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3163A - 더블-티 형상의 시트파일 - Google Patents
더블-티 형상의 시트파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33163A KR20090033163A KR1020087020111A KR20087020111A KR20090033163A KR 20090033163 A KR20090033163 A KR 20090033163A KR 1020087020111 A KR1020087020111 A KR 1020087020111A KR 20087020111 A KR20087020111 A KR 20087020111A KR 20090033163 A KR20090033163 A KR 2009003316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nge
- double
- steel sheet
- sheet pile
- shaped ste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08—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structural sections, i.e. work of special cross-section, e.g. angle steel
- B21B1/088—H- or I-se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04—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stee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04—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steel
- E02D5/08—Locking forms; Edge joints; Pile crossings; Branch pie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375—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having member which crosses the plane of another member [e.g., T or X cross section, etc.]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389—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having variation in thick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 Metal Rolling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더블-티 형상의 강시트파일은 웹(12)과 두개의 플랜지(14, 14')로 구성되고, 각각의 플랜지(14, 14')는 웹(12)을 향하는 내측면(18, 18')과 웹(12)으로부터 반대를 향하는 외측면(20, 20'), 두개의 길이방향의 에지(22, 22'),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14, 14')의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의 에지(22, 22')를 따라서 연결 프로파일(30)을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첫번째 실시 예에서 체결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14, 14')의 외측면(20, 20')에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의 에지(22, 22')를 따라서 연장하는 그루브(24, 24')에 의해 형성된다.
시트파일, 그루브, 길이방향의 에지, 플랜지, 측면
Description
본 발명은 중심웹(central web)과 두개의 플랜지(flange), 그리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의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의 에지를 따라서 연결 프로파일의 체결수단(coupling means)을 가지는 더블-티 형상의 시트파일에 관련된 것이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체결된 연결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타입(type)의 시트 파일(sheet pile)과 관련된다.
이런 더블-티 형상의 강시트파일(steel sheet pile)은 1936년 DE 613 210에서 개시된 바 있다. 이 시트파일에서 체결수단은 플랜지 끝단(flange ends)의 외측면에 쐐기형상(wedge-shaped)으로 두께가 진 부분에 의해서 형성된다. 이 체결된 연결 프로파일(connection profile)은 쐐기형상의 두께가 진 부분과 함께 플랜지 끝단에 덮어 밀어지는 꺾쇠형상(clamp-shaped)의 잠금부(lock part) 및 플랜지 끝단과 연결 프로파일 사이에 고정식(positive) 연결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체결수단이 플랜지의 길이방향의 에지(longitudinal edge)를 따라서 플랜지 의 외측면에 확장하는 쐐기형상의 체결 비즈(coupling beads)에 의해 형성되는 더블-티 형상의 시트파일은 오늘날 "파이너 스톨프파레 파스트(Peiner Stahlpfahle PSt)"의 이름으로 '파이너 트라거 게엠바하(Peiner Trager GmbH)' 및 "하자 킹 파일즈(HZ King Piles)"의 명칭으로 '아르셀로 알피에스(ARCELOR RPS)'에 의해 생산되고 있다. 이 체결 비즈는 대략 45°의 쐐기 각도를 가지며, 시트파일의 크기에 따라서, 15mm 와 25mm 사이의 높이를 가진다.
결합된 연결 프로파일은, DE 613 210에서의 연결 프로파일의 경우에, 쐐기형상의 결합 비드로 플랜지 끝단을 덮어 밀어지는 꺾쇠 형상의 첫번째 잠금부를 갖는다. 이 첫번째 잠금부는 내부로 만곡되고, 플랜지의 외측면에 쐐기 형상의 체결 비드(connection bead) 둘레에 끼워지는 상부 스트립(strip)과 직선이고 플랜지의 내측면에 맞닿는 하부 스트립으로 구성된다. 연결 프로파일의 두번째 잠금부는 더블-티 형상의 다른 시트파일의 플랜지 끝단을 연결 프로파일에 체결할 수 있으며, 또는 "혼합된(mixed)" 시트파일 벽들(walls)을 형성하기 위하여 U형상 또는 Z형상의 시트 파일을 연결 프로파일에 체결할 수 있다.(DE 28 19 737 참조)
공지된 더블-티 형상의 시트 프로파일의 섹션 계수(section modulus)를 늘리기 위해, DE 103 39 957은 쐐기 형상의 체결 비즈를 가지고 있는 체결 끝단부들(portions) 사이에 플랜지는 볼록하게 아치모양인 것을 제안한다. 여기서, 플랜지의 외측면에 두꺼운 부분이 플랜지들의 길이방향의 에지들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가늘어 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WO2005/038148은 플랜지의 외측부를 두껍게 하여 더블-티 형상의 시트파일들의 섹션 계수를 늘리는 것을 제안한다. 플랜지의 길이방향의 에지로부터 정의된 거리에서 출발하며, 체결수단을 지탱하는 가늘어진(tapered) 플랜지 단부가 남게 된다.
