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4752A - 유기광전소자용 재료, 및 이를 이용한 유기광전소자 - Google Patents

유기광전소자용 재료, 및 이를 이용한 유기광전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4752A
KR20090044752A KR1020070110984A KR20070110984A KR20090044752A KR 20090044752 A KR20090044752 A KR 20090044752A KR 1020070110984 A KR1020070110984 A KR 1020070110984A KR 20070110984 A KR20070110984 A KR 20070110984A KR 20090044752 A KR20090044752 A KR 20090044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formula
carbon atoms
substituted
unsubstitu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0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7620B1 (ko
Inventor
김영훈
유은선
김남수
채미영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0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7620B1/ko
Priority to CN2008801085156A priority patent/CN101809117B/zh
Priority to PCT/KR2008/006452 priority patent/WO2009057978A2/en
Publication of KR20090044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4752A/ko
Priority to US12/662,765 priority patent/US812024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7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7620B1/ko
Priority to US13/242,976 priority patent/US2012001283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36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bound nitrogen atoms
    • C07D213/38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bound nitrogen atoms having only hydrogen or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the substituent nitro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1/00Dyes with anthracene nucleus not condensed with any other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57/00Other synthetic dyes of known constit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57/00Other synthetic dyes of known constitution
    • C09B57/001Pyrene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57/00Other synthetic dyes of known constitution
    • C09B57/008Triarylamine dyes containing no other chromopho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0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material in which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s embedd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dielectric or reflective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10K85/633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comprising 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as substituents on the nitrogen ato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4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comprising only nitrogen as heteroato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7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 H10K85/6572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comprising only nitrogen in the heteroaromatic polycondensed ring system, e.g. phenanthroline or carbazol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1/00Properties of the organic materials covered by group H10K85/00
    • H10K2101/10Triple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10K85/341Transition metal complexes, e.g. Ru(II)polypyridine complexes
    • H10K85/342Transition metal complexes, e.g. Ru(II)polypyridine complexes comprising iridi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7Electroluminesc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고, 분자 내에 정공수송기와 전자수송기를 동시에 가지는 바이폴라(bipolar) 유기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용 재료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78700182-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HTU, HTU', 및 R1 내지 R3의 정의는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다. 상기 유기광전소자용 재료는 우수한 열적 안정성을 가지며, 정공과 전자를 모두 잘 전달할 수 있다.
유기, 발광, 인광성, 유기광전소자, 전자수송기, 정공수송기, 피리딘, 효율

Description

유기광전소자용 재료, 및 이를 이용한 유기광전소자{MATERIAL FOR ORGANIC PHOTOELECTRIC DEVICE, AND ORGANIC PHOTOELECTRIC DEVICE THEREBY}
본 발명은 유기광전소자용 재료, 및 이를 이용한 유기광전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한 열적 안정성을 가지며, 정공과 전자를 모두 잘 전달할 수 있는 유기광전소자용 재료, 및 이를 이용한 유기광전소자에 관한 것이다.
광전소자(photoelectric device)라 함은 넓은 의미로 빛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거나, 그와 반대로 전기에너지를 빛 에너지로 변환하는 소자로서, 이러한 광전소자의 예로는 유기발광소자, 태양전지, 트랜지스터 등이 있다.
이러한 광전소자 중에서도 특히 유기발광소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를 이용하는 유기발광소자는 최근 평판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유기발광소자는 유기 발광재료에 전류를 가하여 전기에너지를 빛으로 전환시키는 소자로서 양극(anode)과 음극(cathode) 사이에 기능성 유기물 층이 삽입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유기발광소자의 전기적인 특성은 발광소자(LED, Light Emitting Diodes)와 유사하며 양극에서 정공(hole)이 주입되고 음극에서 전자(electron)가 주입된 후 각각의 정공과 전자는 서로 상대편 전극을 향해 이동하다가 재결합(recombination)에 의해 에너지가 높은 여기자(exiton)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형성된 여기자가 기저상태(ground state)로 이동하면서 특정한 파장을 갖는 빛이 발생하게 된다.
1987년 이스트만 코닥(Eastman Kodak)사에서는 발광층 형성용 재료로서 저분자인 방향족 디아민과 알루미늄 착물을 이용하고 있는 유기발광소자를 처음으로 개발하였고(Applied Physics Letters. 51, 913, 1987), 유기발광소자에 대해서는 1987년에 C. W. Tang 등이 최초로 실용적인 성능을 가진 소자를 보고하였다(Applied Physics Letters, 51(12), 913-915, 1987).
상기 문헌은 유기층으로서 디아민 유도체의 박막(정공수송층)과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레이트)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ate)aluminum, Alq3)의 박막을 적층한 구조를 기재하고 있다. 상기 Alq3의 박막은 전자수송성 발광층으로 기능한다.
일반적으로, 유기발광소자는 투명전극으로 이루어진 양극(anode), 발광영역을 포함하는 유기 박막층, 및 금속전극(cathode)의 순으로 유리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때, 상기 유기 박막층은 발광층,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전자수송층, 또는 전자주입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발광층의 발광 특성상 전자저지층 또는 정공저지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유기발광소자에 전기장이 가해지면 양극과 음극으로부터 각각 정공과 전자가 주입되고, 주입된 정공과 전자는 각각의 정공수송층과 전자수송층을 거쳐 발광층에서 재결합(recombination)하여 발광여기자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발광여기자는 바닥상태(ground states)로 전이하면서 빛을 방출한다.
빛의 발광은 그 메카니즘에 따라 일중항 상태의 엑시톤을 이용하는 형광과 삼중항 상태를 이용하는 인광으로 나뉜다.
최근에는, 형광 발광물질 뿐 아니라 인광 발광물질도 유기발광소자의 발광물질로 사용될 수 있음이 알려졌으며(D. F.O'Brien 등, Applied Physics Letters, 74(3), 442-444, 1999; M. A. Baldo 등, Applied Physics letters, 75(1), 4-6, 1999), 이러한 인광 발광은 바닥상태에서 여기상태로 전자가 전이한 후, 계간 전이 (intersystem crossing)를 통해 단일항 여기자가 삼중항 여기자로 비발광 전이된 다음, 삼중항 여기자가 바닥상태로 전이하면서 발광하는 메카니즘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삼중항 여기자의 전이시 직접 바닥상태로 전이할 수 없어 전자 스핀의 뒤바뀜(flipping)이 진행된 이후에 바닥상태로 전이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형광보다 반감기(발광시간)(lifetime)가 길어지는 특성을 갖는다.
즉, 형광 발광의 발광 지속기간(emission duration)은 수 나노초(several nano seconds)에 불과하지만, 인광 발광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긴 시간인 수 마이크로초(several micro seconds)에 해당한다.
또한, 양자역학적으로 살펴보면, 유기발광소자에서 양극에서 주입된 정공과 음극에서 주입된 전자가 재결합하여 발광여기자를 형성할 경우, 단일항과 삼중항의 생성 비율은 1:3으로 유기발광소자 내에서 삼중항 발광여기자가 단일항 발광여기자 보다 3배 가량 더 생성된다.
따라서 형광의 경우 일중항 여기상태의 확률이 25%(삼중항 상태 75%)이며 발광 효율의 한계가 있는 반면에 인광을 사용하면 삼중항 여기상태의 확률 75%와 일중항 여기상태의 확률 25%까지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이론적으로는 내부 양자 효율이 100%까지 가능하다. 따라서, 인광 발광물질을 사용하는 경우 형광 발광물질에 비해 4배 정도 높은 발광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유기발광소자에 있어서, 발광 상태의 효율과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발광 색소(도펀트)를 발광층(호스트)에 첨가하기도 한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는 발광층에 어떤 호스트 재료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발광소자의 효율과 성능이 달라지는데, 그간의 발광층(호스트) 연구를 통하여 나프탈렌, 안트라센, 페난트렌, 테트라센, 피렌, 벤조피렌, 크라이센, 피센, 카바졸, 플루오렌, 바이페닐, 터페닐, 트라이페닐렌 옥사이드, 디할로바이페닐, 트랜스-스틸벤 및 1,4-디페닐부타디엔 등이 포함된 물질이 유기 호스트 물질의 예로서 제시되어 왔다.
