홈(214),(214')은 상호 연통되는 다 수개의 에어유로(217),(217a),217'),(217a')가 형성된채, 상부결합부재(210)의 상면에는; 상기 어에유로(217')와 연통되는 에어주입수단(240)이 제공되어 상기 댐퍼실린더(1100) 및 에어챔버(C2)에 압축유체가 주입된다.
그리고 또 첨부도면 제14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상부결합부재(210)의 결합부(213) 외곽의 양측에는; 상기 에어유로(217),(217a),217'),(217a')와 간섭이 없도록 상기 체결홀(215),(215')이 각각 형성된다.
그러므로 첨부도면 제5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포크결합수단의 상부결합부재(210)에는 댐퍼실린더(1100)에 구성되는 고정부재(1120)가 배치됨과 아울러 고정볼트(301),(301)로 체결되는 특징으로 상부결합부재(210)의 결합부(213)에는 댐퍼실린더(1100)가 고정되게 결합되며, 또한 상부결합부재(210)의 양측 결합홈(214),(214')에는 포크튜브(300)의 튜브고정부재(320),(320')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다.
또 바람직하게는 첨부도면 제13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포크결합수단(200)의 스페이셔링(230)은; 원통링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단부 내측에 오링(231)이 장착된채, 상기 상부결합부재(210)와 하부결합부재(220) 사이에 배치되어 첨부도면 제5도중 “도5-1”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댐퍼실린더(1100)의 압축유체 누설이 방지됨과 아울러 댐퍼실린더(1100)가 고정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또 첨부도면 제13도 및 제15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포크결합수단(200)의 하부결합부재(220)는; 평면판재로 구성되어 중심부에는 원통부(221)가 구성된채, 고정홀(224)이 형성되고, 하부결합부재(220)의 양측 각각에는 원통체가(222),(222')가 구성된채, 결합부(225),(225')가 형성된다.
이리하여 첨부도면 제5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하부결합부재(220)의 중심부에는 댐퍼실린더(1100)의 헤드부재(1130)가 배치된채, 고정볼트(303)로 고정되게 결합되며, 또한 첨부도면 제12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하부결합부재(220)의 양측 결합부(225),(225')에는 튜브고정부재(320),(320')가 관통된채, 상기 튜브고정부재(320),(320')의 확장부(323)가 하부결합부재(220)에 밀착하여 고정되게 결합된다.
이하 본 발명의 프런트 포크를 구성하는 포크튜브수단의 튜브고정부재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포크튜브수단(200)의 튜브고정부재(320)는 첨부도면 제16도 및 “도16-1”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원통체(321) 및 원통결합체(322)로 구성되는데 있어서, 상기 원통체(321)의 중심부에는 고정홀(324)이 형성됨과 아울러 원통체(321)의 상단면에는 원주상의 안내유로(325)가 형성된채, 상기 안내유로(325)에는 다 수개의 출입구(326),(326')가 형성되어 압축유체가 포크튜브(310)에 형성되는 에어챔버(C2)로 출입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통결합체(322)의 직경은 원통체(321)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됨과 아울러 내측에는 상기 포크튜브(310)가 결합되는 결합부(322a)가 형성된채, 원통결합체(322)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직경이 확장되는 확장부(323)가 구성된다.
이리하여 튜브고정부재(320)은 첨부도면 제12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원통결합체(322)는 상기 상부결합부재(210)의 하면에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원통결합체(322)의 확장부(323)는 하부결합부재(220)의 결합부(225),(225') 하단부에 밀착 지지되는 특징으로 튜브고정부재(320),(320')가 상기 포크결합수단(200)의 하부결합부재(220)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프런트 포크를 구성하는 포크튜브수단(300)의 휠고정부재(33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포크튜브의 휠고정부재(330)는; 첨부도면 16도 및 “도16-2”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원통체(332)를 포함하여 원통결합체(321) 및 휠고정체(333)로 구성되는데 있어서, 상기 원통결합체(321)는 포크튜브(310)의 내측에 접착재 수단으로 고정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원통체(332)의 외주면 직경이 확장되어 상기 포크튜브(320)의 하단부에 밀착 고정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통결합체(321)의 내측에는 공간부(335)가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원통체(332)의 하단부에 판재 형상을 갖는 휠고정체(333)가 구성된채, 자전거 전륜휠이 지지되는 고정부(334)가 형성되어 자전거 전륜휠(도시하지 않음)이 제공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첨부도면 제16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휠고정부재(330)의 휠고정체(333) 중심부에는 축방향으로 체결홀(335)이 형성된채, 나사체결부를 갖는 인출부재(350)가 체결되어 상기 튜브고정부재(320)의 출입구(326)와 휠고정부재(330)에 결합된 상기 인출부재(350)에는 인출로프(360)가 결속되게 된다.
이리하여 상기 튜브고정부재(320)와 휠고정부재(330)는 인출로프(360)의 인장력으로 포크튜브(310)에 밀착 지지되는 특징으로 포크튜브(310)로부터 상기 튜브고정부재(320) 및 휠고정부재(330)의 이탈이 방지되는 특징을 갖는다.
