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7624A - 타격식 파이프 인발장치 - Google Patents

타격식 파이프 인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7624A
KR20090037624A KR1020070103043A KR20070103043A KR20090037624A KR 20090037624 A KR20090037624 A KR 20090037624A KR 1020070103043 A KR1020070103043 A KR 1020070103043A KR 20070103043 A KR20070103043 A KR 20070103043A KR 20090037624 A KR20090037624 A KR 20090037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hain
fixed
rod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3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7263B1 (ko
Inventor
조덕상
Original Assignee
조덕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덕상 filed Critical 조덕상
Priority to KR1020070103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7263B1/ko
Publication of KR20090037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7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9/00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 E02D9/02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by withdraw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BEARTH DRILLING, e.g. DEEP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3/00Sealing or packing boreholes or w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7/00Piston-rods

Abstract

본 발명은 타격식 파이프 인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타격식 파이프 인발장치는, 테이블에 고정된 다수 개의 스프로켓에 체인이 연결되어 있으며, 체인구동실린더장치가 일측은 테이블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체인에 연결된 채 설치되어 체인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체인이동장치와; 체인이동장치의 체인에 일측이 고정되어 체인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케이스고정브라켓과; 상부에 상부케이스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하부케이스가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스고정브라켓에 하부케이스가 고정되어 있고, 내부에 로드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로드설치공간 하부에 피스톤이 설치되어 있고, 로드설치공간 상부에 로드가 설치되어 있으며, 피스톤 하부 공간의 유압 또는 공압에 따라 피스톤이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로드가 상부케이스를 타격함으로써 상부케이스가 상부로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파이프이동장치와; 파이프이동장치의 상부케이스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일측에 암회동실린더가 연결되어 상부케이스와 고정된 지점을 축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는 한 쌍의 암과; 각 암의 끝단에 회전결합되고, 내측 표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파이프를 고정하도록 된 파이프고정부재;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종래의 끌어올리는 방식이 아니라 아래에서 위를 향해 타격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지중의 장애물이나, 파이프의 이음매 등과 같은 파이프의 돌출물이 있어도 손쉽게 파이프를 인발할 수 있고, 한 번의 실린더 로드의 이동만큼 파이프가 인발된 후 다시 실린더 로드가 원위치 되는 종래 방식과 달리 지속적인 타격만큼 파이프가 인발되므로 연속적인 인발 공정을 갖게 하여 인발 공정이 단순해지고, 인발 속도가 빨라지며, 일정한 길이만큼 인발된 파이프의 중간 부분을 절단하고, 그 하부의 파이프를 인발하고자 할 때 하부의 파이프고정장치를 이용하여 하부의 파이프를 고정할 수 있어 파이프 절단시 하부의 파이프가 관정 하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굴착기의 붐에 고정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굴착기를 이용한 작업이 가능한 파이프 인발장치가 제공된다.
파이프, 인발, 타격, 실린더, 체인, 굴착기

Description

타격식 파이프 인발장치{STRIKING TYPE'S PIPE-DRAWING APPARATUS}
지하수와 관련하여 폐공이라 함은 현재 또는 미래에 이용할 계획이 없고 오염방지를 위한 별도의 조치 없이 방치되어 있는 지층을 굴착한 모든 홀이나 우물 등을 말한다.
즉, 지하수를 개발, 이용할 목적으로 착정한 우물, 조사용 시추공 중 당초의 목적을 상실한 지하굴착공 전부가 폐공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폐공은 오염원으로 작용하거나, 지표 오염원의 유입 창구로 작용하거나 유입된 오염원을 지하심부까지 이동시키는 이동 통로로 작용하는 등 지하수 오염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폐공을 처리하는 방법으로 일시적인 폐공 처리, 되메움을 통한 원상 복구, 폐공을 관측정으로 활용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 여기서 원상복구 방법은 파이프를 인발하여 공 내부가 자연적으로 함몰되게 하거나, 공 내부가 함몰되지 않으면 주변토양으로 되메움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본 발명은 이처럼 폐공을 원상복구 하기 위해 파이프를 인발하는 인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 인발장치와 관련된 기술 중 지하에 매몰된 빔을 인출하기 위한 "쐐기형 클램프를 구비한 빔 인출기"(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8256호)가 출원되었다.
위와 같은 기술은 클램핑실린더와 승강실린더를 이용하여 빔을 끌어당겨 인출하도록 된 기술이다.
