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2672B1 - 자동차시트에 구비되는 유아시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시트에 구비되는 유아시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32672B1 KR101232672B1 KR1020120088133A KR20120088133A KR101232672B1 KR 101232672 B1 KR101232672 B1 KR 101232672B1 KR 1020120088133 A KR1020120088133 A KR 1020120088133A KR 20120088133 A KR20120088133 A KR 20120088133A KR 101232672 B1 KR101232672 B1 KR 1012326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t
- backrest
- infant
- seat cushion
- vehic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81—Seats convertible into parts of the seat cushion or the back-rest or disapppearing therein, e.g. for childre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시트에 구비되는 유아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유아시트를 자동차에 구비할 필요없이 유아시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자동차시트로부터 유아시트를 간편하게 인출하여 사용하고, 유아시트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자동차시트에 내장시켜 자동차의 내부 공간을 넓게 활용하기 위한 자동차시트에 구비되는 유아시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시트에 구비되는 유아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유아시트를 자동차에 구비할 필요없이 유아시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자동차시트로부터 유아시트를 간편하게 인출하여 사용하고, 유아시트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자동차시트에 내장시켜 자동차의 내부 공간을 넓게 활용하기 위한 자동차시트에 구비되는 유아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나 어린이는 체격이 어른에 비해 현저하게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일반 자동차에 구비된 안전벨트를 그대로 사용하면 이 안전벨트가 유아나, 어린이의 목부분을 지나가게 되므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도리어 안전벨트가 유아나, 어린이에게 치명적인 위험을 주게 된다.
따라서, 어린이를 차량에 탑승시키는 경우에는 별도로 마련된 유아시트를 자동차시트에 고정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어린이를 보호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어린이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별도로 전용되는 시트를 구입하여야 하고, 사용하고자 할 때마다 자동차시트에 장착하여야 하며, 사용한 후에는 자동차시트로부터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즉, 종래의 유아시트는 유아나, 어린이가 자동차에 탑승하는 경우에만 필요하게 되므로, 유아나, 어린이가 있는 운전자는 차량의 트렁크에 유아시트를 보관하다 필요한 경우에는 트렁크에서 유아시트를 꺼내 자동차시트에 고정 장착하여 사용해야 한다.
이로 인해, 유아시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차량 내에 보관을 위한 별도의 수납 공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동차시트에 유아시트를 고정하거나, 분리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사용에 많은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유아시트를 자동차에 구비할 필요없이 유아시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자동차시트로부터 유아시트를 간편하게 인출하여 사용하고, 유아시트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자동차시트에 내장시켜 자동차의 내부 공간을 넓게 활용하기 위한 자동차시트에 구비되는 유아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트백과 시트쿠션를 갖는 자동차시트에 구비되는 유아시트로서, 시트쿠션에 매립 설치되는 등받이; 등받이를 시트쿠션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회동부; 및 회동부의 회동을 잠금하여 시트쿠션으로부터 등받이의 적정 각도를 조절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에 구비되는 유아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는, 일측과 타측에는 쿠션부재가 설치되고, 그 일측과 타측 사이 중앙부에는 보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쿠션에는 상부 및 전면이 개구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등받이는 수납공간에 삽입되되, 등받이의 후단부는 회동부에 의해 시트쿠션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동부는, 일단부가 등받이의 후단부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베어링이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 일단부는 시트쿠션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베어링에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동부는, 일측이 개구되어 내측으로 베어링이 결합되고, 타측은 한 쌍의 지지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잠금부는, 하우징의 외측에 고정 설치되며, 외측으로 복수의 치형돌기가 하우징을 중심으로 방사형상으로 형성되는 회동부재; 및 회동부재의 회동을 제한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되, 잠금수단은, 상,하부에 통공이 형성되고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싱; 양단부가 통공을 관통하여 위치되며 상단부에는 조절손잡이가 구비되고, 하단부는 회동부재에 형성되는 치형돌기와 치형돌기 사이로 인입되는 잠금바; 케이싱의 측면에 그 케이싱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공; 일단부는 잠금바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가이드공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바; 및 케이싱의 내부에 위치되며 가이드바의 상부에 위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등받이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며, 등받이와 연동되어 수납공간으로 삽입되는 안전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는, 등받이가 상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그 등받이의 전면 좌,우측에 위치되며, 제1체결버클과 제2체결버클이 각각 구비되는 제1,2안전벨트; 및 수납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체결버클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버클을 포함하되, 제1,2안전벨트는 상호 