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0427A - 이동식 작동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작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0427A
KR20090040427A KR1020097000253A KR20097000253A KR20090040427A KR 20090040427 A KR20090040427 A KR 20090040427A KR 1020097000253 A KR1020097000253 A KR 1020097000253A KR 20097000253 A KR20097000253 A KR 20097000253A KR 20090040427 A KR20090040427 A KR 20090040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element
housing
housing shell
actuating device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0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1287B1 (ko
Inventor
알렉산더 예슈케
Original Assignee
후프 휼스벡 운트 휘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프 휼스벡 운트 휘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후프 휼스벡 운트 휘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090040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0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1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1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 H01H9/161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comprising light emit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09Antitheft state indic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4Construction of the bow or head of the key; Attaching the bow to the shan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214Hand-held casings
    • H01H9/0235Hand-held casings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control, e.g. of audio or video apparatu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96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hape of the data carrier
    • G07C2009/0098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hape of the data carrier f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02Actuators integral with membr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31)의 잠금 시스템(30)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이동식 작동 장치(1)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이동식 작동 장치(1)는, 제1 하우징 쉘(11) 및 제2 하우징 쉘(12)를 포함하는 하우징(10)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우징 쉘들(11, 12)에 의해 제한되는 내부 챔버(13)와, 상기 잠금 시스템(30)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내부 챔버(13) 내부에 배치되는 전자 유닛(40)과, 상기 제1 하우징 쉘(11)의 하우징 개구부(15)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14)와, 이 작동 부재(14)와 상기 제1 하우징 쉘(11) 사이에서 순환하는 틈(16)과, 상기 제1 하우징 쉘(11)의 측면 중 상기 내부 챔버(13)의 방향으로 향해 있는 측면에 제공되는 캐리어 소자(17)와, 상기 전자 유닛(40)과 연결되고 상기 작동 부재(14)에 할당된 스위칭 소자(41)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1 하우징 쉘(11)는, 특히 상기 전자 유닛(40)의 작동 모드 및/또는 상기 잠금 시스템(30)의 상태와 결부되는 정보를 광학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20)를 포함하고, 이 표시기(20)는 제1 하우징 쉘(11)에 형성되는 개구부(21)를 구비하며, 이 개구부(21)로부터는 상기 하우징(10) 내부에서 생성될 수 있는 광신호(50)가 방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 부재(14)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상기 캐리어 소자(17)는 광투과성이고, 낮은 탄성 계수를 갖는 제1 재료로 제조되며, 상기 개구부(21)는 상기 캐리어 소자(17)의 적어도 일부분에 의해 완전하게 채워지며, 그럼으로써 광신호(50)는 상기 캐리어 소자(17)를 거쳐 상기 개구부(21)를 통과하여 외 부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제1 재료보다 본질적으로 더욱 높은 탄성 계수를 가지는 제2 재료로 제조되는 상기 작동 부재(14)로 안내될 수 있다.
자동차, 잠금 시스템, 이동식 작동 장치, 하우징, 전자 유닛, 작동 부재, 캐리어 소자, 스위칭 소자

Description

이동식 작동 장치{MOBILE ACTUATING DEVICE}
본 발명은, 제1 하우징 쉘(housing shell) 및 제2 하우징 쉘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 쉘들에 의해 제한되는 내부 챔버와, 잠금 시스템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부 챔버 내부에 배치되는 전자 유닛과, 제1 하우징 쉘의 하우징 개구부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와, 이 작동 부재와 제1 하우징 쉘 사이에서 순환하는 틈(circulating gap)과, 제1 하우징 쉘의 측면 중 내부 챔버의 방향으로 향해 있는 측면에 제공되는 캐리어 소자(carrier element)와, 전자 유닛과 연결되고 작동 부재에 할당되는 스위칭 소자(switching element)를 포함하여, 특히 자동차의 잠금 시스템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이동식 작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이동식 작동 장치는, 송신기, 또는 수신기를 포함한 송신기로서, 또는 트랜스폰더로서 형성될 수 있는 사용자 측의 전자 원격 제어 장치를 수용하기 위해 다양하게 이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작동 장치는 특히 전자 열쇠(key fob)로서, 또는 기계식 열쇠의 홀더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런 이동식 작동 장치의 본질적인 요건은, 환경 영향, 특히 습기 및 오염물로부터 내부에 장착된 전자 장치를 신뢰할 수 있는 정도로 보호하는 것에 있다. 이런 점은 이동 가능하게 장 착될 작동 부재를 밀봉하기 위한 특수한 조치를 그 전제 조건으로 한다.
