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1946A - 스파우트 캡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스파우트 캡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1946A
KR20090041946A KR1020070107754A KR20070107754A KR20090041946A KR 20090041946 A KR20090041946 A KR 20090041946A KR 1020070107754 A KR1020070107754 A KR 1020070107754A KR 20070107754 A KR20070107754 A KR 20070107754A KR 20090041946 A KR20090041946 A KR 20090041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ut
cap
skirt
wheel
spout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7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1526B1 (ko
Inventor
이충강
Original Assignee
이충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강 filed Critical 이충강
Priority to KR1020070107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1526B1/ko
Publication of KR20090041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1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23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 B65D41/342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with flexible tabs, or elements rotated from a non-engaging to an engaging position, formed on the tamper element or in the closure skirt the tamper element being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losure by means of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65D41/041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formed by a plug, collar, flange, rib or the like contacting the internal surface of a container neck
    • B65D41/0421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formed by a plug, collar, flange, rib or the like contacting the internal surface of a container neck and combined with integral sealing means contacting other surfaces of a container n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65D41/042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formed by a collar, flange, rib or the like contacting the top rim or the top edges or the external surface of a container n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캡본체(111)와, 캡본체(111)의 하단으로 복수개의 분리편(112)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 지지되는 부정 사용 방지용 스커트(113)를 포함하며, 스커트(113)의 내측에 스파우트(200)에 결합시 안정된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내벽면(113b)의 원주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걸림편(113a)들이 내벽면(113b) 보다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 형성된 스파우트 캡(100)과; 리필용기(3)에 접착되는 접착면(221)과 접착면(221)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며 접착면(221)에 대해 상부로 배출통로(222)가 관통 형성된 배출관(223)과, 배출관(223)의 외주면에 스커트(113)의 상호 결합시 걸림편(113a)들이 상호 삽설 지지되는 돌륜홈(226)을 소정의 깊이로 형성하며 배출관(223) 보다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돌륜테(227,228)를 가지는 스파우트(200)를 포함하며, 캡본체(111)의 개방 동작시 스커트(113)가 돌륜홈(226)에 겉돌거나 돌륜홈(226)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돌륜홈(226)의 외주면에 돌륜홈(226)에 상호 삽설 지지된 걸림편(113a)들에 당접되어 스커트(113)가 캡본체(111)의 개방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돌기(229)가 형성된 스파우트 캡 결합구조가 제공된다.
스파우트, 스파우트 캡, 파우치 용기, 돌륜테, 돌륜홈, 스커트

Description

스파우트 캡 결합구조{Spout cap union structure}
본 발명은 스파우트(Spout) 캡(Cap)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우치 용기나 리필 용기 등에 접착 사용되는 스파우트의 배출관을 개폐시키는 캡의 개방 조작에 따른 스커트의 분리시 스커트가 스파우트의 배출관 하부에 안정된 분리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스파우트 캡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파우트 캡은 비닐재질의 파우치 용기나 리필용기에 접착면이 일체로 접착되어진 스파우트를 밀폐함과 동시에 내용물의 부정사용을 방지하도록 결합 사용되는 것으로 대한민국등록실용 제20-0421860호의 '스파우트 캡 결합구조'에 개시된 바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스파우트 캡(대한민국등록실용 제20-0421860호)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스파우트 캡의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a와 도 2b는 각각 종래 스파우트 캡의 결합구조를 보인 결합 상태 단면도와 스파우트 캡의 스커트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파우트 캡(100)은, 리필용 기(3) 등에 접착면(221)이 일체로 접착되어지고, 접착면(221)의 상부로 배출관(223)이 구비되는 스파우트(200)와 스파우트(200)의 배출관(223)을 밀폐하는 캡본체(111)가 나사 결합되고, 캡본체(111)의 하단으로 부정 사용 방지용 스커트(113)가 복수개의 분리편(112)에 의해 연결 구성되며, 스파우트(200)의 배출관(223)에 소정 깊이의 돌륜홈(226)을 형성하는 한 쌍의 돌륜테(227,228)가 형성되고 스커트(113)에 돌륜홈(226)에 삽설 지지되는 복수개의 걸림편(113a)들이 내벽면(113b) 보다 내측으로 돌출되게 구성된다.