버클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유아시트를 자동차에 구비할 필요없이 유아시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자동차시트에 형성되는 수납공간으로부터 유아시트를 간편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아시트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 유아시트를 수납공간에 삽입하여 자동차시트에 내장시킴으로써 자동차의 내부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시트에 구비되는 유아시트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시트에 구비되는 유아시트에서 자동차시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시트에 구비되는 유아시트에서 등받이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시트에 구비되는 유아시트에서 등받이에 안전벨트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시트에 구비되는 유아시트에서 회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시트에 구비되는 유아시트에서 잠금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시트에 구비되는 유아시트에서 잠금수단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시트에 구비되는 유아시트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시트에 구비되는 유아시트에서 자동차시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시트에 구비되는 유아시트에서 등받이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시트에 구비되는 유아시트에서 등받이에 안전벨트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시트에 구비되는 유아시트에서 회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시트에 구비되는 유아시트에서 잠금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시트에 구비되는 유아시트에서 잠금수단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시트에 구비되는 유아시트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시트에 구비되는 유아시트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자동차시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등받이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등받이에 안전벨트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서 회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잠금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서 잠금수단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시트에 구비되는 유아시트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은 시트쿠션(110)과 시트백(120)을 갖는 자동차시트(100)에 구비되는 유아시트(1)로서, 상기 유아시트(1)는 상기 시트쿠션(110)에 매립 설치되는 등받이(10), 상기 등받이(10)를 상기 시트쿠션(110)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회동부(20) 및 상기 회동부(20)의 회동을 잠금하여 상기 시트쿠션(110)으로부터 상기 등받이(10)의 적정 각도를 조절하는 잠금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자동차시트(100)는 자동차의 뒷좌석에 위치되는 리어시트와, 앞좌석에 위치되는 프런트시트를 포함한다. 이때에는 상기 프런트시트는 운전석을 제외한 보조석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시트쿠션(110)에는 수납공간(111)이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10)는 상기 수납공간(111)에 삽입되므로 인해 상기 시트쿠션(110)에 매립된 상태를 이룬다.
상기 수납공간(11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쿠션(110)의 전단부로부터 상기 시트백(120)이 위치되는 후단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부 및 전면이 개구되는 사각 형태를 이룬다.
상기 수납공간(111)은 상기 자동차시트(100)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시트쿠션(110)의 중앙부에 위치되며, 그 수납공간(111)의 양측을 이루는 상기 시트쿠션(110)의 양측 가장자리가 자연스럽게 아암 거치대(112)을 이루고, 상기 수납공간(111)을 이루는 바닥면은 유아나, 어린이가 착석하는 유아시트쿠션(113)을 이룬다.
상기 등받이(10)는 전단부와 후단부를 가지며, 그 전단부는 상기 등받이(10)가 상기 수납공간(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시트쿠션(110)의 전면 방향을 향하며, 그 후단부는 상기 시트백(120) 방향을 향한다.
상기 등받이(10)는 상기 수납공간(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시트쿠션(110)을 이루며, 상면에는 자동차에 탑승하는 탑승자가 착석한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10)의 하면은 수납공간(111)으로부터 인출시 유아나, 어린이의 상체를 받쳐준다.
따라서, 상기 등받이(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과 하면에 쿠션부재(11)가 구비되며, 그 상면과 하면 사이 중앙부에는 보강부재(1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외측으로는 상기 쿠션부재(11) 및 상기 보강부재(12)가 수용되는 커버(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13)는 상기 자동차시트(100)를 감싸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되, 가죽이나, 직물지 또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쿠션부재(11)는 스펀지, 솜, 고무,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보강부재(12)는 금속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등받이(10)는 상기 수납공간(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면 및 전단면이 상기 시트쿠션(110)의 상면 및 전면과 동일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등받이(10)는 상기 수납공간(111)과 동일한 사각 형태를 이루며, 그 등받이(10)에는 유아나, 어린이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벨트(40)가 마련되고, 상기 안전벨트(40)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전벨트(40)는 상기 등받이(10)와 연동되어 상기 수납공간(111)으로 삽입되며, 상기 등받이(10)와 함께 상기 수납공간(111)으로 삽입된 경우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안전벨트(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나, 어린이 등의 양쪽 어깨와 가슴을 고정하는 제1,2안전벨트(41,4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2안전벨트(41,42)는 상기 등받이(10)가 대략 수직을 이루는 상태에서 그 등받이(10)의 전면 좌,우측에 각각 위치된다.
