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7342A - 악안면용 교정 기구 - Google Patents

악안면용 교정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7342A
KR20090037342A KR1020080099396A KR20080099396A KR20090037342A KR 20090037342 A KR20090037342 A KR 20090037342A KR 1020080099396 A KR1020080099396 A KR 1020080099396A KR 20080099396 A KR20080099396 A KR 20080099396A KR 20090037342 A KR20090037342 A KR 20090037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wire
face
human
elas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9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2533B1 (ko
Inventor
야스시 미타니
Original Assignee
야스시 미타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스시 미타니 filed Critical 야스시 미타니
Publication of KR20090037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7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6Extra-oral force transmitting means, i.e. means worn externally of the mouth and placing a member in the mouth under ten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6Extra-oral force transmitting means, i.e. means worn externally of the mouth and placing a member in the mouth under tension
    • A61C7/065Extra-oral force transmitting means, i.e. means worn externally of the mouth and placing a member in the mouth under tension with a chin c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0Devices having means to apply outwardly directed force, e.g. expan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인간의 입 안 상악 (上顎) 에 장착되는 상악 확장기와, 이 상악 확장기와 접속되며, 그 인간의 전방으로 견인되는 피견인기를 갖도록 구성한다.
또, 피견인기가, 일단이 상악 확장기의 좌측 구멍부에 삽입되고, 타단이 입 밖으로 돌출된 좌측 와이어부와, 일단이 상악 확장기의 우측 구멍부에 삽입되고, 타단이 입 밖으로 돌출된 우측 와이어부와, 좌측 와이어부와 우측 와이어부 중 일방에 형성되며, 상악 확장기 조절 기구에 의한 좌측 맞닿음부 및 좌측 맞닿음부의 거리 변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접속 튜브와, 좌측 와이어부 및 우측 와이어부 중 타방에 형성되며, 접속 튜브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접속 와이어를 구비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악안면용 교정 기구{MAXILLOFACIAL ORTHOTIC}
본 발명은, 치열 부정의 해소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악안면용 교정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치열 부정을 해소하기 위해 여러 가지의 수법이 이용되고 있다.
치열 부정에 의해 상악 전방돌출 (이른바 뻐드렁니) 이 발생한 경우, 상악 치열을 후방 이동 (원심 이동) 시키는 처치가 취해지고, 또 하악 전방돌출 (이른바 주걱턱) 이 발생한 경우에는, 하악 치열을 후방 이동 (원심 이동) 시키는 처치가 취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에서, 일반적인 치열의 원심 이동의 일례에 대해 도 7 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도 7a ∼ c 는, 모두 상악의 치아를 구강 내측으로부터 본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7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치부 (前齒部) (T1, T2, T3) 에서의 총생 (叢生) 이 관찰되는 경우, 제 4 번 치아 (제 1 소구치) (T4, T4) 를 발치하여 공극 (G4, G4) 을 확보하고 (도 7b 참조), 그 후, 제 3 번 치아 (송곳니) (T3, T3), 제 2 번 치아 (측절치) (T2, T2), 및 제 1 번 치아 (중절치) (T1, T1) 를 원심 이동시켜 치열을 정렬하는 수법이 취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상악 치열에 있어서의 원심 이동에 대해 설명했지만, 하악 치열에 있어서의 원심 이동도 도 7 을 이용하여 상기 서술한 수법과 대략 동일하다. 단, 하악 치열에 있어서의 원심 이동에 있어서는, 하악의 제 5 번 치아 (하악 제 2 소구치) 를 발치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수법에서는, 치열을 이동시킬 수 있는 양이 작아 중증도의 부정 교합 증례에 대응할 수 없으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뼈를 절단한다는 외과적 수술에 의한 처치가 취해지는 경우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치열 교정 수법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것이고, 또 이와 같은 치열 교정에 사용되는 장치도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인데, 그 장치의 일례가 이하의 특허 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원심 이동에 의한 치열 교정, 혹은 외과적 처치를 실시했다고 해도, 그 후 수년이 경과하면 다시 부정 교합이 발생하는 사태가 생긴다.
종래부터, 이와 같은 사태가 발생하는 원인은, 원래 치열 부정이 유전적인 원인으로 생기기 때문이라는 설을 지지하는 연구자가 대세를 차지한다.
즉, 이 유전설에 기초하여 상기 사태를 설명한다고 하면, 원심 이동에 의해 치아의 교정을 실시하거나, 외과적 수술에 의한 조치를 취하거나 해도, 유전적인 원인에 의해 다시 치열 부정이 발생함으로써 부정 교합이 재발하게 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42963호
그러나, 본 발명자는, 유전적인 원인으로 치열 부정이 생기는 것이 아니라, 상악이 전방으로 적절히 성장되어 있지 않다는 원인에 의해 치열 부정이 생기고, 이 치열 부정에 의해 부정 교합이 발생하는 것으로 고찰하고 있다. 환언하면, 상악을 적절히 전방으로 성장시키지 않는 한, 치열 교정이나, 외과적 수술을 실시했다고 해도, 결국 치열 부정을 근본적으로 치료하는 것은 사실상 곤란하다고 고찰하고 있는 것이다.
이 점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악을 전방으로 성장시키기 위한 시술 수법의 일례를 도 8 에 나타낸다.
이 수법에 있어서는, 인간 (100) 의 안면 (101) 에 상악 전방 견인 장치 (102) 를 장착하게 되어 있다.
이 상악 전방 견인 장치 (102) 는, 이마부 (103) 에 맞닿는 헤드 서포트 (104) 와, 하악 (105) 의 하단 (106) 에 맞닿는 친 서포트 (107) 와, 헤드 서포트 (104) 와 친 서포트 (107) 를 접속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금속인 메인 프레임 (108) 을 갖고 있다.
이 메인 프레임 (108) 에는, 안면 (101) 측과는 반대측으로 돌출된 아우터 훅 (109)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아우터 훅 (109) 에는, 엘라스틱 (111) 이 걸리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아우터 훅 (109) 은, 상악 전방 견인 장치 (102) 가 안면 (101) 에 장착된 상태에서 코부 (112) 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메인 프레임 (108) 상에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시술 수법에 있어서는, 상악 (113) 에 이너 훅 (114) 이 형성되고, 이 이너 훅 (114) 에 의해 상기 엘라스틱 (111) 이 걸리도록 되어 있다. 이 이너 훅 (114) 은, 구강 내의 상악 (113) 에 장착된 상악 확대 장치 (도시 생략) 에 1 쌍 형성된 부품으로서, 상악 치열 (115) 의 좌우 외측에 있어서 각각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엘라스틱 (111) 이 이너 훅 (114) 과 아우터 훅 (109)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도록 탄성 지지한다. 환언하면, 도면 중 화살표 F109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너 훅 (114) 이 전방으로 견인된다.
그러나, 이 경우, 도 8 중 화살표 M113 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악 (113) 에는 반시계 회전 방향의 모멘트가 작용하여, 후비극 (後鼻棘) (PNS ; Posterior Nasal Spine) 이 하방으로 변위될 뿐만 아니라, 하악 (105) 의 상단인 관절두 (116) 도 하방으로 변위된다.
즉, 도 8 에 나타내는 수법에서는, 하악 전방돌출의 증상을 억제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 만일 하악 전방돌출의 증상을 어느 정도는 억제할 수 있었다고 해도, 상악 (113) 의 전치와 하악 (105) 의 전치 사이에 간극이 생길 (즉, 개구가 생길) 우려가 있다.
그리고, 안면 (101) 에 있어서의 비하점 (112) 의 하단으로부터 하악 (105) 의 하단 (106) 까지의 거리 (즉, 하안면 높이 ; LFH (Lower Facial Height)) 는 시술 전보다 길어지는 사태가 발생한다.
또, 후비극 (PNS) 이 하방으로 변위되면, 구강 내에서 혀를 상악 (113) 의 하면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는 문제도 생긴다. 이것을 도 9 및 도 10 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 는 정상 교합인 인간 (120) 의 안면 (121) 을 나타내는 부분적인 측방 단면도이고, 또 도 10 은 하악 전방돌출이 발생한 인간 (140) 의 안면 (141) 을 나타내는 부분적인 측방 단면도이다.
정상 교합의 인간 (120) 에 있어서의 연구개 (122) 는 (도 9 참조), 하악 전방돌출의 인간 (140) 에 있어서의 연구개 (142) (도 10 참조) 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 9 에 나타내는 정상 교합의 인간 (120) 에 있어서는, 구강 내의 혀 (도시 생략) 의 가동 스페이스 (즉, 설(舌)가동역) (S120) 가 구강 내 전체에 확보되어 있고, 또 혀를 상악 (123) 의 하면에 맞닿게 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강 내 스페이스도 충분히 남아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0 에 나타내는 하악 전방돌출이 발생한 인간 (140) 의 설가동역 (S140) 은, 정상 교합의 인간 (120) 의 설가동역 (S120) 보다 작아, 상악 (143) 의 하면에 도달하지 못하여 데드 스페이스 (G140) 가 발생한다.
