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8749B1 - 철도 지하정거장의 승강장 선로부 상부 슬라브를 활용한 능동형 여압 시스템 - Google Patents

철도 지하정거장의 승강장 선로부 상부 슬라브를 활용한 능동형 여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8749B1
KR101328749B1 KR20110138704A KR20110138704A KR101328749B1 KR 101328749 B1 KR101328749 B1 KR 101328749B1 KR 20110138704 A KR20110138704 A KR 20110138704A KR 20110138704 A KR20110138704 A KR 20110138704A KR 101328749 B1 KR101328749 B1 KR 101328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train
platform
slow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138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1293A (ko
Inventor
김동현
이호석
Original Assignee
(주)비엔텍아이엔씨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엔텍아이엔씨,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주)비엔텍아이엔씨
Priority to KR20110138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749B1/ko
Priority to PCT/KR2012/004333 priority patent/WO2013094829A1/ko
Priority to US14/366,817 priority patent/US9421983B2/en
Publication of KR20130071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1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00Construction of station or like platforms or refuge islands or like islands in traffic areas, e.g. intersection or filling-station islands; Kerbs specially adapted for islands in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00Ventilation of mines or tunnels; Distribution of ventilating curr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 지하정거장의 승강장 선로부 상부 슬라브를 활용한 능동형 여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철도 지하정거장의 정거장 내의 급행열차와 완행열차가 통과하는 선로부를 격벽으로 급행열차 주행공간과 완행열차 주행공간을 구분하고, 상기 정거장 상부 슬라브에는 급행열차 주행공간과 완행열차 주행공간과 각각 연통되는 제1 및 제2 기류유출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기류유출입공간의 전단에는 제1포트 및 제1댐퍼가 구비되고 후단에는 제2포트 및 제2댐퍼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기류유출입공간에는 완행열차 주행공간의 배기를 위한 제3포트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기류유출입공간에는 급행열차 주행공간의 배기를 위한 제4포트가 구비되어, 상기 급행열차의 주행시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 받은 제어반은 완행열차가 대기하지 않은 완행열차 주행공간 상부의 제1 및 제2포트는 닫고 제1 및 제2댐퍼는 개방하고 제3포트는 개방하며, 상기 급행열차 주행공간 상부의 제4포트를 개방하며, 완행열차가 대기하는 완행열차 주행공간 상부의 제1 및 제2포트는 개방하고 제1 및 제2댐퍼는 닫아주고 급배기팬을 구동시켜 완행열차가 대기하는 완행열차 주행공간으로 급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급행열차가 통과하는 급행열차 주행공간과 완행열차가 정차하거나 통과하는 완행열차 주행공간을 구비하여 능동적으로 급배기를 조절하여 대기하는 승객의 이명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철도 지하정거장의 승강장 선로부 상부 슬라브를 활용한 능동형 여압 시스템 {Active type residual pressure system for subway flatform}
본 발명은 철도 지하정거장의 승강장 선로부 상부 슬라브를 활용한 능동형 여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지하정거장에서 대기승객의 이명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완행열차가 대기시 지하정거장을 통과하는 급행열차에 의해서 발생되는 공기압을 저감하고 화재발생시에는 정거장의 연기 배출을 원활히 하여 승객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 지하정거장의 승강장 선로부 상부 슬라브를 활용한 능동형 여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에서 건설이 완공되었거나 개통되어 운행중인 지하철도의 지하역사 중에는 주요 환승역만을 직통으로 연결하는 급행열차(예를 들어 서울지하철 9호선, 인천공항철도)가 운행중에 있으며 급행열차가 운행하기 위해서 4선2홈 형태의 지하정거장이 계획되어 있다.
그런데, 현재 운행 중인 지하철도에서 급행열차의 통과속도는 100km/h 이하임에도 불구하고 승강장 내의 공기압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보고되고 있으며, 장래 고속화 열차가 운행하는 지하정거장에서는 승객 대기 공간의 공기압 문제가 대두될 수 있다.