상기 제1,2안전벨트(41,42)는 상기 등받이(10)에 고정 설치되어도 무방하나 상기 등받이(1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때에는, 상기 등받이(10)에는 제1탈착버클(44)이 구비되며, 상기 제1,2안전벨트(41,42)에는 상기 제1탈착버클(44)에 대응되는 제2탈착버클(4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2탈착버클(44,45)은 일반적인 형태의 암,수버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제1,2안전벨트(41,42)는 상기 등받이(1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2안전벨트(41,42)는 상호 버클결합되고, 상기 제1,2안전벨트(41,42)의 하부에는 제1,2체결버클(41a,42a)이 구비되며, 상기 수납공간(111)을 이루는 바닥면에는 상기 제1,2체결버클(41a,42a)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버클(43)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버클(43)은 상기 유아나, 어린이의 양측 다리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등받이(10)가 상기 수납공간(111)으로 삽입되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체결버클(41a,42a) 및 상기 고정버클(43)은 일반적인 형태의 암,수버클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회동부(20)는 상기 등받이(10)의 후단부를 상기 시트커버(11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하여 상기 등받이(10)가 상기 수납공간(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시트백(120) 방향으로 회동하여 대략 수직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동부(2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시트쿠션(110)에 매립 설치되며, 그 위치는 상기 등받이(10)를 중심으로 그 등받이(10)의 양측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회동부(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상기 등받이(10)의 후단부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베어링(22)이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21), 일단부는 상기 시트쿠션(11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베어링(22)에 연결되는 고정축(23)을 포함한다.
상기 베어링(22)의 내측으로는 상기 고정축(23)의 타단부가 인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베어링(22)의 외측으로는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21)이 연결된다. 이로 인해,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21)은 상기 고정축(23)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동 가능하다.
상기 베어링(22)은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21)에 각각 매립 설치되어도 무방하나 이에 한정짓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회동부(2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구되어 내측으로 상기 베어링(22)이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21)에 각각 고정되는 하우징(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4)은 내측으로 상기 베어링(22)이 결합 되므로 인해 상기 고정축(2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21)에는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축(23)은 상기 시트쿠션(110)의 내측에 설치되므로 인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시트쿠션(110)의 내측에 구비되는 프레임(미도시)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21)은 나사나, 볼트 등의 고정구(25)에 의해 상기 등받이(10)에 고정된다. 상기 한 상의 지지프레임(21)은 상기 고정구(25)가 인입되는 복수의 구멍(26)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로 인하여, 상기 등받이(10)는 상기 수납공간(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시트백(120) 방향으로 회동하여 대략 수직을 이룰 수 있다.
한편, 상기 잠금부(30)는 내측으로 중공(32)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32)으로는 상기 하우징(24)이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21)과 연동되어 회동되고, 외측으로 복수의 치형돌기(33)가 상기 중공(32)을 중심으로 방사형상으로 형성되는 회동부재(31) 및 상기 회동부재(31)의 회동을 제한하는 잠금수단(34)을 포함한다.
상기 잠금부(30)는 상기 등받이(10)의 회동을 잠금하는 동시에 상기 시트쿠션(110)으로부터 회동되는 상기 등받이(10)의 적정 각도를 조절한다.
상기 잠금부(30)는 상기 시트쿠션(110)에 매립 설치되되, 그 위치는 상기 등받이(10)를 중심으로 그 등받이(10)의 양측에 위치되는 상기 회동부(20)에 각각 위치될 수 있도록 설치되거나, 상기 등받이(10)의 일측에 위치되는 상기 회동부(20)에 위치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잠금수단(34)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에 통공(35a,35b)이 형성되고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싱(35), 양단부가 상기 통공(35a,35b)을 관통하여 위치되며 상단부에는 조절손잡이(36a)가 구비되고, 하단부는 상기 회동부재(31)에 형성되는 치형돌기(33)와 치형돌기(33) 사이로 인입되는 잠금바(36), 상기 케이싱(35)의 측면에 그 케이싱(35)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공(37), 일단부는 상기 잠금바(36)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공(37)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바(36b) 및 상기 케이싱(35)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가이드바(36b)의 상부에 위치되는 탄성부재(38)를 포함한다.
상기 잠금수단(34)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손잡이(36a)의 조절에 따라 상기 잠금바(36)의 하부가 상기 회동부재(31)에 형성되는 치형돌기(33)와 치형돌기(33) 사이로 인입되어 상기 회동부재(31)의 회동을 차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조절손잡이(36a)는 상기 시트쿠션(110)의 상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38)는 일반적인 형태의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잠금바(36)의 외측에 결합된다. 상기 탄성부재(38)는 상기 케이싱(35)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가이드바(36b)를 하방향으로 가압한다.
