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4671A -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 - Google Patents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4671A
KR20090044671A KR1020070110869A KR20070110869A KR20090044671A KR 20090044671 A KR20090044671 A KR 20090044671A KR 1020070110869 A KR1020070110869 A KR 1020070110869A KR 20070110869 A KR20070110869 A KR 20070110869A KR 20090044671 A KR20090044671 A KR 20090044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rotatable
seat body
pedestal
ca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0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영
이지현
이지홍
Original Assignee
이지영
이지홍
이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영, 이지홍, 이지현 filed Critical 이지영
Priority to KR1020070110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4671A/ko
Publication of KR20090044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46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60N2/2827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part of the base being supported by the seat sub-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06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seat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69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rotatable about a vertic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본체를 시트받침대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분할 구성하고, 그 회전 분할면 사이로 차체측 안전벨트를 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아용 시트의 장착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전방 장착은 물론 후방 장착도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유아용 카 시트에 있어서, 시트 받침대와; 시트 받침대에 회전 분할 가능하게 결합된 시트 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아, 카 시트, 시트 본체, 등받이, 차량

Description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Rotatable car seat for baby}
본 발명은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아용 시트를 2분할로 구성하여 시트 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하여 안전벨트를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고, 전방 장착은 물론 후방 장착도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를 차량에 승차시키기 위해 유아용 시트를 사용한다. 유아용 시트는 유아에 맞는 적당한 크기를 갖고 유아용 시트 자체에 구비된 안전벨트를 착용하여 유아를 보호하게끔 되어 있다.
이러한 유아용 시트는 항상 차량에 탑재하여 주행되기도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필요시마다 차량에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유아용 시트는 차량에 장착되어 움직임이 없어야 하며, 장착이 간편 용이해야 한다. 이는 전방장착은 물론이고 1살 이하의 경우 필요한 후방 장착에서도 동일하게 요구되는 사항이다.
그러나 종래 유아용 시트를 차량에 장착시킬 경우 대부분 전방 장착을 하고 있으며, 차량 자체의 안전벨트를 유아용 시트의 후면을 걸어서 고정하게 되어 있 다.
이럴 경우 유아용 시트 후면에 안전벨트를 걸기 위한 공간이 협소할 뿐만 아니라 그 공간으로 안전벨트를 집어넣어서 빼내기가 용이치 않았다.
특히 후방 장착이 요구되는 경우 이에 대한 별도의 수단이 없어 그대로 전방 장착에 의존하므로서 안전상에 문제를 가질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유아용 시트를 2분할로 구성하고, 그 분할면 사이로 차체측 안전벨트를 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아용 시트의 장착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전방 장착은 물론 후방 장착도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유아용 카 시트에 있어서,
시트 받침대와;
상기 시트 받침대에 회전 분할 가능하게 결합된 시트 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시트 본체가 상기 시트 받침대의 일단에 힌지핀으로 연결되어 회전 벌림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시트 본체는 착석부와 등받이부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시트 본체의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시트본체 회전각 제한수단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시트본체 회전각 제한수단은 시트 본체에 설치된 지지브래킷과, 상기 지지브래킷의 장공에 삽입되어 상기 시트 받침대에 고정 설치된 스톱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시트 받침대의 좌우측 양단에는 벨트 거치수단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벨트 거치수단은 상기 시트 받침대의 좌우측 양단에 연이어진 횡 벨트 거치홈과 크로스 벨트 거치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시트받침대의 하부에는 밑면이 평탄한 받침블록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시트 본체가 전방 장착일 경우 전방으로 회전하여 언록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시트 본체(30)가 후방 장착일 경우 후방으로 회전하여 언록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에 따르면, 착석부를 갖는 시트 본체를 시트 받침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시켜 놓음으로써 차량 안전벨트를 카 시트에 용이하게 착용시킬 수 있다. 