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2156A - 전원용 트랜스 - Google Patents

전원용 트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2156A
KR20090042156A KR1020080097825A KR20080097825A KR20090042156A KR 20090042156 A KR20090042156 A KR 20090042156A KR 1020080097825 A KR1020080097825 A KR 1020080097825A KR 20080097825 A KR20080097825 A KR 20080097825A KR 20090042156 A KR20090042156 A KR 20090042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hole
magnetic core
bobbin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우미 코스기
키이치 키쿠치
야스오 호사카
Original Assignee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42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21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08High-leakag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 H01F38/10Ballasts, e.g. for discharge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6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specifically adapted for discharge lamp balla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ing Of Coil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되는 스위칭 펄스가 가청 주파수대를 포함하는 전원용 트랜스에 있어서 소리울림의 음압 레벨을 저감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차 권선(11)과, 2차 권선(12)과, 1차 권선과 2차 권선이 분할되어 감겨지는 보빈(13)과, 보빈에 장착되며 폐자로를 형성하여 1차 권선과 2차 권선을 자기 결합시키는 한쌍의 코어(15)를 구비하며, 보빈의 통부(13a)에는 권선이 감겨지는 복수의 구획 사이에 자심 관통공(13c) 내에 삽입된 코어(15a)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13f)가 형성되어 있으며, 스페이서(17)를 통해 자심 관통공 내의 코어와 자심 관통공 밖의 코어(15b)가 통부의 개구를 통해 서로 접착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보빈의 자심 관통공의 길이 방향의 중간 정도에서의 자심 관통공 내의 코어와 자심 관통공 밖의 코어의 자왜에 기인하는 각각의 휨 진동이 접착 고정에 의해 상호 규제되므로, 소리울림의 음압 레벨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다.
트랜스, 권선, 코어, 보빈, 스페이서, 음압

Description

전원용 트랜스 {POWER TRANSFORMER}
본 발명은 전원용 트랜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액정 TV나 자동차 네비게이션 장치 등의 전자기기의 표시 패널의 백라이트 등을 인버터 구동하는 전원용 트랜스에 관한 것이다.
액정 TV나 자동차 네비게이션 장치 등의 전자기기에는 냉음극 형광관 기타 방전등을 이용한 백라이트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들 방전등을 점등시키기 위하여 저전압의 직류 전원으로부터 고전압을 얻기 위하여 인버터 회로가 이용되고 있다.
인버터 회로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용 트랜스로서,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에는 페라이트 코어로 이루어진 자심(115)을 이용한 트랜스(110)가 제안되고 있다. 상기 트랜스(110)는 상기 자심(115)이 I형 코어(115a)와 U형 코어(115b)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1차측 권선(111)과 2차측 권선(112)이 실시된 보빈(113)의 통부(113a)에 형성되어 있는 도시 생략된 자심 관통공(磁芯貫通孔)에 상기 I형 코어(115a)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U형 코어(115b)는 상기 보빈(113)의 권축(卷軸)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상방에 위치하며, 상기 I형 코 어(115a)와의 대향은 상기 보빈(113)의 자심 관통공 밖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상술된 백라이트용 트랜스(110)에서는 사용되는 스위칭 펄스가 가청 주파수대인 경우에 고조파에 의한 공진 형상으로 인해 트랜스 전체에 소리울림이 생긴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EI형 자심(215)의 E형 자심(215b)의 중심 자각(磁脚)(215b1)과 I형 자심(215a)과의 접합면의 자기갭(215g)에 양면에 접착제(216)를 도포한 스페이서(217)를 개재시켜 코일 부품(210)에서의 울림소리의 발생을 저감시키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평9-186024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개11-233348호 공보
상기 전자의 배경 기술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보빈(113)의 통부(113a)의 자심관통공에 한쌍의 코어(115)의 적어도 일측이 관통된 전원용 트랜스(110)에서는 코어(115)의 탈락을 방지하는 등의 목적으로 한쌍의 코어(115)가 상기 보빈(113)의 기대(113b, 113b)에 각각 접착 고정되면, 상기 소리울림의 음압 레벨이 증대된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소리울림의 음압 레벨은 제품간에 분산이 커서 제품마다의 음압 레벨의 확인이 과제가 되고 있었다.
또한, 상기 후자의 배경 기술에 기재된 바와 같이, EI형 자심(215)의 E형 자심(215b)의 중심 자각(215b1)과 I형 자심(215a)과의 접합면의 자기 갭(215g)에 양면에 접착제(216)을 도포한 스페이서(217)를 개재시키면, 울림소리의 음압 레벨은 저감되는 경향이 있지만, 그 음압 분산이 확대된다. 따라서, 제품마다의 음압 레벨 의 확인이 과제가 되고 있었다.
