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4449A - 디젤차량의 혼유방지용 필러 - Google Patents

디젤차량의 혼유방지용 필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4449A
KR20090034449A KR1020070099642A KR20070099642A KR20090034449A KR 20090034449 A KR20090034449 A KR 20090034449A KR 1020070099642 A KR1020070099642 A KR 1020070099642A KR 20070099642 A KR20070099642 A KR 20070099642A KR 20090034449 A KR20090034449 A KR 20090034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per
retainer
filler
diesel
gaso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9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2735B1 (ko
Inventor
이범
Original Assignee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9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2735B1/ko
Publication of KR20090034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4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 B60K2015/0483Means to inhibit the introduction of too small or too big filler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젤차량의 혼유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 주입구에 내부 안전마개와 이를 제어하는 록킹장치를 구비하여 상대적으로 대구경인 디젤용 연류주입구가 인입 될 때만 주유구가 개방되고 작은 구경의 휘발유용 연료주입구가 인입될 때에는 주유구가 개방되지 않도록 한 디젤차량의 혼유방지용 필러에 관한 것이다.
주유장치의 주유건(G)을 받아들이는 대체로 깔대기형의 몸체(B)내 상부에 주유구멍(H)을 가지는 차단판(F)과 상기 주유구멍(H)을 통과한 주유건(G)을 주유하기 위한 바른 위치로 안내하는 리테이너를 구비한 필러에 있어서,
하부 일정구간에 수직방향의 절결부(11,12)를 양측으로 형성하고, 상기 절결부(11, 12)의 위치를 피하여 전방 또는 후방의 저부단부에 힌지하우징(13)을 형성한 리테이너(10)와;
상기 힌지하우징(13)에 힌지핀(14)이 결합되어 비틀림스프링(15)을 탄력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리테이너(10)의 하부 개구부를 밀폐하는 플래퍼(20)와;
상기 리테이너(10)의 양측 절결부(11, 12)에 개재되는 플래퍼홀더(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젤차량