또한 후방 장착시에도 차량 안전 벨트를 전방 장착시와 동일한 방법으로 착용시킬 수 있어 확고한 장착성과 유아 안전성을 신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카 시트(10)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2개의 분할된 시트 받침대(20)와 상시 시트 받침대(20)에 장착된 시트본체(30)로 구성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10)의 구성도로서 도 1은 시트 본체가 록킹(Locking)되어 닫힘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2는 시트 본체가 언록킹(Unlocking)되어 열려진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시트 본체(30)는 시트 받침대(20)로부터 분할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고, 이들 시트 본체(30)와 시트 받침대(20)의 분할면에는 차량의 안전벨트(B)를 거치시켜 유아용 카 시트(10)를 차량 시트(S)에 장착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시트 본체(30)는 유아의 엉덩이 부분을 받이하는 착석부(31)와 착석부(31)에서 연장되어 등을 받이하는 등받이부(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는 시트 본체(30)의 상단을 잡고 시트 받침대(20)에서 먼쪽(화살표 O방향)으로 젖히게 되면, 시트 본체(30)가 시트받침대(20)로부터 회전하여 시트 본체(30)와 시트 받침대(20)의 사이에 벌어진 공간(V)이 생기고, 이 공간(V)을 통하여 차량 안전벨트(B)를 끼워 거치시킴으로써 시트 받침대(20)가 차량 시트(S)에 확 고히 고정 설치되게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시트 받침대(20)는 하부에는 밑면이 평탄한 받침블록(5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받침블록(50)은 시트받침대(20)와 일체로 구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시트받침대(20)에 조립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받침블록(50)이 별도로 제작되어 조립될 경우 시트 받침대(20)의 뉘어진 각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시트 받침대(20)는 좌우측 양단에 안전벨트(B)가 거치되어 이동을 억제시키고도록 벨트 거치 수단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벨트 거치수단은 횡 벨트 거치홈(21a)과 크로스 벨트 거치홈(21b)이 각기 시트 받침대(20)의 양단에 2개가 연이어져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횡 벨트 거치홈(21a)은 안전벨트(B)의 횡방향으로 지나가는 부분이 거치되고 크로스 벨트 거치홈(21b)은 비스듬한 방향(대각선방향)으로 지나가는 부분이 거치되게 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에서 시트 본체(30)가 열려진 상태에서의 차량 시트벨트(B)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시트 받침대(20)에는 시트 본체(30)가 힌지핀(40)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힌지핀(40)은 시트 본체(30)의 하부 선단에 위치시켜 구성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시트 본체(30)를 시트 받침대(20)의 상단에 힌지 결합시켜 시트본체(30)가 상단측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하방으로부터 벌어지도록 구성 할 수도 있다.
한편, 시트 본체(30)의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시트본체 회전각 제한수단이 구비된다.
이는 시트 본체(30)에 설치된 지지브래킷(35)과, 상기 지지브래킷(35)의 호형 장공(35a)에 삽입되어 상기 시트 받침대(20)에 고정 설치된 스톱핀(36)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장공(25a)이 허용하는 구간에서 시트 본체(30)는 최대로 젖혀저 회전할 수 있는 범위가 정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아용 카시트(10)는 도 1과 같이 전방 장착은 물론 도 5와 같이 후방 장착을 할수 있다.
먼저, 도 4와 같이 시트(S)에 유아용 카 시트(10)를 올려놓는다.
다음, 시트 본체(30)를 젖혀서 화살표(O)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시트 받침대(20)와 시트 본체(30)와의 사이에 공간(V)을 형성시킨다.
그 다음, 차량 안전벨트(B)를 잡아당겨 크로스 부분의 끈을 도 5와 같이 고정벨트클립(300)에 끼워넣고 횡방향 부분의 끈을 횡 벨트 거치홈(21a)을 지나서 버클(도시안됨)에 고정한다.
그 다음, 열린 시트 본체(30)를 닫게 되면 도 5와 같이 유아용 카 시트(10)가 시트받침대(20)에 원위치로 결합된다.
이같이 본 발명의 유아용 카 시트(10)는 후방 장착을 전방 장착과 같이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유아용 카 시트(10)는 안전벨트(B)에 의해 크로스방향 과 횡방향 모두에서 잡아주게 됨으로서 확고한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잠금장치>
한편, 상기 시트 본체(30)를 시트받침대(20)에 록킹(locking; 잠금) 또는 언록킹(Unlocking; 풀림)시키기 위해 도 6과 같이 시트 받침대(20)의 전면에 시트 본체 록킹장치가 구비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에 적용된 시트 본체 록킹장치의 배치도이다.
도 7은 도 6의 'X'부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에 적용된 시트 본체 록킹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시트 본체 록킹장치(100)는 상기 시트 본체(30)의 배면 상부에 고정된 록킹핀(39)을 시트받침대(20)측에서 록킹시키게 되어 있다.