상기 잠금부(30)는 평상시 상기 탄성부재(38)가 이완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바(36)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잠금바(36)의 하단부가 상기 회동부재(31)에 형성되는 치형돌기(33)와 치형돌기(33) 사이로 인입되어 잠금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잠금부(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손잡이(36a)를 상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잠금바(36)의 하단부가 상기 회동부재(31)에 형성되는 치형돌기(33)와 치형돌기(33) 사이로부터 인출되면서 잠금 해제된다.
상기 잠금부(30)가 잠금 해제 상태가 되면 상기 등받이(10)는 상기 시트쿠션(110)으로부터 자유롭게 회동된다. 여기서, 상기 등받이(10)가 자유롭게 회동되는 정도는 상기 등받이(10)가 상기 수납공간(111)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회동되어 대략 수직을 이룰 수 있는 정도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자동차시트에 구비되는 유아시트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자동차시트에 구비되는 유아시트(1)는 유아나, 어린이가 자동차에 탑승하는 경우, 상기 조절손잡이(36a)를 상방향으로 당겨 상기 잠금부(3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한다.
상기 잠금부(3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그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시트쿠션(110)에 매립 설치된 상기 등받이(10)를 상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상기 등받이(10)가 상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시트쿠션(110)으로부터 적정 각도를 이루면, 예컨대, 상기 등받이가 대략 수직을 이루면, 당기고 있던 상기 조절손잡이(36a)를 놓아 상기 잠금부(30)의 잠금 해제 상태가 다시 잠금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자동차시트에 구비되는 유아시트(1)는 유아나, 어린이가 자동차에 탑승하지 않는 경우, 상기 조절손잡이(36a)를 상방향으로 당겨 상기 잠금부(30)의 잠금 상태가 잠금 해제되도록 한 후, 상기 등받이(10)를 회동하여 상기 수납공간(111)에 삽입한다.
상기 등받이(10)가 상기 수납공간(111)에 삽입되면 당기고 있던 상기 조절손잡이(36a)를 놓아 상기 잠금부(30)의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등받이(10)는 상기 잠금부(30)의 잠금 상태가 유지되면서 상기 시트쿠션(110)에 매립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시트에 구비되는 유아시트(1)는 유아나, 어린이가 자동차에 탑승하는 경우와, 탑승하지 않는 경우에 쉽게 대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자동차시트에 구비되는 유아시트(1)는 자동차의 내부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아시트를 사용하고자 할 때마다 자동차시트에 장착해야 하는 불편함과, 사용한 후에는 자동차시트로부터 다시 유아시트를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시트에 구비되는 유아시트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아시트 10 : 등받이
11 : 쿠션부재 12 : 보강부재
13 : 커버 20 : 회동부
21 : 지지프레임 22 : 베어링
23 : 고정축 24 : 하우징
30 : 잠금부 31 : 회동부재
33 : 치형돌기 34 : 잠금수단
35 : 케이싱 36 : 잠금바
36a : 조절손잡이 37 : 가이드공
38 : 탄성부재 40 : 안전벨트
100 : 자동차시트 110 : 시트커버
111 : 수납공간 112 : 거치대
113 : 유아시트쿠션 120 : 시트백
1 : 유아시트 10 : 등받이
11 : 쿠션부재 12 : 보강부재
13 : 커버 20 : 회동부
21 : 지지프레임 22 : 베어링
23 : 고정축 24 : 하우징
30 : 잠금부 31 : 회동부재
33 : 치형돌기 34 : 잠금수단
35 : 케이싱 36 : 잠금바
36a : 조절손잡이 37 : 가이드공
38 : 탄성부재 40 : 안전벨트
100 : 자동차시트 110 : 시트커버
111 : 수납공간 112 : 거치대
113 : 유아시트쿠션 120 : 시트백
Claims (8)
- 시트백과 시트쿠션를 갖는 자동차시트에 구비되는 유아시트로서,
상기 시트쿠션에 매립 설치되는 등받이;
상기 등받이를 상기 시트쿠션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의 회동을 잠금하여 상기 시트쿠션으로부터 상기 등받이의 적정 각도를 조절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부는,
일단부가 상기 등받이의 후단부 양측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베어링이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
일단부는 상기 시트쿠션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베어링에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축; 및
일측이 개구되어 내측으로 상기 베어링이 끼움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에 각각 고정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고정 설치되며, 외측으로 복수의 치형돌기가 상기 하우징을 중심으로 방사형상으로 형성되는 회동부재; 및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을 제한하는 잠금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잠금수단은,
상,하부에 통공이 형성되고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싱;
양단부가 상기 통공을 관통하여 위치되며 상단부에는 조절손잡이가 구비되고, 하단부는 상기 회동부재에 형성되는 치형돌기와 치형돌기 사이로 인입되는 잠금바;
상기 케이싱의 측면에 그 케이싱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공;
