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4673A -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의 벨트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의 벨트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4673A
KR20090044673A KR1020070110871A KR20070110871A KR20090044673A KR 20090044673 A KR20090044673 A KR 20090044673A KR 1020070110871 A KR1020070110871 A KR 1020070110871A KR 20070110871 A KR20070110871 A KR 20070110871A KR 20090044673 A KR20090044673 A KR 20090044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rotatable
clip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0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영
이지현
이지홍
Original Assignee
이지영
이지현
이지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영, 이지현, 이지홍 filed Critical 이지영
Priority to KR1020070110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4673A/ko
Publication of KR20090044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46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06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seat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60N2/2827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part of the base being supported by the seat sub-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69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rotatable about a vertic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시트를 시트받침대와 시트받침대에 회전 동작가능한 시트본체로 구성하여, 그 회전 분할면 사이로 차체측 안전벨트를 걸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벨트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시트본체를 확고하게 잠금시켜 유아용 카 시트의 사용 안전성을 높인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의 벨트 잠금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시트 받침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시트 본체를 갖는 유아용 카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 본체가 시트 받침대로부터 소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차량 안전벨트를 거는 경우 사선방향으로 지나가는 부분을 고정하기 위해 벨트고정수단이 구성되고, 상기 벨트고정수단은 상기 시트 받침대의 일측 전면에 위치된 힌지핀과; 상기 힌지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벨트클립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카 시트, 유아, 차량, 벨트클립, 안전벨트

Description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의 벨트 잠금장치{Safety belt locking device of rotatable car seat for baby}
본 발명은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의 벨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트받침대에 회전 가능한 시트본체로 구성하여 안전벨트를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벨드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유아용 시트가 흔들림 없이 확고히 고정되도록 한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의 벨트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를 차량에 승차시키기 위해 유아용 시트를 사용한다. 유아용 시트는 유아에 맞는 적당한 크기를 갖고 유아용 시트 자체에 구비된 안전벨트를 착용하여 유아를 보호하게끔 되어 있다.
이러한 유아용 시트는 항상 차량에 탑재하여 주행되기도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필요시마다 차량에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유아용 시트는 차량에 장착되어 움직임이 없어야 하며, 장착이 간편 용이해야 한다. 이는 전방장착은 물론이고 1살 이하의 경우 필요한 후방 장착에서도 동일하게 요구되는 사항이다.
그러나 종래 유아용 시트를 차량에 장착시킬 경우 대부분 전방 장착을 하고 있으며, 차량 자체의 안전벨트를 유아용 시트의 후면을 걸어서 고정하게 되어 있다.
이럴 경우 유아용 시트 후면에 안전벨트를 걸기 위한 공간이 협소할 뿐만 아니라 그 공간으로 안전벨트를 집어넣어서 빼내기가 용이치 않았다.
특히, 후방 장착이 요구되는 경우 이에 대한 별도의 수단이 없어 그대로 전방 장착에 의존하므로서 안전상에 문제를 가질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유아용 시트를 시트받침대와 시트받침대에 회전 동작가능한 시트본체로 구성하여, 그 분할면 사이로 차체측 안전벨트를 걸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벨트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시트본체를 확고하게 잠금시켜 유아용 카 시트의 사용 안전성을 높인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의 벨트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시트 받침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시트 본체를 갖는 유아용 카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 본체가 시트 받침대로부터 소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차량 안전벨트를 거는 경우 사선방향으로 지나가는 부분을 고정하기 위해 벨트고정수단이 구성되고,
상기 벨트고정수단은,
상기 시트 받침대의 일측 전면에 위치된 힌지핀과;
상기 힌지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벨트클립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시트 본체는 상기 시트 받침대의 일단에 힌지핀으로 연결되어 회전가능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시트 받침대의 좌우측 양단에는 횡 벨트 거치홈과 크로스 벨트 거치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벨트클립은 힌지단측에 회전 벌림을 제한하는 걸림턱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벨트클립의 안쪽면에 안전벨트를 클램핑하기 위한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벨트클립의 일측에 안전벨트를 걸어맞춤하기 용이하도록 시트 받침대측에 벨트 걸림턱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시트 본체의 배면에는 시트 본체를 시트 받침대에 닫힘시킬 때 상기 벨트 클립을 누름하는 클립 누름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벨트클립은 상기 시트 받침대의 양측 전면의 모두 2개소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벨트클립은 힌지단의 반대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클립 레버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클립 레버에는 벨트 클립의 걸림턱을 타고 넘어가 걸어 고정시키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의 벨트 잠금장치에 따르면, 착석부를 갖는 시트 본체를 시트 받침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 차량의 안전벨트를 용이하게 걸 수 있다. 또한 시트 받침대를 고정시키는 안전벨트가 클립에 의해 정위치 고정되어 연결 이탈의 염려가 없다.
