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0154A -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상형성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상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0154A
KR20090040154A KR1020070105787A KR20070105787A KR20090040154A KR 20090040154 A KR20090040154 A KR 20090040154A KR 1020070105787 A KR1020070105787 A KR 1020070105787A KR 20070105787 A KR20070105787 A KR 20070105787A KR 20090040154 A KR20090040154 A KR 20090040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cording medium
image forming
colors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5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정우
김건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5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0154A/ko
Priority to US12/236,625 priority patent/US20090103961A1/en
Priority to CNA2008101679584A priority patent/CN101414136A/zh
Publication of KR20090040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01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G03G15/6511Feeding devices for picking up or separation of copy she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4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 G03G15/0147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15/015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onto which the monocolour toner images are superposed before common transfer from the recording member
    • G03G15/0173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a singl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onto which the monocolour toner images are superposed before common transfer from the recording member plural rotations of recording member to produce multicoloured copy, e.g. rotating set of developing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6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2215/0174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plural rotations of recording member to produce multicoloured cop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상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색상에 대응하는 화상을 기록매체에 형성하는 화상형성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색상 중 제1색상에 대응하는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색상에 대응하는 화상형성이 완료된 경우, 상기 기록매체의 픽업을 시도하는 단계; 및 상기 기록매체의 픽업 시도 후, 상기 복수의 색상 중 제2색상에 대응하는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지터의 발생 및 사용자가 체감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상형성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상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색상에 대응하는 화상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상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데이터에 기초하여 기록매체에 화상형성을 수행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 중에서도 컬러화상의 형성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는 일정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에 소정 색상의 현상제를 도포하고, 이를 기록매체에 전사 및 정착시켜 컬러화상을 형성한다.
컬러화상의 형성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색상에 대응하는 광주사장치 및 감광체가 각각 마련되는 싱글패스(Single Pass)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와, 하나의 광주사장치 및 감광체가 마련되는 멀티패스(Multi Pass) 방식의 화상형성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에서, 멀티패스 방식에 의하는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하나의 광주사부가 복수의 색상 즉, Y(Yellow), M(Magenta), C(Cyan), K(Black)에 대응하는 광을 감광체에 주사하고, 감광체에 형성된 화상은 순차적으로 중간전사매체(30)에 전사된다.
기록매체는 중간전사매체에 화상이 모두 전사되기 전에 픽업롤러에 의해 픽업되며, 중간전사매체에 전사된 화상은 전사롤러에 의해 기록매체에 전사된다. 그리고, 기록매체에 전사된 화상은 정착롤러에 의해 정착되어 화상형성이 완료된다.
그런데,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기록매체를 픽업하는 시점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감광체 또는 중간전사매체에 화상이 형성되는 시점에 기록매체를 픽업한다. 또한, 기록매체의 픽업이 실패한 경우 재픽업을 시도하는 시점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픽업의 실패 후 즉시 재픽업을 시도한다.