한편, 홍콩의 경우 대기승객의 이명감 기준을 △P = 700Pa로 제시하고 있으며, 급행열차가 통과하는 지하역사에 대해서는 수직갱과 환기갱수의 증가와 터널갱구 등의 구조적인 방법을 통하여 대기승객의 이명감 문제를 해결하였으나 이와 같은 구조적인 방법의 경우 지하역사의 건설비용을 상당히 증가시키게 되는 문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급행열차가 통과시 완행열차가 대기할 수 있는 지하역사에서 급행열차 통과시 발생되는 공기압을 저감하여 대기하는 승객의 이명감(ear-discomfort) 문제를 해결하고, 지하정거장 내에서 열차 화재시 정거장의 연기를 원활히 배출하여 대피하는 승객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철도 지하정거장의 승강장 선로부 상부 슬라브를 활용한 능동형 여압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철도 지하정거장의 정거장 내의 급행열차와 완행열차가 통과하는 선로부를 격벽으로 급행열차 주행공간과 완행열차 주행공간을 구분하고, 상기 정거장 상부 슬라브에는 급행열차 주행공간과 완행열차 주행공간과 각각 연통되는 제1 및 제2 기류유출입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지하정거장의 승강장 선로부 상부 슬라브를 활용한 능동형 여압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2 기류유출입공간의 전단에는 제1포트 및 제1댐퍼가 구비되고 후단에는 제2포트 및 제2댐퍼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기류유출입공간에는 완행열차 주행공간의 배기를 위한 제3포트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기류유출입공간에는 급행열차 주행공간의 배기를 위한 제4포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급행열차의 주행시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 받은 제어반은 완행열차가 대기하지 않은 완행열차 주행공간 상부의 제1 및 제2포트는 닫고 제1 및 제2댐퍼는 개방하고 제3포트는 개방하며, 상기 급행열차 주행공간 상부의 제4포트를 개방하며, 완행열차가 대기하는 완행열차 주행공간 상부의 제1 및 제2포트는 개방하고 제1 및 제2댐퍼는 닫아주고 급배기팬을 구동시켜 완행열차가 대기하는 완행열차 주행공간으로 급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기류유출입공간은 급행열차와 완행열차가 운행되는 지하정거장 상부에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급배기팬은 상기 지하정거장과 인접한 환기소 내에 설치된 환기용 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압력센서는 지하정거장과 연결되는 본선부에서 3km 이상 이격된 지점부터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압력센서는 인접한 구간에 지하정거장이 있으면 지하정거장에 진입 및 진출하는 본선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하정거장 내에는 화재감지를 위한 화재감지기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반은 상기 화재감지기에서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급행열차 주행공간과 완행열차 주행공간에서 배연을 위해 상기 제3 또는 제4포트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화재감지기는 열감지센서, 가스감지센서, 열화상 카메라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급행열차가 통과하는 급행열차 주행공간과 완행열차가 정차하거나 통과하는 완행열차 주행공간을 구비하여 능동적으로 급배기를 조절하여 대기하는 승객의 이명감 문제를 해결하고, 지하정거장 내에서 열차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정거장의 연기를 원활히 배출시켜 대피하는 승객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지하정거장의 승강장 선로부 상부 슬라브를 활용한 능동형 여압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철도 지하정거장의 승강장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지하정거장의 승강장 선로부 상부 슬라브를 활용한 능동형 여압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철도 지하정거장의 승강장의 상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지하정거장의 승강장 선로부 상부 슬라브를 활용한 능동형 여압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압력센서 설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지하정거장의 승강장 선로부 상부 슬라브를 활용한 능동형 여압 시스템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5는 열차가 고속으로 진입 및 통과시에 발생하는 압축파 및 팽창파의 거동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지하정거장의 승강장 선로부 상부 슬라브를 활용한 능동형 여압 시스템(APS)의 유무에 따른 이명감에 대한 CFD 분석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지하정거장의 승강장 선로부 상부 슬라브를 활용한 능동형 여압 시스템(APS)의 유무에 따른 화재시 배연성능에 대한 CFD 분석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지하정거장의 승강장 선로부 상부 슬라브를 활용한 능동형 여압 시스템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철도 지하정거장(1)의 승강장의 승강장 선로부 상부 슬라브를 활용한 능동형 여압 시스템은 정거장 선로의 상부 슬라브를 이용하여 각 선로별로 압력을 능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급기 또는 배기가 가능한 공간(여압존)을 구성하며 급기 또는 배기를 통해 능동적으로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인접한 환기소(2)에 계획된 환기용 팬을 활용하거나 또는 여압용으로 팬을 설치하여 정거장 상부 슬라브에 계획된 포트를 통해 급기 또는 배기를 하여 정거장 내에서 발생되는 압력파를 저감 및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인접 본선부(3)에 설치된 압력센서(100)에 의해 압력파의 전파가 감지되면 급행열차(10)가 통과하는 지하정거장(1)의 급행열차 주행공간(110) 상부에 구비되는 포트를 통하여 배기하여 본선부에서 전파되는 압력파의 크기를 감소시키며, 완행열차(20)가 통과하는 완행열차 주행공간(120)으로 급기하여 전파되는 압력파를 차단 및 저감하여 지하정거장(1)에 대기하는 승객의 이명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지하정거장(1) 상부에 화재감지기(102)를 설치하고 이를 통한 화재위치를 감지하여, 감지된 화재위치에 해당하는 상부 포트를 개방하여 배연함으로써 연기의 확산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급행과 완행이 구분되는 4선 2홈 정거장내 급행열차(10)가 통과하는 급행열차 주행공간(110)과, 완행열차(20)가 통과하는 완행열차 주행공간(120)을 각각의 여압 구역으로 구분할 수 있도록 공간분할용 격벽(119)을 선로부에 설치한다.
