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1907B1 - 추가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 확장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추가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 확장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1907B1
KR101411907B1 KR1020080021577A KR20080021577A KR101411907B1 KR 101411907 B1 KR101411907 B1 KR 101411907B1 KR 1020080021577 A KR1020080021577 A KR 1020080021577A KR 20080021577 A KR20080021577 A KR 20080021577A KR 101411907 B1 KR101411907 B1 KR 101411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cessing
digital image
function
processing apparatu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1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6162A (ko
Inventor
오승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1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1907B1/ko
Publication of KR20090096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6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Handles; Gri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5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 H05K5/02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having standardized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추가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 확장 모듈에 관한 것으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와 접속하도록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와 제어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된 입력 제어신호 또는 입력 데이터를 상기 프로그램에 따라 신호처리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기능 확장 모듈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구매 후에도 새로 개발된 기능을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추가할 수 있도록 한다.
기능 확장 모듈,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기능 추가

Description

추가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 확장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Function extension module which provides extra function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본체부와 그립부의 분리가 가능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 확장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장치로서, 최근 들어, 디지털 스틸 카메라 및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
그러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일반적으로, 렌즈부를 구비한 광학계와, 광축상에 배치되는 촬상소자와, 촬상소자로부터 받은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는 화상처리부와, 촬영된 화상을 저장하는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최근 들어, 개성이 강조되는 사회 분위기에 따라, 소비자는 획일적인 디자인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대신에 다양한 디자인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선호하고 있다. 특히, 소비자는 단순히 완제품의 컬러를 선택하는 수준을 넘어서, 더 나 아가 자신만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가지고 싶어하는 추세이다.
또한 나날이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새로운 기능을 갖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들이 계속해서 쏟아져 나오는 상황에서 소비자는 새로운 기능을 가진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구매하고 싶은 욕구에도 불구하고 만만치 않은 가격 때문에 섣불리 구매 결정을 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소비자의 욕구에 맞추어, 디자인 면에서 다양성을 추구하는 것 뿐만 아니라 기존에 소비자가 가지고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새롭게 개발된 기능만을 추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추가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 확장 모듈 및 이를 포함하며 본체부와 그립부의 분리가 가능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측면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와 접속하도록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와 제어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된 입력 제어신호 또는 입력 데이터를 상기 프로그램에 따라 신호처리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기능 확장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피사체의 영상광이 통과하는 광학계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탈착 가능한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본체부와 접속하여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그립부와 접속하여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신호처리에 의하여 출력 제어신호 또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출력 제어신호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신호처리에 의하여 출력 제어신호 또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생성된 상기 출력 제어신호 또는 출력 데이터를 인가받아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신호 또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부로부터 수신한 신호와 데이터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인가되는 상기 입력 제어신호와 입력 데이터를 사용하여 신호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제어신호 또는 입력 데이터가 상기 특정 기능의 수행과 관련없는 제어신호 또는 데이터인 경우, 상기 입력 제어신호 또는 입력 데이터를 제1 또는 제2 인터페이스부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그립부에 구비된 전력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능은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구비되지 않은 기능일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측면은 피사체의 영상광이 통과하는 광학계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는 기능 확장 모듈 및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기능 확장 모듈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그 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능 확장 모듈은 상기 제1항 내지 제6항의 기능 확장 모듈 중 어느 하나의 기능 확장 모듈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기능 확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와 통신 가능한 제1 인터페이스부, 제2 인터페이스부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구비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상기 특정 기능을 제공함으로 인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가 기본적인 기능만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추후에 별도로 추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기능 확장 모듈을 연결시킨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상기 기능 확장 모듈이 제공하는 특정 기능을 더이상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를 분리하여 부피 및 무게를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기능 확장 모듈(100)의 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기능 확장 모듈(100)은 인터페이스부들(110, 120)을 구비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들(110, 120)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와 접속하도록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또는 제어신호 등을 송수신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들(110, 120)은 제1 인터페이스부(110) 및 제2 인터페이스 부(1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110)는 외부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120)는 내부로 함몰된 형태를 가진다.