공지된 쐐기 형상의 체결 비즈(beads)를 가진 더블-티 형상의 강(steel)시트파일들은 열간압연(hot rolling)에 의해 생산된다. 그러나 열간압연 과정 중에 쐐기형상의 체결 비즈의 일정한 형상을 이루기 위해서는 문제들이 없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체결 비즈가 모두 똑같은 높이를 갖도록 보장하기 위해, 체결 비즈의 어느 초과하는 높이를 압연하고, 그 다음에 토치 절단(cutting torch)을 사용하여 체결 비즈를 원하는 높이로 다듬는 것은 공지된 것이다. 그러나 이 더블-티 형상의 강시트파일의 마감가공(finishing operation)은 중요한 비용을 수반하며, 게다가 플랜지의 외측면에 손상을 초래한다. 또한, 체결비드는 불완전하게 자주 형성되고, 그 결과로서 증착용접(deposition welding)에 의해 수동으로 재작업해야만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이미 플랜지의 끝단에 고정식으로 연결되는 연결 프로파일이 플랜지의 끝단에 추가적으로 용접되는 것은 공지된 실시예(practice)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용접이음매(weld seam)는 연결 프로파일의 상부 스트 립 또는 하부 스트립(strip)의 단부와 플랜지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 사이에 누벼진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큰 틈(gap)이 스트립의 단부와 플랜지의 표면사이에 형성된다면, 용접이음매를 만드는 것은 문제가 없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연결 프로파일들(connection profiles)과 시트파일들에 상대적으로 넓은 생산 공차가 발생되고, 이 상황은 상대적으로 자주 일어난다.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은 지금까지 공지된 쐐기 형상의 체결 비즈 보다는 더욱 단순하게 체결 수단을 생산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들 중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의 에지를 따라서 연결 프로파일용 체결 수단을 구성하는 더블-티 형상의 시트파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중심웹 과 두개의 플랜지를 포함하며, 각각의 플랜지는 웹(web)을 향하는 내측부(inner side)을 가지고, 외측부(outer side)는 웹(web)과 반대를 향하고, 두개의 길이방향의 에지와 또한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의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의 에지를 따라서 연결 프로파일용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더블-티 형상의 강시트파일과 관련한다.
본 발명의 일면과 관련하여, 체결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의 에지의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의 외측부에서 연장하는 그루브(groove)에 의해 형성된다. 즉, 체결수단은 플랜지 끝단의 두께 또는 꺾쇠형상의 체결비드에 의해서 더 이상 형성되지 않지만, 길이방향의 에지를 따라서 플랜지 끝단에 넣어진 그루브에 의해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체결된 연결 프로파일은 플랜지의 외측부에서 플랜지의 그루브에 차지하는 안쪽으로 만곡된 스트립과 꺾쇠형상(clamp-shaped)의 잠금부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그루브는 플랜지 외측부에 쐐기 형상의 체결 비드의 경우보다, 예를 들어 더블-티 시트파일을 열간압연의 과정에서, 단순하게 즉 더욱 신뢰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추가로 그루브는 완전한 더블-티 프로파일의 플랜지로 결과적으로 일체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것은 밀링(milling) 또는 평삭(planing)과 같은 기계가공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미 압연 된 그루브는 상대적으로 수월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밀링, 평삭(planing) 또는 연삭(grinding)에 의해 기계적으로 마무리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그루브는 바람직하게 둥근 바닥부와 실질상 V형태 단면을 가진다. 그러나 그루브 바닥은 또한 평평하지 않을 수 있다.
유리하게는 그루브의 차원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플랜지가 그루브의 최인접부에서 두께 e를 갖고, b가 그루브의 개구부 폭이라면, 그때 (0.5ㆍe)≤b≤(1.5ㆍe), 바람직하게는(0.5ㆍe)≤b≤(1.5ㆍe)가 된다. t가 그루브의 깊이라면, 그때 10mm≤t≤(0.5ㆍe)가 된다. s가 플랜지의 길이방향의 에지로부터의 거리라면, 그때 4mm≤s≤12mm 이다. 만약, α는 플랜지 외측부의 플랜지 길이방향의 에지에 가장 가깝게 위치한 그루브 측면에 의해 정의되는 각도라면, 40˚≤α≤50˚ 가 된다. β는 플랜지 외측부에 첫번째와 반대편인 두번째 그루브 측면에 의해 정의되는 각도라면, 40˚≤β≤90˚, 바람직하게는 40˚≤β≤50˚가 된다.
더블-티 형상의 강시트파일은 이것의 전체 폭(width)에 걸쳐 일정한 두께를 가져도 좋다. 그러나 또한 하나 또는 더 많은 두꺼운 플랜지 끝단을 가질 수 있고, 그루브는 두꺼워진 플랜지 끝단 중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하나 또는 더 많은 가늘어진 플랜지 끝단을 가질 수 있고, 그루브는 가늘어진 플랜지 끝단 중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플랜지 끝단의 두께는 체결되는 꺾쇠 형상인 잠금부의 내부 폭 "w"에 의해 결정된다.
게다가,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의 에지를 따라서, 내측부에 그루브를 가져도 좋다. 만약 플랜지 끝단이 외측면과 내측면에 그루브를 가지면, 이 그루브들은 더 작은 깊이를 갖게 된다. 추가로, 꺾쇠형상의 잠금부는 대칭형(symmetrically)으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단일 연결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라르센식 잠금장치(Larssen lock)를 갖는 Z형상의 시트파일을 체결할 수 있다. 게다가, 더블 그루브는 또한 플랜지 끝단과 연결 프로파일의 상대적인 회전을 허용하며, 시트파일에서 적은 각진 구획을 이룰 수 있다.