그리고, 도 8 을 이용하여 설명한 시술 수법에서는, 후비극 (PNS) 을 하방으로 변위시키기 때문에,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구개 (142) 를 하방으로 변위시키는 것을 촉진한다는 사태가 발생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연구개의 하방 변위와 하악 전방돌출의 발증의 관계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간 (150) 의 헤드부 (151) 내에는 부비강 (152)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코부 (153) 로부터 공기가 흡입되면, 이 부비강 (152) 내에 공기가 충전되고, 부비강 (152) 내의 기압이 높아지도록 (즉, 양압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부비강 (152) 내에 양압이 발생하면, 연구개 (154) 및 경구개 (155) 가 하전방으로 가압되고, 이에 의해, 상악 (156) 의 전방으로의 성장이 촉진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즉, 하악 전방돌출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상악 (156) 을 적절히 전방으로 성장시키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부비강 (152) 내에 있어서 양압을 발생시키는 것이 필요한 것이다. 그리고, 부비강 (152) 내에서 양압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입 호흡이 아니고, 코 호흡을 실시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미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도 10 에 나타내는 하악 전방돌출의 인간 (140) 에 있어서는, 연구개 (142) 의 하방 변위에 의해, 구강 내에서 혀가 상악 (143) 의 하면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혀를 상악 (143) 의 하면에 맞닿게 하지 않은 상태에서 코 호흡을 실시하는 것은 생리학적으로 매우 곤란하다.
즉, 혀를 상악 (143) 의 하면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면, 무리 없이 코 호흡이 실시되는 것인데, 혀를 상악 (143) 의 하면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할 수 없으면, 필연적으로 입 호흡이 실시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8 을 이용하여 설명한 시술 수법에 의하면, 결국 코 호흡을 저해하고, 부비강 내에서 양압이 발생하기 어려운 환경을 만들기 때문에, 적절한 상악의 전방 성장을 재촉하지 못하여 하악 전방돌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없는 것이다.
또, 혀가 상악 (143) 의 하면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구강 내에서 충분히 확보할 수 없는 경우, 혀는 상악 (143) 의 치아 (146) 와 하악 (144) 의 치아 (145) 사이에 돌출된다. 이 때문에, 하악 (144) 의 치아 (145) 에는 구강 내에서 전방으로의 설압이 항상 작용하여 (도 10 중, P140 참조), 하악 전방돌출의 증상이 더욱 조장된다.
또한, 코 호흡이 아니라 입 호흡이 실시되면, 하악 전방돌출이 조장되는 점에 대해 도 9 ∼ 도 11 을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상악 전방돌출이 조장되는 경우도 있다. 이것에 대해, 상악 전방돌출이 발생한 인간 (160) 의 안면 (161) 을 나타내는 부분적인 측방 단면도인 도 12 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악 전방돌출이 발생한 인간 (160) 의 설가동역 (S160) 도, 정상 교합의 인간 (120) 의 설가동역 (S120) 보다 작고, 상악 (163) 의 하면에 도달하지 못하여 데드 스페이스 (G160) 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상악 전방돌출이 발생한 인간 (160) 은, 혀를 상악 (163) 의 하면에 맞닿게 하는 것이 곤란해져 필연적으로 입 호흡이 실시되는 것이다. 또, 혀가 연구개 (162) 를 밀어 올릴 수 없기 때문에, 부비강 (도 12 에서는 도시 생략) 내에서 양 압을 발생시킬 수도 없다.
이 때문에, 상악 (163) 은 전방으로의 성장이 방해된다. 단, 성장기에 있는 상악 (163) 의 전방 성장이 방해되면, 이 상악 (163) 은 하방으로 성장하게 된다.
한편, 하악 (164) 의 전방으로의 성장은, 상악 (163) 의 전방으로의 성장에 추종하는데,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상악 (163) 의 전방 성장이 방해되고 있는 이상, 하악 (164) 은 전방으로 성장하지 못하고, 나아가서는 상악 (163) 이 하방으로 성장하기 때문에, 상악 전방돌출의 증상이 조장되는 것이다.
또, 혀가 상악 (163) 의 하면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구강 내에서 충분히 확보할 수 없는 경우, 혀는 상악 (163) 의 치아 (165) 와 하악 (164) 의 치아 (166) 사이에 돌출된다. 이 때문에, 상악 (163) 의 치아 (165) 에는 구강 내에서 전방으로의 설압이 항상 작용하여 (도 12 중, P160 참조), 상악 전방돌출의 증상이 더욱 조장된다.
한편, 모두에서 설명한 원심 이동에 의한 시술은 인간의 성장 방향에 역행하는 술식으로서, 바람직하지 않다는 과제도 있다.
즉, 안면 두개가 성장함에 따라, 상악 및 하악의 뼈 (즉, 악골) 도 당연히 성장하는 것인데, 이 악골의 성장 방향은 반드시 근심 (近心) (즉, 전방) 이고, 또 치아의 맹출 방향도 반드시 전방이다. 그러나, 원심 이동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치아를 원심 (즉, 후방) 으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원 심 이동에 의한 시술은, 본래적인 인간의 성장 방향과는 역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상악의 적절한 전방 성장을 재촉함으로써 치열 부정을 해소할 수 있는 악안면용 교정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악안면용 교정 기구는, 인간의 입 안 상악에 장착되는 상악 확장기와, 그 상악 확장기와 접속되며, 그 인간의 전방으로 견인되는 피견인기를 갖는 악안면용 교정 기구로서,
그 상악 확장기는,
그 인간의 좌상악 치열에 대해 내측으로부터 맞닿는 좌측 맞닿음부와,
그 인간의 우상악 치열에 대해 내측으로부터 맞닿는 우측 맞닿음부와,
그 좌측 맞닿음부와 그 우측 맞닿음부 사이의 거리를 가변으로 하면서 그 좌측 맞닿음부와 그 우측 맞닿음부를 접속하는 조절 기구와,
그 좌측 맞닿음부에 형성된 좌측 구멍부와,
그 우측 맞닿음부에 형성된 우측 구멍부를 가지며,
그 피견인기는,
일단이 그 좌측 구멍부에 삽입되고 타단이 입 밖으로 돌출된 좌측 와이어부와,
일단이 그 우측 구멍부에 삽입되고 타단이 입 밖으로 돌출된 우측 와이어부와,
그 좌측 와이어부 및 그 우측 와이어부 중 일방에 형성되고 그 조절 기구에 의한 그 좌측 맞닿음부 및 그 우측 맞닿음부의 거리 변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접속 튜브와,
그 좌측 와이어부 및 그 우측 와이어부 중 타방에 형성되고 그 접속 튜브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접속 와이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악안면용 교정 기구는,
그 좌측 와이어부의 선단 근방에 형성되고 상방으로 돌출되는 좌측 A 선단 와이어와,
그 우측 와이어부의 선단 근방에 형성되고 상방으로 돌출되는 우측 A 선단 와이어와,
그 좌측 A 선단 와이어에 형성되고 그 인간의 안면 방향으로 돌출된 좌측 제 1A 돌기부와,
그 우측 A 선단 와이어에 형성되고 그 인간의 안면 방향으로 돌출된 우측 제 1A 돌기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그 좌측 제 1A 돌기부에는, 그 좌측 와이어부를 수평 전방으로 견인하는 좌측 제 1 탄성체가 걸림과 함께,
그 우측 제 1A 돌기부에는, 그 우측 와이어부를 수평 전방으로 견인하는 우측 제 1 탄성체가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악안면용 교정 기구는,
그 접속 튜브는 양단이 개구되고,
그 접속 와이어는 그 접속 튜브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악안면용 교정 기구는,
그 접속 튜브가, 그 좌측 와이어부 및 그 우측 와이어부 중 일방에 있어서 1 쌍 형성되고,
그 접속 와이어가, 그 좌측 와이어부 및 그 우측 와이어부 중 타방에 있어서 1 쌍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악안면용 교정 기구는,
1 쌍의 그 접속 튜브는 쌍방 동일한 크기의 내경으로 형성되고,
1 쌍의 그 접속 와이어 중 일방은, 외경이 그 접속 튜브의 내경보다 0.1 ∼ 0.05 ㎜ 작은 제 1 외경으로 형성되고,
1 쌍의 그 접속 와이어 중 타방은, 그 제 1 외경보다 작은 제 2 외경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악안면용 교정 기구는,
그 인간의 헤드부에 장착되는 헤드 서포트와,
그 인간의 하악부에 장착되는 친 서포트와,
상단이 그 헤드 서포트에 접속됨과 함께 하단이 친 서포트에 접속되고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사이드 프레임과,
그 인간의 안면 전방에서 또한 그 인간의 입부보다 상방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1 쌍의 그 사이드 프레임 사이를 접속하는 수평 바와,
그 안면의 좌측 전방에서 그 수평 바로부터 돌출되고 선단이 그 입부의 전방에 배치된 좌측 B 돌출 바와,
그 안면의 우측 전방에서 그 수평 바로부터 돌출되고 선단이 그 입부의 전방에 배치된 우측 B 돌출 바와,
그 좌측 B 돌출 바의 선단 근방에 형성되고 그 좌측 제 1 탄성체가 걸리는 좌측 제 1B 돌기부와,
그 우측 B 돌출 바의 선단 근방에 형성되고 그 우측 제 1 탄성체가 걸리는 우측 제 1B 돌기부를 구비하고,
그 좌측 제 1 탄성체는, 그 좌측 제 1A 돌기부와 그 좌측 제 1B 돌기부를 접속하고,
그 우측 제 1 탄성체는, 그 우측 제 1A 돌기부와 그 우측 제 1B 돌기부를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악안면용 교정 기구는,
그 인간의 헤드부에 장착되는 헤드 서포트와,
그 인간의 하악부에 장착되는 친 서포트와,
상단이 그 헤드 서포트에 접속됨과 함께 하단이 친 서포트에 접속되고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사이드 프레임과,
그 인간의 안면 전방에서 또한 그 인간의 입부보다 상방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1 쌍의 그 사이드 프레임 사이를 접속하는 수평 바와,
그 안면의 좌측 전방에서 그 수평 바로부터 돌출되고 선단이 그 입부의 전방에 배치된 좌측 B 돌출 바와,
그 안면의 우측 전방에서 그 수평 바로부터 돌출되고 선단이 그 입부의 전방 에 배치된 우측 B 돌출 바와,
그 좌측 B 돌출 바의 선단 근방에 형성되고 그 좌측 제 1 탄성체가 걸리는 좌측 제 1B 돌기부와,
그 우측 B 돌출 바의 선단 근방에 형성되고 그 우측 제 1 탄성체가 걸리는 우측 제 1B 돌기부를 구비하고,
그 좌측 제 1 탄성체는, 그 좌측 제 1A 돌기부와 그 좌측 제 1B 돌기부를 접속하고,
그 우측 제 1 탄성체는, 그 우측 제 1A 돌기부와 그 우측 제 1B 돌기부를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악안면용 교정 기구에 의하면, 인간 개개의 구강 내 형상이나 시술 단계에 상관 없이, 상악의 적절한 전방 성장을 재촉함으로써 치열 부정을 해소할 수 있다 (청구항 1).