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110)는 제2 인터페이스부(120)와 동일한 규격의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일측과 서로 완벽하게 맞물려 데이터 및 제어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120)도 제1 인터페이스부(110)와 동일한 규격의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일측과 서로 완벽하게 맞물려 데이터 및 제어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장치가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와 그립부를 분리시킬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인 경우, 본체부에 구비된 본체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120)와 동일한 규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110)를 접속하여 데이터 및 제어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며, 상기 그립부에 구비된 그립 인터페이스부에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120)를 접속하여 데이터 및 제어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상기 언급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와의 연결 이외에, 2 이상의 기능 확장 모듈 사이에서는 어느 하나의 기능 확장 모듈의 제1 인터페이스부를 다른 기능 확장 모듈의 제2 인터페이스부와 연결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기능 확장 모듈(100)이 외부 장치와 접속하는 경우, 상기 외부 장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 결합부(130) 및 제2 결합부(1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130)는 제1 인터페이스부(110)가 접속되는 외부 장치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외부 장치에는 제1 결합부가 고정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될 것이며, 상기 외부 장치에 구비되는 장치는 제2 결합부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것 이다. 마찬가지로 제2 결합부(140)는 제2 인터페이스부(120)에 접속되는 외부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제1 결합부(130)와 동일한 규격의 고정 장치가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2 인터페이스부(110)의 핀이 제2 인터페이스부(120)의 핀구멍에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에서는 제1 인터페이스부(110)의 핀의 개수와 제2 인터페이스부(120)의 핀구멍의 개수는 각각 36핀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개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다만, 그 개수는 호환을 위해 제조사의 규약에 의해 일정하게 결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능 확장 모듈에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와 기능 확장 모듈, 또는 복수의 기능 확장 모듈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은 한 쌍의 인터페이스부들(110, 120)를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전기적인 연결의 인터페이스는 통일화된 규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는, 제조사가 여러 종류의 기능 확장 모듈을 생산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그 중의 어느 하나의 기능 확장 모듈을 구입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결합시켜도 작동이 잘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기능 확장 모듈(20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기능 확장 모듈(200)의 내부 구성 및 기능을 살펴보면,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기능 확장 모듈(200)은 제1 인터페이스부(210) 및 제2 인터페이스부(220)를 구비하며, 메모리(230), 프로세서(240), 출력부(250), 수신부(2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부(210) 및 제2 인터페이스부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본체 부 및 그립부에 각각 접속하여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본체부에는 피사체의 영상광이 통과하는 광학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그립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탈착이 가능하다.
메모리(230)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는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여러가지 데이터 등을 더 포함하여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특정 기능이란 상기 기능 확장 모듈(200)이 제공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구비되지 않은 기능인 것을 의미한다. 즉,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MP3 플레이어 기능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기능 확장 모듈(200)은 상기 특정 기능으로서 MP3 플레이어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40)는 상기 제1 및 제2 인터페이스부(210, 220)를 통하여 전송되는 입력 제어신호 또는 입력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23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신호처리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기능 확장 모듈(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기능 확장 모듈(200)이 제공하는 특정 기능이 MP3 플레이어 기능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240)는 mp3 형식의 파일을 디코딩하고, 상기 디코딩한 mp3 파일의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가능하도록 한다.
기능 확장 모듈(200)은 또한 출력부(250) 및 수신부(260)는 상기 기능 확장 모듈(200)에서 제공하는 특정 기능에 따라서 필요한 경우에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250)는 상기 프로세서(240)에서 생성한 출력신호 또는 출력 데이터 등을 외부로 출력한다. 상기 기능 확장 모듈(200)이 제공하는 특정 기능이 상 기 언급한 바와 같이 MP3 플레이어인 경우에는 출력부(250)로서 스피커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기능이 통신기능인 경우에는 출력부(250)로서 통신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통신부 등은 출력부(250)의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언급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능 확장 모듈(200)이 제공하는 특정 기능에 따라서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신부(260)는 상기 프로세서(250)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신호나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공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상기 기능 확장 모듈(200)이 제공하는 특정 기능이 GPS 신호에 따른 위치 인식 기능인 경우에, 상기 수신부(260)로서 GPS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언급한 각 부분에 의한 기능 확장 모듈(200)의 기능 수행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일단 그립부에서 제2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하여 제1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어신호는 제1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하여 본체부로 인가된다. 상기 본체부에 구비된 주 제어기에 의하여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제2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2 제어신호를 제1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하여 기능 확장 모듈(200)에 인가한다.