DE 199 64 166 C1로부터는 2개의 하우징 쉘을 포함하는 이동식 작동 장치가 개시되었다. 상기 하우징 쉘들 중 적어도 부분들은 전자 유닛을 수용하는 내부 챔버를 형성한다. 작동 장치의 내부에는 멤브레인 형태의 밀봉 부재가 제공되고, 이 밀봉 부재는 작동 장치의 하우징 내에 삽입된다. 이 경우, 밀봉 부재는 하우징 쉘들 사이에 존재하는 연속되는 틈 내에 끼여 고정된다. 하우징 쉘들은 밀폐된 내부 챔버를 형성하고, 밀봉 부재는 그 내부 챔버를 상부 챔버 및 하부 챔버로 분리한다. 하부 챔버 내에는, 전자 소자, 특히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기판이 배치된다. 또한, 상부 하우징 쉘에는 작동 부재들이 제공되는데, 이 작동 부재들은 자체 푸시 로드(push rod)를 이용하고 멤브레인 형태의 밀봉 부재를 통해 스위칭 소자에 직접 작용한다. 작동 부재가 작동되면, 푸시 로드는 밀봉 부재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밀봉 부재가 접촉하고, 그에 상응하는 힘이 작동 부재에 작용할 시에 스위칭 소자도 활성화되며, 그럼으로써 작동 장치가 작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앞서 설명한 형식의 이동식 작동 장치에 있어서, 내부 챔버를 환경 영향으로부터 확실하게 보호하고, 대응하는 작동 장치는 경제적으로 제조하며, 광학적 특성 및 촉각 효과와 관련한 요건을 달성하는 방식으로, 상기 이동식 작동 장치를 개선하는 것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동시에 예컨대 작동 장치의 작동 모드와 관련하여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작동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종속항들은 바람직한 개선 실시예를 지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제1 하우징 쉘은, 특히 전자 유닛의 작동 모드 및/또는 잠금 시스템의 상태와 결부되는 정보를 광학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indicator)를 포함하고, 이 표시기는 제1 하우징 쉘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구비하며, 이 개구부로부터는 하우징 내부에서 생성될 수 있는 광신호가 방출될 수 있으며, 또한 작동 부재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캐리어 소자는 광투과성이고, 낮은 탄성 계수를 갖는 제1 재료로 제조되며, 개구부는 캐리어 소자의 적어도 일부분에 의해 완전하게 채워지며, 그럼으로써 광신호는 캐리어 소자에 의해 개구부를 통과하여 바깥쪽으로, 그리고 제1 재료보다 본질적으로 더욱 높은 탄성 계수를 갖는 제2 재료로 제조되는 작동 부재로 안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캐리어 소자는 제1 하우징 쉘의 측면 중 내부 챔버로 향해 있는 측면에 직접 안착되고, 동시에 그 캐리어 소자는 다수의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으로 캐리어 소자는 내부 챔버를 신뢰할 수 있는 정도로 밀봉하며, 그럼으로써 전자 유닛의 기능을 부정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는 습기, 먼지 등이 내부 챔버 내에 도달하지 못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캐리어 소자는 작동 부재를 위한 지지 수단으로서 이용된다. 확인된 바에 따르면, 낮은 탄성 계수를 갖는 제1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있어 만족스러운 촉각은 제1 재료보다 본질적으로 더욱 높은 탄성 계수를 갖는 제2 재료로 구성되는 작동 부재의 작동에 의해 달성된다. 이와 동시에, 캐리어 소자는 작동 부재에 직접 배치되기 때문에, 콤팩트한 구조가 달성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정보의 광학적 표시를 위해 캐리어 소자는 일종의 안내 기능을 수행하며, 그럼으로써 작동 장치 내부에서 생성되는 광신호는 제1 하우징 쉘의 개구부를 통해 바깥쪽으로 안내된다. 또한, 표시기는, 예컨대 작동 부재의 작동에 의해, 작동 장치, 특히 전자 유닛의 기능 여부를 사용자가 점검할 수 있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만일 (예컨대 빨간색의) 광신호가 표시기에서 방출된다면, 이는 사용자에게 작동 장치가 완벽하게 기능하고 있음을 신호하는 것이다. 또한, 표시기는 잠금 시스템의 잠금 고정 또는 잠금 해제 상태에 대한 광학적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표시기에서 방출되는 다색의 광신호를 통해 잠금 시스템의 상태 메시지를 재현하는 점도 생각해 볼 수 있다. 