또다른 관련 기술로 지하에 매설된 지하수용 파이프를 인발하도록 된 "지하수 폐공처리용 파이프 인발장치"(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33146호)가 출원되기도 하였다.
위와 같은 기술은 파이프 내경에 삽입된 후 팽창되는 압착식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파이프를 인출하도록 한 기술이다.
위와 같은 기술들은 모두 실린더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끌어당기는 종류의 기술들이다.
그러나, 이처럼 지중에 매설된 파이프를 끌어당기는 기술은 파이프의 이음매 부분과 같이 돌출된 부분에 하측으로 응력이 강하게 작용하여 파이프를 끌어올리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 "쐐기형 클램프를 구비함 빔 인출기"와 같은 기술은 클램핑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작동하는 바 1 ~ 1.5 m 단위로 반복 작업을 해야 하는 바 작업 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하수 폐공처리용 파이프 인발장치"는 파이프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기술이나, 파이프 내측면은 수분등이 묻어 있어 밀착면에서 미끄러짐이 발생되기 쉬어 파이프를 잘 고정한 채 끌어올리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타격식 파이프 인발장치는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끌어올리는 방식이 아니라 아래에서 위를 향해 타격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지중의 장애물이나, 파이프의 이음매 등과 같은 파이프의 돌출물이 있어도 손쉽게 파이프를 인발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 한 번의 실린더로드의 이동만큼 파이프가 인발된 후 다시 실린더로드가 원위치 되는 종래 방식과 달리 지속적인 타격만큼 파이프가 인발되므로 연속적인 인발 공정을 갖게 하여 인발 공정을 단순화하고 인발 속도를 더 빠르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체인이동장치의 테이블을 높게 형성할 수 있고, 파이프의 상단을 고정한 채 파이프를 인발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일정한 길이만큼 인발된 파이프의 중간 부분을 절단하고, 그 하부의 파이프를 인발하고자 할 때 하부의 파이프고정장치를 이용하여 하부의 파이프를 고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파이프 절단시 하부의 파이프가 관정 하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려는 것이다.
또한, 굴착기의 붐에 고정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굴착기를 이용한 작업이 가능하게 하려는 것이다.
특히, 굴착기를 이용함에 있어서 굴착기의 버킷을 이용하여 폐공 주변의 터파기를 한 후 본 발명의 인발장치를 붐에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장비 없이 굴착기를 이용하여 쉽게 파이프를 인발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타격식 인발장치는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테이블에 고정된 다수 개의 스프로켓에 체인이 연결되어 있으며, 체인구동실린더장치가 일측은 테이블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체인에 연결된 채 설치되어 체인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체인이동장치와; 체인이동장치의 체인에 일측이 고정되어 체인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케이스고정브라켓과; 상부에 상부케이스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하부케이스가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스고정브라켓에 하부케이스가 고정되어 있고, 내부에 로드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로드설치공간 하부에 피스톤이 설치되어 있고, 로드설치공간 상부에 로드가 설치되어 있으며, 피스톤 하부 공간의 유압 또는 공압에 따라 피스톤이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로드가 상부케이스를 타격함으로써 상부케이스가 상부로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파이프이동장치와; 파이프이동장치의 상부케이스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일측에 암회동실린더가 연결되어 상부케이스와 고정된 지점을 축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는 한 쌍의 암과; 각 암의 끝단에 회전결합되고, 내측 표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파이프를 고정하도록 된 파이프고정부재;로 구성된다.
이때, 파이프 절단시 하부 파이프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체인이동장치의 테이블 하부에 일측이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파이프 하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파이프고정장치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파이프고정장치는, 테이블의 일측과 타측에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각각 고정되어 있는 두 개의 파이프고정실린더와; 파이프고정실린더에 일측이 삽입되어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이동하는 실린더로드와; 각 실린더로드의 끝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파이프의 외주면을 감싸 파이프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파이프하부고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굴착기에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해 테이블의 일측에 굴착기의 붐에 고정 가능하도록 된 굴착기연결브라켓이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종래의 끌어올리는 방식이 아니라 아래에서 위를 향해 타격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지중의 장애물이나, 파이프의 이음매 등과 같은 파이프의 돌출물이 있어도 손쉽게 파이프를 인발할 수 있게 된다.
