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9874A -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 - Google Patents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9874A
KR20090029874A KR1020070095028A KR20070095028A KR20090029874A KR 20090029874 A KR20090029874 A KR 20090029874A KR 1020070095028 A KR1020070095028 A KR 1020070095028A KR 20070095028 A KR20070095028 A KR 20070095028A KR 20090029874 A KR20090029874 A KR 20090029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ror
water
over
leak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5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5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29874A/ko
Publication of KR20090029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98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49Detection or prevention of malfunction, including accident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A47L15/4212Detection of water leaks; Collection of leaked water, e.g. in the ca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4Water-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6Devices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different phases of cleaning ; Controlling device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누수에러 또는 과 수위에러 및 기타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누수에러 또는 과 수위에러에 대한 대응동작을 우선적으로 하도록 하며, 누수에러 및 과 수위에러를 제외한 기타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기타에러에 대한 대응작동을 수행하면서 누수에러 또는 과 수위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누수에러 또는 과 수위에러에 대한 대응작동을 우선적으로 수행하도록 하여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이 물에 의한 손상이 방지되도록 하는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은 물이 이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조; 상기 수조의 과 수위를 감지하는 과 수위 센서;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의 에러를 감지하는 에러감지부; 상기 에러감지부와 상기 과 수위센서를 이용하여, 에러와 과 수위 에러가 모두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우선적으로 과 수위 에러 대응작동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Figure P1020070095028
가전제품, 과수, 누수

Description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Home appliances using water}
본 발명은 가전제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누수에러 또는 과 수위에러 및 기타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누수에러 또는 과 수위에러에 대한 대응동작을 우선적으로 하도록 하며, 누수에러 및 과 수위에러를 제외한 기타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기타에러에 대한 대응작동을 수행하면서 누수에러 또는 과 수위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누수에러 또는 과 수위에러에 대한 대응작동을 우선적으로 수행하도록 하여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이 물에 의한 손상이 방지되도록 하는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제품은 냉장고와 공기조화기와 전자레인지와 식기세척기 및 세탁기를 포함하며, 가정에 있어서 생활의 편리함을 증진시키거나 실내공간을 쾌적하게 하기 위한 기기이다.
가전제품은 가전제품이 실현하고자 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의 기계구성요소와 전기 또는 전자적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가전제품은 물의 이용 여부에 따라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과 물을 이용하지 않는 가전제품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으로 는 식기 세척기와 세탁기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종래의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은 누수에러 및 기타에러가 발생 되었을 때, 에러에 의해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을 보호하기 위해 에러에 대한 대응작동을 한다.
그러나, 종래의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은 누수나 과 수위 에러를 제외한 기타의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더 이상 누수나 과 수위 에러에 대한 체크를 하지 않고, 이에 대한 대응작동 또한 수행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누수 또는 과 수위로 인하여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을 구성하는 전기적 구성요소가 손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은 누수에러와 과 수위 에러를 제외한 기타에러가 발생한 경우, 누수에러와 과 수위 에러를 제외한 기타에러에 대한 대응작동을 하는 중에 누수에러 또는 과 수위 에러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별도의 대응작동을 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누수에러 또는 과 수위에러 및 기타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누수에러 또는 과 수위에러에 대한 대응동작을 우선적으로 하도록 하며, 누수에러 및 과 수위에러를 제외한 기타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기타에러에 대한 대응작동을 수행하면서 누수에러 또는 과 수위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누수에러 또는 과 수위에러에 대한 대응작동을 우선적으로 수행하도록 하여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이 물에 의한 손상이 방지되도록 하는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은 물이 이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조; 상기 수조의 과 수위를 감지하는 과 수위 센서;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의 에러를 감지하는 에러감지부; 상기 에러감지부와 상기 과 수위센서를 이용하여, 에러와 과 수위 에러가 