또, 상악에 대해 구강 내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힘을 작용시킴과 함께, 구강 내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밀어내는 힘을 작용시켜 상악을 적절히 성장시키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청구항 2).
또한, 상악 확장기의 폭이 크게 변경되거나, 우측 와이어부 및 좌측 와이어부가 비틀어진 경우에도, 우측 와이어부와 좌측 와이어부의 접속이 용이하게 해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청구항 3).
또, 1 쌍의 접속 튜브에 대해 1 쌍의 접속 와이어가 삽입됨으로써, 우측 와이어부와 좌측 와이어부를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청구항 4).
또한, 우측 와이어부와 좌측 와이어부 사이의 거리 (즉, 피견인기의 폭) 의 변경을 용이하게 하면서, 우측 와이어부와 좌측 와이어부를 적절히 접속할 수 있다 (청구항 5).
또, 피견인기의 폭이 변경되는 것을 허용하면서, 우측 와이어부 및 좌측 와이어부를 적절히 전방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청구항 6).
또한, 피견인기의 폭이 변경되는 것을 허용하면서, 구강 내에 장착된 상악 확장기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모멘트가 과도하게 커지지 않도록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져 상악 확장기가 상악 구강 내로부터 벗어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7).
이하,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악안면용 교정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악안면용 교정 기구 (11) 는, 주로 헤드 유닛 (12) 과 마우스피스 유닛 (13) 을 갖고 있다.
헤드 유닛 (12) 은, 프론트 헤드 서포트 (헤드 서포트) (14), 헤드 스트랩 (헤드 서포트) (15), 친 캡 (16) 및 메탈 프레임 세트 (17) 를 갖고 있다.
이들 중, 프론트 헤드 서포트 (14) 및 헤드 스트랩 (15) 은, 헤드 유닛 (12) 을 인간 (10) 의 헤드부 (18) 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또, 프론트 헤드 서포트 (14) 는, 인간 (10) 의 이마부 (19) 의 형상에 합치하는 형상으로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데, 실제로 이마부 (19) 에 맞닿는 면에 는 도시되지 않은 스펀지 시트가 부착되어 있다.
헤드 스트랩 (15) 은, 천으로 만든 띠형상의 부품으로서, 도 2 에 나타내는 메탈 프레임 세트 (17) 에 형성된 좌측 구멍부 (21) 및 우측 구멍부 (22) 에 삽입 통과되어, 헤드부 (18) 를 상방 및 후방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이 헤드 스트랩 (15) 은, 그 양단이 면 패스너 (도시 생략) 에 의해 해방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친 캡 (16) 은, 하악 (23) 의 하단부 (24) 에 맞닿는 수지제 부품이다.
메탈 프레임 세트 (17) 는 모두 스틸제 프레임인, 상측 트랜스 바 (25), 하측 트랜스 바 (수평 바) (26), 좌외측 버티칼 바 (27), 좌내측 버티칼 바 (28), 우외측 버티칼 바 (29), 우내측 버티칼 바 (31), 좌측 익스텐디드 바 (32), 우측 익스텐디드 바 (33) 및 인터커넥팅 바 (34) 를 갖고 있다.
이들 중, 상측 트랜스 바 (25) 는, 좌단이 좌외측 버티칼 바 (27) 의 상단에 용접됨과 함께, 우단이 우외측 버티칼 바 (29) 의 상단에 용접되고, 이마부 (19) 의 전방에 있어서, 헤드부 (18) 의 폭방향 (좌우 방향) 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프레임이다. 또, 이 상측 트랜스 바 (25) 의 중간 정도에는, 상기 프론트 헤드 서포트 (14) 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상측 트랜스 바 (25) 는, 그 좌단보다 안면 (20) 의 중심 (C1) 측에 좌내측 버티칼 바 (28) 의 상단이 용접됨과 함께, 그 우단보다 안면 (20) 의 중심 (C1) 측에 우내측 버티칼 바 (31) 의 상단이 용접되어 있다.
하측 트랜스 바 (26) 는, 좌단이 좌외측 버티칼 바 (27) 의 중간 정도에 용접됨과 함께, 우단이 우외측 버티칼 바 (29) 의 중간 정도에 용접되고, 코부 (35) 의 전방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프레임이다. 또한, 이 하측 트랜스 바 (26) 는, 그 좌단보다 안면 (20) 의 중심 (C1) 측에 좌내측 버티칼 바 (28) 의 중간 정도가 용접됨과 함께, 그 우단보다 안면 (20) 의 중심 (C1) 측에 우내측 버티칼 바 (31) 의 중간 정도가 용접되어 있다.
또,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면 (20) 의 좌측에 있어서의 하측 트랜스 바 (26) 상에는, 좌측 서브 B 훅 (좌측 제 2B 돌기부) (36) 이 용접됨과 함께, 안면 (20) 의 우측에 있어서의 하측 트랜스 바 (26) 상에는, 우측 서브 B 훅 (우측 제 2B 돌기부) (37) 이 용접되어 있다.
이들 좌측 서브 B 훅 (36) 및 우측 서브 B 훅 (37) 에는, 각각 좌측 수직 엘라스틱 (좌측 제 2 탄성체) (38) 및 우측 수직 엘라스틱 (우측 제 2 탄성체) (39) 이 걸리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들 좌측 수직 엘라스틱 (38) 및 우측 수직 엘라스틱 (39) 은 모두 링형상의 탄성체로서, 고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좌외측 버티칼 바 (27) 는, 메탈 프레임 세트 (17) 의 좌단을 형성하고, 안면 (20) 의 좌측방에서 대략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이다. 또, 도 2 에 나타내는 정면에서 본 경우에 있어서, 이 좌외측 버티칼 바 (27) 의 하단은 그 상단보다 안면 (20) 의 중심 (C1) 측에 위치하고 있다.
좌내측 버티칼 바 (28) 는, 좌외측 버티칼 바 (27) 보다 안면 (20) 의 중심 (C1) 측에 있어서, 대략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이다. 또, 도 2 에 나타내는 정면에서 본 경우에 있어서, 이 좌내측 버티칼 바 (28) 의 하단은 그 상단보다 안면 (20) 의 중심 (C1) 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좌외측 버티칼 바 (27) 및 좌내측 버티칼 바 (28) 는 모두 하측 트랜스 바 (26) 보다 하측 부분이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우외측 버티칼 바 (29) 는, 메탈 프레임 세트 (17) 의 우단을 형성하고, 안면 (20) 의 우측방에서 대략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이다. 또, 도 2 에 나타내는 정면에서 본 경우에 있어서, 이 우외측 버티칼 바 (29) 의 하단은 그 상단보다 안면 (20) 의 중심 (C1) 측에 위치하고 있다.