상기 록킹핀(39)은 도 6과 같이 시트받침대(20)의 전면 상방에 설치된 회전후크(104)에 록킹되게 되어 있다. 또한 시트받침대(20)의 양측면에 각기 구비된 조작핸들(110)을 회전 조작하여 록킹핀(39)과 회전후크(104)의 록킹을 도 9와 같이 해제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10)에 적용된 시트 본체 록킹장치의 작동 상태도로서, 도 9는 시트 본체(30)측 록킹핀(39)의 언록킹상태를 나타내고, 도 10은 시트 본체(30)측 록킹핀(39)의 록킹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조작핸들(110)에는 핸들축(106)이 연결되어 있고, 핸들축(106)은 조작 핸들(106)의 회전 조작 방향에 따라 후크 브래킷(102)의 삽입홀(102b)에서 회전 조작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후크브래킷(102)은 시트 받침대(20)의 전면에 고정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핸들축(106)의 양단에는 동일한 구성과 작용으로 상기 록킹핀(39)을 록킹시키는 수단이 구성되므로 어느 하나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후크브래킷(102)에는 도 9와 같이 상기 시트 본체(30)를 닫을시 록킹핀(39)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홈(10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홈(102a)은 록킹핀(39)의 회전반경(R)이 그리는 원주상에 위치된다. 여기서 회전반경(R)은 도 2와 같이 힌지핀(40)과 록킹핀(39)과의 거리이다.
따라서 열린 시트 본체(10)를 닫으면 록킹핀(39)이 후크브래킷(102)의 안내홈(102a)을 따라 도 9에서 D방향으로 하강하여 도 10과 같이 삽입된다.
상기 후크브래킷(102)의 일측면에는 힌지축(105)으로 힌지 결합된 회전후크(104)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후크(104)는 후크스프링(103)의 비틀림력에 의해 상기 록킹핀(39)의 진입을 막는 U방향으로 회전력이 부여되어 있다. 또한 회전후크(104)는 상기 록킹핀(39)이 삽입되는 록킹홈(104a)을 갖고 있다.
이때 록킹홈(104a)의 입구와 안내홈(102a)의 입구는 록킹핀(39)이 삽입되기 전에는 도 9와 같이 서로 일치되게 구성된다. 즉, 안내홈(102a)과 록킹홈(104a)의 입구측은 록킹핀(39)의 삽입을 수용하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열린 시트 본체(30)를 닫게 되면 상기 록킹핀(39)이 후크브래킷(102)측 안내홈(102a)을 타고 들어가고, 회전후크(104)는 후크스프링(103)의 비틀림력을 이기고 록킹핀(39)에 의해 L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10과 같이 잠금이 이루어진다.
그 결과 안내홈(102a)과 록킹홈(104a)은 서로 직각 형태로 위치되어 록킹핀(39)을 감싸안게 됨으로써 록킹핀(39)의 록킹이 이루어진다.
이같이 록킹 상태에서 록킹핀(39)을 고정시키고 있는 회전후크(104)가 후크스프링(103)의 토션반발력에 의해 언록킹방향(U)으로 역회전 풀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톱퍼(108)가 구비되고, 상기 스톱퍼(108)는 핸들축(106)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톱퍼(108)는 핸들축(106)과 사각단면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스톱퍼(108)는 회전후크(104)가 록킹 방향(L)으로 회전 완료되었을 때 역회전을 방지하는 멈춤턱(108a)을 갖는다.
상기 스톱퍼(108)는 핸들축 스프링(109)력에 의해 상기 회전후크(104)측(시계방향C)으로 회전력을 부여받게 설치된다. 따라서 회전후크(104)가 록킹핀(39)을 록킹시키고 있을때 스톱퍼(108)의 멈춤턱(108a)이 도 10과 같이 회전후크(104)의 걸림턱(104a)에 걸림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핸들(110)은 상기 핸들축(106)에 연결되어 록킹을 해체시키고자 할 경우 스톱퍼(108)를 언록킹 방향(U)으로 회전 조작시켜 회전후크(104)를 다시 원위치로 해방시키도록 함으로써 록킹핀(39)이 이탈되고 시트 본체(30)를 회동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조작핸들(110)의 각기 일측에는 조작핸들(110)의 회전을 억제 및 해제하는 안전레버(112)가 각각 배치되어 있고, 상기 안전레버(112)는 레버축(114)의 양단에 각기 삽입 고정되어 있고, 레버축(114)은 레버축 스프링(113)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동력이 부여되어 있다. 즉, 레버축(114)은 레버축 스프링(113)의 비틀 림력에 의해 조작핸들(110)의 시계방향(언록킹 방향(U))과 반대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이 부여되어 있다.
상기 안전레버(112)에는 조작핸들(110)의 회전을 방지하는 걸림턱(112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안전레버(112)를 도 9와 같이 젖히면 걸림턱(112a)이 조작핸들(110)의 걸림을 해제하여, 조작핸들(110)을 언록킹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도 2 및 도 4와 같이 회동하여 열린 시트 본체(30)를 시트 받침대(20)측에 밀착시키면 자동적으로 시트 본체(30)측 록킹핀(39)이 회전후크(104)를 매개로 후크브래킷(102)에 잠금되어 시트 받침대(20)에 일체로 고정된다.