또한, 상기 전자의 배경 기술에 기재된 백라이트용 트랜스(110)에 있어서, 상기 후자의 배경 기술에 기재된 바와 같이 코어의 접합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스페이서를 개재시키면, 기대한 바와 같은 소리울림 억제 효과가 얻어지지 않았다. 또한, 1차 권선(111)과 2차 권선(112)과의 자기 결합이 저하된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자 등은 보빈의 통부의 자심 관통공에 한쌍의 코어 중 적어도 일측이 관통되는 동시에 한쌍의 코어가 보빈의 기대(基臺)에 각각 접착 고정되는 전원용 트랜스에서는,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심 관통공 내의 I형 코어(115a') 및 자심 관통공 밖의 U형 코어(115b')가 보빈의 자심 관통공의 길이 방향의 중간 정도에서 상하 방향으로 각각 크게 진동한다는 것에 착안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자 등이 예의 검토한 결과, 자심 관통공 내의 코어와 자심 관통공 밖의 코어를 보빈의 통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서로 접착 고정함으로써, 이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사용되는 스위칭 펄스가 가청 주파수대를 포함하는 전원용 트랜스에 있어서, 소리울림의 음압 레벨을 저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리울림의 음압 레벨의 제품간 분산을 저감시켜 안정 생산할 수 있는 전원용 트랜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1차 권선과, 2차 권선과, 상기 1차 권선과 2차 권선이 분할되어 감겨지는 보빈과, 상기 보빈에 장착되며 폐자로를 형성하여 상기 1차 권선과 2차 권선을 자기 결합시키는 한쌍의 코어를 구비하는 전원용 트랜스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자심 관통공이 형성되며 권선 권회 영역이 중간 플랜지에 의해 복수의 구획으로 나누어진 통부와, 상기 통부의 적어도 양단에 설치되며 복수의 단자가 각각 식설된 복수의 기대를 가지며, 상기 1차 권선은 상기 통부의 일부 구획에 감겨지며 그 단부의 각각이 상기 복수의 기대 중 적어도 하나의 기대의 서로 다른 접속 단자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2차 권선은 상기 통부의 다른 구획에 감겨지는 동시에 그 단부의 각각이 상기 복수의 기대 중 적어도 상기와 다른 기대의 서로 다른 접속 단자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코어는 상기 자심 관통공에 적어도 일측이 관통되는 동시에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기대에 각각 접착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보빈의 통부에는 상기 권선이 감겨지는 복수의 구획 사이에 상기 자심 관통공 내에 삽입된 코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자심 관통공 내의 코어와 자심 관통공 밖의 코어가 상기 통부의 개구를 통해 서로 접착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보빈의 자심 관통공의 길이 방향의 중간 정도에서의 상기 자심 관통공 내의 코어와 자심 관통공 밖의 코어의 자왜에 기인하는 각각의 휨 진동이 상기 접착 고정에 의해 상호 규제된다. 따라서, 소리울림의 음압 레벨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용 트랜스의 주요한 형태 중 하나는, 상기 (1)에 더하여 (2)상기 한쌍의 코어는 I형 코어와 U형 코어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조이면서 소리울림의 음압 레벨이 저감된 전원용 트랜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용 트랜스의 다른 주요한 실시 형태 중 하나는, (1)에 더하여 (3)상기 자심 관통공 내의 코어와 자심 관통공 밖의 코어 사이에 스페이서가 삽입되고, 상기 스페이서를 통해 상기 자심 관통공 내의 코어와 자심 관통공 밖의 코어 가 접착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접착제의 도포 상태에 다소의 분산이 있어도 상기 자심 관통공 내의 코어와 자심 관통공 밖의 코어가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용 트랜스의 다른 형태 중 하나는, 상기 (3)에 더하여 (4)상기 스페이서는 비자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1차 권선과 2차 권선의 자기 결합을 저하시키지 않고, 소리울림의 음압의 분산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용 트랜스의 다른 형태 중 하나는, 상기 (3)에 더하여 (5)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통부의 중간 플랜지에 의해 위치 결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조립이 용이하며 소리울림의 음압 레벨 및 음압의 분산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용 트랜스의 다른 형태 중 하나는, 상기 (3)에 더하여 (6)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통부에 감합되는 절취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조립이 용이하며 소리울림의 음압 레벨 및 음압의 분산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용 트랜스의 다른 형태 중 하나는, 상기 (3)에 더하여 (7)상기 스페이서의 경도는 상기 접착제의 경도보다 높다. 이에 따라, 상기 한쌍의 코어의 진동의 공진점이 고주파측으로 이동하므로, 소리울림의 음압 레벨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제품마다의 음압 분산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전원용 트랜스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전원용 트랜스(10)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전원용 트랜스(1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상기 도 1의 A-A선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전원용 트랜스(10)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전원용 트랜스(10)의 조립 순서의 일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전원용 트랜스(10)는 1차 권선(11)과, 2차 권선(12)과, 상기 1차 권선(11)과 2차 권선(12)이 분할되어 감겨지는 보빈(13)과, 상기 보빈(13)에 장착되고 폐자로(閉磁路)를 형성하여 상기 1차 권선(11)과 2차 권선(12)을 자기 결합시키는 한쌍의 코어(15)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빈(13)은 자심 관통공(13c)이 형성되며 권선 권회(卷回) 영역이 중간 플랜지(13d)에 의해 복수의 구획으로 나누어진 통부(13a)와, 상기 통부(13a) 중 적어도 양단에 설치되며 복수의 단자가 각각 식설(植設)된 복수의 기대(13b, 13b)를 갖는다.
또한, 상기 1차 권선(11)은 상기 통부(13a)의 일부 구획에 감기며 그 단부(11a)의 각각이 상기 보빈(13)의 복수의 기대 중 적어도 하나의 기대(13b)의 서로 다른 접속 단자(14)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2차 권선(12)은 상기 통부(13a)의 다른 구획에 감겨지는 동시에 그 단부(12a)의 각각이 상기 보빈(13)의 복수의 기대 중 적어도 상기와 다른 기대(13b)의 서로 다른 접속 단자(14)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코어(15)는 상기 자심 관통공(13c)에 적어도 한쪽이 관통되는 동시에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기대(13b)에 접착제(16)에 의해 각각 접착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빈(13)의 통부(13a)에는 상기 권선(11, 12)이 감겨지는 복수의 구획 사이의 상면측에 상기 자심 관통공(13c) 내에 삽입된 I형 코어(15a)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13f)가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자심 관통공(13c) 내의 I형 코어(15a)와 자심 관통공(13c) 밖의 U형 코어(15b) 사이에 스페이서(17)가 삽입되고, 상기 스페이서(17)를 통해 상기 자심 관통공(13c) 내의 I형 코어(15a)와 자심 관통공(13c) 밖의 U형 코어(15b)가 상기 통부(13a)의 개구(13f)를 통해 서로 접착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는 본 실시 형태의 전원용 트랜스(10)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보빈(13)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부(13a)와, 상기 통부(13a)의 일측 및 타측 단부에 각각 설치된 기대(13b, 13b)를 가지며, 상기 통부(13a)의 중심을 관통하듯이 자심 관통공(13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부(13a)는 1차 권선(11)이 감겨지는 영역과 2차 권선(12)이 감겨지는 영역이 중간 플랜스(13d)에 의해 분할됨과 동시에, 상기 2차 권선(12)이 감겨지는 영역은 마찬가지로 중간 플랜지(13d)에 의해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빈(13)의 통부(13a)에는 1차 권선(11)이 감겨지는 구획과 2차 권선(12)이 감겨지는 구획 사이의 상면측에 2개의 중간 플랜지(13d)에 끼어있듯이 상기 자심 관통공(13c) 내에 삽입된, 예를 들면 I형 코어(15a)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평면 형상이 거의 직사각형인 개구(13f)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대(13b, 13b)에는 각각 예를 들면 평면 형상이 거의 E자형이거나 거 의 U자형 등의 복수의 접속 단자(14, 14)가 식설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접속 단자(14, 14)는 일단측의 단자부(14a)와, 타단측의 접속편(14c)과, 상기 단자부(14a)와 상기 접속편(14c) 사이를 접속하는 동시에 상기 기대(13b)에 매립되는 도시 생략된 식설부로 구성된다. 평면 형상이 거의 E자형인 접속 단자(14)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하나의 접속편(14c)에 대하여 2개의 단자부(14a)가 도시 생략된 식설부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상기 단자부(14a)는 상기 기대(13b)의 단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후, 상기 기대(13b)의 바닥면보다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각각 소위 걸윙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속편(14c)은 상기 기대(13b)의 단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평면 형상이 거의 U자형인 접속 단자(14)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하나의 접속편(14c)에 대하여 하나의 단자부(14a)가 도시 생략된 식설부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기타 구성은 상기 거의 E자형인 경우와 동일하다.