또 바람직하게는 첨부도면 제16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포크튜브(310) 하측의 외주면에는 자전거 전륜 브레이크를 결합하는 제동부재(340)가 구성되는데 있어서, 제동부재(340)는 원통결합체(341) 및 다 수개의 안내결합체(342),(343)로 구성되어 상기 원통결합체(341)는 포크튜브(310) 외주면에 접착제 수단으로 고정되게 결합되며, 또한 상기 원통결합체(341)의 외주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상기 안내결합체(342),(343)가 구성되는 특징으로 브레이크 수단의 제동부재(340)가 구성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댐퍼조절기가 헤드튜브(100)에 결합되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제4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헤드튜브(100) 상부 내측에 구성되는 축수부재(110)에는 상ㆍ하베어링(120),(120')이 장착되고, 또한 상기 댐퍼조절기의 시프트로드(1300)에 구성되는 하부축받이(1320)가 상기 하부베어링(120')에 밀착 지지된채, 시프트로드(1300)에 구성되는 로드결합부재(1310)는 상기 상부베어링(120) 상측으로 돌출되어 로드결합부재(1310)의 외곽 및 상부베어링(120) 상단에 상부축받이(1330)가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축받이(1330) 상단에 자전거 핸들을 수용하는 스탬(400)의 스탬결합부재(410)가 배치된채, 상기 로드결합부재(1310)에 구성되는 고정체(1312)에 고정부재(1340)가 체결된다.
이리하여 상기 스탬결합부재(410)는 축수부재(110) 및 상부베어링(120)에 밀착된채, 지지됨과 아울러 회동되게 결합되며, 이때 로드결합부재(1310)의 하부축받이(1320)는 상측으로 작용됨과 아울러 축수부재(110) 및 하부베어링(120')에 밀착하여 지지된채, 회동되게 결합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 댐퍼조절기의 시프트로드(1300)는 축수부재(110)를 포함하여 로드결합부재(1310) 및 상ㆍ하축받이(1420),(1430)를 통하여 헤드튜브(100)에 회동되게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탬결합부재(410)와 로드결합부재(1310) 사이에 고정키(413)가 결합되어 스탬결합부재(410)가 시프트로드(130)의 로드결합부재(1310)로부터 회전이 방지되게 된다.
또 바람직하게는 댐퍼조절기의 댐퍼조절수단(1400)으로 구성되는 조정봉(1430)의 상부에는 주입부재(1430a)가 상기 로드결합부재(1310) 상측으로 관통된채, 상기 주입부재(1430a)에 댐퍼조작부(1440)가 고정되게 결합되어 댐퍼조작부(1440)를 회전하게 되면, 조절봉(1430)의 회전에 따라 댐퍼조절기의 댐퍼조절수단(1400)이 작동되어 댐퍼작용이 제어 조절된다.
이하 본 발명의 댐퍼조절기(1000)가 프런트 포크(2000)와 결합되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제5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프런트 포크의 포크결합수단(200)은 상부결합부재(210)와 하부결합부재(220) 사이에 스페이서링(230)이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포크튜브수단(300)의 튜브고정부재(320),(320')는 하부결합부재(220)를 관통하여 상부결합부재(210)에 밀착 지지된채, 상부결합부재(210)와 튜브고정부재(320),(320')는 고정볼트(302),(302')로 체결되게 된다.
이리하여 상술한 바와같이 상부결합부재(210)와 하부결합부재(220)는 상기 튜브고정부재(320),(320')에 의하여 고정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포크결합수단(200)의 상부결합부재(210) 중심에는 댐퍼조절기의 댐퍼실린더(1100)가 관통된채, 댐퍼실린더(1100)의 고정부재(1120)가 상부결합부재(210)에 배치되어 고정볼트(301),(301')에 의하여 고정되게 결합되며, 또한 댐퍼실린더(1100)의 헤드부재(1130)가 하부결합부재(220)에 밀착하여 지지된채, 고정볼트(303)에 의하여 고정되게 결합된다.
그러므로 댐퍼조절기의 댐퍼실린더(1100)는 포크결합수단(200)의 상부결합부재(210) 및 하부결합부재(220)에 고정볼트(301),(301'),(303)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결합부재(210)에는 첨부도면 제5도중 “도5-1”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에어유로(217)가 형성되고, 또한 에어주입수단(240)이 제공되어 댐퍼실린더(1100)와 포크튜브(310),(310') 내측으로 압축공기가 주입됨과 아울러 압축공기가 출입되는 특징으로 댐퍼조절기의 피스톤은 압축유체에 의한 에어스프링 작용이 연출되게 된다.
무엇보다 상기 포크튜브(310),(310')의 에어챔버와 댐퍼실린더(1100)의 에어작동실(P1)이 상호 연통되는 특징으로 댐퍼실린더(1100)의 압축유체 압축비가 완만하게 진행되어 댐퍼성능이 좋아지며, 또한 포크튜브(310),(310')는 압축유체의 작용으로 강성력이 더 증가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 댐퍼조절기의 구성 및 및 작용에 대하여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제17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댐퍼조절기의 댐퍼실린더(1100)에는 댐퍼조절수단(1400) 및 시프트로드(1300)로 구성된 피스톤(1200)이 배치되어 피스톤(1200)의 작동에 따라 가변되는 에어작동실(P1) 및 오일댐퍼실(P2)이 형성된채, 댐퍼작용이 연출되는데 있어서,
댐퍼실린더(1100)의 내측에는 압축유체의 에어스프링으로 작동되는 상기 피스톤(1200)이 제공됨과 아울러 댐퍼실린더(1100)의 헤드부재(1130)에 구성된 원통키(1140)에 의하여 상술한 바와같이 상기 피스톤(1200)은 댐퍼실린더(1100) 내측에서 피스톤(1200)의 회전이 방지된채, 함께 회동되게 된다.
