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6322A - 유입 공간 내 자연 대류 흐름을 형성하는 외기 도입 그릴 - Google Patents

유입 공간 내 자연 대류 흐름을 형성하는 외기 도입 그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6322A
KR20090036322A KR1020070101429A KR20070101429A KR20090036322A KR 20090036322 A KR20090036322 A KR 20090036322A KR 1020070101429 A KR1020070101429 A KR 1020070101429A KR 20070101429 A KR20070101429 A KR 20070101429A KR 20090036322 A KR20090036322 A KR 20090036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side air
space
air
inlet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1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9077B1 (ko
Inventor
양기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1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9077B1/ko
Priority to JP2007322689A priority patent/JP5440826B2/ja
Priority to DE102007061133A priority patent/DE102007061133A1/de
Priority to US11/963,330 priority patent/US8007352B2/en
Priority to CN200710301717XA priority patent/CN101407167B/zh
Publication of KR20090036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6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8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1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 B60H1/246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located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or in or below th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6Ventilating openings in vehicle exterior; Ducts for conveying ventilatin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1/00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의 주행 시 APU 룸(1)내부와 외부간 압력 차를 이용해 주행 풍을 APU 룸(1)내부로 유입하고, 유입된 외기가 APU 룸(1)내부에서 자연 대류되면서 APU 룸(1)내부로 설치된 에어 드라이어(3)를 냉각시킨 후, APU 룸(1)으로 유입된 공기를 다시 밖으로 배출하는 일련의 과정이 이루어져 에어 드라이어(3)의 온도 상승을 방지함에 따라, 압축기(A)에서 발생된 고온 압축 공기가 에어 드라이어(3)를 통과하면서 외부와 활발한 열 교환을 이루어 압축 공기의 온도 변화에 따른 수분 형성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게 된다.
외기순환, APU룸, 그릴

Description

유입 공간 내 자연 대류 흐름을 형성하는 외기 도입 그릴{The outside air introduction grill inducted natural convection inside air influx room}
본 발명은 외기 도입 그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밀폐된 공간 내 유입된 외기가 자연 대류 흐름을 형성하도록 된 외기 도입 그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엔진룸의 전면에 장착되어 외부 찬 공기를 엔진룸으로 유입시키는 라디에이터 그릴(Grill)등과 같이, 외부에서 내부로 찬 공기를 끌어 들여 내부 장치의 열을 식혀 주는 냉각 방식을 많이 이용하게 된다.
특히, 버스와 같은 대형 차량의 경우는 엔진룸이 뒤쪽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엔진 구동 시 압축기(Compressor)를 이용해 고압 압축 공기를 생성한 후, 이를 별도 공간에 설치된 에어 탱크(Air Tank)등을 이용해 저장해, 제동 시나 또는 요구될 때마다 사용할 수 있는 공기 압력 구동 장치를 많이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공기 압력 구동 장치는 고압·고온으로 압축 저장되는 압축 공기가 주위 온도에 따라 필연적으로 형성되는 수분 생성을 최대한 억제하도록, 에어 탱크가 설치된 공간(통상 APU 룸(Room)이라 함)으로 냉각 팬을 설치하거나 또는 외기를 유입시켜, 압축공기의 절대습도를 낮추어주게 된다.
이와 같은 공압 장치는 엔진의 측면에 존재하고 공기를 압축하는 압축기로 인해 압력 증대와 더불어, 압축기와 에어 탱크 사이를 압축 공기가 경유하면서 약 90°까지 압축공기 온도가 상승됨에 따라, 통상적으로 데시칸트라는 물질과 공기를 접촉시킴에 따라, 기체상태의 수분을 공기로부터 빼앗아 액체상태의 수분으로 상변화를 시켜 차량 외부로 배출하는 에어 드라이어를 장착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에어 드라이어는 에어 탱크의 온도 변화로 인한 압축 공기 상 변화에 따른 수분 생성 시, 수분으로 인하여 제동시 공기의 이동을 방해하거나 공압 튜브를 막아서 치명적인 제동장치의 고장 원인을 제공할 수 있게된다.