상기 1차 권선(11)은, 예를 들면 복수의 마그넷 와이어를 꼬아서 된 소위 리츠선 등으로 이루어지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빈(13)의 통부(13a) 중 일단측의 1차 권선(11)을 감기 위한 영역에 감겨져있다. 그리고, 상기 1차 권선(11)의 단부(11a, 11a)는 상기 보빈(13)의 일측 기대(13b)의 하부에 형성된 도시 생략된 인출홈을 통해 상기 기대(13b)의 선단측으로 인출되고, 상기 기대(13b)에 식설된 접속 단자(14)의 접속편(14c)에 상기 절연 피복이 박리된 상태로 결합되며, 용융 땜납 내로의 침지 등에 의해 상기 접속 단자(14)와 도전 접속되어 있다.
상기 2차 권선(12)은 상기 1차 권선(11)에 비해 가는 선 직경의 절연 피복 도선이 이용되는데, 상기 보빈(13)의 통부(13a) 중 2차 권선(12)을 감기 위해 구획된 복수의 영역에 일단측으로부터 상기 보빈(13)의 중앙 플랜지를 향해 순차적으로 감겨지는 동시에, 그 단부(12a, 12a)는 상기 보빈(13)의 타측 기대(13b)의 하부에 형성된 도시 생략된 인출홈을 통해 상기 기대(13b)의 선단측으로 인출되고, 상기 기대(13b)에 식설된 접속 단자(14)의 접속편(14c)에 상기 절연 피복이 박리된 상태로 결합되며, 땜납 등에 의해 상기 접속 단자(14)와 도전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전원용 트랜스(10)의 수요자는, 예를 들면 액정 표시 패널 등을 구비한 전자기기의 상자체 내의 전원부의 회로 기판상에 본 전원용 트랜스(10)를 SMD 실장하고, 상기 회로 기판상의 랜드 전극과 상기 단자부(14a)를 땜납 등의 도전 접합재를 통해 접속하여 이용한다.
상기 한쌍의 코어(15)는 각각, 예를 들면 Mn-Zn계 페라이트 등의 자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쌍의 코어(15) 중의 상기 I형 코어(15a)가 상기 보빈(13)의 자심 관통공(13c)에 일단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자심 관통공(13c)의 일단측의 상기 보빈(13)의 일측 기대(13b)의 볼록부에 맞대어지는데, 상기 I형 코어(15a)의 양단은 각각 상기 자심 관통공(13c)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기대(13b)상에 노출되듯이 위치 결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빈(13)의 통부(13a)의 1차 권선(11)이 감겨지는 구획과 2차 권선(12)이 감겨지는 구획 사이의 상면측에 형성된 개구(13f)로부터 상기 자심 관통공(13c) 내에 삽입된 I형 코어(15a)의 상면측 일부가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13f)상이며 상기 개구(13f) 양측의 중간 플랜지(13d, 13d)의 사이에 끼여있는 위치에,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고내열성, 고강도, 저열팽창성 등의 특징을 갖는 액정 폴리머로 이루어진 봉형의 스페이서(17)가, 예를 들면 외부에 에폭시 수지계 접착제(16)를 도포한 상태로 삽입, 위치 결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I형 코어(15a)의 상면에 상방으로부터 상기 U형 코어(15b)의 다리부(15c)의 선단이 각각 맞대어짐과 동시에, 상기 U형 코어(15b)의 하면 일부가 상기 스페이서(17)를 통해 상기 자심 관통공(13c) 내의 I형 코어(15a)와 상기 접착제(16)에 의해 접착 고정되어 있다.
나아가,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쌍의 코어(15)는 상기 보빈(13)의 자심 관통공(13c)의 길이 방향의 단부가 상기 기대(13b)에 각각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계 접착제(16)에 의해 접착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코어(15)는 상기와 같이 상기 U형 코어(15b)의 다리부(15c)의 선단이 각각 상기 I형 코어(15a)의 일측 주면(主面)에 맞대어진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폐자로를 형성하며 상기 1차 권선(11)과 상기 2차 권선(12)을 자기 결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한쌍의 코어(15)에 1차 권선(11)과 2차 권선(12)이 한쌍으로 감겨진 통상 형태의 전원 트랜스이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 생략하지만, 예를 들면 폐자로를 형성하는 한쌍의 코어에 1차 권선과 2차 권선을 2쌍으로 감은, 소위 트윈 구조를 갖는 전원용 트랜스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상기 보빈의 통부의 복수의 구획에 일단측으로부터 제1 2차 권선, 제1 1차 권선, 제2 1차 권선, 제2 2차 권선의 순서로 감겨져도 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상기 보빈의 통부에 상기 제1 1차 권선이 감겨지는 구획과 상기 제2 1차 권선이 감겨지는 구획 사이에 상기 자심 관통공 내에 삽입된 코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자심 관통공 내의 코어와 자심관통공 밖의 코어가 상기 통부의 개구를 통해 서로 접착 고정된 것이어도 된다.