그리고 첨부도면 제17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본 발명 댐퍼조절기의 시프트로드(1300)를 포함하는 피스톤(1200)은 그 상태가 유지된채, 댐퍼실린더(1100)가 외부충격에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상승하게 되면, 댐퍼실린더(1100)의 상승작동에 따라 에어작동실(P1)의 체적이 수축되어 압축유체는 더 높은 압력으로 상승된채, 댐퍼실린더(1100)의 하측에 형성된 에어출입구(1102)를 통하여 상술한 바와같이 포크튜브(310),(310)의 에어챔버(C2),(C2')로 유출되게 된다.
이리하여 댐퍼실린더(1100)는 에어작동실(P1)의 체적이 수축되는 정도에 따라 압축유체의 압력이 급격히 증가되지 않고 완만하게 상승되어 에어스프링의 작용이 부드럽게 연출되는 특징으로 상기 포크튜브의 에어챔버(C2),(C2)와 함께 댐퍼실린더(1100)의 크기를 더 작게 구성할 수 있어 댐퍼조절기의 무게는 더 가볍게 구성된다.
첨부도면 제17도중 “도17-1”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댐퍼조절기의 댐퍼실린더(1100)에 외부충격이 제거되어 댐퍼실린더(1100)의 상승작동이 완료되면, 댐퍼실린더(1100)의 가변되는 에어작동실(P1)의 수축정도에 따라 압축유체의 압력이 상승되어 압축유체의 탄발작용으로 댐퍼실린더(1100)는 하강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 때 포크튜브의 에어챔버(C2),(C2) 내측에 저장된 고압의 압축유체가 댐퍼실린더(1100)의 에어출입구(1102)를 통하여 에어작동실(P1)로 다시 유입되는 복귀과정이 연출되게 된다.
또한 첨부도면 제17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시프트로드(1300)를 포함하는 피스톤(1200)은 그 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댐퍼실린더(1100)가 외부충격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상승하게 되면, 댐퍼실린더(1100)의 상승작동에 따라 상기 오일댐퍼실(P2)의 체적은 증가되어 오일의 흡입력이 형성되므로 댐퍼조절수단의 첵크발브부재(1420)가 상승된다.
이리하여 첵크발브부재의 내측에 형성되는 댐퍼조절부재의 오일유로(1414)와 피스톤에(1200)에 형성된 첵크발브유로(1216) 및, 상기 발브유로(1213)와 연통되는 안내유로(1215)가 개방되어 오일챔버(C1)에 저장된 오일유체가 상기 오일댐퍼실(P2)로 유입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일챔버(C1)에는 저장된 오일유체는 압축유체의 주입에 따른 오일유체에 압력이 형성되어 상기 오일댐퍼실(P2)로 신속하게 유입된다.
상세하게는 첨부도면 제10도중 “도10-1”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피스톤(1200)에 형성되는 발브챔버(1212)에 오일압력이 낮아질 경우 댐퍼조절수단의 첵크발브부재(1420)는 상술한 바와같이 첵크발브부재(1420)의 내측에 형성되는 발브작동부(1423)에는 오일챔버(C1)의 가압력을 갖는 오일유체 작용에 따라 첵크발브부재(1420)는 상승 작동되므로 댐퍼조절부재(1410)의 조절발브체(1412)에 형성된 출입구(1416) 및 상기 발브작동부(1423)와 상기 첵크발브유로(1216)는 상호 개방되게 된다.
또한 이 때 댐퍼조절부재(1410)에 구성되는 조절발브체(1412)의 발브면(1413)은 발브유로(1213)와 개방된 상태가 연출되게 되므로 발브유로(1213) 및 안내유로(1215)를 통하여 오일챔버(C1)의 오일유체는 오일댐퍼실(P2)로 신속히 유입되게 된다.
이후 첨부도면 제17도중 “도17-1”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댐퍼실린더(1100)에 외부충격이 제거되어 댐퍼실린더(1100)의 상승작동이 완료되면, 상술한 바와같이 댐퍼실린더(1100)는 화살표 방향으로 하강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상기 오일댐퍼실(P2)의 체적은 수축되어 오일댐퍼실(P2)의 오일유체는 가압되어 압력이 상승된채, 안내유로(1215) 및 발브유로(1213)를 통하여 오일챔버(C1)로 복귀되는 댐퍼작용이 연출되게 된다.
상세하게는 첨부도면 제10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발브챔버(1212)에 오일댐퍼실(P2)의 오일유체가 작용되게 되면, 첵크발브부재(1420)는 탄발 스프링(1425)에 의하여 하강 작동되어 발브챔버(1212)의 바닥면에 밀착 지지된다.
그러므로 첵크발브부재(1420)에 의하여 첵크발브유로(1216)는 상기 발브작동부(1423) 및 댐퍼조절부재(1410)의 출입구(1416)는 상호 차단되고, 오일댐퍼실(P2)의 오일유체는 안내유로(1215) 및 발브유로(1213)를 통하여 전량 오일챔버(C1)로 복귀과정에 오일유체의 흐름량이 제어조절되는 댐퍼작용이 연출되어 댐퍼실린더의 하강속도가 완만하게 이루어지는 댐퍼작용이 연출된다.