호스트 재료로 4,4-N,N-디카바졸바이페닐(CBP)이 주로 사용되는데, 이 화합물은 유리전이온도가 110℃ 이하이며, 열분해온도가 400℃ 이하로 열안정성 낮고 대칭성이 지나치게 좋기 때문에, 결정화하기가 쉬우며, 소자의 내열 시험 결과, 단락이나 화소 결함이 생긴다는 등의 문제가 발견된다.
또한, CBP를 포함한 대부분의 호스트 재료들은 정공수성성이 전자수송성 보다 좋은 재료들로서, 주입된 정공의 이동이 주입된 전자의 이동보다 빠르기 때문에 발광층에서 엑시톤이 효과적으로 형성되지 못함에 따라 소자의 발광효율이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고효율, 장수명의 인광 유기발광소자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전기적 및 열적 안정성이 높고, 정공과 전자를 모두 잘 전달할 수 있는 인광용 호스트 재료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우수한 열적 안정성을 가지고, 정공과 전자를 모두 잘 전달할 수 있는 유기광전소자용 재료를 제공함으로써, 고효율 유기광전소자를 구현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평균적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고, 분자 내에 정공수송기와 전자수송기를 동시에 가지는 바이폴라(bipolar) 유기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용 재료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78700182-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HTU, 및 HTU'는 각각 독립적으로 정공수송기(hole transportation unit)이고,
상기 R1 내지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아릴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양극과 음극 사이에 상기 유기광전소자용 재료를 함유한 유기 박막층을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를 제공한다.
기타 본 발명의 구현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유기광전소자용 재료는 우수한 열적 안정성을 가지며, 정공과 전자를 모두 잘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광전소자용 재료를 이용하여 유기광전소자를 제조하는 경우, 낮은 구동전압에서도 높은 발광효율을 가지는 유기광전소자의 제조가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구현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고, 분자 내에 정공수송기와 전자수송기를 동시에 가지는 바이폴라(bipolar) 유기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용 재료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78700182-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HTU, 및 HTU'는 각각 독립적으로 정공수송기(hole transportation unit)이고,
상기 R1 내지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아릴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이다)
본 명세서에서 치환된 아릴기, 치환된 아릴렌기, 치환된 알킬기, 치환된 알킬렌기, 치환된 헤테로아릴기, 및 치환된 헤테로아릴렌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할로겐기, 탄소수 1 내지 30의 할로알킬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아릴기로 치환된 아릴기, 아릴렌기, 알킬기, 알킬렌기, 헤테로아릴기, 및 헤테로아릴렌기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헤테로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렌기는 N, O, S, 및 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헤테로 원자를 한 고리 내에 1 내지 3개 함유하고, 나머 지는 탄소인 아릴기 또는 아릴렌기를 의미한다.
상기 유기광전소자용 재료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도펀트와 결합 가능한 호스트(host)물질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이폴라 유기화합물은 대칭 또는 비대칭일 수 있으며, 분자 내에 정공수송기와 전자수송기를 동시에 포함하고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이폴라 유기화합물에서 상기 피리딘기(pyridine; C6H5N)는 전자수송기로서 기능을 하고, 상기 HTU, 및 HTU'는 각각 독립적으로 정공수송기(hole transportation unit)를 나타내며, HTU와 HTU'는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이폴라 유기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바이폴라 유기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2]
Figure 112007078700182-PAT00004
(상기 화학식 2에서,
상기 X, 및 Y는 각각 독립적으로 질소원자, 황원자, 및 산소원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Ar1, 및 A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또는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또는 알킬렌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 렌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R1 내지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아릴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이고,
상기 R5 내지 R8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또는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렌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또는 알킬렌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R5와 R6는 각각 독립적인 치환기로 존재하거나, 서로 융합되어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R7와 R8는 각각 독립적인 치환기로 존재하거나, 서로 융합되어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X가 황원자, 및 산소원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경우, R5 또는 R6 중 어느 하나는 비공유전자쌍을 나타내며, Y가 황원자, 및 산소원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경우, R7 또는 R8 중 어느 하나는 비공유전자쌍을 나타내고,
상기 m과 n은 0 내지 3의 정수이고, m+n은 1 내지 6의 정수이고,
상기 o와 p는 0 내지 2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2에서 Ar1의 측쇄에 연결된 치환기, Ar2의 측쇄에 연결된 치환 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정공수송기로서 기능을 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이폴라 유기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바이폴라 유기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3]
Figure 112007078700182-PAT00005
(상기 화학식 3에서,
상기 Ar1, 및 A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또는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또는 알킬렌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렌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R1 내지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아릴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이고,
상기 R5 내지 R8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또는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렌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또는 알킬렌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R5와 R6는 각각 독립적인 치환기로 존재하거나, 서로 융합되어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R7와 R8는 각각 독립적인 치환기로 존재하거나, 서로 융합되어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m과 n은 0 내지 3의 정수이고, m+n은 1 내지 6의 정수이고,
상기 o와 p는 0 내지 2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3에서 각각 정공수송기로서 기능을 하는 Ar1의 측쇄에 연결된 치환기, 및 Ar2의 측쇄에 연결된 치환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치환기, 및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치환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인 것인 유기광전소자용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4]
Figure 112007078700182-PAT00006
(상기 화학식 4에 있어서,
상기 Ar', 및 Ar''는 각각 독립적으로 페닐기, 나프틸기, 안트릴기, 페난트릴기, 나프타센기, 피렌일기, 바이페닐일기, 터페닐일기, 톨릴기, 피롤기, 피라진일기, 피리미딜기, 피리다질기, 피리딘일기, 인돌릴기, 푸릴기, 벤조푸란일기, 퀴놀릴기, 퀴녹살린일기, 페난트리딘일기, 아크리딘일기, 페난트롤린일기, 페나진일 기, 페노티아진일기, 페녹사진일기, 옥사졸릴기, 옥사디아졸릴기, 및 티엔일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다)
[화학식 5]
Figure 112007078700182-PAT00007
(상기 화학식 5에 있어서,
상기 X1 내지 X8은 각각 독립적으로 CR', 및 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R'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아릴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이폴라 유기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바이폴라 유기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6]
Figure 112007078700182-PAT00008
(상기 화학식 6에서,
상기 Ar3, 및 A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또는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또는 알킬렌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렌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Ar4, 및 Ar5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렌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아릴렌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R1 내지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아릴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이고,
상기 R5 내지 R8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또는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렌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또는 알킬렌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R5와 R6는 각각 독립적인 치환기로 존재하거나, 서로 융합되어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R7와 R8는 각각 독립적인 치환기로 존재하거나, 서로 융합되어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m과 n은 0 내지 3의 정수이고, m+n은 1 내지 6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이폴라 유기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바이폴라 유기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7]
Figure 112007078700182-PAT00009
(상기 화학식 7에서,
상기 R1 내지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아릴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이고,
상기 R5 내지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또는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렌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또는 알킬렌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R5와 R6 은 각각 독립적인 치환기로 존재하거나, 서로 융합되어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R7과 R8는 각각 독립적인 치환기로 존재하거나, 서로 융합되어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R9와 R10는 각각 독립적인 치환기로 존재하거나, 서로 융합되어 고리를 형성한다)
상기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유기광전소자용 재료는 유리전이온도(Tg)가 120℃ 이상이며, 열분해온도(Td)가 4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광전소자용 재료가 유리전이온도(Tg)가 120℃ 이상이며, 열분해온도(Td)가 400℃ 이상인 경우, 유기광전소자에 사용되기에 충분한 열적 안정성을 가진다.