또한 다른 예로, 예를 들면 상기 보빈의 통부의 복수의 구획에 일단측으로부터 제1 2차 권선, 공통의 1차 권선, 제2 2차 권선의 순서로 감겨져도 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상기 보빈의 통부의 상기 제1 2차 권선이 감겨지는 구획과 상기 공통의 1차 권선이 감겨지는 구획 사이, 및 상기 제2 2차 권선이 감겨지는 구획과 상기 공통의 1차 권선이 감겨지는 구획 사이에 상기 자심 관통공 내에 삽입된 코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자심 관통공 내의 코어와 자심 관통공 밖의 코어가 상기 통부의 각각의 개구를 통해 서로 접착 고정된 것이어도 된다.
상기 1차 권선(11)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다음과 같다. 즉, 상기 1차 권선(11)은 상기 보빈(13)의 통부(13a) 주위에 감겨지는 것으로, 절연 피복 도선이 바람직하며, 폴리우레탄 수지 피복 도선이나 폴리에스테르수지 피복 도선, 에나멜수지 피복 도선 등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차 권선(11)의 금속선은 단선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소위 리츠선 등의 꼬임선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1차 권선(11)의 금속선은 원형의 단면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장방형 단면 형상의 평각선이나 정방형 단면 형상의 사각선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절연 피 복 도선의 외주를 저융점의 수지로 피복한 자기 융착선을 이용하여도 된다.
상기 1차 권선(11)의 단부(11a, 11a)의 각각은 상기 보빈(13)의 통부의 적어도 양단에 설치된 복수의 기대 중 적어도 하나의 기대(13b)에 식설된 서로 다른 접속 단자(14)의 접속편(14c)에 각각 상기 절연 피복이 박리된 상태로 결합되고, 땜납 등에 의해 상기 접속 단자(14)와 도전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차 권선(12)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다음과 같다. 즉, 상기 2차 권선(12)은 상기 보빈(13)의 통부(13a) 주위에 구획된 복수의 영역에 분할되어 감겨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차 권선(11)과 마찬가지로 절연 피복 도선이 바람직하며, 폴리우레탄 수지 피복 도선이나 폴리에스테르수지 피복 도선, 에나멜 수지 피복 도선 등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차 권선(12)의 금속선은 단선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꼬임선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2차 권선(12)의 금속선은 원형의 단면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장방형 단면 형상의 평각선이나 정방형 단면 형상의 사각선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절연 피복 도선의 외주를 저융점의 수지로 피복한 자기 융착선을 이용하여도 된다. 상기 2차 권선(12)은 고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많이 감을 필요가 있으므로, 상기 2차 권선(12)의 선 직경은 일반적으로 상기 1차 권선(11)의 선 직경보다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차 권선(12)의 단부(12a, 12a)의 각각은, 상기 1차 권선(11)의 단부(11a)와 마찬가지로, 상기 보빈(13)의 통부(13a)의 적어도 양단에 설치된 복수의 기대 중 적어도 상기와 서로 다른 기대(13b)에 식설된 복수의 접속 단자(14, 14) 중 서로 다른 접속 단자(14)의 접속편(14c)에 각각 상기 절연 피복이 박리된 상태로 결합되고, 땜납 등에 의해 상기 접속 단자(14)와 도전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빈(13)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다음과 같다. 즉, 상기 보빈(13)의 재질로는 절연성 수지가 바람직하고, 내열성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접속 단자(14, 14)의 인젝션 몰드가 가능한 페놀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액정폴리머 등의 절연성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보빈(13)은 통부(13a)와 상기 통부(13a)의 일측 및 타측 단부에 각각 설치된 기대(13b)를 적어도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복수의 방전관을 점등시키기 위한 복수의 2차 권선을 구비하는 소위 트윈 구조를 갖는 것에 있어서는, 상기 통부(13a)의 중간 영역에 기대를 더 설치하고, 상기 기대에 접속 단자를 식설하여도 된다.
상기 보빈(13)의 통부(13a)는 1차 권선(11)이 감겨지는 영역과 2차 권선(12)이 감겨지는 영역이 중간 플랜지(13d)에 의해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차 권선(12)이 감겨지는 영역은 더욱이 중간 플랜지(13d)에 의해 복수로 구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차 권선(12)이 감겨지는 영역을 복수로 구획하는 중간 플랜지(13d)에는 이웃하는 영역간에 2차 권선(12)을 순차적으로 감기 위한 통과홈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빈(13)의 기대(13b)에는 상기 1차 권선(11)의 단부(11a) 또는 2차 권선(12)의 단부(12a)가 결합되어 고정되는 접속 단자(14, 14)가 식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대(13b)에 식설되는 접속 단자(14, 14)로는 인버터 회로가 형성되 는 기판상에 면실장되며 리플로어 납땜되는 경우에는 소위 걸윙 타입이 바람직하고, 회로 기판에 설치된 관통홀에 접속 단자가 관통되며 플로어 납땜되는 경우에는 상기 기대(13b)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핀 타입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빈(13)의 자심 관통공(13c)은 상기 통부(13a)의 중심을 관통하듯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차 권선(12)이 감겨지는 영역의 통부(13a)의 상기 자심 관통공(13c)의 내부 치수는, 상기 I형 코어(15a)를 삽입하기 위하여 상기 I형 코어(15a)의 외형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접속 단자(14)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접속 단자(14)는 상기 기대(13b)에 매립되는 식설부와 상기 기대(13b)로부터 돌출되는 단자부(14a) 및 접속편(14c)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한쌍의 코어(15)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다음과 같다. 즉, 상기 한쌍의 코어(15)의 재질로는 Mn-Zn계 페라이트, Ni-Zn계 페라이트, 압분자심, 적층금속판 기타 각종 자성 재료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코어(15)의 구조로는 상기 보빈(13)의 자심 관통공(13c)에 적어도 일측이 삽입되며, 조합된 상태로 자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쌍의 코어(15)의 외관 형상으로는, 예를 들면 액정 표시 패널 등의 프레임부에 수용하기 위해서 U-U형, U-I형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박형의 전원용 트랜스를 얻기 위하여 E-E형, E-I형, ㅁ-I형 등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접착 고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접착 고정으로는 접착제(16)를 개재시켜 자심 관통공(13c) 내의 코어(15a)와 자심 관통공(13c) 밖의 코어(15b)를 상기 통부(13a)에 형성한 개구(13f)를 통해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16)만을 개재시켜 고정하여도 되지만, 자심 관통공(13c) 내의 코어(15a)와 자심 관통공(13c) 밖의 코어(15b)를 소정의 간격으로 안정되게 고정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스페이서(17)를 삽입하고, 이 스페이서(17)를 통해 상기 자심 관통공(13c) 내의 코어(15a)와 자심 관통공(13c) 밖의 코어(15b)를 서로 접착제(16)로 접착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 고정에 이용되는 접착제(16)로는 절연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 무기 필러 등을 함유하여도 된다. 