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2145A -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 및 공기정화시스템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 및 공기정화시스템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2145A
KR20090042145A KR1020080080612A KR20080080612A KR20090042145A KR 20090042145 A KR20090042145 A KR 20090042145A KR 1020080080612 A KR1020080080612 A KR 1020080080612A KR 20080080612 A KR20080080612 A KR 20080080612A KR 20090042145 A KR20090042145 A KR 20090042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section
train
wind
train wind
purific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0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4039B1 (ko
Inventor
김조천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PCT/KR2008/00575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0021425A1/en
Publication of KR20090042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2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00Ventilation of mines or tunnels; Distribution of ventilating currents
    • E21F1/003Ventilation of traffic tu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01D46/0008Two or more filter elements not fluidly connected positioned in the same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 및 공기정화시스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은 터널구간(10)에 설치되는 차단부(15), 열차풍을 증폭시키는 열차풍 증폭부(17), 터널구간(10)의 환기구(13)로 열차풍을 유도하는 유로가이드팬(21)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 제어방법은 터널구간(10)에서 열차의 이동을 감지하는 단계와, 열차이동시 유로가이드팬(21) 및 보조팬(25)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차단부 및 열차풍 증폭부에 의해 열차풍을 그대로 이용하여 공기정화를 하므로 효율적인 공기정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열차풍, 유로가이드팬, 열차풍 증폭부

Description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 및 공기정화시스템 제어방법{AIR CLEANING SYSTEM OF TUNNEL BLOCK USING SUBWAY WIN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 CLEANING SYSTEM}
본 발명은 공기정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철 터널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차풍을 이용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시스템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은 지하에 철도와 역사 등을 개설하여 여객과 화물 등을 운송하는 것으로서, 신속하고 정확하며, 안전한 장점 등으로 인해 대도심의 대중교통수단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지하철 운행과 관련하여 먼지, 소음, 진동 등으로 인해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 중에는 아황산가스,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 이산화탄소, 포름알데히드, 휘발성 유기화합물질(VOC) 및 납과 같은 인체에 유해한 오염물질을 다수 포함하고 있으므로 주된 오염원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지하철 내부의 공기를 신선하게 유지하기 위해 별도의 공기순환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으나 열차풍으로 인해 공기순환이 방해되고 있는 실정이다. 열차풍이란 협소한 터널을 통과하는 열차로 인해 발생하는 기류를 의미한다.
그리고, 현재 서울시의 지하철을 관리 및 운영하고 있는 서울메트로 및 도시철도공사는 공기질 개선 및 승객의 안전 확보를 위하여 2010년말까지 모든 지하역사에 스크린 도어를 설치할 계획이다.
스크린 도어는 열차의 진입시에 생기는 미세먼지를 일차적으로 승강장과 격리시키는데 많은 이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터널구간내 미세먼지의 농도는 스크린도어 설치 전보다 높아질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구간 내에서 생기는 미세먼지들은 (1) 레일과 바퀴 사이의 마찰로 인하여 발생하는 철의 마모, (2) 브레이크의 마모, (3) 스파이킹에 의한 금속의 증기화에 따른 미세먼지의 발생으로 나눌 수 있다.