우내측 버티칼 바 (31) 는, 우외측 버티칼 바 (29) 보다 안면 (20) 의 중심 (C1) 측에 있어서, 대략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이다. 또, 도 2 에 나타내는 정면에서 본 경우에 있어서, 이 우내측 버티칼 바 (31) 의 하단은 그 상단보다 안면 (20) 의 중심 (C1) 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우외측 버티칼 바 (29) 및 우내측 버티칼 바 (31) 는 모두 하측 트랜스 바 (26) 보다 하측 부분이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좌측 익스텐디드 바 (좌측 B 돌출 바) (32) 는, 안면 (20) 의 좌측 전방에서 하측 트랜스 바 (26) 로부터 돌출되고, 그 선단 (32a) 이 입(口)부의 전방에 배치된 프레임이다. 또, 이 좌측 익스텐디드 바 (32) 의 선단 (좌측 메인 B 훅) (32a) 에는 좌측 수평 엘라스틱 (78) 이 걸리도록 되어 있다.
우측 익스텐디드 바 (우측 B 돌출 바) (33) 는, 안면 (20) 의 우측 전방에서 하측 트랜스 바 (26) 로부터 돌출되고, 그 선단 (33a) 이 입부의 전방에 배치된 프레임이다. 또, 이 우측 익스텐디드 바 (33) 의 선단 (우측 메인 B 훅) (33a) 에는, 우측 수평 엘라스틱 (79) 이 걸리도록 되어 있다.
인터커넥팅 바 (34) 는, 좌측 익스텐디드 바 (32) 의 선단 (32a) 근방과, 우측 익스텐디드 바 (33) 의 선단 (33a) 근방과 접속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이다.
다음으로 마우스피스 유닛 (13) 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우스피스 유닛 (13) 은 주로 상악 확장기 (41) 와 액티브 보 (42) 를 갖고 있다.
이들 중, 상악 확장기 (41) 는, 인간 (10) 의 구강 내의 상악 (30) 에 장착되며, 상악 (30) 을 좌우 방향으로 확장하는 것이다.
이 상악 확장기 (41) 는, 좌상부 (左床部) (좌측 맞닿음부) (43), 우상부 (右床部) (우측 맞닿음부) (44) 를 갖고 있다.
좌상부 (43)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악 (30) 의 하면 (30a) 에 맞닿음과 함께,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상악 치열의 좌상악 4 번 치아 (TUL4), 좌상악 5 번 치아 (TUL5) 및 좌상악 6 번 치아 (TUL6) 에 대해 내측으로부터 맞닿는 부품이다.
우상부 (44) 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악 (30) 의 하면 (30a) 에 맞닿음과 함께,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상악 치열의 우상악 4 번 치아 (TUR4), 우상악 5 번 치아 (TUR5) 및 우상악 6 번 치아 (TUR6) 에 대해 내측으로부터 맞닿는 부품이다.
또, 이들 좌상부 (43) 및 우상부 (44) 는 모두 수지에 의해 형성되며, 확대 나사 기구 (조절 기구) (45) 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 확대 나사 기구 (45) 는, 좌상부 (43) 에 매설된 좌측 블록 (46) 과, 우상부 (44) 에 매설된 우측 블록 (47) 과, 좌우 블록 (46, 47) 사이를 접속하는 1 쌍의 샤프트 (48, 49) 와, 1 쌍의 샤프트 (48, 49) 사이에 형성되고 또한 좌우 블록 (46, 47) 사이의 거리 (L41) 를 미조정하는 확대 나사 (51) 를 갖고 있다. 따라서, 이 확대 나사 기구 (45) 에 의해, 상악 확대기 (41) 의 폭 (즉, 좌상부 (43) 와 우상부 (44) 사이의 거리) (L41) 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확대 나사 (51) 의 중심에는 공구 (도시 생략) 가 끼워 넣어지는 링 (52) 이 고정되고 있다.
그리고, 이 링 (52) 이 공구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좌우 블록 (46, 47) 사이의 거리 (L41) 가 변경되고, 이 때, 좌우 블록 (46, 47) 은 1 쌍의 샤프트 (48, 49) 에 대해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이 확대 나사 기구 (45) 의 가동폭은 최대 약 11 ㎜ 인데, 실용적으로는 약 8 ∼ 9 ㎜ 정도가 적당하다.
또, 좌상부 (43) 에는 좌측 슬라이딩 튜브 (좌측 구멍부) (53) 가 매설됨과 함께, 우상부 (44) 에는 우측 슬라이딩 튜브 (우측 구멍부) (54) 가 매설되어 있다. 또한, 이들 좌측 슬라이딩 튜브 (53) 및 우측 슬라이딩 튜브 (54) 는 모두 스테인리스제 원통이다. 단, 스테인리스뿐만 아니라, 티탄이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좌상부 (43) 에는, 좌상악 5 번 치아 (TUL5) 를 유지하는 좌측 클램프 (55) 가 형성되고, 우상부 (44) 에는, 우상악 5 번 치아 (TUR5) 를 유지하는 우측 클램프 (56) 가 형성되어 있다.
좌측 슬라이딩 튜브 (53) 의 후단 (53b) 과, 우측 슬라이딩 튜브 (54) 의 후단 (54b) 은 모두 구강 내에 연통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좌측 슬라이딩 튜브 (53) 의 전단은 좌상부 (43) 에 의해 막히고, 우측 슬라이딩 튜브 (54) 의 전단 (54a) 은 우상부 (44) 에 의해 막히도록 되어 있다.
또, 도 3 에 나타내는 평면에서 본 경우에 있어서, 좌측 슬라이딩 튜브 (53) 는 상악 확장기 (41) 의 중심선 (C2) 에 대해 소정의 각도 θ53 의 각도를 이루어 배치되고, 우측 슬라이딩 튜브 (54) 는 상악 확장기 (41) 의 중심선 (C2) 에 대해 소정의 각도 θ54 의 각도를 이루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θ53 및 θ54 를 절대값이 동일한 각도로서 설정하고 있는데, 구강 내의 형상에 따라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또한, 도 4 에 나타내는 좌측면에서 본 경우에 있어서, 상악 확장기 (41) 의 좌상부 (43) 가 상악 (30) 에 장착된 상태에서, 좌측 슬라이딩 튜브 (53) 는, 그 선단 (53a) 보다 후단 (53b) 이 하방에 위치하도록 기울어 배치되어 있다.
동일하게, 도 5 에 나타내는 우측면에서 본 경우에 있어서, 우측 슬라이딩 튜브 (54) 도, 상악 확장기 (41) 의 우상부 (44) 가 상악 (30) 에 장착된 상태에서, 그 선단 (54a) 보다 후단 (54b) 이 하방에 위치하도록 기울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 슬라이딩 튜브 (53) 의 후단 (53b) 에는, 액티브 보 (42) 의 좌측 와이어부 (57) 의 후단 (58a) 을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있고, 또 우측 슬라이딩 튜브 (54) 의 후단에는, 우측 와이어부 (61) 의 후단 (62a) 을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좌측 와이어부 (57) 는, 좌측 이너 보 (58) 와, 좌측 아우터 보 (59) 를 주로 갖고 있고, 우측 와이어부 (61) 는, 우측 이너 보 (62) 와, 우측 아우터 보 (63) 를 갖고 있다. 또한, 좌측 이너 보 (58) 및 우측 이너 보 (62) 를 간단히 이너 보 (64) 라고 한다. 또, 좌측 아우터 보 (59) 및 우측 아우터 보 (63) 를 간단히 아우터 보 (65) 라고 한다.
여기에서, 도 6 에 이너 보 (64) 와 아우터 보 (65) 의 접속 부분을 나타낸다.
이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이너 보 (58) 의 전단부 (접속 와이어) (66) 와 좌측 아우터 보 (59) 의 후단부 (접속 와이어) (67) 는 모두 좌우 방 향으로 곧게 연장되어 있고, 서로 용접되어 있다.
또, 우측 이너 보 (62) 의 전단부 (68) 와 우측 아우터 보 (63) 의 후단부 (69) 도 모두 좌우 방향으로 곧게 연장되어 있고, 서로 용접되어 있다. 또한, 이들 우측 이너 보 (62) 의 전단부 (68) 와 우측 아우터 보 (63) 의 후단부 (69) 에는, 1 쌍의 액티브 보 튜브 (접속 튜브) (71, 72) 가 용접되어 있다. 또한, 이들 용접 부분은 은랍에 의해 코팅되어 있다. 또, 은랍 대신에, 팔라듐랍이나 금랍을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1 쌍의 액티브 보 튜브 (71, 72) 중, 일방을 이너측 액티브 보 튜브 (71) 라고 하고, 타방을 아우터측 액티브 보 튜브 (72) 라고 한다. 또, 이들 이너측 액티브 보 튜브 (71) 및 아우터측 액티브 보 튜브 (72) 는 모두 양단이 개구되어 있다.
이너측 액티브 보 튜브 (71) 에는, 좌측 이너 보 (58) 의 전단부 (66) 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또한 관통되게 되어 있다.