즉, 회전후크(104)가 도 10에서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록킹핀(39)을 후크 브래킷(102)측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스톱퍼(108)의 멈춤턱(108a)이 회전후크(104)의 걸림턱(104b)에 걸림된다. 따라서 시트본체(30)는 록킹핀(39)과 회전후크(104)의 록킹 결합으로 시트받침대(20)에 록킹되어 닫힘된다.
이후 안전레버(112)를 도 10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조작한 후 조작핸들(110)을 언록킹방향(반시계방향)으로 조작시키면 스톱퍼(108)의 멈춤턱(108a)에서 회전후크(104)가 해제되고, 회전후크(104)는 후크스프링(103)의 토션반발력에 의해 원위치로 회전한다.
따라서 도 9와 같이 록킹핀(39)이 후크(104)의 록킹홈(104a)과 후크브래킷(102)의 안내홈(102a)에서 E 방향으로 이탈 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시트 본체(30)를 전방으로 밀게 되면 록킹핀(39)이 록킴홈(104a)과 안내홈(102a)에서 이탈하여 시트 받침대(20)로부터 시트 본체(30)가 도 2 및 도 4와 같이 간단히 회동하여 열려지게 된다.
미설명 부호 '101'은 '고정링'이다.
본 실시예에서 시트 본체 록킹장치(100)를 시트받침대(20)에 설치하고, 고정핀(39)을 시트 본체(30)의 배면에 설치하여 구성하였으나, 본 발명은 시트 본체 록킹장치(100)를 시트 본체(30)의 배면에 구성하고, 고정핀(39)을 시트받침대(20)에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클립고정장치>
한편, 도 3과 같이 시트 본체(30)가 시트 받침대(20)로부터 벌려진 상태에서 차량 안전벨트(B)를 거는 경우 사선방향으로 지나가는 부분을 고정하기 위해 벨트고정수단이 더 구비된다.
상기 벨트고정수단은, 상기 시트 받침대(20)의 좌우 양측단 상부측의 전면에 힌지 연결된 벨트클립(300)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벨트클립(300)은 하단에 힌지핀(302)을 통하여 시트 받침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벨트클립(300)은 힌지단측에 회전 벌림을 제한하는 걸림턱(300a)이 형성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벨트클립(300)의 안쪽면(시트받침대를 보고 있는 면)에 요철(300b)이 형성됨이 좋다.
이때 상기 벨트클립(300)의 일측에 안전벨트(B)를 걸어맞춤하기 용이하도록 시트 받침대(20)측에 벨트 걸림턱(29)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 본체(30)의 배면에는 시트 본체(30)를 시트 받침대(20)에 닫 힘시킬 때 상기 벨트클립(300)을 누름하도록 도 2와 같이 클립 누름부(37)가 구비된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유아용 카 시트(10)가 전방(차량이 가리키는 전방임)을 보도록 설치하면 안전벨트(B)의 대각선으로 지나가는 부분은 좌측의 벨트클립(300)측에 고정된다.
한편, 도 5와 같이 유아용 카 시트(10)가 후방을 보도록 설치하면 안전벨트(B)의 대각선으로 지나가는 부분은 우측의 벨트클립(300)측에 고정된다.
다른 한편, 도 11과 같이 벨트클립(300)을 일단의 힌지핀(302)에서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하되, 시트받침대(20)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클립 레버(310)로 벨트클립(300)을 고정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클립 레버(310)의 걸림턱(312)이 벨트 클립(300)의 걸림턱(304)을 타고 넘어가 걸어 고정시키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유아용 카 시트(10)는 전방 설치 또는 후방 설치 방향와 상관없이 차량의 안전벨트(B)로 연결시키게 되어 흔들림없는 확고하고 안정적인 장착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유아용 카 시트(10)의 후방 장착이 가능하여 목을 가누기 어려운 유아를 안전하게 탑승시킬 수 있다.
또한 열려진 시트본체(30)를 닫는 동작만으로 시트 본체 록킹장치에 의해 시트본체(30)측 록킹핀(39)을 시트받침대(20)측 회전후크(104)로 자동 잠금 고정시킴 으로써 록킹 조작이 간단하다.
또한 안전레버(112)가 설치되어 있어 시트본체(20)가 부주의로 쉽게 젖혀지는 일은 발생되지 않으므로 조작의 안전성이 높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의 구성도로서 시트 본체가 록킹되어 닫힘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의 구성도로서 시트 본체가 언록킹되어 열려진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에서 시트 본체가 열려진 상태에서의 차량 시트벨트의 장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를 후방 장착시키기 위해 시트 본체를 열어 놓은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를 후방 장착시켜 놓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에 적용된 시트 본체 록킹장치의 배치도.