이에 따라 에어 드라이어는 그 내부 튜브를 나선형으로 성형하여 충분한 길이를 확보한 상태에서, 압축기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이동하면서 외부공기와 열 전달을 통해 온도가 낮아지도록 하는 구조를 갖추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에어 드라이어는 압축 공기 내 원활한 수분 제거 성능 유지를 위해, 에어 드라이어가 설치된 공간이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지 못하도록 냉각이 이루어져 야 만 한다.
이에 따라, 특히 버스의 경우 에어 드라이어의 설치 장소에 대한 온도 유지를 위해, 모터 구동되는 냉각 팬을 이용해 에어 드라이어와 함께 공간을 식혀주거나 또는, 버스의 후방 측면 쪽으로 에어 드라이어와 함께 에어 탱크 및 배관 라인이 설치되도록 형성된 APU 룸으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켜 APU 룸을 냉각시켜 주게 된다.
그러나, 버스에서와 같이 APU 룸 내부 공간으로 외기를 도입하는 경우는 APU 룸에 설치된 그릴(Grill)의 외부 공기 도입 성능에 냉각 성능이 좌우되지만, 통상적으로 외기 도입 그릴이 APU 룸 측면으로 설치됨에 따라, 버스 주행 시 발생되는 주행 풍의 APU 룸 내부 공간 유입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 취약함이 있게 된다.
또한, APU 룸 내부 공간으로 외기를 도입하도록 APU 룸에 설치된 그릴(Grill)이, 그 폭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개구된 채널형상을 이루는 단순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그릴을 통한 외기의 APU 룸 내부 공간 유입이 충분히 이루어지는데는 한계가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빈 내부 공간의 개구된 한쪽 측면으로 설치된 그릴(Grill)이 그 내부 공간에서 자연 대류 흐름을 형성하도록 외기를 유입함과 더불어, 내부 공간에서 자연 대류 흐름을 형성한 외기를 다시 외부로 배출되도록, 외기 유입구간과 이에 이격된 외기 배출구간을 동시에 형성시켜, 폐쇄된 내부 공간으로 외기의 유입과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흐름을 형성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기 유입구간과 이에 이격된 외기 배출구간을 동시에 형성한 그릴을 APU 룸에 설치해, 주행 시 외부와 압력 차를 형성하는 APU 룸의 내부 공간으로 외기의 유입과 배출이 신속히 이루어지면서도 내부 공간에서 자연 대류 흐름을 형성함에 따라, 냉각 팬과 같은 동력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APU 룸에 설치된 공압 장치를 구성하는 에어 탱크와 에어 드라이어 등에 대한 충분한 냉각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PU 룸에 설치된 외기 유입구간과 이에 이격된 외기 배출구간을 동시에 형성한 그릴을 통해 APU 룸 내부 공간에 대한 냉각이 충분히 이루어짐에 따라, APU 룸으로 외기 유입을 위한 냉각 팬과 동력 수단이 사용되지 않으므로 중량 증가와 원가 상승 방지는 물론, 전체적인 외관미도 향상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기 도입 그릴이 밀폐된 내부 공간의 한쪽 측면에 설치되어져, 외기 흐름 방향에서 내부 공간 쪽으로 외기를 유도하는 다수의 개구된 슬랏으로 외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외기가 내부 공간에서 자연 대류 흐름을 형성해 순환한 후, 다시 외부로 배출되도록 외기 배출 방향에서 밖으로 외기를 유도하는 다수의 개구된 슬랏으로 외기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외기 유입구와 외기 배출구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외기 도입 그릴은 밀폐된 공간 측면으로 설치되어 공간의 한쪽 측면을 형성하는 플레이트 바디와, 상기 플레이트 바디의 일부 구간으로 외기를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시켜주는 외기 유입구 및 내부 공간에서 밖으로 외기가 빠져나가도록, 상기 외기 유입구가 형성되지 않은 플레이트 바디에 간격을 두고 외기 유입구에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외기 배출구로 이루어진다.
이와 더불어 상기 외기 유입구와 외기 배출구는 밀폐된 공간내부로 돌출되어 공간의 폭 방향으로 길게 개구된 슬랏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슬랏 사이를 개구시키는 돌출된 높이를 갖고 그 위쪽부위 일부를 가려주는 다수의 외기 엘레먼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기 유입구는 외기 흐름 방향의 뒤쪽으로 위치되는 반면, 외기 배출구는 외기 흐름 방향의 앞쪽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외기 도입 그릴에는 외기 유입구와 외기 배출구사이 공간으로 서로 간격을 둔 다수의 개구 슬랏으로 형성되어진 부가 외기 경로구가 더 구비되어진다.
