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2405B1 - 열차풍을 이용한 승강장 배기장치 - Google Patents

열차풍을 이용한 승강장 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2405B1
KR101732405B1 KR1020150080114A KR20150080114A KR101732405B1 KR 101732405 B1 KR101732405 B1 KR 101732405B1 KR 1020150080114 A KR1020150080114 A KR 1020150080114A KR 20150080114 A KR20150080114 A KR 20150080114A KR 101732405 B1 KR101732405 B1 KR 101732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sd
platform
screen door
vane
l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3993A (ko
Inventor
권순박
정우태
박덕신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80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2405B1/ko
Publication of KR20160143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3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차풍을 이용한 승강장 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승강장스크린도어(PSD)의 선로측 상부면 상에 일정 간격으로 유선형의 베인을 설치하여 벤츄리관을 형성하되 벤츄리관에 승강장과 내통되는 배기구를 형성한 배기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열차풍을 통해 벤츄리관에 저압 상태를 형성하여 배기구를 통해 승강장 내부의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역사내 승강장과 선로를 고정벽과 열차 출입문의 연동을 통해 개폐시키는 출입문이 구성된 승강장스크린도어(PSD)를 이용한 배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승강장스크린도어(PSD)의 선로측 상부면과 이격 설치를 통해 사이에 벤츄리관이 형성되도록 전후 일정 간격으로 다수 설치되어지되 열차의 진출입시 발생되는 열차풍에 의해 벤츄리관에서 공기의 빠른 유속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압력이 낮아질 수 있도록 하는 유선형의 베인(Vane); 및 승강장스크린도어(PSD)의 선로측 상부면과 베인 각각의 벤츄리관 중심에 연통되도록 승강장스크린도어(PSD)의 선로측 상부면 상에 내외로 관통 형성되어지되 열차의 진출입시 열차풍에 의해 압력이 낮아지는 벤츄리관으로 승강장 내부의 공기가 배기되도록 하는 배기구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열차풍을 이용한 승강장 배기장치{Platform exhaust system with trains wind}
본 발명은 열차풍을 이용한 승강장 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역사내 승강장에 설치된 승강장스크린도어(PSD)의 선로측 상부면 상에 유선형의 베인을 통해 벤츄리관을 형성하여 열차의 진출입시 발생되는 열차풍에 의해 벤츄리관을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저압 상태가 된 벤츄리관으로 승강장 내부의 공기가 배기될 수 있도록 하는 열차풍을 이용한 승강장 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랜된 지하철 특히 단선으로 건설된 지하철 구간(1∼4호선)과 복선으로 건설된 지하철 구간(5∼8호선)의 승강장은 설계당시 실내 공간이 아닌 터널 공간으로 인식되어 대합실과는 달리 공급된 공기의 전체를 터널 선로부 인근의 하부로 모두 배기하는 전급기-전배기 방식으로 환기설비가 구축되어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전급기-전배기 환기방식은 냉방된 실내공기를 모두 외부로 배기시킴으로 인하여 냉방에 들어가는 에너지의 낭비가 불가피하고, 최근 설치 완료된 승강장스크린도어(PSD)로 인해 승강장으로 급기된 공기가 터널측 배기구로 배출될 수 없는 구조가 되어 승강장내 공기가 쉽게 치환되지 못하여 오염이 축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승강장의 상부 측에 설치되어 있는 급기설비와 병행하여 동일한 위치에 배기설비를 설치하는 방안도 고려될 수 있으나 건설당시부터 천장공간이 협소하며, 다양한 추가시설(통신, 전력 및 광고 등)의 지속적인 부설로 인하여 배기설비 설치를 위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승강장스크린도어(Platform Screen Door)는 승강장과 선로를 고정벽 및 열차 출입문과의 연동을 통해 개폐되는 출입문으로 구성되어 승객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열차풍에 의한 승강장 쾌적성 저하방지 및 발생열 침투를 방지하는 설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승강장에 승강장스크린도어(PSD)가 설치되면서 터널측에 위치한 선로 하부측으로의 배기기능이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승강장의 경우 급기만 도입되고 배기는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급배기의 불균형은 신선한 공기의 원활한 순환을 어렵게 하고, 오염물질이 축적될 수 있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0764호(2014.04.30.자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0071293호(2013.06.28.자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115502호(2011.10.21.