시트파일이 열간 압연된 프로파일이거나 플랜지들이 열간 압연된 넓은 평강(wide steel flats)에 의해 형성되고, 웹은 강판(steel plate)에 의해 형성되어 함께 용접된 프로파일(profile)이다.
바람직한 연결 프로파일은 그루브에 인접한 길이방향의 에지를 덮어 밀어진 꺾쇠형상의 잠금부를 가지며, 그루브는 플랜지의 길이방향의 에지에 가장 가깝게 위치한 첫번째 그루브 측면(flank)을 가지며, 두번째 그루브 측면은 첫번째의 반대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꺾쇠형상의 잠금부는 플랜지의 그루브로 플랜지의 외측부에 채워지는, 안쪽으로 만곡된 스트립을 가지고, 두번째 그루브 측면의 정반대에 위치하는 끝단부(terminal edge)를 갖는다. 그때 용접이음매는 두번째 그루브 측면와 스트립 끝단부의 외측면 사이에 단순하고 안전하게 누벼 질 수 있다. 내부로 만곡된 스트립의 끝단부는, 바람직하게는 대략 두번째 그루브 측면에 수직인 중심면을 가지며 이 중심에서 두번째 그루브 측면을 교차한다.
바람직하게 꺾쇠형상의 잠금부(lock part)는 플랜지의 길이방향의 에지와 반대에 위치하는 잠금 뒷 벽(lock rear wall)에 의해 후방에서 경계지운 잠금실(lock chamber)을 형성한다. 이 잠금실의 크기는 플랜지에서 그루브의 위치 및 크기를 정의한다. 바람직하게는 만약 끝단부가 두번째 그루브 측면과 맞닿는 경우, 잠금 뒷 벽은 플랜지의 길이방향의 에지로부터 1mm 에서 5mm의 거리인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또한, 잠금 뒷벽이 플랜지의 길이방향의 에지와 맞닿는 경우, 끝단부가 두번째 그루브 측면으로부터 5mm보다 적은 거리에 위치하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두번째 면에 따르면, 체결수단은 증착용접에 의해 생산된 체결 비드(coupling bead)에 의해 형성된다. 이 증착용접은 완전하게 자동수단으로 실행될 수 있으며, 그러므로 상대적으로 적은 노력을 요구한다. 게다가 플랜지 끝단에 체결수단 없이 압연되는 열간압연된 더블-티 프로파일이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의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의 에지를 따라서 체결비드의 증착용접에 의해 실질적으로 더블-티 시트파일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증착용접에 의해 체결 비드를 넓은 평강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리고 이 판들을 더블-티 시트 프로파일을 형성하기 위하여 웹판(web plate) 함께 용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욱 상세한 설명과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의 참조번호와 함께 발명의 가능한 실시예들의 아래 주어진 설명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도면 1은 더블-티 형상의 시트파일의 단면을 보여준다.
도면 2는 도면 1로부터 확장된 상세도를 보여준다.
도면 3은 플랜지 끝단에 결합한 연결 프로파일과 플랜지 끝단의 첫번째 실시 예를 통한 단면을 보여준다.
도면 4는 플랜지에 결합한 연결 프로파일과 함께, 플랜지 끝단의 두번째 실시 예를 통한 단면을 보여준다.
도면 5는 플랜지에 결합한 연결 프로파일과 함께, 플랜지 끝단의 세번째 실시 예를 통한 단면을 보여준다.
도면 6은 처음, 선택가능한 해결책을 보여주는 다른 플랜지 끝단을 통한 단면을 보여준다. 그리고,
도면 7은 플랜지에 결합한 연결 프로파일과 함께, 플랜지의 다른 실시 예를 통한 단면을 보여준다.
도면 1에서의 더블-티 형상의 강스틸파일(1)은 웹(12)과 두개의 플랜지(14, 14')로 구성된다. 시트파일(10)의 첫번째 대칭면(16)은 웹(12)의 중심면에 의해 형성된다. 두번째 대칭면(18)은 첫번째 대칭면(16)에 수직하게 두개의 플랜지(14, 14') 사이에서 연장한다. 웹(12)을 향하는 플랜지(14, 14')의 면들은 플랜지 내측면(18, 18')이다. 웹(12)과 반대를 향하는 플랜지(18, 18')의 면들은 플랜지 외측면(20, 20')이다. 플랜지 외측면(20, 20')은 실질적으로 평평하며 첫번째 대칭면(16)에 수직(perpendicular)하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랜지 내측면(18, 18')은 플랜지의 외측면(20, 20')과 평행하다. 그러나 파이너 스틸 파일즈(Peiner steel files)와 유사하게, 플랜지 내측면(18, 18')은 대칭면(16)에 90˚ 보다 큰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참조번호(22, 22')는 플랜지(14, 14')의 길이방향의 에지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더블-티 형상의 프로파일은 일반적인 압연 기준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생산된 웹(12) 및 플랜지(14, 14')와 함께, 열간압연 프로파일로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또한 웹(12)과 두개의 플랜지(14, 14')는 철판으로서 압연 및 함께 용접될 수 있다.