따라서 안전벨트의 장착후 흔들림이 없어 사용상의 안전성이 증대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유아용 카 시트에 대한 사용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카 시트(10)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2개의 분할된 시트 받침대(20)와 상시 시트 받침대(20)에 장착된 시트본체(30)로 구성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10)의 구성도로서 도 1은 시트 본체가 록킹(Locking)되어 닫힘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2는 시트 본체가 언록킹(Unlocking)되어 열려진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시트 본체(30)는 시트 받침대(20)로부터 분할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고, 이들 시트 본체(30)와 시트 받침대(20)의 분할면에는 차량의 안전벨트(B)를 거치시켜 유아용 카 시트(10)를 차량 시트(S)에 장착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시트 본체(30)는 유아의 엉덩이 부분을 받이하는 착석부(31)와 착석부(31)에서 연장되어 등을 받이하는 등받이부(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는 시트 본체(30)의 상단을 잡고 시트 받침대(20)에서 먼쪽(화살표 O방향)으로 젖히게 되면, 시트 본체(30)가 시트받침대(20)로부터 회전하여 시트 본체(30)와 시트 받침대(20)의 사이에 벌어진 공간(V)이 생기고, 이 공간(V)을 통하여 차량 안전벨트(B)를 끼워 거치시킴으로써 시트 받침대(20)가 차량 시트(S)에 확고히 고정 설치되게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시트 받침대(20)는 하부에는 밑면이 평탄한 받침블록(5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받침블록(50)은 시트받침대(20)와 일체로 구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시트받침대(20)에 조립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받침블록(50)이 별도로 제작되어 조립될 경우 시트 받침대(20)의 뉘어진 각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시트 받침대(20)는 좌우측 양단에 안전벨트(B)가 거치되어 이동을 억제시키고도록 벨트 거치 수단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벨트 거치수단은 횡 벨트 거치홈(21a)과 크로스 벨트 거치홈(21b)이 각기 시트 받침대(20)의 양단에 2개가 연이어져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횡 벨트 거치홈(21a)은 안전벨트(B)의 횡방향으로 지나 가는 부분이 거치되고 크로스 벨트 거치홈(21b)은 비스듬한 방향(대각선방향)으로 지나가는 부분이 거치되게 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에서 시트 본체(30)가 열려진 상태에서의 차량 시트벨트(B)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시트 받침대(20)에는 시트 본체(30)가 힌지핀(40)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힌지핀(40)은 시트 본체(30)의 하부 선단에 위치시켜 구성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시트 본체(30)를 시트 받침대(20)의 상단에 힌지 결합시켜 시트본체(30)가 상단측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하방으로부터 벌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시트 본체(30)의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시트본체 회전각 제한수단이 구비된다.
이는 시트 본체(30)에 설치된 지지브래킷(35)과, 상기 지지브래킷(35)의 호형 장공(35a)에 삽입되어 상기 시트 받침대(20)에 고정 설치된 스톱핀(36)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장공(25a)이 허용하는 구간에서 시트 본체(30)는 최대로 젖혀저 회전할 수 있는 범위가 정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아용 카시트(10)는 도 1과 같이 전방 장착은 물론 도 5와 같이 후방 장착을 할수 있다.
먼저, 도 4와 같이 시트(S)에 유아용 카 시트(10)를 올려놓는다.
다음, 시트 본체(30)를 젖혀서 화살표(O)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시트 받침대(20)와 시트 본체(30)와의 사이에 공간(V)을 형성시킨다.
그 다음, 차량 안전벨트(B)를 잡아당겨 크로스 부분의 끈을 도 5와 같이 고정벨트클립(300)에 끼워넣고 횡방향 부분의 끈을 횡 벨트 거치홈(21a)을 지나서 버클(도시안됨)에 고정한다.