자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49904호(2010.05.13.자 공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승강장스크린도어(PSD)의 선로측 상부면 상에 일정 간격으로 유선형의 베인을 설치하여 벤츄리관을 형성하되 벤츄리관에 승강장과 내통되는 배기구를 형성한 배기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열차풍을 통해 벤츄리관에 저압 상태를 형성하여 배기구를 통해 승강장 내부의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열차풍을 이용한 승강장 배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선로측 승강장스크린도어(PSD)의 상부면에 벤츄리관을 이용한 배기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열차의 진출입에 따른 열차풍을 통해 승강장 내부의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쾌적한 승강장의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또 다른 목적은 선로측 승강장스크린도어(PSD)의 상부면에 벤츄리관을 이용한 배기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열차의 진출입에 따른 열차풍을 통해 승강장 내부의 오염된 공기의 배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급배기의 균형에 따른 신선한 공기의 원활한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열차풍을 이용한 승강장 배기장치는 역사내 승강장과 선로를 고정벽과 열차 출입문의 연동을 통해 개폐시키는 출입문이 구성된 승강장스크린도어(PSD)를 이용한 배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승강장스크린도어(PSD)의 선로측 상부면과 이격 설치를 통해 사이에 벤츄리관이 형성되도록 전후 일정 간격으로 다수 설치되어지되 열차의 진출입시 발생되는 열차풍에 의해 벤츄리관에서 공기의 빠른 유속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압력이 낮아질 수 있도록 하는 유선형의 베인(Vane); 및 승강장스크린도어(PSD)의 선로측 상부면과 베인 각각의 벤츄리관 중심에 연통되도록 승강장스크린도어(PSD)의 선로측 상부면 상에 내외로 관통 형성되어지되 열차의 진출입시 열차풍에 의해 압력이 낮아지는 벤츄리관으로 승강장 내부의 공기가 배기되도록 하는 배기구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베인은 승강장스크린도어(PSD)의 선로측 상부면 상에 설치되는 지지 브라켓을 통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베인은 열차의 진입측과 열차의 진출측 각각의 승강장스크린도어(PSD) 선로측 상부면 상에 다수가 일정 간격으로 그룹으로 이루어진 형태로 설치됨이 보다 양호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베인은 승강장스크린도어(PSD)의 출입문 양측의 선로측 상부면 상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배기구 각각의 승강장측 입구에는 열차풍에 의한 벤츄리관의 저압에 따른 배기시에는 탄성 절곡되어 배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배기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복원되어 선로측 공기가 승강장 내부로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댐퍼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는 베인(Vane) 각각에 대응하여 승강장스크린도어(PSD)의 선로측 상부면 상에 동일한 유선 형태로 이루어진 반원 형태의 하프 베인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승강장스크린도어(PSD)의 선로측 상부면 상에 유선형의 베인을 통해 벤츄리관을 형성하되 벤츄리관에 승강장과 내통되는 배기구를 형성한 배기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열차의 진출입시 발생되는 열차풍을 통해 승강장 내부의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선로측 승강장스크린도어(PSD)의 상부면에 벤츄리관을 이용한 배기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열차의 진출입에 따른 열차풍을 통해 승강장 내부의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쾌적한 승강장의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발현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선로측 승강장스크린도어(PSD)의 상부면에 벤츄리관을 이용한 배기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승강장스크린도어(PSD)에 적절한 배기기능을 추가하여 승강장의 원활한 공기순환을 유도할 수 있다는 효과가 발현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풍을 이용한 승강장 배기장치가 설치된 승강장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풍을 이용한 승강장 배기장치가 설치된 승강장스크린도어(PSD)를 선로측에서 보인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풍을 이용한 승강장 배기장치를 보인 평단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풍을 이용한 승강장 배기장치를 보인 측단면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풍을 이용한 승강장 배기장치의 구성에서 배기구의 승강장측 댐퍼구조를 보인 평단면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풍을 이용한 승강장 배기장치의 다른 예를 보인 평단면 구성도.