도면 1로부터 각각의 플랜지(14, 14')는 이것의 길이방향의 에지(22, 22')를 따라서 이 플랜지의 외측면(20, 20')에 각각의 그루브(24, 24')가 제공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면 3에서 명백하게, 그루브(24, 24')는 플랜지(14, 14')의 길이방향의 에지(22, 22')에 연결 프로파일(30)을 체결하게 된다. 도면 3에서 보이는 연결 프로파일(30)은 예를 들어, 아르셀로 알피에스(ARCELOR RPS)의 알제트디(RZD) 타입의 연결 프로파일이다. 연결 프로파일의 면들 중 하나의 면에, 플랜지(14,14') 중 하나의 길이방향의 에지(22, 22') 중 하나에 덮도록 밀어넣어져 꺾쇠모양의 잠금부(32)와 반대면에는, 다른 시트파일, 이 경우 예를 들면 라르센식 잠금부(Larssen lock)의 시트파일을 체결할 수 있는 잠금부(34)로 구성된다. 꺾쇠형상의 잠금부(32)는 플랜지(14)의 그루브(24)로 플랜지 외측면(20)에 채워지는 내부로 만곡된 스트립(36) 및 플랜지의 내측면(18)에 평평하게 지탱하는 직선 스트립(38)을 포함한다. 상기 두개의 스트립(36, 38)은 잠금 뒷 벽(39)에 의해 후방에서 경계지운 잠금실을 정의한다.
도면 3의 다른 설명에 앞서, 도면 2의 참조번호와 함께 그루브(24, 24')중 하나의 형상의 더욱 상세한 설명이 있을 것이다. 플랜지에 배열되고 두께 "e"를 갖는 그루브(24)는, 비록 그루브의 밑바닥이 둥글지만, 실질적으로 V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보통 개구부의 폭 b는, 보통 (0.5ㆍe)≤b≤(1.5ㆍe), 바람직하게 (0.8ㆍe)≤b≤(1.1ㆍe), 보통 20mm≤b≤45mm 와 같은 차원을 가진다. 그루브(24)와 플랜지 에지(22) 사이의 거리 "s"는 대개 4mm와 10mm사이로 측정된다. 그루브의 깊이 "t"는 보통 10mm≤t≤(0.5ㆍe)의 범위를 가진다. 플랜지 에지(22)에 가장 가깝게 위치한 첫번째 그루브 측면(40)은 외측면(20)과 각도α를 이루어 40˚와 50˚사이에서 측정되며, 바람직하게는 45˚이다. 첫번째의 반대에 위치하는 두번째 그루브 측면(42)은 플랜지 외측면(20)과 각도 β를 이루어 40˚와 90˚ 사이에서 측정되며, 바람직하게는 40˚와 50˚사이이다. 그루브 바닥의 만곡 반경 "r"은 대개 6mm와 12mm사이에서 측정된다.
도면 3에서 명백하게, 컵 형상의 자물부(32)의 안쪽으로 만곡된 스트립(36)은 두번째 그루브 측면(42)과 정반대에 위치한 끝단부(50)를 갖는다. 이것은 연결 프로파일(30)의 안쪽으로(inwardly) 만곡된(curved) 스트립(36)과 플랜지(14)사이에 용접된 연결부를 제조하기 위한 수월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을 가능하게 한다. 용접된 연결부는 두번째 그루브 측면(42)과 끝단부(50)의 둥근 외측면(54)사이에 형성된 쐐기형상의 간극에 누벼지는(lied) 용접이음 매(52)에 의해 만들어진다.
또한, 도면 3에서 명백하게, 안쪽으로 만곡된 스트립(36)의 끝단부(50)는 대략 두번째 그루브 측면(42)과 대략 수직하게 중심면(56)을 가지며, 이것의 중심면에서 그루브 측면과 교차(intersect)한다. 도면 3은 둥근 끝단부(50)가 두번째 그루브 측면과 맞닿는 이상적인 경우를 보여주며, 플랜지(14)의 길이방향의 에지(22)와 잠금 뒷 벽(39)사이의 간격은 단지 1-2mm(5mm보다 더 크지 않아야 한다)이다. 그러나 이 둥근 끝단부(50)는 용접이음매(52)의 생산물과 어떤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는 것 없이 두번째 그루브 측면으로부터 5mm까지의 거리에 있게 된다.
도면 3에서 보이는 그루브(24)는 더블-티 프로파일를 열간압연하는 동안 매우 단순하게 제조될 수 있다. 이런 목적을 위해 플랜지들을 압연하는데 사용되는 압연기들은 단지 대응하는 비즈(beads)를 갖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그루브(24는 플랜지에 그 결과로 일체로 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밀링, 평삭에 의한 기계작업으로 일어날 수 있다. 물론 또한, 이미 압연 된 그루브는 예를 들어, 밀링, 평삭(planing) 또는 연삭(grinding)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마무리될 수 있다. 더블-티 프로파일이 함께 용접된 경우에, 그루브(24, 24')는 플랜지(14,14')를 형성하는 평면 프로파일로 압연 될 수 있다.