또한, 상기 외기 도입 그릴은 엔진과 함께 구동되는 압축기로부터 발생된 압축 공기를 관로를 통해 공급받아 저장하고, 압축 공기 사용 장치 쪽으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탱크사이로, 압축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온도를 저하시키고 수분을 모아 배출하는 에어 드라이어가 설치된 APU 룸의 바닥 면으로 설치되어져,
외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APU 룸의 내부 공간으로 외기를 유입해 자연 대류 흐름을 형성한 후, 외기 배출구를 통해 외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밀폐된 빈 내부 공간의 개구된 한쪽 측면으로 설치된 그릴(Grill)이 유입된 외기가 내부 공간에서 자연 대류 흐름을 형성하도록 외기 유입구간과 이에 이격된 외기 배출구간을 동시에 형성함에 따라, 냉각 팬과 같은 강제 외기 유입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주행 풍에 의한 외기 유입과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외기 유입구간과 이에 이격된 외기 배출구간을 동시에 형성한 그릴을 공압 장치를 구성하는 에어 탱크와 에어 드라이어 등이 설치된 버스의 APU 룸에 장착함에 따라, 주행 시 외부와 압력 차를 형성하는 APU 룸의 내부 공간으로 외기의 유입과 배출이 신속히 이루어지면서도 APU 룸의 자연 대류 흐름을 통해 냉각 성능을 충분히 유지하므로, APU 룸으로 외기 유입을 위한 냉각 팬과 동력 수단이 사용되지 않아 중량 증가와 원가 상승 방지는 물론, 전체적인 외관미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행 풍 자연 대류 냉각 타입 버스 APU 룸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인바, 본 발명은 엔진이 장착된 버스 후방부위의 측면 쪽으로 APU 룸(1)이 위치되되, 상기 APU 룸(1)에는 엔진 구동 시 함께 구동되는 압축기(A)로부터 압축 공기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압축 공기 사용 장치(B)쪽으로 압축 공기를 공 급하기 위한 압축 공기 저장 앗세이(2)가 설치되며, 상기 APU 룸(1)의 저면으로는 주행 풍으로 인한 압력 차를 통하여 APU 룸(1)내부로 외기가 유입된 후, 밖으로 빠져나가는 대류 현상을 발생하는 외기 도입 그릴(6)이 설치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압축 공기 저장 앗세이(2)는 압축기(A)로부터 압축 공기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에어 탱크(5)와, 압축기(A)로부터 발생된 압축 공기 온도 상승을 방지하고 수분 생성 시 외부로 배출하도록 에어 탱크(5)로 이어지는 관로(4)사이에 연결되는 에어 드라이어(3)로 구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외기 도입 그릴(6)은 외기를 유입해 그 내부 공간을 순환 한 후 다시 외부로 배출되는 외기 유입이 요구되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갖는 곳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장소는 차량의 종류에 관계없이 여러 위치에 형성되므로 외기 도입 그릴(6)의 설치 장소에 제한이 없게 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버스와 같이 후방에 엔진이 장착되고, 그 측면 쪽으로 공압 장치를 구성하는 에어 탱크와 에어 드라이어 등이 배관되어 설치된 APU 룸의 경우, 에어 드라이어의 온도 상승을 방지해 에어 드라이어의 압축 공기 내 수분 제거 성능을 최적으로 유지를 할 필요가 있고,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외기 도입 그릴(6)이 적용되는 최적 실시예이므로, APU 룸(1)에 외기 도입 그릴(6)이 설치된 상태에서 설명한다.