도 7 은 도 6 의 다른 예에 따른 열차풍을 이용한 승강장 배기장치의 측단면 구성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차풍을 이용한 승강장 배기장치의 양호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풍을 이용한 승강장 배기장치가 설치된 승강장을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풍을 이용한 승강장 배기장치가 설치된 승강장스크린도어(PSD)를 선로측에서 보인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풍을 이용한 승강장 배기장치를 보인 평단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풍을 이용한 승강장 배기장치를 보인 측단면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풍을 이용한 승강장 배기장치의 구성에서 배기구의 승강장측 댐퍼구조를 보인 평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차풍을 이용한 승강장 배기장치(100)는 승강장스크린도어(PSD : 10)의 선로측 상부면과 이격 설치를 통해 사이에 벤츄리관(112)이 형성되도록 전후 일정 간격으로 다수 설치되어지되 열차의 진출입시 발생되는 열차풍에 의해 벤츄리관(112)에서 공기의 빠른 유속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압력이 낮아질 수 있도록 하는 유선형의 베인(Vane : 110) 및 승강장스크린도어(PSD : 10)의 선로측 상부면과 베인(110) 각각의 벤츄리관(112) 중심에 연통되도록 승강장스크린도어(PSD : 10)의 선로측 상부면 상에 내외로 관통 형성되어지되 열차의 진출입시 열차풍에 의해 압력이 낮아지는 벤츄리관(112)으로 승강장 내부의 공기가 배기되도록 하는 배기구(12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풍을 이용한 승강장 배기장치(100)는 승강장스크린도어(PSD : 10)의 선로측 상부면과의 사이에 벤츄린관(112)이 형성되도록 유선형의 베인(110)을 일정 간격으로 다수 설치되고, 베인(110)에 의해 형성되는 벤츄리관(112) 각각의 중심에 연통되도록 승강장스크린도어(PSD : 10)의 선로측 상부면 상에 내외로 배기구(120)가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장스크린도어(PSD : 10)의 선로측 상부면에 유선형의 베인(110)이 설치됨으로써 열차의 진출입시 발생되는 열차풍이 열차의 진행방향에 위치한 승강장스크린도어(PSD : 10)의 선로측 상부면과 베인(110) 사이의 벤츄리관(112)의 입구측으로 유입되어 중심부의 좁은 간격을 통과하게 되면 공기의 유속이 빨라져 기압이 낮아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벤츄리관(112) 중심의 가장 좁은 간격을 통과하는 공기의 빠른 유속에 의해 기압이 낮아지게 되면 벤츄리관(112)의 중심에 연통되는 배기구(120)를 통해 승강장 내부의 공기가 빨려 들어오게 되어 승강장 내부의 배기가 선로측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기압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른다는 원리를 이용한 기술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승강장스크린도어(PSD : 10)를 설치함으로써 발생된 문제점을 승강장스크린도어(PSD : 10)를 활용하여 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승강장스크린도어(PSD : 10)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열차의 운행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차풍은 승강장스크린도어(PSD : 10)의 외벽(선로측 벽면)에 열차 진입시 최대 5kgf/m3의 풍압을 발생시키며, 열차가 통과한 후에는 음의 풍압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열차풍에 의한 압력에 따라 공기의 흐름은 승강장스크린도어(PSD : 10) 외벽 주변에 빠른 공기유동을 발생시키고,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경우(베루누이 효과) 승강장의 공기를 열차풍이 발생할 경우 선로측으로 배기시킬 수가 있다. 이때, 승강장의 구조(섬식, 상대식)와 교행 등 상이한 열차운행 조건에 따라 승강장스크린도어(PSD : 10) 외벽 주변의 공기유동은 다양한 방향으로 일어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유선형 베인(110)과 대칭적 반원 형상의 하프 베인(112)은 이러한 공기흐름에 모두 대응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차풍을 이용한 승강장 배기장치(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베인(110)은 승강장스크린도어(PSD : 10) 선로측 상부면과의 사이에 벤츄린관이 형성되도록 하여 열차풍의 발생시 벤츄리관 중심의 기압이 낮아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베인(110)은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승강장스크린도어(PSD : 10)의 선로측 상부면과의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승강장스크린도어(PSD : 10)의 선로측 상부면과의 사이에 벤츄리관(112)에 형성되되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타원형 형태의 유선형으로 이루어진 베인(110)과 승강장스크린도어(PSD : 10)의 선로측 상부면 사이에 형성되는 벤츄리관(112)은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장스크린도어(PSD : 10) 상부면측이 평면이 형태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베인(110)은 타원형 형태의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장지름 방향이 승강장스크린도어(PSD : 10)의 선로측 상부면과 나란히 위치될 수 있도록 배열된다. 