상기 공간분할용 격벽(119)에 의해 급행열차 주행공간(110)과 완행열차 주행공간(120)을 구분하여 상부의 능동형 여압 시스템(APS; Active Pressurization System)에 의한 선로부의 여압존을 구성한다.
이와 같은 선로부의 상부에는 여압을 위해 급행열차 주행공간(110)과 완행열차 주행공간(120)으로의 급기 또는 배기를 위해 정거장 상부 슬라브에는 급행열차 주행공간(110)과 완행열차 주행공간(120)과 각각 연통되는 제1 및 제2 기류유출입공간(112,122)이 형성된다.
상기 급행열차 주행공간(110)과 완행열차 주행공간(120)으로의 급기 또는 배기를 위한 제1 및 제2 기류유출입공간(112,122)의 공간적 규모는 급행열차(10)와 완행열차(20)가 운행되는 정거장 상부에만 구비되며 정거장 특성에 따라 높이를 계획할수 있으나 최소 1m이상의 높이를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기류유출입공간(112,122)으로의 급기 또는 배기를 위해 급배기팬(104)이 구비되는데, 이는 지하정거장(1)과 인접한 환기소(2) 내에 설치된 환기용 팬(Fan)을 활용하거나, 또는 정거장 압력경감을 위해 별도의 팬(Fan)을 설치하며, 팬(Fan)의 수는 정거장내 선로특성(예를 들면, 급행열차, 완행열차의 수와 배치)에 따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지하정거장(1) 상부 슬라브의 제1 및 제2 기류유출입공간(112,122)과 인접한 환기소(2)를 연결하며 연결방법은 지하정거장(1) 내 여압구역 계획특성에 따라 구성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능동적 여압시스템(APS)을 위해 터널 내 열차통과시 발생되는 압력파를 측정할수 있는 압력센서(10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압력센서(100)는 열차속도와 인접 지하정거장의 유무에 따라 그 설치 위치를 선정할 수 있으나, 본선부(3)에서는 적어도 3km 이상 이격된 지점부터 등 간격으로 설치한다. 아울러, 인접한 구간에 지하정거장(1')이 있는 경우에는 지하정거장(1')에도 센서를 설치하며 지하정거장(1')의 진입 및 진출하는 본선부에 설치한다.
한편, 지하정거장 내에는 화재감지를 위한 화재감지기(102)가 구비되어 화재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화재감지기(102)는 열감지센서, 가스감지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열차내 화재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열화상 카메라 등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정거장 내 여압을 위해 상부 슬라브의 제2 기류유출입공간(122)의 전단에는 제1포트(130) 및 제1댐퍼(132)가 구비되고, 후단에는 제2포트(131) 및 제2댐퍼(133)가 구비되며, 상기 제2 기류유출입공간(122)에는 완행열차 주행공간(120)의 배기를 위한 제3포트(135)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기류유출입공간(112)에는 급행열차 주행공간(110)의 배기를 위한 제4포트(13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4포트(130,131,135,136)와 제1 및 제2댐퍼(132,133)는 제어반(106)에 의해 개폐가 제어된다. 물론, 상기 제어반(106)은 압력센서(100)와 화재감지기(102)를 통한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4포트(130,131,135,136)와 제1 및 제2댐퍼(132,133)의 개폐 및 급배기팬(104)을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이 경우 완행열차 주행공간(120)의 경우 압력파 차단용 제1포트(130)는 본선부의 압력센서(100)가 감지한 압력파의 크기에 따라 비례하여 압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1포트(130)의 개구율을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APS는 평상시와 화재시로 구분되어 그 작동개념이 상이하며 조건에 따라 달리 제어한다.