고내열성을 갖는 에폭시 수지계 접착제, 실리콘 수지계 접착제 등 중에서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지만, 상기 자심 관통공(13c) 내의 코어(15a)와 상기 자심 관통공(13c) 밖의 코어(15b)의 진동을 상호 규제하기 위하여 에폭시 수지계 접착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스페이서(17)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스페이서(17)의 재질로는 상기 자심 관통공(13c) 내의 코어(15a)와 자심 관통공(13c) 밖의 코어(15b) 사이에 삽입하였을 때 자로의 단락을 일으켜 1차 권선(11)과 2차 권선(12)의 자기 결합이 저하되지 않도록 비자성 절연체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술된 보빈(13)의 재질로 예시한 절연성 수지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강도면에서 액정폴리머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17)의 형상으로는 상기 자심 관통공(13c) 내의 코어(15a)와 자심 관통공(13c) 밖의 코어(15b) 사이에 삽입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각종 형상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보빈(13)의 1차 권선(11)이 감겨지는 구획과 2차 권선(12)이 감겨지는 구획을 가능한 근접시키기 위해서 상기 스페이서(17)가 봉형이나 판형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보빈(13)의 통부(13a)로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보빈(13)의 통부(13a)의 외측에 감합되도록 절취부를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17)의 경도는 상기 접착제(16)의 경도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소리울림의 음압 분산이 저감된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전원용 트랜스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5~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의 전원용 트랜스(20)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의 전원용 트랜스(2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상기 도 5의 B-B선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의 전원용 트랜스(2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상기 도 5의 C-C선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전원용 트랜스(20)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전원용 트랜스(20)는 전술된 실시 형태의 전원용 트랜스(10)와 마찬가지로 1차 권선(21)과, 2차 권선(22)과, 상기 1차 권선(21)과 2차 권선(22)이 분할되어 감겨지는 보빈(23)과, 상기 보빈(23)에 장착되어 폐자로를 형성하며 상기 1차 권선(21)과 2차 권선(22)을 자기 결합시키는 한쌍의 코어(25)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빈(23)은 자심 관통공(23c)이 형성되고 권선 권회 영역 이 중간 플랜지(23d)에 의해 복수의 구획으로 나누어진 통부(23a)와, 상기 통부(23a)의 적어도 양단에 설치되며 복수의 접속 단자(24)가 각각 식설된 복수의 기대(23b, 23b)를 갖는다.
또한, 상기 1차 권선(21)은 상기 통부(23a)의 일부 구획에 감겨지고, 그 단부(21a)의 각각이 상기 보빈(23)의 복수의 기대 중 적어도 하나의 기대(23b)의 서로 다른 접속 단자(24)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2차 권선(22)은 상기 통부(23a)의 다른 구획에 감겨지는 동시에 그 단부(22a)의 각각이 상기 보빈(23)의 복수의 기대 중 적어도 상기와 다른 기대(23b)의 서로 다른 접속 단자(24)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코어(25)는 상기 자심 관통공(23c)에 적어도 일측이 관통되는 동시에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기대(23b)에 접착제(26)에 의해 각각 접착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빈(23)의 통부(23a)에는 1차 권선(21)이 감겨지는 구획과 2차 권선(22)이 감겨지는 구획 사이의 상면측에 상기 자심 관통공(23c) 내에 삽입된 코어(25)의 중심 자각(25a)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23f)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자심 관통공(23c) 내의 코어(25)의 중심 자각(25a)과 자심 관통공(23c) 밖의 코어(25)의 측자각(25b) 사이에, 예를 들면 판형 스페이서(27)가 삽입되고, 상기 스페이서(27)를 통해 상기 E형 코어(25)의 상기 자심 관통공(23c) 내의 중심 자각(25a)과 자심 관통공(23c) 밖의 측자각(25b)이 상기 통부(23a)의 개구(23f)를 통해 접착제(26)에 의해 서로 접착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전원용 트랜스(20)가 전술된 실시 형태의 전원용 트랜스(10)와 다른 점의 첫번째는 상기 한쌍의 코어(25)의 형상의 변경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한쌍의 코어(25)가 각각 중심 자각(25a)과, 상기 중심 자각(25a)이 끼워지듯이 양측에 배치된 측자각(25b, 25b)과, 상기 중심 자각(25a) 및 상기 측자각(25b, 25b)의 각각 일단측에 연결되는 요크부(25c)로 이루어진 한쌍의 E형 코어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보빈(23)의 통부(23a)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자심 관통공(23c)에는 상기 한쌍의 E형 코어(25, 25)의 중심 자각(25a, 25a)의 각각 선단측이 삽입되고, 상기 자심 삽입 구멍(23c) 내의 길이 방향의 중간 정도에서 서로 맞대어져 있다. 또한, 자심 관통공(23c) 밖에서 상기 한쌍의 E형 코어(25, 25)의 각 측자각(25b, 25b)이 상기와 마찬가지로 상기 보빈의 자심 관통공(23c)의 길이 방향의 중간 정도에서 서로 맞대어져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전원용 트랜스(20)가 전술의 실시 형태의 전원용 트랜스(10)와 다른 점의 두번째는 상기 한쌍의 코어(25)의 형상 변경에 대응하여 스페이서(27)의 형상을 변경한 점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페이서(27)의 형상이 상기 보빈(23)의 자심 관통공(23c) 내의 상기 E형 코어(25)의 중심 자각(25a)과 상기 중심 자각(25a)을 끼고 상기 자심 관통공(23c) 밖의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E형 코어(25)의 측자각(25b, 25b) 사이에 각각 선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통부(23a)에 감합되는 절취부(27c)가 형성된 대략 U형의 판형을 이루고 있다.