그 다음, 열린 시트 본체(30)를 닫게 되면 도 5와 같이 유아용 카 시트(10)가 시트받침대(20)에 원위치로 결합된다.
이같이 본 발명의 유아용 카 시트(10)는 후방 장착을 전방 장착과 같이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유아용 카 시트(10)는 안전벨트(B)에 의해 크로스방향과 횡방향 모두에서 잡아주게 됨으로서 확고한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잠금장치>
한편, 상기 시트 본체(30)를 시트받침대(20)에 록킹(locking; 잠금) 또는 언록킹(Unlocking; 풀림)시키기 위해 도 6과 같이 시트 받침대(20)의 전면에 시트 본체 록킹장치가 구비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에 적용된 시트 본체 록킹장치의 배치도이다.
도 7은 도 6의 'X'부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에 적용된 시트 본체 록킹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시트 본체 록킹장치(100)는 상기 시트 본체(30)의 배면 상부에 고정된 록킹핀(39)을 시트받침대(20)측에서 록킹시키게 되어 있다.
상기 록킹핀(39)은 도 6과 같이 시트받침대(20)의 전면 상방에 설치된 회전후크(104)에 록킹되게 되어 있다. 또한 시트받침대(20)의 양측면에 각기 구비된 조작핸들(110)을 회전 조작하여 록킹핀(39)과 회전후크(104)의 록킹을 도 9와 같이 해제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10)에 적용된 시트 본체 록킹장치의 작동 상태도로서, 도 9는 시트 본체(30)측 록킹핀(39)의 언록킹상태를 나타내고, 도 10은 시트 본체(30)측 록킹핀(39)의 록킹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조작핸들(110)에는 핸들축(106)이 연결되어 있고, 핸들축(106)은 조작핸들(106)의 회전 조작 방향에 따라 후크 브래킷(102)의 삽입홀(102b)에서 회전 조작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후크브래킷(102)은 시트 받침대(20)의 전면에 고정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핸들축(106)의 양단에는 동일한 구성과 작용으로 상기 록킹핀(39)을 록킹시키는 수단이 구성되므로 어느 하나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후크브래킷(102)에는 도 9와 같이 상기 시트 본체(30)를 닫을시 록킹핀(39)의 삽입을 안내하는 안내홈(10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홈(102a)은 록킹핀(39)의 회전반경(R)이 그리는 원주상에 위치된다. 여기서 회전반경(R)은 도 2와 같이 힌지핀(40)과 록킹핀(39)과의 거리이다.
따라서 열린 시트 본체(10)를 닫으면 록킹핀(39)이 후크브래킷(102)의 안내홈(102a)을 따라 도 9에서 D방향으로 하강하여 도 10과 같이 삽입된다.
상기 후크브래킷(102)의 일측면에는 힌지축(105)으로 힌지 결합된 회전후 크(104)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후크(104)는 후크스프링(103)의 비틀림력에 의해 상기 록킹핀(39)의 진입을 막는 U방향으로 회전력이 부여되어 있다. 또한 회전후크(104)는 상기 록킹핀(39)이 삽입되는 록킹홈(104a)을 갖고 있다.
이때 록킹홈(104a)의 입구와 안내홈(102a)의 입구는 록킹핀(39)이 삽입되기 전에는 도 9와 같이 서로 일치되게 구성된다. 즉, 안내홈(102a)과 록킹홈(104a)의 입구측은 록킹핀(39)의 삽입을 수용하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열린 시트 본체(30)를 닫게 되면 상기 록킹핀(39)이 후크브래킷(102)측 안내홈(102a)을 타고 들어가고, 회전후크(104)는 후크스프링(103)의 비틀림력을 이기고 록킹핀(39)에 의해 L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10과 같이 잠금이 이루어진다.
그 결과 안내홈(102a)과 록킹홈(104a)은 서로 직각 형태로 위치되어 록킹핀(39)을 감싸안게 됨으로써 록킹핀(39)의 록킹이 이루어진다.