이와 같은 상기 외기 도입 그릴(6)은 APU 룸(1)내부에서 외기가 자연 대류를 형성하도록, APU 룸(1)의 바닥을 형성하는 플레이트 바디(7)와, 상기 플레이트 바디(7)의 일부 구간으로 외기를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시켜주는 외기 유입구(8) 및 APU 룸(1)에서 밖으로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상기 외기 유입구(8)에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외기 배출구(9)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외기 유입구(8)는 도 2(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APU 룸(1)내부로 돌출되면서 APU 룸(1)의 폭 방향으로 길게 개구된 다수의 외기 유입 엘레먼트(8a,...,8n)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외기 유입 엘레먼트(8a,...,8n)는 도 2(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버스의 주행 방향 쪽을 가리도록 돌출되면서, 돌출된 위치에서 개구된 폭 부위를 가려 유입된 외기가 인접된 외기 유입 엘레먼트쪽을 타고 APU 룸(1)내로 유입되는 형상을 갖게 된다.
이에 더해 상기 외기 유입 엘레먼트(8a,...,8n)는 돌출되면서 개구된 폭 부위를 가려주는 부위가 호 형상을 이루어, 개구된 폭을 통해 유입된 외기가 호 형상을 타고 APU 룸(1)안쪽으로 자연스럽게 유입되도록 유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외기 배출구(9)에 형성된 외기 배출 엘레먼트(9a,...,9n)도 도 2(가),(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APU 룸(1)내부로 돌출되면서 APU 룸(1)의 폭 방향으로 길게 개구된 다수의 외기 배출 엘레먼트(9a,...,9n)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외기 배출 엘레먼트(9a,...,9n)은 버스의 주행 방향 반대쪽을 가리도록 돌출되면서, 돌출된 위치에서 개구된 폭 부위를 가려 APU 룸(1)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인접된 외기 배출 엘레먼트쪽을 타고 밖으로 배출되는 형상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외기 배출 엘레먼트(9a,...,9n)도 돌출되면서 개구된 폭 부위를 가려주는 부위가 호 형상을 이루어, APU 룸(1)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호 형상을 타고 개구된 폭을 통해 밖으로 빠져나가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에 더해 상기 외기 유입·배출 엘레먼트는 다양한 형상을 이룰 수 있는데 일례로, 도 2(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된 폭 부위를 사각 형상으로 가리는 외기 유입·배출 엘레먼트(8a',...,8n',9a',...,9b')로 형성되거나, 또는 개구된 폭 부위를 사각 형상으로 가리면서 양 끝단을 경사지게 한 외기 유입·배출 엘레먼트(8a",...,8n",9a",...,9b")로 형성 할 수 도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외기 도입 그릴(6)에는 외기 유입구(8)와 외기 배출구(9)사이 공간으로 부가 외기 경로구(10)가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상기 부가 외기 경로구(10)는 APU 룸(1)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또는 APU 룸(1)에서 밖으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부가 외기 경로구(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기 유입구(8)와 외기 배출구(9)사이의 플레이트 바디(7)영역에서 서로 간격을 둔 다수의 개구 슬랏(Slot)으로 형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부가 외기 경로구(10)는 다양하게 형성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 바디(7)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진다.
한편, 도 4는 일반적으로 버스에 적용되는 공압 시스템의 압축 공기 경로를 간략히 도시한 것으로, 이와 같이 압축기(A)와 압축 공기 사용 장치(B)사이로 위치된 APU 룸(1)은 고온 압축 공기가 통과하는 에어 드라이어(3)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는데 주안점을 둠에 따라, 에어 드라이어(3)가 항상 최적 온도를 유지하여 외부 와 열 교환 작용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APU 룸(1)내 자연 대류 현상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버스의 주행 시 APU 룸(1)내부와 외부간 압력 차를 이용해 주행 풍을 APU 룸(1)내부로 유입하고, 유입된 외기가 APU 룸(1)내부에서 자연 대류되면서 APU 룸(1)내부로 설치된 에어 드라이어(3)를 냉각시킨 후, APU 룸(1)으로 유입된 공기를 다시 밖으로 배출하는 일련의 과정이 이루어져 에어 드라이어(3)의 온도 상승을 방지함에 따라, 압축기(A)에서 발생된 고온 압축 공기가 에어 드라이어(3)를 통과하면서 외부와 활발한 열 교환을 이루어 압축 공기의 온도 변화에 따른 수분 형성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게 된다.