도면 4는 그루브(24)가 플랜지의 두꺼워진 끝단(60)에 형성된 실시 예를 보여준다. 이 경우 두꺼워진 끝단(60)의 두께 "e"는 꺾쇠형상의 잠금부(32)의 내부 폭 "w"에 대응하도록 이루어지며, 즉 e= w-a가 보통이다. 플랜지의 나머지 부분의 두께"e*"는, 만약 두께"e"가 플랜지의 나머지 부분에 재료의 불필요한 초과를 일으킨다면, 더 작게 만들어질 수 있다. 물론 "e"가 "e*"보다 더 작을 수 있으며, 즉 두꺼운 플랜지는 가늘어진 끝단보다 작은 잠금실 내부 폭 "w"를 갖는 꺾쇠형상의 잠금부(32)로 체결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도면 7은 도면 4에서 보이는 두꺼운 플랜지 끝단과 관련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여준다. 더블-티 프로파일(210)의 플랜지 끝단(260)은 외측면(220)을 향하는 쐐기형상으로 두꺼워지고, 이 경우 플랜지(214)의 길이방향의 에지(222)에서 최대 두께 "e"를 가진다. 도면 4에서 보이는 실시 예에서와 같이, 이 두께"e"는 플랜지 끝단에 체결되는 꺾쇠형상의 잠금부의 내부 폭 "w"에 대응하게 이루어진다. 그루브(24)는 쐐기형상으로 두꺼워진 이 플랜지 끝단(260)에, 예를 들어 압연, 밀링 또는 평삭에 의해 일체로 된다. 이 플랜지(214)는 중심, 예를 들어 웹(12)을 향하여 이것의 최소두께 "e*"를 가진다. 도면 7에서 보이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플랜지(214)의 외측면(220)은 실질적으로 오목(concave)하게, 즉 안쪽으로 휘어져 관찰된다. 그와 같은 오목한 외측면(220)은 사실상 상대적으로 쉽게 압연 될 것이고, 또한, 시트파일(210)을 지면으로 넣을 때 관통 저항을 줄이는 결과에 이른다.
도면 3, 4 그리고 6에서 보이는 대표적인 실시 예는 아르셀로 알피에스(ARCELOR RPS)로부터 알제트디(RZD)식의 연결 프로파일(30)임을 알 것이다. 이 연결 프로파일은 기꺼이 알제트유(RZU)식의 연결 프로파일 또는 아르셀로 알피에스(ARCELOR RPS)의 출하(delivery)범위로부터 알에이취(RH)식의 연결 프로파일로 교체될 수 있으며, 이 타입들은 단지 두번째 잠금부(34)의 형상에 있어서 알제트디(RZD)식의 연결 프로파일과 다르다. 예를 들어, 도면 7은 아르셀로 알피에스(ARCELOR RPS)로부터 알제트유(RZU)식의 연결 프로파일(230)을 보여준다. 물론, 인접한 그루브(14, 14')와 길이방향의 에지(22, 22')로 덮도록 밀어넣어져 꺾쇠형상의 잠금부 및 이 그루브에 끼워지는 쐐기형상의 잠금부의 요소를 갖는 한 다른 연결 프로파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 5는 연결 프로파일(130)의 쐐기형상의 잠금부(132)는 내부로 만곡한 두개의 스트립(136, 138)을 가지며, 플랜지(114)의 그루브(124)로 플랜지의 외측면(120)에 끼우는 첫번째 스트립(136), 그리고 플랜지(114)의 그루브(124')로 플랜지 내측면(118)에 끼우는 두번째 스트립(138)을 가지는 실시 예를 보여준다. 바람직하게 그와 같은 플랜지(114)는 평평한 프로파일로서 압연 되고, 더블-티 프로파일을 형성하기 위해 용접기로 함께 용접된다.
도면 6은 기본적인 더블-티 프로파일로부터 출발하여, 단순한 방식으로 플랜지의 길이방향의 에지 상에 체결수단을 가지는 시트파일을 제공하기 위한 추가적인 해결책을 보여준다. 이러한 해결책에 의하여, 비드(bead)(214)는 길이방향의 에지(222)를 따라서 플랜지 외측면(220)에 증착용접에 의하여 적용된다. 역시, 이 프로파일은 더블-티 프로파일과 같이 열간압연 될 수 있고, 또는 넓은 평강(wide steel flats) 및/또는 강판(steel plates)과 합쳐 용접될 수 있다.
이것은 물론 단지 하나, 둘, 세개 또는 네개 모두 플랜지 요소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그리고/또는 상응하는 연결부를 가질 수 있음을 알아야만 한다. 그러나 비록 대체로 단지 두개의 플랜지(14, 14') 중 하나가 두개의 용접된 연결 프로파일(30)을 가지고 있지만, 보통 네개의 플랜지 끝단 모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된다.
Claims (31)
- 웹(12)과 두개의 플랜지(14, 14')로 구성되고, 각각의 플랜지(14, 14')는 웹(12)을 향하는 내측면(18, 18')과 웹(12)으로부터 반대를 향하는 외측면(20, 20'), 두개의 길이방향의 에지(22, 22'),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14, 14')의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의 에지(22, 22')를 따라서 연결 프로파일(30)을 위한 체결수단을 갖는 더블-티 형상의 강시트파일에 있어서,체결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14, 14')의 외측면(20, 20')에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의 에지(22, 22')를 따라서 연장하는 그루브(24, 24')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티 형상의 강시트파일.