상기 화학식 1, 2, 3, 6, 및 7로 표시되는 바이폴라 유기화합물은 구체적으로 하기 화합물 1-1 내지 1-53으로 표시되는 바이폴라 유기화합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화학식 1-1] [화학식 1-2]
Figure 112007078700182-PAT00010
Figure 112007078700182-PAT00011
[화학식 1-3] [화학식 1-4]
Figure 112007078700182-PAT00012
Figure 112007078700182-PAT00013
[화학식 1-5] [화학식 1-6]
Figure 112007078700182-PAT00014
Figure 112007078700182-PAT00015
[화학식 1-7] [화학식 1-8]
Figure 112007078700182-PAT00016
Figure 112007078700182-PAT00017
[화학식 1-9] [화학식 1-10]
Figure 112007078700182-PAT00018
[화학식 1-11] [화학식 1-12]
Figure 112007078700182-PAT00020
Figure 112007078700182-PAT00021
[화학식 1-13] [화학식 1-14]
Figure 112007078700182-PAT00022
Figure 112007078700182-PAT00023
[화학식 1-15] [화학식 1-16]
Figure 112007078700182-PAT00024
Figure 112007078700182-PAT00025
[화학식 1-17] [화학식 1-18]
Figure 112007078700182-PAT00026
Figure 112007078700182-PAT00027
[화학식 1-19] [화학식 1-20]
Figure 112007078700182-PAT00028
Figure 112007078700182-PAT00029
[화학식 1-21] [화학식 1-22]
Figure 112007078700182-PAT00030
Figure 112007078700182-PAT00031
[화학식 1-23] [화학식 1-24]
Figure 112007078700182-PAT00032
Figure 112007078700182-PAT00033
[화학식 1-25] [화학식 1-26]
Figure 112007078700182-PAT00034
Figure 112007078700182-PAT00035
[화학식 1-27] [화학식 1-28]
Figure 112007078700182-PAT00036
Figure 112007078700182-PAT00037
[화학식 1-29] [화학식 1-30]
Figure 112007078700182-PAT00038
Figure 112007078700182-PAT00039
[화학식 1-31] [화학식 1-32]
Figure 112007078700182-PAT00040
Figure 112007078700182-PAT00041
[화학식 1-33] [화학식 1-34]
Figure 112007078700182-PAT00042
Figure 112007078700182-PAT00043
[화학식 1-35] [화학식 1-36]
Figure 112007078700182-PAT00044
Figure 112007078700182-PAT00045
[화학식 1-37] [화학식 1-38]
Figure 112007078700182-PAT00046
Figure 112007078700182-PAT00047
[화학식 1-39] [화학식 1-40]
Figure 112007078700182-PAT00048
Figure 112007078700182-PAT00049
[화학식 1-41] [화학식 1-42]
Figure 112007078700182-PAT00050
Figure 112007078700182-PAT00051
[화학식 1-43] [화학식 1-44]
Figure 112007078700182-PAT00052
Figure 112007078700182-PAT00053
[화학식 1-45] [화학식 1-46]
Figure 112007078700182-PAT00054
Figure 112007078700182-PAT00055
[화학식 1-47] [화학식 1-48]
Figure 112007078700182-PAT00056
Figure 112007078700182-PAT00057
[화학식 1-49] [화학식 1-50]
Figure 112007078700182-PAT00058
Figure 112007078700182-PAT00059
[화학식 1-51] [화학식 1-52]
Figure 112007078700182-PAT00060
Figure 112007078700182-PAT00061
[화학식 1-53]
Figure 112007078700182-PAT00062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이폴라 유기화합물은 발광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 정공수송층, 정공주입층, 정공저지층,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층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이폴라 유기화합물이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 정공수송층, 정공주입층, 또는 정공저지층에 포함되는 경우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발광층에 포함되는 경우 도펀트와 결합할 수 있는 호스트(host) 재료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펀트(dopant)란 그 자체는 발광능력이 높은 화합물로서 호스트에 미량 혼합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이를 게스트(guest) 또는 도펀트(dopant)라고 한다.
즉, 도펀트는 호스트 물질에 도핑(doping)되어 발광을 일으키는 물질로서, 일반적으로 3중항 상태 이상으로 여기시키는 다중항 여기(multiplet excitation)에 의해 발광하는 금속 착체(metal complex)와 같은 물질이 사용된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발광 호스트 물질로 사용될 때,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도펀트로는 적색(R), 녹색(G), 청색(B), 및 백색(W)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인광 또는 형광 도펀트 물질이 모두 사용가능하나, 인광 도펀트 물질을 사용하는 바람직하며, 기본적으로 발광양자효율이 높을 것, 잘 응집되지 않을 것, 호스트 재료 속에 균일하게(uniformly) 분포될 것이라는 성질을 만족시킬 수 있는 물질이어야 한다.
상기 인광 도펀트는 Ir, Pt, Os, Ti, Zr, Hf, Eu, Tb, Tm,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원소를 포함하는 유기 금속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 적색 인광 도펀트로는 PtOEP(platinum octaethylporphin), Ir(Piq)2(acac)(여기에서, Piq는 1-페닐이소퀴놀린이고, acac는 펜탄-2,4-디온이다), Ir(Piq)3, RD 61(UDC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녹색 인광 도펀트로는 Ir(PPy)2(acac)(여기에서 PPy는 2-페닐피리딘이다), Ir(PPy)3, GD48(UDC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청색 인광 도펀트로는 (4,6-F2PPy)2Irpic(Applied Physics Letters, 79, 2082-2084, 2001 참조)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양극과 음극 사이에 상기 유기광전소자용 재료를 함유한 유기 박막층을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를 제공한다. 상기 유기광전소자는 유기전기발광소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일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들에 따른 유기광전소자용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는 유기광전소자에 대한 다양한 구현예들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유기광전소자(100, 200, 300, 400, 및 500)는 양극(120)과 음극(110)을 사이에 두고 게재되는 한층 이상의 유기 박막층(105)을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양극(120)에는 ITO(indium tin oxide) 투명전극을, 음극(110)에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전극을 사용할 수 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유기 박막층(105)으로서 발광층(130)만이 존재하는 유기광전소자(100)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에서는 유기박막층(105)으로서 전자수송층(미도시)을 포함하는 발광층(230)과 정공수송층(140)이 존재하는 2층형 유기광전소자(200)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정공수송층(140)은 ITO와 같은 투명전극과의 접합성이나 정공수송성이 우수한 막으로 이루어진 별도의 층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에서는 유기박막층(105)으로서 전자수송층(150), 발광층(130), 정공수송층(140)이 존재하는 3층형 유기광전소자(300)로서, 발광층(130)이 독립된 형태로 되어 있고, 전자수송성이나 정공수송성이 우수한 막을 별도의 층 으로 쌓은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에서는 유기박막층(105)으로서 전자주입층(160), 발광층(130), 정공수송층(140), 정공주입층(170)이 존재하는 4층형 유기광전소자(400)로서, 상기 도 3에 도시된 3층형 유기광전소자(300)가 가지는 특징에 양극으로 사용되는 ITO와의 접합성을 생각하여 정공주입층(170)이 추가된 형태를 타내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에서는 유기박막층(105)으로서 전자주입층(160), 전자수송층(150), 발광층(130), 정공수송층(140), 정공주입층(170)과 같은 각기 다른 기능을 하는 5개의 층이 존재하는 5층형 유기광전소자(500)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유기광전소자(500)는 전자주입층(160)을 별도로 형성하여 저전압화에 효과적인 특징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1층 내지 5층으로 되어 있는 유기박막층(105)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진공증착법(evaporation), 스퍼터링(sputtering), 플라즈마 도금, 및 이온도금과 같은 건식성막법과 스핀코팅(spin coating), 침지법(dipping), 유동코팅법(flow coating)과 같은 습식성막법 등과 같은 공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유기광전소자에서 상기 발광층, 전자수송층 및/또는 전자주입층, 정공수송층 및/또는 정공주입층, 정공저지층 중 적어도 한 층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이폴라 유기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기박막층(105)은 인광 발광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인광 발광성 화합물로서는, 3중항 상태 이상으로 여기시키는 다중항 여기(multiplet excitation)에 의해 발광하는 금속 착체 등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유기광전소자용 재료를 제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과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유기광전소자용 재료를 이용하여 실제 유기광전소자를 제조하였을 경우 발광효율이 높고, 구동전압이 낮아지게 된다는 것을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 실시예 1: 유기광전소자용 재료의 합성)
( 실시예 1-1: 화합물(16)의 합성)
하기 화합물(16)을 하기 반응식 1과 같은 6단계 경로를 통해 합성하였다.
