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1751A -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41751A KR20090041751A KR1020070107412A KR20070107412A KR20090041751A KR 20090041751 A KR20090041751 A KR 20090041751A KR 1020070107412 A KR1020070107412 A KR 1020070107412A KR 20070107412 A KR20070107412 A KR 20070107412A KR 20090041751 A KR20090041751 A KR 200900417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grip
- imaging device
- unit
- im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3—Camera grips, hand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의 영상광이 통과하는 광학계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그립부;와, 상기 본체부와 상기 그립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한 쌍의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개시한다.
촬상 장치, 커넥터부
Description
본 발명은 촬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부와 그립부가 탈착가능한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촬상 장치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장치로서, 최근 들어, 디지털 스틸 카메라 및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
그러한 촬상 장치는 일반적으로, 렌즈부를 구비한 광학계와, 광축상에 배치되는 촬상 소자와, 촬상 소자로부터 받은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는 화상처리부와, 촬영된 화상을 저장하는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최근 들어, 개성이 강조되는 사회 분위기에 따라, 소비자는 획일적인 디자인의 촬상 장치 대신에 다양한 디자인의 촬상 장치를 선호하고 있다. 특히, 소비자는 단순히 완제품의 컬러를 선택하는 수준을 넘어서, 더 나아가 자신만의 촬상 장치를 가지고 싶어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소비자의 욕구에 맞추어, 디자인 면에서 다양성을 추구하고, 디자인의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촬상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본체부와 그립부가 탈착가능한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의 영상광이 통과하는 광학계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그립부;와, 상기 본체부와 상기 그립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한 쌍의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촬상 장치는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single-lens reflex camera)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촬상 장치는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compact digital camera)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광학계를 통해 영상광이 결상되는 촬상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는, 촬상되는 영상광을 보여주는 표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립부에는 착탈이 가능한 이동식 메모리가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립부에는 상기 촬상 장치를 구동하는 배터리가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 및 상기 그립부에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그립부를 서로 결합시켜주는 적어도 한 쌍의 결합부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결합부는, 결합 돌기와 상기 결합 돌기가 끼워지는 결합 구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그립부 사이에는 보조 모듈부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 모듈부는, 상기 본체부 및 상기 그립부에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에 의하면, 소비자가 촬상 장치의 다양한 디자인을 스스로 구현할 수 있어, 소비자의 선호도를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본체부와 그립부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촬상 장치의 배면도이며, 도 3은 커넥터부가 형성된 본체부의 측면을 중점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0)는,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compact digital camera)로서, 렌즈부가 본체부와 일체로 구성된 디지털 카메라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촬상 장치(100)는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로 이루어지지 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는 렌즈의 착탈이 가능한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single-lens reflex camera)가 될 수도 있다.
촬상 장치(100)는 크게 본체부(110)와 그립부(120)로 분리되어 구성된다.
본체부(110)는 렌즈부(111) 등의 광학계, 촬상 소자(112), 제어부(113), 플래시(114), 보조광 발광 수단(115), 표시부(116), 전원 버튼(117) 등을 포함하고 있다.
렌즈부(111)는 피사체의 영상광을 통과시켜, 촬상 소자(112)로 영상광을 결상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촬상 소자(112)는 렌즈부(111)을 통과한 영상광이 화상으로 결상되는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결상된 화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촬상 소자(112)로는 CCD(charge couple devices) 소자가 이용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소자로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가 이용되어도 되고, 그 밖의 이미지 센서를 이용해도 된다.
제어부(113)는 촬상 소자(112)로부터 받은 전기적 신호를 영상 처리하여 캡처하는 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촬상 장치(100) 전체의 제어를 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플래시(114)는 어두운 곳에서 촬영할 경우 밝은 빛을 순간적으로 비추어 밝게 해주는 것으로 플래시(114)를 사용하는 플래시 모드에는 자동 플래시 모드, 강제 발광 모드, 발광 금지 모드, 적목 감소 모드, 슬로우 싱크로 모드 등이 있다.
보조광 발광 수단(115)은 광량이 부족하거나 야간 촬영 시에, 촬상 장치(100)가 자동으로 초점을 빠르고 정확하게 잡을 수 있도록 피사체에 보조광을 공급한다.