따라서 캡본체(111)를 스파우트(200)에 대하여 상호 나사 결합하면 배출관(223)은 밀폐되고 스커트(113)는 캡본체(111)의 분리편(112)과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복수개의 걸림편(113a)들이 배출관(223)의 돌륜홈(226)에 삽설 지지되어 내용물의 부정 사용을 방지하고, 내용물의 사용시 캡본체(111)를 반시계방향으로 개방 조작하면 캡본체(111)가 배출관(223)으로부터 나사 분리되면서 분리편(112)이 찢어지게 되고 이를 통해 스커트(113)로부터 강제로 분리되어 배출관(223)이 개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파우트 캡 또는 스파우트 캡 결합구조는, 내용물의 부정 사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파우트(200)의 캡본체(111)의 결합시 단순하게 스커트(113)의 복수개의 걸림편(113a)들이 배출관(223)에 형성된 돌륜홈(226)에 삽설 지지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외력이나 가열 및 사출 성형시 공차에 의하여 돌륜홈(226)과 돌륜홈(226)에 삽설되는 걸림편(113a)의 걸림력이 약해질 경우 캡본체(111)를 배출 관(223)으로부터 강제 분리하게 되면 걸림편(113a)이 돌륜홈(226)에 겉돌게 되어 캡본체(111)와 스커트(113) 사이의 분리편(112)이 분리되지 않거나 걸림편(113a)이 돌륜홈(226)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로 인하여 스커트(113)의 본래 목적인 내용물의 부정 사용 방지 달성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파우트에 스커트의 안정된 결합이 가능하고 캡본체의 개방 조작시 스커트가 겉돌거나 배출관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캡본체가 배출관으로부터 신속하게 분리되도록 할 수 있는 스파우트 캡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캡본체(111)와, 캡본체(111)의 하단으로 복수개의 분리편(112)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 지지되는 부정 사용 방지용 스커트(113)를 포함하며, 스커트(113)의 내측에 스파우트(200)에 결합시 안정된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내벽면(113b)의 원주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걸림편(113a)들이 내벽면(113b) 보다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 형성된 스파우트 캡(100)과; 리필용기(3)에 접착되는 접착면(221)과 접착면(221)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며 접착면(221)에 대해 상부로 배출통로(222)가 관통 형성된 배출관(223)과, 배출관(223)의 외주면에 스커트(113)의 상호 결합시 걸림편(113a)들이 상호 삽설 지지되는 돌륜홈(226)을 소정의 깊이로 형성하며 배출관(223) 보다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돌륜테(227,228)를 가지는 스파우트(200)를 포함하며, 캡본체(111)의 개방 동작시 스커트(113)가 돌륜홈(226)에 겉돌거나 돌륜홈(226)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돌륜홈(226)의 외주면에 돌륜홈(226)에 상호 삽설 지지된 걸림편(113a)들에 당접되어 스커트(113)가 캡본체(111)의 개방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돌 기(229)가 형성된 스파우트 캡 결합구조가 제공된다.