[반응식 1]
Figure 112007078700182-PAT00063
제1 단계; 중간체 생성물(A)의 합성
카바졸 40.4g(241mmol), 1,3,5-트리브로모벤젠 38.0g(121mmol), 염화제일구리 2.99g(30 mmol), 및 탄산칼륨 66.7g(483mmol)을 디메틸술폭사이드 171ml에 현탁하여, 질소 분위기 하에서 8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상기 가열 환류시킨 반응용액을 실온까지 냉각하고, 메탄올을 사용하여 재결정시켰다. 석출한 결정을 여과에 의해 분리하고, 수득한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결정 상태의 중간체 생성물(A) 36.7g(수율62.4%)을 수득하였다.
제2 단계; 중간체 생성물(B)의 합성
중간체 생성물(A) 35.0g(72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350ml에 용해하고, 아르곤 분위기하의 -70oC에서 n-부틸리튬 헥산 용액(1.6M) 61.5ml(98mmol)을 가하여, 수득된 용액을 -70oC 내지 40oC에서 1시간 교반했다. 상기 교반한 반응용액을 -70oC까지 냉각한 후, 이소프로필테트라메틸디옥사보로란 29.3ml(144mmol)를 서서히 적가하였다. 수득된 용액을 -70oC에서 1시간 교반한 후, 실온까지 승온시켜 6시간 동안 교반했다. 수득된 반응용액에 물 200ml를 첨가한 다음 20분간 교반하였다.
상기 교반한 반응용액을 2개의 액체층으로 분리한 후, 유기층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했다. 상기 건조한 반응용액에서 감압하여 유기용매를 제거한 후, 수득한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결정 상태의 중간체 생성물(B) 25.1g(수율65.4%)을 수득했다.
제3 단계; 중간체 생성물(C)의 합성
중간체 생성물(B) 45.1g(84mmol), 3,5-디브로모피리딘 20.0g(84mmo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2.44g(2.1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600ml, 및 톨루엔 400ml에 현탁하고, 탄산칼륨 23.3g(169mmol)을 물 400ml에 용해한 용액을 이 현탁액에 가하고, 수득된 혼합물을 9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상기 가열 환류한 반응용액을 2층으로 분리한 후, 유기층을 염화 나트륨 포화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했다.
상기 건조한 반응용액에서 유기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제거한 후, 그 잔류물을 톨루엔으로 재결정하여, 석출한 결정을 여과에 의해 분리하고, 톨루엔으로 세정하여, 결정 상태의 중간체 생성물(D) 30.7g(64.4%)을 수득했다.
제4 단계; 중간체 생성물(D)의 합성
9, 10- 디브로모벤젠 10g(30mmol), 1-나프탈렌보론산 7.6g(30mmo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1.73g(1.5mmol)을 톨루엔 500ml에 현탁하고, 탄산칼륨 4.14g(30mmol)을 물 60ml에 용해한 용액을 이 현탁액에 가하고, 수득된 혼합물을 9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상기 가열 환류한 반응용액을 2층으로 분리한 후, 유기층을 염화 나트륨 포화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했다. 상기 건조한 반응용액에서 유기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제거한 후, 그 잔류물을 톨루엔으로 재결정하여, 석출한 결정을 여과에 의해 분리하고, 톨루엔으로 세정하여, 결정 상태의 중간체 생성물(D) 5.97g(52%)을 수득했다.
제5 단계; 중간체 생성물(E)의 합성
중간체 생성물(D) 5g(13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350ml에 용해하고, 아르곤 분위기하의 -70oC에서 n-부틸리튬 헥산 용액(1.6M) 8.12(13mmol)을 가하고, 수득된 용액을 -70oC 내지 40oC에서 1시간 동안 교반했다. 상기 교반하여 얻어진 반응용액을 -70oC까지 냉각한 후, 이소프로필테트라메틸디옥사보로란 2.41g(13mmol)를 서서 히 적가하였다. 수득된 반응용액을 -70oC에서 1시간 교반한 후, 실온까지 승온시켜 6시간 교반했다. 수득된 반응용액에 물 200ml를 첨가한 다음 20분간 교반했다.
상기 교반한 반응용액을 2개의 액체층으로 분리한 후, 유기층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했다. 상기 건조한 반응용액에서 감압하여 유기용매를 제거한 후, 수득한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결정 상태의 중간체 생성물(E) 3.5g(수율60%)을 수득했다.
제6 단계; 화합물 (16)의 합성
중간체 생성물(C) 3g(5.3mmol), 중간체 생성물(E) 2.28(5.3mmo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0.3g(0.26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100ml, 및 톨루엔 100ml에 현탁하고, 탄산칼륨 0.73g(5.3mmol)을 물 100ml에 용해한 용액을 이 현탁액에 가하고, 수득된 혼합물을 9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상기 가열 환류한 반응용액을 2층으로 분리한 후, 유기층을 염화 나트륨 포화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했다.
상기 건조한 반응용액에서 유기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제거한 후, 그 잔류물을 톨루엔으로 재결정하여, 석출한 결정을 여과에 의해 분리하고, 톨루엔으로 세정하여, 결정 상태의 화합물(16) 2.21g(53%)을 수득했다.
( 실시예 1-2: 화합물(24)의 합성)
하기 화합물(24)를 하기 반응식 2과 같은 경로를 통해 합성하였다.
[반응식 2]
Figure 112007078700182-PAT00064
제1 단계; 중간체 생성물(F)의 합성
1,3-디브로모벤젠 15g(63mmol), 1-나프탈렌보론산 7.66g(44mmol), 탄산칼륨 17.58g(127mmo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1.83g(50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00ml, 톨루엔 200ml, 및 정제수(50ml)에 현탁하여, 질소 분위기하에서 24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상기 가열 환류한 반응용액을 실온까지 냉각하고, 상기 반응용액을 2층으로 분리한 후, 유기층의 용매를 감압하여 제거한 후 얻은 유체를 관크로마토그래피(핵산)로 분리한 후, 용매를 제거하여 겔 상태의 중간체 생성물(F) 15g(83%)을 수득했다.
제2 단계; 중간체 생성물(G)의 합성
중간체 생성물(F) 7g(24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50ml에 용해하고, 아르곤 분위기하의 -70oC에서 n-부틸리튬 헥산 용액(1.6M) 15ml(24mmol)을 가하여 수득된 용액을 -70oC에서 30분간 교반 후, 반응용액에 이소프로필테트라메틸디옥사보로란 47.9ml(235mmol)을 천천히 적가하였다. 수득된 반응용액을 -70oC에서 1시간 교반한 후, 실온까지 승온시켜 6시간 교반했다. 수득된 반응용액에 물 200ml를 첨가한 다음 20분간 교반했다.
상기 교반한 반응용액을 2개의 액체층으로 분리한 후 감압하여 유기용매를 제거한 후, 수득한 잔류물을 실리카겔 관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중간체 생성물(G) 6g(73%)을 수득했다.
제6 단계; 화합물(24)의 합성
중간체 생성물(C) 4g(7mmol), 중간체 생성물(G) 2.81g(8.5mmol), 탄산칼륨1.96g(14mmo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0.41g(0.3mmol)을 톨루엔 200ml,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00ml, 및 정제수(50ml)에 현탁하여 24시간 가열 교반하였다.
상기 가열 교반한 반응용액에서 반응온도를 실온까지 냉각하고, 2층으로 분리한 후, 유기층의 용매를 감압 제거하여 수득한 잔유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24) 4g(82%)을 수득했다.
(실시예 1-3: 화합물(26)의 합성)
하기 화합물(26)을 하기 반응식 3과 같은 경로를 통해 합성하였다.