기타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는 상기 한쌍의 E형 코어(25, 25)에 1차 권선(21)과 2차 권선(22)이 한쌍 감겨진 통상 형태의 전원용 트랜스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폐자로를 형성하는 한쌍의 코어에 1차 권선과 2차 권선을 2쌍 감은, 소위 트윈 구조를 갖는 전원용 트랜스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상기 한쌍의 E형 코어의 2개의 측자각에 각각 상기와 동일한 보빈을 장착하고, 상기 각각의 보빈에 상기와 동일한 1차 권선과 2차 권선을 감아도 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상기 각각의 보빈의 통부에는 1차 권선이 감겨지는 구획과 2차 권선이 감겨지는 구획 사이의 상면측에 상기 자심 관통공 내에 삽입된 코어(25)의 한쌍의 측자각(25b, 25b) 일측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자심 관통공 내의 코어(25)의 측자각(25b)과 자심 관통공 밖의 코어(25)의 중심 자각(25a) 사이에 상기와 동일한 판형의 스페이서가 삽입되고, 상기 스페이서를 통해 상기 E형 코어(25)의 상기 자심 관통공 내의 측자각(25b)과 자심 관통공 밖의 중심 자각(25a)이 상기 통부의 개구를 통해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착 고정되는 것이어도 된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전원용 트랜스의 실시예에 대하여 비교예와 함께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전원용 트랜스(10)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성이다.
도 1~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원용 트랜스(10)는 1차 권선(11)과, 2차 권선(12)과, 상기 1차 권선(11)과 2차 권선(12)이 분할되어 감겨지는 액정 폴리머제 보빈(13)과, 상기 보빈(13)에 장착되며 상기 1차 권선(11)과 2차 권선(12)을 자기 결합시키는 Mn-Zn계 페라이트로 이루어진 한쌍의 코어(15)를 구비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빈(13)은 자심 관통공(13c)이 형성된 권선 권회 영역이 중간 플랜지(13d)에 의해 복수의 구획으로 나누어진 통부(13a)와, 상기 통부(13a)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접속 단자(14, 14)가 각각 식설된 한쌍의 기대(13b, 13b)를 갖는다.
또한, 상기 1차 권선(11)은 상기 통부(13a)의 일부 구획에 감겨지고, 그 단부(11a)가 상기 보빈(13)의 일측 기대(13b)의 접속 단자(14)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2차 권선(12)은 상기 통부(13a)의 다른 구획에 감겨지는 동시에, 그 단부(12a)가 상기 보빈(13)의 타측 기대(13b)의 접속 단자(14)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코어(15)는 상기 자심 관통공(13c)에 적어도 일측이 관통되는 동시에, 상기 보빈의 자심 관통공(13c)의 길이 방향의 단부가 상기 기대(13b)에 각각 에폭시 수지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빈(13)의 통부(13a)에는 1차 권선(11)이 감겨지는 구획과 2차 권선(12)이 감겨지는 구획 사이의 상면측에 상기 자심 관통공(13c) 내에 삽입된 코어(15a)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13f)가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자심 관통공(13c) 내의 코어(15a)와 자심 관통공(13c) 밖의 코어(15b) 사이에 두께 치수가 2㎜, 길이 치수가 35㎜, 높이 치수가 1.5㎜인 액정폴리머제 장봉형의 스페이서(17)가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17)를 통해 상기 자심 관통공(13c) 내의 I형 코어(15a)와 자심 관통공(13c) 밖의 U형 코어(15b)가 상기 통부(13a)의 개구(13f)를 통해 에폭시 수지계 접착제(16)를 이용하여 서로 접착 고정되어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전원용 트랜스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스페이서(17)를 이용하지 않고, 자심 관통공(13) 내의 I형 코어(15a)와 자심 관통공(13c) 밖의 U형 코어(15b)를 상기와 동일한 에폭시수지계 접착제로만 접착 고정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구성하였다.
(비교예 1)
제1 비교예의 전원용 트랜스는 상기 실시예 1에서 보빈의 통부에 개구를 형성하지 않으며, 상기 자심 관통공 내의 코어와 상기 자심 관통공 밖의 코어를 상호 접착 고정하지 않고, 대신에 상기 1차 권선과 2차 권선이 감겨진 보빈과 상기 자심 관통공 밖의 U형 코어의 틈새에 바니시를 함침시킨 후 경화시킨 것이다.
(비교예 2)
제2 비교예의 전원용 트랜스는 상기 실시예 1에서 보빈의 통부에 개구를 형성하지 않으며, 상기 자심 관통공 내의 코어와 상기 자심 관통공 밖의 코어를 상호 접착 고정하지 않고, 대신에 상기 자심 관통공의 길이 방향에 따른 중간 정도에서 상기 1차 권선과 2차 권선이 감긴 보빈과 상기 자심 관통공 밖의 U형 코어를 상기와 동일한 에폭시 수지계 접착제로 접착 고정한 것이다.
(참고예)
참고예의 전원용 트랜스는 상기 실시예 1에서 보빈의 통부에 개구를 형성하지 않으며, 상기 자심 관통공 내의 코어와 상기 자심 관통공 밖의 코어를 상호 접착 고정하지 않고, 대신에 상기 자심 관통공의 길이 방향에 따른 중간 정도에서 상기 1차 권선과 2차 권선이 감긴 보빈과 상기 자심 관통공 밖의 U형 코어 사이에 봉형 스페이서를 삽입하고, 상기 스페이서를 통해 상기 보빈과 상기 자심 관통공 밖의 U형 코어를 상기와 동일한 에폭시 수지계 접착제로 접착 고정한 것이다.