이처럼 설치된 베인(110)과 승강장스크린도어(PSD : 10)의 선로측 상부면 사이에는 입구와 출구는 넓고 중심부는 좁은 형태의 벤츄리관(112)이 형성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역사내 선로에 열차의 진출입시 열차풍이 발생하게 되면 발생된 열차풍은 베인(110)과 선로측 승강장스크린도어(PSD : 10) 상부면 사이의 벤츄리관(112)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벤츄리관(112)의 입구가 넓기 때문에 다량의 열차풍이 벤츄리관(112)의 입구로 유입되어 중심부의 좁은 관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속이 빨라지게 되면서 벤츄리관(112)의 중심은 기압이 낮아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벤츄리관(112) 중심의 기압이 낮아지게 되면 벤츄리관(112)의 중심에 연통되는 승강장스크린도어(PSD : 10) 상부면의 배기구(120)를 통해 승강장 내부의 대기가 기압이 낮은 벤츄리관(112) 중심으로 흡입력에 의해 빨려 들어가 결국에는 벤츄리관(112)의 출구를 통해 선로측으로 배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처럼 열차풍이 발생함에 따라 벤츄리관(112)을 통해 승강장의 대기가 선로측으로 배기되면서 승강장의 환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인(110)을 승강장스크린도어(PSD : 10) 상부면에 설치하는 이유는 승강장스크린도어(PSD : 10)의 상부면이 출입문(12)을 개폐시키기 위한 설비들이 없어 배기구(120)를 형성하기 양호하기 때문이다. 보다 양호하게는 승강장스크린도어(PSD : 10)의 출입문(12)을 여는 경우 출입문이 들어가게 되는 부분의 상부측에 베인(110)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즉, 아울러, 베인(110)은 승강장스크린도어(PSD : 10)의 출입문(12) 양측의 선로측 상부면 상에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장스크린도어(PSD : 10)의 출입문(12) 양측의 선로측 상부면 상에 설치되는 베인(110)의 좌우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설치되고, 베인(110) 각각에 대응하여 승강장스크린도어(PSD : 10) 상부면 상에 배기구(120)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베인(110)은 열차의 진입측과 열차의 진출측 각각의 승강장스크린도어(PSD : 10) 선로측 상부면 상에 다수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됨이 보다 양호하다. 즉, 역사내 선로의 진입측 승강장스크린도어(PSD : 10) 상부면과 진출측 승강장스크린도어(PSD : 10) 상부면에 그룹으로 베인(110)을 설치하게 되면 열차의 후단 차량이 지나갈 때까지 열차풍의 발생하므로 승강장의 환기를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열차의 진입측과 열차의 진출측 각각의 승강장스크린도어(PSD : 10) 선로측 상부면 상에 다수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베인(110) 각각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장스크린도어(PSD : 10)의 선로측 상부면 상에 설치되는 지지 브라켓(130))을 통해 설치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지지 브라켓(130)은 베인(110)과 승강장스크린도어(PSD : 10)의 선로측 상부면 사이에 형성되는 벤튜리관(112)의 상·하부가 폐쇄되도록 하여 벤츄리관(112)을 통과하는 열차풍이 상하로의 유동을 방지하여 열차의 진행 방향으로만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배기구(120)는 열차풍의 발생시 승강장의 대기가 벤츄리관(110)을 통해 선로측으로 배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배기구(120)는 도 2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장스크린도어(PSD : 10)의 선로측 상부면과 베인(110) 각각의 벤츄리관(112) 중심에 연통되도록 승강장스크린도어(PSD : 10)의 선로측 상부면 상에 내외로 관통 형성되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강장스크린도어(PSD : 10)의 선로측 상부면과 베인(110) 각각의 벤츄리관(112) 중심에 연통되도록 승강장스크린도어(PSD : 10)의 선로측 상부면 상에 내외로 관통 형성되는 배기구(120)는 승강장으로 열차의 진출입시 열차풍에 의해 압력이 낮아지는 벤츄리관(112)의 흡입력에 의해 승강장 내부의 대기가 배기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는 배기구(120) 각각의 승강장측 입구에 열차풍에 의한 벤츄리관(112)의 저압에 따른 배기시 탄성 절곡되어 배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배기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복원되어 