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5757B1 - 종방향으로 형성된 공기유입관을 갖는 후드 구조체 - Google Patents
종방향으로 형성된 공기유입관을 갖는 후드 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55757B1 KR101455757B1 KR1020130041485A KR20130041485A KR101455757B1 KR 101455757 B1 KR101455757 B1 KR 101455757B1 KR 1020130041485 A KR1020130041485 A KR 1020130041485A KR 20130041485 A KR20130041485 A KR 20130041485A KR 101455757 B1 KR101455757 B1 KR 1014557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od
- air
- air inlet
- inlet pipe
- pip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0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44 propag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00—Ventilation of mines or tunnels; Distribution of ventilating curr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14—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unnels or galle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portals, day-light attenuation at tunnel open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7/00—Methods or devices for use in mines or tunnels, not covered elsewhe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후드 구조체가 개시되며, 상기 후드 구조체는 터널입구의 전방에 구비되는 후드; 상기 후드의 외주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종방향으로 개구된 통로가 형성된 공기유입관, 및 상기 후드의 내부와 상기 공기유입관의 내부가 연통되도록 종방향을 따라 상기 후드의 외주와 상기 공기유입관의 외주를 차례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관을 가지는 공기흡입구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원은 터널 미기압파 저감을 위해 종방향으로 형성된 공기유입관을 갖는 후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이 터널 내부로 진입하면 압력파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압력파는 터널 내부로 전파되어 터널 출구를 통해 터널 미기압파 형태로 외부로 방사된다. 이러한 터널 미기압파는 소음 및 진동을 유발하기 때문에 철도 터널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터널 미기압파를 저감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터널 미기압파 저감을 위해 터널 입구에 아치형 단면을 가진 후드가 설치되었다. 이러한 후드는 터널 미기압파를 저감하는데 상당히 유용하였다.
그러나 최근의 열차의 주행 속도가 빨라지고 철도 터널의 길이가 증가하는 추세에 의해 미기압파가 더욱 증가하게 되는 바, 터널 입구에 후드를 설치하는 종래 기술을 이용하여 미기압파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후드의 내공 단면적 확폭과 길이도 길어져야 한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철도는 노반 폭의 한계가 있으며, 터널 입구에는 가선 장치를 위한 지주 등의 시설물이 많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후드를 크게 설치하거나 길게 설치하는데 상당한 애로사항이 있었다. 또한, 후드의 길이와 내공 단면적이 커지게 되면 구조적인 안정성 확보 등을 위해서 후드의 두께, 강성 등도 더욱 증가되어야 하는 바, 건설 비용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해 종래의 후드를 길이를 늘려 설치하는 방법이나 후드 내공 단면적을 확폭하는 방법으로는 미기압파를 저감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180km/h급 이상의 고속철도 건설에서 공사비를 절감하기 위하여 터널 내공단면적이 계속 작아지는 추세이며, 이러한 소단면 터널에서는 터널 출구 미기압파에 의한 소음/진동이 매우 커지게 된다. 이를 효율적으로 대폭 저감시키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효율적으로 미기압파를 저감시킬 수 있는 후드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후드 구조체는 터널입구의 전방에 구비되는 후드; 상기 후드의 외주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종방향으로 개구된 통로가 형성된 공기유입관, 및 상기 후드의 내부와 상기 공기유입관의 내부가 연통되도록 종방향을 따라 상기 후드의 외주와 상기 공기유입관의 외주를 차례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관을 가지는 공기흡입구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제2 측면에 따른 후드 구조체는 터널입구의 전방에 구비되는 후드; 상기 후드의 외주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종방향으로 통로가 형성된 공기유입관, 및 상기 후드의 내부와 상기 공기유입관의 내부가 연통되도록 종방향을 따라 상기 후드의 외주와 상기 공기유입관의 외주를 차례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관을 가지는 공기흡입구조부; 및 상기 후드에 형성된 통풍구와 상기 공기유입관의 입구측을 연통하여 연결하는 압축공기투입관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유입관의 입구측에는 상기 압축공기투입관을 통하여 공기가 투입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후드의 외주를 따라 공기흡입구조부를 구비함으로써, 철도차량의 후드 진입시 발생하는 공기의 유동이 공기유입관을 통과하며 고속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연결관에는 공기의 유동이 발생되어 후드의 내부에서 공기유입관 방향으로 공기 흡입이 이루어짐에 따라, 압력파의 파면 구배 및 압력파의 크기를 낮춰 터널 미기압파를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 구조체를 위에서 바라본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은 도 1의 후드 구조체를 전방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3은 공기유입관에 적용되는 디퓨저(diffuser)의 구조 및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후드 구조체의 다른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드 구조체를 위에서 바라본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은 도 1의 후드 구조체를 전방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3은 공기유입관에 적용되는 디퓨저(diffuser)의 구조 