이러한 작용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4)를 매개로 압축기(A)쪽으로 이어진 에어 탱크(5)사이로 연결되어진 에어 드라이어(3)가 설치된 APU 룸(1)의 저면 부위로 외기 그릴(6)이 구비됨에 따라, 주행 시 APU 룸(1) 저면 부위를 지나는 주행 풍이 APU 룸(1)내 낮은 압력으로 외기 도입 그릴(6)을 통해 외기 유입과 배출이라는 자연 대류 공기 순환을 형성해 APU 룸(1)내부 온도 상승을 방지하고, 에어 드라이어(3)의 온도 상승에 따른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된다.
이와 같이 외기를 APU 룸(1)내부로 유입 및 순환 후 배출시키는 외기 도입 그릴(6)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 풍이 유입되도록 형성된 외기 유입구(8)에 대해 앞쪽(차량 전방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외기 배출구(9)가 형성된 구조를 이루에 괸다.
이때, 상기 외기 유입구(8)는 유입된 공기가 APU 룸(1)의 내부 전체 공간으로 외기가 유입되도록, APU 룸(1)의 폭 방향으로 길게 개구된 다수의 외기 유입 엘레먼트(8a,...,8n)로 이루어지고, 이와 더불어 개구된 슬랏(Slot) 부위에 인접된 차단 부위를 이루는 호 형상이 차량 앞쪽을 향하여 형성함에 따라, 개구 부위로 유입된 외기가 호 형상을 타고 APU 룸(1) 내부에서 위쪽으로 상승되도록 유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외기 배출구(9)는 외기 유입구(8)와 동일한 형상을 이루면서 외기 배출 엘레먼트(9a,...,9n)가 외기 유입 엘레먼트(8a,...,8n)와 반대로 형성되는데 즉, 상기 외기 배출 엘레먼트(9a,...,9n)는 개구된 슬랏(Slot) 부위에 인접된 차단 부위를 호 형상이 차량 뒤쪽을 향하여 형성함에 따라, APU 룸(1) 내부에서 아래쪽으로 내려가는 공기 흐름이 호 형상을 타고 개구 슬랏쪽으로 빠져나가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와 같이 APU 룸(1)의 저면 부위로 각각 외기 유입구(8)와 외기 배출구(9)를 형성한 외기 도입 그릴(6)이 구비됨에 따라, 주행 시 차량 밑으로 지나가는 주행 풍이 상기 외기 도입 그릴(6)을 지날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기 유입구(8)의 외기 유입 엘레먼트(8a,...,8n)사이에 형성된 개구 슬랏 부위를 통하여 APU 룸(1)안쪽으로 들어오게 된다.
이때, 상기 외기 유입 엘레먼트(8a,...,8n)사이의 개구 슬랏으로 유입된 외기는 유입 경로에 위치된 호 형상을 타고 위쪽으로 올라가려는 경향을 갖게 되고, 이러한 외기의 상승 경향은 APU 룸(1)내부에서 대류 현상을 촉발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어, 상기 APU 룸(1)내부에서 발생된 대류 현상은 공기를 APU 룸(1)내부에 고르게 확산시켜줌에 따라, 신선한 저온 공기가 APU 룸(1)내부에 설치된 관로(4)와 에어 탱크(5) 및 에어 드라이어(3)를 냉각 특히, 고온 압축 공기의 온도 변화에 따른 수분 포집 작용을 하는 에어 드라이어(3)가 최적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냉각시켜 주게 된다.
이에 따라 APU 룸(1)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대류 작용으로 APU 룸(1)밑으로 내려가면서 외기 도입 그릴(6)쪽으로 이동된 후, 상기 외기 그릴(6)의 외기 배출구(9)에 형성된 외기 배출 엘레먼트(9a,...,9n)를 통해 밖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상기 외기 배출 엘레먼트(9a,...,9n)사이의 개구 슬랏 부위에서 돌출된 호 형상 부위는 배출 작용을 도와주게 되는데 즉, 밑으로 내려가는 공기가 외기 배출 엘레먼트(9a,...,9n)의 호 형상 부위를 타고 내려가면서 개구 슬랏 쪽으로 흐름을 유도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APU 룸(1)의 내부로 그 저면 부위로 구비된 외기 도입 그릴(6)이 주행 풍에 의한 APU 룸(1)압력 차를 형성함과 더불어, APU 룸(1)의 폭 방향으로 외기를 유입함에 따라, 주행 시 APU 룸(1) 내부에서 지속적인 공기의 대류 작용이 일어나 내부 설치장치인 에어 드라이어(3)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여 통과되는 고온 압축 공기의 열 전달 성능을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된다.