이때 상기 댐퍼조절부재(1410)를 회전하여 조절하면, 댐퍼조절부재(1410)에 형성된 나사체결부에 의하여 상ㆍ하로 작동되므로 댐퍼조절부재(1410)의 조절발브체(1412)가 발브유로(1213)에 형성된 발브시트(1214)로부터 가감 조절하게 되며, 이리하여 발브유로(1213)를 통하여 복귀되는 오일댐퍼실(P2)의 오일유체 흐름량이 조절되므로 댐퍼조절기의 댐퍼작용 제어 조절이 연출되게 된다.
또 한편 첨부도면 제9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댐퍼조절부재(1410)를 회전하여 조절발브체(1412)를 하측으로 하강 작동하면, 댐퍼조절부재(1410)에 의하여 첵크발브부재(1420)는 발브챔버(1212)의 바닥면에 밀착 지지됨과 아울러 조절발브체(1412)에 형성된 발브면(1414)은 발브시트(1214)에 밀착 지지되어 첵크발브유로(1216) 및 발브유로(1213)는 차단되어 상기 오일댐퍼실(P2)과 오일챔버(C1)는 상호 차단상태가 연출되게 된다.
이리하여 오일댐퍼실(P2)과 오일챔버(C1) 사이의 오일유체 차단에 따라 댐퍼실린더(1100)는 하강 및 상승 작동이 정지되는 댐퍼작용 차단(락-아웃)상태가 연출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른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의 헤드튜브 내에 결합되어 댐퍼조절기가 작동되는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자전거 주행중 도로 로면의 상태에 따라 자전거 전륜휠로부터 프런트 포크(2000)가 상ㆍ하로 왕복작동 되면, 첨부도면 제2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프런트 포크(2000)를 포함하는 댐퍼조절기의 댐퍼실린더(1100)가 상기 헤드튜브(110) 내ㆍ외부로 왕복 작동됨과 아울러 상기 댐퍼조절기의 댐퍼조절수단(1400)에 의하여 댐퍼작용이 연출된다.
또한 첨부도면 제2도 내지 제3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자전거 헤드튜브(100) 전방으로 구성되는 스템 결합부재(410)을 회전하게 되면, 상기 댐퍼실린더(1100) 및 시프트로드(1300)가 포함되는 본 발명의 댐퍼조절기가 헤드뷰브(100) 내측에서 함께 연동된채, 회전되게 되므로 댐퍼실린더(1100) 하단에 구성되는 프런트 포크(2000)가 상기 헤드튜브(100) 중심에서 좌ㆍ우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 댐퍼조절기의 댐퍼작용으로 이루어지는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제2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프런트 포크(2000)의 포크결합수단(200)에 구성되는 에어주입수단(240)를 통하여 압축유체를 적정압력으로 보충 시키면, 포크튜브(310),(310')의 에어챔버(C2),(C2') 및 댐퍼실린더(1100)의 에어작동실(P1)에는 압축유체가 적정압력으로 저장되게 된다.
그러므로 댐퍼실린더(1100)에 형성되는 에어작동실(P1)의 압축유체 에어스프링 작용에 따라 댐퍼실린더(1100)의 피스톤(1200)은 상승 작동되며, 또한 상기 포크튜브(310),(310')는 압축유체의 팽창력으로 강성력이 더 증가되며, 이때 바람직하게는 에어작동실(P1)과 에어챔버(C2),(C2')는 동일 압력으로 유지된다.
그리고 댐퍼조절기의 오일댐퍼실(P2) 및 오일챔버(C1)에는 댐퍼조절수단의 조절봉 및 주입부재를 통하여 오일유체가 보충되는데 있어서, 오일챔버(C1)에는 에어주입수단을 통하여 압축유체가 주입되어 오일챔버(C1)에 저장되는 오일유체는 압축유체에 의하여 적정압력으로 가압성을 갖은채, 저장되게 된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자전거 주행중 로면의 요철로부터 자전거 전륜휠에 외부충격이 전달되면, 첨부도면 제2도에 예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헤드튜브(100)를 포함하는 시프트로드(1300) 및 피스톤(1200)은 그 높이가 유지된채, 댐퍼실린더(1100)가 피스톤(1200)을 향하여 상승 작동됨과 아울러 댐퍼실린더(1100) 내측의 에어작동실(P1)이 외부충격에 비례하여 수축되므로, 상기 에어작동실(P1)에 저장된 압축유체는 가압된채, 더 높은 압력으로 상승되며, 이때 상기 오일댐퍼실(P2)은 댐퍼실린더(1100)의 상승작동에 따라 체적이 증가되어 오일챔버(C1)에 저장된 오일유체를 흡입하게 된다.