기능 확장 모듈(200)의 프로셋(240)는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인가받으면 상기 제2 제어신호가 상기 기능 확장 모듈(200)이 수행하는 특정 기능에 관련된 제어신호인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2 제어신호가 상기 특정 기능에 관련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제어신호를 그립부로 통과시키나 상기 특정 기능에 사 용되는 제어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제2 제어신호를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신호처리한다. 상기 신호처리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신호처리 결과 상기 프로세서(240)는 출력 제어신호 또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출력 제어신호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제1 인터페이스부(210) 또는 제2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본체부 또는 그립부로 각각 전송한다.
상기 특정 기능에 따라서 수신부(260)를 더 구비한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부(260)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나 데이터를 인가받아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신호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특정 기능에 의하여 출력부(250)를 더 구비한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인가된 입력 제어신호 또는 입력 데이터의 신호처리 결과 생성된 출력 제어신호 또는 출력 데이터를 상기 출력부(250)에 인가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으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출력 방법이란 스피커를 통한 음성 출력,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한 화상 출력, 통신장치에 의한 전파 등 외부로 데이터나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기능 확장 모듈(200)의 각 부분의 기능 수행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기능 확장 모듈(200)은 전원 공급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270)는 상기 기능 확장 모듈(200) 외부에 접속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본체부 또는 그립부에 구비된 전력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기능 확장 모듈(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상기 전원 공급부(270)는 상기 기능 확장 모듈(200 내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외부와 통신 가능한 제1 인터페이스부, 제2 인터페이스부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구비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상기 특정 기능을 제공함으로 인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가 기본적인 기능만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추후에 별도로 추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기능 확장 모듈을 연결시킨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서 상기 기능 확장 모듈이 제공하는 특정 기능을 더이상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를 분리하여 부피 및 무게를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에 따른 기능 확장 모듈의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이하, 각종 제어신호는 편의상 CS_1, CS_2의 순서로 식별표시를 부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도 3 내지 도 5의 설명에 있어서 셔터-릴리즈 버튼, 기능 버튼 등 사용자에 의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사용자 입력부가 그립부에 구비된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는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는 않으며, 본체부에 버튼 등의 사용자 입력부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 확장 모듈의 일 실시 예로 MP3 플레이어 기능을 구비한 기능 확장 모듈을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가 MP3 플레이어를 작동시켜 음악을 듣고자 하는 경우 버튼 조작에 의하여 MP3 플레이어 기능을 실행시킨다. MP3 플레이어 기능을 실행시키는 UI(User Interface)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특정 음악을 재생시키기 위하여 버튼 조작에 의해 CS_1 신호를 인가하면 상기 CS_1 신호는 제2 인터페이스 부(320), 프로세서(340), 제1 인터페이스부(310)를 통과하여 본체부에 인가된다.
본체부에 인가된 CS_1 신호는 상기 본체부에 구비된 주 제어기에 의하여 기능 확장 모듈(300)의 프로세서(340)에서 사용가능한 제어신호인 CS_2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CS_2 신호를 제1 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하여 프로세서(340)에 인가한다.
프로세서(340)는 상기 프로세서(34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341)에서 상기 CS_2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기능 확장 모듈(300)에서 제공하는 특정 기능에 사용되는 제어신호인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41)는 CS_2 신호에 따라서 특정 음악을 재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특정 음악의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mp3 파일을 호출하는 제어신호인 CS_3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CS_3 신호는 제2 인터페이스부(320)를 통하여 그립부에 인가되고, 상기 그립부에 포함된 저장매체로부터 mp3파일을 호출한다.