선로측 공기가 승강장 내부로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댐퍼(140)가 더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댐퍼(140)는 벤츄리관(112) 내주의 저압에 따른 흡입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흡입력에 의해 유연하게 탄성 절곡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흡입력이 제거되는 경우에는 복원이 될 수 있는 고무패드 재질로 이루어진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풍을 이용한 승강장 배기장치의 다른 예를 보인 평단면 구성도, 도 7 은 도 6 의 다른 예에 따른 열차풍을 이용한 승강장 배기장치의 측단면 구성도이다.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차의 진출입에 따른 열차풍의 발생시 벤츄리관(112)으로 공기의 유동을 보다 더 양호하게 하기 위해 베인(110) 각각에 대응하는 승강장스크린도어(PSD : 10)의 선로측 상부면에 베인(110)과 대칭적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하프 베인(110a)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하프 베인(110a)의 중심에는 배기구(120)와 일치되는 배기홈(112a)가 형성됨은 물론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인(110) 각각에 대응하는 승강장스크린도어(PSD : 10)의 선로측 상부면에 베인(110)과 대칭적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하프 베인(110a)을 설치함으로써 베인(110)과 하프 베인(110a) 사이에 형성되는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인 구조로 형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승강장스크린도어(PSD : 10)의 선로측 상부면 상에 일정 간격으로 유선형의 베인(110)을 설치하여 벤츄리관(112)을 형성하되 벤츄리관(112)에 승강장과 내통되는 배기구(120)를 형성한 배기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열차풍을 통해 벤츄리관(112)에 저압 상태를 형성하여 배기구(120)를 통해 승강장 내부의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발명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이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배기장치
110. 베인
110a. 하프 베인
112. 벤츄리관
120. 배기구
130. 지지브라켓
140. 댐퍼

Claims (6)

  1. 역사내 승강장과 선로를 고정벽과 열차 출입문의 연동을 통해 개폐시키는 출입문이 구성된 승강장스크린도어(PSD)를 이용한 배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스크린도어(PSD)의 선로측 상부면과 이격 설치를 통해 사이에 벤츄리관이 형성되도록 전후 일정 간격으로 다수 설치되어지되 열차의 진출입시 발생되는 열차풍에 의해 상기 벤츄리관에서 공기의 빠른 유속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압력이 낮아질 수 있도록 하고, 타원형 형상의 유선형 단면적을 가지는 유선형의 베인(Vane);
    상기 승강장스크린도어(PSD)의 선로측 상부면과 베인 각각의 상기 벤츄리관 중심에 연통되도록 상기 승강장스크린도어(PSD)의 선로측 상부면 상에 내외로 관통 형성되어지되 열차의 진출입시 열차풍에 의해 압력이 낮아지는 벤츄리관으로 상기 승강장 내부의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구;
    상기 베인과 상기 승강장스크린도어(PSD)의 선로측 상부면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벤츄리관의 상하부가 폐쇄되도록 하여 상기 벤츄리관을 통과하는 열차풍이 상하로의 유동을 방지하는 지지 브라켓; 및
    상기 배기구 각각의 승강장 측 입구에는 열차풍에 의한 상기 벤츄리관의 저압에 따른 배기시에는 탄성 절곡되어 배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배기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복원되어 선로측 공기가 승강장 내부로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댐퍼를 포함하는 열차풍을 이용한 승강장 배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은 열차의 진입측과 열차의 진출측 각각의 상기 승강장스크린도어(PSD) 선로측 상부면 상에 다수가 일정 간격으로 그룹으로 이루어진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풍을 이용한 승강장 배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은 상기 승강장스크린도어(PSD)의 출입문 양측의 선로측 상부면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풍을 이용한 승강장 배기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Vane)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승강장스크린도어(PSD)의 선로측 상부면 상에 동일한 유선 형태로 이루어진 반원 형태의 하프 베인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풍을 이용한 승강장 배기장치.