여기서, 한 쌍의 돌륜테(227,228) 중 상측 돌륜테(227) 측벽(227a) 직경이 하측 돌륜테(228) 측벽(228a) 직경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걸림돌기(229)는 스파우트(200)에 결합되는 스파우트 캡(100)의 결합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한 각도로 테이퍼진 경사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걸림편(113a)은 스파우트 캡(100)의 결합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한 각도로 테이퍼진 경사면을 가지거나 사각의 평면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파우트 캡(100)의 하단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테두리(113c)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파우트에 스파우트 캡의 결합시 캡본체 하단으로 분리편에 의해 끊어지지 않고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돌륜홈내에 걸림편들이 안정되게 상호 결합 지지되어짐에 따라 배출관의 배출통로를 확실하게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동시에 스커트의 걸림편들이 돌륜홈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돌기들의 경사면을 따라서 걸림돌기의 걸림턱을 지나 돌륜홈에 로크되도록 끼워지게 조립되어 캡본체의 개방시 스커트가 캡본체의 개방방향으로 겉도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캡본체와 스커트의 분리 없이는 스파우트 캡이 스파우트로부터 분리되지 못하게 되고 이를 통하여 파우치 용기에 포함된 내용물의 부정 방지를 확실하게 할 수 있어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파우트 캡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스파우트 캡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스파우트 캡을 나타낸 일측 단면도이며, 도 5a와 도 5b는 각각 도 4의 스파우트 캡을 나타낸 저면도와 스파우트 캡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파우트 캡의 결합구조를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의 스파우트 캡과 스파우트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간략히 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파우트 캡의 결합구조는, 스파우트 캡(100)과, 비닐재질의 파우치 용기나 리필용기(3)에 접착면(221)이 일체로 접착되고 상측에 내용물의 부정 사용 방지를 위해 스파우트 캡(100)이 밀폐되는 스파우트(200)를 포함한다.
스파우트 캡(100)은, 캡본체(111)와, 캡본체(111)의 하단으로 복수개의 분리편(112)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 지지되는 부정 사용 방지용 스커트(113)를 포함한다.
스커트(113)의 내측에는 스파우트(200)에 결합시 안정된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내벽면(113b)의 원주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걸림편(113a)들이 내벽면(113b) 보다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 형성된다. 여기서, 복수개의 걸림 편(113a)들은 테이퍼진 경사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캡본체(111)의 내측에는 체결용 암나사부(114)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개방 조작시 손으로 잡을 때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래칫형태의 요철(115)이 형성된다.
또한, 캡본체(111)의 하단과 스커트(113)의 대응 상면에 캡본체(111)의 개방시 스커트(113)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개방밀편(117) 및 밀편홈(118)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다.
스파우트(200)는, 내용물이 포장되는 리필용기(3) 등에 열 융착 방식으로 일체 접착되는 접착면(221)과 접착면(221)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며 접착면(221)에 대해 상부로 배출통로(222)가 관통 형성된 배출관(223), 배출관(223)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캡본체(111)의 암나사부(114)에 체결되는 숫나사부(224), 배출관(223)의 외주면에 스커트(113)의 상호 결합시 걸림편(113a)들이 상호 삽설 지지되는 돌륜홈(226)을 소정의 깊이로 형성하며 배출관(223) 보다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돌륜테(227,228) 및 돌륜홈(226)의 외주면에 캡본체(111)의 개방시 스커트(113)가 돌륜홈(226)에 겉돌거나 돌륜홈(226)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돌륜홈(226)에 상호 삽설 지지된 걸림편(113a)들에 당접되어 스커트(113)가 캡본체(111)의 개방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돌기(229)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돌륜테(227,228)의 측벽(227a,228a) 직경은, 스커트(113)의 내벽면(113b)의 직경과 같거나 이보다 작도록 사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한 쌍의 돌륜테(227,228) 중 상측 돌륜테(227) 측벽(227a) 직경이 하측 돌 륜테(228) 측벽(228a) 직경 보다 작은 것이 좋다.
또한, 스커트(113) 걸림편(113a)들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하여 걸림돌기(229)는 스파우트 캡(100)의 결합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한 각도(도 6b, 도 7b 참조)로 테이퍼진 경사면을 가지게 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스커트(113) 걸림편(113a)들의 경사면이 걸림돌기(229)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걸림돌기(229)의 경사면 걸림턱을 지나 돌륜홈(226)에 삽입되게 된다.
또한, 돌륜홈(226)의 폭은 이에 삽설 지지되는 스커트(113)의 걸림편(113a)들의 단면 두께와 같거나 이보다 조금 넓은 폭을 가져도 무방하다.