Description

디젤차량의 혼유방지용 필러{Soul breast terrain fuel tank Diesel rolling stock}
본 발명은 디젤차량의 혼합유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잡한 전기 전자적 내지는 기계적 부품의 큰 추가 없이 주유구멍의 구조를 이용하고, 여기에 주유건 진입 유무에 따라 개폐 가능한 록킹장치를 가지는 디젤차량의 혼유방지용 필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디젤차량은 경유를 원료로 가동되는 자동차로써 우리나라와 같이 고 유가의 나라에서는 상대적으로 많이 생산 판매되는 차량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가솔린을 원료로 하는 차량이 널리 보급되어 있기 때문에 주요소 등에서도 경유 보다는 가솔린 주유공급장치가 더 많이 보급되어 있는 상황에 있다.
즉 이러한 상황에서 주요소 직원의 부주의로 가솔린 차량에 경유 혹은 거꾸로 경유 차량에 가솔린을 주유하게 되는 실수가 종종 발생된다.
따라서 모든 차량의 주유구가 가솔린과 경유의 주입을 할 때 혼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연료탱크의 주유 주입구의 크기에 있어서, 디젤 차량의 연 료탱크 주입구가 가솔린 차량의 주유 주입구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다.
물론 주유건도 디젤주유건의 구경이 가솔린주유건 보다 상대적으로 튼 직경으로 구비되어있다.
따라서 가솔린차량은 주유구가 상대적으로 작고 디젤차량은 주유건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가솔린 차량에 경유를 주유하는 것은 불가한 일이므로 가솔린차량에 경유를 주입하는 안전사고는 미연에 방지되나, 상대적으로 주유 구멍이 큰 디젤차량에 상대적으로 그 직경이 작은 가솔린차량의 주유건은 경유차량의 주유구에 쉽게 삽입되어서 디젤 차량에 가솔린이 주유되는 부주의에 의한 엔진의 과열 폭발을 일으키는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디젤차량의 연료주입구 내부에 플랩퍼를 구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디젤 주유건이 인입 될 때만 개방되고 작은 직경의 가솔린 주유건이 인입 될 때는 열리지 않도록 하여서 디젤차량에 가솔린이 주유되는 부주의한 안전사고를 유발하여 혼유로 인한 디젤차량의 엔진에 무리가 가는 고장을 미연에 방지케 한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디젤엔진용 차량의 필러내에 설치되는 주유건의 방향을 잡기 위한 리테이너와; 상기 리테이너의 양측에 설치되는 플랩홀더와; 상기 리테이너의 저부에 탄성 결합 되는 플랩퍼로 구성된 필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에서 플래퍼홀더는 그 상부단이 리테이너의 절개공을 통해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하부단에는 상기 플래퍼를 걸어 고정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플래퍼는 일측이 비틀림스프링을 항상 리테이너 하부 개구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탄력을 발휘하게 결합 구성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필러내부에 간단한 장치로써 주유원의 부주의에 의한 가솔린의 유입을 사전에 차단 시킬 수 잇어서, 그로 인해 발생되는 주행시 가솔린연료의 엔진 유입에 의한 문제점을 일거에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세한 치수를 적용한 설계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기한 도면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만은 아니 하며, 당업계의 사람이 자유롭게 설계 가능한 정도에서는 그 권리범위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한 것이며, 본 발명의 작동에 따른 리테이너의 구조변경 내지는 플래퍼홀더를 힌지결합하여 작용케 하는 등의 경우는 본 발명의 기술로부터 충분히 예견 될 수 있는 간단한 기술로써 본 발명에서 설명하지 아니했다.
이하에서는 양호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주유장치의 주유건(G)을 받아들이는 대체로 깔대기형의 몸체(B)내 상부에 주유건(G)을 주유하기 위한 바른 위치로 안내하는 리테이너를 구비한 필러에 있어서,
하부 일정구간에 수직방향의 절결부(11,12)를 양측으로 형성하고, 상기 절결부(11, 12)의 위치를 피하여 전방 또는 후방의 저부단부에 힌지하우징(13)을 형성한 리테이너(10)와;
상기 힌지하우징(13)에 힌지핀(14)이 결합되어 비틀림스프링(15)을 탄력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리테이너(10)의 하부 개구부를 밀폐하는 플래퍼(20)와;