이후 댐퍼조절기의 외부충격이 제거되면, 상기 피스톤(1200)을 포함하여 시프트로드(1300)는 그 높이가 유지되는 반면에, 상기 댐퍼실린더(1100)는 에어작동실(P1)에 형성된 압축유체의 팽창성 탄발력으로 신속하게 팽창되는 하강 작동이 연출되며, 이때 에어챔버(C2),(C2)의 압축유체는 에어작동실(P1)의 압축유체 압력보다 높게 되므로 에어챔버(C2),(C2')로 유출된 고압의 압축유체가 상기 에어작동실(P1)로 완만하게 리바운드 복귀되는 압축유체의 리바운드 댐퍼작용이 연출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상기 오일댐퍼실(P2)은 체적이 수축되는 압축작용이 이루어져 상기 오일댐퍼실(P2)의 오일유체가 댐퍼조절수단에 의하여 오일챔버(C1)로 복귀 유출되는 과정에 오일유체는 댐퍼조절수단의 조절발브체 및 발브유로의 개페 조절에 따라 오일유체 댐퍼작용이 연출 되므로 상기 댐퍼실린더(1100)의 팽창 하강 작동은 완만하게 이루어지면서 댐퍼조절기의 댐퍼작용 완충제어가 연출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댐퍼조절기는; 자전거 주행중 외부충격이 작용되면, 압축유체의 리바운드 댐퍼작용과 더블어 오일유체의 유체흐름 리바운드 댐퍼작용이 동시에 연출되어 프런트 포크(2000)의 외부충격이 신속하면서 완만하게 제거되는데 있어서, 댐퍼조절수단의 댐퍼조작부(1440)를 회전하여 조절하게 되면, 오일 유체흐름의 리바운드 댐퍼조절이 함께 이루어진다.
반면에, 댐퍼조작부(1440)를 회전하여 댐퍼조절수단(1400)을 하강 작동시키면, 댐퍼조절수단(1400)에 구성되는 첵크발브부재(1420) 및 댐퍼조절부재(1410)에 의하여 피스톤(1200)에 형성된 첵크발브유로 및 발브유로가 차단되게 되므로 오일댐퍼실(P2)과 오일챔버(C1)는 상호 불통상태가 연출되어 댐퍼실린더(1100)의 상승 및 하강작동이 정지되는 댐퍼작용 차단(락-아웃)상태가 연출됨과 아울러 댐퍼조절기의 높낮이가 그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같이 댐퍼조절기의 높낮이가 그 상태로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댐퍼조작부(1440)를 이용하여 피스톤(1200)에 형성되는 첵크발브유로 및 발브유로를 개방하게 되면, 댐퍼조절기의 댐퍼실린더(1100)는 외부충격에 따라 상ㆍ하로 작동됨과 아울러 오일댐퍼실(P2)과 오일챔버(C1) 사이에는 오일유체가 출입되는 댐퍼작용이 연출되게 된다.
이상에서와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양한 수단에 의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 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스티어링 튜브 11 : 조절레바 샤프트
14 : 조절레바 15 : 연결레바
20 : 크라운 30 : 댐퍼조절레바
40 : 아치연결부재 50 : 댐퍼서스펜션 포크
51,61 서스펜션 외통 실린더 52,62 : 서스펜션 내통 실린더
53 : 압축 댐퍼수단 54 : 리바운드 댐퍼수단
100 : 헤드튜브 100a : 톱튜브
100b : 보텀튜브 110 : 축수부재
120,120' : 베어링
130, 301, 302, 303, 430, 1260 : 고정볼트
200 : 포크결합수단 210 : 상부결합부재
220 : 하부결합부재 230 : 스페이서링
240 : 에어주입수단
231, 325, 328, 1230, 1240 : 오링
300 : 포크튜브수단 310 : 포크튜브
320 : 튜브고정부재 322 : 원통결합체
330 : 휠고정부재 340 : 제동부재
341,342 : 안내결합체 350 : 인출부재
360 : 인출로프 400 : 스탬
410 : 스탬결합부재 413 : 고정키
420 : 클램프체 1000 : 댐퍼조절기
1100 : 댐퍼실린더 1110 : 로드커버부재
1112 : 오일패킹 1113 : 안내부싱
1120, 1340 : 고정부재 1130 : 헤드부재
1140 : 원통키 1200 : 피스톤
1210 : 피스톤 몸체 1211 : 댐퍼결합홀
1212 : 발브챔버 1213 : 발브유로
1215, 1217 : 안내유로 1216 : 첵크발브유로
1218 : 관통로 1220 : 로드결합체
1250 : 원판부재 1270 : 오일안내부
1300 : 시프트로드 1310 : 로드결합부재
1320 : 하부축받이 1330 : 상부축받이
1400 : 댐퍼조절수단 1410 : 댐퍼조절부재
1420 : 첵크발브부재 1430 : 조절봉
1440 : 댐퍼조작부 1430a : 주입부재

Claims (25)

  1.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는 외부충격을 흡수하는 댐퍼조절기 및 전륜휠을 지지하는 프런트 포크로 구성되어 자전거 프레임의 헤드튜브에서 회동되게 구성되는데 있어서, 댐퍼조절기의 피스톤 일측에는 축방향으로 관통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원통키가 배치된채, 상기 원통키는 댐퍼실린더에 구성되는 헤드부재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피스톤 및 시프트로드는 댐퍼실린더와 함께 회전되며, 또한 헤드튜브에는 축수부재가 고정되게 결합된채, 상부베어링 및 하부베어링이 각각 장착되는 것과;
    시프트로드의 외주에 구성되는 하부축받이는; 하부베어링에 지지되고, 시프트로드의 상단에 구성되는 로드결합부재는; 상부베어링 상측으로 돌출되며, 또한 상기 로드결합부재에 구성되는 원통체의 외곽부 및, 상부베어링 상단에는 상부축받이가 결합된채, 스탬결합부재 및 시프트로드는 축수부재에 결합되어 자전거 핸들을 지지하는 스탬이 헤드튜브에 회동되게 결합되는 것과;
    댐퍼조절기에 구성되는 피스톤에는; 댐퍼결합홀 및 발브챔버가 형성된채, 오일유체 흐름을 제어조절하는 댐퍼조절수단이 제공됨과 아울러 댐퍼조절기의 조절봉은 상기 로드결합부재의 상측으로 배치되어 댐퍼조작부가 결합되는 것과;
    상기 프런트 포크는; 전륜휠이 지지되는 포크튜브수단 및 포크결합수단으로 구성되어 포크튜브수단을 구성하는 포크튜브에는 압축유체가 저장되며, 포크결합수단에는 댐퍼실린더가 결합된채, 포크튜브와 댐퍼실린더 사이에는 압축유체가 출입되는 것과;
    댐퍼실린더 하부 내측에는 헤드부재가 결합된채, 댐퍼실린더의 하측 외주면에는 상기 포크결합수단과 고정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가 구성되며, 또한 상기 댐퍼실린더의 하측 외주면에는 에어출입구 및 에어안내로가 형성되어 댐퍼실린더와 포크튜브 사이로 압축유체가 출입되는 특징으로 댐퍼조절기의 댐퍼작용이 연출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
