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308B1 -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308B1
KR101443308B1 KR1020120141282A KR20120141282A KR101443308B1 KR 101443308 B1 KR101443308 B1 KR 101443308B1 KR 1020120141282 A KR1020120141282 A KR 1020120141282A KR 20120141282 A KR20120141282 A KR 20120141282A KR 101443308 B1 KR101443308 B1 KR 101443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ir
unit
traveling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1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3253A (ko
Inventor
전홍규
김동현
박찬경
백광선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41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308B1/ko
Publication of KR20140073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00Ventilation of mines or tunnels; Distribution of ventilating curren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7/00Methods or devices for use in mines or tunnels, not covered elsewher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7/00Methods or devices for use in mines or tunnels, not covered elsewhere
    • E21F17/18Special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alarm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Aerodynamic Tests, Hydrodynamic Tests, Wind Tunnels, And Water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례로, 차량의 주행경로의 일부 구간에 설치되고, 일정 간격 단위로 이격되어 상기 주행경로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다수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며, 상기 주행경로의 양방향을 향해 각각 설치된 다수의 공기송출노즐; 공기를 압축 생산하여 상기 공기송출노즐로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 및 차량이 상기 지지부를 통과하는 경우, 상기 공기 공급부에서 상기 공기송출노즐로 압축공기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되, 차량의 주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압축공기가 송출되도록 공기공급경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APPARATUS FOR GENERATING TERNAL MOVING AIR}
본 발명은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널 내부 혹은 터널이 없는 구간을 이동하는 물체는 주변 공기에 의해 유동 경계층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표면 마찰 저항을 받게 된다. 물체가 터널 내부를 이동하는 경우, 터널이 없는 구간을 이동할 때보다 유동 경계층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감소하므로, 공기에 의한 표면 마찰 저항은 더욱 크게 작용하게 된다. 물체가 터널이 없는 구간을 이동할 또한 물체와 그 물체 주변의 공기 사이의 상대속도 값이 크기 때문에, 그로 인해 상당한 표면 마찰 저항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터널 내부 혹은 터널이 없는 구간을 이동하는 물체는, 원하는 속도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표면 마찰 저항만큼의 에너지를 소비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표면 마찰 저항에 의해 이동 속도가 감소하게 된다. 특히, 고속으로 주행하는 철도차량의 경우, 표면 마찰 저항이 속도의 제곱에 비례해서 증가하므로, 결국 표면 마찰 저항이 더욱 상승하게 된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0850345호 2. 한국공개 제10-2007-0010208호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경로 상에 공기유동터널을 형성하여 표면 마찰 저항을 줄임으로써, 차량의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키고, 동일 에너지 소비 대비 차량의 이동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는, 차량의 주행경로의 일부 구간에 설치되고, 일정 간격 단위로 이격되어 상기 주행경로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다수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며, 상기 주행경로의 양방향을 향해 각각 설치된 다수의 공기송출노즐; 공기를 압축 생산하여 상기 공기송출노즐로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 및 차량이 상기 지지부를 통과하는 경우, 상기 공기 공급부에서 상기 공기송출노즐로 압축공기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되, 차량의 주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압축공기가 송출되도록 공기공급경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로의 차량 진입 유무, 상기 지지부로부터의 차량 진출 유무, 차량의 주행방향 및 주행속도를 각각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다수의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다수의 지지부의 입/출구와 인접한 차량의 주행경로 또는 상기 다수의 