상기 리테이너(10)의 양측 절결부(11, 12)에 개재되는 플래퍼홀더(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플래퍼홀더(30)는 그 상부단이 리테이너의 절개공을 통해 안쪽으로 돌출되는 선단이 라운드(31a)로 된 버튼부(31)와, 상기 버튼부(31)의 후단에는 필 러 몸체(B) 내벽과 접촉하여 반작용 탄력을 부여하는 탄력 지지대(32)가 하향되고, 그 안쪽으로는 상기 플래퍼(20)를 받침 고정하는 걸림턱(33a)을 가지는 고정 지지대(33)를 일체로 구비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플래퍼(20)는 일측의 비틀림스프링(15)에 의해 항상 리테이너(10) 하부 개구부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탄력을 발휘하게 결합 구성된다.
상기에서 리테이너(10)의 절결부(11,12)에 개재되어 양측에 상대향 되게 장착된 플래퍼홀더(30) 버튼부(31)의 라운드(31a) 선단부 사이의 거리는 가솔린 주유건(g)의 직경(d)보다 넓은 간격으로 되어있고, 디젤 주유건(G)의 직경(D) 보다는 짧은 길이로 되어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디젤차량에 디젤 주유건(G)으로 주유하는 상태를 살펴보면 도 1에서와 같이 차량의 연료캡은 도시 안된 상태이다. 물론 본 발명을 제외한 주변 부속품은 생략한 도면으로써, 이 생략된 것들에 의해 리테이너(10)는 정위치 장착된 상태이다. 이때 플래퍼(20)는 비틀림스프링(15)의 탄력으로 상기 리테이너(10)의 저부 개구부를 기밀하게 폐방시킨 상태이며, 플래퍼홀더(30)는 리테이너(10)의 절결부(11, 12)에 개재되고, 탄력지지대(32)가 필러 몸체(B) 내벽과 맞닿아서 정위치 지지되는 상태에 있는 것으로, 이때 고정지지대(33)의 걸림턱(33a)에 플래퍼(20)가 지지되어서 하부로 밀려 내려가지 못하는 조건이다.
이후 디젤 주유건(D)이 인입됨에 따라서 도 2에서와 같이 상부의 구멍(H)을 통과하여 리테이너(10) 내부로 유도된다. 계속되는 하강에 따라 상대적으로 큰 직 경의 디젤 주유건(G)이 양측 플래퍼홀더(30)의 버튼부(31)에 접촉되기 마련이고, 이에 따라서 탄력지지대(32)는 탄반력을 가지며 상대적으로 고정 지지대(33)가 벌어지면서 이 고정지대(33)의 걸림턱(33a)이 플래퍼(20)의 하부를 자유롭게 해제한다.
따라서 디젤 주유건(G)의 선단에 플래퍼(20)에 접촉되어 밀고 내려감에 따라서 연료주입구가 완전 개방되어서 경유를 중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버튼부(31)의 선단이 라운드(31a)로 되어 있어서 쥬유건(G)의 터치 동작이 원활하여서 리티이너(10)의 외측으로 플래퍼홀더(30)를 선회 가압하기 좋은 조건을 제공한다.
물론 주유가 끝나고 주유건(G)을 인출하면 이 플래퍼(20)는 비틀림스프링(15)의 복귀력으로 상기 리테이너(10)의 하부 개구부를 다시금 폐방시키고, 플래퍼홀더(30) 역시 탄발력으로 정위치에 복귀하여서 도 1의 처음 상태를 유지케 하는 것이다.
한편 도 4는 주유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하여 가솔린 주유건(g)을 필러에 유입 시킬 경우의 작동 상태를 보인 것으로써, 가상선 에서와 같이 주유건(g)의 직경(d)이 작기 때문에 리테이너(10) 내부로 인입시 상기 플래퍼홀더(30)의 버튼부(31)를 건들지 않고 내려가기에 설령 주유건(g)의 선단이 플래퍼(20)를 밀어 열려하더라도 고정지지대(33)의 걸림턱(33a)에 걸려 있기 때문에 인입시킬 수 없음으로써 주유원이 부주의에서 깨어나는 작용을 갖는 것이다.
물론 다른 가상선에서와 같이 가솔린주유건(g)이 상대적으로 그 직경이 작 기 때문에 리테이너(10)의 일측벽을 타고 인입되다 보면은 어느 일측의 플래퍼홀더(30)의 버튼부(31)를 접촉시키고 가동시킬 수가 있다. 하지만 어느 한쪽의 플래퍼홀더(30)가 작동 되더라도 플래퍼(20)의 힌지점이 양측의 플래퍼홀더(30) 사이의 전방 혹은 후방에 위치되기 때문에 양 쪽다 개방되지 않는 이상 플래퍼(20)를 밀더라도 하부로 개방되지 않는 것이다.
물론 강제 유입 중지되는 가솔린 주유건(g)은 주유원으로 하여금 자신의 부주의를 알아채어 즉각 시정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도로써, 디젤 주유건이 인입되는 작동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확대 부분 절취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단면도로써 가솔린 주유건이 인입되는 작동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리테이너 11,12: 절결부
13: 힌지하우징 14: 힌지핀
15: 비틀림스프링 20: 플래퍼
30: 플래퍼홀더 31: 버튼부
32: 탄력지지대 33: 고정지지대
31a: 라운드 33a: 걸림턱