및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후드 구조체의 다른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드 구조체를 위에서 바라본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물리적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전방, 후방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후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이 전방,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후방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구성이나 기술적 사항에 대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본원은 고속열차와 같은 철도차량이 터널에 진입할 때 발생하는 터널 미기압파를 저감시키기 위해 터널의 입구 또는 출구에 구비되는 후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 구조체(이하 '본 후드 구조체 '라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 구조체를 위에서 바라본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은 도 1의 후드 구조체를 전방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또한, 도 3은 공기유입관에 적용되는 디퓨저(diffuser)의 구조 및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4 및 도 5는 도 1의 후드 구조체의 다른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후드 구조체는 후드(1)를 포함한다.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후드(1)는 터널입구(810)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후드(1)는 터널(800)의 출구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후드(1)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으로, 후드(1)는 콘크리트 구조, 철골 구조 등 다양한 구조로 시공될 수 있다.
또한, 후드(1)의 횡단면의 형상은 특정 형상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으로, 후드(1)의 횡단면의 형상은 아치 형상 또는 제형, 사각형, 7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본 후드 구조체는 하나 이상의 통풍관(5)을 포함할 수 있다.
통풍관(5)은 후드(1)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하나 이상 구비된다. 예시적으로, 이러한 통풍관(5)은 후드(1)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통풍관(5)을 통해 공기압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는 공기압의 적어도 일부가 반사(이를 테면 자유단 반사)를 통해 팽창파의 형태로 되돌아와 통풍관(5)으로 전파되는 공기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압력파의 상승이 지연될 수 있고 압력파의 파면 구배 및 크기가 저감될 수 있으며, 터널 미기압파가 저감될 수 있다.
통풍관(5)은 팽창파의 형성을 통한 압력파 감쇄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통풍관(5)을 통해 방사되는 압축파의 파장을 고려하여 그 길이(높이) 및 내경의 크기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통풍관(5)은 복수 개 일 수 있다.
아울러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통풍관(5)은 종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종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각각의 통풍관(5)은 그 배치된 지점에서의 압력 구배를 고려하여 그 높이 및 내경의 크기가 개별적(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통풍관(5)은 다양한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연직으로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경사지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통풍관(5)은 터널 미기압파 저감에 효과적이라고 판단되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후드 구조체는 공기흡입구조부(3)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공기흡입구조부(3)는 후드(1)의 외주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종방향으로 개구된 통로(311)가 형성된 공기유입관(31) 및 후드(1)의 내부와 공기유입관(31)의 내부가 연통되도록 종방향을 따라 후드(1)의 외주와 공기유입관(31)의 외주를 차례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관(33)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공기유입관(31)은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후드(1)의 외주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연결관(33)은 후드(1)의 외주에 종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홀과, 공기유입관(31)의 외주에 종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홀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유입관(31)에 형성된 통로(311)는, 후드(1)로의 철도차량(900)의 진입 시 후드(1) 내부를 통한 공기의 이동속도보다 빠른 속도의 공기의 이동을 유도하도록 후드(1)보다 작은 횡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도 1,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공기유입관(31)의 입구측에는, 공기유입관(31)에 형성된 통로(311)보다 큰 횡단면적을 갖는 입구확장부(3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입구확장부(313)를 통해, 철도차량(900)의 후드 진입시 진입 방향(후방)으로 형성되는 공기의 유동이 공기유입관(31)의 통로(311)를 통과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이러한 입구확장부(313)는 통로(311)보다 큰 횡단면적을 갖는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이므로, 공기가 좁은 통로(311)로 유입되기 전에 넓은 입구확장부(313)에 머무르면서 압축될 수 있어, 압축되고 있는 입구확장부(313)의 공기의 누름 압력으로 인해 통로(311)에 유입된 공기가 보다 빠른 유속으로 통로(311)의 출구(후방)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통로(311)에서 복수의 연결관(33) 각각과 연통되는 부분의 전단 중 하나 이상에는, 공기의 통과시 그 이동속도가 증가되도록 복수의 연결관(33) 각각과 연통되는 부분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노즐(315)이 설치될 수 있다.