현재 미세먼지를 저감하기 위하여 터널 및 승강장 하부에 환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터널구간의 경우에는 자연환기(터널 위에 직사각형의 구멍이 뚫어져 형성되어 있으나 원래의 설치목적은 철로주변에 발생된 열을 빼주기 위한 것임)가 설치되어 있고 승강장 하부의 경우 강제환기(송풍기)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터널구간에 설치되어 있는 자연환기의 경우, 열차의 진행에 있어서 열차풍에 의해 열차 통과 시는 양압이 형성되어 환기구 밖으로 열차풍 내의 미세먼지가 이동한다, 하지만 이 압력이 충분하지 않아 열차가 환기구를 통과한 이후에 열차의 꼬리 부분에서의 형성되는 음압으로 인해 환기구 밖으로 나가던 미세먼지가 환기구 밖으로 충분히 배출되지 못하고 터널 내로 다시 빨려 들어오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차가 서로 교차하면서 열차풍이 상쇄되어 에너지를 상실하므로 발생한다. 즉, 열차풍이 자연배기통로를 통해 충분히 배출되기 위해서는 열차풍의 에너지가 상실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그리고, 종래의 환기구는 원래 열의 배출을 위해 설치된 것이고, 열차풍 진행방향에 직교한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설치되어 열차풍이 환기구를 통해 배출되기 어렵게 구성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열차풍이 환기구를 통해 배출되지 않으면 열차풍이 오염수치가 높아진 상태로 열차의 이동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역사 내로 유입되므로, 역사 내의 공기오염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열차풍에 의한 공기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지하철 터널 및 역사 내에 별도의 공기정화장치를 구비할 수 있으나 공기정화장치를 사용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방법은 천문학적인 비용이 필요하고 고유가 시대에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열차풍을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동력원을 사용하지 않고 열차풍을 그대로 이용하여 지하철 내의 공기를 정화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의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은 터널구간의 제1 철로와 제2 철로를 차단하는 차단부; 상기 제1 철로와 상기 제2 철로의 측벽에 각각 설치되고, 환기구보다 먼저 열차가 통과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열차풍을 증폭시키는 열차풍 증폭부;및 상기 환기구가 설치된 터널구간에 설치되며 열차풍이 상기 환기구로 유도될 수 있도록 송풍을 하는 유로가이드팬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차풍 증폭부는 힌지부에 의해 회전하여 접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차단부는 폐자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차단부는 열차풍을 상기 환기구로 가이드하는 기류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류가이드부는 상기 차단부의 표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환기구에 근접할수록 상승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로가이드팬은 상기 터널구간의 상기 제1 철로 및 상기 제2 철로의 양 측벽 하단부에 설치되고, 상측방으로 송풍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로가이드팬은 상기 터널구간의 천장에 설치되어 하측방으로 송풍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터널구간의 천장에는 열차풍을 이동시키기 위한 열차풍 유도팬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환기구에는 열차풍을 이동시키는 보조팬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환기구에는 상기 환기구 내부 통로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단막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차풍 증폭부는 열차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로가이드팬, 상기 열차풍 유도팬, 상기 보조팬, 상기 차단막 또는 힌지부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열차풍 증폭부를 제어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의 제어방법은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터널구간을 통과하는 열차가 환기구가 설치된 터널구간을 통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널구간에 설치된 열차풍 증폭부를 열차가 통과할 때 유로가이드팬을 작동시키는 단계;및 상기 열차가 통과하는 시간 이후에는 상기 유로가이드팬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로가이드팬을 작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환기구 내에 구비된 보조팬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로가이드팬을 작동시키는 단계는 열차풍 유도팬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로가이드팬을 