한편, APU 룸(1)내 신선한 외기를 유입하는 외기 도입 그릴(6)의 다양한 변 형 시에도 동일한 작용이 이루어지는데 일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기 유입구(8)와 외기 배출구(9)사이 공간으로 더 형성된 부가 외기 경로구(10)가 경우, 상기 부가 외기 경로구(10)가 APU 룸(1)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시켜 외기 유입구(8)의 작용을 도와주거나 또는, APU 룸(1)에서 밖으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외기 배출구(9)의 작용을 도와주게 된다.
이러한 상기 부가 외기 경로구(10)를 통한 외기 유입 작용은 주행 시 주행 풍을 통해 APU 룸(1)내부 압력 차가 형성됨에 따라, 주행 풍이 부가 외기 경로구(10)를 지날 때 서로 간격을 둔 다수의 개구 슬랏(Slot)으로 외기가 유입되어 APU 룸(1)쪽으로 공급되어진다.
또한, 상기 부가 외기 경로구(10)를 통한 외기 배출 작용은 APU 룸(1)내부 압력 차가 작은 경우 주행 풍의 유입작용에 비해, APU 룸(1)내부에서 밑으로 내려가는 공기의 배출 작용이 크게 형성됨에 따라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입 공간 내 자연 대류 흐름을 형성하는 외기 도입 그릴이 버스 APU 룸에 장착된 구성도
도 2(가)내지(다)는 본 발명에 따른 유입 공간 내 자연 대류 흐름을 형성하는 외기 도입 그릴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변형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 공압 장치의 개략적인 회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버스 주행 시, 외기 도입 그릴을 통해 APU 룸 안으로 외기가 유입되고 자연 대류 흐름을 형성한 후, 다시 외부로 배출되는 외기 순환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APU 룸 2 : 압축 공기 저장 앗세이
3 : 에어 드라이어 4 : 관로
5 : 에어 탱크 6 : 외기 도입 그릴
7 : 플레이트 바디
8 : 외기 유입구 8a,...,8n : 외기 유입 엘레먼트
8a',...,8n',9a',...,9b' : 외기 유입·배출 엘레먼트
8a",...,8n",9a",...,9b" : 외기 유입·배출 엘레먼트
9 : 외기 배출구 9a,...,9n : 외기 배출 엘레먼트
10 : 부가 외기 경로구
A : 압축기 B : 압축 공기 사용 장치

Claims (11)

  1. 밀폐된 내부 공간의 한쪽 측면에 설치되어져, 외기 흐름 방향에서 내부 공간 쪽으로 외기를 유도하는 다수의 개구된 슬랏으로 외기 유입구(8)가 형성되고,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외기가 내부 공간에서 자연 대류 흐름을 형성해 순환한 후, 다시 외부로 배출되도록 외기 배출 방향에서 밖으로 외기를 유도하는 다수의 개구된 슬랏으로 외기 배출구(9)가 형성되며,
    상기 외기 유입구(8)와 외기 배출구(9)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입 공간 내 자연 대류 흐름을 형성하는 외기 도입 그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기 도입 그릴(6)은 밀폐된 공간 측면으로 설치되어 공간의 한쪽 측면을 형성하는 플레이트 바디(7)와,
    상기 플레이트 바디(7)의 일부 구간으로 외기를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시켜주는 외기 유입구(8) 및
    내부 공간에서 밖으로 외기가 빠져나가도록, 상기 외기 유입구(8)가 형성되지 않은 플레이트 바디(7)에 간격을 두고 외기 유입구(8)에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외기 배출구(9)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입 공간 내 자연 대류 흐름을 형성하는 외기 도입 그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기 유입구(8)는 외기 흐름 방향의 뒤쪽으로 위치되는 반면, 외기 배출구(9)는 외기 흐름 방향의 앞쪽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입 공간 내 자연 대류 흐름을 형성하는 외기 도입 그릴.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기 유입구(8)와 외기 배출구(9)는 밀폐된 공간내부로 돌출되어 공간의 폭 방향으로 길게 개구된 슬랏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슬랏 사이를 개구시키는 돌출된 높이를 갖고 그 위쪽부위 일부를 가려주는 다수의 외기 엘레먼트(8a,...,8n, 9a,...,9n)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입 공간 내 자연 대류 흐름을 형성하는 외기 도입 그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외기 유입 엘레먼트(8a,...,8n)의 개구된 슬랏 부위를 가려주는 돌출 부위가 외기 흐름 방향 쪽을 가리는 호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입 공간 내 자연 대류 흐름을 형성하는 외기 도입 그릴.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외기 배출 엘레먼트(9a,...,9n)의 개구된 슬랏 부위를 가려주는 돌출 부위가 외기 흐름 방향 반대쪽을 가리는 호 형상을 이루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입 공간 내 자연 대류 흐름을 형성하는 외기 도입 그릴.