또, 한 번의 실린더 로드의 이동만큼 파이프가 인발된 후 다시 실린더 로드가 원위치 되는 종래 방식과 달리 지속적인 타격만큼 파이프가 인발되므로 연속적인 인발 공정을 갖게 하여 인발 공정이 단순해지고, 인발 속도가 빨라진다.
또한, 체인이동장치의 테이블을 높게 형성할 수 있고, 파이프의 상단을 고정한 채 파이프를 인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일정한 길이만큼 인발된 파이프의 중간 부분을 절단하고, 그 하부의 파이프를 인발하고자 할 때 하부의 파이프고정장치를 이용하여 하부의 파이프를 고정할 수 있어 파이프 절단시 하부의 파이프가 관정 하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굴착기의 붐에 고정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굴착기를 이용한 작업이 가능해진다.
특히, 굴착기를 이용함에 있어서 굴착기의 버킷을 이용하여 폐공 주변의 터파기를 한 후 본 발명의 인발장치를 붐에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장비 없이 버킷이 장착된 굴착기와 본 발명의 인발장치만으로 쉽게 파이프를 인발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타격식 파이프 인발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타격식 파이프 인발장치는, 크게 체인이동장치(100), 케이스고정브라켓, 파이프이동장치(300), 한 쌍의 암(400)과 각 암(400)에 설치된 파이프고정부재(5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체인이동장치(10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테이블(100)에 고정된 다수 개의 스프로켓(120)에 체인(130)이 연결되어 있으며, 체인구동실린더장치(140)가 일측은 테이블(100)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체인(130)에 연결된 채 설치되어 있어 체인(130)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테이블(100)은 하부가 지면과 접촉하여 테이블(100)에 설치된 각 구성요소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박스형 구조, 가구형 구조, 기둥 구조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스프로켓(120)과 체인(130)의 설치 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는바 도 1과 도 10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과 같은 구조는 두 개의 스프로켓(120)을 각각 테이블(100)의 상부와 하부에 고정 설치하고 두 스프로켓(120)에 연결되어 이동하는 체인(130)을 설치한 구조이다.
즉, 체인(130)은 상부스프로켓(120b)을 따라 회전하여 하부로 이동한 후 다시 하부의 스프로켓(120)을 따라 회전한 후 상부로 이동하여 순환하도록 된 구조이다.
스프로켓(120)에 연결된 체인(130)의 회전을 위해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테이블(100) 일측에 실린더와 로드로 구성된 체인구동실린더장치(140)가 설치되어 있고, 로드가 체인(130)과 연겨되어 있어 실린더장치의 로드 이동에 따라 체인(130)이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1과 같은 구조는 도 1과 같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스프로켓(120b)을 테이블(100)에 고정 설치하되 그 사이에 두 개의 소형스프로켓(120a)으로 구성된 스프로켓내설체(121)를 설치하였다.
이때, 상부와 하부의 스프로켓(120)과 두 개의 소형스프로켓(120a)을 따라 이동하는 체인(130)의 구동 형태를 살펴보면, 체인(130)의 상단은 테이블(100)의 일측에 고정된 채 스프로켓내설체(121)의 소형스프로켓(120a)과 상부스프로켓(120b)을 거쳐 하부 스프로켓과 스프로켓내설체(121)의 소형스프로켓(120a)을 거친 다음 테이블(100)의 타측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스프로켓내설체(121)는 실린더와 로드로 구성된 체인구동실린더장치(140)이 로드가 연결되어 있어 로드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위와 같은 체인이동장치(100)의 구성 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상하로 체인(130)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든 구성이 본 발명의 체인이동장치(100)의 기술 사상을 나타낸 것이라 하겠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케이스고정브라켓(200)은 상기 체인이동장치(100)의 체인(130)에 일측이 고정되어 체인(13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파이프이동장치(300)와 타측이 고정되어 파이프이동장치(300)가 체인(13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스고정브라켓(200)의 구성은 도 11과 같이 단순한 클램프 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1을 보면 케이스고정브라켓(200)의 일측에는 체인(130)이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은 볼팅에 의해 파이프이동장치(300)를 감싸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스고정브라켓(200)은 반드시 브라켓으로 구성해야 하는 것은 아 니며 단순한 플레이트 형으로 구성한 후 파이프이동장치(300)와 체인(130)에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파이프이동장치(300)는 상부에 상부케이스(301)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하부케이스(30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케이스(301)와 하부케이스(302)에 의해 둘러쌓여지는 내부에는 로드설치공간(310)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케이스(302)는 상술한 케이스고정브라켓(200)에 고정되어 체인(130)의 구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파이프이동장치(300)의 내부에는 로드설치공간(310)이 