작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열차가 통과하는 터널구간의 환기구에 구비된 차단막을 개방하고, 상기 터널구간에서 열차가 이미 통과한 후방의 환기구에 구비된 차단막을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로가이드팬을 정지시키는 단계는 상기 열차가 통과하는 터널구간의 환기구에 구비된 차단막을 폐쇄하고, 상기 터널구간에서 열차가 이미 통과한 후방의 환기구에 구비된 차단막을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에 의하면, 차단부 및 열차풍 증폭부에 의해 열차풍을 그대로 이용하여 공기정화를 하므로 효율적인 공기정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 스템 및 공기정화시스템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 및 공기정화시스템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지하철 열차가 이동하는 이동경로는 터널구간(10)과 역사구간(30)으로 구분될 수 있다. 터널구간(10)은 열차가 역사와 역사 사이를 이동하는 구간이고, 역사구간(30)은 열차가 정차하여 승객이 승하차하는 구간이다. 본 발명은 열차가 역사 사이를 이동하는 터널구간(10)의 공기정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터널구간(10)은 가운데 배치된 지지기둥(11)을 경계로 제1 철로와 제2 철로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터널구간(10)의 상부에는 지상과 연통되어 터널 내의 열기와 외부로 배출되고 공기가 순환하도록 구성된 다수개의 환기구(13)가 구비된다. 상기 환기구(13)는 터널구간(10)의 천장에서 상방으로 연통되고 중단부가 절곡된 후 다시 상방으로 연통되어 지상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공기정화시스템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구간(10)의 중심에 배치된 지지기둥(11) 사이에 차단부(15)를 설치한다. 상기 차단부(15)는 벽으로 형성되어 제1 철로와 제2 철로를 서로 차단하여 이동하는 열차에 의해 열차풍이 상쇄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차단부(15)는 비용절감을 위해 공사현장에서 배출되는 폐콘크리트, 폐자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부(15)는 지지기둥(11) 사이를 완벽하게 차단할 필요는 없고, 열차풍이 통과하지 않을 정도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 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부(15), 상기 지지기둥(11) 또는 터널 내벽면에는 지하철 열차풍을 상기 환기구(13)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기류가이드부(1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류가이드부(16)는 상기 차단부(15), 상기 지지기둥(11) 또는 터널 내벽면의 표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환기구(13)와 근접할수록 상방을 향하는 자연스러운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기류가이드부(16)에 의해 형성되는 곡선을 기준으로 곡선의 하부가 상기 차단부(15), 상기 지지기둥(11) 또는 터널 내벽면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지하철열차풍은 상기 기류가이드부(16)를 따라 흐르면서 점점 상승하여 상기 환기구(13)로 가이드될 수 있다.
그리고, 터널구간(10)에서 상기 환기구(13)가 설치된 부근에는 열차풍을 증폭시키기 위한 열차풍 증폭부(1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차풍 증폭부(17)는 지지기둥(11)과 같은 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하는 열차가 상기 환기구(13)보다 상기 열차풍 증폭부(17)를 먼저 통과하도록 상기 열차풍 증폭부(17)가 상기 환기구(13)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차풍 증폭부(17)는 터널구간(10)에 설치된 다수개의 환기구(13)의 전방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열차풍 증폭부(17)는 열차와 터널 측면 사이의 간격을 좁혀 열차풍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열차가 상기 열차풍 증폭부(17)를 통과하면, 열차와 터널 측면 사이의 좁은 간격에 의해 열차풍의 속력이 증폭되는 피스톤효과가 발생한다. 상기 열차풍 증폭부(17)에 의해 열차풍의 속력이 증폭되면 상기 환기구(13)를 통해 열차풍이 보다 원활하게 배기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차풍 증폭부(17)는 힌지부(19)에 의해 회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열차풍 증폭부(17)가 상기 힌지부(19)에 의해 회동하여 접어지므로 화재발생과 같은 비상시에 승객의 이동통로를 확보하고 터널 내부를 청소하는 청소열차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차풍 증폭부(17)에는 열차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18)는 적외선 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열차의 이동을 감지하여 아래에서 설명할 중앙제어부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터널구간(10)에서 상기 환기구(13)가 설치된 터널구간에는 유로가이드팬(21)이 구비된다. 