지지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각각 아치형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공기송출노즐로부터 송출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공기유동터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공기송출노즐을 통해 압축공기가 차량의 주행속도로 송출되도록 상기 공기 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는, 차량터널 내부에 설치되고, 일정 간격 단위로 이격되어 상기 터널내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다수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며, 상기 주행경로의 양방향을 향해 각각 설치된 다수의 공기송출노즐; 공기를 압축 생산하여 상기 공기송출노즐로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 및 차량이 상기 지지부를 통과하는 경우, 상기 공기 공급부에서 상기 공기송출노즐로 압축공기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되, 차량의 주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압축공기가 송출되도록 공기공급경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로의 차량 진입 유무, 상기 지지부로부터의 차량 진출 유무, 차량의 주행방향 및 주행속도를 각각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다수의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다수의 지지부의 입/출구와 인접한 차량의 주행경로 또는 상기 다수의 지지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각각 아치형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공기송출노즐로부터 송출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공기유동터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공기송출노즐을 통해 압축공기가 차량의 주행속도로 송출되도록 상기 공기 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주행경로 상에 공기유동터널을 형성하여 표면 마찰 저항을 줄임으로써, 차량의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키고, 동일 에너지 소비 대비 차량의 이동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에서 A 방향으로 공기유동터널을 생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에서 B 방향으로 공기유동터널을 생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가 없는 조건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가 있는 조건에서 차량의 표면마찰저항을 비교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에서 A 방향으로 공기유동터널을 생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에서 B 방향으로 공기유동터널을 생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가 없는 조건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가 있는 조건에서 차량의 표면마찰저항을 비교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100)의 정면도이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100)의 상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100)는 다수의 지지부(110), 다수의 공기송출노즐(120), 공기 공급부(130), 제어부(140) 및 다수의 센서부(150, 150’)를 포함한다.
다수의 지지부(110)는, 차량(10)의 주행경로의 일부 구간에 설치되고, 일정 간격 단위로 이격되며, 상기 주행경로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각각의 지지부(110)는, 아치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수의 공기송출노즐(120)로부터 송출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공기유동터널을 형성할 수 있다.
다수의 공기송출노즐(120)는, 지지부(110)에 각각 고정되며, 주행경로의 양방향(A, B)을 향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주행경로의 양방향(A, B)이란 A 방향을 차량의 정주행 방향이라고 하면, A 방향과 그 A 방향의 반대 방향 즉 역주행 방향인 B 방향을 각각 의미할 수 있다. 다수의 공기송출노즐(120)는 공기 공급부(130)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 받아 A 또는 B 방향으로 송출할 수 있다.
공기 공급부(130)는, 공기를 압축 생산하고, 생산된 압축공기를 소정의 공압으로 공기송출노즐(120)에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다수의 센서부(150, 150’)를 통해 검출된 신호들에 기초하여 공기 공급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다수의 센서부(150, 150’)로부터 차량의 진입/진출 유무, 주행방향 및 주행속도에 대한 검출신호를 전송 받을 수 있으며, 차량(10)이 A 방향으로 진입하는 경우, 다수의 공기송출노즐(120) 중 A 방향을 향하는 노즐로 압축공기가 공급되도록 공기 공급부(130)의 공기공급경로를 제어하고, 차량(10)의 주행속도가 ‘a’ km/h인 경우, 압축공기가 해당 노즐을 통해 ‘a’ km/h의 속도로 송출되도록 공기 공급부(130)의 공기송출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차량(10)이 지지부(110)를 빠져나간 경우, 공기 공급부(130)의 공기공급경로가 차단되도록 제어하여 해당 노즐로 압축공기가 송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공기공급경로는 차량(10)이 지지부(110)를 완전히 통과한 시점에서 모두 차단되거나, 지지부(110)를 통과한 순서대로 차례로 차단될 수 있다.
다수의 센서부(150, 150’)는 설치 위치에 따라 제 1 센서부(150)와 제 2 센서부(150’)로 나누어 구성할 수 있다.