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외기 유입·배출 엘레먼트는 개구된 슬랏 부위를 가려주는 돌출 부위가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외기 유입·배출 엘레먼트(8a',...,8n',9a',...,9b')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입 공간 내 자연 대류 흐름을 형성하는 외기 도입 그릴.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외기 유입·배출 엘레먼트는 개구된 슬랏 부위를 가려주는 돌출 부위가 양 끝단을 경사지게 한 외기 유입·배출 엘레먼트(8a",...,8n",9a",...,9b")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입 공간 내 자연 대류 흐름을 형성하는 외기 도입 그릴.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기 도입 그릴(6)에는 외기 유입구(8)와 외기 배출구(9)사이를 이루는 플레이트 바디(7)의 공간으로 부가 외기 경로구(10)가 더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입 공간 내 자연 대류 흐름을 형성하는 외기 도입 그릴.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부가 외기 경로구(10)는 서로 간격을 둔 다수의 개구 슬랏으로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입 공간 내 자연 대류 흐름을 형성하는 외기 도입 그릴.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기 도입 그릴(6)이 엔진과 함께 구동되는 압축기(A)로부터 발생된 압축 공기를 관로(4)를 통해 공급받아 저장하고, 압축 공기 사용 장치(B)쪽으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탱크(5)사이로, 압축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온도를 저하시키고 수분을 모아 배출하는 에어 드라이어(3)가 설치된 APU 룸(1)의 바닥 면으로 설치되어져, 외기 유입구(8)를 통해 상기 APU 룸(1)의 내부 공간으로 외기를 유입해 자연 대류 흐름을 형성한 후, 외기 배출구(9)를 통해 외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입 공간 내 자연 대류 흐름을 형성하는 외기 도입 그릴.
KR1020070101429A 2007-10-09 2007-10-09 유입 공간 내 자연 대류 흐름을 형성하는 외기 도입 그릴 KR100969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429A KR100969077B1 (ko) 2007-10-09 2007-10-09 유입 공간 내 자연 대류 흐름을 형성하는 외기 도입 그릴
JP2007322689A JP5440826B2 (ja) 2007-10-09 2007-12-14 外気導入グリル
DE102007061133A DE102007061133A1 (de) 2007-10-09 2007-12-19 Außenlufteinlassgrill zum Erzeugen einer natürlichen Konvektion in einem Lufteinlassraum
US11/963,330 US8007352B2 (en) 2007-10-09 2007-12-21 Outside air introduction grill for inducting natural convection in air influx room
CN200710301717XA CN101407167B (zh) 2007-10-09 2007-12-25 用于在空气流入室中引起自然对流的外部空气导引格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429A KR100969077B1 (ko) 2007-10-09 2007-10-09 유입 공간 내 자연 대류 흐름을 형성하는 외기 도입 그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322A true KR20090036322A (ko) 2009-04-14
KR100969077B1 KR100969077B1 (ko) 2010-07-09

Family

ID=40435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1429A KR100969077B1 (ko) 2007-10-09 2007-10-09 유입 공간 내 자연 대류 흐름을 형성하는 외기 도입 그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07352B2 (ko)
JP (1) JP5440826B2 (ko)
KR (1) KR100969077B1 (ko)
CN (1) CN101407167B (ko)
DE (1) DE1020070611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79377B (zh) * 2012-07-09 2017-05-03 日产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用空调装置
JP5858033B2 (ja) * 2013-08-22 2016-02-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下部構造
JP2016101787A (ja) * 2014-11-27 2016-06-02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シャッタ、および車載熱交換器モジュール