상기 유로가이드팬(21)은 상기 환기구(13)가 설치된 터널구간의 양 측벽 또는 지지기둥(11)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유로가이드팬(21)은 터널 내부로 송풍할 수 있는 상태로 바닥면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유로가이드팬(21)은 열차풍이 상기 환기구(13)로 유도될 수 있도록 송풍을 한다. 상기 유로가이드팬(21)이 열차풍을 상기 환기구(13)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대략 상측방으로 송풍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로가이드팬(21)이 대략 상측방으로 송풍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차풍의 유로를 상기 환기구(13)의 입구방향으로 유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로가이드팬(21)에 의해 열차풍이 상기 환기구(13)를 통해 보다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유로가이드팬(2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구간(10)의 천장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유로가이드팬(21)이 상기 터널구간(10)의 천장에 설치되어 대략 하방으로 경사지게 송풍을 함으로써 지하철 열차풍이 상기 유로가이드팬(21)에 의해 송풍되는 차단풍을 타고 올라 상기 환기구(13)로 가이드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구간(10)의 천장에는 열차풍 유도팬(23)이 구비될 수 있다. 터널구간(10)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열차풍이 효과적으로 이동하지 못한다. 따라서, 구간길이가 긴 터널구간(10)에는 상기 열차풍 유도팬(23)을 설치하여 열차풍의 유속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환기구(13)를 통해 열차풍이 보다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환기구(13)의 내부에는 상기 환기구(13)를 통해 열차풍이 보다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보조팬(25)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환기구(13)는 안전상의 이유로 중단부가 굴곡되도록 형성되므로 열차풍이 환기구(13) 내부에 충돌하여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환기구(13)의 중단부에 보조팬(25)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환기구(13)를 통해 열차풍이 보다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환기구(13)의 굴곡되도록 형성된 중단부에는 공기의 유출입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막(2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막(27)은 힌지부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환기구(13) 내부통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막(27)은 아래에서 설명할 내용과 같이 열차의 이동에 따른 환기구(13)의 급배 기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의 작용 및 제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열차가 역사를 이탈하여 터널구간(10)으로 이동하는 동안 열차에 의해 열차풍이 발생한다. 이때, 터널구간(10)의 제1 철로와 제2 철로 사이에 차단부(15)가 설치되므로, 열차의 교차에 의해 열차풍이 상쇄되지 않는다.
그리고, 열차가 터널구간(10)의 열차풍 증폭부(17)를 지나가면 열차풍이 열차풍 증폭부(17)와 열차 사이의 좁은 틈을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피스톤 효과에 의해 열차풍이 증폭된다. 열차가 상기 열차풍 증폭부(17)를 지나면 감지센서(18)가 열차의 이동을 감지하여 중앙제어부로 열차의 이동여부를 알려준다.
그러면, 상기 중앙제어부가 열차가 통과한 열차풍 증폭부(17)의 후방에 설치된 유로가이드팬(21) 및 환기구(13) 내의 보조팬(25)을 가동시킨다. 상기 유로가이드팬(21)은 상기 열차풍 증폭부(17)에 의해 증폭된 열차풍을 상기 환기구(13)로 유도하고, 상기 보조팬(25)은 상기 환기구(13)로 유입된 열차풍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보조한다. 또한, 상기 지지기둥(11), 차단막(15) 또는 터널 내벽면에 설치된 기류가이드부(16)를 따라 열차풍이 상승하여 상기 환기구(13)로 가이드된다.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18)에 의해 열차의 이동을 감지한 후, 열차가 상기 환기구(13)를 통과하는 시간 동안 상기 유로가이드팬(21) 및 보조팬(25)을 가동시킨다. 그리고, 열차가 상기 환기구(13)를 통과하는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유로가이드팬(21) 및 보조팬(25)의 가동을 정지시킨다.
열차가 상기 환기구(13)를 통과하고 상기 유로가이드팬(21) 및 보조팬(25)의 가동이 정지되면, 열차의 후방은 열차풍의 이동에 의해 약간의 진공상태가 되므로 상기 환기구(13)를 통해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따라, 상기 중앙제어부는 터널구간(10)에 설치된 다수개의 유로가이드팬(21) 및 보조팬(25)을 가동시켜 열차풍을 지속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고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킴으로써 터널 내부의 공기를 정화시킨다.