상기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의 전원용 트랜스 각 75개에 대하여 각각 도 9에 도시된 방전등 점등 장치의 인버터 회로에 트랜스(T1)로서 삽입하였다.
아울러, 도 9에서 일점쇄선으로 둘러싸인 범위가 방전등 점등 장치로, 4개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이하 FET라고 칭한다)(Q1~Q4)와, 콘덴서(C1), 인버터 트랜스(T1), 전류 검출용 저항기(R1), 구동 제어 회로, 전류 검출 회로, 발진 회로, 점등시 주파수 시프트 회로, 방전등(Lamp-1~Lamp-n)(n은 자연수)으로 구성되며, 풀브릿지의 인버터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방전등(Lamp1~Lamp-n)으로서, 예를 들면 외부 전극형 형광관(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을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입력 전압은 24V, 출력 전압은 Lamp의 양단에 1kVrms의 전압을 인가하였다. 동작 주파수는 50㎑, 부하 전류는 모든 Lamp 토탈로 약 100㎃이다.
그리고, 소정의 조건으로 기동시킨 후, ADIM = 0V, 버스트 주파수 270㎐의 조건하에서 듀티를 20~100%로 변화시켰을 때의 상기 전원 트랜스로부터 발생되는 소리울림의 음압 레벨을 방음실 내에서 상기 전원용 트랜스상 10㎝의 위치에 설치된 소음계로 측정하고, 75개의 평균치를 도 10에 도시하였다.
도 10에서 분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전원용 트랜스를 이용한 경우에는 소리울림의 음압 레벨이 32㏈ 정도임에 반하여, 비교예 2 또는 참고예의 전원용 트랜스에서는 음압 레벨이 36㏈를 넘었으며, 비교예 1의 바니시 함침의 전원용 트랜스에서는 38㏈를 넘는 것이 있었다.
다음에는 상기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의 전원용 트랜스 각 75개에 대하여 각각 도 9에 도시된 방전등 점등 장치의 인버터 회로에 트랜스(T1)로서 삽입하고, 소정의 조건으로 기동시킨 후, ADIM = 0V, 버스트 주파수 270㎐의 조건하에서 듀티를 20%로 고정하였을 때의 상기 전원 트랜스로부터 발생되는 소리울림의 음압 레벨을 상기와 동일하게 측정하고, 75개의 전원용 트랜스의 측정 결과의 분산 정도를 도 11에 도시하였다.
도 11에서 분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의 전원용 트랜스를 이용한 경우에는 소리울림의 음압 레벨이 32㏈ 정도이지만, 접착제만으로 접착 고정한 실시예 2의 전원용 트랜스에 비해 스페이서(17)를 통해 접착 고정한 실시예 1의 전원용 트랜스(10) 쪽이 음압 레벨의 분산이 보다 작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비교예 2 또는 참고예의 전원용 트랜스에서는 음압 레벨이 36dB를 넘었지만, 접착제만으로 접착 고정한 비교예 2에 비해 스페이서를 통해 접착 고 정한 참고예의 전원용 트랜스 쪽이 음압 레벨의 분산이 약간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1의 바니시 함침 전원용 트랜스는 38㏈를 넘었지만, 음압 레벨이 높은 곳에서 비교적 분산이 작다는 결과를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정 TV 등 백라이트를 갖는 각종 전자기기의 전원용 트랜스로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원용 트랜스의 제1 실시 형태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 형태의 전원용 트랜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상기 도 1의 A-A선에 있어서의 종단면도,
도 3은 상기 실시 형태의 전원용 트랜스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상기 실시 형태의 전원용 트랜스의 조립 순서의 일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전원용 트랜스의 제2 실시 형태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6은 상기 실시 형태의 전원용 트랜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상기 도 5의 B-B선에 있어서의 종단면도,
도 7은 상기 실시 형태의 전원용 트랜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상기 도 5의 C-C선에 있어서의 종단면도,
도 8은 상기 실시 형태의 전원용 트랜스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원용 트랜스의 음압 레벨의 측정에 이용되는 방전등 점등 장치를 나타낸 회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원용 트랜스의 음압 레벨의 측정 결과를 나타 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원용 트랜스의 음압 레벨의 제품간 분산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배경 기술의 일예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13은 배경 기술의 다른 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14는 상기 배경 기술에 있어서의 코어의 자왜 진동의 일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원용 트랜스 11 : 1차 권선
11a : 단부 12 : 2차 권선
12a : 단부 13 : 보빈
13a : 통부 13b : 기대
13c : 자심관통공 13d : 중간 플랜지
13e1 : 1차 권선 구획 13e2 : 2차 권선 구획
13f : 개구 14 : 접속 단자
14a : 단자부 14c : 접속편
15 : 코어 15a : I형 코어 15b : U형 코어 15c : 다리부
16 : 접착제 17 : 스페이서
20 : 전원용 트랜스 21 : 1차 권선
21a : 단부 22 : 2차 권선
22a : 단부 23 : 보빈
23a : 통부 23b : 기대
23c : 자심관통공 23d : 중간 플랜지
23e1 : 1차 권선 구획 23e2 : 2차 권선 구획
23f : 개구 24 : 접속 단자
24a : 단자부 24c : 접속편
25 : 코어 25a : 중심 자각
25b : 측자각 25c : 요크
26 : 접착제 27 : 스페이서
27c : 절취부

Claims (7)

1차 권선과, 2차 권선과, 상기 1차 권선과 2차 권선이 분할되어 감겨지는 보빈과, 상기 보빈에 장착되며 폐자로를 형성하여 상기 1차 권선과 2차 권선을 자기 결합시키는 한쌍의 코어를 구비하는 전원용 트랜스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자심 관통공이 형성되며 권선 권회 영역이 중간 플랜지에 의해 복수의 구획으로 나누어진 통부와, 상기 통부의 적어도 양단에 설치되며 복수의 단자가 각각 식설된 복수의 기대를 가지며,
상기 1차 권선은 상기 통부의 일부 구획에 감겨지고, 그 단부의 각각이 상기 복수의 기대 중 적어도 하나의 기대의 서로 다른 접속 단자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2차 권선은 상기 통부의 다른 구획에 감겨지는 동시에 그 단부의 각각이 상기 복수의 기대 중 적어도 상기와 다른 기대의 서로 다른 접속 단자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코어는 상기 자심 관통공에 적어도 일측이 관통되는 동시에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기대에 각각 접착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보빈의 통부에는 상기 권선이 감겨지는 복수의 구획 사이에 상기 자심 관통공 내에 삽입된 코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자심 관통공 내의 코어와 자심 관통공 밖의 코어가 상기 통부의 개구를 통해 서로 접착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용 트랜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코어는 I형 코어와 U형 코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용 트랜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심 관통공 내의 코어와 자심 관통공 밖의 코어 사이에 스페이서가 삽입되며, 상기 스페이서를 통해 상기 자심 관통공 내의 코어와 자심 관통공 밖의 코어가 접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용 트랜스.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비자성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용 트랜스.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통부의 중간 플랜지에 의해 위치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용 트랜스.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통부에 감합(嵌合)되는 절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용 트랜스.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의 경도는 상기 접착제의 경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용 트랜스.