  2. 제 1항에 있어서,
    댐퍼조절기는; 댐퍼실린더에 댐퍼조절수단 및 시프트로드가 구성된 피스톤이 배치되어 에어작동실 및 오일댐퍼실이 형성된채, 댐퍼작용이 연출되는데 있어서,
    댐퍼실린더의 내측에는 압축유체의 에어스프링으로 작동하는 피스톤이 제공됨과 아울러 댐퍼실린더 내측에서 피스톤의 회전이 방지된채, 함께 회동되는 것과;
    상기 시프트로드는; 오일유체를 저장하는 오일챔버가 형성된채, 시프트로드 상단에 로드결합부재가, 시프트로드 외주에는 하부축받이가 구성되어 상기 헤드튜브의 축수부재 및 하부베어링에 회동되게 결합되는 것과;
    피스톤에는; 댐퍼결합홀 및 발브챔버가 형성된채, 상기 오일댐퍼실과 발브챔버는 안내유로를 포함하여 첵크발브유로 및 발브유로에 의하여 상호 연통되며, 또한 상기 댐퍼결합홀 및 발브챔버에는; 첵크발브부재를 포함하여 댐퍼조절부재 및 조절봉으로 구성된 댐퍼조절수단이 제공된채, 상기 조절봉은 상기 로드결합부재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특징으로 댐퍼조절기의 댐퍼조절이 연출됨과 아울러 헤드튜브 내측에서 댐퍼조절기가 회동되게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포크는; 포크결합수단 및 포크튜브수단이 구성되는데 있어서,
    상기 포크튜브수단에 구성되는 포크튜브 상측에는 상기 포크결합수단과 결합되는 튜브고정부재가 고정되게 결합되며, 또한 상기 포크튜브의 하측에는 자전거 전륜휠을 지지하는 휠고정부재가 고정되게 결합되어 상기 포크튜브 내측에는 압축유체가 저장되는 에어챔버가 형성되는 것과;
    상기 포크결합수단은; 스페이서링을 포함하는 상부결합부재 및 하부결합부재로 구성되어 포크결합수단의 중심에 상기 댐퍼실린더가 고정되게 결합되고, 또한 상기 포크결합수단의 양측에는 상기 튜브고정부재가 고정되게 결합된채, 상기 상부결합부재에는 에어유로가 형성되는 됨과 아울러 에어주입수단이 제공되어 상기 댐퍼실린더와 에어챔버는 압축유체가 상호 출입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조절기의 피스톤에는; 시프트로드가 결합되는 로드결합체가 구성된채, 상기 로드결합체 중심의 축방향으로 댐퍼결합홀 및 발브챔버가 형성되어 상기 첵크발브부재 및 댐퍼조절부재가 제공되며, 또한 상기 댐퍼결합홀의 일측 원주상에는 축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구가 다 수개 형성되는 것과;
    상기 댐퍼실린더에는; 헤드부재가 구성된채, 상기 피스톤의 관통구에 밀착 슬라이딩되게 출입되는 원통키가 다 수개 구성되어 댐퍼실린더에서 피스톤의 회전이 방지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로드는; 내측에 오일챔버를 갖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된채, 하부에는 체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또한 시프트로드의 상부에는 체결부가 형성되어 나사체결부를 갖는 원통체 및 나사체결부를 갖는 고정체로 구성된 로드결합부재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과;
    상기 로드결합부재의 중심에는 상기 조절봉이 관통되는 섭동부가 형성되며, 또한 로드결합부재의 고정체에는; 고정부재가 체결되어 회동되게 결합되는 것과;
    상기 시프트로드의 외주면에는; 상기 하부베어링에 지지되는 하부축받이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특징으로 시프트로드는 헤드튜브의 축수부재에 회동되게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조절수단의 조절봉은; 내측에 안내유로가 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된채, 조절봉의 상단에는 안내유로가 형성된 주입부재가 고정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주입부재는 상기 로드결합부재에 형성된 섭동부에 밀착 슬라이딩되게 관통되어 상기 주입부재의 외주면에 댐퍼조작부가 구성되는 것과;
    또한 상기 주입부재에는 에어주입수단이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오일챔버에 오일이 주입됨과 아울러 상기 에어주입수단을 통하여 압축유체가 오일챔버에 주입되는 특징으로 오일챔버에는; 압축유체의 가압력을 갖는 오일유체가 저장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에는 시프트로드가 결합되는 로드결합체가 구성되어 상기 댐퍼결합홀 및 발브챔버가 형성된채, 상기 발브챔버 하부에 발브시트를 갖는 발브유로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피스톤에 제공되는 오링 상측의 피스톤 외주면에는; 상기 오일댐퍼실과 수직으로 연통되는 안내유로가 형성된채, 상기 발브챔버와 연통되는 첵크발브유로 및 상기 발브유로와 수평으로 연통되는 안내유로가 형성되는 것과;
    상기 댐퍼결합홀 및 발브챔버에는 상기 첵크발브부재를 포함된 댐퍼조절부재가 댐퍼결합홀에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된채, 상기 발브챔버 상ㆍ하로 작동되는 특징으로 상기 첵크발브유로는 첵크발브부재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됨과 아울러 상기 발브유로는 댐퍼조절부재에 구성되는 조절발브체에 의하여 오일유체의 제어흐름이 연출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조절수단은; 첵크발브부재를 포함하여 댐퍼조절부재 및 조절봉으로 구성되어 오일댐퍼실과 오일챔버 사이의 오일유체 흐름을 제어 하는데 있어서,
    상기 댐퍼조절부재는; 나사부를 갖는 원통체 및 발브면을 갖는 조절발브체로 구성되어 내측 축방향으로 오일유로가 형성된채, 상기 원통체의 상측과 조절발브체의 하측 외주면 각각에 상기 오일유로와 관통되는 출입구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댐퍼조절부재의 원통체에 상기 조절봉이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과;