표시기는 다양한 기하 구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능한 한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기는 점 모양의 평면일 수 있다. 이에 대체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기는 제1 하우징 쉘의 대응하는 개구부에 의해 수용되는 대형 디스플레이로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캐리어 소자의 제1 재료는 E < 1000N/㎟, 바람직하게는 E < 500N/㎟, 더욱 바람직하게는 E < 100N/㎟, 특히 바람직하게는 E < 50N/㎟의 탄성 계수(E)를 갖는다. 그에 따라서 캐리어 소자는 연질, 즉 탄성적으로 형성되며, 그에 반해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즉 제1 하우징 쉘과 작동 부재를 제조하는 제2 재료는 더욱 경질인 플라스틱이다. 본 발명의 가능한 구현예에 따르면, 제2 재료는 폴리아미드, 유리 섬유로 보강된 폴리아미드, 또는 ABS 등이다. 연질의 제1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공중합체와 같은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이다. 작동 부재의 양호한 이동성을 보장하고 요구되는 촉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제1 재료는 H < 90 Shore A, 바람직하게는 H < 85 Shore A, 더욱 바람직하게는 H < 80 Shore A의 경도를 갖는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캐리어 소자는 작동 부재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 쉘과 함께 일체형 부품을 형성한다. 제1 공정 단계에서, 제1 하우징 쉘은 각각의 작동 부재와 함께 제2 플라스틱 재료로 사출 성형된다. 사출 성형기의 몰드는, 작동 부재와 제1 하우징 쉘 사이에 순환하는 틈이 형성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그 다음 단계에서는 캐리어 소자가 제1 하우징 쉘에, 특히 작동 부재에 직접 배치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캐리어 소자와 제1 하우징 쉘 사이에 자체 물질 결합부가 존재한다. 예컨대 캐리어 소자는 초음파 용접, 레이저 용접 등에 의해 제1 하우징 쉘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 쉘은 캐리어 소자와 함께 2-구성요소 사출성형부품(two-component injection-molded part)을 형성한다. 다시 말하면, 사출 성형 방법으로 제1 하우징 쉘이 형성된 후 제2 공정 단계에서 캐리어 소자는 하우징 쉘의 밑면에 평평하게 사출 성형된다. 뒤이어 캐리어 소자는 제1 하우징 쉘 표면에 분리되지 않으면서 평평하게 위치하게 되고, 그에 따라 순환하는 틈을 통해 외부로부터 작동 장치의 내부 챔버 내로의 접근은 방지된다.
이동식 작동 장치의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캐리어 소자는 일측에서만, 다시 말해 내부 챔버로부터 출발하여 바깥쪽을 향해서만 광투과성을 나타내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순환하는 틈을 통해 외부로부터 내부 챔버 및 전자 유닛을 식별할 수 없다. 그러나 작동 장치 내부에서 생성된 광신호는 내부 챔버로부터 출발하여 바깥쪽으로 투과될 수 있다. 캐리어 소자의 일측 광투과성은 증착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캐리어 소자 상에 증착된 층은 얇은 금속 층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작동 부재는 휴지 위치로부터 외부 힘의 인가에 의해 작동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캐리어 소자는, 작동 위치에서 캐리어 소자 자체로부터, 작동 부재를 다시 자체 휴지 위치로 이동시키는 복원력이 생성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작동 부재의 작동 위치에서 캐리어 소자에 의해서만, 그 캐리어 소자와 함께 작동 부재를 다시 휴지 위치로 이동시키는 복원력이 생성된다. 작동 장치의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캐리어 소자는 순환하는 틈에 따라 내부 챔버를 향해 있는 아치부(arch)를 포함한다. 이런 아치부는 작동 부재의 작동 위치에서 발생하는 캐리어 소자의 복원력을 촉진한다. 또한, 아치부에 의해서는, 휴지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 작동 부재가 이동하는 이동 거리가 연장되는 점이 달성될 수 있다.
목적에 부합하게는 광소자가 개구부에 장착되고, 캐리어 소자는 개구부와 광소자 사이에 위치한다. 광소자는 예컨대 LED일 수 있다.