이같이 록킹 상태에서 록킹핀(39)을 고정시키고 있는 회전후크(104)가 후크스프링(103)의 토션반발력에 의해 언록킹방향(U)으로 역회전 풀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톱퍼(108)가 구비되고, 상기 스톱퍼(108)는 핸들축(106)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톱퍼(108)는 핸들축(106)과 사각단면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스톱퍼(108)는 회전후크(104)가 록킹 방향(L)으로 회전 완료되었을 때 역회전을 방지하는 멈춤턱(108a)을 갖는다.
상기 스톱퍼(108)는 핸들축 스프링(109)력에 의해 상기 회전후크(104)측(시계방향C)으로 회전력을 부여받게 설치된다. 따라서 회전후크(104)가 록킹핀(39)을 록킹시키고 있을때 스톱퍼(108)의 멈춤턱(108a)이 도 10과 같이 회전후크(104)의 걸림턱(104a)에 걸림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핸들(110)은 상기 핸들축(106)에 연결되어 록킹을 해체시키고자 할 경우 스톱퍼(108)를 언록킹 방향(U)으로 회전 조작시켜 회전후크(104)를 다시 원위치로 해방시키도록 함으로써 록킹핀(39)이 이탈되고 시트 본체(30)를 회동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조작핸들(110)의 각기 일측에는 조작핸들(110)의 회전을 억제 및 해제하는 안전레버(112)가 각각 배치되어 있고, 상기 안전레버(112)는 레버축(114)의 양단에 각기 삽입 고정되어 있고, 레버축(114)은 레버축 스프링(113)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동력이 부여되어 있다. 즉, 레버축(114)은 레버축 스프링(113)의 비틀림력에 의해 조작핸들(110)의 시계방향(언록킹 방향(U))과 반대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이 부여되어 있다.
상기 안전레버(112)에는 조작핸들(110)의 회전을 방지하는 걸림턱(112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안전레버(112)를 도 9와 같이 젖히면 걸림턱(112a)이 조작핸들(110)의 걸림을 해제하여, 조작핸들(110)을 언록킹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도 2 및 도 4와 같이 회동하여 열린 시트 본체(30)를 시트 받침대(20)측에 밀착시키면 자동적으로 시트 본체(30)측 록킹핀(39)이 회전후크(104)를 매개로 후크브래킷(102)에 잠금되어 시트 받침대(20)에 일체로 고정된다.
즉, 회전후크(104)가 도 10에서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록킹핀(39)을 후크 브래킷(102)측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스톱퍼(108)의 멈춤턱(108a)이 회전후크(104)의 걸림턱(104b)에 걸림된다. 따라서 시트본체(30)는 록킹핀(39)과 회전 후크(104)의 록킹 결합으로 시트받침대(20)에 록킹되어 닫힘된다.
이후 안전레버(112)를 도 10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조작한 후 조작핸들(110)을 언록킹방향(반시계방향)으로 조작시키면 스톱퍼(108)의 멈춤턱(108a)에서 회전후크(104)가 해제되고, 회전후크(104)는 후크스프링(103)의 토션반발력에 의해 원위치로 회전한다.
따라서 도 9와 같이 록킹핀(39)이 후크(104)의 록킹홈(104a)과 후크브래킷(102)의 안내홈(102a)에서 E 방향으로 이탈 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시트 본체(30)를 전방으로 밀게 되면 록킹핀(39)이 록킴홈(104a)과 안내홈(102a)에서 이탈하여 시트 받침대(20)로부터 시트 본체(30)가 도 2 및 도 4와 같이 간단히 회동하여 열려지게 된다.
미설명 부호 '101'은 '고정링'이다.
본 실시예에서 시트 본체 록킹장치(100)를 시트받침대(20)에 설치하고, 고정핀(39)을 시트 본체(30)의 배면에 설치하여 구성하였으나, 본 발명은 시트 본체 록킹장치(100)를 시트 본체(30)의 배면에 구성하고, 고정핀(39)을 시트받침대(20)에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클립고정장치>
한편, 도 3과 같이 시트 본체(30)가 시트 받침대(20)로부터 벌려진 상태에서 차량 안전벨트(B)를 거는 경우 사선방향으로 지나가는 부분을 고정하기 위해 벨트고정수단이 더 구비된다.