표시부(116)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이루어져 있으며, 촬상되는 피사체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촬상 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부(116)는 액정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졌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원 버튼(117)은 촬상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시키기 위해 본체부(110)의 상부에 배치된 키 입력 버튼이다.
한편, 그립부(120)는 본체부(110)와 분리되어 구성된다.
그립부(120)는 촬상 장치(100)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앞으로 약간 돌출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외형적으로 손잡이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사용자는 촬상 장치(100)로 촬영하거나 촬상 장치(100)의 운반시에 그립부(120)를 잡음으로써, 촬상이나 운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립부(120)는 배터리(121), 조작부(122), 이동식 메모리(123), 셔터-릴리즈 버튼(124) 등을 구비한다.
배터리(121)는 촬상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충전식의 전지 가 사용되나, 일회용 건전지 등도 사용될 수 있다.
조작부(122)는 각종 키 버튼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사용자가 촬상 장치(100)의 필요한 기능을 조작하기 위해 사용한다.
이동식 메모리(123)는 촬상된 영상을 저장하거나, 촬상 장치(100)를 운영하는 운영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는 메모리로서,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MMC(multimedia card)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셔터-릴리즈 버튼(124)은 촬영자의 입력에 의해 영상 촬영 신호를 생성한다. 촬영자는 셔터-릴리즈 버튼(124)을 반쯤 눌러 반셔터 신호를 입력시키면, 촬상 장치(100)는 초점을 잡고 빛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이어, 초점이 잡히고 빛의 양이 조절되면, 촬영자는 비로소 셔터-릴리즈 버튼(124)을 완전히 눌러, 촬상되는 영상을 캡쳐시킬 수 있다.
한편, 커넥터부(130)는 본체부(110)와 그립부(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커넥터부(130)는, 본체부(110)에 장착된 제1커넥터(131)와, 그립부(120)에 장착된 제2커넥터(132)가 쌍을 이루고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2커넥터(132)의 핀이 제1커넥터(131)의 핀구멍에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커넥터(132)의 핀의 개수와 제1커넥터(131)의 핀구멍의 개수는 각각 36핀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개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다만, 그 개수는 호환을 위해 제조사의 규약에 의해 일정하게 결정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110)에 핀구멍을 구비한 제1커넥터(131)가 장착 되고, 그립부(120)에 핀을 구비한 제2커넥터(132)가 장착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부(110)에 핀을 구비한 제2커넥터가 장착되고, 그립부(120)에 핀구멍을 구비한 제1커넥터가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0)는, 한 쌍의 커넥터부(130)를 구비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부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설계자가 판단하기에, 본체부(110)와 그립부(120)의 데이터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3쌍의 커넥터부들이 필요하다면, 3쌍의 커넥터부가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촬상 장치(100)의 본체부(110)와 그립부(120)의 전기적인 연결은 한 쌍의 커넥터부(130)를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전기적인 연결의 인터페이스는 통일화된 규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는, 제조사가 여러 종류의 그립부를 생산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그 중의 어느 하나의 그립부를 구입하여 본체부에 결합시켜도 작동이 잘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그립부(120)와 본체부(110)의 호환을 위해서는 전기적인 인터페이스의 규격을 설정하고, 그에 맞추어 제조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촬상 장치(100)에는 결합부(14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결합부(140)는 본체부(110)와 그립부(120)를 서로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4개의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결합부(140)는, 결합 구멍(141)과 결합 돌기(142)가 쌍으로 이루어지는데, 본체부(110)에는 결합 구멍(141)이 형성되고, 그립부(120)에는 결합 돌기(142) 가 형성되어 있어, 본체부(110)와 그립부(120)의 결합시 결합 돌기(141)가 결합 구멍(142)에 끼워져 결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결합 돌기(142)는 판 스프링을 절곡한 2겹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돌출부(142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결합 구멍(141)은 구멍의 인입부 사이의 거리(S1)보다 안쪽 부분 사이의 거리(S2)의 크기가 더 큰 구조를 가지고 있다. 