US11262001B1 (en) * 2017-11-22 2022-03-01 Dometic Sweden Ab Vent cover with integrated drain tube attachment
CN110758221A (zh) * 2019-11-15 2020-02-07 上海海洋大学 大型冷藏车前置式外部冷气引入系统
FR3128906B1 (fr) * 2021-11-10 2023-09-22 Renault Sas Grille de ventilation de type hexagonal pour carénages de soubassement centraux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7540Y2 (ko) * 1980-12-26 1986-10-30
US4557095A (en) * 1983-06-29 1985-12-10 Square D Company Vent assembly for electrical enclosure
JPH0281717A (ja) * 1988-09-16 1990-03-22 Yamaha Motor Co Ltd エンジン冷却装置
JPH0519043U (ja) * 1991-08-22 1993-03-0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エアブレーキ装置
JPH08268089A (ja) * 1995-03-29 1996-10-15 Nissan Diesel Motor Co Ltd バスのエンジンルーム冷却構造
US5762550A (en) * 1996-08-21 1998-06-09 Toshiba America Information Systems, Inc. Heat transfer system for electronic enclosures
JP2000016094A (ja) * 1998-07-02 2000-01-18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冷却装置
JP2003276534A (ja) 2002-03-25 2003-10-02 Torantekkusu:Kk 馬匹輸送車
KR100445033B1 (ko) * 2002-08-26 2004-08-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자부품 수납용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KR20050038460A (ko) * 2003-10-22 2005-04-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각성능 향상을 위한 버스 엔진룸의 공기유입구조
JP2005255044A (ja) * 2004-03-12 2005-09-22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車両のフロントグリルの構造
DE102004048038B4 (de) * 2004-09-29 2012-07-12 Decoma (Germany) Gmbh Verschließbare Kraftfahrzeug-Kühlergrillanordn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7061133A1 (de) 2009-04-16
JP2009090958A (ja) 2009-04-30
CN101407167A (zh) 2009-04-15
US20090093208A1 (en) 2009-04-09
CN101407167B (zh) 2012-09-19
KR100969077B1 (ko) 2010-07-09
US8007352B2 (en) 2011-08-30
JP5440826B2 (ja) 201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5055A (en) Roof mounted air conditioner
KR910004396B1 (ko) 수송 콘테이너용 냉동장치
KR20090036322A (ko) 유입 공간 내 자연 대류 흐름을 형성하는 외기 도입 그릴
US10816225B2 (en) Movable air conditioner
KR102014738B1 (ko) 유입공기의 냉각 구조를 가지는 터보 송풍장치
US10291100B2 (en) Engine system
CN104235968B (zh) 热源装置
ITTO950278A1 (it) &#34;apparecchio per il raffreddamento di componenti elettrici ed elettro- nici e di batterie in un quadro elettrico.&#34;
CN205641231U (zh) 冷冻循环装置
KR20140075399A (ko) 가열탑 및 이를 이용한 냉난방 설비
BRPI0604796B1 (pt) Conjunto para ventilação e condicionamento de ar de um compartimento de direção de um veículo automotor
EP1753282B1 (en) Instrument cabinet
JP7012732B2 (ja) 熱源ユニットおよび熱源ユニットを有する空調装置
KR101705781B1 (ko) 터보블로워의 외함
JP6327696B2 (ja) 冷却装置
ITTO950704A1 (it) Apparecchio per il raffreddamento di componenti elettrici ed elettronici e di batterie in un quadro elettrico
CN209358419U (zh) 变频器
JP2006052913A (ja) 輸送コンテナ用の冷却装置
CN109687691A (zh) 变频器
CN216080102U (zh) 顶出风外机及具有其的空调器
JP4177285B2 (ja) 冷却貯蔵庫
WO2022124225A1 (ja) 空調機
KR102656055B1 (ko) 차량용 오버헤드 타입 공조장치
CN211876484U (zh) 冰箱
JP3850980B2 (ja) 冷却貯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