- 제1항에 있어서,그루브(24, 24')는 대체로 V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티 형상의 강시트파일.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그루브(24, 24')는 둥근 형상의 그루브 밑바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티 형상의 강시트파일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그루브(24, 24')는 평평한 그루브 밑바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더블-티 형상의 강시트파일
-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플랜지(14, 14')는 그루브(24, 24')의 최인접부에서 두께 e를 가지고,그루브(24, 24')는 개구부 폭 b가 (0.5ㆍe)≤b≤(1.5ㆍ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티 형상의 강시트파일
-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0.9ㆍe)≤b≤(1.1ㆍe)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티 형상의 강시트파일
-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그루브(24, 24')는 개구부 넓이 b가 20mm≤b≤4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티 형상의 강시트파일.
-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플랜지는 그루브(24, 24')의 최인접부에서 두께 e를 가지며, 그루브(24, 24')는 깊이 t가 10mm≤t≤(0.5ㆍe)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티 형상의 강시트파일.
-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그루브(24, 24')는 플랜지(14, 14')의 길이방향의 에지(22, 22')로부터 거리 s가 4mm≤s≤12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티 형상의 강시트파일.
-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그루브(24, 24')는 플랜지(14, 14')의 길이방향의 에지(22, 22')에 가장 가깝게 위치한 첫번째 그루브 측면(40)을 가지며,이 그루브(24, 24') 측면은 플랜지 외측면(20, 20')과의 각도가 40˚≤α≤50˚인 것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티 형상의 강시트파일.
-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그루브(24, 24')는 플랜지(14, 14')의 길이방향의 에지(22, 22')에 가장 가깝게 위치한 첫번째 그루브 측면(40)을 가지며,첫번째의 반대에 위치한 두번째 그루브 측면(42)을 가지고,두번째 그루브 측면(42)은 플랜지 외측면과 각도가 40˚≤β≤90˚ 인 것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티 형상의 강시트파일.
- 제11항에 있어서,40˚≤β≤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티 형상의 강시트파일.
-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그루브(24, 24')는 두꺼워진 플랜지 끝단(60, 260)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티 형상의 강시트파일.
- 제13항에 있어서,플랜지 끝단(260)은 플랜지의 외측면(220)을 향하여 쐐기 형상으로 두꺼워지고, 플랜지(214)의 길이방향의 에지(222)에서 최대 두께(e)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티 형상의 강시트파일.
-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플랜지(214)의 외측면(220)은 대체로 오목하며, 플랜지(214)는 이것의 길이방향의 에지(222)를 따라서 최대 두께(e)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티 형상의 강시트파일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그루브(24, 24')는 테이퍼진(tapered) 플랜지 끝단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티 형상의 강시트파일
-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적어도 하나의 플랜지(114)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의 에지(122)를 따라 서, 이것의 내측면(118)에 그루브(12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티 형상의 강시트파일.
-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그루브(24, 24', 124, 124')는 플랜지(14, 14', 114)에 압연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티 형상의 강시트파일.
-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그루브(24, 24', 124, 124')는 플랜지(14, 14', 114)에 평삭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티 형상의 강시트파일.
-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열간 압연 된 프로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티 형상의 강시트파일
-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플랜지들은 열간압연 된 넓은 평강에 의해 형성되고 웹(12)은 강판에 의해 형성되어, 서로 용접된 프로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티 형상의 강시트파일.
-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길이방향의 에지(22, 22')를 덮도록 밀어넣어져 인접한 그루브(14, 14')에 끼워지는 꺾쇠형상의 잠금부를 가진 연결 프로파일을 포함하고,그루브(24, 24')는 플랜지(14, 14')의 길이방향의 에지(22, 22')에 가장 가깝게 위치한 첫번째 그루브 측면(40)과 첫번째의 반대에 위치한 두번째 그루브 측면(42)을 가지며,쐐기 형상의 잠금부(32)는 플랜지 외측(20, 20')에 플랜지(14, 14') 그루브(24, 24')로 안착 되는 내부로 만곡된 스트립(36)을 가지고,두번째 그루브 측면(42)의 정반대에 위치한 끝단부(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티 형상의 강시트파일.
- 제22항에 있어서,용접이음매(52)는 두번째 그루브 측면(42)과 끝단부(50)의 외측면(54) 사이에 형성되는 쐐기형상의 틈(gap)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티 형상의 강시트파일.
-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내부로 만곡된 스트립의 끝단부(50)는 두번째 그루브 측면(42)과 대략 수직인 중심면(56)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티 형상의 강시트파일.
- 제24항에 있어서,중심면(56)은 두번째 그루브 측면(42)과 그 중심에서 대략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티 형상의 강시트파일.
-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꺾쇠형상의 잠금부(32)는 플랜지(14)의 길이방향의 에지(22)와 반대에 위치하는 잠금 뒷 벽(39)에 의해 후방에서 경계 지워지는 잠금실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티 형상의 강시트파일.
- 제26항에 있어서,끝단부(50)가 두번째 그루브 측면(42)과 맞닿는 경우, 잠금 뒷 벽(39)은 플랜지(14)의 길이방향의 에지(22)로부터 1mm에서 5mm의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티 형상의 강시트파일.
- 제26항에 있어서,잠금 뒷 벽(39)이 플랜지의 길이방향의 에지(22)와 맞닿는 경우, 끝단부(50)는 두번째 그루브 측면으로부터 5mm 미만의 거리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티 형상의 강시트파일.