형성되어 있으며, 로드설치공간(310) 하부에 피스톤(320)이, 그 상부에 로드(33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로드설치공간(310)의 하부에는 유체 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어 하부로 유입되는 유체 또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피스톤(320)이 상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피스톤(320)이 로드(330)를 타격함에 따라 로드(330)가 상하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이처럼 로드(330)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로드(330)가 상부케이스(301)를 타격하게 되는데 이때 상부케이스(301)가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아울러, 상부케이스(301)의 하부에는 암설치브라켓(340)이 설치되어 있어 후술하는 암(400)의 일측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부케이스(301)가 하부케이스(302)의 하부까지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 암설치브라켓(340)만 있어도 되나 도면에서와 같이 상부케이스(301)가 짧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 암설치브라켓(340)과 상부케이스(301) 사이에 브라켓연결부재(341)를 설치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한 쌍의 암(400)은 상술한 파이프이동장치(300)의 상부케이스(301)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것으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암설치브라켓(340)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를 위해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암(400)은 암설치브라켓(340)의 하부에 회전핀(420)에 의해 핀결합되어 있어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암회동실린더(410)의 일측이 암설치브라켓(340)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이 암(400)에 고정된 채 설치되어 있어 암회동실린더(410)의 구동에 따라 암(400)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파이프고정부재(500)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암(400)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내측 표면에 돌기(510)가 형성되어 파이프(900)를 고정하기 쉽게 되어 있다.
이때, 암(400)과는 고정부재측회전핀(520)을 통한 핀결합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하며, 이와 같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것은 파이프(900)의 표면이나 경사도, 또는 원형 파이프(900)가 아닌 다양한 표면 경사를 갖는 심재를 인발시킬 때도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며, 암(400)이 암설치브라켓(340)과 연결된 지점을 축으로 회전함에도 불구하고 파이프(900)와 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타격식 파이프 인발장치는 도 1과 같이 테이블(100)의 길이가 짧게 형성할 수도 있으나 도 5와 같이 테이블(100)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 한번에 5 ~ 6 m 가량 되는 파이프(900)를 한 번에 인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타격식 파이프 인발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체인이동장치(100)의 테이블(100) 하부에 파이프(900)의 하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파이프고정장치(600)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파이프고정장치(600)를 설치하는 이유는, 파이프고정부재(500)가 파이프(900)를 고정한 채 체인(130)이 이동하여 파이프이동장치(300)가 상부로 상승할 때 최상단까지 이르게 되면 더이상 파이프(900)를 인발할 수 없으므로 파이프(900)를 절단하여 이동시킨 후 파이프이동장치(300)를 하부로 이동시켜 다시 하부의 파이프(900)를 인발해야 한다.
그런데, 파이프(900)를 절단하게 되면 절단되면서 나뉘어진 파이프(900) 중 하부의 파이프(900)가 하부로 추락해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파이프고정장치(600)는 이처럼 파이프(900)를 절단할 때 미리 하부의 파이프(900)를 고정함으로써 하부의 파이프(900)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파이프고정장치(60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중 도 6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좁은 면적에 설치가 가능한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의 구성은 파이프고정장치(600)를 두 개의 파이프고정실린더(610)와, 실린더로드(620), 파이프하부고정부재(630)로 구성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파이프고정장치(600)는,
테이블(100)의 일측과 타측에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각각 테이블(100)에 고정되어 있는 두 개의 파이프고정실린더(610)와,
상기 파이프고정실린더(610)에 일측이 삽입되어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이동하는 실린더로드(620)와, 각 실린더로드(620)의 끝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파이프(900)의 외주면을 감싸 파이프(900)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파이프하부고정부재(630)로 구성된다.