KR1020080097825A 2007-10-25 2008-10-06 전원용 트랜스 KR200900421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78225A JP4980196B2 (ja) 2007-10-25 2007-10-25 電源用トランス
JPJP-P-2007-278225 2007-10-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156A true KR20090042156A (ko) 2009-04-29

Family

ID=40582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825A KR20090042156A (ko) 2007-10-25 2008-10-06 전원용 트랜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804390B2 (ko)
JP (1) JP4980196B2 (ko)
KR (1) KR2009004215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47245A (zh) * 2014-04-17 2015-02-11 昱京科技股份有限公司 具耦合调整线槽的线架结构
US9245682B2 (en) 2011-08-24 2016-01-26 Sumida Corporation Transformer
KR20170059028A (ko) * 2015-11-19 2017-05-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WO2021007403A1 (en) * 2019-07-09 2021-01-14 Murata Manufacturing Co., Ltd. Surface-mounted magnetic-component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02941B (zh) * 2007-09-19 2012-06-2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变压器及使用该变压器的电源装置
TW201103044A (en) * 2009-07-03 2011-01-16 Magic Technology Co Ltd Inductance component with gap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10176282A1 (en) * 2010-01-20 2011-07-2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common mode filter used therefor
TWI438794B (zh) * 2013-03-13 2014-05-21 Yujing Technology Co Ltd The improved structure of the transformer
KR102078645B1 (ko) * 2013-06-03 2020-02-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인덕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184566B1 (ko) * 2015-03-09 2020-12-02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CN113257540A (zh) * 2020-02-07 2021-08-13 Tdk株式会社 复合线圈装置
CN111180785B (zh) * 2020-02-10 2021-03-02 廖湘标 柔性电池的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0924A (en) * 1977-09-30 1979-04-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Electromagnetic device
JPS6194324U (ko) * 1984-11-27 1986-06-18
JPH01227410A (ja) * 1988-03-08 1989-09-11 Kijima:Kk 小形トランス
JPH0276826U (ko) * 1988-11-30 1990-06-13
JPH03120379U (ko) * 1990-03-19 1991-12-11
JPH09186024A (ja) * 1995-12-28 1997-07-15 Hitachi Ferrite Denshi Kk バックライト用トランス
JPH10149932A (ja) * 1996-11-19 1998-06-02 Hitachi Ferrite Electronics Ltd 高圧トランス
JP3524314B2 (ja) * 1997-02-27 2004-05-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ランス組立方法とトランスおよびトランス実装基板
JPH11233348A (ja) 1998-02-16 1999-08-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イル部品
JP2000049021A (ja) * 1998-07-29 2000-02-18 Toshiba Tec Corp 電磁機器
JP2002025836A (ja) * 2000-07-07 2002-01-25 Tokyo Coil Engineering Kk 細長薄型インバータトランス
JP3690601B2 (ja) * 2002-04-15 2005-08-31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インバータトランス及びインバータ回路
JP3906413B2 (ja) * 2003-01-07 2007-04-18 ミネベア株式会社 インバータトランス
JP2006049460A (ja) * 2004-08-03 2006-02-16 Toko Inc インバータトランス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45682B2 (en) 2011-08-24 2016-01-26 Sumida Corporation Transformer
CN104347245A (zh) * 2014-04-17 2015-02-11 昱京科技股份有限公司 具耦合调整线槽的线架结构
KR20170059028A (ko) * 2015-11-19 2017-05-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WO2021007403A1 (en) * 2019-07-09 2021-01-14 Murata Manufacturing Co., Ltd. Surface-mounted magnetic-component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105348A (ja) 2009-05-14
JP4980196B2 (ja) 2012-07-18
US20090108979A1 (en) 2009-04-30
US7804390B2 (en) 2010-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42156A (ko) 전원용 트랜스
US7274282B2 (en) Transformer
TW201032246A (en) Transformer
US20100033284A1 (en) Resonance transformer and power supply unit employing it
JP2006108667A (ja) インバータ変圧器
KR20070103687A (ko) 트랜스 장치, 인버터 트랜스 및 구동 회로
JPH07220950A (ja) インダクタンス素子
KR100924814B1 (ko) 인버터 트랜스 및 그것을 사용한 방전관 구동 회로
JP2008187052A (ja) 高圧トランス
JP2000068132A (ja) インバータトランス
JP2008227421A (ja) インバータ回路用トランス
WO2006059630A1 (ja) インバータトランス
TWI281171B (en) Transformer of light tube driving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light tube using thereof
US20220277888A1 (en) Transformer having reverse structure, power supply,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0709313B1 (ko) 인버터용 트랜스포머 모듈
JP2009170489A (ja) インバータトランス
KR100809213B1 (ko) 집적화된 트랜스포머
JP2002324715A (ja) インバータトランス
JP2641121B2 (ja) インバータ装置
KR200338261Y1 (ko) 트랜스포머
JP2001313222A (ja) インバータトランス
KR200398617Y1 (ko) 트랜스포머용 보빈구조
JPH08124772A (ja) インバータトランス
KR200381562Y1 (ko) 고전압 트랜스포머
JP2006060108A (ja) 高圧トラン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