상기 벨트고정수단은, 상기 시트 받침대(20)의 좌우 양측단 상부측의 전면에 힌지 연결된 벨트클립(300)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벨트클립(300)은 하단에 힌지핀(302)을 통하여 시트 받침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벨트클립(300)은 힌지단측에 회전 벌림을 제한하는 걸림턱(300a)이 형성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벨트클립(300)의 안쪽면(시트받침대를 보고 있는 면)에 요철(300b)이 형성됨이 좋다.
이때 상기 벨트클립(300)의 일측에 안전벨트(B)를 걸어맞춤하기 용이하도록 시트 받침대(20)측에 벨트 걸림턱(29)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 본체(30)의 배면에는 시트 본체(30)를 시트 받침대(20)에 닫힘시킬 때 상기 벨트클립(300)을 누름하도록 도 2와 같이 클립 누름부(37)가 구비된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유아용 카 시트(10)가 전방(차량이 가리키는 전방임)을 보도록 설치하면 안전벨트(B)의 대각선으로 지나가는 부분은 좌측의 벨트클립(300)측에 고정된다.
한편, 도 5와 같이 유아용 카 시트(10)가 후방을 보도록 설치하면 안전벨트(B)의 대각선으로 지나가는 부분은 우측의 벨트클립(300)측에 고정된다.
다른 한편, 도 11과 같이 벨트클립(300)을 일단의 힌지핀(302)에서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하되, 시트받침대(20)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클립 레버(310)로 벨트클립(300)을 고정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클립 레버(310)의 걸림턱(312)이 벨트 클립(300)의 걸림턱(304)을 타고 넘어가 걸어 고정시키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유아용 카 시트(10)는 전방 설치 또는 후방 설치 방향와 상관없이 차량의 안전벨트(B)로 연결시키게 되어 흔들림없는 확고하고 안정적인 장착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유아용 카 시트(10)의 후방 장착이 가능하여 목을 가누기 어려운 유아를 안전하게 탑승시킬 수 있다.
또한 열려진 시트본체(30)를 닫는 동작만으로 시트 본체 록킹장치에 의해 시트본체(30)측 록킹핀(39)을 시트받침대(20)측 회전후크(104)로 자동 잠금 고정시킴으로써 록킹 조작이 간단하다.
또한 안전레버(112)가 설치되어 있어 시트본체(20)가 부주의로 쉽게 젖혀지는 일은 발생되지 않으므로 조작의 안전성이 높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의 구성도로서 시트 본체가 록킹되어 닫힘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의 구성도로서 시트 본체가 언록킹되어 열려진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에서 시트 본체가 열려진 상태에서의 차량 시트벨트의 장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를 후방 장착시키기 위해 시트 본체를 열어 놓은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를 후방 장착시켜 놓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에 적용된 시트 본체 록킹장치의 배치도.
도 7은 도 6의 'X'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에 적용된 시트 본체 록킹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에 적용된 시트 본체 록킹장치의 작동 상태도로서, 도 9는 언록킹상태이고, 도 10은 록킹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에 적용된 벨트고정장치의 변형예시도.
도 12는 도 11의 K-K선에서 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시트받침대
21a,21b: 벨트 거치홈
30: 시트 본체
31: 착석부
32: 등받이부
39: 록킹핑
40: 힌지핀
102: 후크 브래킷
102a: 안내홈
103: 후크스프링
104: 회전후크
104a: 록킹홈
106: 핸들축
108: 스톱퍼
108a: 멈춤턱
110: 조작핸들
112: 안전레버
112a: 걸림턱
114: 레버축
300: 클립
300a: 걸림턱
300b: 요철

Claims (10)

  1. 시트 받침대(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시트 본체(30)를 갖는 유아용 카 시트(10)에 있어서,
    상기 시트 본체(30)가 시트 받침대(20)로부터 소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차량 안전벨트(B)를 거는 경우 사선방향으로 지나가는 부분을 고정하기 위해 벨트고정수단이 구성되고,
    상기 벨트고정수단은,
    상기 시트 받침대(20)의 일측 전면에 위치된 힌지핀(302)과;
    상기 힌지핀(30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벨트클립(3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의 벨트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본체(30)는 상기 시트 받침대(20)의 일단에 힌지핀(40)으로 연결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의 벨트 잠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받침대(20)의 좌우측 양단에는 횡 벨트 거치홈(21a)과 크로스 벨트 거치홈(21b)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의 벨 트 잠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클립(300)은 힌지단측에 회전 벌림을 제한하는 걸림턱(300a)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의 벨트 잠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클립(300)의 안쪽면에 안전벨트(B)를 클램핑하기 위한 요철(300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의 벨트 잠금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클립(300)의 일측에 안전벨트(B)를 걸어맞춤하기 용이하도록 시트 받침대(20)측에 벨트 걸림턱(29)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의 벨트 잠금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본체(30)의 배면에는 시트 본체(30)를 시트 받침대(20)에 닫힘시킬 때 상기 벨트클립(300)을 누름하는 클립 누름부(37)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의 벨트 잠금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클립(300)은 상기 시트 받침대(20)의 양측 전면의 모두 2개소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의 벨트 잠금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클립(300)은 힌지단의 반대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클립 레버(31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의 벨트 잠금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레버(310)에는 벨트클립(300)의 걸림턱(304)을 타고 넘어가 걸어 고정시키는 걸림턱(31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의 벨트 잠금장치.