연결관(33)을 통해 후드(1)의 내부에서 공기유입관(31) 쪽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원리는 디퓨져(diffuser)의 원리를 활용한 것으로,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드(1)로 철도차량(900)이 진입할 때 철도차량(900)의 주위의 공기가 철도차량(900)과 함께 이동되면서 일부의 공기가 공기유입관(31)에 진입하여 흐르는 과정에서, 좁은 내경의 노즐(315)을 지날 때에는 유속이 빨라지게 되고, 베르누이의 정리에 따라 노즐(315)의 후측 공간(도 3에서 low pressure 부분)에서는 압력이 거의 진공상태에 가깝게 낮아지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이러한 노즐(315)의 후측 공간과 연통되어 있는 연결관(33)을 통해 후드(1) 내측의 공기가 진공에 가까운 저기압 상태인 노즐(315)의 후측 공간으로 자연히 빨려 들어오게 되고, 이렇게 빨려 들어온 후드(1) 내측의 공기는 노즐(315)을 통과한 공기와 함께 공기유입관(31)의 통로(311)의 후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철도차량(900)의 후드(1) 진입시 발생하는 공기의 유동이 공기유입관(31)의 통로(311)를 통과하며 고속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러한 공기의 유동을 더욱 고속화하는 노즐(315)의 후측 공간에 연결관(33)이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현격한 기압 차이에 따라 후드(1)의 내부에서 공기유입관(31)으로의 공기의 유동이 유발되어 공기 흡입이 이루어짐에 따라, 철도차량(900)의 후드(1) 진입으로 인해 발생되는 압력파의 파면 구배 및 압력파의 크기를 낮춰 터널 미기압파의 발생이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공기유입관(31)의 입구측 및 출구측 중 하나 이상에는, 공기의 후방 유동을 유도하는 팬(317)(fan)이 설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팬(317)은 공기유입관(31)의 입구측(이를 테면 입구확장부(313))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팬(317)은 공기유입관(31)의 출구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팬(317)을 통해 공기유입관(31)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공기유입관(31)의 통로(311)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을 더욱 높여, 연결관(33)을 통한 공기 흡입 작용이 보다 높은 효율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팬(317)은 액시얼 팬(axial fan)일 수 있다. 도 1,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액시얼 팬은 원통 속에 회전 날개를 설치하여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기체를 보내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공기흡입구조부(3)는 후드(1)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 도 2,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공기흡입구조부(3)는 후드(1)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즉, 공기흡입구조부(3)는 터널 미기압파 저감에 있어 보다 효과적인 방향으로, 후드(1)의 둘레 중 다양한 위치에 적정히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공기흡입구조부(3)는 앞서 살핀 하나 이상의 통풍관(5)과 연계되어 터널 미기압파 저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고속열차와 같은 철도차량(900)의 고속 진입시, 후드(1) 내부의 상측 공기는 압축되다가 통풍관(5)을 통해 배출되면서 후드(1) 내부의 압력 구배 상승을 저감 또는 지연시킬 수 있고, 후드(1) 내부의 측부 공기는 압축되다가 공기흡입구조부(3)의 공기 흡입 작용에 의해 배출되면서 후드(1) 내부의 압력 구배 상승을 저감 또는 지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후드(1)의 상부에는 통풍관(5)을 설치하고, 후드(1)의 상부 이외의 부분에는 하나 이상의 공기흡입구조부(3)를 둠으로써, 이들이 상호 연계하여 터널 미기압파 저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드 구조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앞서 살핀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드 구조체를 위에서 바라본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드 구조체는 후드(1)를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후드(1)는 터널입구(810)의 전방에 구비된다. 이러한 후드(1)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드 구조체는 하나 이상의 통풍관(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통풍관(5)은 후드(1)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된다. 예시적으로, 통풍관(5)의 후드(1)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풍관(5)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드 구조체는 후드(1)의 외주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종방향으로 통로(311)가 형성된 공기유입관(31), 및 후드(1)의 내부와 공기유입관(31)의 내부가 연통되도록 종방향을 따라 후드(1)의 외주와 공기유입관(31)의 외주를 차례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관(33)을 가지는 공기흡입구조부(3)를 포함한다.