상기 호출된 mp3 파일은 제2 인터페이스부(320)를 통하여 프로세서(340)에 인가되고, 상기 프로세서(340)에 포함된 디코딩부(342)에서 디코딩된다. 상기 디코딩된 mp3 파일에 포함된 음성 데이터는 출력부로서 구비된 스피커(350)를 통하여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재생된다.
전원 공급부(370)는 그립부 측에 구비된 전력원(371)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MP3 플레이어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구입 당시에는 MP3 플레이어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MP3 플레이어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 확장 모듈을 장착함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mp3 파일을 재생시켜 음악을 들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스피커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능 확장 모듈에 반드시 스피커를 포함하고 있을 필요는 없으며 본체부나 그립부 등 스피커를 포함하고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어느 한 부분에 디코딩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여 출력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4에서는 기능 확장 모듈의 다른 실시 예로 GPS 신호 수신 기능을 구비한 기능 확장 모듈을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에 의하여 셔터-릴리즈 버튼이 온(ON) 되어 피사체의 영상을 포착하고 이미지 파일을 생성할 때에, 도 4에서와 같이 GPS 모듈(460)이 수신부로서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이미지 파일의 Exif 헤더에 위치 데이터를 포함시킬 수 있다. 셔터-릴리즈 버튼이 온(ON) 되어 CS_4 신호가 인가되면 기능 확장 모듈(400)의 제2 인터페이스부(420), 프로세서(440) 및 제1 인터페이스부(410)을 차례로 통과하여 본체부로 전송된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CS_4 신호를 인가받으면 주 제어부에서 상기 CS_4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상기 본체부에 구비된 촬상부 등을 작동시켜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고, 위치 데이터를 호출하기 위하여 CS_5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기능 확장 모듈(400)에 인가한다.
상기 CS_5 신호를 인가받은 기능 확장 모듈(400)의 프로세서(440)는 상기 프로세서(440)에 포함된 제어부(441)에서 상기 CS_5 신호가 기능 확장 모듈(400)에 의하여 제공되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신호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CS_5는 위치 데이터를 호출하는 제어신호이므로 상기 프로세서(440)는 메모리(430) 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상기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하여 수신부로서 구비한 GPS 모듈에서 GPS 위성으로부터 전송된 GPS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프로세서(440)에 포함된 신호 분석부(442)에 인가한다. 상기 신호 분석부(442)는 GPS 신호를 분석하여 지표상의 좌표값 등의 위치 데이터로 변환한다.
상기 변환된 위치 데이터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410)를 통하여 본체부에 전송되고, 상기 위치 데이터를 전송받은 본체부에서는 생성하는 이미지 파일의 Exif 헤더에 상기 위치 데이터를 포함시킨다.
도 3에서와 마찬가지로, 전원 공급부(470)는 그립부 측에 구비된 전력원(471)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위치 데이터 수신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GPS 모듈을 구비하지 않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구입한 경우에도 기능 확장 모듈을 구입함으로 인하여 위치 데이터를 이미지 파일의 Exif 헤더에 포함시키는 등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서는 기능 확장 모듈의 또 다른 실시 예로 통신 기능을 구비한 기능 확장 모듈을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기능 확장 모듈(500)은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부(550)를 포함하여 출력부 및 수신부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하, 영상 데이터를 외부의 디지털 장치, 예를 들어 휴대용 전화기나 컴퓨터 등에 전송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에 의하여 사진이나 동영상 등의 영상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고자 하는 제어신호인 CS_6 신호가 인가되면, 본체부에 상기 CS_6 신호가 인가되어 기능 확장 모듈(500)을 제어하기 위한 CS_7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기능 확장 모듈(500)의 프로세서(540)에 인가한다.