KR1020070110871A 2007-11-01 2007-11-01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의 벨트 잠금장치 KR200900446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871A KR20090044673A (ko) 2007-11-01 2007-11-01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의 벨트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871A KR20090044673A (ko) 2007-11-01 2007-11-01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의 벨트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673A true KR20090044673A (ko) 2009-05-07

Family

ID=40855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0871A KR20090044673A (ko) 2007-11-01 2007-11-01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의 벨트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467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15235A (zh) * 2011-06-07 2012-12-12 宝钜儿童用品香港股份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
CN108284867A (zh) * 2017-11-08 2018-07-17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具有汽车座托架的儿童推车
CN108284867B (zh) * 2017-11-08 2024-06-04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具有汽车座托架的儿童推车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15235A (zh) * 2011-06-07 2012-12-12 宝钜儿童用品香港股份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
CN108284867A (zh) * 2017-11-08 2018-07-17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具有汽车座托架的儿童推车
CN108284867B (zh) * 2017-11-08 2024-06-04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具有汽车座托架的儿童推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63509B2 (ja) イナーシャロック装置並びに折畳み式シート
US6199949B1 (en) Child safety seat
KR101612542B1 (ko) 개선된 설치를 위한 벨트 텐셔닝기구를 구비한 차일드시트
US8393678B2 (en) Infant child restraint system
FR2645806A1 (fr) Siege d&#39;enfant pour vehicule et ensemble formant ceinture de securite
US7614692B2 (en) Child car seat swivelling between a forward facing position and a door facing position, with automatic return to foward facing position
US7611184B1 (en) Vehicular trunk-through openable and closable device
FR2496020A1 (fr) Ferrure d&#39;articulation pour sieges, notamment pour sieges de vehicules automobiles
KR20090044673A (ko)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의 벨트 잠금장치
EP3050450A1 (en) Locking clip and anchor assembly for a tether
KR20090044671A (ko)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
KR20090044672A (ko) 회전가능한 유아용 카 시트의 잠금장치
KR200455822Y1 (ko) 유아용 카시트의 벨트 록킹장치
US20020175498A1 (en) Connnecting device for auxiliary member of a baby carrier
EP1514748B1 (fr) Dispositif de guidage de sangle d&#39;une ceinture de sécurité
FR2796344A1 (fr) Mecanisme d&#39;ancrage et d&#39;articulation, notamment pour un siege arriere d&#39;un vehicule automobile
KR20150075920A (ko) 뒤보기와 슬라이딩 가능한 시트를 갖는 어린이용 자전거
EP0558380B1 (fr) Serrure à enclenchement automatique pour l&#39;ancrage d&#39;une ceinture de sécurité et son application à un siège arrière de véhicule
EP1386777B1 (fr) Sécurité pour siège de véhicule étant rotatif et calable dans au moins deux positions
KR20190057906A (ko)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
KR101232672B1 (ko) 자동차시트에 구비되는 유아시트
JPS5855929B2 (ja) 自動車用方向転換シ−ト装置
KR20140125871A (ko) 차량 팔걸이 조립체용 클러치 장치
KR200382344Y1 (ko) 산업용 안전벨트의 버클
JP3902636B2 (ja) アームレス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