한편, 하나의 환기구(13)를 통해 오염된 공기를 배출하고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면, 배출된 오염공기가 다시 환기구(13)를 통해 유입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정화시스템은 환기구(13) 내에 별도의 차단막(27)을 설치하여 배출된 오염공기가 바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차가 이미 통과한 환기구(13)는 차단막(27)을 차폐시킨다. 그리고, 열차가 앞으로 통과할 예정인 환기구(13)는 차단막(27)을 개방시키고, 유로가이드팬(21) 및 보조팬(25)을 가동시킨다.
그러면, 차단막(27)이 개방된 환기구(13)가 설치된 터널구간을 열차가 통과하면서 열차풍이 환기구(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열차가 환기구(13)를 통과하자마자 개방된 차단막(27)을 차폐시키고, 열차의 후방에 설치된 환기구(13)의 차단막(27)을 개방한다.
열차의 후방에 설치된 환기구(13)의 차단막(27)이 개방되면, 개방된 환기구(13)를 통해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유입된다. 즉, 중앙제어부에 의해 오염된 공 기가 배출되는 환기구(13)와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는 환기구(13)의 차단막(27)을 제어함으로써 배출된 오염공기가 바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제어부는 비상시나 청소용 열차에 의해 청소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열차풍 증폭부(17)를 회전시켜 측면벽에 접어지도록 하여 비상시 승객의 이동이나 터널 내부의 청소를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을 이용하여 터널 내부에서 발생한 열차풍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에는 지하철 열차풍의 속력이 증가할수록 어두운 색에서 밝은 색으로 표시되도록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정화시스템이 설치된 이후에는 환기구(13)를 통과하는 열차풍의 색이 설치 전에 비해 더욱 밝게 표시되므로 열차풍이 환기구(13)를 통해 보다 원활하게 배출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터널구간의 차단부에 의해 열차풍이 상쇄되지 않고, 열차풍 증폭부에 의해 열차풍이 증폭되어 유로가이드팬에 의해 환기구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므로 열차풍의 에너지를 그대로 사용하여 공기정화를 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효과적인 공기정화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터널구간에서 지하철 이동시 열차풍이 상쇄되는 현상을 개략적으로 보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투명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투명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의 열차풍 증폭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의 유로가이드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의 공기정화 과정을 보인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의 다른 방법에 의해 터널구간의 공기를 정화하는 과정을 보인 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이 적용되기 전과 후의 열차풍 발생상태를 보인 시뮬레이션 결과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5: 차단부 17: 열차풍 증폭부
18: 감지센서 21: 유로가이드팬
23: 열차풍 유도팬 25: 보조팬

Claims (17)

  1. 터널구간의 제1 철로와 제2 철로를 차단하는 차단부;
    상기 제1 철로와 상기 제2 철로의 측벽에 각각 설치되고, 환기구보다 먼저 열차가 통과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열차풍을 증폭시키는 열차풍 증폭부;및
    상기 환기구가 설치된 터널구간에 설치되며 열차풍이 상기 환기구로 유도될 수 있도록 송풍을 하는 유로가이드팬을 포함하는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풍 증폭부는
    힌지부에 의해 회전하여 접어지도록 구성되는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폐자재로 구성되는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열차풍을 상기 환기구로 가이드하는 기류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가이드부는
    상기 차단부의 표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환기구에 근접할수록 상승되도록 형성되는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가이드팬은
    상기 터널구간의 상기 제1 철로 및 상기 제2 철로의 양 측벽 하단부에 설치되고, 상측방으로 송풍하도록 설치되는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가이드팬은
    상기 터널구간의 천장에 설치되어 하측방으로 송풍하도록 설치되는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구간의 천장에는 열차풍을 이동시키기 위한 열차풍 유도팬이 구비되는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구에는 열차풍을 이동시키는 보조팬이 구비되는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구에는 상기 환기구 내부 통로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단막이 구 비되는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풍 증폭부는
    열차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가이드팬, 상기 열차풍 유도팬, 상기 보조팬, 상기 차단막 또는 힌지부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열차풍 증폭부를 제어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는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터널구간을 통과하는 열차가 환기구가 설치된 터널구간을 통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널구간에 설치된 열차풍 증폭부를 열차가 통과할 때 유로가이드팬을 작동시키는 단계;및
    상기 열차가 통과하는 시간 이후에는 상기 유로가이드팬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가이드팬을 작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환기구 내에 구비된 보조팬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 제어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가이드팬을 작동시키는 단계는
    열차풍 유도팬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 제어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가이드팬을 작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열차가 통과하는 터널구간의 환기구에 구비된 차단막을 개방하고,
    상기 터널구간에서 열차가 이미 통과한 후방의 환기구에 구비된 차단막을 폐쇄하는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 제어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가이드팬을 정지시키는 단계는
    상기 열차가 통과하는 터널구간의 환기구에 구비된 차단막을 폐쇄하고,
    상기 터널구간에서 열차가 이미 통과한 후방의 환기구에 구비된 차단막을 개방하는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 제어방법.