모두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우선적으로 과 수위 에러 대응작동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조는 물이 이용되어 식기가 세척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수조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과 수위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배수펌프가 상기 수조의 물을 완전히 배수하도록 제어한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은 물이 이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조; 상기 수조로부터 누출되는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센서;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의 에러를 감지하는 에러감지부; 상기 에러감지부와 상기 누수센서를 이용하여, 에러와 누수에러가 모두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우선적으로 누수대응작동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누수에러와 에러발생을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누수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알림부가 누수에러를 알리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의 제어방법은 에러가 발생 하였는지를 판단 하는 단계; 에러가 발생하였으면 발생한 에러가 누수에러인지를 우선적으로 판단하여 누수에러이면 누수에러대응작동을 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발생한 에러가 누수에러가 아니면, 상기 발생한 에러가 과 수위 에러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수조에 저수되는 물이 설정 수위이하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의 제어방법은 에러가 발생 하였는지를 판단 하는 단계; 에러가 발생하였으면 발생한 에러가 과 수위 에러인지를 우선적으로 판단하여 과 수위 에러이면 과 수위에러대응 작동을 하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여, 누수에러 또는 과 수위에러 및 기타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누수에러 또는 과 수위에러에 대한 대응동작을 우선적으로 행하여지고, 기타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기타에러에 대한 대응작동을 수행하면서 누수에러 또는 과 수위에러가 감지되면 누수에러 또는 과 수위에러에 대한 대응작동이 우선적으로 수행되어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이 물에 의한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 중 식기 세척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는 식 기 세척기(1)의 외형을 이루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물이 이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조(40)와, 본체(10)의 전면 상부에 구비되는 알림부(20) 및 입력부(30)와, 본체(10)의 전면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11)와, 수조(40)와 본체(10)의 측면 사이에 설치되어 수조(40)와 섬프(60)에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제공하는 에어 브레이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수조(40)의 하방에 설치되어 수조(40) 내부에 배치되는 탑과 상부 및 하부노즐(51,52,53)로 물을 공급하는 섬프(60)와, 섬프(60)의 일측에 설치되어 섬프(60)에 저장되는 물을 배수하는 배수펌프(90)와, 섬프(60)에 연결되어 수조(40) 또는 섬프(60)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300)와, 본체(10)의 바닥에 설치되어 수조(40) 또는 섬프(60)에서 누출되는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센서(200) 및 식기 세척기(1)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수조(40) 내부의 상하 양측 벽에는 상하가이드레일(31,32)이 설치된다. 상하가이드레일(31,32)에는 식기가 안착되는 상하 식기 랙(33,34)이 수조(40)의 전방으로 출입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하 식기 랙(33,34)에 식기들을 안치하여 수조(40) 내부로 밀거나 뺄 수 있도록 한다.
수조(40)의 전방은 개구부(41)가 형성된다. 개구부(41)는 본체(10)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11)에 의해 개폐되고, 도어(11)는 수조(40)로부터 물이 튀어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에어브레이크는 내부에 급수유로(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급수유로 상에 설치되는 급수밸브(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고, 급수유로의 일단은 외부의 급 수원에 연결되고 타단은 섬프(60)에 연결된다. 그리고 급수유로의 일측은 개구 되어 수조(40)로 물이 제공하고, 급수유로의 출구는 섬프(60)에 연결되어 섬프(60)에 물을 제공한다.
섬프(60)에는 섬프 펌프 모터(61)에 의해 회전되는 섬프 펌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포함되고, 물이 집수 된다. 이러한 섬프 펌프는 섬프(60)에 집수되는 물을 후술되는 탑노즐(51)과 상부노즐(52) 및 하부노즐(53)에 제공한다.
섬프(60)의 일측에는 배수펌프모터(91)에 의해 회전되는 배수펌프(90)가 설치되어 섬프(60)에 저수되는 물이 배수관(71)를 통하여 식기 세척기(1)의 외부로 배수되도록 한다. 그리고 배수관(71) 상에는 배수관(71)을 개폐하는 배수밸브(72)가 설치된다.
수조(40) 내부의 천정과 상부와 하부에는 탑노즐(51)과 상부노즐(52) 및 하부노즐(53)이 배치되어, 섬프(60)에 연결되는 워터공급관(54) 또는 워터가이드(50)와 연결된다. 이러한 탑노즐(51)과 상부노즐(52) 및 하부노즐(53)는 섬프(6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하식기랙(33,34)에 안치되는 식기들로 물을 분사하여 식기들에 묻어 있는 이물질들이 떨어지게 하여, 식기들이 세척되도록 한다.
누수센서(200)는 전극센서로 구현되어 수조(40) 또는 섬프(60)에서 누출되는 누수를 감지하여, 제어부(100)에 누수에러신호를 제공한다.
과 수위센서(300)는 섬프(60)의 일 측에 연결되는 연결관(302)과, 연결관(302) 내부에서 수조(40)에 저수되는 물의 량에 따라 변하는 섬프(60) 내부의 수압에 비례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는 플루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연결관(302) 의 상단에 연결되어 플로터의 상승 또는 하강에 따른 연결관(302)의 내부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301)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 수위센서(300)는 수조(40) 내에 저수되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제어부(100)에 수위를 제공한다. 즉, 압력감지부(301)에서 감지되는 압력에 비례하는 수위신호를 제어부(100)에 제공한다.
입력부(30)는 버튼과 다이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버튼 또는 다이얼을 조작하여 제어부(100)에 제어명령이 입력할 수 있게 한다.