도 6a와 도 6b는 각각 도 3의 스파우트 캡 결합구조에 있어서 스파우트 캡이 스파우트에 조임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조립 단면도와 A-A선 단면도이고, 도 7a와 도 7b는 각각 도 3의 스파우트 캡 결합구조에 있어서 스파우트 캡의 개방 조작시 스파우트 캡으로부터 스커트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조립 단면도와 B-B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파우트 캡 결합구조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스파우트 캡(100)이 스파우트(200)에 조임 결합되는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우트 캡(100)을 스파우트(200)에 상호 나사 결합하면, 스파우트(200)의 배출관(223)에 형성된 돌륜홈(226)에 스커트(113)에 구비된 걸림편(113a)들이 끼워지게 되고 돌륜홈(226)에 끼워진 걸림편(113a)들은 돌 륜홈(226)의 상하부로 형성된 돌륜테(227,228)에 의해 임의적으로 빠지지 않게 된다.
즉,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륜테(227,228)의 외측으로 커버되는 스커트(113)의 내벽면(113b)으로부터 그 내측에 연장 형성된 걸림편(113a)들이 돌륜테(227,228)와의 사이에 형성된 돌륜홈(226)의 내부로 일정 깊이만큼 끼워지게 조립된다.
여기서, 사출시 발생되는 공차에 의해 스커트(113)의 내벽면(113b)이 돌륜테(227,228)의 측면(227a,228a)에 대해 서로 밀착되지 않고 일정한 틈새를 두고 커버되어도 스커트(113)의 걸림편(113a)들이 돌륜홈(226) 속으로 끼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스커트(113)를 돌륜홈(226)으로부터 강제로 분리시키지 않는 이상 외력이나 충격 및 가열이 가해져도 그 직경 차이로 인하여 스커트(113)가 돌륜홈(226)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스커트(113)의 걸림편(113a)들이 돌륜홈(226)에 끼워질 때 걸림편(113a)들이 돌륜홈(226)의 걸림돌기(229)들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걸림돌기(229)의 걸림턱을 지나 돌륜홈(226)에 끼워진 후 상호간 로크되게 조립됨으로써, 캡본체(111)의 개방 조작시 스커트(113)의 걸림편(113a)들이 걸림돌기(229)들의 걸림턱에 걸리게 되어 스커트(113)가 돌륜홈(226)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이하, 스파우트 캡(100)이 스파우트(200)로부터 분리되는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7a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우트(200)로부터 캡본체(111)를 상 측으로 개방시키면, 캡본체(111)의 암나사부(114)가 배출관(223)의 숫나사부(224)를 따라 상승하는 것에 의해 스커트(113)의 분리편(112)이 캡본체(111)의 하단으로부터 찢어지면서 캡본체(111)와 스커트(113)가 분리된다. 이때, 스파우트 캡(100)의 개방 조작시 스커트(113)의 분리편(112)들은 캡본체(111)와 스커트(113)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개방밀편(117)이 밀편홈(118)의 경사면을 타고 올라가는 것에 의해 신속하게 분리되게 된다.
여기서, 캡본체(111)로부터 분리되는 스커트(113)는 걸림편(113a)들이 돌륜홈(226)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돌기(229)들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걸림돌기(229)의 걸림턱을 지나 돌륜홈(226)에 끼워져 상호간 로크되게 조립된 상태이기 때문에 캡본체(111)의 개방방향으로 겉도는 것이 방지되고, 돌륜홈(226) 속에 걸림편(113a)들이 균등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캡본체(111)의 개방 조작시 스커트(113)가 돌륜홈(226)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안정된 분리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파우트(200)에 스파우트 캡(100)의 결합시 캡본체(111) 하단으로 분리편(112)에 의해 끊어지지 않고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돌륜홈(226)내에 걸림편(113a)들이 안정되게 상호 결합 지지되어짐에 따라 배출관(223)의 배출통로(222)를 확실하게 밀폐함과 동시에 걸림편(113a)들이 돌륜홈(226)의 걸림돌기(229)들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걸림돌기(229)의 걸림턱을 지나 돌륜홈(226)에 로크되도록 끼워지게 조립됨으로써, 캡본체(111)와 스커트(113)의 분리 없이는 스파우트 캡(100)이 스파우트(200)로부터 분리되지 못하게 되어 리필용기(3)에 포함된 내용물의 부정 방지를 확실하게 할 수 있어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파우트 캡(100)의 하단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테두리(113c)가 더 형성되어 스파우트 캡(100)이 돌륜테(227,228)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보조적으로 방지하여도 좋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걸림돌기(113a')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단면의 형상을 가져도 좋다.