이러한 공기흡입구조부(3)는 앞서 살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 구조체의 공기흡입구조부(3)와 유사한 구성이다. 다만 도 1과 도 6을 대비하여 보면,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드 구조체의 공기유입관(3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 구조체의 공기유입관(31)과는 달리, 입구측(전단)이 전방을 향해 개구되어 있지 않고 폐쇄되어 있다.
대신에,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드 구조체의 공기흡입구조부(3)는 후드(1)에 형성된 통풍구(7)와 공기유입관(31)의 입구측을 연통하여 연결하는 압축공기투입관(9)을 더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통풍관(5) 중 하나가 통풍구(7) 상에 폐쇄형으로 형성되고, 압축공기투입관(9)은 이러한 폐쇄형으로 형성된 통풍관(5)을 통해 통풍구(7)와 연통될 수 있다. 여기서, 통풍관(5)이 폐쇄형으로 형성된다는 것은, 도 2에서 보았을 때 후드(1) 내부의 공기가 상향 배출되지 못하도록 통풍관(5)의 상단이나 중간 부분이 막혀있음을 의미한다.
이렇게 통풍구(7) 상에 배치된 통풍관(5)을 막아둠으로써, 통풍구(7)를 통해 올라온 공기가 압축공기투입관(9)으로만 이동되게 하여, 공기유입관(31)의 입구측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공기유입관(31)의 입구측에는 이러한 압축공기투입관(9)을 통하여 공기가 투입된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 구조체의 경우, 철도차량(900)의 후드(1) 진입시 진입 방향으로 형성되는 공기의 흐름을 공기유입관(31)으로 받아들여 이를 활용한 공기 흡입 작용을 구축하였다. 이와 달리,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드 구조체의 경우, 철도차량(900)이 후드(1)에 진입한 다음 후드(1) 내부의 공기를 터널(800) 쪽으로 밀어내며 압축시킴으로써 형성된 압축공기를, 압축공기투입관(9)을 통해 공기유입관(31)으로 전달하여 이를 활용한 공기 흡입 작용을 구축한 것이다.
즉, 양 실시예는 공기유입관(31)을 통해 빠른 유속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연결관(33)을 통해 공기 흡입 작용이 이루어지게 한다는 점에서 동일한 기술 사상을 가진다. 하지만, 양 실시예는 공기유입관(31)을 통해 빠른 유속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소스(source) 제공이 다른 곳으로부터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기술구성이 상이하다 하겠다.