    상기 첵크발브부재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된채, 내측에는 상기 조절발브체에 밀착 슬라이딩되는 섭동부 및 상기 섭동부의 내경보다 크게 확장되는 발브작동부가 형성되어 스프링의 탄발력으로 상기 조절발브체의 외곽부 상ㆍ하로 왕복작동 되도록 배치되는 특징으로 상기 첵크발브유로는 첵크발브부재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됨과 아울러 상기 발브유로는 조절발브체에 의하여 오일유체의 제어흐름이 연출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
  12.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튜브수단은; 파이프 형상을 갖는 포크튜브 상측 외주면에 원통형상의 튜브고정부재가 접착재 수단으로 고정되게 결합된채, 상기 튜브고정부재에는 축방향으로 고정홀 및 다 수개의 출입구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포크튜브 하단 내측에는 자전거 전륜휠을 지지하는 휠고정부재가 접착재 수단으로 고정되게 결합되어 포크튜브 내측에 형성되는 오일챔버는 외부로부터 차단된채, 상기 튜브고정부재의 출입구로 압축유체가 출입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
  13.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결합수단은; 스페이서링을 포함하여 상부결합부재와 하부결합부재로 구성된채, 상기 튜브고정부재에 의하여 상호 고정되게 결합되는데 있어서,
    상부결합부재의 중심에는 상기 댐퍼실린더가 관통되는 결합부가 형성된채, 양측 각각에는 튜브고정부재가 결합되는 결합홈 및 고정홀이 형성되는 것과;
    상기 하부결합부재의 중심에는 고정홀이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 각각에는; 상기 튜브고정부재가 관통되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결합부재의 결합홈에 튜브고정부재가 고정볼트에 의하여 결합된채, 상부결합부재와 하부결합부재는 스페이서링의 양단부에 상호 밀착하여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과;
    또한 상기 상부결합부재는; 상기 결합홈과 결합부 사이에 압축유체가 출입되는 에어유로가 형성된채, 상기 결합부 외곽 양측에 상기 댐퍼실린더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포크결합수단의 중심부에 댐퍼실린더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
  14. 제 3항에 있어서,
    포크결합수단의 상부결합부재는; 평면판재로 구성되어 중심부에는 결합부가, 양측 하부 각각에는 결합홈 및 고정홀이 형성된채, 상기 상부결합부재의 결합부와 결합홈은 상호 연통되는 다 수개의 에어유로가 형성되어 상부결합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에어유로와 연통되는 에어주입수단이 제공되는 것과;
    상기 상부결합부재의 결합부 외곽의 양측에는; 상기 에어유로와 간섭이 없도록 체결홀이 각각 형성된채, 상기 댐퍼실린더에 구성되는 고정부재가 배치됨과 아울러 고정볼트로 체결되는 특징으로 상부결합부재의 결합부에는 댐퍼실린더가 고정되게 결합되며, 또한 상부결합부재의 양측 결합홈에는 상기 튜브고정부재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
  15. 제 3항에 있어서,
    포크결합수단의 스페이셔링 상면에 오링이 장착된채, 상기 상부결합부재와 하부결합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압축유체 누설이 방지되는 것과;
    포크결합수단의 하부결합부재는; 평면판재로 구성되어 중심부에는 고정홀이 형성되고, 하부결합부재의 양측 각각에는 상기 튜브고정부재가 관통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특징으로 하부결합부재의 양측에는 튜브고정부재가 고정되며, 또한 하부결합부재의 중심부 상면에는 댐퍼실린더에 구성되는 헤드부재가 배치된채, 고정볼트로 고정되게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
  16. 제 3항에 있어서,
    포크튜브수단의 튜브고정부재는; 원통체 및 원통결합체로 구성되는데 있어서, 상기 원통체의 중심부에는 고정홀이 형성됨과 아울러 원통체의 상단면에는 원주상의 안내유로가 형성된채, 다 수개의 출입구가 형성되는 것과;
    상기 원통결합체의 직경은 원통체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됨과 아울러 내측에 결합부가 형성된채, 원통결합체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직경이 확장되는 확장부가 구성되는 특징으로 상기 원통결합체의 결합부에는 포크튜브가 고정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포크결합수단의 상ㆍ하부결합부재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
  17. 제 3항에 있어서,
    포크튜브수단의 휠고정부재는; 원통체를 포함하여 원통결합체 및 휠고정체로 구성된채, 상기 원통결합체는 상기 포크튜브의 내측에 접착재 수단으로 고정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원통체의 외주면 직경이 확장되어 상기 포크튜브의 하단부에 밀착되게 고정되며, 또한 상기 원통체의 하단부에 판재 형상을 갖는 휠고정체가 구성된채, 자전거 전륜휠이 지지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
  1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휠고정부재의 축방향으로 인출부재가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된채, 상기 튜브고정부재와 상기 인출부재에는 인출로프가 상호 결속되어 인출부재의 인출력으로 인출로프의 인장력이 연출되는 특징으로 포크튜브로부터 상기 튜브고정부재 및 휠고정부재의 이탈이 방지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