일단부는 상기 잠금바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바; 및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가이드바의 상부에 위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에 구비되는 유아시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일측과 타측에는 쿠션부재가 설치되고, 그 일측과 타측 사이 중앙부에는 보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에 구비되는 유아시트.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에는 상부 및 전면이 개구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는,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단부가 상기 회동부에 의해 상기 시트쿠션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에 구비되는 유아시트.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며, 상기 등받이와 연동되어 상기 수납공간으로 삽입되는 안전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에 구비되는 유아시트.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는,
상기 등받이가 상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그 등받이의 전면 좌,우측에 위치되며, 제1체결버클과 제2체결버클이 각각 구비되는 제1,2안전벨트; 및
상기 수납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체결버클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버클을 포함하되,
상기 제1,2안전벨트는 상호 버클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에 구비되는 유아시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8133A KR101232672B1 (ko) | 2012-08-13 | 2012-08-13 | 자동차시트에 구비되는 유아시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8133A KR101232672B1 (ko) | 2012-08-13 | 2012-08-13 | 자동차시트에 구비되는 유아시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32672B1 true KR101232672B1 (ko) | 2013-02-19 |
Family
ID=47899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88133A KR101232672B1 (ko) | 2012-08-13 | 2012-08-13 | 자동차시트에 구비되는 유아시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3267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4119A (ko) | 2015-07-01 | 2017-01-11 | 자동차부품연구원 | 에어쿠션을 구비하는 차량용 시트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CN110789413A (zh) * | 2019-08-13 | 2020-02-14 | 上海国琻汽车科技有限公司 | 锁止机构及包含其的汽车座椅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43654B1 (ko) * | 1995-12-27 | 1998-08-01 | 김태구 | 접이식 어린이 시트 |
KR19980039568U (ko) * | 1996-12-20 | 1998-09-15 | 양재신 | 자동차의 시트 |
-
2012
- 2012-08-13 KR KR1020120088133A patent/KR10123267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43654B1 (ko) * | 1995-12-27 | 1998-08-01 | 김태구 | 접이식 어린이 시트 |
KR19980039568U (ko) * | 1996-12-20 | 1998-09-15 | 양재신 | 자동차의 시트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4119A (ko) | 2015-07-01 | 2017-01-11 | 자동차부품연구원 | 에어쿠션을 구비하는 차량용 시트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CN110789413A (zh) * | 2019-08-13 | 2020-02-14 | 上海国琻汽车科技有限公司 | 锁止机构及包含其的汽车座椅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474735B1 (en) | Adjustable car seat | |
US10245981B2 (en) | Child's booster seat with detachable belt positioner car seat | |
US9616789B2 (en) | Seat headrest | |
US20120280540A1 (en) | Reclining baby car carrier | |
US10399467B2 (en) | Vehicular seating assembly, systems and method | |
US10131317B1 (en) | Head support and safety harness system | |
US9694783B2 (en) | Child safety seat | |
US9487111B2 (en) | Spinning infant car seat | |
US10369906B2 (en) | Child safety seat | |
US9610869B1 (en) | Plush backrest cover with tube-like arms for combination safety/booster seat assembly | |
JP2017077876A (ja) | チャイルドシート | |
JP2009056880A (ja) | 子供乗せ装置及び二輪車 | |
KR101232672B1 (ko) | 자동차시트에 구비되는 유아시트 | |
JP5586359B2 (ja) | チャイルドシート用ベルト固定具およびこれを備える自動車用チャイルドシート | |
US20120299337A1 (en) | Easy access child car seat | |
JP2006335325A (ja) | チャイルドシート | |
JP6189746B2 (ja) | 乗物用シート | |
JP2013001197A (ja) | 車両のシートベルト装置 | |
JPH04349041A (ja) | 座席 | |
US10800297B2 (en) |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ttaching soft goods to a child's apparatus | |
WO2023042240A1 (ja) | 保持部材および育児器具 | |
JPH051579U (ja) | 子供用シート | |
KR200145056Y1 (ko) | 유아용 시트가 구비된 자동차의 리어시트 | |
CN111137382A (zh) | 自行车用幼儿座椅以及带幼儿座椅的自行车 | |
JPH04349040A (ja) | 座席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