[반응식 3]
Figure 112007078700182-PAT00065
중간체 생성물(C) 3g(5.3mmol), 파이렌-1-보론산 1.3g(5.3mmo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0.3g(0.2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150ml, 및 톨루엔 150ml에 현탁하고, 탄산칼륨 1.38g(10mmol)을 물 20ml에 용해한 용액을 현탁액에 가하여 수득된 혼합물을 9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상기 가열 환류한 반응용액을 2층으로 분리한 후, 유기층을 염화 나트륨 포화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했다. 상기 건조한 반응용액에서 유기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제거한 후, 그 잔류물을 톨루엔으로 재결정하여, 석출한 결정을 여과에 의해 분리하고, 톨루엔으로 세정하여, 결정 상태의 화합물(26) 2.73g(75%)을 수득했다.
(실시예 1-4: 화합물(51)의 합성)
하기 화합물(51)을 하기 반응식 4와 같은 경로를 통해 합성하였다.
[반응식 4]
Figure 112007078700182-PAT00066
제1 단계; 중간체 생성물(H)의 합성
3,6-디브로모벤젠 3g(9mmol), 벤젠보론산 2.25g(18mmol), 탄산칼륨 5g(36mmo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0.2g(0.18mmol)를 톨루엔 200ml, 및 정제수(50ml)에 현탁하여, 질소 분위기하에서 24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상기 가열 환류한 반응용액을 2층으로 분리한 후, 유기층을 염화 나트륨 포화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했다. 상기 건조한 반응용액에서 유기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제거한 후, 그 잔류물을 톨루엔으로 재결정하여, 석출한 결정을 여과에 의해 분리하고, 톨루엔으로 세정하여, 결정 상태의 중간체 생성물(H) 1.43g(50%)을 수득했다.
제2 단계; 중간체 생성물(I)의 합성
1,4-디브로모벤젠 5g(21mmol), 중간체생성물 (H) 6.7g (21mmol), 탄산칼륨 2.9g(21mmol), 및 염화제일구리 200mg(0.018mmol)를 디메틸설폭사이드 200ml에 현탁하여, 질소 분위기하에서 24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상기 가열 환류한 반응용액을 2층으로 분리한 후, 유기층을 염화 나트륨 포화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했다. 상기 건조한 반응용액에서 유기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제거한 후, 그 잔류물을 톨루엔으로 재결정하여, 석출한 결정을 여과에 의해 분리하고, 톨루엔으로 세정하여, 결정 상태의 중간체 화합물(I) 4.28g(43%)을 수득했다.
제3 단계; 중간체 생성물(J) 합성
중간체 생성물(J) 5g(9.5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00ml에 현탁한 후, -76℃를 유지하며 질소 분위기하에서 1.6M 노르말 부틸리튬 5.93ml(9.5mmol)을 첨가하였다. 30분 후에 상기 현탁액에 이소프로필테트라메틸디옥사보로란 1.76g(9.5mmol)을 첨가하여 반응용액을 얻은 후, 실온까지 온도를 올렸다.
상기 반응용액을 2층으로 분리한 후, 유기층을 염화 나트륨 포화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했다. 상기 건조한 반응용액에서 유기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제거한 후, 그 잔류물을 톨루엔으로 재결정하여, 석출한 결정을 여과에 의해 분리하고, 헥산으로 세정하여, 결정 상태의 중간체 생성물(J) 3.17g(64%)을 수득했다.
제4 단계; 화합물(51)의 합성
중간체 생성물(C) 3g(5.3mmol), 중간체 생성물(J) 2.76g(5.3mmol), 탄산칼륨 1.96g(14mmo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0.41g(0.3mmol)을 톨루엔 200ml, 및 정제수(50ml)에 현탁하여 24시간 가열 교반하였다.
상기 가열 교반한 반응용액의 온도를 실온까지 냉각하고, 2층으로 분리하여 유기층의 용매를 감압한 후, 제거하여 수득한 잔유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51) 3.49g(75%)을 수득했다.
( 실시예 1-5: 화합물(53)의 합성)
하기 화합물(53)을 하기 반응식 5와 같은 경로를 통해 합성하였다.
[반응식 5]
Figure 112007078700182-PAT00067
제1 단계; 중간체 생성물(K)의 합성
3,6-디브로모벤젠 3.22g(13mmol), N-페닌-1-나프틸아민 3g(13mmol), 소디움- t-부톡사이드 1.24g(13mmol), 팔라듐아세테이트 30mg(0.13mmol), 및 바이냅(2,2'-bis(diphenylphosphino)-1,1'-binaphthyl, BINAP) 80mg(0.13mmol)를 톨루엔 200ml에 현탁하여, 질소 분위기하에서 24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상기 가열 환류한 반응용액을 2층으로 분리한 후, 유기층을 염화 나트륨 포화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했다. 상기 건조한 유기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류하여 제거한 후, 그 잔류물을 톨루엔으로 재결정하여, 석출한 결정을 여과에 의해 분리하고, 톨루엔으로 세정하여, 결정 상태의 중간체 생성물(K) 2.04g(42%)을 수득했다.
제2 단계; 중간체 생성물(L)의 합성
중간체 생성물(L) 3g(8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00ml에 현탁한 후, -76℃를 유지하며 질소 분위기하에서 1.6M 노르말 부틸리튬 5ml(8mmol)을 첨가하여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30분 후 상기 현탁액에 이소프로필테트라메틸디옥사보로란 1.48g(8mmol)을 첨가하여 반응용액을 얻은 후, 실온까지 온도를 올렸다.
상기 반응용액을 2층으로 분리한 후, 유기층을 염화 나트륨 포화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했다. 상기 건조한 반응용액에서 유기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류하여 제거한 후, 그 잔류물을 톨루엔으로 재결정하여, 석출한 결정을 여과에 의해 분리하고, 헥산으로 세정하여, 결정 상태의 중간체 생성물(L) 2.62g(78%)을 수득했다.
제4 단계; 화합물(53)의 합성
중간체 생성물(C) 3g(5.3mmol), 중간체 생성물(L) 2.23g(5.3mmol), 탄산칼륨 1.96g(14mmo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0.41g(0.3mmol)을 톨루엔 200ml, 및 정제수(50ml)에 현탁하여 24시간 동안 가열 교반하였다.
상기 가열 교반한 반응용액의 반응온도를 실온까지 냉각하고, 2층으로 분리한 후, 유기층의 용매를 감압 제거하여 수득한 잔유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53) 2.68g(65%)을 수득했다.
( 실시예 2: 유기광전소자의 제작)
( 실시예 2-1)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화합물(24)를 호스트로, Ir(PPy)3를 도펀트로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 유기광전소자를 제작하였다,
양극으로는 ITO를 1000Å의 두께로 사용하였고, 음극으로는 알루미늄(Al)을 1000Å의 두께로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유기광전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양극은 15Ψ/cm2 의 면저항값을 가진 ITO 유리 기판을 50mm×50mm×0.7mm크기로 잘라서 아세톤과 이소프로필 알콜과 순수물 속에서 각각 15분 동안 초음파 세정한 후, 30분 동안 UV 오존 세정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ITO 유리 기판 상부에 진공도 650×10-7Pa, 증착속도 0.1 내지 0.3nm/s의 조건으로 DNTPD(N,N'-di(4-(N,N'-diphenyl-amino)phenyl)-N,N'-diphenylbenzidine)와 NPD(N,N'-di-1-naphthyl-N,N'-diphenylbenzidine)를 증착하 여 막 두께 900Å의 정공수송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동일한 진공 증착 조건에서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화합물(24)를 이용하여 막 두께 300Å의 발광층을 형성하였으며, 이때 인광 도판트인 Ir(PPy)3(여기에서 PPy는 2-페닐피리딘이다)을 동시 증착하였다.
이때, 인광 도판트의 증착 속도를 조절하여, 발광층의 전체량을 100 중량%로 했을 때, 인광 도판트의 배합량이 10 중량%가 되도록 증착하였다.
상기 발광층 상부에 동일한 진공 증착 조건을 이용하여 Balq(Bis(2-methyl-8-quinolinolate)-4-(phenylphenolate)aluminum)를 증착하여 막 두께 50Å의 정공저지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동일한 진공 증착 조건에서 Alq3(tris(8-hydroxy-quinolate)aluminum)를 증착하여 막 두께 200Å의 전자수송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전자수송층 상부에 LiF와 Al을 순차적으로 증착하여 유기광전소자를 완성하였다.