  1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튜브 하측의 외주면에는 자전거 전륜 브레이크를 결합하는 제동부재가 구성되는데 있어서, 상기 제동부재는; 원통결합체 및 다 수개의 안내결합체로 구성되어 상기 원통결합체는 포크튜브 외주면에 접착제 수단으로 고정되게 결합되며, 또한 상기 원통결합체의 외주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상기 안내결합체가 구성되는 특징으로 브레이크 수단이 제공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시프트로드가 결합되는 로드결합체를 포함하여 오링이 제공되는 오링장착부 및, 상기 발브챔버와 연통되는 오일안내부로 구성되는데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오일안내부는; 시프트로드의 직경보다 크고, 오링장작부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되어 상기 댐퍼실린더와 오일안내부 사이에 오일유체가 자유롭게 출입되며, 또한 상기 오일안내부에서 상기 발브챔버와 상호 연통되는 첵크발브유로 및, 상기 발브유로와 상호 연통되는 안내유로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발브챔버와 오일댐퍼실 사이에 오일유체가 출입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피스톤의 오링장착부 하단에 상기 댐퍼실린더의 내경면에 밀착 슬라이딩되는 크기를 갖는 원판부재가 고정볼트에 의하여 착탈식으로 고정되게 결합되는 특징으로 댐퍼실린더 내측에서 피스톤의 안정성이 확보되는 특징을 갖는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
KR1020190158568A 2019-12-02 2019-12-02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 KR102409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568A KR102409910B1 (ko) 2019-12-02 2019-12-02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568A KR102409910B1 (ko) 2019-12-02 2019-12-02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946A KR20210068946A (ko) 2021-06-10
KR102409910B1 true KR102409910B1 (ko) 2022-06-17

Family

ID=76378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568A KR102409910B1 (ko) 2019-12-02 2019-12-02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91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233B1 (ko) * 2018-01-28 2019-01-24 김원봉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9492B1 (ko) * 2010-06-25 2012-10-15 안왕기 자전거용 서스펜션
KR20180033427A (ko) * 2016-09-24 2018-04-03 김원봉 자전거 서스펜션 포크
KR101901106B1 (ko) * 2017-02-18 2018-11-05 김원봉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
KR20170003753U (ko) * 2017-10-20 2017-10-31 태평양정기(주) 서스펜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2233B1 (ko) * 2018-01-28 2019-01-24 김원봉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946A (ko) 202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5503B2 (en) Suspension damper having inertia valve and user adjustable pressure-relief
US6505719B2 (en) Damping apparatus for bicycle forks
US20070007743A1 (en) Bicycle Fork Having Lock-out, Blow-off, and Adjustable Blow-off Threshold
TWI415761B (zh) 具有懸吊裝置的自行車
JP6527760B2 (ja) 減衰力可変式緩衝器
JP4809565B2 (ja) 自転車
US8356829B2 (en) Bicycle suspension-setting adjustor assembly
EP1947365B1 (en) Inertia valve for a bicycle
EP1203712B1 (en) Linked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US9126651B2 (en) Bicycle suspension adjustor
KR102409910B1 (ko)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
KR102195093B1 (ko)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
KR101901106B1 (ko)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
JP2000118470A (ja) 二輪車の前及び/又は後輪の動作の流体圧式減衰装置
US20200094913A1 (en) Pressurized telescopic front fork leg, front fork and vehicle
KR101942233B1 (ko)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
JP2020026831A (ja) フロントフォーク
JP6357067B2 (ja) フロントフォーク
JP2010101417A (ja) フロントフォーク
JP4318208B2 (ja) 二輪車等の倒立型フロントフォーク
JP4181948B2 (ja) フロントフォーク
JP2000065117A (ja) フロントフォーク
JP5909407B2 (ja) 緩衝装置
JPH07133838A (ja) 二輪車等のフロントフォー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