Claims (2)

  1. 주유장치의 주유건(G)을 받아들이는 대체로 깔대기형의 몸체(B)내 상부에 주유건(G)을 주유하기 위한 바른 위치로 안내하는 리테이너를 구비한 필러에 있어서,
    하부 일정구간에 수직방향의 절결부(11,12)를 양측으로 형성하고, 상기 절결부(11, 12)의 위치를 피하여 전방 또는 후방의 저부단부에 힌지하우징(13)을 형성한 리테이너(10)와;
    상기 힌지하우징(13)에 힌지핀(14)이 결합되어 비틀림스프링(15)을 탄력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리테이너(10)의 하부 개구부를 밀폐하는 플래퍼(20)와;
    상기 리테이너(10)의 양측 절결부(11, 12)에 개재되는 플래퍼홀더(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디젤 차량의 혼유방지용 필러.
  2. 제 1 항에 있어서,
    플래퍼홀더(30)는 그 상부단이 리테이너의 절개공을 통해 안쪽으로 돌출되는 선단이 라운드(31a)로 된 버튼부(31)와, 상기 버튼부(31)의 후단에는 필러 몸체(B) 내벽과 접촉하여 반작용 탄력을 부여하는 탄력 지지대(32)가 하향되고, 그 안쪽으로는 상기 플래퍼(20)를 받침 고정하는 걸림턱(33a)을 가지는 고정 지지대(33)를 일체로 구비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디젤 차량의 혼유방지용 필러.
KR1020070099642A 2007-10-04 2007-10-04 디젤차량의 혼유방지용 필러 KR100902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642A KR100902735B1 (ko) 2007-10-04 2007-10-04 디젤차량의 혼유방지용 필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9642A KR100902735B1 (ko) 2007-10-04 2007-10-04 디젤차량의 혼유방지용 필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4449A true KR20090034449A (ko) 2009-04-08
KR100902735B1 KR100902735B1 (ko) 2009-06-15

Family

ID=40760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9642A KR100902735B1 (ko) 2007-10-04 2007-10-04 디젤차량의 혼유방지용 필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27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43806A (zh) * 2010-08-02 2012-02-08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燃油加注筒和具有该燃油加注筒的燃油箱
KR101417637B1 (ko) * 2013-05-08 2014-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
US10207579B2 (en) 2016-04-08 2019-02-19 Hyundai Motor Company Fuel-mixing prevention filler neck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287B1 (ko) 2013-07-26 2015-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혼유 방지용 주유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7459A (ja) * 1994-03-01 1995-09-12 Om Kogyo Kk 燃料タンクの通気開閉装置
KR200221354Y1 (ko) * 1997-12-27 2001-06-01 이계안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연료 역류 방지 구조
US7458391B2 (en) * 2001-12-21 2008-12-02 Eaton Corporation Assembling a siphonable filler tube with a check valve on a fuel tank
JP2004210246A (ja) * 2003-01-09 2004-07-29 Nissan Motor Co Ltd 燃料タンク給油口の可動式給油ノズルガイド規制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43806A (zh) * 2010-08-02 2012-02-08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燃油加注筒和具有该燃油加注筒的燃油箱
KR101417637B1 (ko) * 2013-05-08 2014-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
US10207579B2 (en) 2016-04-08 2019-02-19 Hyundai Motor Company Fuel-mixing prevention filler neck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2735B1 (ko) 200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0051B1 (ko) 차량의 혼유 방지 시스템
KR101500136B1 (ko) 차량의 오주유 방지장치
US8800611B2 (en) Insert element for a container suitable for filling with urea at a filling station
US20180208452A1 (en) Dual-fluid dispensing system and apparatus for diesel vehicle
KR100902735B1 (ko) 디젤차량의 혼유방지용 필러
CN104139700B (zh) 防错加燃料的填料颈装置
JP2012518568A (ja) ディーゼル燃料容器に用いられる、誤給油を阻止するための安全エレメント
US8567458B2 (en) Fuel filler apparatus of vehicle
EP2994329B1 (en) Fuel-dispensing nozzle inhibitor
CN102131669A (zh) 防止误加油装置
CN105980190A (zh) 无盖燃料系统
KR101795235B1 (ko)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
ES2159145T3 (es) Tapon de cierre automatico para deposito de gasolina adaptado a los surtidores de llenado de combustible.
GB2431634A (en) Device to prevent incorrect fuelling of a vehicle
KR20090114949A (ko) 차량용 연료 주유장치
KR20080106577A (ko) 연료 분사 노즐 억제자
JP5353792B2 (ja) 燃料タンクの開閉装置
KR101481343B1 (ko) 차량의 혼유 방지 시스템
JP2011213128A (ja) 燃料タンクの開閉装置
KR101755751B1 (ko) 자동차의 혼유방지장치
KR101702787B1 (ko) 자동차용 저속 디젤 주유가 가능한 혼유방지 주유구
KR101498491B1 (ko) 자동차 연료시스템의 필러 넥 장치
KR100785371B1 (ko) 디젤차량용 연료주입마개
KR100783436B1 (ko) 차량용 연료주입구 구조
KR20210073123A (ko) 캡리스 필러 넥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