즉, 평상시에는 급행열차(10)가 고속으로 터널 진입시 급행열차(10)의 선두부에 의한 피스톤 현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파가 발생하며 기체상태의 압축파는 단열적으로 변화되는 특성을 나타나게 된다.
또한, 터널진입시 발생하는 압축파는 터널과 열차의 기하구조 특성, 열차속도에 의해 그 크기가 결정되며 열차 진입시 형성된 압축파는 음속의 특성으로 터널을 따라 전파되며 터널의 출구부나 기하구조의 변화, 터널 내 환기소(2)에 의해서 팽창파의 형태로 바뀌게 되며 이러한 압축파와 팽창파는 터널 내부를 반복적으로 이동하게 되어, 이명감을 야기시키게 된다.
따라서, 평상시 이명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압력센서(100)에 의해 압력파 확산이 감지되면, 제어반(106)은 완행열차(20)가 대기하지 않은 완행열차 주행공간(120)의 선로 상부에 위치하는 제2 기류유출입공간(122)의 양끝단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포트(130,131)는 닫고 제1 및 제2댐퍼(132,133)는 개방하고 제3포트(135)는 개방하여 완행열차(20) 대기하지 않는 완행열차 주행공간(120)의 배기를 통한 압력파를 경감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반(106)은 급행열차(10)가 주행하는 급행열차 주행공간(110) 상부의 제4포트(136)를 개방하여 급행열차 주행공간(110)의 배기를 통한 압력파를 경감한다.
이때, 상기 제4포트(136)는 압력파 저감용 포트로서 그 제4포트(136)의 개방을 통해 급행열차 주행공간(110)의 압력을 경감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반(106)은 완행열차(20)가 대기하는 완행열차 주행공간(120)의 선로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포트(130,131)는 개방하고 제1 및 제2댐퍼(132,133)는 닫아주고 급배기팬(104)의 구동으로 인해 완행열차(20)가 대기하는 완행열차 주행공간(120)으로 급기함으로써 급행열차(10)의 주행으로 인한 압력파가 완행열차(20)가 대기하는 완행열차 주행공간(120)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한다.
한편, 화재 발생시에는 정거장 내에 설치되는 화재감지기(102)의 감지신호가 제어반으로 입력되는데, 다수의 화재감지기(102)가 정거장 내에 설치되는 경우 화재 확산으로 인한 화재발생 위치를 판별함으로써 화재발생지점 상부의 제3 또는 제4포트(135,136)의 개방을 통해 배연시키게 된다.
물론, 급행열차 주행공간(110)에서 화재가 발생시에는 완행열차 주행공간(12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또는 제2포트(130,131)를 개방하고 급배기팬(104)의 구동을 제어하여 완행열차 주행공간(120)에 급기함으로써 가압구역을 형성하여 완행열차 주행공간(120)에 머무르는 승객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능동형 여압시스템(APS)을 지하정거장에 설치하고 이를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 분석을 통해 이명감을 분석한 결과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는 급행열차(10)의 주행속도는 250km/h로 적용하여 본선부의 압력파를 1500Pa를 형성하고, 완행열차 주행공간(120)의 급기용 제1 및 제2포트(130,131)의 경우 470Pa의 압력을 유지하고, 본선부와 접속된 환기소(2)의 경우 압력파의 거동에 영향을 방지하기 위해 적용하지 않으며, 완행열차(20)가 대기하는 조건을 적용하며 완행열차(20) 대기시 스크린도어(PSD: Platform Screen Door)(108)의 개방(Open)조건에 의해 완행열차 주행공간(120)에서 형성된 압력파가 승강장부로 확산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분석한 것으로, CFD 분석결과 홍콩의 대기승객의 이명감 기준 700Pa를 적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APS 시스템은 적용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 분석을 통해 화재시 배연성능을 분석한 결과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는 화재가 발생한 열차는 급행열차(10)로 적용하며 지하정거장 내에 정차하는 경우를 조건으로 하며, 화재규모는 15MW, 화재는 열차 중앙부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적용하고, 배연 성능 분석을 위해 호흡선상의 가시도 저감도를 분석하여 피난한계조건인 가시도 10m이하로 저감되는 시간을 비교검토한 것으로, CFD 분석결과 지하정거장 본선부 호흡선에서의 가시도를 분석한 결과 Case-1의 경우 약 725초에서 가시도가 10m이하의 분포를 나타냈지만, Case-2의 경우는 1020초 이상의 시간의 경과에도 가시도 10m이하의 분포는 나타나지 않아, 본 발명의 APS 시스템을 적용하는 경우 화재시 연기확산을 방지하여 피난자의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1: 지하정거장 2: 환기소