아우터측 액티브 보 튜브 (72) 에는, 좌측 아우터 보 (59) 의 후단부 (67) 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또한 관통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이너측 액티브 보 튜브 (71), 아우터측 액티브 보 튜브 (72), 좌측 이너 보 (58) 의 전단부 (66) 및 좌측 아우터 보 (59) 의 후단부 (67) 에 의해 슬라이더블 기구 (70) 가 구성되고, 이 슬라이더블 기구 (70) 에 의해 액티브 보 (42) 의 폭, 즉, 좌측 와이어부 (57) 와 우측 와이어부 (61) 사이의 거리 (L42) (도 3 참조) 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들 액티브 보 튜브 (71, 72) 는 모두 동일한 내경 (예를 들어, 1.6 ㎜ 정도) 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좌측 이너 보 (58) 의 전단부 (66) 는, 액티브 보 튜브 (71) 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제 1 외경 (예를 들어, 1.5 ㎜ 정도) 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측 아우터 보 (59) 의 후단부 (67) 는, 상기 제 1 외경보다 약간 작은 제 2 외경 (예를 들어, 1.3 ㎜ 정도) 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아우터 보 (59) 의 전단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좌측 A 선단 와이어 (73) 가 용접되어 있다.
그리고, 이 좌측 A 선단 와이어 (73) 의 상단 근방에는, 후방향 (안면 (20) 방향) 으로 돌출되는 좌측 메인 A 훅 (좌측 제 1A 돌기부) (74) 이 용접되어 있다.
또,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 아우터 보 (63) 의 전단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우측 A 선단 와이어 (75) 가 용접되어 있다.
그리고, 이 우측 A 선단 와이어 (75) 의 상단 근방에는, 후방향 (안면 (20) 방향) 으로 돌출되는 우측 메인 A 훅 (우측 제 1A 돌기부) (76) 이 용접되어 있다.
이들 좌측 메인 A 훅 (74) 및 우측 메인 A 훅 (76) 에는, 각각 좌측 수평 엘라스틱 (좌측 제 1 탄성체) (78) 및 우측 수평 엘라스틱 (우측 제 1 탄성체) (79) 이 걸리도록 되어 있다. 이들 좌측 수평 엘라스틱 (78) 및 우측 수평 엘라스틱 (79) 은 모두 링형상의 탄성체로서, 고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좌측 수평 엘라스틱 (78) 및 우측 수평 엘라스틱 (79) 에 의해, 좌측 메인 A 훅 (74) 및 우측 메인 A 훅 (76) 을 전방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좌측 수평 엘라스틱 (78) 의 탄성 지지력 (F78) 에 의해, 좌측 아우터 보 (59) 와 좌측 A 선단 와이어 (73) 의 접속 지점을 중심 (CαL) 으로 하는 모멘트 (αL) 를 발생시키고, 또, 우측 수평 엘라스틱 (79) 의 탄성 지지력 (F79) 에 의해, 우측 아우터 보 (63) 와 우측 A 선단 와이어 (75) 의 접속 지점을 중심 (CαR) 으로 하는 모멘트 (αR) 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좌측 아우터 보 (59) 와 좌측 A 선단 와이어 (73) 의 접속 지점으로부터 좌측 메인 A 훅 (74) 까지의 높이 (L74) 는 모멘트 (αL) 의 크기에 따라 설정된다. 동일하게, 이 우측 아우터 보 (63) 와 우측 A 선단 와이어 (75) 의 접속 지점으로부터 우측 메인 A 훅 (76) 까지의 높이 (L76) 는 모멘트 (αR) 의 크기에 따라 설정된다.
또한,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아우터 보 (59) 의 전단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좌측 서브 A 훅 (좌측 제 2A 돌기부) (81) 이 용접되어 있다.
동일하게,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 아우터 보 (63) 의 전단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우측 서브 A 훅 (우측 제 2A 돌기부) (82) 이 용접되어 있다.
이들 좌측 서브 A 훅 (81) 및 우측 서브 A 훅 (82) 에는, 각각 좌측 수직 엘라스틱 (38) 및 우측 수직 엘라스틱 (39) 이 걸리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이들 좌측 수직 엘라스틱 (38) 및 우측 수직 엘라스틱 (39) 은, 하측 트랜스 바 (26) 상에 용접된 좌측 서브 B 훅 (36) 및 우측 서브 B 훅 (37) 에 걸려 있다. 따라서, 이들 좌측 수직 엘라스틱 (38) 및 우측 수직 엘라스틱 (39) 에 의해, 좌측 서브 A 훅 (81) 및 우측 서브 A 훅 (82) 을 상방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수평 엘라스틱 (78) 의 신축 방향, 즉, 이 좌측 수평 엘라스틱 (78) 에 의한 탄성 지지력 (F78) 의 작용 방향과, 좌측 수직 엘라스틱 (38) 의 신축 방향, 즉, 좌측 수직 엘라스틱 (38) 에 의한 탄성 지지력 (F38) 의 작용 방향은, 대체로 직교하도록 (θEL≒90°) 설정되어 있다.
동일하게,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 수평 엘라스틱 (79) 의 신축 방향, 즉, 이 우측 수평 엘라스틱 (79) 에 의한 탄성 지지력 (F79) 의 작용 방향과, 우측 수직 엘라스틱 (39) 의 신축 방향, 즉, 이 우측 수직 엘라스틱 (39) 에 의한 탄성 지지력 (F39) 의 작용 방향은, 대체로 직교하도록 (θER≒90°) 설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악안면용 교정 기구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악안면용 교정 기구를 사용할 때에는, 먼저 좌측 이너 보 (58) 의 후단 (58a) 을 좌측 슬라이딩 튜브 (53) 에 삽입함과 함께, 우측 이너 보 (62) 의 후단 (62a) 을 우측 슬라이딩 튜브 (54) 에 삽입함으로써, 상악 확대기 (41) 에 대해 액티브 보 (42) 를 일체화시켜 마우스피스 유닛 (13) 을 형성한다.
이 때, 좌상부 (43) 와 우상부 (44) 사이의 거리 (L41) 는, 확대 나사 기구 (45) 에 의해 변경되는데, 액티브 보 (42) 의 폭 (L42) 도, 슬라이더블 기구 (70) 에 의해 좌상부 (43) 와 우상부 (44) 사이의 거리 (L41) 에 추종하여 변경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액티브 보 (42) 의 폭 (L42) 에 대해 특별히 의식하지 않고, 좌상부 (43) 와 우상부 (44) 사이의 거리 (L41) 를 조정하는 것만으로, 마우스피스 유닛 (13) 을 적절한 폭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악 확대기 (41) 의 폭은 시술 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서서히 확대되어 간다. 즉, 상악 (30) 의 폭이 확대됨에 따라, 좌상부 (43) 와 우상부 (44) 의 거리 (L41) 가 커져 가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도, 사용자가 액티브 보 (42) 의 폭 (L42) 을 특별히 변경할 필요는 없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액티브 보 (42) 의 폭 (L42) 은, 상악 확대기 (41) 의 폭 (L41) 에 추종하기 때문이다.
또,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블 기구 (70) 에 있어서, 좌측 이너 보 (58) 의 전단부 (66) 는, 액티브 보 튜브 (71, 72) 의 내경 (예를 들어, 1.6 ㎜) 보다 약간 작은 제 1 외경 (예를 들어, 1.5 ㎜ 정도) 으로 형성되고, 좌측 아우터 보 (59) 의 후단부 (67) 는, 상기 제 1 외경보다 약간 작은 제 2 외경 (예를 들어, 1.3 ㎜ 정도) 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우측 와이어부 (61) 의 액티브 보 튜브 (71, 72) 와, 좌측 이너 보 (58) 의 전단부 (66) 및 좌측 아우터 보 (59) 의 후단부 (67) 를, 적당한 마찰 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액티브 보 (42) 의 폭 (L42) 의 변경을 허용하면서, 좌측 와이어부 (57) 와 우측 와이어부 (61) 를 적절히 접속할 수 있다.
또, 좌측 아우터 보 (59) 의 후단부 (67) 는, 액티브 보 튜브 (72) 에 대해 약간 여유 있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좌측 와이어부 (57) 와 우측 와이어부 (61) 가 상대적으로 비틀리는 것이 허용된다. 따라서, 좌측 이너 보 (58) 의 후단 (58a) 을 좌측 슬라이딩 튜브 (53) 에 삽입하는 조작과, 우측 이너 보 (62) 의 후단 (62a) 을 우측 슬라이딩 튜브 (54) 에 삽입하는 조작을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져, 상악 확대기 (41) 에 대해 액티브 보 (42) 를 용이하게 일체화시킬 수 있다.
또, 이너측 액티브 보 튜브 (71) 에 삽입된 좌측 이너 보 (58) 의 전단부 (66) 는, 이 이너측 액티브 보 튜브 (71) 를 관통하고 있고, 또 아우터측 액티브 보 튜브 (72) 에 삽입된 좌측 아우터 보 (59) 의 후단부 (67) 는, 이 아우터측 액티브 보 튜브 (72) 를 관통하고 있다.