여기서, 파이프하부고정부재(630)를 실린더로드(620)에 직접 연결하는 것보다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린더로드(620) 끝단에 브라켓을 설치하고, 이 브라켓에 파이프하부고정부재(630)를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파이프하부고정부재(630)의 형상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파이프(900)의 외주면을 고정하기 쉽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타격식 파이프 인발장치는 유압공급장치와, 유압공급장치와 연결된 제어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여 제어장치를 조정함으로 써 각 실린더에 공급되는 유압 또는 공압을 조정함으로써 전체 인발장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 각 실린더장치를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컨트롤장치를 구비한 후 컨트롤장치의 조종을 통해 전체 인발장치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구동방법보다 바람직한 방법으로 본 발명의 인발장치를 굴착기(800)와 연결하고, 굴착기(800)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작동하도록 한 후 굴착기(800)에 설치된 레버를 통해 작동하게 되면 이동 작업이 편리하면 별도의 유압공급장치를 제공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타격식 파이프 인발장치의 테이블(100)에 굴착기(800)의 붐(810)에 고정 가능하도록 된 굴착기연결브라켓(700)을 설치하여 굴착기(800)의 붐(810)과 테이블(100)을 쉽게 고정,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굴착기연결브라켓(700)의 구성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 가능하며, 굴착기(800)의 붐(810)과, 굴착기(800)의 붐(810)에 설치되어 있는 실린더와 연결되고, 타측으로 테이블(100)이 볼팅, 클램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도록 구성하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타격식 파이프 인발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 2 내지 도 4 및 도 7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인발장치의 한 쌍의 파이프고정부재(500)가 서로 파이프(900) 상단에 밀착되어 파이프(900)를 고정한 채 파이프이동장치(300)의 로드설치공간(310) 하부의 피스톤(320)이 상부로 이동하여 로드(330)가 상부로 이동하여 로드설치공간(310) 상부 벽면을 타격하는 상태를 도시하였다.
이때, 피스톤(320)의 이동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로드설치공간(310) 하부로 유입되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것으로 유압 배관의 연결은 미도시하였다.
도 3은 도 2에서 로드(330)가 로드설치공간(310) 상부 벽면을 타격함에 따라 상부케이스(301)가 상부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부케이스(301)가 상부로 이동함에 따라 암설치브라켓(340)을 통해 상부케이스(301)와 연결된 파이프(900)이 함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도 4는 로드(330)를 타격한 피스톤(320)이 유압 또는 공압의 감소로 로드설치공간(310) 하부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로드(330)가 함께 하강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이때, 상부케이스(301)가 하부로 함께 이동하는데 이때 체인구동실린더장치(140)를 함께 작동시켜 하부케이스(302)를 상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부걸림턱(301a)을 형성하고, 로드(330)의 머리 부분을 상부걸림턱(301a)에 걸릴 정도로 형성하여 로드(330)의 이동 거리 및 상부케이스(301)의 이동거리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 구성은 암반파쇄기의 형상 및 모양을 참고하여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즉, 피스톤(320)은 유압 및 공압에 의한 왕복 운동을 하고, 로드(330)는 피스톤(320)이 상승할 때는 피스톤(320)에 밀려 이동하면서 상부케이스(301)를 타격하여 상부케이스(301)를 상부로 이동시키고, 하강 시에는 중력에 의한 자유 낙하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파이프이동장치(300) 내부의 피스톤(320)의 왕복 운동에 의해 로드(330)가 상부케이스(301)를 반복적으로 타격하게 되고, 이때 상부케이스(301)는 상하로 진동하면서 체인(130)에 연결된 채 체인구동실린더장치(140)의 작동에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파이프(900)가 함께 상부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타격식 파이프 인발장치에 굴착기연결브라켓(700)이 설치되어 있고, 굴착기연결브라켓(700)에 굴착기(800)의 붐(810)이 연결되어 파이프(900)를 인발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케이스고정브라켓(200)과 파이프이동장치(300)가 테이블(100)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파이프(900)를 서서히 인발하는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8은 케이스고정브라켓(200)과 파이프이동장치(300)가 테이블(100)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파이프(900)를 높이 인발시킨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8과 같이 파이프(900)를 인발한 상태에서 더 이상 높이 파이프(900)를 인발하기 어려운 상태가 되면 도 6에서 도시한 파이프고정장치(600)로 파이프(900)의 하부를 고정한 채 그 상부 면을 절단하여 절단한 파이프(900)를 치운 후 고정한 파이프(900)의 하부를 다시 파이프이동장치(300)의 하부에 설치된 파이프고정부재(500)로 고정한 후 다시 끌어올리면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타격식 파이프 인발장치는 테이블(100)을 길게 형성하여 한번의 작업시 파이프(900)를 테이블(100)의 높이에 따라 6 ~ 8 m 정도까지 인발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1 m씩 나뉘어 인발 작업하는 것에 비해 작업속도 및 효율이 향상된다.