상기 프로세서(540)의 제어부(541)에서는 상기 CS_7 신호를 메모리(530)에 포함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신호처리하여 외부 장치에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동작에 따라서 상기 제어부(541)는 전송하고자 하는 영상 데이터를 인가받기 위하여 그립부에 구비된 저장매체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호출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전송하는 대상을 특정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상대의 주소를 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주소는 이메일 주소, 휴대용 전화기 번호, 서버의 IP 주소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생성된 신호들을 CS_8 신호라고 할 때, 상기 CS_8 신호는 그립부에 인가된다. 상기 CS_8 신호를 인가받은 그립부에서는 상기 CS_8 신호에 따라서 전송하고자 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매체로부터 기능 확장 모듈(500)로 전송한다. 또한 주소 입력의 요청을 받은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를 조작하게 되며, 상기 조작에 의하여 전송할 상대의 주소를 나타내는 신호인 CS_9 신호가 기능 확장 모듈(500)에 인가된다.
프로세서(540)에 포함된 데이터 변화부(542)에서는 상기 인가받은 영상 데이터 및 CS_9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통신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여 통신부(550)로 인가한다. 상기 통신부(550)는 상기 변환된 영상 데이터 및 CS_9 신호를 전파의 형태 로 전송한다.
도 3에서와 마찬가지로, 전원 공급부(570)는 그립부 측에 구비된 전력원(571)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통신 기능의 수행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는 통신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나, 본 발명에 따른 기능 확장 모듈을 사용함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추후에 통신 기능을 추가하여 자신이 촬영한 사진 등을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5에서 그립부에서 인가되는 최초의 제어신호인 CS_1, CS_4, CS_6 등이 일단 본체부의 주 제어부에 인가된 후 프로세서에 적용 가능한 제어신호인 CS_2, CS_5, CS_7로 변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그립부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로부터의 입력 제어신호를 프로세서가 직접 사용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도 3 내지 도 5에서 프로세서들(340, 440, 540)은 제어부 및 기타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상 구분한 것으로 제어부 한 부분에 의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설명하는 방식에 따라서 더 세분화된 부분에 의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프로세서들(340, 440, 540)는 각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기능 확장 모듈이 제공하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의 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복수의 칩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능 확장 모듈을 포함하고 본체부와 그립부가 분리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배면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600)는,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compact digital camera)로서, 렌즈부가 본체부와 일체로 구성된 디지털 카메라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600)는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로 이루어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렌즈의 착탈이 가능한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single-lens reflex camera)가 될 수도 있다.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600)는 크게 본체부(610)와 그립부(620) 및 상기 본체부(610)와 그립부(620) 사이에 장착되는 기능 확장 모듈(630)로 분리되어 구성된다.
본체부(610)는 렌즈부(611) 등의 광학계, 촬상소자(612), 주 제어부(613), 플래시(614), 보조광 발광 수단(615), 디스플레이부(616), 전원 버튼(617) 등을 포함하고 있다.
플래시(614)는 어두운 곳에서 촬영할 경우 밝은 빛을 순간적으로 비추어 밝게 해주는 것으로 플래시(614)를 사용하는 플래시 모드에는 자동 플래시 모드, 강제 발광 모드, 발광 금지 모드, 적목 감소 모드, 슬로우 싱크로 모드 등이 있다.
보조광 발광 수단(615)은 광량이 부족하거나 야간 촬영 시에,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600)가 자동으로 초점을 빠르고 정확하게 잡을 수 있도록 피사체에 보조 광을 공급한다.
디스플레이부(616)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이루어져 있으며, 촬상되는 피사체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600)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616)는 액정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졌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원 버튼(617)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600)에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시키기 위해 본체부(610)의 상부에 배치된 키 입력 버튼이다.
광학계, 촬상소자(612) 및 주 제어부(613)에 대한 설명은 도 8에서 상세히 하도록 한다.
한편, 그립부(620)는 본체부(610)와 분리되어 구성된다.
그립부(620)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600)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앞으로 약간 돌출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외형적으로 손잡이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사용자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600)로 촬영하거나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600)의 운반시에 그립부(620)를 잡음으로써, 촬영이나 운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그립부(620)는 전력원으로서의 배터리(621), 사용자 입력부(622), 저장매체로서의 이동식 메모리(623), 셔터-릴리즈 버튼(624) 등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본체부(610) 및 그립부(620) 사이에 기능 확장 모듈(630)이 위치 한다. 상기 기능 확장 모듈(630)은 본체부(610)와 연결하여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642) 및 그립부(620)와 연결하여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643)을 포함한다. 또한 기능 확장 모듈(630)을 상기 본체부(610) 및 그립부(620)와 안정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제1 결합부(652) 및 제2 결합부(653)을 구비한다.