따라서, 상악 확장기 (41) 의 폭이 크게 변경되거나, 좌측 와이어부 (57) 및 우측 와이어부 (61) 가 비틀린 경우에도, 좌측 와이어부 (57) 와 우측 와이어부 (61) 의 접속이 용이하게 해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 후, 헤드 유닛 (12) 을 헤드부 (18) 에 장착한다.
이 경우, 먼저 친 캡 (16) 을 하악 (23) 의 하단부 (24) 에 맞닿게 함과 함께, 프론트 헤드 서포트 (14) 를 이마부 (19) 에 맞닿게 한다. 이 때, 헤드 스 트랩 (15) 을 메탈 프레임 세트 (17) 에 형성된 좌측 구멍부 (21) 및 우측 구멍부 (22) 에 삽입 통과시켜 둔다.
그 후,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부 (18) 의 정상부 및 후부에 맞닿도록 헤드 스트랩 (15) 을 배치하고, 헤드 스트랩 (15) 의 양단을 면 패스너 (도시 생략) 에 의해 접속한다.
이에 의해, 헤드 유닛 (12) 이 헤드부 (18) 에 장착되어, 헤드 유닛 (12) 에 다소의 힘이 가해졌다고 해도, 헤드부 (18) 로부터 헤드 유닛 (12) 이 어긋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마우스피스 유닛 (13) 을 상악 (30) 에 장착함과 함께, 헤드 유닛 (12) 을 헤드부 (18) 에 장착한 상태에서, 좌측 수평 엘라스틱 (78), 우측 수평 엘라스틱 (79), 좌측 수직 엘라스틱 (38) 및 우측 수직 엘라스틱 (39) 에 의해 마우스피스 유닛 (13) 과 헤드 유닛 (12) 을 접속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수평 엘라스틱 (78) 을 마우스피스 유닛 (13) 의 좌측 메인 A 훅 (74) 에 거는 것과 함께, 헤드 유닛 (12) 의 좌측 익스텐디드 바 (32) 의 선단 (32a) 에 건다. 또,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 수평 엘라스틱 (79) 을, 마우스피스 유닛 (13) 의 우측 메인 A 훅 (76) 에 거는 것과 함께, 헤드 유닛 (12) 의 우측 익스텐디드 바 (33) 의 선단 (33a) 에 건다.
따라서, 좌측 수평 엘라스틱 (78) 의 탄성 지지력 (F78) 에 의해 좌측 아우 터 보 (59) 와 좌측 A 선단 와이어 (73) 의 접속 지점을 중심 (CαL) 으로 하는 모멘트 (αL) 를 발생시키고, 또한 우측 수평 엘라스틱 (79) 의 탄성 지지력 (F79) 에 의해 우측 아우터 보 (63) 와 우측 A 선단 와이어 (75) 의 접속 지점을 중심 (CαR) 으로 하는 모멘트 (αR) 를 발생시킨다.
이에 의해, 상악 (30) 을 전방으로 성장시킬 뿐만 아니라, 상악 확대기 (41) 를 상방으로 적극적으로 밀어 올림으로써, 상악 (30) 을 상방으로 밀어 올려 혀가 상악 (30) 의 하면에 맞닿은 상태로 수용되는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단, 상기 모멘트 (αL, αR) 가 과잉으로 커지면, 상악 (30) 의 적절한 성장을 촉진시키지 못하고, 또 상악 확대기 (41) 가 상악 (30) 으로부터 벗어나기 쉬워진다는 사태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좌측 수직 엘라스틱 (38) 을, 마우스피스 유닛 (13) 의 좌측 서브 A 훅 (81) 에 거는 것과 함께, 헤드 유닛 (12) 의 좌측 서브 B 훅 (36) 에 건다. 또, 우측 수직 엘라스틱 (39) 을, 마우스피스 유닛 (13) 의 우측 서브 A 훅 (82) 에 거는 것과 함께, 헤드 유닛 (12) 의 우측 서브 B 훅 (37) 에 건다.
이에 의해, 좌측 수평 엘라스틱 (78) 의 탄성 지지력 (F78) 에 의해 생긴 모멘트 (αL) 및 우측 수평 엘라스틱 (79) 의 탄성 지지력 (F79) 에 의해 생긴 모멘트 (αR) 를 적절히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좌측 수평 엘라스틱 (78) 에 의한 탄성 지지력 (F78) (예를 들어, 약 300g) 과 좌측 수직 엘라스틱 (38) 에 의한 탄성 지지력 (F38) (예를 들어, 약 100g) 의 관계는 하기 식 (1) 을 만족하도록 설정되고, 동일하게 우측 수평 엘라스틱 (79) 에 의한 탄성 지지력 (F79) (예를 들어, 약 300g) 과 우측 수직 엘라스틱 (39) 에 의한 탄성 지지력 (F39) (예를 들어, 약 100g) 의 관계는 하기 식 (2) 를 만족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F78 : F38 = 3 : 1 …(1)
F79 : F39 = 3 : 1 …(2)
또, 좌측 수평 엘라스틱 (78) 및 우측 수평 엘라스틱 (79) 은 모두 교합 평면 (OP ; Occlusal Plane, 도 4 및 도 5 참조) 의 연장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좌측 수평 엘라스틱 (78) 과 좌측 수직 엘라스틱 (38) 이 이루는 각도 (θEL) 는 약 90 도이고, 동일하게 우측 수평 엘라스틱 (79) 과 우측 수직 엘라스틱 (39) 이 이루는 각도 (θER) 도 약 90 도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혀가 상악 (30) 의 하면에 맞닿은 상태로 수용되는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입 호흡이 아니라, 코 호흡을 자연스럽게 실시하게 할 수 있다. 또, 코 호흡을 실시하게 함으로써, 부비강의 내압을 높이고 (즉, 양압을 발생시키고), 상악 (30) 의 적절한 성장을 더욱 촉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면, 언뜻 보면 직접적으로 치아를 가압함으로써 치열 교정을 실시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렇지 않고, 상악 (30) 의 적절한 성장 (특히, 전방으로의 성장) 을 재촉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악 (30) 을 적절히 전방 성장시킴으로써, 치아의 맹출 공간을 확보하고, 치열을 정렬하는 것이 가능해져 부정 교합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악 (30) 을 적절히 성장시킴으로써, 하악 (23) 의 적절한 성장 (특히, 전방으로의 성장) 을 재촉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상악 (30) 의 치열 교정뿐만 아니라, 하악 (23) 의 치열 교정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악 전방돌출뿐만 아니라, 하악 전방돌출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배경 기술의 란에서 설명한, 원심 이동에 의한 치열 교정에서는 불가능했던 대폭적인 이동 (예를 들어, 20 ㎜ 정도의 이동) 도 충분히 가능하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원칙적으로는 발치의 필요조차 없어, 높은 안전성 및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 및 그 변형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헤드 유닛 (12) 의 메탈 프레임 세트 (17) 가, 안면 (20) 의 중심 (C1) 을 경계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헤드 유닛 (12) 의 메탈 프레임 세트 (17) 를, 인간 (10) 의 헤드부 (18) 의 형상이나 안면 (20) 의 형상에 합치하도록 형성하고, 안면 (20) 의 중심 (C1) 을 경계로 좌우 비대칭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우측 와이어부 (61) 에 1 쌍의 액티브 보 튜브 (71, 72) 가 용접됨과 함께, 좌측 이너 보 (58) 의 전단부 (66) 가 이너측 액티브 보 튜브 (71) 에 삽입되고, 또한 좌측 아우터 보 (59) 의 후단부 (67) 가 아우터측 액티브 보 튜브 (72) 에 삽입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좌측 와이어부 (57) 에 1 쌍의 액티브 보 튜브 (71, 72) 를 용접하고, 우측 이너 보 (62) 의 전단부 (도시 생략) 가 이너측 액티브 보 튜브 (71) 에 삽입되고, 또한 우측 아우터 보 (63) 의 후단부 (도시 생략) 가 아우터측 액티브 보 튜브 (72) 에 삽입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트랜스 바 (26) 상에 좌측 서브 B 훅 (좌측 제 2B 돌기부) (36) 및 우측 서브 B 훅 (우측 제 2B 돌기부) (37) 이 용접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하측 트랜스 바 (26) 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서브 훅용 프레임 (도시 생략) 을 형성하고, 이 서브 훅용 프레임에 이들 좌측 서브 B 훅 (36) 및 우측 서브 B 훅 (37) 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 쌍의 액티브 보 튜브 (71, 72) 가 사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액티브 보 튜브나, 이 액티브 보 튜브에 삽입되는 부품 (접속 와이어) 의 강성을 고려한 후, 액티브 보 튜브를 1 개로 해도 되고, 3 개 이상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 쌍의 액티브 보 튜브 (71, 72) 의 내경이 각각 1.6 ㎜ 정도로 형성됨과 함께, 좌측 이너 보 (58) 의 전단부 (66) 의 외경 (제 1 외경) 이 1.5 ㎜ 정도로 형성되고, 또한 좌측 아우터 보 (59) 의 후단부 (67) 의 외경 (제 2 외경) 이 1.3 ㎜ 정도로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좌측 이너 보 (58) 의 전단부 (66) 의 외경을 1.5 ∼ 1.55 ㎜ 정도의 외경으로 형성하고, 좌측 아우터 보 (59) 의 후단부 (67) 의 외경을 1.45 ∼ 1.35 ㎜ 정도의 외경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좌측 수평 엘라스틱 (78) 과 좌측 수직 엘라스틱 (38) 이 이루는 각도 (θEL) 가 약 90 도이고, 또한 우측 수평 엘라스틱 (79) 과 우측 수직 엘라스틱 (39) 이 이루는 각도 (θER) 가 약 90 도가 되도록 설정된 경우를 설명하였다. 여기에서, 약 90 도란, 엄밀하게 90 도인 것을 규정하는 것이 아니고, 실제의 운용에 있어서는 80 ∼ 100 도가 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좌측 수평 엘라스틱 (78) 에 의한 탄성 지지력 (F78) 과 좌측 수직 엘라스틱 (38) 에 의한 탄성 지지력 (F38) 의 관계가 상기 식 (1) 을 만족하도록 설정되고, 동일하게 우측 수평 엘라스틱 (79) 에 의 한 탄성 지지력 (F79) 과 우측 수직 엘라스틱 (39) 에 의한 탄성 지지력 (F39) 의 관계가 상기 식 (2) 를 만족하도록 설정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하기 식 (3) 을 만족하도록 탄성 지지력 (F78) 및 탄성 지지력 (F38) 을 설정해도 되고, 하기 식 (4) 를 만족하도록 탄성 지지력 (F79) 및 탄성 지지력 (F39) 을 설정해도 된다. 또한, 탄성 지지력 (F78) 이나 탄성 지지력 (F79) 을 과잉으로 크게 설정하면, 상악 (30) 의 성장을 적절히 촉진시키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하기 식 (3) 및 (4) 의 규정을 지켜야 하는 것이다.