한편, 도 9는 위와 같이 굴착기연결브라켓(700)을 이용해 굴착기(800)의 붐(810)에 본 발명의 타격식 파이프 인발장치를 설치하되, 굴착기(800)의 구성을 두 개의 붐(810)이 형성된 형태로 적용시켜 굴착기(800)의 하나의 붐(810)에는 본 발명의 타격식 파이프 인발장치를, 타측의 붐(810)에는 버킷(820)을 설치함으로써 버킷(820)을 이용해서는 폐공 주변의 터파기를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굴착기(800)와 본 발명의 타격식 파이프 인발장치를 이용하여 파이프(900) 인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타격식 파이프 인발장치는 비단 폐공의 파이프 만을 인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각종 강재 파일, 강재 구조부재, 합성수지 부재 등 지중에 매설된 각종 구조물을 인발할 때 사용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타격식 파이프 인발장치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타격식 파이프 인발장치의 피스톤이 로드를 타격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타격식 파이프 인발장치의 로드의 타격에 의해 파이프이동장치가 상부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타격식 파이프 인발장치에서 파이프이동장치가 상부로 이동한 후 로드와 피스톤이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타격식 파이프 인발장치의 테이블이 길게 형성된 예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파이프고정장치를 나타낸 평면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타격식 파이프 인발장치가 굴착기연결브라켓에 의해 굴착기의 붐에 연결되어 파이프를 인발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타격식 파이프 인발장치가 굴착기의 붐에 연결된 채 파이프를 테이블 상단 위치까지 인발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타격식 파이프가 굴착기의 붐에 연결되되 굴착기에 또다른 붐이 형성되어 있고, 이 붐에 버킷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타격식 파이프 인발장치의 또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타격식 파이프 인발장치의 파이프이동장치에 암과 파이프 고정부재가 설치된 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0 : 체인이동장치 110 : 테이블
120 : 스프로켓 120a : 소형스프로켓
120b : 상부스프로켓 121 : 스프로켓내설체
130 : 체인 140 : 체인구동실린더장치
200 : 케이스고정브라켓 300 : 파이프이동장치
301 : 상부케이스 301a : 상부걸림턱
302 : 하부케이스 310 : 로드설치공간
320 : 피스톤 330 : 로드
340 : 암설치브라켓 341 : 브라켓연결부재
400 : 암 410 : 암회동실린더
420 : 회전핀 500 : 파이프고정부재
510 : 돌기 520 : 고정부재측회전핀
600 : 파이프고정장치 610 : 파이프고정실린더
620 : 실린더로드 630 : 파이프하부고정부재
700 : 굴착기연결브라켓 800 : 굴착기
810 : 붐 820 : 버킷
900 : 파이프

Claims (4)

  1. 파이프 인발장치에 있어서,
    테이블(100)에 고정된 다수 개의 스프로켓(120)에 체인(130)이 연결되어 있으며, 체인구동실린더장치(140)가 일측은 테이블(100)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체인(130)에 연결된 채 설치되어 체인(130)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체인이동장치(100)와;
    상기 체인이동장치(100)의 체인(130)에 일측이 고정되어 체인(13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케이스고정브라켓(200)과;
    상부에 상부케이스(301)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하부케이스(302)가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스고정브라켓(200)에 하부케이스(302)가 고정되어 있고, 내부에 로드설치공간(310)이 형성되어 있으며, 로드설치공간(310) 하부에 피스톤(320)이 설치되어 있고, 로드설치공간(310) 상부에 로드(330)가 설치되어 있으며, 피스톤(320) 하부 공간의 유압 또는 공압에 따라 피스톤(320)이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로드(330)가 상부케이스(301)를 타격함으로써 상부케이스(301)가 상부로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파이프이동장치(300)와;
    상기 파이프이동장치(300)의 상부케이스(301)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일측에 암회동실린더(410)가 연결되어 상부케이스(301)와 고정된 지점을 축으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는 한 쌍의 암(400)과;
    상기 각 암(400)의 끝단에 회전결합되고, 내측 표면에 돌기(510)가 형성되어 파이프(900)를 고정하도록 된 파이프고정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
    타격식 파이프 인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이동장치(100)의 테이블(100) 하부에 일측이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파이프(900) 하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파이프고정장치(600)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식 파이프 인발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100)의 일측에 굴착기(800)의 붐(810)에 고정 가능하도록 된 굴착기연결브라켓(700)이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식 파이프 인발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고정장치(600)는,
    상기 테이블(100)의 일측과 타측에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각각 고정되어 있 는 두 개의 파이프고정실린더(610)와;
    상기 파이프고정실린더(610)에 일측이 삽입되어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이동하는 실린더로드(620)와;
    상기 각 실린더로드(620)의 끝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파이프(900)의 외주면을 감싸 파이프(900)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파이프하부고정부재(6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격식 파이프 인발장치.