KR1020150080114A 2015-06-05 2015-06-05 열차풍을 이용한 승강장 배기장치 KR101732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114A KR101732405B1 (ko) 2015-06-05 2015-06-05 열차풍을 이용한 승강장 배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114A KR101732405B1 (ko) 2015-06-05 2015-06-05 열차풍을 이용한 승강장 배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993A KR20160143993A (ko) 2016-12-15
KR101732405B1 true KR101732405B1 (ko) 2017-05-10

Family

ID=57572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114A KR101732405B1 (ko) 2015-06-05 2015-06-05 열차풍을 이용한 승강장 배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24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95607A (zh) * 2020-08-06 2020-11-06 江苏易诺威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地铁的气候管理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24329B (zh) * 2020-10-28 2024-04-26 湖北科技学院 一种安全性高的列车站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9916A (ja) * 2000-09-19 2002-03-27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KR101317441B1 (ko) * 2013-04-25 2013-10-10 주식회사 그렉스전자 환기용 댐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9904A (ko) 2008-11-04 2010-05-13 주식회사 벤토피아 지하철 통합 환기장치
KR101139061B1 (ko) 2010-04-15 2012-04-30 (주)한미글로벌건축사사무소 지하철 차량의 주행풍을 이용한 풍력발전장치
KR101328749B1 (ko) 2011-12-20 2013-11-11 (주)비엔텍아이엔씨 철도 지하정거장의 승강장 선로부 상부 슬라브를 활용한 능동형 여압 시스템
KR101390764B1 (ko) 2012-11-16 2014-04-30 (주)비엔텍아이엔씨 철도 지하 정거장의 능동형여압시스템을 위한 다중 급배기 기능의 환기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9916A (ja) * 2000-09-19 2002-03-27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KR101317441B1 (ko) * 2013-04-25 2013-10-10 주식회사 그렉스전자 환기용 댐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95607A (zh) * 2020-08-06 2020-11-06 江苏易诺威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地铁的气候管理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993A (ko) 2016-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4039B1 (ko)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 및 공기정화시스템 제어방법
KR101140386B1 (ko) 지하철 터널 내부 공기질 정화장치
CN205154221U (zh) 轨道交通屏蔽门制式的隧道通风系统
KR101732405B1 (ko) 열차풍을 이용한 승강장 배기장치
PT2239177T (pt) Método para o funcionamento de um veículo de caminho de ferro em caso de incêndio e veículo de caminho de ferro para isso construído
JP7128251B2 (ja) 川又は海を貫く地下鉄における区間が長く且つ大きいトンネルの火災換気排煙装置及び方法
CN214396748U (zh) 具有空调系统的交通工具
CN108035759A (zh) 一种地铁区间隧道火灾通风排烟系统及方法
JP3498526B2 (ja) 移動機器用採風装置
CN114183867A (zh) 一种地铁地下车站站台的空调通风系统
CN103419799A (zh) 机车通风导流罩
RU2556558C1 (ru) Способ вентиляции метрополитена
KR101328749B1 (ko) 철도 지하정거장의 승강장 선로부 상부 슬라브를 활용한 능동형 여압 시스템
CN103318208A (zh) 铁路客车车顶防水进风结构
CN206889008U (zh) 一种用于非全封闭站台门系统地铁车站的喷嘴送风系统
JP2015218972A (ja) 地下駅空調方法及び地下駅空調システム
CN207437115U (zh) 一种地铁区间隧道火灾通风排烟系统
JP2012106589A (ja) 鉄道車両用空調装置
CN203925559U (zh) 超长地铁区间通风排烟结构
CN107387146B (zh) 地铁车站轨行区自然排烟、排热兼隧道通风系统及方法
JP2011162085A (ja) 空調システム及び空調システムを搭載する車両
KR101390764B1 (ko) 철도 지하 정거장의 능동형여압시스템을 위한 다중 급배기 기능의 환기소
JP2018002418A (ja) エレベーターの乗りかご
KR20140025805A (ko) 도시철도 본선터널의 수직환기구 풍도 내 가이드 베인 설치를 통한 압력 강하방지 및 유지 구조
RU2016122506A (ru) Энергоактивный городской метрополитен с нулевым потреблением тепловой энергии от внешних источник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