제 1 센서부(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지지부(110)의 출입구와 인접한 위치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차량(10)의 진입/진출 유무, 주행방향 및 주행속도를 검출하여 제어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제 1 센서부(150)는 차량(10)의 진입/진출 유무를 두 위치에서 검출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140)는, 차량이 지지부(110)를 진입하는 시점에서 공기공급경로가 모두 개방되도록 제어하며, 차량(10)이 지지부(110)를 완전히 통과한 시점에서 모두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 2 센서부(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지지부(110)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제 2 센서부(150’)는 차량(10)의 진입/진출 유무를 일정 구간마다 검출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140)는 차량(10)의 이동위치에 따라 공기공급경로를 차례로 개방하고 차단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100)에서 A 방향으로 공기유동터널을 생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100)에서 B 방향으로 공기유동터널을 생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차량(10)이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100)를 통과할 경우, 우선, 센서부(150)는 차량(10)의 움직임과 주행방향을 검출하고, 차량(10)의 진입여부와 진입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방향으로의 차량(10) 진입여부 및 진행방향을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제어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B 방향으로의 차량(10) 진입여부 및 진행방향을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제어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센서부(150)는 진입하는 차량(10)의 진행속도를 검출하여 제어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센서부(140)로부터 각각의 검출 신호를 입력 받고, 공기 공급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이 A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 다수의 공기송출노즐(120) 중 A 방향을 향하는 노즐을 통해 압축공기가 송출되도록 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이 B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 다수의 공기송출노즐(120) 중 B 방향을 향하는 노즐을 통해 압축공기가 송출되도록 공기 공급부(130)의 공기공급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해당 노즐을 통해 송출되는 압축공기가 차량(10)의 진행속도로 송출되도록 공기 공급부(130)의 공기송출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100)는, 차량(10)의 주위를 둘러싸면서 차량(10)의 주행방향 및 주행속도와 동일하게 유동하는 공기터널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100)가 없는 조건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100)가 있는 조건에서 차량의 표면마찰저항을 비교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도 6의 (a)는 공기유동터널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a의 속도(V1)로 주행하는 차량(10)의 표면마찰저항(F)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표면마찰저항(F)은 하기의 수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2101467118-pat00001
수학식 1에서, F는 차량(10)의 표면 마찰 저항 값, μ는 공기의 점성계수, dv는 주행하는 차량(10)과 그 차량(10) 주변의 공기 간의 상대속도, y는 차량(10) 주변에 형성되는 유동 경계층의 높이, 그리고 S는 이동하는 차량(10)의 표면적을 각각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차량(10)의 주변 공기의 속도(V1)는 ‘0’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경우, 주행하는 차량(10)의 속도(V2)가 증가할수록 주변 공기와의 상대속도(dv)가 점차 증가하게 되어, 차량(10)의 표면 마찰 저항(F)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도 6의 (b)와 같이 공기유동터널을 형성하게 되면, 주행하는 차량(10) 주변의 공기속도(V2)가 증가하고, 차량(10)과 그 차량(10) 주변의 공기 사이의 상대속도(dv)가 감소됨으로써, 차량(10)의 표면 마찰 저항(F)이 감소하게 된다. 이상적으로는, 차량(10) 주변의 공기속도(V2)가 차량(10)의 주행속도(V1)과 같을 경우, 표면 마찰 저항(F)은 ‘0’에 가깝게 된다.
다음,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700)의 정면도이다. 도 8 및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700)의 상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700)는 다수의 지지부(710), 다수의 공기송출노즐(720), 공기 공급부(730), 제어부(740) 및 다수의 센서부(750, 750’)를 포함한다.
다수의 지지부(710)는, 차량(10)의 주행경로 중 차량터널(20) 내부에 설치되고, 일정 간격 단위로 이격되며, 차량터널(20)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각각의 지지부(710)는, 아치형 구조로 이루어져 차량터널(20) 내부 벽에 고정되며, 다수의 공기송출노즐(720)로부터 송출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공기유동터널을 형성할 수 있다.
다수의 공기송출노즐(720)는, 지지부(710)에 각각 고정되며, 주행경로의 양방향(A, B)을 향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주행경로의 양방향(A, B)이란 A 방향을 차량의 정주행 방향이라고 가정하면, A 방향과, 그 A 방향의 반대 방향 즉 역주행 방향에 해당하는 B 방향을 각각 의미할 수 있다. 다수의 공기송출노즐(720)는 공기 공급부(730)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 받아 A 또는 B 방향으로 송출할 수 있다.