결합 돌기(142)와 결합 구멍(141)과의 결합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커넥터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결합 돌기(142)가 결합 구멍(141)과 결합을 시작하면, 결합 돌기(142)의 돌출부(142a)의 사면은 결합 구멍(141)의 인입부를 통과하면서 힘을 받아, 돌출부(142a)의 사이의 거리(d)가 좁혀지게 된다. 이어, 결합 돌기(142)가 결합 구멍(141)과 완전히 결합하면 돌출부(142a)가 결합 구멍(141)의 안쪽 부분에 도달하면서 돌출부(142a) 사이의 거리(d)가 다시 커지게 되고, 그렇게 되면, 결합 돌기(142)와 결합 구멍(141)의 결합이 공고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 돌기(142)가 결합 구멍(141)에 결합하는 과정은, 결합 돌기(142)를 결합 구멍(141)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에도 그대로 적용되며, 그 경우에는 결합 과정과 반대의 과정으로 진행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110)에 결합 구멍(141)이 형성되고, 그립부(120)에 결합 돌기(142)가 형성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부(110)에 결합 돌기(142)가 형성되고, 그립부(120)에 결합 구멍(141)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0)는, 4쌍의 결합부(140)를 구비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합부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설계자가 판단하기에, 본체부(110)와 그립부(120)의 공고한 고정을 위해 6쌍의 결합부들이 필요하다면, 촬상 장치(100)는 6쌍의 결합부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촬상 장치(100)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모습을 설명한다.
촬상 장치(100)의 제조업체는, 한 종류의 본체부(110)와, 여러 종류의 그립부(120)를 제조하여 시판하게 되고, 그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선호에 맞추어 그립부(120)를 선택하여 구매한다. 여기서, 여러 종류의 그립부(120)라고 함은, 그 형태, 색상, 기능 등이 상이한 것을 의미하며, 그립부(120)의 종류가 다르더라도 본체부(110)와 그립부(120)는 커넥터부(130) 및 결합부(140)를 구비하고 있다.
이어, 사용자는 커넥터부(130)와 결합부(140)를 이용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부(120)와 본체부(110)를 서로 연결 및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110)는 한 종류이고, 그립부(120)는 여러 종류로 제작되어 결합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부가 여러 종류이고 그립부가 한 종류일 수도 있고, 본체부 및 그립부가 여러 종류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110)는 렌즈부(111) 등의 광학계, 촬상 소자(112), 제어부(113), 플래시(114), 보조광 발광 수단(115), 표시부(116), 전원 버튼(117) 등을 포함하고, 그립부(120)는 배터리(121), 조작부(122), 이동식 메모 리(123), 셔터-릴리즈 버튼(123) 등을 포함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설계자의 설계에 따라, 본체부(110)의 촬상 소자(112), 제어부(113), 플래시(114), 보조광 발광 수단(115), 표시부(116), 전원 버튼(117) 등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그립부(120)에 포함될 수도 있고, 역으로, 그립부(120)의 배터리(121), 조작부(122), 이동식 메모리(123), 셔터-릴리즈 버튼(123) 등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본체부(11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촬상 장치(100)에 따르면, 본체부(110)와 그립부(120)를 탈착가능하도록 구성하고, 본체부(110)에 여러 종류의 그립부(120)를 선택하여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게 된다.
첫째로, 사용자는 자신의 선호에 따라 그립부(120)를 선택하여 촬상 장치(100)를 구성함으로써, 자신만의 촬상 장치(100)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둘째로, 사용자는 복수개의 그립부(120)를 구입한다면, 기분에 따라 그립부(120)가 다른 촬상 장치(100)를 자유롭게 구현함으로써, 한 대의 본체부(110)로 여러대의 촬상 장치(100)를 구입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셋째로, 제조자는 적은 개발 비용으로도, 다양한 제품을 출시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게 되고, 본체부와 그립부의 모듈화로 인하여 개발 과정에서 개발 시간 및 개발 비용이 줄게 된다.
넷째로, 제조자는 하나의 본체부(110)에 다양한 그립부(120)를 출시함으로써, 소비자 만족을 극대화시킬 뿐만 아니라, 타사 제품에 비하여 디자인 측면에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관한 촬상 장치에 관하여 설명하되, 본 발명의 실시예와 상이한 사항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배면도로서, 그립부와 보조 모듈부가 본체부에 연결되지 않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른 촬상 장치(200)는,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로서, 크게 본체부(210), 그립부(220) 및 보조 모듈부(230)로 분리되어 구성된다.