KR1020070103043A 2007-10-12 2007-10-12 타격식 파이프 인발장치 KR100927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043A KR100927263B1 (ko) 2007-10-12 2007-10-12 타격식 파이프 인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043A KR100927263B1 (ko) 2007-10-12 2007-10-12 타격식 파이프 인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624A true KR20090037624A (ko) 2009-04-16
KR100927263B1 KR100927263B1 (ko) 2009-11-18

Family

ID=40762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3043A KR100927263B1 (ko) 2007-10-12 2007-10-12 타격식 파이프 인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726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71969A (zh) * 2018-11-30 2019-02-22 卢小玲 一种夹持效果好的拔桩机
KR20200038433A (ko) 2020-03-24 2020-04-13 주식회사 엠케이 링 기어용 링 제조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링 기어용 링
KR102237615B1 (ko) 2020-10-28 2021-04-06 김용웅 가공 시스템
CN113373900A (zh) * 2021-04-23 2021-09-10 林树良 一种基坑加固施工冻结管智能拔取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8362B1 (ko) 2023-01-26 2023-08-17 김양형 유압과 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한 저진동, 저소음으로 인발할 수 있는 케이싱 인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4282A (ja) * 2000-06-20 2002-01-09 Furukawa Co Ltd 油圧杭打抜機
JP3463035B2 (ja) * 2000-10-20 2003-11-05 新日本工業株式会社 杭の圧入及び引き抜き装置
JP2002309575A (ja) * 2001-04-18 2002-10-23 Furukawa Co Ltd 杭打抜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71969A (zh) * 2018-11-30 2019-02-22 卢小玲 一种夹持效果好的拔桩机
KR20200038433A (ko) 2020-03-24 2020-04-13 주식회사 엠케이 링 기어용 링 제조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링 기어용 링
KR102237615B1 (ko) 2020-10-28 2021-04-06 김용웅 가공 시스템
CN113373900A (zh) * 2021-04-23 2021-09-10 林树良 一种基坑加固施工冻结管智能拔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7263B1 (ko) 200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58452B (zh) 一种全回转快速切割的清障拔桩施工方法及施工设备
KR100716132B1 (ko) 천공 및 항타 작업이 동시에 가능한 파일 시공장치
KR100927263B1 (ko) 타격식 파이프 인발장치
CN107217910A (zh) 供电线路电杆栽杆装置及其栽杆方法
JP6886717B2 (ja) 鋼管杭の施工方法
CN104746519A (zh) 一种清障施工方法
JP6308990B2 (ja) 地中障害物除去用アタッチメントおよび地中障害物除去方法
JP6085484B2 (ja) 杭打ち機
JP6498484B2 (ja) 地中障害物撤去装置
JP3361776B2 (ja) 地中埋設杭の破砕処理装置
KR100712190B1 (ko) 수압을 이용한 파일관입장치 및 방법
KR102178354B1 (ko) 파일 인발장치
JP4606973B2 (ja) 地中基礎杭用解体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る地中基礎杭の解体工法
KR100927264B1 (ko) 타격식 파이프 인발장치
JPH09177464A (ja) オールケーシング工法用竪孔掘削装置及び掘削物切断方法
JP4478348B2 (ja) 鋼管杭の打設方法及びその装置
JP3500387B1 (ja) 地中既設構造物の引抜工法
JP3392810B2 (ja) 立坑掘削機
CN105604060B (zh) 一种堤坝溃口射桩机及其射桩方法
KR101180322B1 (ko) 햄머 그래브 및 이를 구비한 굴착기
CN112252964A (zh) 全回转钻机清除地下盾构管片的施工设备
CN201071509Y (zh) 一种全回转快速切割的清障拔桩设备
JP3850997B2 (ja) 掘削装置の汚濁防止・ズリ受け装置
KR200398533Y1 (ko) 건설시공용 파일
JP2001271350A (ja) 既存杭切削撤去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