작동 장치에 대한 추가적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캐리어 소자는, 다층으로 구성되고 2개의 전극 층 사이에 광을 방출하는 유기층을 포함하는 유기 LED(OLED)일 수 있다. 이런 실시예의 경우, 캐리어 소자 자체는 전압 및/또는 전류의 인가에 의해 광을 방출할 수 있는 광소자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유기 LED는 매우 얇고 유연하게 형성된다. 목적에 부합하게는 일측의 전극 층은 양극으로서 형성되고, 타측의 전극 층은 음극으로서 형성된다. 또한, 유기 LED로서 형성되는 캐리어 소자는 추가적인 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실시예의 경우 캐리어 소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하우징 쉘과 레이저 용접된다. 추가적인 자체 물질 결합은 접착 결합에 의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목적에 부합하게는 캐리어 소자는 개구부에 의해 수용되는 헤드 영역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하우징 쉘의 개구부는 캐리어 소자의 헤드 영역에 의해 완전하게 채워진다. 만일 광이 작동 장치에서 생성된다면, 그 광은 헤드 영역을 통과하고 표시기로부터 바깥쪽으로 방출된다. 헤드 영역이 개구부를 완전하게 밀폐하기 때문에, 불시에 발생하는 오염 입자, 물, 습기 등이 표시기를 통해 작동 장치의 내부 챔버 내로 유입되는 위험은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을 개선하는 조치에 따르면, 캐리어 소자의 측면 중 내부 챔버로 향해 있는 측면에 형성되는 돌출부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런 돌출부는 작동 부재의 작동 위치에서 스위칭 소자에 접촉한다. 돌출부는, 작동 부재의 작동 위치에서 스위칭 소자를 활성화하는 일종의 푸시 로드로서 작용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를 위한 특별한 촉각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장점, 특징 및 상세 내용은 도면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되는 다음의 실시예 설명으로부터 지시된다. 이와 관련하여 청구항과 다음의 실시예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징들은 각각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로 조합되어 본 발명의 본질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정면에 작동 부재들을 구비한 제1 하우징 쉘을 포함하는 이동식 작
동 장치를 위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하우징 쉘을 도시한 삼차원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하우징 쉘을 도시한 삼차원 밑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절개선 IV-IV에 따라 작동 장치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
다.
도 5는 다층으로 구성된 캐리어 소자가 제공되어 있는 이동식 작동 장치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은 자동차(31)의 잠금 시스템(30)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전자 열쇠로서 이용되는 이동식 작동 장치(1)를 도시하고 있다. 작동 장치(1)는 제1 하우징 쉘(11) 및 제2 하우징 쉘(12)을 구비하는 하우징(10)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제2 하우징 쉘(12)은 뒤쪽에 배치된다. 제1 하우징 쉘(11)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3개의 작동 부재(14)를 포함하고, 이 작동 부재들은 제1 하우징 쉘(11)의 하우징 개구부 내부에 배치된다. 이와 관련한 하우징 개구부(15)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제1 하우징 쉘(11)과 각각의 작동 부재(14) 사이에는 순환하는 틈(16)이 위치한다. 또한, 이동식 작동 장치(1)는, 예시로서 도 4에 도시된 내부 챔버(13)를 포함한다. 내부 챔버(13)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 쉘들(11, 12)에 의해 제한되고, 그 내부 챔버(13) 내부에는 잠금 시스템(30)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전자 유닛(40)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라 전자 유닛(40)은 기판(43)을 포함하고, 이 기판(43) 상에는 스위칭 소자(41) 및 광소자(42)가 고정된다.
제1 하우징 쉘(11)의 측면 중 내부 챔버(13)를 향해 있는 측면에는 캐리어 소자(17)가 배치된다. 이런 경우 캐리어 소자(17)는 제1 하우징 쉘(11) 및 작동 부재(14)와 일체형으로 결합된다. 3개의 작동 부재(14)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 쉘(11)뿐 아니라, 캐리어 소자(17)는 2-구성요소 사출성형부품을 형성한다. 또한, 캐리어 소자(17)는 광투과성이고, 낮은 탄성 계수를 갖는 제1 재료로 제조된다.
