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2344Y1 -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 - Google Patents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2344Y1
KR200382344Y1 KR20-2005-0003475U KR20050003475U KR200382344Y1 KR 200382344 Y1 KR200382344 Y1 KR 200382344Y1 KR 20050003475 U KR20050003475 U KR 20050003475U KR 200382344 Y1 KR200382344 Y1 KR 2003823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cover
connector
fram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34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경
Original Assignee
김만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경 filed Critical 김만경
Priority to KR20-2005-00034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23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23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23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26Safety buckles with an operating lever

Landscapes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에 관한 것으로, 버클 프레임(2)과; 상기 버클 프레임(2)에 슬라이딩되어 결속되며, 선단에 록킹공(3a)이 형성된 버클 커넥터(3)와; 상기 버클 프레임(2)의 일단에서 회전중심인 샤프트(42)에 장착된 비틀림스프링(44)에 의하여 탄력지지되게 설치되며, 상기 버클 커넥터(3)의 록킹공(3a)에 삽입되어 록킹공(3a)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록킹부(4a)를 구비하여 상기 버클 커버(4)를 결속시키는 버클 커버(4)와; 상기 버클 프레임(2)의 타단에서 회전중심인 샤프트(52)에 장착된 비틀림스프링(54)에 의하여 탄력지지되게 설치되어 상기 버클 커버(4)의 자유단(4b)을 규제는 커버 록킹플레이트(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고공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부주의 또는 외부의 물리적인 힘 등에 의해 임의적으로 버클이 해제되는 사고를 2중 록킹구조에 의하여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버클 사용시의 편리성은 유지하면서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고, 아울러 제2의 버클 커버를 구비하여 버클 커버가 언록킹되는 동작의 시간차를 주어 버클의 해제동작의 안전성을 증대시키며, 버클의 해제시 해제스프링에 의해 자동으로 버클 커넥터의 결속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Buckle of safety belt using industry}
본 고안은 고공 작업을 필요로 하는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중 잠금장치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부주위 또는 돌출물에 의해 임의로 버클의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발생되는 낙상 사고를 방지하도록 한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안전벨트는 원터치식으로 버클이 록킹 및 언록킹되거나, 또는 록킹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게 설치된 버클 커버를 회동시키는 동작에 의하여 언록킹시키도록 되어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는 반면에, 사용자의 부주위 또는 인접된 돌출물이 버클과 접촉되는 경우에 임의로 버클의 록킹상태가 해제될 수 있어 인명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버클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2중 잠금수단을 구비하여 임의 해제에 의한 안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버클 프레임과; 상기 버클 프레임에 슬라이딩되어 결속되며, 선단에 록킹공이 형성된 버클 커넥터와; 상기 버클 프레임의 일단에서 회전중심인 샤프트에 장착된 비틀림스프링에 의하여 탄력지지되게 설치되며, 상기 버클 커넥터의 록킹공에 삽입되는 록킹부를 구비하여 버클 커버를 록킹시키는 버클 커버와; 상기 버클 프레임의 타단에서 회전중심인 샤프트에 장착된 비틀림스프링에 의하여 탄력지지되게 설치되어 상기 버클 커버의 자유단을 록킹시켜 상기 버클 커넥터를 2중으로 록킹시키는 커버 록킹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클 커버의 하측에는 상기 버클 커넥터의 록킹공에 삽입되는 록킹부가 구비된 제2 버클 커버가 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에 추가로 장착된 비틀림스프링에 의해 탄력지지되게 설치되어 상기 버클 커버의 개방시 버클 커버가 일정구간 선회전된 이후에 버클 커넥터를 언록킹시키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클 프레임의 내부 양측에는 삽입된 상기 버클 커넥터를 버클 프레임의 외측으로 탄력지지하는 해제스프링이 설치되어 언록킹시 자동으로 버클 커넥터가 버클 프레임의 외측으로 밀려가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동작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버클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는 버클(1)의 본체를 이루는 버클 프레임(2)과, 상기 버클 프레임(2)에 슬라이딩되어 결속되는 버클 커넥터(3)와, 상기 버클 프레임(2)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버클 커넥터(3)를 록킹 및 언록킹시키는 버클 커버(4)와, 상기 버클 프레임(2)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버클 커버(4)를 록킹 및 언록킹시키는 커버 록킹플레이트(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버클 프레임(2)의 내측 양측부에는 상기 버클 커넥터(3)가 버클 프레임(2)에서 해제되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해제스프링(2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버클 프레임(2)의 후단에는 벨트결합공(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버클 커넥터(3)는 선단에 록킹공(3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버클 커버(4)의 하면에는 상기 버클 커넥터(3)가 버클 프레임(2)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된 상태에서 버클 커넥터(3)의 록킹공(3a)에 삽입되어 버클 커넥터(3)를 록킹시키는 록킹부(4a)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버클 커넥터(3)는 상기 해제스프링(22)이 접촉되는 지지턱(3b)이 양측에 형성되어 있고, 후단에는 벨트결합공(3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버클 프레임(2)에는 상기 버클 커버(4)가 샤프트(42)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42)에는 