유기광전소자는 5층 구조로 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ITO/DNTPD(60nm)/NPD(30nm)/화합물(24)+Ir(PPy)3(10wt%, 30nm)/Balq(5nm)/Alq3(20nm)/LiF/Al(100nm)의 5층 구조로 제작하였다.
( 실시예 2-2)
상기의 실시예 1-4에서 제조된 화합물(51)을 호스트로, Ir(Piq)2acac를 도펀트로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 유기광전소자를 제작하였다,
양극으로는 ITO를 1000Å의 두께로 사용하였고, 음극으로는 알루미늄(Al)을 1000Å의 두께로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유기광전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양극은 15Ψ/cm2 의 면저항값을 가진 ITO 유리 기판을 50mm×50mm×0.7mm크기로 잘라서 아세톤과 이소프로필 알콜과 순수물 속에서 각 15분 동안 초음파 세정한 후, 30분 동안 UV 오존 세정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기판 상부에 진공도 650×10-7Pa, 증착속도 0.1 내지 0.3nm/s의 조건으로 DNTPD와 NPD를 증착하여 막 두께 900Å의 정공수송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동일한 진공 증착 조건에서 화합물(51)을 이용하여 막 두께 300Å의 발광층을 형성하였으며, 이때 인광 도판트인 Ir(Piq)2acac을 동시 증착하였다.
이때, 인광 도판트의 증착 속도를 조절하여, 발광층의 전체량을 100 중량%로 했을 때, 인광 도판트의 배합량이 10 중량%가 되도록 증착하였다.
상기 발광층 상부에 동일한 진공 증착 조건을 이용하여 BCP(2,9-Dimethyl-4,7-diphenyl-1,10-phenanthroline)를 증착하여 막 두께 50Å의 정공저지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동일한 진공 증착 조건에서 Alq3를 증착하여 막 두께 200Å의 전자수송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전자수송층 상부에 LiF와 Al을 순차적으로 증착하여 유기광전소자를 완성하였다.
유기광전소자는 5층 구조로 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ITO/DNTPD(60nm)/NPD(30nm)/화합물(51)+Ir(Piq)2acac(10%, 30nm)/BCP(5nm)/Alq3(20nm)/LiF/Al(100nm)의 5층 구조로 제작하였다.
( 실시예 2-3)
상기 실시예 1-5에서 제조된 화합물(53)을 호스트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2와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유기광전소자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호스트로서 화합물(24) 대신 하기 화학식 8로 표시되는 4,4-N,N-다이카바졸바이페닐(CBP)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ITO/DNTPD(60nm)/NPD(30nm)/CBP+Ir(PPy)3(10%, 30nm)/Balq(5nm)/Alq3(20nm)/LiF/Al(100nm)의 5층 구조를 갖는 유기광전소자를 제조하였다.
[화학식 8]
Figure 112007078700182-PAT00068
(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2에서 호스트로서 화합물(51) 대신 상기 화학식 8로 표시되는 CBP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ITO/DNTPD(60nm)/NPD(30nm)/CBP+Ir(Piq)2acac(10%, 30nm)/BCP(5nm)/Alq3(20nm)/LiF/Al(100nm)의 5층 구조를 갖는 유기광전소자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유기광전소자용 재료의 물성 측정)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유기광전소자용 재료에 대하여 Bruker 300MHz를 이용하여 1H-NMR을 측정하였고,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유기광전소자용 재료는 화합물(24)임을 확인하였다.
1H NMR (200MHz, CDCl3) δ 8.95(2H,d), 8.21(5H,m), 8.1(2H,d), 7.91(3H,t), 7.7(2H,m), 7.4(19H,m) ppm.
상기 실시예 1-2, 1-4, 및 1-5에서 제조된 유기광전소자용 재료의 유리전이온도(Tg)와 열분해온도(Td)를 DSC와 TGA로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유기광전소자용 재료의 유리전이온도와 열분해온도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고, 상기 실시예 1-4, 및 1-5에서 제조된 유기광전소자용 재료의 유리전이온도와 열분해온도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비교예 1, 및 2에서 호스트물질로 사용한 CBP의 유리전이온도와 열분 해온도도 DSC와 TGA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 유기광전소자의 성능 측정)
상기 실시예 2-1 내지 2-3,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된 각각의 유기광전소자에 대하여 전압에 따른 발광 효율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인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전압 변화에 따른 전류 밀도의 변화 측정
상기 실시예 2-1 내지 2-3,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된 각각의 유기광전소자에 대해, 전압을 0V 부터 14V 까지 상승시키면서 전류-전압계(Keithley 2400)를 이용하여 단위소자에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류값을 면적으로 나누어 전류 밀도를 측정하였다.
2) 전압 변화에 따른 휘도 변화 측정
상기 실시예 2-1 내지 2-3,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된 각각의 유기광전소자에 대해, 전압을 0V 부터 14V 까지 상승시키면서 휘도계(Minolta Cs-1000A)를 이용하여 휘도를 측정하였다.
3) 발광 효율 측정
상기 1) 과 2) 로부터 측정된 휘도 값과 전류 밀도, 및 전압을 이용하여 발광 효율을 계산하였고, 실시예 2-1, 및 비교예 1의 결과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였고, 실시예 2-2, 2-3, 및 비교예 2의 결과를 하기 표 2에 정리하였다.
[표 1]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 Tg (℃) Td (℃) 휘도 100nit 색좌표 (x, y)
구동전압 (V) 발광효율 (lm/W)
실시예 2-1 화합물(24) 126 517 4.5 24.9 0.30, 0.62
비교예 1 CBP 110 392 6 16.7 0.28, 0.62
[표 2]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 Tg (℃) Td (℃) 휘도 100nit 색좌표 (x, y)
구동전압 (V) 발광효율 (lm/W)
실시예 2-2 화합물(51) 관측X 560 5 3.88 0.67, 0.31
실시예 2-3 화합물(53) 154 494 6 4.09 0.68, 0.31
비교예 2 CBP 110 392 6.5 3.83 0.68, 0.31
상기 표 1, 및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바이폴라 유기화합물은 대부분의 경우 유리전이온도가 120℃ 이상이고, 열분해온도(Td)가 430℃ 이상의 값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바이폴라 유기화합물을 비교예 1, 및 2에서 호스트 재료로 사용된 CBP(110oC)에 비해 매우 높은 열안정성을 갖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유기광전소자의 휘도 100nit에서 대부분의 구동전압은 6V 이하로 비교예 1, 및 2에 비하여 동등하거나 우수한 소자 성능을 나타내며, 실시예 2-1의 경우는 비교예 1에 비해 1.5V 이상 낮은 구동전압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2의 경우, 비교예 2와 비교하여 1.5V 이상 낮은 구동전압을 나타내고, 실시예 2-3의 경우, 비교예 2에 비하여 0.5V 이상 낮은 구동전압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1의 경우, 비교예 1과 비교하여 향상된 소자 성능을 나타낸다. 상기 표 2에서 실시예 2-2의 경우 비교예 2와 동등한 수준의 발광효율을 나타내었고, 실시예 2-3의 경우, 비교예 2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은 소자특성을 나타내 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유기광전소자용 재료는 높은 열적 안정성을 가지며,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유기광전소자는 낮은 구동전압, 및 높은 발광효율을 나타내었으며, 비정질화의 증가와, 높은 Tg, Td로 인하여 열적 안정성이 증가됨으로써, 유기광전소자의 수명도 증가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 및 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유기광전소자용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는 유기광전소자에 대한 다양한 구현예들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유기광전소자 110 : 음극
120 : 양극 105 : 유기 박막층
130 : 발광층 140 : 정공수송층
150 : 전자수송층 160 : 전자주입층
170 : 정공주입층

Claims (11)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고, 분자 내에 정공수송기와 전자수송기를 동시에 가지는 바이폴라(bipolar) 유기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용 재료.
    [화학식 1]
    Figure 112007078700182-PAT00069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HTU, 및 HTU'는 각각 독립적으로 정공수송기(hole transportation unit)이고,
    상기 R1 내지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아릴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이고,
    상기 치환된이란 수소원자가 할로겐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30의 할로알킬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아릴기, 탄소수 1 내지 20의 알콕시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이폴라 유기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인 유기광전소자용 재료.