이로 인해,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 도중에 픽업을 시도함으로써, 픽업시의 진동에 의해 화상의 지터(Jitter)가 발생될 염려가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픽업이 실패한 경우 재픽업을 시도하는 경우에는 지터가 이중으로 발생할 수 있고, 픽업롤러의 구동으로 인해 사용자가 체감하는 소음이 심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상형성부가 화상을 형성하지 않는 시점에 기록매체의 픽업을 시도함으로써, 지터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상형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픽업롤러의 구동으로 인해 사용자가 체감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상형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화상형성의 완료 후에도 기록매체의 픽업이 실패한 경우, 기록매체의 픽업을 재시도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상형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복수의 색상에 대응하는 화상을 기록매체에 형성하는 화상형성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색상 중 제1색상에 대응하는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색상에 대응하는 화상형성이 완료된 경우, 상기 기록매체의 픽업을 시도하는 단계; 및 상기 기록매체의 픽업 시도 후, 상기 복수의 색상 중 제2색상에 대응하는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는, 광주사부에 의해 감광체가 노광되는 노광단계와, 상기 감광체의 표면이 대전되는 대전단계와,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가 현상되는 현상단계와, 중간전사매체로 현상제가 전사되는 전사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의 픽업을 시도하는 단계는, 상기 기록매체가 픽업되지 않으면 상기 제2색상의 화상형성이 완료된 후, 상기 기록매체의 재픽업을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록매체의 픽업을 시도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색상의 화상형성이 모두 완료된 후에 상기 기록매체가 픽업되지 않으면, 상기 기록매체의 재픽업을 시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의 재픽업을 시도하는 단계는, 상기 기록매체의 재픽업 시도 중에 상기 형성된 화상을 클리닝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록매체의 재픽업은 중간전사매체를 공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재픽업의 횟수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상형성단계 및 상기 재픽업의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드라이버와, 문서작성에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UI에서 지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색상은 Y(Yellow), M(Magenta), C(Cyan), K(Black)에 각각 대응하는 색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는 멀티패스(Multi-Pass) 방식에 의해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색상에 대응하는 화상을 기록매체에 형성하는 화상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색상 중 제1색상에 대한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색상 중 제2색상에 대한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색상 및 제2색상에 대한 화상형성 사이에서 비화상영역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기록매체의 픽업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한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색상에 대응하는 화상을 기록매체에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기록매체를 픽업하는 픽업롤러와; 상기 복수의 색상 중 제1색상에 대응하는 화상형성이 완료된 경우, 상기 기록매체의 픽업을 시도하고, 상기 기록매체의 픽업 시도 후 상기 복수의 색상 중 제2색상에 대응하는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화상형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화상형성은 광주사부에 의한 감광체의 노광과, 상기 감광체의 표면의 대전과,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의 현상과, 중간전사매체로의 현상제의 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록매체가 픽업되지 않으면 상기 제2색상의 화상형성이 완료된 후, 상기 기록매체의 재픽업을 시도하도록 상기 픽업롤러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색상의 화상형성이 모두 완료된 후에 상기 기록매체가 픽업되지 않으면 상기 기록매체의 재픽업을 시도하도록 상기 픽업롤러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상을 클리닝하는 클리닝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록매체의 재픽업 시도 중에 상기 형성된 화상을 클리닝하지 않도록 상기 클리닝부재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록매체의 재픽업은 중간전사매체를 공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색상은 Y(Yellow), M(Magenta), C(Cyan), K(Black)에 각각 대응하는 색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화상형성부는 멀티패스(Multi-Pass) 방식에 의해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색상에 대응하는 화상을 기록매체에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기록매체를 픽업하는 픽업롤러와; 상기 복수의 색상 중 제1색상에 대한 화상형성과 상기 복수의 색상 중 제2색상에 대한 화상형성 사이에서 비화상영역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기록매체의 픽업을 시도하도록 상기 픽업롤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은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상형성방법에 의하면, 화상형성부가 화상을 형성하지 않는 시점에 기록매체의 픽업을 시도함으로써, 지터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상형성방법에 의하면 픽업롤러의 구동으로 인해 사용자가 체감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상형성방법에 의하면 화상형성의 완료 후에도 기록매체의 픽업이 실패한 경우, 기록매체의 픽업을 재시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상형성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화상형성부(110)와, 픽업롤러(120)와,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화상형성부(110) 내에 하나의 광주사부와, 하나의 감광체가 마련되는 멀티패스(Multi-Pass) 방식으로 구현된다.
화상형성부(110)는 인쇄데이터에 기초하여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체(10)와, 광주사부(20)와, 중간전사매체(30)와, 전사롤러(40)와, 레지센서(50)와, 클리닝부재(60) 등을 포함한다.
감광체(10)는 외주면에 광도전성물질이 도포된 감광드럼이 사용되며, 외주면의 선속도가 중간전사매체(30)의 이송속도와 동일하도록 회전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감광체(10)의 일측에는 감광체(10)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감광체(10)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하는 대전롤러가 마련되며, 대전롤러가 감광체(10)의 표면을 음전하로 대전시키면, 광주사부(20)는 감광체(10)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현상롤러(미도시)는 감광체(10)에 형성된 정전잠상에만 선택적으로 현상제를 도포하고, 도포된 현상제는 중간전사매체(30)에 전사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부(110)에는 중간전사매체(30)에 전사된 화상을 클리닝하는 클리닝부재(60)가 마련된다.