비틀림스프링(44)이 장착되어 버클 커버(4)가 버클 프레임(2)의 상면을 닫아주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버클 프레임(2)에 타단이 결합되는 커버 록킹플레이트(5)는 상기 버클 커버(4)의 자유단(4b)을 규제하는 걸림부(5a)가 절곡형성되어 있어 샤프트(52)에 의하여 버클 프레임(2)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샤프트(52)에는 비틀림스프링(54)이 장착되어 커버 록킹플레이트(5)가 버클 커버(4)의 회동을 규제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은 버클의 록킹동작을 간편하게 구현하면서도 버클 커버가 록킹된 상태에서 버클 커버가 해제되지 않도록 커버 록킹플레이트에 의한 2중으로 록킹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버클 착용시의 안전성을 극대화시킨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한 버클의 록킹 및 언록킹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버클이 언록킹된 상태에서 버클을 결속시키는 동작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클 커넥터(3)를 버클 프레임(2)의 상면에서 슬라이딩시키면 버클 커넥터(3)는 버클 프레임(2)과 버클 커버(4)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된다.
버클 커넥터(3)가 버클 프레임(2)과 버클 커버(4) 사이의 공간으로 완전히 삽입되면 버클 커버(4)는 비틀림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해 버클 프레임(2)쪽으로 밀착되면서 버클 커넥터의 록킹공(3a)의 내부로 버클 커버의 록킹부(4a)가 안착되어 버클 커넥터(3)의 록킹공(3a)의 내측면이 버클 커버(4)의 록킹부(4a)의 단부에 지지되는 상태로 록킹상태가 실시된다.
이때, 버클 커버(4)는 비틀림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해 버클 프레임(2)쪽으로 탄력지지되는 상태이므로 버클 커넥터(3)는 버클 커버(4)에 의해 록킹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버클 커버(4)에 의해 버클 커넥터(3)가 록킹된 상태에서 동시에 커버 록킹플레이트(5)는 걸림부(5a)가 버클 커버(4)의 자유단(4b)을 규제하게 된다. 즉, 커버 록킹플레이트(5)의 걸림부(5a)가 비틀림스프링(54)의 탄성력에 의해 버클 커버(4)의 자유단(4b)을 상측에서 탄력적으로 지지하면서 록킹된 상태이므로 버클 커넥터(3)는 버클 프레임(2)에 슬라이딩되어 2중으로 록킹된 상태로 결속되는 것이다. 이때, 해제스프링(22)은 압축된 상태로 버클 커넥터(3)의 지지턱(3b)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버클을 해제시키는 동작은 먼저 버클 커버(4)의 자유단(4b)을 규제하고 있는 커버 록킹플레이트(5)를 도 2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버클 커버(4)의 자유단(4b)을 먼저 언록킹시키고, 그 다음에 버클 커버(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버클 커넥터(3)가 버클 커버(4)의 록킹부(4a)에 의해 구속된 상태가 해제되어 언록킹 상태가 되므로, 버클 커넥터(3)는 버클 프레임(2)의 양측에 설치된 해제스프링(22)의 탄성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버클 프레임(2)의 외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결속상태가 해제된다.
이처럼 본 고안에 의한 버클(1)은 커버 록킹플레이트(5)를 회전시켜 버클 커버(4)를 1차적으로 언록킹시킨 후에야 버클 커넥터(3)를 결속하고 있는 버클 커버(4)의 언록킹 동작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버클 커넥터(3)의 록킹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버클을 도시한 것으로, 버클 커넥터(3)의 록킹공(3a)을 규제하기 위한 록킹부가 버클 커버(4)에 형성되어 있지 않고, 버클 커버(4)가 회전중심인 샤프트(42)에 동축으로 결합된 제2 버클 커버(6)에 록킹부(6a)가 형성되어 있고, 제2 버클 커버(6)는 제2 비틀림스프링(62)에 의하여 탄력지지되어 버클 커버(4)의 회전시 연동되면서 회전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때, 제2 비틀림스프링(62)은 일단이 샤프트(42)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 버클 커버(6)에 고정되며, 비틀림스프링(44)은 일단이 버클 커버(5)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2 버클 커버(6)에 고정되어 있어 버클 커버(4)와 제2 버클 커버(6)의 회전되는 시점이 상이하여 회전영역이 상이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버클 커버(4)와 제2 버클 커버(6)가 각각 별도의 비틀림스프링(44)(62)에 의해 탄력지지되어 있어 버클 커버(4)가 일정구간 회전되면서 개방되더라도 제2 버클 커버(6)는 동시에 회전되지 않고 제2 버클 커버(6)의 록킹부(6a)가 버클 커넥터(3)의 록킹공(3a)을 지지하여 결속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버클 커버(4)가 작업자의 부주위에 의해 일정구간 회전되더라도 버클 커넥터(3)의 록킹상태가 곧바로 해제되지 않고 록킹상태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버클 커넥터가 버클 커버의 자유단쪽으로 삽입되어 결속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클 커버(4)의 자유단(4b)과 반대 방향에서 버클 커넥터(3)가 삽입되어 결속되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버클의 구조도 실시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버클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버클 커버(6')의 록킹부(6a')가 버클 커버(4)의 후방으로 삽입되는 버클 커넥터(3)를 록킹시킴으로써 결속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결속상태가 해제되는 동작은 상술한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발휘하게 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얼마든지 수정 및 변형가능함은 자명한 것이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은 고공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부주의 또는 외부의 물리적인 힘 등에 의해 임의적으로 버클이 해제되는 사고를 2중 록킹구조에 의하여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버클 사용시의 편리성은 유지하면서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제2의 버클 커버를 구비하여 버클 커버가 언록킹되는 동작의 시간차를 주어 버클의 해제동작의 안전성을 증대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버클의 해제시 해제스프링에 의해 자동으로 버클 커넥터의 결속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동작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버클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버클 2 ; 버클 프레임
3 ; 버클 커넥터 3a ; 록킹공
4 ; 버클 커버 4a ; 록킹부
4b ; 자유단 42 ; 샤프트
44 ; 비틀림스프링 5 ; 커버 록킹플레이트
52 ; 샤프트 54 ; 비틀림스프링
6,6 ; 제2 버클 커버 6a,6a' ; 록킹부
62 ; 비틀림 스프링