공기 공급부(730)는, 공기를 압축 생산하고, 생산된 압축공기를 소정의 공압으로 공기송출노즐(720)에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740)는 다수의 센서부(750, 750’)를 통해 검출된 신호들에 기초하여 공기 공급부(7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40)는, 다수의 센서부(750, 750’)로부터 차량의 진입/진출 유무, 주행방향 및 주행속도에 대한 검출신호를 전송 받을 수 있으며, 차량(10)이 A 방향으로 진입하는 경우, 다수의 공기송출노즐(720) 중 A 방향을 향하는 노즐로 압축공기가 공급되도록 공기 공급부(730)의 공기공급경로를 제어하고, 차량(10)의 주행속도가 ‘a’ km/h인 경우, 압축공기가 해당 노즐을 통해 ‘a’ km/h의 속도로 송출되도록 공기 공급부(730)의 공기송출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40)는, 차량(10)이 지지부(710)를 빠져나간 경우, 공기 공급부(730)의 공기공급경로가 차단되도록 제어하여 해당 노즐로 압축공기가 송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공기공급경로는 차량(10)이 지지부(710)를 완전히 통과한 시점에서 모두 차단되거나, 지지부(710)를 통과한 순서대로 차례로 차단될 수 있다.
다수의 센서부(750, 750’)는 설치 위치에 따라 제 1 센서부(750)와 제 2 센서부(750’)로 나누어 구성할 수 있다.
제 1 센서부(7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지지부(710)의 출입구와 인접한 위치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차량(10)의 진입/진출 유무, 주행방향 및 주행속도를 검출하여 제어부(740)로 전송할 수 있다. 제 1 센서부(750)는 차량(10)의 진입/진출 유무를 두 위치에서 검출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740)는, 차량이 지지부(710)를 진입하는 시점에서 공기공급경로가 모두 개방되도록 제어하며, 차량(10)이 지지부(710)를 완전히 통과한 시점에서 모두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 2 센서부(7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지지부(710)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제 2 센서부(750’)는 차량(10)의 진입/진출 유무를 일정 구간마다 검출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740)는 차량(10)의 이동위치에 따라 공기공급경로를 차례로 개방하고 차단할 수 있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700)에서 A 방향으로 공기유동터널을 생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700)에서 B 방향으로 공기유동터널을 생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차량(10)이 차량터널(20) 내부에 설치된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700)를 통과할 경우, 우선, 센서부(750)는 차량(10)의 움직임과 주행방향을 검출하고, 차량(10)의 진입여부와 진입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74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75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방향으로의 차량(10) 진입여부 및 진행방향을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제어부(7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B 방향으로의 차량(10) 진입여부 및 진행방향을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제어부(7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센서부(750)는 진입하는 차량(10)의 진행속도를 검출하여 제어부(74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740)는, 센서부(740)로부터 각각의 검출 신호를 입력 받고, 공기 공급부(7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4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이 A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 다수의 공기송출노즐(720) 중 A 방향을 향하는 노즐을 통해 압축공기가 송출되도록 하거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이 B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 다수의 공기송출노즐(720) 중 B 방향을 향하는 노즐을 통해 압축공기가 송출되도록 공기 공급부(730)의 공기공급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40)는 해당 노즐을 통해 송출되는 압축공기가 차량(10)의 진행속도로 송출되도록 공기 공급부(730)의 공기송출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700)는, 차량(10)의 주위를 둘러싸면서 차량(10)의 주행방향 및 주행속도와 동일하게 유동하는 공기터널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2는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가 없는 조건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700)가 있는 조건에서 차량의 표면마찰저항을 비교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도 12의 (a)는 공기유동터널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a의 속도(V1)로 주행하는 차량(10)의 표면마찰저항(F)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표면마찰저항(F)은 하기의 수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2101467118-pat00002