- 웹(12)과 두개의 플랜지(14, 14')로 구성되고,각각의 플랜지(14, 14')는 웹(12)을 향하는 내측면(18, 18'), 웹과 반대 방 향을 향하는 외측면(20, 20'), 두개의 길이방향의 에지(22, 22'),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14, 14')의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의 에지를 따라서 연결 프로파일(30)을 위한 체결비드를 갖는 더블-티 형상의 강시트파일에 있어서,체결비드는 증착용접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티 형상의 강시트파일.
- 제29항에 있어서,열간 압연 된 프로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티 형상의 강시트파일.
- 제29항에 있어서,플랜지들(14, 14')이 열간 압연 된 넓은 평강에 의해서 형성되고, 웹이 강판에 의해서 형성되어 함께 용접된 프로파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티 형상의 강시트파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06002241.6 | 2006-01-17 | ||
DE200610002241 DE102006002241A1 (de) | 2006-01-17 | 2006-01-17 | Spundbohle in Doppel-T-Form |
LU91227 | 2006-03-09 | ||
LU91227A LU91227B1 (de) | 2006-03-09 | 2006-03-09 | Spundbohle in Doppel-T-Form |
PCT/EP2006/069920 WO2007082619A1 (en) | 2006-01-17 | 2006-12-19 | Sheet pile in double-t for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33163A true KR20090033163A (ko) | 2009-04-01 |
KR101408061B1 KR101408061B1 (ko) | 2014-06-17 |
Family
ID=38289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7020111A KR101408061B1 (ko) | 2006-01-17 | 2006-12-19 | 더블-티 형상의 시트파일 |
Country Status (24)
Country | Link |
---|---|
US (1) | US8158272B2 (ko) |
EP (2) | EP1974101B1 (ko) |
KR (1) | KR101408061B1 (ko) |
AR (1) | AR060315A1 (ko) |
AT (1) | ATE480669T1 (ko) |
AU (1) | AU2006336038B2 (ko) |
BR (2) | BRPI0621198A2 (ko) |
CA (1) | CA2635643C (ko) |
CY (1) | CY1112246T1 (ko) |
DE (2) | DE602006016869D1 (ko) |
DK (2) | DK2246477T3 (ko) |
EA (1) | EA014927B1 (ko) |
ES (1) | ES2746938T3 (ko) |
IL (1) | IL192765A (ko) |
LT (1) | LT2246477T (ko) |
MX (1) | MX2008009218A (ko) |
MY (1) | MY143860A (ko) |
NO (1) | NO342613B1 (ko) |
NZ (1) | NZ569621A (ko) |
PL (2) | PL1974101T3 (ko) |
PT (2) | PT2246477T (ko) |
SI (1) | SI1974101T1 (ko) |
TW (1) | TWI387674B (ko) |
WO (1) | WO200708261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07015455C5 (de) * | 2007-03-30 | 2017-08-10 | Contexo Ag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pundwandkomponenten sowie Spundwandkomponente |
US20140017016A1 (en) * | 2007-03-30 | 2014-01-16 | Pilepro Llc | Sheet pile components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
DE102009017029C5 (de) * | 2009-04-09 | 2016-02-11 | Simonswerk,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 Bandaufnahme für Stahlzargen |
WO2013008915A1 (ja) * | 2011-07-14 | 2013-01-17 | 新日鐵住金株式会社 | 組合せ鋼矢板、地中連続壁、及び組合せ鋼矢板の分解方法 |
SG11201406539SA (en) * | 2012-05-16 | 2014-11-27 | Jfe Steel Corp | Combined steel wall |
WO2016145304A1 (en) * | 2015-03-11 | 2016-09-15 | Omega Trestle Llc | Rectilinear connector for pile, panels, and pipes |
USD808783S1 (en) * | 2016-03-23 | 2018-01-30 | Richard Heindl | Connecting element for sheet piles |
USD808782S1 (en) * | 2016-03-23 | 2018-01-30 | Richard Heindl | Connecting element for sheet piles |
USD947015S1 (en) * | 2020-07-22 | 2022-03-29 | Richard Heindl | Sheet pile connector |
CN113605535A (zh) * | 2021-08-16 | 2021-11-05 | 上海城建建设实业集团新型建筑材料有限公司 | 外包式下弦杆人字架肋板装配式双t板 |
JP1744225S (ja) * | 2021-10-04 | 2023-05-16 | シートパイル用連結具 | |
JP1744188S (ja) * | 2021-10-04 | 2023-05-16 | シートパイル用連結具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50043A (en) * | 1906-12-13 | 1907-04-09 | Gustavus A Kreis | Interlocking metal sheet-piling. |
DE613210C (de) | 1928-06-07 | 1936-02-12 | Ilseder Huette | Eiserne Spundwand |
US2018625A (en) * | 1933-07-31 | 1935-10-22 | Grave Otto | Piling |
DE2819737A1 (de) | 1978-05-05 | 1979-11-15 | Salzgitter Peine Stahlwerke | Spundwandbohle |
GB2071188B (en) | 1980-02-04 | 1983-12-14 | Kawasaki Steel Co | Steel h-sheet pile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
JPH0266215A (ja) | 1988-08-30 | 1990-03-06 | Nippon Steel Corp | H形鋼矢板 |