알림부(20)는 표시부(21)와 경고음발생부(22)로 이루어진다.
표시부(21)는 액정패널 또는 엘이디로 구현되어 식기 세척기(1)의 작동상태 또는 식기 세척기(1)에서 에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가 표시되도록 한다. 그리고 표시부(21)는 에러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사용자가 에러에 대한 구체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표시부(21)에서 구체적인 에러가 표시되도록 한다.
경고음발생부(22)는 스피커 또는 부저로 구현된다. 이에 대한 대한 설명은 상기되는 표시부(21)와 실질적으로 동일함으로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100)의 입력 측에는 입력부(30)와 누수센서(200)와 과수위센서(300)와 에러감지부(310)가 제공되고, 출력 측에는 표시부(21)와 경고음발생부(22)로 이루어지는 알림부(20)를 구동하는 알림구동부(110)와 배수펌프모터(91)를 구동하는 배수펌프구동부(120)가 제공된다. 그리고 제어부(100)의 출력 측에는 급수밸브(71)와 배수밸브(72) 및 섬프펌프모터(61) 등을 구동하는 기타부하구동부(130)가 더 제공된다.
에러감지부(310)는 섬프모터(61)를 포함한 식기 세척기(1)의 구성요소들이 에러인지를 감지하여 제어부(100)에 제공한다.
제어부(100)는 에러감지부(310)와 과 수위 센서(300)를 이용하여, 에러와 과 수위 에러가 모두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식기 세척기(1)가 우선적으로 과 수위 에러 대응작동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다시 말하면, 수조(40)내의 물이 완전히 배수되도록 하며, 과 수위 에러가 알림부(20)에서 알려지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에러감지부(310)와 누수센서(200)를 이용하여, 에러와 누수에러가 모두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식기 세척기(1)가 우선적으로 누수에러대응작동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다시 말하면, 다시 말하면, 수조(40)내의 물이 완전히 배수되도록 하며, 누수에러가 알림부(20)에서 알려지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의 제어방법을 도면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식기 세척기(1)가 일반작동을 수행하면(401), 제어부(100)는 에러대응시작조건인지를 판단한다(402). 여기서, 일반작동은 식기 세척기(1)에 전원이 인가되어 입력부(30)로부터 입력명령이 입력되기를 기다리는 운전대기모드이거나, 입력부(30)로부터 입력된 입력명령에 따른 운전을 수행하는 운전 중일 수 있다. 그리고 에러대응시작조건은 식기 세척기(1)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를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누수센서(200)와 과수위센서(300) 및 기타 에러감지부(310)들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제어부(100)로 누수감지신호와 과수감지신호 및 기타 에러감지신호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제공한 경우를 의미한다.
상기 402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에러대응시작조건이 아니면 상기되는 401 단계로 회귀하여 그 이후의 단계를 수행하고, 에러대응시작조건이면 식기 세척기(1)가 누수에러에 대한 대응작동을 우선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에러가 누수에러인가를 판단한다(403).
이때에, 에러가 누수에러이면, 제어부(100)는 식기 세척기(1)가 누수에러 대응작동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404). 즉, 배수펌프모터구동부(120)에 제어신호를 공급하여 배수펌프모터(91)가 구동되도록 하여, 섬프(60) 내의 물이 본체(10)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여 수조(40) 내부에 잔존하는 물이 없도록 한다. 그리고 누수에러에 대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알림구동부(110)에 제어신호를 공급하여 표시부(21)에서 누수에러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하며, 경고음발생부(22)에서 누수에러경고음이 발생 되도록 한다. 그 다음, 제어부(100)는 에러대응종료조건인지를 판단하여(405), 에러대응종료조건이 아니면 상기되는 402단계로 회귀 및 그 이후의 단계를 수행하고, 에러대응종료조건이면 에러대응을 종료하고(406), 상기되는 401 단계 및 그 이후의 단계를 수행한다.
그리고 에러가 누수에러가 아니면, 제어부(100)는 에러가 과수위에러인가를 판단한다(407).