도 1 및 도 4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제1 하우징 쉘(11)은 정보를 광학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20)를 구비하여 형성된다. 표시기(20)는, 제1 하우징 쉘(11)에 형성되는 개구부(21)를 포함한다. 개구부(21)로부터는, 하우징(10) 내부에서 생성될 수 있는 광신호(50)가 방출될 수 있다.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작동 부재들(14)의 작동을 통해, 작동 장치(1)의 기능 상태를 확인 또는 점검할 수 있다. 만일 작동 장치(1)가 완벽한 기능 상태에 있다면, 광신호(50)는 표시기(20)로부터 바깥쪽으로 방출되고, 이는 사용자가 양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원형으로 형성되는 개구부(21)는 캐리어 소자(17)의 적어도 일부분에 의해 완전하게 채워진다. 이런 경우 캐리어 소자(17)는 헤드 영역(17d)을 구비하여 형성되고, 이 헤드 영역은 표면에까지 개구부(21)를 완전하게 채운다. 그렇게 함으로써 추가로 제1 하우징 쉘(11)과 캐리어 소자(17)의 형상 고정이 제공된다. 작동 부재들(14)은 휴지 위치로부터 외부 힘의 인가에 의해 작동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캐리어 소자(17)는 작동 부재(14)의 작동 위치에서 스위칭 소자(41)에 접촉하고, 그럼으로써 광신호(50)는 광소자(42)로부터 표시기(20) 방향으로 방출된다. 이때 캐리어 소자(17)는, 자체 헤드 영역(17d)을 이용하여, 입사되는 광신호(50)를 개구부(21)를 통해서 바깥쪽으로 안내한다. 하우징(10)은, 특히 작동 부재들(14)을 포함하는 제1 하우징 쉘(11)은 캐리어 소자(17)의 제1 재료보다 본질적으로 더욱 높은 탄성 계수를 갖는 제2 재료로 제조된다. 경질의 작동 부재들(14)과 상대적으로 연질인 캐리어 소자(17)에 의해, 잠금 시스템(30)의 원격 제어 중에 사용자를 위해 요구되는 촉각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특히 바람직하게는, 캐리어 소자는, 작동 부재(14)의 작동 위치에서, 자체적으로 적합한 복원력을 생성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작동 부재(14)는 다시 자신의 휴지 위치로 이동된다. 이런 점은 특히 순환하는 틈(16)에 따라 내부 챔버(13)를 향해 형성되는 아치부(18)에 의해 달성된다. 도 4에 따르면, 아치부(18)는, 캐리어 소자(17)의 측면 중 내부 챔버(13)를 향해 있는 측면에 배치되는 내부 반경부(18a)와, 캐리어 소자(17)의 측면 중 작동 부재(14)를 향해 있는 측면에 배치되는 외부 반경부(18b)를 포함한다. 이 경우 외부 반경부(18b)의 2배는 본질적으로 틈(16)의 폭에 상응한다.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듯이, 외부 반경부(18b)는 내부 반경부(18a)보다 작다. 또한, 이처럼 아치부(18) 형태의 벨로우즈(bellows)형 구현을 통해, 각각의 작동 부재(14)를 위한 이동 거리의 연장이 달성된다.
도 4에 따르면, 캐리어 소자(17)의 측면 중 내부 챔버(13)로 향해 있는 측에 형성되는 돌출부(19)가 제공된다. 이 돌출부는 작동 부재(14)의 작동 위치에서 스위칭 소자(41)에 접촉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19) 및 추가적인 돌출부(19)는 도 3에서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고, 도 3에 따르면 원통형 형태를 갖는다. 휴지 위치 에서 작동 위치로 작동 부재(14)를 이동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르면, 2N≤ K ≤ 15N, 바람직하게는 3N ≤ K ≤ 7N 사이의 값을 갖는 외부 힘이 필요하다.
특히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제1 하우징 쉘(11)은 자체 밑면에 하나의 캐리어 소자(17)만을 포함한다. 이 단일의 캐리어 소자는 3개의 작동 부재(14) 모두와 함께 일체형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캐리어 소자(17)는 외부로부터 내부 챔버(13)를 신뢰할 수 있는 정도로 밀봉한다. 개구부(21) 및 순환하는 틈(16)을 통한 오염물, 습기 등의 침투는 도 1 또는 도 4에 따르면 방지된다.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칭 소자(41)는 마이크로 스위치로서 형성된다. 마이크로 스위치(41)는 스냅 디스크가 통합될 수 있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추가의 대체되는 스위칭 소자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광소자(42)는, 개구부(21)를 통해 손실 없이 가능한 효율적으로 광(50)을 바깥쪽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구부(21) 아래에 배치되는 LED이다.
도 4에 도시된 추가의 대체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본원의 작동 장치는 광 안내 영역(17e)을 포함한다. 이 광 안내 영역(17e)은 캐리어 소자(17)와 일체형으로, 동일한 재료로 결합된다. 또한, 광 안내 영역(17e)은 광소자(42)에까지 연장된다. 광소자(42)가 표시기(20)의 방향으로 광신호(50)를 방출하는 동안, 거의 모든 신호(50)는 광 안내 영역(17e)으로 입사되고, 그 광 안내 영역(17e)은 광신호(50)를 헤드 영역(17d)으로 안내하며, 그럼으로써 매우 적은 광 손실만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캐리어 소자(17), 특히 광 안내 영역(17e)의 굴절률은 광 안내 영 역(17e)을 둘러싸는 내부 챔버(13)의 굴절률보다 본질적으로 더욱 높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광소자(42)는 자체 자유 단부를 이용하여 광 안내 영역(17e)에 접촉한다. 그에 따라 접착제를 이용하는, 광 안내 영역(17e)과 광소자(42)의 결합도 마찬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접착제의 굴절률은 거의 캐리어 소자(17)의 굴절률에 상응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마찬가지로 광소자(42)와 광 안내 영역(17e) 간에 이격될 수도 있다.