Claims (3)

  1. 버클 프레임(2)과;
    상기 버클 프레임(2)에 슬라이딩되어 결속되며, 선단에 록킹공(3a)이 형성된 버클 커넥터(3)와;
    상기 버클 프레임(2)의 일단에서 회전중심인 샤프트(42)에 장착된 비틀림스프링(44)에 의하여 탄력지지되게 설치되며, 상기 버클 커넥터(3)의 록킹공(3a)에 삽입되어 록킹공(3a)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록킹부(4a)를 구비하여 상기 버클 커버(4)를 결속시키는 버클 커버(4)와;
    상기 버클 프레임(2)의 타단에서 회전중심인 샤프트(52)에 장착된 비틀림스프링(54)에 의하여 탄력지지되게 설치되어 상기 버클 커버(4)의 자유단(4b)을 규제는 커버 록킹플레이트(5)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 커버(4)의 하측에는 상기 버클 커넥터(3)의 록킹공(3a)에 삽입되어 록킹공(3a)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록킹부(6a)(6a')가 구비된 제2 버클 커버(6)(6')가 샤프트(4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 버클 커버(6)(6')는 상기 샤프트(44)에 추가로 장착된 비틀림스프링(52)에 의해 상기 버클 프레임(2)쪽으로 탄력지지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 프레임(2)의 내부 양측에는 삽입되는 상기 버클 커넥터(3)를 버클 프레임(2)의 외측으로 탄력지지하는 해제스프링(22)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
KR20-2005-0003475U 2005-02-04 2005-02-04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 KR2003823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475U KR200382344Y1 (ko) 2005-02-04 2005-02-04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475U KR200382344Y1 (ko) 2005-02-04 2005-02-04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2344Y1 true KR200382344Y1 (ko) 2005-04-19

Family

ID=43683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475U KR200382344Y1 (ko) 2005-02-04 2005-02-04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23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790B1 (ko) 2005-08-23 2011-12-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고정벨트용 버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0790B1 (ko) 2005-08-23 2011-12-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고정벨트용 버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8766B2 (en) Armrest device
EP1080656A1 (en) Closure device for bags, suitcases, beauty cases and the like
US10323445B2 (en) Vehicle liftgate striker and latch construction
KR101012497B1 (ko) 창문 자동잠금장치
KR20150032299A (ko) 잠금 장치 및 차량 시트
KR101257796B1 (ko) 모빌랙
KR200382344Y1 (ko)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
KR200409628Y1 (ko) 카라비너
US7331204B1 (en) Combination lock
US9717296B2 (en) Locking clip and anchor assembly for a tether
KR101020525B1 (ko) 도어 자동잠금장치
KR102164656B1 (ko) 산업안전벨트용 버튼식 버클
KR100895900B1 (ko) 회동식 도어용 잠금장치
KR100934321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200363556Y1 (ko)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
JP6012978B2 (ja) 止め具およびランドセル
AU2018220116B2 (en) A Detainer for a Lock Bolt Assembly
JP2004011247A (ja) マンホール蓋の施錠構造
JP2015045135A (ja) 開閉体用ロック装置
KR20140000485U (ko)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KR101791331B1 (ko) 슬라이딩 창호용 손잡이
US8820573B2 (en) Mechanism to hold cover open or closed
KR20090044674A (ko) 유아용 카시트의 버클장치
KR20090044671A (ko)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
KR200482994Y1 (ko) 중장비 차량용 도어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