수학식 2에서, F는 차량(10)의 표면 마찰 저항 값, μ는 공기의 점성계수, dv는 주행하는 차량(10)과 차량터널(20)의 내부 벽 간의 상대속도, dy는 차량(10) 주변에 형성되는 유동 경계층의 높이(차량(10)과 차량터널(20)의 내부 벽 사이의 거리에 해당함), 그리고 S는 이동하는 차량(10)의 표면적을 각각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차량터널(20)의 내부 벽의 속도(V1)는 ‘0’이 된다. 이러한 경우, 차량터널(20) 내부를 지나는 차량(10)은 터널이 없는 경우보다 유동 경계층의 높이(dy)가 상대적으로 작아지므로, 공기에 의한 마찰 저항은 더욱 크게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도 12의 (b)와 같이 공기유동터널을 형성하게 되면, 즉 차량터널(20)의 내부 벽을 따라 이동하는 공기의 속도 즉 주행하는 차량(10) 주변의 공기속도(V2)가 증가하고, 차량(10)과 그 차량(10) 주변의 공기 간의 상대속도(dv)가 감소됨으로써, 차량(10)의 표면 마찰 저항(F)이 감소하게 된다. 이상적으로는, 차량(10) 주변의 공기속도(V2)가 차량(10)의 주행속도(V1)과 같을 경우, 표면 마찰 저항(F)은 ‘0’에 가깝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주행경로 상에 공기유동터널을 형성하여 차량의 표면 마찰 저항을 줄임으로써, 차량의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키고, 동일 에너지 소비 대비 차량의 이동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0, 700: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
110, 710: 지지부
120, 720: 공기송출노즐
130: 730: 공기 공급부
140, 740: 제어부
150, 150’, 750, 750’: 센서부

Claims (10)

  1. 차량의 주행경로의 일부 구간에 설치되고, 일정 간격 단위로 이격되어 상기 주행경로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다수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며, 상기 주행경로의 양방향을 향해 각각 설치된 다수의 공기송출노즐;
    공기를 압축 생산하여 상기 공기송출노즐로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 및
    차량이 상기 지지부를 통과하는 경우, 상기 공기 공급부에서 상기 공기송출노즐로 압축공기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되, 압축공기가 차량의 주행방향 및 주행속도와 동일하게 송출되도록 공기공급경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로의 차량 진입 유무, 상기 지지부로부터의 차량 진출 유무, 차량의 주행방향 및 주행속도를 각각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다수의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다수의 지지부의 입/출구와 인접한 차량의 주행경로 또는 상기 다수의 지지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각각 아치형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공기송출노즐로부터 송출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공기유동터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공기송출노즐을 통해 압축공기가 차량의 주행속도로 송출되도록 상기 공기 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
  6. 차량의 터널 내부에 설치되고, 일정 간격 단위로 이격되어 상기 터널 내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다수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며, 차량의 주행경로의 양방향을 향해 각각 설치된 다수의 공기송출노즐;
    공기를 압축 생산하여 상기 공기송출노즐로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 및
    차량이 상기 지지부를 통과하는 경우, 상기 공기 공급부에서 상기 공기송출노즐로 압축공기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되, 압축공기가 차량의 주행방향 및 주행속도와 동일하게 송출되도록 공기공급경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로의 차량 진입 유무, 상기 지지부로부터의 차량 진출 유무, 차량의 주행방향 및 주행속도를 각각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다수의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다수의 지지부의 입/출구와 인접한 차량의 주행경로 또는 상기 다수의 지지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각각 아치형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공기송출노즐로부터 송출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공기유동터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공기송출노즐을 통해 압축공기가 차량의 주행속도로 송출되도록 상기 공기 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
KR1020120141282A 2012-12-06 2012-12-06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 KR101443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282A KR101443308B1 (ko) 2012-12-06 2012-12-06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282A KR101443308B1 (ko) 2012-12-06 2012-12-06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253A KR20140073253A (ko) 2014-06-16