캐리어 소자(17)의 제1 재료는 거의 100% 광투과성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소정의 적용례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외부로부터 내부 챔버(13), 특히 전자 유닛(40)의 전자 부품에 대한 식별을 억제하기 위해 캐리어 소자(17)의 광 부분 투과성만이 존재한다. 이런 경우 캐리어 소자(17)는 우윳빛을 띠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의 대체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캐리어 소자(17)는 일측에서만, 즉 내부 챔버(13)로부터 바깥쪽으로만 광투과성을 나타낸다.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틈(16)의 폭은 0.1㎜ ≤ B ≤ 2㎜, 바람직하게는 0.5㎜ ≤ B ≤ 1㎜,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 B ≤ 0.9㎜이다.
도 5는 다층으로 구성되는 OLED로서 형성된 캐리어 소자(17)의 추가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캐리어 소자(17)의 두께는 본 실시예의 경우 0.4㎜와 0.8㎜ 사이이다. 여기서 OLED는 전극 층들(17b, 17c) 사이에 배치되는 광 방출 층(17a)을 포함한다. 전압 인가에 의해 OLED는 도 4에 따라 표시기(20)를 통해 바깥쪽으로 안내될 수 있는 광을 생성한다. OLED는 도 5에는 순수하게 개략적으로만 도시되어 있으며, 매우 얇은 유연성 캐리어 소자(17)로서 형성되어 있다. 캐리어 소자(17)는 작동 부재(14)를 위한 밀봉 및 지지 기능을 수행하는 것 이외에도 동시에 표시기(20)를 위한 광소자이다. 미도시한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를 광학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하나의 점 형태 광신호 이상을 제공하기 위해 표시기(20)를 대형 디스플레이로서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OLED로서 형성되는 캐리어 소자(17)는 특히 많은 장점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음.
<도면 부호 리스트>
1: 이동식 작동 장치, 전자 열쇠
10: 하우징
11: 제1 하우징 쉘(housing shell)
12: 제2 하우징 쉘
13: 내부 챔버
14: 작동 부재
15: 하우징 개구부
16: 순환하는 틈(circulating gap)
17: 캐리어 소자
17a: 광을 방출하는 유기층, OLED
17b: 전극 층, 양극
17c: 전극 층, 음극
17d: 헤드 영역
17e: 광 안내 영역
18: 아치부
18a: 내부 반경부(inner radius)
18b: 외부 반경부(outer radius)
19: 돌출부
20: 표시기(indicator)
21: 개구부
30: 잠금 시스템(locking system)
31: 자동차
40: 전자 유닛
41: 스위칭 소자(switching element)
42: 광소자
43: 기판
50: 광, 광신호

Claims (20)

  1. 특히 자동차(31)의 잠금 시스템(30)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이동식 작동 장
    치(1)이며, 제1 하우징 쉘(11) 및 제2 하우징 쉘(12)를 구비하는 하우징(10)과,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우징 쉘들(11, 12)에 의해 제한되는 내부 챔버(13)와,상기 잠금 시스템(30)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내부 챔버(13)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자 유닛(40)과, 상기 제1 하우징 쉘(11)의 하우징 개구부(15)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 부재(14)와, 상기 작동 부재(14)와 상기 제1 하우징 쉘(11) 사이에서 순환하는 틈(16)과, 상기 제1 하우징 쉘(11)의 측면 중 상기 내부 챔버(13)를 향해 있는 측면에 제공되는 캐리어 소자(17)와, 상기 전자 유닛(40)과 연결되고 상기 작동 부재(14)에 할당되는 스위칭 소자(41)를 포함하는 상기 이동식 작동 장치(1)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쉘(11)는 특히 전자 유닛(40)의 작동 모드 및/또는 잠금 시스템(30)의 상태와 결부되는 정보를 광학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20)를 포 함하고, 상기 표시기(20)는 상기 제1 하우징 쉘(11)에 형성되는 개구부(21)를 구비하며, 이 개구부로부터는 상기 하우징(10) 내부에서 생성될 수 있는 광신호(50)가 방출될 수 있으며, 상기 작동 부재(14)와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상기 캐리어 소자(17)는 광투과성이고, 낮은 탄성 계수를 갖는 제1 재료로 제조되며, 상기 개구부(21)는 상기 캐리어 소자(17)의 적어도 일부분에 의해 완전하게 채워지며, 그럼으로써 상기 광신호(50)는 상기 캐리어 소자(17)에 의해 상기 개구부(21)를 통해 바깥쪽으 로, 그리고 상기 제1 재료보다 본질적으로 더욱 높은 탄성 계수를 갖는 제2 재료로 제조되는 작동 부재(14)로 안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잠금 시스템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이동식 작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소자(17)의 제1 재료는 E < 1000N/㎟, 바람직하게는 E < 500N/㎟, 더욱 바람직하게는 E < 100N/㎟, 특히 바람직하게는 E < 50N/㎟의 탄성 계수(E)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동 장치(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소자(17)의 제1 재료는 H < 90 Shore A, 바람직하게는 H < 85 Shore A, 더욱 바람직하게는 H < 80 Shore A의 경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동 장치(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쉘(11)와 상기 캐리어 소자(17)는, 2-구성요소 사출성형부품인 일체형 부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동 장치(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소자(17)는 일측으로만, 즉 상기 내부 챔버(13)로부터 출발하여 바깥쪽으로만 광투과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동 장치(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14)는 휴지 위치로부터 외부 힘의 인가에 의해 작동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캐리어 소자(17)는, 작동 위치에서 상기 캐리어 소자(17) 자체로부터, 상기 작동 부재(14)를 다시 휴지 위치로 이동시키는 복원력이 생성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동 장치(1).