기능 확장 모듈(630)을 제거한 상태로도 본체부(610)와 그립부(620)가 결합이 가능해야 하므로, 본체부에 구비된 결합부(651)와 그립부에 구비된 결합부(654)도 서로 결합이 가능하다. 또한 본체부(610)에 구비된 인터페이스부와 그립부(620)에 구비된 인터페이스부(644)도 서로 결합이 가능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경우, 도 6(a)와 모든 구성이 동일하며, 단지 기능 확장 모듈을 2개를 구비하고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기능 확장 모듈을 추가할 수 있는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며 3쌍의 기능 확장 모듈이 장착될 수도 있으며, 그 3쌍 이상의 기능 확장 모듈을 장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6(a) 및 도 6(b)에서 설명하지 않은 내용을 중심으로 기능 확장 모듈(830)을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800)의 내부 구성에 의한 기능을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본체부(810)는 촬상부(811), 영상신호 처리부(812), 주 제어부(813), RAM(814), 디스플레이부(815), 본체 인터페이스부(816) 및 상기 본체부(8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817)를 구비한다.
촬상부(811)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피사체의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부분이다. 상기 촬상부(811)에는 피사체로부터의 영상광을 통과시키는 렌즈부 등의 광학계 및 상기 통과된 영상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소자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촬상소자로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나 CCD(charge coupled device)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영상신호 처리부(812)는 상기 촬상부(811)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를 분석하여 영상을 나타내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부분이다. 상기 생성된 영상신호들은 후술할 RAM(814)에 인가한다. 상기 인가된 영상신호들은 상기 RAM(814)에 일시적으로 저장되고, 프리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815)에 의하여 프리뷰 영상으로 제공된다.
주 제어부(813)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8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후술할 사용자 입력부(832)로부터 입력신호를 인가받아 본체부(810) 또는 기능 확장 모듈(820)에 의하여 제공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저장부는 각종 신호, 데이터 및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800)의 동작을 위한 알고리즘 등을 저장한다. 상기 저장부는 RAM(814) 및 저장매체(833)를 포함할 수 있다.
RAM(814)은 임시 저장매체로서 제어부(813)로부터의 각종 제어신호, 상기 영 상신호 처리부(812)로부터의 영상신호 등이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부분이다. 상기 임시 저장매체로서의 RAM(814)은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저장매체(833)에 대하여는 그립부(830)의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전원 공급부(817)는 본체부(81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으로 자체적으로 전원 공급이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나, 그립부(830)에 구비된 전력원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본체부(810)에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능 확장 모듈(820)은 제1 인터페이스부(821), 제2 인터페이스부(822), 메모리(823), 프로세서(824), 출력부(825), 수신부(826) 및 전원 공급부(827)을 구비한다.
제1 인터페이스부(821)는 후술할 그립 인터페이스부(831)와 동일한 규격의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상기 본체 인터페이스부(816)와 연결되어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송수신한다.
마찬가지로 제2 인터페이스부(822)는 본체 인터페이스부(816)와 동일한 규격의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후술할 그립 인터페이스부(831)와 연결되어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송수신한다.
기능 확장 모듈(820)의 기타 부분에 대한에 대한 설명은 도 2에서 자세히 기재하였는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그립부(830)는 사용자 입력부(832), 저장매체(833), 그립 인터페이스부(831) 및 전력원(834)을 구비한다.
상기 저장매체(833)는 데이터 등을 장기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장기 저장매체로서, 상기 저장매체(833)에는 촬영 조건 등과 관련된 사용자의 설정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알고리즘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매체(833)로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상부(811)에 의하여 촬영되어 생성되는 이미지 파일들, 상기 이미지 파일들에 대한 속성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파일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매체로는 메모리 카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내장형 또는 탈착이 가능한 외장형일 수 있다.