F78 : F38 = 3 ∼ 5 : 1 …(3)
F79 : F39 = 3 ∼ 5 : 1 …(4)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악안면용 교정 기구의 전체 구성을 좌측으로부터 나타내는 모식적인 측면도로서, 인간에게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악안면용 교정 기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정면도로서, 인간에게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악안면용 교정 기구에 있어서의 마우스피스 유닛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하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악안면용 교정 기구에 있어서의 마우스피스 유닛의 좌측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측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악안면용 교정 기구에 있어서의 마우스피스 유닛의 우측을 나타내는 모식적인 측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악안면용 교정 기구에 있어서의 마우스피스 유닛의 액티브 보 튜브 근방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 은, 일반적인 원심 이동에 의한 치열 교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 은, 종래의 악안면용 교정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 는, 부정 교합이 발생하지 않은 일반적인 인간의 구강 내를 측방으로부터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 은, 하악 전방돌출이 발생한 일반적인 인간의 구강 내를 측방으로부터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 은, 인간의 부비강을 주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 는, 상악 전방돌출이 발생한 일반적인 인간의 구강 내를 측방으로부터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Claims (9)

  1. 인간의 입 안 상악에 장착되는 상악 확장기와, 그 상악 확장기와 접속되며, 그 인간의 전방으로 견인되는 피견인기를 갖는 악안면용 교정 기구로서,
    그 상악 확장기는,
    그 인간의 좌상악 치열에 대해 내측으로부터 맞닿는 좌측 맞닿음부와,
    그 인간의 우상악 치열에 대해 내측으로부터 맞닿는 우측 맞닿음부와,
    그 좌측 맞닿음부와 그 우측 맞닿음부 사이의 거리를 가변으로 하면서 그 좌측 맞닿음부와 그 우측 맞닿음부를 접속하는 조절 기구와,
    그 좌측 맞닿음부에 형성된 좌측 구멍부와,
    그 우측 맞닿음부에 형성된 우측 구멍부를 가지며,
    그 피견인기는,
    일단이 그 좌측 구멍부에 삽입되고 타단이 입 밖으로 돌출된 좌측 와이어부와,
    일단이 그 우측 구멍부에 삽입되고 타단이 입 밖으로 돌출된 우측 와이어부와,
    그 좌측 와이어부 및 그 우측 와이어부 중 일방에 형성되고 그 조절 기구에 의한 그 좌측 맞닿음부 및 그 우측 맞닿음부의 거리 변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접속 튜브와,
    그 좌측 와이어부 및 그 우측 와이어부 중 타방에 형성되고 그 접속 튜브 내 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접속 와이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안면용 교정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그 좌측 와이어부의 선단 근방에 형성되고 상방으로 돌출되는 좌측 A 선단 와이어와,
    그 우측 와이어부의 선단 근방에 형성되고 상방으로 돌출되는 우측 A 선단 와이어와,
    그 좌측 A 선단 와이어에 형성되고 그 인간의 안면 방향으로 돌출된 좌측 제 1A 돌기부와,
    그 우측 A 선단 와이어에 형성되고 그 인간의 안면 방향으로 돌출된 우측 제 1A 돌기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그 좌측 제 1A 돌기부에는, 그 좌측 와이어부를 수평 전방으로 견인하는 좌측 제 1 탄성체가 걸림과 함께,
    그 우측 제 1A 돌기부에는, 그 우측 와이어부를 수평 전방으로 견인하는 우측 제 1 탄성체가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안면용 교정 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그 접속 튜브는 양단이 개구되고,
    그 접속 와이어는 그 접속 튜브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안면용 교 정 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그 접속 튜브가, 그 좌측 와이어부 및 그 우측 와이어부 중 일방에 있어서 1 쌍 형성되고,
    그 접속 와이어가, 그 좌측 와이어부 및 그 우측 와이어부 중 타방에 있어서 1 쌍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안면용 교정 기구.
  5. 제 3 항에 있어서,
    1 쌍의 그 접속 튜브는 쌍방 동일한 크기의 내경으로 형성되고,
    1 쌍의 그 접속 와이어 중 일방은, 외경이 그 접속 튜브의 내경보다 0.1 ∼ 0.05 ㎜ 작은 제 1 외경으로 형성되고,
    1 쌍의 그 접속 와이어 중 타방은, 그 제 1 외경보다 작은 제 2 외경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안면용 교정 기구.
  6. 제 4 항에 있어서,
    그 인간의 헤드부에 장착되는 헤드 서포트와,
    그 인간의 하악부에 장착되는 친 서포트와,
    상단이 그 헤드 서포트에 접속됨과 함께 하단이 친 서포트에 접속되고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사이드 프레임과,
    그 인간의 안면 전방에서 또한 그 인간의 입부보다 상방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1 쌍의 그 사이드 프레임 사이를 접속하는 수평 바와,
    그 안면의 좌측 전방에서 그 수평 바로부터 돌출되고 선단이 그 입부의 전방에 배치된 좌측 B 돌출 바와,
    그 안면의 우측 전방에서 그 수평 바로부터 돌출되고 선단이 그 입부의 전방에 배치된 우측 B 돌출 바와,
    그 좌측 B 돌출 바의 선단 근방에 형성되고 그 좌측 제 1 탄성체가 걸리는 좌측 제 1B 돌기부와,
    그 우측 B 돌출 바의 선단 근방에 형성되고 그 우측 제 1 탄성체가 걸리는 우측 제 1B 돌기부를 구비하고,
    그 좌측 제 1 탄성체는, 그 좌측 제 1A 돌기부와 그 좌측 제 1B 돌기부를 접속하고,
    그 우측 제 1 탄성체는, 그 우측 제 1A 돌기부와 그 우측 제 1B 돌기부를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안면용 교정 기구.
  7. 제 5 항에 있어서,
    그 인간의 헤드부에 장착되는 헤드 서포트와,
    그 인간의 하악부에 장착되는 친 서포트와,
    상단이 그 헤드 서포트에 접속됨과 함께 하단이 친 서포트에 접속되고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1 쌍의 사이드 프레임과,
    그 인간의 안면 전방에서 또한 그 인간의 입부보다 상방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1 쌍의 그 사이드 프레임 사이를 접속하는 수평 바와,
    그 안면의 좌측 전방에서 그 수평 바로부터 돌출되고 선단이 그 입부의 전방에 배치된 좌측 B 돌출 바와,
    그 안면의 우측 전방에서 그 수평 바로부터 돌출되고 선단이 그 입부의 전방에 배치된 우측 B 돌출 바와,
    그 좌측 B 돌출 바의 선단 근방에 형성되고 그 좌측 제 1 탄성체가 걸리는 좌측 제 1B 돌기부와,
    그 우측 B 돌출 바의 선단 근방에 형성되고 그 우측 제 1 탄성체가 걸리는 우측 제 1B 돌기부를 구비하고,
    그 좌측 제 1 탄성체는, 그 좌측 제 1A 돌기부와 그 좌측 제 1B 돌기부를 접속하고,
    그 우측 제 1 탄성체는, 그 우측 제 1A 돌기부와 그 우측 제 1B 돌기부를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안면용 교정 기구.