본체부(210)는 렌즈부 등의 광학계, 촬상 소자, 제어부, 플래시, 보조광 발광 수단, 표시부(216), 전원 버튼(217)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본 실시예의 본체부(110)의 구성과 거의 유사하므로, 여기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그립부(220)는 본체부(210)와 분리되어 구성되는데, 배터리, 이동식 메모리, 조작부(222), 셔터-릴리즈 버튼(224) 등을 구비한다. 그립부(220)의 구성도 본 실시예의 그립부(120)의 구성과 거의 유사하므로, 여기서 설명은 생략한다.
보조 모듈부(230)는 본체부(210)와 그립부(220) 사이에 배치되는데, 본체부(210)와 그립부(220)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보조 모듈부(230)는 MP3(MPEG layer 3) 플레이어 모듈로서, MP3 형식의 음악을 재생할 수 있는 모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 모듈부(230)가 MP3 플레이어 모듈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보조 모듈부는, Wi-Fi(Wireless-Fidelity) 모듈,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등이 될 수도 있다.
또한, 보조 모듈부(230)에는 보조 모듈부(230)의 조작을 위한 조작 버 튼(231)이 배치되어 있다.
한편, 커넥터부는, 본체부(210)에 형성된 제1커넥터(241), 보조 모듈부(230)에 형성된 제2커넥터(242) 및 제3커넥터(243), 그립부(220)에 형성된 제4커넥터(244)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제1커넥터(241)와 제2커넥터(242)가 쌍을 이루고 있고, 제3커넥터(243)와 제4커넥터(244)가 쌍을 이루고 있는데, 제2커넥터(242)의 핀이 제1커넥터(241)의 핀구멍에 끼워지고, 제4커넥터(244)의 핀이 제3커넥터(243)의 핀구멍에 끼워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그립부(220)와 보조 모듈부(230)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은 제3커넥터(243)와 제4커넥터(244)에 의해 이루어지고, 본체부(210)와 그립부(220) 및 보조 모듈부(230)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은 제1커넥터(241)와 제2커넥터(242)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결합부는, 본체부(210)에 형성된 제1 결합 구멍(251), 보조 모듈부(230)에 형성된 제1 결합 돌기(252) 및 제2 결합 구멍(253), 그립부(220)에 형성된 제2 결합 돌기(254)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제1 결합 구멍(251)과 제1 결합 돌기(252)가 쌍을 이루고 있고, 제2 결합 구멍(253)과 제2 결합 돌기(254)가 쌍을 이루고 있는데, 보조 모듈부(230)를 본체부(210)에 결합시 제1 결합 돌기(252)가 제1 결합 구멍(251)에 끼워지고, 그립부(220)를 보조 모듈부(230)에 결합시 제2 결합 돌기(254)가 제2 결합 구멍(253)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른 촬상 장치(200)에 따르면, 본체부(210), 그립부(220) 및 보조 모듈부(230)를 탈착가능하도록 구성하고, 본체부(210)에 여러 종류의 그립부(220) 및 보조 모듈부(230)를 선택하여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게 된다.
첫째로, 사용자는 자신의 선호에 따라 그립부(220) 및 보조 모듈부(230)를 선택하여 촬상 장치(200)를 구성함으로써, 자신만의 촬상 장치(200)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둘째로, 제조자가 다양한 기능의 보조 모듈부(230)를 생산한다면, 사용자는 다양한 기능의 보조 모듈부(230)를 구입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보조 모듈부(230)을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살펴본 구성, 작용 및 효과 이외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따른 촬상 장치(200)의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0)의 구성, 작용 및 효과와 동일하므로, 본 설명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본체부와 그립부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촬상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은 커넥터부가 형성된 본체부의 측면을 중점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커넥터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본체부와 그립부가 서로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변형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배면도로서, 그립부와 보조 모듈부가 본체부에 연결되지 않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촬상 장치 110, 210: 본체부
111: 렌즈부 112: 촬상 소자
113: 제어부 114: 플래시
115: 보조광 발광 수단 116, 216: 표시부
117, 217: 전원 버튼 120, 220: 그립부
121: 배터리 122: 조작부
123: 이동식 메모리 124, 224: 셔터-릴리즈 버튼
130: 커넥터부 131, 241: 제1커넥터
132, 242: 제2커넥터 140: 결합부
141: 결합 구멍 142: 결합 돌기
230: 보조 모듈부 243: 제3커넥터
244: 제4커넥터
Claims (11)
-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상기 피사체의 영상광이 통과하는 광학계를 포함하는 본체부;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그립부; 및상기 본체부와 상기 그립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한 쌍의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촬상 장치는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single-lens reflex camera)인 촬상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촬상 장치는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compact digital camera)인 촬상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본체부는, 상기 광학계를 통해 영상광이 결상되는 촬상 소자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본체부는, 촬상되는 영상광을 보여주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그립부에는 착탈이 가능한 이동식 메모리가 장착되는 촬상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그립부에는 상기 촬상 장치를 구동하는 배터리가 장착되는 촬상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본체부 및 상기 그립부에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그립부를 서로 결합시켜주는 적어도 한 쌍의 결합부가 배치되는 촬상 장치.