픽업롤러(120)는 기록매체를 화상형성부(110)로 픽업한다. 픽업롤러(120)에 의해 기록매체가 픽업되었는지 여부는 레지센서(50)에 의해 감지되며, 감지결과 기록매체의 픽업이 실패한 경우 픽업롤러(12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기록매체의 픽업을 재시도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복수의 색상 중 제1색상에 대응하는 화상형성이 완료된 경우 기록매체의 픽업을 시도하고, 기록매체의 픽업 시도 후 복수의 색상 중 제2색상에 대응하는 화상을 형성하도록 화상형성부(110)를 제어한다. 여기서, 복수의 색상은 컬러 현상제의 Y(Yellow)와, M(Magenta)과, C(Cyan)와, K(Black)에 대응하는 색상을 포함하며, 제1색상은 Y와, M과, C를 포함하고, 제2색상은 M과, C와, K를 각각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색상에 대응하는 화상형성단계는 광주사부(20)에 의해 감광체(10)가 노광되는 노광단계와, 감광체(10)의 표면이 음전하로 대전되는 대전단계와, 감광체(10)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가 현상되는 현상단계와, 중간전사매체(30)로 현상제가 전사되는 전사단계로 나눌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1색상에 대한 각각의 화상형성단계가 완료된 후, 제2색상에 대한 각각의 화상형성단계의 수행 전에 기록매체를 화상형성부(110)로 픽업하도록 픽업롤러(12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30)는 Y 색상에 대한 화상형성이 완료된 후, M 색상에 대한 화상형성의 수행되기 전인 비화상구간에서 기록매체를 화상형성부(110)로 픽업하도록 픽업롤러(120)를 제어함으로써, 지터(Jitter)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30)는 기설정된 시간 내에 기록매체가 픽업되지 않으면, M 색상에 대한 화상형성이 완료된 후, C 색상에 대한 화상형성의 수행 전에 기록매체를 화상형성부(110)로 재픽업하도록 픽업롤러(120)를 제어하며, 재픽업의 시도에 의해서도 기록매체가 픽업되지 않으면, C 색상에 대한 화상형성이 완료된 후, K 색상에 대한 화상형성의 수행 전에 기록매체를 화상형성부(110)로 다시 픽업하도록 픽업롤러(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가 컬러화상을 5ppm의 속도로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하면, 각각의 색상에 대한 화상형성의 완료가 3초마다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제어부(130)는 Y 색상에 대한 화상형성이 완료된 후 기록매체의 픽업의 시도가 실패한 것으로 감지되면, M 색상에 대한 화상형성이 완료된 후, 즉 3초 후에 기록매체의 픽업을 재시도한다. 이로써, 기록매체의 픽업 실패시 계속적으로 픽업을 재시도하는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 비해 사용자가 느끼는 체감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K 색상에 대한 화상형성이 완료된 후, 즉 복수의 색상에 대한 화상형성이 완료된 후에도 기록매체가 픽업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된 경우, 중간전사매체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기록매체의 픽업을 계속적으로 재시도하도록 픽업롤러(1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30)는 클리닝부재(60)에 의해 중간전사매체(30)에 전사된 화상이 클리닝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픽업의 재시도 회수를 늘려 페이퍼 잼 에러(Paper Jam Error)가 발생할 확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화상형성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130)는 복수의 색상 중 제1색상에 대응하는 화상을 형성하도록 화상형성부(110)를 제어한다(S310). 그리고, 제어부(130)는 제1색상의 화상형성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20).
그리하여, 제1색상의 화상형성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기록매체의 픽업을 시도하도록 픽업롤러(120)를 제어한다(S330).