    [화학식 2]
    Figure 112007078700182-PAT00070
    (상기 화학식 2에서,
    상기 X, 및 Y는 각각 독립적으로 질소원자, 황원자, 및 산소원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Ar1, 및 A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또는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또는 알킬렌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렌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R1 내지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아릴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이고,
    상기 R5 내지 R8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또는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렌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또는 알킬렌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R5와 R6는 각각 독립적인 치환기로 존재하거나, 서로 융합되어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R7와 R8는 각각 독립적인 치환기로 존재하거나, 서로 융합되어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X가 황원자, 및 산소원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경우, R6는 비공유전자쌍을 나타내며, Y가 황원자, 및 산소원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경우, R8는 비공유전자쌍을 나타내고,
    상기 m과 n은 0 내지 3의 정수이고, m+n은 1 내지 6의 정수이고,
    상기 o와 p는 0 내지 2의 정수이고,
    상기 치환된이란 수소원자가 할로겐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30의 할로알킬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아릴기, 탄소수 1 내지 20의 알콕시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이폴라 유기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인 유기광전소자용 재료.
    [화학식 3]
    Figure 112007078700182-PAT00071
    (상기 화학식 3에서,
    상기 Ar1, 및 A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또는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또는 알킬렌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렌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R1 내지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아릴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이고,
    상기 R5 내지 R8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또는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렌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또는 알킬렌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R5와 R6는 각각 독립적인 치환기로 존재하거나, 서로 융합되어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R7와 R8는 각각 독립적인 치환기로 존재하거나, 서로 융합되어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m과 n은 0 내지 3의 정수이고, m+n은 1 내지 6의 정수이고,
    상기 o와 p는 0 내지 2의 정수이고,
    상기 치환된이란 수소원자가 할로겐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30의 할로알킬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아릴기, 탄소수 1 내지 20의 알콕시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3에서 Ar1의 측쇄에 연결된 치환기, 및 Ar2의 측쇄에 연결된 치환기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치환기, 및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치환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인 것인 유기광전소자용 재료.
    [화학식 4]
    Figure 112007078700182-PAT00072
    (상기 화학식 4에 있어서,
    상기 Ar', 및 Ar''는 각각 독립적으로 페닐기, 나프틸기, 안트릴기, 페난트릴기, 나프타센기, 피렌일기, 바이페닐일기, 터페닐일기, 톨릴기, 피롤기, 피라진일기, 피리미딜기, 피리다질기, 피리딘일기, 인돌릴기, 푸릴기, 벤조푸란일기, 퀴놀릴기, 퀴녹살린일기, 페난트리딘일기, 아크리딘일기, 페난트롤린일기, 페나진일기, 페노티아진일기, 페녹사진일기, 옥사졸릴기, 옥사디아졸릴기, 및 티엔일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다)
    [화학식 5]
    Figure 112007078700182-PAT00073
    (상기 화학식 5에 있어서,
    상기 X1 내지 X8은 각각 독립적으로 CR', 및 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R'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아릴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이고,
    상기 치환된이란 수소원자가 할로겐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30의 할로알킬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아릴기, 탄소수 1 내지 20의 알콕시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 되는 치환기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이폴라 유기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인 유기광전소자용 재료.
    [화학식 6]
    Figure 112007078700182-PAT00074
    (상기 화학식 6에서,
    상기 Ar3, 및 A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또는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또는 알킬렌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렌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Ar4, 및 Ar5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렌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아릴렌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R1 내지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아릴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이고,
    상기 R5 내지 R8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또는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렌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또는 알킬렌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R5와 R6는 각각 독립적인 치환기로 존재하거나, 서로 융합되어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R7와 R8는 각각 독립적인 치환기로 존재하거나, 서로 융합되어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m과 n은 0 내지 3의 정수이고, m+n은 1 내지 6의 정수이고,
    상기 치환된이란 수소원자가 할로겐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30의 할로알킬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아릴기, 탄소수 1 내지 20의 알콕시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이폴라 유기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인 유기광전소자용 재료.
    [화학식 7]
    Figure 112007078700182-PAT00075
    (상기 화학식 7에서,
    상기 R1 내지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아릴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이고,
    상기 R5 내지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또는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렌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또는 알킬렌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R5와 R6 은 각각 독립적인 치환기로 존재하거나, 서로 융합되어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R7과 R8는 각각 독립적인 치환기로 존재하거나, 서로 융합되어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R9와 R10는 각각 독립적인 치환기로 존재하거나, 서로 융합되어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치환된이란 수소원자가 할로겐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30의 할로알킬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탄소수 2 내지 30의 헤테로아릴기, 탄소수 1 내지 20의 알콕시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이폴라 유기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1 내지 1-5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인 유기광전소자용 재료.
    [화학식 1-1] [화학식 1-2]
    Figure 112007078700182-PAT00076
    Figure 112007078700182-PAT00077
    [화학식 1-3] [화학식 1-4]
    Figure 112007078700182-PAT00078
    Figure 112007078700182-PAT00079
    [화학식 1-5] [화학식 1-6]
    Figure 112007078700182-PAT00080
    Figure 112007078700182-PAT00081
    [화학식 1-7] [화학식 1-8]
    Figure 112007078700182-PAT00082
    Figure 112007078700182-PAT00083
    [화학식 1-9] [화학식 1-10]
    Figure 112007078700182-PAT00084
    Figure 112007078700182-PAT00085
    [화학식 1-11] [화학식 1-12]
    Figure 112007078700182-PAT00086
    Figure 112007078700182-PAT00087
    [화학식 1-13] [화학식 1-14]
    Figure 112007078700182-PAT00088
    Figure 112007078700182-PAT00089
    [화학식 1-15] [화학식 1-16]
    Figure 112007078700182-PAT00090
    Figure 112007078700182-PAT00091
    [화학식 1-17] [화학식 1-18]
    Figure 112007078700182-PAT00092
    Figure 112007078700182-PAT00093
    [화학식 1-19] [화학식 1-20]
    Figure 112007078700182-PAT00094
    Figure 112007078700182-PAT00095
    [화학식 1-21] [화학식 1-22]
    Figure 112007078700182-PAT00096
    Figure 112007078700182-PAT00097
    [화학식 1-23] [화학식 1-24]
    Figure 112007078700182-PAT00098
    Figure 112007078700182-PAT00099
    [화학식 1-25] [화학식 1-26]
    Figure 112007078700182-PAT00100
    Figure 112007078700182-PAT00101
    [화학식 1-27] [화학식 1-28]
    Figure 112007078700182-PAT00102
    Figure 112007078700182-PAT00103
    [화학식 1-29] [화학식 1-30]
    Figure 112007078700182-PAT00104
    Figure 112007078700182-PAT00105
    [화학식 1-31] [화학식 1-32]
    Figure 112007078700182-PAT00106
    Figure 112007078700182-PAT00107
    [화학식 1-33] [화학식 1-34]
    Figure 112007078700182-PAT00108
    Figure 112007078700182-PAT00109
    [화학식 1-35] [화학식 1-36]
    Figure 112007078700182-PAT00110
    Figure 112007078700182-PAT00111
    [화학식 1-37] [화학식 1-38]
    Figure 112007078700182-PAT00112
    Figure 112007078700182-PAT00113
    [화학식 1-39] [화학식 1-40]
    Figure 112007078700182-PAT00114
    Figure 112007078700182-PAT00115
    [화학식 1-41] [화학식 1-42]
    Figure 112007078700182-PAT00116
    Figure 112007078700182-PAT00117
    [화학식 1-43] [화학식 1-44]
    Figure 112007078700182-PAT00118
    Figure 112007078700182-PAT00119
    [화학식 1-45] [화학식 1-46]
    Figure 112007078700182-PAT00120
    Figure 112007078700182-PAT00121
    [화학식 1-47] [화학식 1-48]
    Figure 112007078700182-PAT00122
    Figure 112007078700182-PAT00123
    [화학식 1-49] [화학식 1-50]
    Figure 112007078700182-PAT00124
    Figure 112007078700182-PAT00125
    [화학식 1-51] [화학식 1-52]
    Figure 112007078700182-PAT00126
    Figure 112007078700182-PAT00127
    [화학식 1-53]
    Figure 112007078700182-PAT00128
  8.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기광전소자용 재료를 함유한 유기 박막층을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박막층이 발광층인 것인 유기광전소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바이폴라 유기화합물을 포함하는 인광 또는 형광 호스트; 및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인광 또는 형광 도펀트를 포함하는 것인 유기광전소자.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박막층은 발광층, 정공수송층, 정공주입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층을 포함하는 것인 유기광전소자.