JPH08100422A (ja) | 1994-09-30 | 1996-04-16 | Kawasaki Steel Corp | 直線型鋼矢板およびその圧延方法 |
JP2004232225A (ja) | 2003-01-28 | 2004-08-19 | Sumitomo Metal Ind Ltd | 矢板式鋼製壁および鋼製矢板 |
DE10339957B3 (de) * | 2003-08-25 | 2005-01-13 | Peiner Träger GmbH | Doppel-T-förmiges Spundwandprofil aus Stahl und Werkzeug zur Herstellung des Spundwandprofils |
LU91043B1 (fr) * | 2003-10-14 | 2005-04-15 | Profilarbed Sa | Poutrelle pour un rideau de soutènement. |
-
2006
- 2006-12-19 AU AU2006336038A patent/AU2006336038B2/en not_active Ceased
- 2006-12-19 DK DK10170446T patent/DK2246477T3/da active
- 2006-12-19 DK DK06841463.0T patent/DK1974101T3/da active
- 2006-12-19 LT LT10170446T patent/LT2246477T/lt unknown
- 2006-12-19 PL PL06841463T patent/PL1974101T3/pl unknown
- 2006-12-19 MX MX2008009218A patent/MX2008009218A/es active IP Right Grant
- 2006-12-19 CA CA2635643A patent/CA2635643C/en active Active
- 2006-12-19 SI SI200630842T patent/SI1974101T1/sl unknown
- 2006-12-19 MY MYPI20082633A patent/MY143860A/en unknown
- 2006-12-19 EA EA200801667A patent/EA014927B1/ru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12-19 ES ES10170446T patent/ES2746938T3/es active Active
- 2006-12-19 DE DE602006016869T patent/DE602006016869D1/de active Active
- 2006-12-19 PT PT101704468T patent/PT2246477T/pt unknown
- 2006-12-19 EP EP06841463A patent/EP1974101B1/en active Active
- 2006-12-19 EP EP10170446.8A patent/EP2246477B1/en active Active
- 2006-12-19 NZ NZ569621A patent/NZ569621A/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12-19 PT PT06841463T patent/PT1974101E/pt unknown
- 2006-12-19 BR BRPI0621198-4A patent/BRPI0621198A2/pt active IP Right Grant
- 2006-12-19 WO PCT/EP2006/069920 patent/WO2007082619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6-12-19 DE DE202006020608U patent/DE202006020608U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6-12-19 US US12/161,008 patent/US8158272B2/en active Active
- 2006-12-19 AT AT06841463T patent/ATE480669T1/de active
- 2006-12-19 KR KR1020087020111A patent/KR10140806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6-12-19 BR BRMU8603217-8U patent/BRMU8603217Y1/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12-19 PL PL10170446T patent/PL2246477T3/pl unknown
- 2006-12-25 TW TW095148725A patent/TWI387674B/zh active
-
2007
- 2007-01-15 AR ARP070100161A patent/AR060315A1/es active IP Right Grant
-
2008
- 2008-07-10 IL IL192765A patent/IL192765A/en active IP Right Grant
- 2008-08-14 NO NO20083545A patent/NO342613B1/no unknown
-
2010
- 2010-11-22 CY CY20101101047T patent/CY1112246T1/el unknown
Also Published 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90033163A (ko) | 더블-티 형상의 시트파일 | |
KR101752745B1 (ko) | 데크플레이트 배열시 연결부의 결속력과 씰링구조를 갖는 거푸집 시공용 데크플레이트 | |
JP2007197962A (ja) | デッキプレートと閉断面リブとの接合部の補修方法 | |
CN101365844A (zh) | 双t形板桩 | |
US7354224B2 (en) | Adjustable pile splicing apparatus, system, method, and product-by-process | |
JP6813589B2 (ja) | 風力原動機に用いられる支持構造 | |
JPH09511298A (ja) | 二重外枠複合構造体の改良およびその構造体に関する改良 | |
KR101631739B1 (ko) | 강시판 및 그 강시판에 의해 형성된 강시판벽 | |
US6481061B1 (en) | Crimping ring and method for making same | |
US7500808B2 (en) | Double T-shaped steel sheet piling profile | |
JP3481700B2 (ja) | セグメントの継手構造 | |
JP2012127100A (ja) | デッキプレート | |
JP3861962B2 (ja) | 直線型鋼矢板 | |
JP4920707B2 (ja) | 笠コンクリートの構築 | |
JP4346755B2 (ja) | 鋼製セグメント | |
JP2023144800A (ja) | 鋼管矢板壁用継手セ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鋼管矢板 | |
JP2022190414A (ja) | 鋼コンクリート合成構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鋼材の接合構造 | |
JP3936796B2 (ja) | 缶体の溶接構造 | |
JP2022072737A (ja) | 圧入鋼板の機械式継手構造 | |
JP2023156703A (ja) | 突起付きh形鋼の継手構造 | |
JP2022035608A (ja) | 異形鋼矢板 | |
RU1816615C (ru) | Способ стыковой сварк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 |
JP2002061301A (ja) | 高力ボルト接合部用接合補助部材 | |
JPH04130319U (ja) | 鋼管矢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