KR101443308B1 true KR101443308B1 (ko) 2014-09-26

Family

ID=51126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1282A KR101443308B1 (ko) 2012-12-06 2012-12-06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3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5241B1 (en) 2018-02-15 2018-12-04 Electricwaze LLC Roadway conduit systems and methods
US10913178B2 (en) 2018-02-15 2021-02-09 Electricwaze LLC Conduit segment casting mold and method of forming a conduit seg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703B1 (ko) * 2020-02-05 2020-06-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고성능 단면 노즐을 활용한 터널 압력 상승 저감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1499A (ja) * 1990-03-19 1991-12-03 Nissin Electric Co Ltd トンネル換気装置
JPH0559900A (ja) * 1991-08-28 1993-03-09 Mitsubishi Heavy Ind Ltd トンネル
JP2002201900A (ja) * 2000-12-27 2002-07-1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トンネル換気装置
JP2010116734A (ja) * 2008-11-13 2010-05-27 Railway Technical Res Inst 上下線連結型高速気流循環トンネ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1499A (ja) * 1990-03-19 1991-12-03 Nissin Electric Co Ltd トンネル換気装置
JPH0559900A (ja) * 1991-08-28 1993-03-09 Mitsubishi Heavy Ind Ltd トンネル
JP2002201900A (ja) * 2000-12-27 2002-07-1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トンネル換気装置
JP2010116734A (ja) * 2008-11-13 2010-05-27 Railway Technical Res Inst 上下線連結型高速気流循環トンネル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5241B1 (en) 2018-02-15 2018-12-04 Electricwaze LLC Roadway conduit systems and methods
US10458236B2 (en) 2018-02-15 2019-10-29 Electricwaze LLC Roadway conduit systems and methods
US10563507B2 (en) 2018-02-15 2020-02-18 Electricwaze LLC Roadway conduit systems and methods
US10913178B2 (en) 2018-02-15 2021-02-09 Electricwaze LLC Conduit segment casting mold and method of forming a conduit segment
US11208889B2 (en) 2018-02-15 2021-12-28 Electricwaze LLC Roadway conduit systems and methods
US11767757B2 (en) 2018-02-15 2023-09-26 Electricwaze LLC Roadway conduit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253A (ko) 2014-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3308B1 (ko) 공기유동터널 생성장치
CN111770870A (zh) 控制车辆的轨迹方向的方法
NZ573067A (en) Cable railway system
US10610916B2 (en) Device for discharging exhaust air from the surroundings of a metal strip
US20110202247A1 (en) Traveling vehicle system and method of avoiding interference with traveling vehicle
JP2010132453A (ja) エレベータ装置
US20150136261A1 (en) Apparatus for creating a swirling flow of fluid
JP2010116734A (ja) 上下線連結型高速気流循環トンネル
JP2010116075A (ja) 併結編成車両
KR101328749B1 (ko) 철도 지하정거장의 승강장 선로부 상부 슬라브를 활용한 능동형 여압 시스템
CN103987618B (zh) 流体控制设备
KR101503434B1 (ko) 수평컨베이어 방식을 이용한 prt 차량 수직이송장치
CN111867913B (zh) 用于轨道车辆的车厢下设备支架
KR20180011369A (ko) 지하철 터널 내 전동차 운행에 따라 발생되는 열차풍 및 압력 저감장치
JP2018115480A (ja) 負圧波発生装置
JP6917755B2 (ja) 微気圧波低減装置
JPWO2022074953A5 (ko)
EP4012286A1 (en) Air circulation device
CN203823891U (zh) 空调机室内机
JP3783523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5951573A (zh) 一种划线机的红外导向警示组件
KR20140025805A (ko) 도시철도 본선터널의 수직환기구 풍도 내 가이드 베인 설치를 통한 압력 강하방지 및 유지 구조
US9140676B2 (en) Smok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smoke detection system
KR101607992B1 (ko) 헬리데크를 위한 배기가스 방향 전환 장치
JP2009012927A (ja) クリーン搬送装置における空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