이때에, 에러가 과수위에러이면, 제어부(100)는 배수펌프모터구동부(120)에 제어신호를 공급하여 배수펌프모터(91)가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섬프(60) 내의 물이 본체(10)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여 수조(40) 내부에 잔존하는 물이 없도록 하고, 과수위에러에 대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알림구동부(110)에 제어신호를 공급하여 표시부(21)에서 과수위에러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하며 경고음발생 부(22)에서 과수위에러경고음이 발생되도록 한다(408). 그리고 에러가 과수위에러가 아니면, 제어부(100)는 식기 세척기(1)가 기타에러에러에 대한 대응작동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409). 즉, 제어부(100)는 배수펌프모터구동부(120)에 제어신호를 공급하여 배수펌프모터(91)가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수조(40)내의 물이 설정된 수위 이하가 되도록 하고, 기타에러에 대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알림구동부(110)에 제어신호를 공급하여 표시부(21)에서 기타에러가 표시되도록 하며, 경고음발생부(22)에서 기타에러경음이 발생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되는 405 단계 및 그 이후의 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이 누수에러 대응작동을 우선적으로 수행하도록 에러가 발생한 경우 발생한 에러가 누수에러인지를 우선적으로 판단하는 방법이 제시되었으나, 도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과 수위 에러 대응작동을 우선적으로 수행하도록 에러가 발생한 경우 에러가 과 수위 에러인지를 우선적으로 판단하고(503), 이에 따른 작동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에서 제시되는 503 ~509 단계에 대한 설명은 상기되는 403 ~ 409 단계의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 함으로 상기되는 403 ~ 409 단계의 설명을 참조하기로 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제어계통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제어수순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제어수순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알림부 91:배수펌프모터
100: 제어부 200: 누수센서
300: 과 수위센서 310: 에러감지부

Claims (8)

  1. 물이 이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조;
    상기 수조의 과 수위를 감지하는 과 수위 센서;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의 에러를 감지하는 에러감지부;
    상기 에러감지부와 상기 과 수위센서를 이용하여, 에러와 과 수위 에러가 모두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우선적으로 과 수위 에러 대응작동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물이 이용되어 식기가 세척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과 수위를 감지하면 상기 배수펌프가 상기 수조의 물을 완전히 배수하도록 제어하는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
  4. 물이 이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조;
    상기 수조로부터 누출되는 누수를 감지하는 누수센서;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의 에러를 감지하는 에러감지부;
    상기 에러감지부와 상기 누수센서를 이용하여, 에러와 누수에러가 모두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우선적으로 누수대응작동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
  5. 제 4 항에 있어서,
    누수에러와 에러발생을 알리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누수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알림부가 누수에러를 알리도록 제어하는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
  6. 에러가 발생 하였는지를 판단 하는 단계;
    에러가 발생하였으면 발생한 에러가 누수에러인지를 우선적으로 판단하여 누수에러이면 누수에러대응작동을 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의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한 에러가 누수에러가 아니면 상기 발생한 에러가 과 수위 에러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수조에 저수되는 물이 설정 수위이하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의 제어방법.
  8. 에러가 발생 하였는지를 판단 하는 단계;
    에러가 발생하였으면 발생한 에러가 과 수위 에러인지를 우선적으로 판단하여 과 수위 에러이면 과 수위에러대응 작동을 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의 제어방법.
KR1020070095028A 2007-09-19 2007-09-19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 KR200900298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028A KR20090029874A (ko) 2007-09-19 2007-09-19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028A KR20090029874A (ko) 2007-09-19 2007-09-19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874A true KR20090029874A (ko) 2009-03-24

Family

ID=40696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5028A KR20090029874A (ko) 2007-09-19 2007-09-19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298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07710A (zh) * 2019-03-28 2019-06-21 广东洁诺生活电器有限公司 一种洗碗机中喷臂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07710A (zh) * 2019-03-28 2019-06-21 广东洁诺生活电器有限公司 一种洗碗机中喷臂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5813B2 (en) Washer, such as a dishwasher or a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operating a washer
CN107752942B (zh) 水槽洗碗机及其清洗果蔬时的进水控制方法
JP4753208B2 (ja) 食器洗浄機
KR101482023B1 (ko) 식기 세척기의 배수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60034108A (ko)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펌프고장 감지방법
KR20090029874A (ko) 물을 이용하는 가전제품
US7797952B2 (en) Defrosting method of drum-type washing machine
KR100802784B1 (ko) 식기 세척기
JP5656523B2 (ja) 電気機器
JP2007125165A (ja) 食器洗浄機
JP4347232B2 (ja) 食器洗浄機
JP3281764B2 (ja) 洗浄機
JPH0938602A (ja) 洗浄機
KR101581757B1 (ko) 식기세척기 및 그의 운전제어방법
JP4614360B2 (ja) 食器洗い機
JPH07136097A (ja) 食器洗浄機
JPH11290258A (ja) 洗浄機
JP2000083886A (ja) 食器洗浄機
KR100572777B1 (ko) 식기 세척기의 세척수 과다 집수 방지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JP2018117809A (ja) 電気機器
JP2017153685A (ja) 電気機器
JP2001204677A (ja) 食器洗浄機
KR20100082663A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급수 방법
KR101344462B1 (ko) 세척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WO2022073475A1 (zh) 洗碗设备和用于评估其中压力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