  8. 제 6 항에 있어서,
    그 좌측 와이어부의 선단 근방에 형성되고 하방으로 돌출되는 좌측 제 2A 돌기부와,
    그 우측 와이어부의 선단 근방에 형성되고 하방으로 돌출되는 우측 제 2A 돌기부와,
    그 안면의 좌측에 있어서 그 수평 바와 접속되고 상방으로 돌출된 좌측 제 2B 돌기부와,
    그 안면의 우측에 있어서 그 수평 바와 접속되고 상방으로 돌출된 우측 제 2B 돌기부와,
    그 좌측 제 2A 돌기부와 그 좌측 제 2B 돌기부를 접속하고 그 좌측 제 2A 돌기부를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좌측 제 2 탄성체와,
    그 우측 제 2A 돌기부와 그 우측 제 2B 돌기부를 접속하고 그 우측 제 2A 돌기부를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우측 제 2 탄성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안면용 교정 기구.
  9. 제 7 항에 있어서,
    그 좌측 와이어부의 선단 근방에 형성되고 하방으로 돌출되는 좌측 제 2A 돌기부와,
    그 우측 와이어부의 선단 근방에 형성되고 하방으로 돌출되는 우측 제 2A 돌기부와,
    그 안면의 좌측에 있어서 그 수평 바와 접속되고 상방으로 돌출된 좌측 제 2B 돌기부와,
    그 안면의 우측에 있어서 그 수평 바와 접속되고 상방으로 돌출된 우측 제 2B 돌기부와,
    그 좌측 제 2A 돌기부와 그 좌측 제 2B 돌기부를 접속하고 그 좌측 제 2A 돌 기부를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좌측 제 2 탄성체와,
    그 우측 제 2A 돌기부와 그 우측 제 2B 돌기부를 접속하고 그 우측 제 2A 돌기부를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우측 제 2 탄성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안면용 교정 기구.
KR1020080099396A 2007-10-10 2008-10-10 악안면용 교정 기구 KR1009025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64078A JP4058105B1 (ja) 2007-10-10 2007-10-10 顎顔面用矯正器具
JPJP-P-2007-264078 2007-10-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342A true KR20090037342A (ko) 2009-04-15
KR100902533B1 KR100902533B1 (ko) 2009-06-15

Family

ID=39243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9396A KR100902533B1 (ko) 2007-10-10 2008-10-10 악안면용 교정 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677886B2 (ko)
JP (1) JP4058105B1 (ko)
KR (1) KR1009025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753B1 (ko) * 2015-11-16 2016-10-20 김은지 치아 교정장치
KR20190143049A (ko) * 2018-06-19 2019-12-30 박미라 마우스피스
KR20200086243A (ko) * 2020-07-03 2020-07-16 박미라 마우스피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29252B2 (en) 2011-08-23 2013-09-10 King Saud University Reverse headgear with neck strap
JP5466797B1 (ja) * 2012-12-17 2014-04-09 株式会社 RAMPA master product 牽引器、及び、上顎牽引装置
FR3027791A1 (fr) * 2014-11-03 2016-05-06 Yoomed Dispositif d'induction ou de correction de la croissance mandibulaire.
WO2016159904A1 (en) * 2015-04-02 2016-10-06 Isman Nurettin Eren A novel dental mask system for upper jaw treatment
CN106236288B (zh) * 2016-07-19 2018-12-18 郑州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整形美容颌面部固定装置
JP6185130B1 (ja) * 2016-09-10 2017-08-23 医療法人クリエイティングスマイルズ 歯列矯正用インプラント装置
JP6274685B1 (ja) * 2017-03-03 2018-02-07 英喜 齊藤 上顎牽引装置
RU175626U1 (ru) * 2017-07-25 2017-12-12 Светлана Владимировна Текучева Ортодонтический аппарат на окклюзионных накладках для лечения мезиальной окклюзии у детей до и в период смены зубов
KR101924549B1 (ko) * 2017-10-31 2018-12-04 박미라 마우스피스 고정용 헤드기어
CN110063801B (zh) * 2019-05-23 2024-01-30 四川大学 一种隐形矫治器
WO2021007218A1 (en) * 2019-07-08 2021-01-14 Hamm Susan E Dental system for symmetry of jaw, palate, and teeth
US20230015152A1 (en) * 2019-09-09 2023-01-19 Mi Ra Park Mouthpiece
JP6732272B1 (ja) * 2019-12-11 2020-07-29 寧 三谷 矯正具
KR20210008908A (ko) 2021-01-18 2021-01-25 박미라 마우스피스
JP7295580B1 (ja) * 2021-12-06 2023-06-21 SheepMedical株式会社 歯科矯正具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34894A (en) * 1942-01-26 1943-11-23 California Inst Res Found Orthodontic appliance
US4026023A (en) * 1975-11-26 1977-05-31 Robert Leon Fisher Closed flap spring for orthodontic appliances
DE2712696C3 (de) * 1977-03-23 1984-06-20 Dentaurum Hans-Peter Winkelstroeter Kg, 7536 Ispringen Kieferdehnschraube
US4375962A (en) * 1981-11-02 1983-03-08 Orthoband Company, Inc. Orthodontic traction apparatus
US5002485A (en) * 1989-10-02 1991-03-26 Aagesen Larry K Orthopedic appliance
US5829970A (en) * 1996-01-16 1998-11-03 Pro-Orthoappliance Corporation Molar distalization appliance and method
US5810583A (en) * 1996-02-28 1998-09-22 Rmo, Inc. Reverse pull, extraoral dental assembly with head and body supports
IT1297371B1 (it) 1997-11-27 1999-09-01 Leone Spa Espansore ortodontico
US6976838B1 (en) 1999-11-30 2005-12-20 Ahmet Ozlem Keles Newly developed face bow and protraction headgear in correction of anterior openbite class III patients
US7121824B2 (en) * 2004-04-29 2006-10-17 Great Lakes Orthodontics, Ltd. Protraction headgear
JP4332641B2 (ja) 2004-08-02 2009-09-16 株式会社産学連携機構九州 歯科矯正装置
JP4182080B2 (ja) 2005-04-01 2008-11-19 克成 西原 歯列矯正具
US7074036B1 (en) * 2005-05-16 2006-07-11 Ahmet Ozlem Keles Palatal expansion device and method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753B1 (ko) * 2015-11-16 2016-10-20 김은지 치아 교정장치
KR20190143049A (ko) * 2018-06-19 2019-12-30 박미라 마우스피스
KR20200086243A (ko) * 2020-07-03 2020-07-16 박미라 마우스피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77886B2 (en) 2010-03-16
KR100902533B1 (ko) 2009-06-15
JP2009089928A (ja) 2009-04-30
JP4058105B1 (ja) 2008-03-05
US20090098499A1 (en) 200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2533B1 (ko) 악안면용 교정 기구
JP6082727B2 (ja) 突出口矯正ワイヤ及びこれを有する突出口矯正システム
US11628043B2 (en) Dental appliance for constraining the tongue
AU2016201958B2 (en) Dental appliance for restraining the tongue
US8231507B2 (en) Device for strengthening tongue muscle
CN109730788B (zh) 一种导下颌向前和固定正畸联合矫治装置
CN210144771U (zh) 一种导下颌向前和固定正畸联合矫治装置
JP5705817B2 (ja) リップバンパー
KR101205632B1 (ko) 돌출입 순,설측 교정장치
CN108670455A (zh) 用于上颌腭扩大的自动加力功能性矫治装置及其使用方法
CN209827045U (zh) 一种导下颌向前矫治器
JP4326966B2 (ja) 口外器具を有する機能的な歯列矯正装置
CN112057187A (zh) 一种可垂直控制的前导性隐形矫治器
US20070184400A1 (en) Orthodontic spring for treatment of an impacted molar
CN111759492A (zh) 一种正畸用下颌前导装置
JP2011115316A (ja) 咬合矯正装置
CN209827044U (zh) 一种导下颌向前的舌侧功能矫治器
CN212281701U (zh) 一种正畸用下颌前导装置
KR102055497B1 (ko) 2in1 타입의 치열 교정장치
CN206080733U (zh) 一种矫治牙性牙合平面倾斜的口腔正畸矫治弓丝
CN218636107U (zh) 一种安氏ⅲ类联冠支抗矫形器
CN217448052U (zh) 一种阻生牙牵引钩及可调式多个阻生牙牵引装置
RU2776874C1 (ru) Способ ортодонтического лечения дистальной окклюзии с протрузией резцов у пациентов с завершенным ростом лица
CN210170199U (zh) 一种唇舌侧联合隐形矫治牙套及系统
CA2608247C (en) Orthodontic appliance for treating overj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