다시 말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 구조체는 철도차량(900)의 후드(1) 진입시 철도차량(900)의 주위에 형성되는 철도차량(900) 진입 방향으로의 공기의 유동이 공기유입관(31)에 공급되는 공기의 소스가 된다. 하지만,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드 구조체는 철도차량(900)의 후드(1) 진입후 후드(1) 내부의 압력 상승으로 인해 형성되는 압축공기가 공기유입관(31)에 공급되는 공기의 소스가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압축공기투입관(9)이 연결되는 통풍구(7)는 공기유입관(31)의 입구보다 후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드(1) 내부의 공기가 소정 이상 압축되고 난 다음에 통풍구(7)를 통해 압축공기투입관(9)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통풍구(7)가 공기유입관(31)의 입구보다도 앞쪽(도 6 기준 6시 방향쪽)에 형성되어 있다면, 통풍구(7) 근방의 공기가 충분히 압축되지 못하여 압축공기투입관(9)을 통한 공기의 이동이 형성되지 못할 것이며, 오히려 역류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통로(311)에서 복수의 연결관(33) 각각과 연통되는 부분의 전단 중 하나 이상에는, 통과시 공기의 이동속도가 증가되도록 복수의 연결관(33) 각각과 연통되는 부분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노즐(315)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노즐(315) 및 디퓨져의 원리에 대하여는 도 3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후드 3: 공기흡입구조부
31: 공기유입관 311: 통로
313: 입구확장부 315: 노즐
317: 팬(fan) 33: 연결관
5: 통풍관 7: 통풍구
9: 압축공기투입관 800: 터널
810: 터널입구 900: 철도차량
31: 공기유입관 311: 통로
313: 입구확장부 315: 노즐
317: 팬(fan) 33: 연결관
5: 통풍관 7: 통풍구
9: 압축공기투입관 800: 터널
810: 터널입구 900: 철도차량
Claims (13)
- 후드 구조체에 있어서,
터널입구의 전방에 구비되는 후드;
상기 후드의 외주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종방향으로 개구된 통로가 형성된 공기유입관, 및 상기 후드의 내부와 상기 공기유입관의 내부가 연통되도록 종방향을 따라 상기 후드의 외주와 상기 공기유입관의 외주를 차례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관을 가지는 공기흡입구조부를 포함하되,
상기 공기유입관의 입구측에는, 상기 통로보다 큰 횡단면적을 갖는 입구확장부가 형성되는 것인 후드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상기 후드로의 철도차량의 진입 시 상기 후드 내부를 통한 공기의 이동속도보다 빠른 속도의 공기의 이동을 유도하도록 상기 후드보다 작은 횡단면적을 갖는 것인 후드 구조체.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에서 상기 복수의 연결관 각각과 연통되는 부분의 전단 중 하나 이상에는, 공기의 통과시 그 이동속도가 증가되도록 상기 복수의 연결관 각각과 연통되는 부분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노즐이 설치되는 것인 후드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관의 입구측 및 출구측 중 하나 이상에는, 공기의 후방 유동을 유도하는 팬(fan)이 설치되는 것인 후드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통풍관을 더 포함하는 후드 구조체.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관은 상기 후드의 상부에 형성된 것인 후드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구조부는 상기 후드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 구비되는 것인 후드 구조체. - 후드 구조체에 있어서,
터널입구의 전방에 구비되는 후드;
상기 후드의 외주와 이웃하게 배치되고 종방향으로 통로가 형성된 공기유입관, 및 상기 후드의 내부와 상기 공기유입관의 내부가 연통되도록 종방향을 따라 상기 후드의 외주와 상기 공기유입관의 외주를 차례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관을 가지는 공기흡입구조부; 및
상기 후드에 형성된 통풍구와 상기 공기유입관의 입구측을 연통하여 연결하는 압축공기투입관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유입관의 입구측에는 상기 압축공기투입관을 통하여 공기가 투입되는 것인 후드 구조체.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구는 상기 공기유입관의 입구보다 후측에 형성되는 것인 후드 구조체.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에서 상기 복수의 연결관 각각과 연통되는 부분의 전단 중 하나 이상에는, 통과시 공기의 이동속도가 증가되도록 상기 복수의 연결관 각각과 연통되는 부분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노즐이 설치되는 것인 후드 구조체.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통풍관을 더 포함하는 후드 구조체.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관 중 하나는 상기 통풍구 상에 폐쇄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압축공기투입관은 상기 통풍관 중 하나를 통해 상기 통풍구와 연통하는 것인 후드 구조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41485A KR101455757B1 (ko) | 2013-04-16 | 2013-04-16 | 종방향으로 형성된 공기유입관을 갖는 후드 구조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41485A KR101455757B1 (ko) | 2013-04-16 | 2013-04-16 | 종방향으로 형성된 공기유입관을 갖는 후드 구조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4138A KR20140124138A (ko) | 2014-10-24 |