KR1020080080612A 2007-10-24 2008-08-18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 및 공기정화시스템 제어방법 KR100974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8/005755 WO2010021425A1 (en) 2008-08-18 2008-09-30 Air cleaning system using subway win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 clean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07170 2007-10-24
KR1020070107170 2007-10-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145A true KR20090042145A (ko) 2009-04-29
KR100974039B1 KR100974039B1 (ko) 2010-08-05

Family

ID=4076504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0605A KR100974038B1 (ko) 2007-10-24 2008-08-18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공기정화시스템 및 공기정화시스템제어방법
KR1020080080612A KR100974039B1 (ko) 2007-10-24 2008-08-18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 및 공기정화시스템 제어방법
KR1020080080614A KR100974040B1 (ko) 2007-10-24 2008-08-18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역사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0605A KR100974038B1 (ko) 2007-10-24 2008-08-18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공기정화시스템 및 공기정화시스템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0614A KR100974040B1 (ko) 2007-10-24 2008-08-18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역사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09740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038B1 (ko) * 2007-10-24 2010-08-0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공기정화시스템 및 공기정화시스템제어방법
KR101133737B1 (ko) * 2009-10-14 2012-04-09 한국기계연구원 터널의 환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386B1 (ko) * 2011-03-09 2012-05-03 한국기계연구원 지하철 터널 내부 공기질 정화장치
KR101232347B1 (ko) 2011-03-10 2013-02-12 한국기계연구원 공기분사를 이용한 터널의 환기 시스템
KR101328999B1 (ko) 2011-09-30 2013-11-1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지하역사의 승강장에 발생하는 압력파 차단장치
KR101364152B1 (ko) 2012-11-16 2014-02-18 (주)비엔텍아이엔씨 밀폐 차단 구조의 차단도어를 구비하여 지하 열차 승강장으로의 압력파 전달을 방지하는 압력파 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지하 역사 구조물
KR101455761B1 (ko) * 2013-04-12 2014-11-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후드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터널 미기압파 저감 시스템
KR101455757B1 (ko) * 2013-04-16 2014-11-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종방향으로 형성된 공기유입관을 갖는 후드 구조체
KR101445251B1 (ko) * 2013-10-21 2014-09-2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열차 진행 방향에 평행한 통풍관을 포함하는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
FR3046663B1 (fr) * 2016-01-11 2018-12-14 L'air Liquide, Societe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edes Georges Claude Procede de collecte des particules fines generees lors du freinage d’un train
KR102275424B1 (ko) * 2019-04-29 2021-07-13 주식회사 디에이피 미세먼지 관리 시스템