  7. 제6항에 있어서,
    휴지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 상기 작동 부재(14)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2N≤ K ≤ 15N, 바람직하게는 3N ≤ K ≤ 7N 사이의 값을 갖는 외부 힘을 가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동 장치(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료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동 장치(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소자(17)는 순환하는 상기 틈(16)을 따라 상기 내부 챔버(13)를 향해 있는 아치부(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동 장치(1).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아치부(18)는, 상기 캐리어 소자(17)의 측면 중 상기 내부 챔버(13)를 향해 있는 측면에 배치되는 내부 반경부(18a)와, 상기 캐리어 소자(17)의 측면 중 상기 작동 부재(14)를 향해 있는 측면에 배치되는 외부 반경부(18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동 장치(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반경부(18b)의 2배는 본질적으로 상기 틈(16)의 폭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동 장치(1).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반경부(18b)는 상기 내부 반경부(18a)보다 더욱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동 장치(1).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틈(16)의 폭(B)은, 0.1㎜ ≤ B ≤ 2㎜, 바람직하게는 0.5㎜ ≤ B ≤ 1㎜,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 B ≤ 0.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동 장치(1).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소자(42)가 상기 개구부(21)에 장착되고, 상기 캐리어 소자(17)는 상기 개구부(21)와 상기 광소자(42)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동 장치(1).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소자(17)는 다층으로 구성되고, 2개의 전극 층(17b, 17c) 사이에서 광을 방출하는 유기층(17a)을 포함하는 유기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동 장치(1).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유닛(40)은 기판(43)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에는 스위칭 소자(41) 및/또는 광소자(42)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동 장치(1).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소자(17)는, 상기 개구부(21)에 의해 수용되는 헤드 영역(17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동 장치(1).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소자(17)의 측면 중 상기 헤드 영역(17d)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측면에 광 안내 영역(17e)이 돌출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동 장치(1).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소자(17)의 측면 중 상기 내부 챔버(13)를 향해 있는 측면에 형성되는 돌출부(19)가 제공되고, 상기 돌출부(19)는 상기 작동 부재(14)의 작도 위치에서 상기 스위칭 소자(41)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동 장치(1).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소자(17)는 상기 제1 하우징 쉘(11)에 형성되는 다수의 작동 부재(14)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동 장치(1).
KR1020097000253A 2006-07-10 2007-06-29 이동식 작동 장치 KR1014312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32060A DE102006032060A1 (de) 2006-07-10 2006-07-10 Mobile Betätigungsvorrichtung
DE102006032060.3 2006-07-10
PCT/EP2007/056550 WO2008006710A1 (de) 2006-07-10 2007-06-29 Mobile betätigungs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0427A true KR20090040427A (ko) 2009-04-24
KR101431287B1 KR101431287B1 (ko) 2014-08-20

Family

ID=38535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0253A KR101431287B1 (ko) 2006-07-10 2007-06-29 이동식 작동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00773B2 (ko)
EP (1) EP2047435B1 (ko)
KR (1) KR101431287B1 (ko)
CN (1) CN101490722B (ko)
DE (1) DE102006032060A1 (ko)
WO (1) WO20080067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12451A (zh) * 2019-02-01 2021-09-17 保富图公司 用于中间信号传输单元的壳体和中间信号传输单元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35529B4 (de) * 2007-07-26 2020-03-19 Nanogate Goletz Systems GmbH Schlüssel
DE202008015254U1 (de) * 2008-11-18 2010-04-01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Anreihbares Gehäuse mit Anschlüssen
DE102009058946B4 (de) 2008-12-19 2019-07-04 Marquard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häuses für einen elektronischen Schlüssel
DE102009009611A1 (de) * 2009-02-19 2010-08-26 Hella Kgaa Hueck & Co. Elektronischer Schlüssel
DE102010001233A1 (de) 2010-01-26 2011-07-2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42551 Mobiler Identifikationsgeber