- 제8항에 있어서,상기 한 쌍의 결합부는, 결합 돌기와 상기 결합 돌기가 끼워지는 결합 구멍으로 이루어진 촬상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본체부와 상기 그립부 사이에는 보조 모듈부가 추가로 배치되는 촬상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상기 보조 모듈부는, 상기 본체부 및 상기 그립부에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촬상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7412A KR101417804B1 (ko) | 2007-10-24 | 2007-10-24 | 촬상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7412A KR101417804B1 (ko) | 2007-10-24 | 2007-10-24 | 촬상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41751A true KR20090041751A (ko) | 2009-04-29 |
KR101417804B1 KR101417804B1 (ko) | 2014-07-09 |
Family
ID=40764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07412A KR101417804B1 (ko) | 2007-10-24 | 2007-10-24 | 촬상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1780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1907B1 (ko) * | 2008-03-07 | 2014-06-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추가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 확장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917545A (en) * | 1995-08-31 | 1999-06-29 | Nikon Corporation | Electronic still camera that can be directly inserted in an external device |
KR100262535B1 (ko) * | 1997-12-29 | 2000-08-01 | 윤종용 | 디지털 스틸 카메라 |
KR101120090B1 (ko) * | 2005-05-26 | 2012-03-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부가기능 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
-
2007
- 2007-10-24 KR KR1020070107412A patent/KR101417804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1907B1 (ko) * | 2008-03-07 | 2014-06-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추가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 확장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17804B1 (ko) | 2014-07-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7003646A (ja) | カメラシステム、レンズユニット、及びアクセサリ | |
US7637674B2 (en) | Image pickup apparatus | |
US20170223236A1 (en) | Wearable Camera Apparatus | |
JP2008193457A (ja) | デジタルカメラ、及びデジタルカメラの制御方法 | |
JP5420381B2 (ja) | 撮影機器及びこの撮影機器に着脱可能なアクセサリ機器 | |
US8787749B2 (en) | Electronic apparatus | |
TWI446089B (zh) | 鏡頭擴充座 | |
JP2009077090A (ja) |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及び画像読み出しシステム | |
KR101417804B1 (ko) | 촬상 장치 | |
JP6861334B2 (ja) | 撮像装置 | |
JP2011078021A (ja) | ストロボ付き電子ビューファインダ | |
JP5153441B2 (ja) |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2006220759A (ja) | 電源補助装置および撮影装置 | |
JP4453550B2 (ja) | 撮像装置 | |
CN100361506C (zh) | 支座装置及照相机系统 | |
JP2011109453A (ja) | 撮影機器システム、外部機器、およびアダプタ | |
JPH1084523A (ja) | デジタルカメラ | |
JP2001257919A (ja) | 電子カメラおよびケーブル | |
JP2003241277A (ja) | カメラ | |
JP2006171494A (ja) | カメラ用アクセサリ | |
KR101411907B1 (ko) | 추가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 확장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 |
JP2010220069A (ja) | 電子機器 | |
JP2006323080A (ja) | 撮影装置 | |
JP6555632B2 (ja) | レンズ交換式カメラ | |
JP2006157398A (ja) | カメラ及び電子機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