여기서, 단계 S330은 제2색상의 화상형성이 완료된 후, 기록매체의 재픽업을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색상의 화상형성이 모두 완료된 후에 기록매체가 픽업되지 않으면, 기록매체의 재픽업을 시도하는 단계 역시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중간전사매체(30)에 전사된 화상은 클리닝부재(60)에 의해 클리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제어부(130)는 픽업의 시도 후에 제2색상에 대응하는 화상을 형성하도록 화상형성부(110)를 제어한다(S340). 이로써, 지터(Jitter)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느끼는 체감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화상형성방법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프린팅 명령이 수신되면(S410), 제어부(130)는 Y 색상의 화상형성 완료 후, M 색상의 화상형성 전에 기록매체의 픽업을 시도하도록 픽업롤러(120)를 제어한다(S420).
그리고, 제어부(130)는 기설정된 시간 내에 픽업이 성공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430), 픽업이 성공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M과, C와, K 색상의 화상형성 완료 후 기록매체에 전사하여 화상형성의 수행을 완료한다(S435).
만일, 단계 S430에서 기설정된 시간 내에 기록매체의 픽업이 성공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M 색상의 화상형성 완료 후 C 색상의 화상형성 전에 기록매체의 픽업을 다시 시도하도록 픽업롤러(120)를 제어한다(S440).
그리고, 제어부(130)는 기설정된 시간 내에 픽업의 재시도가 성공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450), 픽업이 성공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C와, K 색상의 화상형성 완료 후 기록매체에 전사하여 화상형성의 수행을 완료한다(S455).
만일, 단계 S450에서 기설정된 시간 내에 기록매체의 픽업이 성공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C 색상의 화상형성 완료 후 K 색상의 화상형성 전에 기록매체의 픽업을 다시 시도하도록 픽업롤러(120)를 제어한다(S460).
그리고, 제어부(130)는 기설정된 시간 내에 픽업의 재시도가 성공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470), 픽업이 성공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K 색상의 화상형성 완료 후 기록매체에 전사하여 화상형성의 수행을 완료한다(S475).
만일, 단계 S470에서 기설정된 시간 내에 기록매체의 픽업이 성공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페이퍼 잼 에러를 표시한다(S480).
이로써, 픽업의 재시도 회수를 늘려 페이퍼 잼 에러가 발생할 확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00) 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화상형성부(10)가 화상형성을 수행하는 세부단계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화상형성단계에서 기록매체가 픽업되지 않도록 픽업롤러(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200)는 기록매체의 재픽업 횟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재픽업 횟수를 3회로 지정한 경우 복수의 색상에 대한 화상형성 완료 후, 제어부(30)는 중간전사매체가 3회 공회전할 때까지 기록매체의 픽업을 시도하도록 픽업롤러(20)를 제어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200)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표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상형성장치(100)의 드라이버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문서작성에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형성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형성방법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감광체 20 : 광주사부
30 : 중간전사매체 40 : 전사롤러
50 : 레지센서 60 : 클리닝부재
100 : 화상형성장치 110 : 화상형성부
120 : 픽업롤러 130 : 제어부
200 : 사용자 인터페이스

Claims (20)

  1. 복수의 색상에 대응하는 화상을 기록매체에 형성하는 화상형성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색상 중 제1색상에 대응하는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색상에 대응하는 화상형성이 완료된 경우, 상기 기록매체의 픽업을 시도하는 단계; 및
    상기 기록매체의 픽업 시도 후, 상기 복수의 색상 중 제2색상에 대응하는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는, 광주사부에 의해 감광체가 노광되는 노광단계와, 상기 감광체의 표면이 대전되는 대전단계와,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가 현상되는 현상단계와, 중간전사매체로 현상제가 전사되는 전사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의 픽업을 시도하는 단계는, 상기 기록매체가 픽업되지 않으면 상기 제2색상의 화상형성이 완료된 후, 상기 기록매체의 재픽업을 시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의 픽업을 시도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색상의 화상형성이 모두 완료된 후에 상기 기록매체가 픽업되지 않으면, 상기 기록매체의 재픽업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의 재픽업을 시도하는 단계는, 상기 기록매체의 재픽업 시도 중에 상기 형성된 화상을 클리닝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의 재픽업은 중간전사매체를 공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재픽업의 횟수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8. 제2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단계 및 상기 재픽업의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드라이버와, 문서작성에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UI에서 지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색상은 Y(Yellow), M(Magenta), C(Cyan), K(Black)에 각각 대응하는 색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는 멀티패스(Multi-Pass) 방식에 의해 화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1. 복수의 색상에 대응하는 화상을 기록매체에 형성하는 화상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색상 중 제1색상에 대한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색상 중 제2색상에 대한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색상 및 제2색상에 대한 화상형성 사이에서 비화상영역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기록매체의 픽업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12.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색상에 대응하는 화상을 기록매체에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기록매체를 픽업하는 픽업롤러와;