도 7은 도 6의 'X'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에 적용된 시트 본체 록킹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에 적용된 시트 본체 록킹장치의 작동 상태도로서, 도 9는 언록킹상태이고, 도 10은 록킹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에 적용된 벨트고정장치의 변형예시도.
도 12는 도 11의 K-K선에서 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시트받침대
21a,21b: 벨트 거치홈
30: 시트 본체
31: 착석부
32: 등받이부
39: 록킹핑
40: 힌지핀
102: 후크 브래킷
102a: 안내홈
103: 후크스프링
104: 회전후크
104a: 록킹홈
106: 핸들축
108: 스톱퍼
108a: 멈춤턱
110: 조작핸들
112: 안전레버
112a: 걸림턱
114: 레버축
300: 클립
300a: 걸림턱
300b: 요철

Claims (10)

  1. 유아용 카 시트(10)에 있어서,
    시트 받침대(20)와;
    상기 시트 받침대(20)에 회전 분할 가능하게 결합된 시트 본체(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본체(30)가 상기 시트 받침대(20)의 일단에 힌지핀(40)으로 연결되어 회전 벌림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본체(30)는 착석부(31)와 등받이부(32)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본체(30)의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시트본체 회전각 제한수단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본체 회전각 제한수단은 시트 본체(30)에 설치된 지지브래킷(35)과, 상기 지지브래킷(35)의 장공(35a)에 삽입되어 상기 시트 받침대(20)에 고정 설치된 스톱핀(3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받침대(20)의 좌우측 양단에는 벨트 거치수단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거치수단은 상기 시트 받침대(20)의 좌우측 양단에 연이어진 횡 벨트 거치홈(21a)과 크로스 벨트 거치홈(21b)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받침대(20)의 하부에는 밑면이 평탄한 받침블록(5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본체(30)가 전방 장착일 경우 전방으로 회전하여 언록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본체(30)가 후방 장착일 경우 후방으로 회전하여 언록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
KR1020070110869A 2007-11-01 2007-11-01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 KR200900446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869A KR20090044671A (ko) 2007-11-01 2007-11-01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869A KR20090044671A (ko) 2007-11-01 2007-11-01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671A true KR20090044671A (ko) 2009-05-07

Family

ID=40855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0869A KR20090044671A (ko) 2007-11-01 2007-11-01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46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05805A (zh) * 2011-05-16 2011-10-05 镇江佳峰儿童用品有限公司(外资) 儿童汽车安全座椅本体翻转机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05805A (zh) * 2011-05-16 2011-10-05 镇江佳峰儿童用品有限公司(外资) 儿童汽车安全座椅本体翻转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9949B1 (en) Child safety seat
KR101612542B1 (ko) 개선된 설치를 위한 벨트 텐셔닝기구를 구비한 차일드시트
AU2014240201C1 (en) Forward and rearward facing child seat with belt tensioning mechanism for improved installation
US7984947B2 (en) Rotatable child seat for motor vehicles
US8393678B2 (en) Infant child restraint system
US20170190268A1 (en) Child Safety Seat
US20050146183A1 (en) Recline mechanism for a child seat
JPH02310134A (ja) テイクアップ機構を備える車両シートラッチ
JP2004142723A (ja) 簡素化された固定機構を有する車両用物品キャリヤ
JP3873036B2 (ja) シートを乗物に固定するための固定装置、およびこの固定装置を装備したシート
FR2645806A1 (fr) Siege d&#39;enfant pour vehicule et ensemble formant ceinture de securite
US20050184567A1 (en) Lock-off mechanism for a child seat
US7611184B1 (en) Vehicular trunk-through openable and closable device
KR20090044671A (ko)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
KR20090044673A (ko)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의 벨트 잠금장치
KR20090044672A (ko)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의 잠금장치
KR200455822Y1 (ko)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록킹장치
EP1514748A1 (fr) Dispositif de guidage de sangle d&#39;une ceinture de sécurité
JP4532658B2 (ja) グローブボックスのロック装置
KR100893078B1 (ko) 차량용 더블 폴딩 시트의 폴딩장치
JP4316857B2 (ja) ラッチ機構を有するキャビネット
KR200382344Y1 (ko)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
KR102136119B1 (ko) 차량용 시트
KR20140125871A (ko) 차량 팔걸이 조립체용 클러치 장치
KR20190057906A (ko)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