3: 본선부 10: 급행열차
20: 완행열차 100: 압력센서
102: 화재감지기 104: 급배기팬
106: 제어반 110: 급행열차 주행공간
112: 제1 기류유출입공간 119: 격벽
120: 완행열차 주행공간 122: 제2 기류유출입공간
130: 제1포트 131: 제2포트
132: 제1댐퍼 133: 제2댐퍼
135: 제3포트 136: 제4포트

Claims (9)

  1. 철도 지하정거장의 정거장 내의 급행열차와 완행열차가 통과하는 선로부를 격벽으로 급행열차 주행공간과 완행열차 주행공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정거장 상부 슬라브에는 급행열차 주행공간과 완행열차 주행공간과 각각 연통되는 제1 및 제2 기류유출입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제2 기류유출입공간의 전단에는 제1포트 및 제1댐퍼가 구비되고 후단에는 제2포트 및 제2댐퍼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기류유출입공간에는 완행열차 주행공간의 배기를 위한 제3포트가 구비되며, 상기 제1 기류유출입공간에는 급행열차 주행공간의 배기를 위한 제4포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지하정거장의 승강장 선로부 상부 슬라브를 활용한 능동형 여압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행열차의 주행시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 받은 제어반은 완행열차가 대기하지 않은 완행열차 주행공간 상부의 제1 및 제2포트는 닫고 제1 및 제2댐퍼는 개방하고 제3포트는 개방하며, 상기 급행열차 주행공간 상부의 제4포트를 개방하며, 완행열차가 대기하는 완행열차 주행공간 상부의 제1 및 제2포트는 개방하고 제1 및 제2댐퍼는 닫아주고 급배기팬을 구동시켜 완행열차가 대기하는 완행열차 주행공간으로 급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지하정거장의 승강장 선로부 상부 슬라브를 활용한 능동형 여압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기류유출입공간은 급행열차와 완행열차가 운행되는 지하정거장 상부에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지하정거장의 승강장 선로부 상부 슬라브를 활용한 능동형 여압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급배기팬은 상기 지하정거장과 인접한 환기소 내에 설치된 환기용 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지하정거장의 승강장 선로부 상부 슬라브를 활용한 능동형 여압 시스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는 지하정거장과 연결되는 본선부에서 3km 이상 이격된 지점부터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지하정거장의 승강장 선로부 상부 슬라브를 활용한 능동형 여압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는 인접한 구간에 지하정거장이 있으면 지하정거장에 진입 및 진출하는 본선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지하정거장의 승강장 선로부 상부 슬라브를 활용한 능동형 여압 시스템.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정거장 내에는 화재감지를 위한 화재감지기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반은 상기 화재감지기에서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급행열차 주행공간과 완행열차 주행공간에서 배연을 위해 상기 제3 또는 제4포트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지하정거장의 승강장 선로부 상부 슬라브를 활용한 능동형 여압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기는 열감지센서, 가스감지센서, 열화상 카메라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지하정거장의 승강장 선로부 상부 슬라브를 활용한 능동형 여압 시스템.