KR1020070110984A 2007-11-01 2007-11-01 유기광전소자용 재료, 및 이를 이용한 유기광전소자 KR100957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984A KR100957620B1 (ko) 2007-11-01 2007-11-01 유기광전소자용 재료, 및 이를 이용한 유기광전소자
CN2008801085156A CN101809117B (zh) 2007-11-01 2008-10-31 用于有机光电装置的材料及有机光电装置
PCT/KR2008/006452 WO2009057978A2 (en) 2007-11-01 2008-10-31 Material for organic photoelectric device, and organic photoelectric device thereby
US12/662,765 US8120243B2 (en) 2007-11-01 2010-05-03 Material for organic photoelectric device, and organic photoelectric device thereby
US13/242,976 US20120012830A1 (en) 2007-11-01 2011-09-23 Material for organic photoelectric device, and organic photoelectric device there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984A KR100957620B1 (ko) 2007-11-01 2007-11-01 유기광전소자용 재료, 및 이를 이용한 유기광전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752A true KR20090044752A (ko) 2009-05-07
KR100957620B1 KR100957620B1 (ko) 2010-05-13

Family

ID=40591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0984A KR100957620B1 (ko) 2007-11-01 2007-11-01 유기광전소자용 재료, 및 이를 이용한 유기광전소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120243B2 (ko)
KR (1) KR100957620B1 (ko)
CN (1) CN101809117B (ko)
WO (1) WO200905797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0063B2 (en) 2009-10-21 2013-09-10 Cheil Industries, Inc. Compound for organic photoelectric device and organic photoelectric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57517B (zh) * 2007-04-13 2013-03-27 第一毛织株式会社 包括电子传输单元和空穴传输单元的有机光电装置材料及有机光电装置
KR20120057606A (ko) * 2010-03-05 2012-06-05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용 재료 및 그것을 사용한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KR101319734B1 (ko) 2010-05-20 2013-10-17 주식회사 두산 신규 하이브리드 유기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소자
KR101531612B1 (ko) * 2010-12-02 2015-06-25 제일모직 주식회사 유기광전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
KR101497134B1 (ko) * 2011-12-29 2015-03-02 제일모직 주식회사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및 상기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507001B1 (ko) 2011-12-30 2015-03-31 제일모직 주식회사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및 상기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N105646852B (zh) * 2013-01-31 2017-11-24 南安市鑫灿品牌运营有限公司 一种有机半导体材料的制备方法
CN103965440B (zh) * 2013-01-31 2016-08-24 顾玉奎 一种有机半导体材料
CN103664495B (zh) * 2013-12-10 2016-07-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蒽类衍生物及制备方法、应用和有机发光器件
CN104151296A (zh) * 2014-06-27 2014-11-19 南京工业大学 一类吡啶衍生物的合成方法及其应用
JP6764671B2 (ja) * 2015-04-14 2020-10-07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複素環化合物、発光素子、発光装置、電子機器、および照明装置
KR102270125B1 (ko) 2017-04-13 2021-06-25 시노라 게엠베하 유기 분자, 특히 광전자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유기 분자
CN109980085B (zh) * 2017-12-28 2021-08-31 中节能万润股份有限公司 一种含有覆盖层的有机电致发光装置及用途
JP7268049B2 (ja) 2018-03-08 2023-05-02 インサイト・コーポレイション PI3K-γ阻害剤としてのアミノピラジンジオール化合物
EP3575377B1 (en) * 2018-05-31 2021-03-17 Cynora Gmbh Organic molecules for optoelectronic devices
WO2020010003A1 (en) 2018-07-02 2020-01-09 Incyte Corporation AMINOPYRAZINE DERIVATIVES AS PI3K-γ INHIBITOR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9292A (en) * 1987-03-02 1988-09-06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modified thin film luminescent zone
JP3170957B2 (ja) * 1993-06-28 2001-05-28 富士電機株式会社 有機薄膜発光素子
JP3965800B2 (ja) * 1997-12-01 2007-08-29 チッソ株式会社 トリアリールアミン誘導体を用いた有機電界発光素子
JP4320811B2 (ja) 1998-12-07 2009-08-26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2001131150A (ja) 1999-10-29 2001-05-15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有機電界発光素子及びビニルピリジン誘導体化合物
EP2169028B1 (en) * 2002-03-22 2018-11-21 Idemitsu Kosan Co., Ltd. Material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made by using the same
JP4223768B2 (ja) 2002-08-30 2009-02-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発光素子
EP1672961B1 (en) * 2003-07-31 2014-12-03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Compound, charge transport material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EP1724323A4 (en) * 2004-03-08 2008-11-05 Idemitsu Kosan Co MATERIAL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USING SUCH MATERIAL
WO2006040915A2 (ja) * 2004-09-22 2006-04-20 Japan Science & Tech Agency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101420608B1 (ko) 2004-12-24 2014-07-18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화합물, 전하 수송 물질 및 유기 전계발광 소자
JP4372733B2 (ja) * 2005-07-02 2009-11-25 株式会社ナナオ 液晶表示装置
JP2007169268A (ja) * 2005-11-22 2007-07-05 Mitsubishi Chemicals Corp 有機化合物、電荷輸送材料、電荷輸送材料組成物および有機電界発光素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0063B2 (en) 2009-10-21 2013-09-10 Cheil Industries, Inc. Compound for organic photoelectric device and organic photoelectr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57978A3 (en) 2009-06-04
CN101809117B (zh) 2013-06-19
KR100957620B1 (ko) 2010-05-13
US20120012830A1 (en) 2012-01-19
CN101809117A (zh) 2010-08-18
US20100213826A1 (en) 2010-08-26
WO2009057978A2 (en) 2009-05-07
US8120243B2 (en) 2012-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7620B1 (ko) 유기광전소자용 재료, 및 이를 이용한 유기광전소자
KR101030021B1 (ko) 분자 내에 정공 수송기와 전자 수송기를 동시에 가지는바이폴라 특성의 유기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용재료 및 이를 이용한 유기광전소자
KR101247626B1 (ko) 유기광전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
KR100994083B1 (ko) 화합물, 전하 수송 재료 및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1174090B1 (ko) 유기광전소자용 재료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
KR101212670B1 (ko) 유기광전소자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유기광전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288557B1 (ko) 신규한 유기광전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
TWI518071B (zh) Organic light field components
KR101084287B1 (ko) 플루오렌 유도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용 재료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
KR101432599B1 (ko) 유기광전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
KR20090024998A (ko) 분자 내에 정공수송기와 전자수송기를 동시에 가지는바이폴라 유기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용 재료 및이를 이용한 유기광전소자
KR101257695B1 (ko) 신규한 유기광전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
KR101233369B1 (ko) 신규한 유기광전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
US7597955B2 (en) Light-emitting device, organic compound and display
KR20110048840A (ko) 유기광전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
JP2005268199A (ja) 化合物、電荷輸送材料および有機電界発光素子
JP4622433B2 (ja) 化合物、電子輸送材料および有機電界発光素子
KR101233367B1 (ko) 신규한 유기광전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
KR101233375B1 (ko) 신규한 유기광전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
KR100951707B1 (ko) 사이클로헥산을 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용 재료 및 이를포함하는 유기광전소자
JP2004131464A (ja) 有機金属錯体、発光色素、有機電界発光素子材料、および有機電界発光素子
JP2004335415A (ja) 電荷輸送材料、有機電界発光素子材料および有機電界発光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