    상기 복수의 색상 중 제1색상에 대응하는 화상형성이 완료된 경우, 상기 기록매체의 픽업을 시도하고, 상기 기록매체의 픽업 시도 후 상기 복수의 색상 중 제2색상에 대응하는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화상형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은 광주사부에 의한 감광체의 노광과, 상기 감광체의 표면의 대전과,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의 현상과, 중간전사매체로의 현상제의 전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록매체가 픽업되지 않으면 상기 제2색상의 화상형성이 완료된 후, 상기 기록매체의 재픽업을 시도하도록 상기 픽업롤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색상의 화상형성이 모두 완료된 후에 상기 기록매체가 픽업되지 않으면 상기 기록매체의 재픽업을 시도하도록 상기 픽업롤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을 클리닝하는 클리닝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록매체의 재픽업 시도 중에 상기 형성된 화상을 클리닝하지 않도록 상기 클리닝부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의 재픽업은 중간전사매체를 공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색상은 Y(Yellow), M(Magenta), C(Cyan), K(Black)에 각각 대응하는 색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부는 멀티패스(Multi-Pass) 방식에 의해 화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색상에 대응하는 화상을 기록매체에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상기 기록매체를 픽업하는 픽업롤러와;
    상기 복수의 색상 중 제1색상에 대한 화상형성과 상기 복수의 색상 중 제2색상에 대한 화상형성 사이에서 비화상영역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기록매체의 픽업을 시도하도록 상기 픽업롤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70105787A 2007-10-19 2007-10-19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상형성방법 KR2009004015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787A KR20090040154A (ko) 2007-10-19 2007-10-19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상형성방법
US12/236,625 US20090103961A1 (en) 2007-10-19 2008-09-24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thereof
CNA2008101679584A CN101414136A (zh) 2007-10-19 2008-10-20 成像装置及其成像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787A KR20090040154A (ko) 2007-10-19 2007-10-19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상형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0154A true KR20090040154A (ko) 2009-04-23

Family

ID=40563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5787A KR20090040154A (ko) 2007-10-19 2007-10-19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상형성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103961A1 (ko)
KR (1) KR20090040154A (ko)
CN (1) CN101414136A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0032A (en) * 1976-12-20 1978-08-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py production machines having supply sheet pick retry
JPH10133450A (ja) * 1996-11-05 1998-05-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6603936B2 (en) * 2000-12-29 2003-08-05 Kabushiki Kaisha Toshiba Fixing apparatus and fixing method
KR100497397B1 (ko) * 2003-07-11 2005-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시스템에 있어서 용지픽업 제어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14136A (zh) 2009-04-22
US20090103961A1 (en) 200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08062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濃度検知方法
JPH1165315A (ja) 画像形成装置
JP4329775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転写部材の離隔状態の検出方法
US803204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7316185A (ja) 画像形成装置
KR101317784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JPH11212426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404061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7310365A (ja) 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H08137179A (ja) フルカラー画像形成装置
KR20090040154A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상형성방법
JP4532935B2 (ja) 画像形成装置
US201402339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image
JP516944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7272158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転写部材の圧接離隔状態の検出方法
JP2005352082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4169048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記録媒体、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4415632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US2006008768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reducing time of printing consecutive pages of data and image forming method thereof
KR101488446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모터 제어방법
JP682243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5215281A (ja) 残留トナー回収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4793410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当該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転写部材のクリーニング実行制御方法
JP2010197823A (ja) 画像形成装置
JP3527353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