KR20110138704A 2011-12-20 2011-12-20 철도 지하정거장의 승강장 선로부 상부 슬라브를 활용한 능동형 여압 시스템 KR101328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38704A KR101328749B1 (ko) 2011-12-20 2011-12-20 철도 지하정거장의 승강장 선로부 상부 슬라브를 활용한 능동형 여압 시스템
PCT/KR2012/004333 WO2013094829A1 (ko) 2011-12-20 2012-06-01 철도 지하정거장의 승강장 선로부 상부 슬라브를 활용한 능동형 여압 시스템
US14/366,817 US9421983B2 (en) 2011-12-20 2012-06-01 Active pressurization system making use of platform track area upper slab of underground train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38704A KR101328749B1 (ko) 2011-12-20 2011-12-20 철도 지하정거장의 승강장 선로부 상부 슬라브를 활용한 능동형 여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293A KR20130071293A (ko) 2013-06-28
KR101328749B1 true KR101328749B1 (ko) 2013-11-11

Family

ID=48668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138704A KR101328749B1 (ko) 2011-12-20 2011-12-20 철도 지하정거장의 승강장 선로부 상부 슬라브를 활용한 능동형 여압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421983B2 (ko)
KR (1) KR101328749B1 (ko)
WO (1) WO201309482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812A (ko) 2016-12-06 2018-06-15 주식회사 필셋 오프셋 타입의 위성안테나용 컨버터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405B1 (ko) 2015-06-05 2017-05-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열차풍을 이용한 승강장 배기장치
CN113063210A (zh) * 2020-01-02 2021-07-02 湖南集森节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风口风机联动防烟智控系统
CN113183989B (zh) * 2021-03-18 2023-07-18 浙江警察学院 一种站台系统
CN115182737B (zh) 2022-07-04 2023-06-09 北京城建设计发展集团股份有限公司 深埋地铁车站竖向正交顶出式风道结构及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5699A (ja) * 1991-10-09 1993-08-03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地下鉄道の列車風緩和装置
JPH10205299A (ja) * 1997-01-23 1998-08-04 Hazama Gumi Ltd トンネルの換気排煙方法
JP2003222000A (ja) 2002-01-31 2003-08-08 Railway Technical Res Inst トンネル内高速列車通過駅の衝撃波対策装置
KR100824262B1 (ko) 2007-05-31 2008-04-24 신성산건 주식회사 공기순환유로가 구비된 방음터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29554B4 (de) 2007-06-26 2019-08-01 Kessler + Luch Entwicklungs- Und Ingenieurgesellschaft Mbh & Co. Kg Absaugeinrichtung und unterirdischer Bahnhof mit einer solchen Absaugeinrichtu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5699A (ja) * 1991-10-09 1993-08-03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地下鉄道の列車風緩和装置
JPH10205299A (ja) * 1997-01-23 1998-08-04 Hazama Gumi Ltd トンネルの換気排煙方法
JP2003222000A (ja) 2002-01-31 2003-08-08 Railway Technical Res Inst トンネル内高速列車通過駅の衝撃波対策装置
KR100824262B1 (ko) 2007-05-31 2008-04-24 신성산건 주식회사 공기순환유로가 구비된 방음터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812A (ko) 2016-12-06 2018-06-15 주식회사 필셋 오프셋 타입의 위성안테나용 컨버터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94829A1 (ko) 2013-06-27
KR20130071293A (ko) 2013-06-28
US20140326159A1 (en) 2014-11-06
US9421983B2 (en) 2016-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8749B1 (ko) 철도 지하정거장의 승강장 선로부 상부 슬라브를 활용한 능동형 여압 시스템
KR100974039B1 (ko)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터널구간의 공기정화시스템 및 공기정화시스템 제어방법
CN108952798B (zh) 一种具有防排烟和人员应急疏散功能的铁路救援站
KR101088341B1 (ko) 터널의 양방향 환기.배연 시스템 및 그 방법
Wang et al. A model for predicting smoke back-layering length in tunnel fires with the combination of longitudinal ventilation and point extraction ventilation in the roof
KR20170109472A (ko) 대심도 광역 철도의 피난 구조체
CN102232140A (zh) 用于铁路隧道的通风系统
CN103939124A (zh) 一种水下单管双层盾构交通隧道通风排烟与疏散系统
KR101239365B1 (ko) 상호 보완적 터널환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널환기방법
EP2433845A1 (en) Railway car comprising air intake device, evacuation device and evacuation air fan,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ch devices
CN110910744B (zh) 模型隧道、隧道火灾实验平台及实验方法
KR101130811B1 (ko) 튜브철도시스템의 튜브 선로와 대기압 선로의 인터페이스 정거장 장치 및 제어방법
Wang et al. Moving model test of the smoke movement characteristics of an on-fire subway train running through a tunnel
KR101732405B1 (ko) 열차풍을 이용한 승강장 배기장치
JP4283286B2 (ja) 立坑集中排気換気方式道路トンネルの換気制御方法
CN113283065A (zh) 基于列车运行仿真的地铁区间风井设置方法
JP5945328B2 (ja) 車両編成の空調換気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655628B2 (ja) 地下鉄道の列車風緩和装置
KR20110092371A (ko) 철도차량용 에어컨덕트 소음기
JP4187688B2 (ja) 列車風による自然換気を利用した空調制御システム
CN207437115U (zh) 一种地铁区间隧道火灾通风排烟系统
KR101443308B1 (ko)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
CN107083984A (zh) 一种煤矿中央水仓全风压通风系统和设计方法
JP2005242612A (ja) 避難誘導システム
NL2030272B1 (en) Model tunnel, tunnel fire experiment platform and experiment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