KR101455757B1 true KR101455757B1 (ko) | 2014-11-03 |
Family
ID=51994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41485A KR101455757B1 (ko) | 2013-04-16 | 2013-04-16 | 종방향으로 형성된 공기유입관을 갖는 후드 구조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5575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895579B (zh) * | 2015-06-17 | 2017-01-04 | 上海市城市建设设计研究总院 | 节能型地下道路结构 |
CN111075470B (zh) * | 2019-12-27 | 2021-07-30 | 南京溧水高新产业股权投资有限公司 | 一种隧道降压装置 |
CN111075472B (zh) * | 2019-12-30 | 2021-07-30 | 南京溧水高新产业股权投资有限公司 | 一种隧道消压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01895A (ja) * | 2000-12-28 | 2002-07-19 | Shunji Kondo | 衝撃吸収構造を有する列車用トンネル |
JP2005155129A (ja) * | 2003-11-25 | 2005-06-16 | East Japan Railway Co | トンネル緩衝工 |
KR20090042144A (ko) * | 2007-10-24 | 2009-04-29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공기정화시스템 및 공기정화시스템제어방법 |
KR20090044166A (ko) * | 2007-10-31 | 2009-05-07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고속열차 터널의 미기압파 저감용 후드 |
-
2013
- 2013-04-16 KR KR1020130041485A patent/KR10145575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01895A (ja) * | 2000-12-28 | 2002-07-19 | Shunji Kondo | 衝撃吸収構造を有する列車用トンネル |
JP2005155129A (ja) * | 2003-11-25 | 2005-06-16 | East Japan Railway Co | トンネル緩衝工 |
KR20090042144A (ko) * | 2007-10-24 | 2009-04-29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지하철 열차풍을 이용한 공기정화시스템 및 공기정화시스템제어방법 |
KR20090044166A (ko) * | 2007-10-31 | 2009-05-07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고속열차 터널의 미기압파 저감용 후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4138A (ko) | 2014-10-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45251B1 (ko) | 열차 진행 방향에 평행한 통풍관을 포함하는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 | |
KR100985378B1 (ko) | 날개없는 공기순환용 송풍기 | |
CN101713335B (zh) | 声音衰减系统和具有声音衰减装置的涡轮发动机系统 | |
CN101896697A (zh) | 填充消音器腔体的方法 | |
KR101455757B1 (ko) | 종방향으로 형성된 공기유입관을 갖는 후드 구조체 | |
CN105422516B (zh) | 一种具有消音装置的悬挂式隧道通风设备 | |
KR101480437B1 (ko) | 통풍관 조합형 후드 구조체 | |
US8726673B2 (en) | Turbine engine bypass fan-bleed noise reduction | |
KR101134094B1 (ko) | 제트팬 | |
US20110138758A1 (en) | Conduit piece for the absorption of foreign bodies | |
KR101455761B1 (ko) | 후드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터널 미기압파 저감 시스템 | |
CN109131603B (zh) | 空气通道型车轮导风板以及具有该车轮导风板的车辆 | |
US20150377192A1 (en) | Exhaust ejector tube for engine system | |
WO2014084488A1 (ko) | 철도용 터널의 미기압파 저감장치 및 이를 구비한 미기압파 저감형 후드 | |
KR101455764B1 (ko) | 터널 미기압파 저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널 미기압파 저감 방법 | |
JP6665116B2 (ja) | ベンチュリーデバイスおよび/またはチェックバルブにおけるノイズ減衰 | |
CN104420960B (zh) | 用于防止对有源噪声控制扬声器造成热损伤的结构 | |
CN103748395A (zh) | 用于减弱由管道产生的噪音的方法和管道布置 | |
CN203335193U (zh) | 降噪消声器及使用该消声器的发动机排气结构 | |
CN103925014B (zh) | 用于克服热气体引走而密封开口腔的布置 | |
CN110131014A (zh) | 一种高效低流阻汽车消音器 | |
KR20110040373A (ko) | 터널의 환기 시스템 | |
CN104771114B (zh) | 一种吸尘器 | |
CN206753854U (zh) | 一种低频消音器 | |
KR101472906B1 (ko) | 경사구조체의 전방에 배치되는 후드를 갖는 터널 미기압파 저감 구조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