KR102230856B1 (ko) * 2019-11-01 2021-03-23 (주)한국필터시험원 지하철 승강장 공기정화시스템
KR102076852B1 (ko) 2019-11-11 2020-02-12 주식회사 지에스티 철도차량용 공기청정기
KR102253116B1 (ko) 2021-03-04 2021-05-18 케이씨코트렐 주식회사 지하철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에너지절약형 오존프리 전기 집진 및 환기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809B2 (ja) 1985-07-31 1994-03-09 大同特殊鋼株式会社 自動車トンネル用除塵フイルタ
JPH06221086A (ja) * 1993-01-28 1994-08-09 Mitsubishi Heavy Ind Ltd トンネル出口部における突風の緩和装置
KR100796018B1 (ko) * 2002-05-27 2008-01-21 박준희 삼칠을 이용한 골밀도 향상 치료물질을 제조하는 방법 및 골밀도 향상 치료물질
KR100414405B1 (ko) * 2003-05-30 2004-01-07 이상기 에프피디 제조공정중의 센터링 장비에 적용되는 유리판지지용 홀더
KR100529046B1 (ko) * 2003-10-09 2005-12-27 김종민 지하철 에어커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어커튼 형성방법
KR200372257Y1 (ko) 2004-10-22 2005-01-14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지하철 승강장의 공기정화장치
KR200391616Y1 (ko) 2005-05-11 2005-08-04 권혁봉 지하철 공기정화장치
KR100974038B1 (ko) * 2007-10-24 2010-08-0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공기정화시스템 및 공기정화시스템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038B1 (ko) * 2007-10-24 2010-08-0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공기정화시스템 및 공기정화시스템제어방법
KR101133737B1 (ko) * 2009-10-14 2012-04-09 한국기계연구원 터널의 환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146A (ko) 2009-04-29
KR20090042144A (ko) 2009-04-29
KR100974039B1 (ko) 2010-08-05
KR100974040B1 (ko) 2010-08-05
KR100974038B1 (ko) 201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4039B1 (ko)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 및 공기정화시스템 제어방법
RU2471074C2 (ru) Система вентиляции для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тоннелей
KR200427932Y1 (ko) 지하철역의 에어커튼 장치
KR101140386B1 (ko) 지하철 터널 내부 공기질 정화장치
CN108952798B (zh) 一种具有防排烟和人员应急疏散功能的铁路救援站
KR101088341B1 (ko) 터널의 양방향 환기.배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16574A (ko) 지하철 터널내 먼지 차단 장치 및 작동 방법
KR101387998B1 (ko) 지하철 터널 내부 미세먼지 저감장치
KR101046939B1 (ko) 지하철 공기 정화장치
JP7128251B2 (ja) 川又は海を貫く地下鉄における区間が長く且つ大きいトンネルの火災換気排煙装置及び方法
JP2010116734A (ja) 上下線連結型高速気流循環トンネル
JP3498526B2 (ja) 移動機器用採風装置
WO2010021425A1 (en) Air cleaning system using subway win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ir cleaning system
CN212716726U (zh) 隧道火灾烟气排烟系统
JP5951510B2 (ja) トンネル用換気装置
KR100656844B1 (ko) 승강장 스크린 도어의 가이드 장치
KR20130071293A (ko) 철도 지하정거장의 승강장 선로부 상부 슬라브를 활용한 능동형 여압 시스템
KR102246264B1 (ko) 지하철 차량의 에어콘에 연동되어 동작하는 집진장치
JP2015218972A (ja) 地下駅空調方法及び地下駅空調システム
KR101563922B1 (ko) 터널의 제연 방호벽
JP2655628B2 (ja) 地下鉄道の列車風緩和装置
CN112400047A (zh) 车站、尤其是隧道式车站以及过滤单元在车站中的使用
KR20140025805A (ko) 도시철도 본선터널의 수직환기구 풍도 내 가이드 베인 설치를 통한 압력 강하방지 및 유지 구조
KR101360307B1 (ko) 바이모달 트램 정거장용 분진 제거장치
KR20130023896A (ko) 객차 실내공기 정화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