전력원(834)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8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충전식의 전지가 사용되나, 일회용 건전지 등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력원(834)은 그립부(830) 뿐만 아니라 본체부(810) 및 기능 확장 모듈(820)에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832)는 각종 키 버튼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사용자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800)의 필요한 기능을 조작하기 위해 사용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체부와 그립부가 분리 가능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 확장 모듈을 장착함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기능만을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구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나중에 사용하지 않는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 확장 모듈을 제거함으로 인하여 불필요하게 무겁고 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를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게 된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능 확장 모듈의 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능 확장 모듈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기능 확장 모듈의 일 실시 예로 MP3 플레이어 기능을 구비한 기능 확장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기능 확장 모듈의 다른 실시 예로 GPS 신호 수신 기능을 구비한 기능 확장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따른 기능 확장 모듈의 다른 실시 예로 통신 기능을 구비한 기능 확장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외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0)

  1.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와 접속하도록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와 제어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로부터 전송된 입력 제어신호 또는 입력 데이터를 상기 프로그램에 따라 신호처리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기능 확장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는 피사체의 영상광이 통과하는 광학계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탈착 가능한 그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본체부와 접속하여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그립부와 접속하여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는 기능 확장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신호처리에 의하여 출력 제어신호 또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출력 제어신호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확장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신호처리에 의하여 출력 제어신호 또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상기 생성된 상기 출력 제어신호 또는 출력 데이터를 인가받아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확장 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신호 또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부로부터 수신한 신호와 데이터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인가되는 상기 입력 제어신호와 입력 데이터를 사용하여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확장 모듈.
  6. 제2항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기능 확장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그립부에 구비된 전력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확장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능은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에 구비되지 않은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 확장 모듈.
  9. 피사체의 영상광이 통과하는 광학계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는 기능 확장 모듈; 및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기능 확장 모듈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그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능 확장 모듈은
    상기 제1항 내지 제6항의 기능 확장 모듈 중 어느 하나의 기능 확장 모듈인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기능 확장 모듈을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KR1020080021577A 2008-03-07 2008-03-07 추가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 확장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KR101411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577A KR101411907B1 (ko) 2008-03-07 2008-03-07 추가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 확장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577A KR101411907B1 (ko) 2008-03-07 2008-03-07 추가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 확장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162A KR20090096162A (ko) 2009-09-10
KR101411907B1 true KR101411907B1 (ko) 2014-06-25

Family

ID=41296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1577A KR101411907B1 (ko) 2008-03-07 2008-03-07 추가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 확장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190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1751A (ko) * 2007-10-24 2009-04-29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촬상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1751A (ko) * 2007-10-24 2009-04-29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촬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162A (ko) 2009-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4668B2 (en) Digital camera system
TWI423658B (zh) 適合人物之攝影的攝像裝置
JP6063092B2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003646A (ja) カメラシステム、レンズユニット、及びアクセサリ
JP2003264737A (ja) 撮像通信システム
JP2001100868A (ja) 携帯機器
JP2002055388A (ja) カメラシステム
KR101411907B1 (ko) 추가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 확장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CN101150663B (zh) 摄像装置
JP2009260599A (ja) 画像表示装置、電子カメラ
JP2008085582A (ja) 画像管理システム、撮影装置、画像管理サーバ、および画像管理方法
JP2007174040A (ja) 光学装置およびカメラユニット
JP2004336790A (ja) プレビュー選択肢を有するデジタルカメラ
JP2011172089A (ja) 電子機器
JP5000242B2 (ja) 撮影装置、撮影方法、撮影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7288493A (ja) 情報記録システム、情報記録装置、情報提供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6426969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3219229A (ja) 携帯電話用デジタルカメラ
JP5515678B2 (ja) 撮像装置、デジタルフォトフレーム及び画像転送システム
JP5012276B2 (ja) 撮影装置の無線アダプタ装置、及び撮影システム
KR101436326B1 (ko)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JP2003234935A (ja)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カメラ
JP2006350447A (ja) 携帯型メモリ
JP2005229538A (ja) デ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
KR101120090B1 (ko) 부가기능 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