DE102011056625A1 (de) * 2011-12-19 2013-06-20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Mobiler Identifikationsgeber mit einem verrasteten Betätigungselement
EP2717234A1 (fr) * 2012-10-05 2014-04-09 Johnson Controls Automotive Electronics SAS Clé électronique, notamment pour un véhicule automobile et en particulier pour un dispositif de fermeture, procédé de fabrication d'une clé électronique
USD733074S1 (en) * 2013-07-10 2015-06-30 Audi Ag Casing for wireless remote control device
WO2018076389A1 (zh) * 2016-10-31 2018-05-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金属外壳及其制备方法、移动终端
EP3627455A1 (de) * 2018-09-21 2020-03-25 BKS GmbH Schlüssel für einen mechatronischen schliesszylinde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olchen schlüssels
DE102020120711A1 (de) * 2020-08-05 2022-02-10 Preh Gmbh Bedienelement mit einem einen Schichtaufbau aufweisenden Betätigungsteil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7429A (en) * 1996-04-03 1998-02-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Low profile, light weight keyboard
DE19716064B4 (de) * 1997-04-17 2008-09-25 Grundig Multimedia B.V. Bedieneinrichtung mit beleuchtetem Tastenfeld
FR2778014B1 (fr) * 1998-04-24 2000-07-07 Siemens Automotive Sa Boitier de telecommande
DE19915969A1 (de) * 1998-04-28 1999-11-04 Marquardt Gmbh Gehäuseteil mit einem Betätigungsorgan
DE19964166C1 (de) * 1999-12-10 2001-08-16 Huf Huelsbeck & Fuerst Gmbh Gehäuse für Elektronikschlüssel
DE10304161A1 (de) 2002-02-15 2003-08-21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arbstoffen und/oder optischer Aufheller
DE10315202A1 (de) * 2003-04-03 2004-10-14 Leopold Kostal Gmbh & Co. Kg Fernbedienung zum Betätigen einer Schließ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es
DE10359172A1 (de) * 2003-12-17 2005-07-21 Robert Bosch Gmbh Fernbedienungseinrichtung für eine elektrische Vorrichtung
EP1737010B1 (en) 2004-03-25 2012-09-05 Shin-Etsu Polymer Co., Ltd. Cover member for push-button switch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12451A (zh) * 2019-02-01 2021-09-17 保富图公司 用于中间信号传输单元的壳体和中间信号传输单元
CN113412451B (zh) * 2019-02-01 2023-05-12 保富图公司 用于中间信号传输单元的壳体和中间信号传输单元
US11863866B2 (en) 2019-02-01 2024-01-02 Profoto Aktiebolag Housing for an intermediate signal transmission unit and an intermediate signal transmission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310327A1 (en) 2009-12-17
EP2047435B1 (de) 2012-10-24
US8400773B2 (en) 2013-03-19
EP2047435A1 (de) 2009-04-15
CN101490722A (zh) 2009-07-22
KR101431287B1 (ko) 2014-08-20
CN101490722B (zh) 2013-03-20
WO2008006710A1 (de) 2008-01-17
DE102006032060A1 (de) 200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40427A (ko) 이동식 작동 장치
JP4165646B2 (ja) キーシート
EP2420917B1 (en) Localized haptic feedback
JP5060921B2 (ja) スイッチ用可動接点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スイッチ装置
US6861600B1 (en) Integrated switch and backlight assembly
CN102543533B (zh) 开关结构、电子部件安装结构及包括其的电子乐器
CN107735848B (zh) 按钮开关用部件
JP5615774B2 (ja) スイッチ用パッキン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キー
JP4468096B2 (ja) キーシート及びキーシートの製造方法
CN110785934A (zh) 机动车操作设备
US20050077154A1 (en) Bezel-button assembly and method
JP2010027273A (ja) 透光式操作子ユニット
US20120205227A1 (en) Group of momentary-contact switches as uniform control panel in motor vehicles
US9288918B2 (en) Mobile device in which the interior switch element is protected by the housing
JPH01281797A (ja) 制御パネルの表示部とその製造方法
JP2009113491A (ja) 複合部品の組立て方法
CA2932794A1 (en) Keyboard having a plurality of stabilized plate-shaped keys
US6888079B2 (en) Multifunctional pushbutton switch
JP4312004B2 (ja) 多機能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2007080763A (ja) 照光式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4347679B2 (ja) キーシート
JP5892693B2 (ja) 防水スイッチ
US20230066181A1 (en) Modular Actuating Device, Vehicle, and Method
JP2008198623A (ja) キーシート
JP2005259387A (ja) 操作パネルのボタン取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