도 1은 종래의 스파우트 캡의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a와 도 2b는 각각 종래 스파우트 캡의 결합구조를 보인 결합 상태 단면도와 스파우트 캡의 스커트를 나타낸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파우트 캡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스파우트 캡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스파우트 캡을 나타낸 일측 단면도;
도 5a는 도 4의 스파우트 캡을 나타낸 저면도;
도 5b는 도 4의 스파우트 캡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저면도;
도 6a와 도 6b는 각각 도 3의 스파우트 캡 결합구조에 있어서 스파우트 캡이 스파우트에 조임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조립 단면도와 A-A선 단면도; 및
도 7a와 도 7b는 각각 도 3의 스파우트 캡 결합구조에 있어서 스파우트 캡의 개방 조작시 스파우트 캡으로부터 스커트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조립 단면도와 B-B선 단면도이다.

Claims (5)

  1. 캡본체(111)와, 캡본체(111)의 하단으로 복수개의 분리편(112)으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 지지되는 부정 사용 방지용 스커트(113)를 포함하며, 스커트(113)의 내측에 스파우트(200)에 결합시 안정된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내벽면(113b)의 원주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걸림편(113a)들이 내벽면(113b) 보다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 형성된 스파우트 캡(100)과;
    리필용기(3)에 접착되는 접착면(221)과 접착면(221)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며 접착면(221)에 대해 상부로 배출통로(222)가 관통 형성된 배출관(223)과, 배출관(223)의 외주면에 스커트(113)의 상호 결합시 걸림편(113a)들이 상호 삽설 지지되는 돌륜홈(226)을 소정의 깊이로 형성하며 배출관(223) 보다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돌륜테(227,228)를 가지는 스파우트(200)를 포함하며,
    캡본체(111)의 개방 동작시 스커트(113)가 돌륜홈(226)에 겉돌거나 돌륜홈(226)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돌륜홈(226)의 외주면에 돌륜홈(226)에 상호 삽설 지지된 걸림편(113a 또는 113a')들에 당접되어 스커트(113)가 캡본체(111)의 개방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돌기(229)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캡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돌륜테(227,228) 중 상측 돌륜테(227) 측벽(227a) 직경이 하측 돌륜테(228) 측벽(228a) 직경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캡 결합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걸림돌기(229)는 스파우트(200)에 결합되는 스파우트 캡(100)의 결합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한 각도로 테이퍼진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캡 결합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걸림편(113a)은 스파우트 캡(100)의 결합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한 각도로 테이퍼진 경사면을 가지거나 사각의 평면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캡 결합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스파우트 캡(100)의 하단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테두리(113c)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캡 결합구조.
KR1020070107754A 2007-10-25 2007-10-25 스파우트 캡 결합구조 KR100951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754A KR100951526B1 (ko) 2007-10-25 2007-10-25 스파우트 캡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754A KR100951526B1 (ko) 2007-10-25 2007-10-25 스파우트 캡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946A true KR20090041946A (ko) 2009-04-29
KR100951526B1 KR100951526B1 (ko) 2010-04-08

Family

ID=40764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7754A KR100951526B1 (ko) 2007-10-25 2007-10-25 스파우트 캡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152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0662A1 (ko) * 2015-07-15 2017-01-19 이현영 수밀성을 높인 스파우트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KR200489196Y1 (ko) * 2018-03-09 2019-05-15 김상순 양면 쐐기형 스파우트 장치
US10392161B2 (en) 2016-02-04 2019-08-27 Silgan White Cap LLC Container assembly with vent
CN111032524A (zh) * 2017-08-10 2020-04-17 凸版印刷株式会社 排出口栓以及具备排出口栓的包装容器
CN114026030A (zh) * 2019-05-29 2022-02-08 刮拉包装股份公司 薄壁柔性包装的闭合件
US11414242B2 (en) 2017-08-10 2022-08-16 Toppan Printing Co., Ltd. Spout assembly and packaging container having the spout assembl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555B1 (ko) * 2015-10-19 2017-01-18 이현영 자동 개폐 스파우트 마개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US10351315B2 (en) 2017-09-19 2019-07-16 Silgan White Cap LLC Closure with tamper band and spout
KR102081178B1 (ko) 2019-11-29 2020-02-25 (주)누리팩 용기 분리형 스파우트캡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19199B2 (en) * 1996-05-14 2000-05-04 Closure Systems International Japan, Ltd. Sealing device and container
US20070131641A1 (en) * 2003-08-04 2007-06-14 Abacus (C.I.) Limited Closure with frangible tamper-evident band
KR200421860Y1 (ko) * 2006-05-01 2006-07-20 김상순 스파우트 캡 결합구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0662A1 (ko) * 2015-07-15 2017-01-19 이현영 수밀성을 높인 스파우트 및 이를 이용한 포장용기
US10392161B2 (en) 2016-02-04 2019-08-27 Silgan White Cap LLC Container assembly with vent
CN111032524A (zh) * 2017-08-10 2020-04-17 凸版印刷株式会社 排出口栓以及具备排出口栓的包装容器
CN111032524B (zh) * 2017-08-10 2022-04-08 凸版印刷株式会社 排出口栓以及具备排出口栓的包装容器
US11414242B2 (en) 2017-08-10 2022-08-16 Toppan Printing Co., Ltd. Spout assembly and packaging container having the spout assembly
KR200489196Y1 (ko) * 2018-03-09 2019-05-15 김상순 양면 쐐기형 스파우트 장치
CN114026030A (zh) * 2019-05-29 2022-02-08 刮拉包装股份公司 薄壁柔性包装的闭合件
CN114026030B (zh) * 2019-05-29 2023-09-19 刮拉包装股份公司 薄壁柔性包装的闭合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1526B1 (ko) 2010-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526B1 (ko) 스파우트 캡 결합구조
US5213223A (en) Child resistant closure-adaptor
CN103958363B (zh) 显窃启封闭件
JP4698924B2 (ja) 特に流体製品用の再密閉可能な容器
US20070039915A1 (en) Dispensing closure
US20110108509A1 (en) Container closure
JPS6367267A (ja) 子供が開けることのできないねじ閉鎖装置
KR101538759B1 (ko) 용기 마개
KR101630314B1 (ko) 안전 캡을 구비한 용기
US20070262044A1 (en) Closure cap for a container
KR200467260Y1 (ko) 견고하게 밀봉되는 액체용기용 마개
KR20050009134A (ko) 열림방지용 마개구조
KR200421860Y1 (ko) 스파우트 캡 결합구조
JP3717521B2 (ja) ねじキャップを有する容器
JP2009051555A (ja) ボトルキャップ
JP2013086824A (ja) 改ざん防止キャップ
JP2009040442A (ja) タンパーエビデント機能付口栓
KR200445674Y1 (ko) 안전마개
JP2004131157A (ja) 口栓、及び口栓付き収容体
JP2001146250A (ja) 打栓取付け式の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4779306B2 (ja) 不正開封防止封緘リング付口栓
KR200493351Y1 (ko) 마개의 밀봉해제와 동시에 밀봉이 해제된 이탈방지테의 임의적인 분리를 방지한 액체저장용기
JP4608939B2 (ja) 不正開封防止封緘リング付口栓
US20070012646A1 (en) Vessel cap
JP2005350113A (ja) 不正開封防止封緘リング付口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