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8567A - 흡수성 물품 및 흡수 요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및 흡수 요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8567A
KR20090028567A KR1020087031915A KR20087031915A KR20090028567A KR 20090028567 A KR20090028567 A KR 20090028567A KR 1020087031915 A KR1020087031915 A KR 1020087031915A KR 20087031915 A KR20087031915 A KR 20087031915A KR 20090028567 A KR20090028567 A KR 20090028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absorber
superabsorbent polymer
sheet
antimicrob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1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3872B1 (ko
Inventor
미유키 오치
Original Assignee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28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61F2013/8408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 A61F2013/8414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with anti-microb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수 요소로서 필라멘트 집합체를 사용하면서도 흡수력을 저해하는 일 없이 충분히 항균 성능을 발휘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면측의 톱 시트(30)를 투과한 액을 받아들여 보유하는 흡수 요소로서, 톱 시트(30) 측에 위치하는 상층 흡수체(56A)와, 이 상층 흡수체의 하측에 인접하는 하층 흡수체를 포함한 종이 기저귀에 있어서, 흡수요소(50)가 다수의 필라멘트(52)가 물품 전후방향으로 연속하는 필라멘트 집합체로 이루어지는 상층 흡수체(56A)와, 다수의 단섬유(55)가 불규칙적으로 집합된 단섬유 집합체 내에 항균 입자(51)가 분산된 하층 흡수체(56B)를 인접하여 포함한 구조로 한다.
흡수 요소, 필라멘트, 항균, 소취, 흡수체, 흡수성 물품, 폴리머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및 흡수 요소의 제조방법 {ABSORPTIVE ARTICLE AND METHOD OF PRODUCING ABSORBENT ELEMENT}
본 발명은 항균기능을 가지는 흡수성 물품 및 흡수 요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아나 성인의 테이프식이나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은, 사용면측의 톱 시트(top sheet)와, 배면측의 액의 투과를 방지하는 백 시트(back sheet)와, 이들 시트 사이에 개재되어 톱 시트를 투과한 배설된 액을 받아들여 보유하는 흡수 요소를 기본 요소로 하고 있다.
이 기본 요소에 대하여, 백 시트의 이면측에 예를 들면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외장 시트를 마련하고, 백 시트로서 플라스틱 시트를 사용했을 경우에 있어서의 촉감을 개량하는 형태, 제품의 양측에 소위 배리어 커프스를 형성하는 형태 등, 허리둘레나 배둘레의 피트성을 개량하기 위해서 탄성신축성을 부여하는 형태 등이 적절히 부가된다.
사용면측의 톱 시트를 투과한 액을 받아들여 보유하는 흡수 요소로서는 종래는 펄프 단섬유의 적섬체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 액에 흡수량을 높이기 위해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이하 'SAP'라고도 한다.)를 사용하는 것도 알려져 있 다
SAP는 펄프 단섬유의 적섬체 상에 살포하는 경우 외, 펄프 단섬유의 SAP를 분산 보유시켜 적섬체시키는 경우(특허문헌 1)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흡수체에 대하여, 최근에는 일본공표특허 2002-524399호 (WO99/27879: 특허문헌 2) 및 일본공표특허 2004-500165호(미국 특허 제6,646,180호: 특허문헌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의 토우를 흡수 요소로서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토우는 다수의 필라멘트가 소정 방향으로 연속하는 필라멘트 집합체로서, 펄프 단섬유의 적섬체와 달리 주로 섬유 연속 방향을 따라서 배설액을 확산하기 때문에, 이 확산성의 높이를 이용한 설계가 가능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토우는 펄프 단섬유와 비교해서 섬유가 굵은 것이 일반적이며, 또한 연속 섬유이기 때문에 섬유 하나하나의 탄력성이 흡수체 내에서 강하게 작용한다. 이 때문에, 소량이라도 흡수체에 필요한 강도나 힘(stiffness)이 얻어지기 때문에, 펄프 단섬유를 사용한 흡수체보다도 얇고 가볍고 부드러운 흡수체를 형성할 수 있다. 최근에는 유아가 기저귀를 떼는 시기가 늦어지고 있어, 자의식이 싹트는 이 시기의 유아의 자존심에 배려하기 위해서 박형(薄型) 설계의 흡수체를 사용한 큰 사이즈의 유아용 종이 기저귀가 요구되고 있는데, 상기와 같은 토우를 사용한 흡수체의 특성은 이러한 요구에 합치하는 것이다. 또, 상기 특성은, 가벼운 실금 증상이 시작되었지만 아직 충분히 자립해서 생활할 수 있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하는 경실금용(輕失禁用) 종이 기저귀에도 요구되는 것이다.
또, 최근에는 종이 기저귀나 생리용 냅킨에 소취성이나 항균성을 부여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 평8-176338호 공보(특허문헌 4)에는, 흡수성 수지의 입자 내부에 제올라이트가 분산된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공개특허 평12-79159호 공보(특허문헌 5)에는, 흡수성 수지와 암모니아 산생균에 대하여 항균기능을 가지는 화합물과 암모니아에 대하여 중화 능력, 또는 중화 능력 및 흡착 능력을 가지는 약제로 이루어지는 분말형상의 소취성/항균성 흡수제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실금한 것을 알기 어렵다는 기능도 또한 큰 사이즈의 유아용 종이 기저귀나 경실금용 성인용 종이 기저귀에 필수적인 것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2004-6530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공표특허 2002-524399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공표특허 2004-500165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공개특허 평8-176338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공개특허 평12-79159호 공보
그러나, 토우는 펄프 단섬유와 비교해서 섬유가 굵고 길기 때문에, 같은 중량의 섬유를 사용할 경우, 토우를 흡수 요소로 하는 흡수체는 펄프 단섬유를 흡수 요소로 하는 흡수체와 비교하여 전체 섬유의 표면적의 합계가 작다. 즉, 섬유간의 공극에 고흡수성 폴리머 등의 입자형상 구성물을 안정되게 보유할 수 있는 양이 적다. 따라서, 토우를 흡수 요소로 하는 흡수체는 입자형상 구성물의 배합량이 포화 상태를 넘으면, 과잉의 입자형상 구성물은 소정의 부위에 보유할 수 없어, 그 성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은 큰 사이즈의 유아용 종이 기저귀나 경실금용의 성인용 종이 기저귀에서는 종래의 유아용 종이 기저귀보다도 흡수량이 많은 것이 요구되기 때문에, 높은 평량으로 고흡수 폴리머를 배합하게 된다. 또한, 항균 입자까지 함유시키고자 하면, 필라멘트 집합체 내의 입자형상 구성물은 포화 상태를 넘게 되어, 보유성의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또, 항균 입자를 상술의 필라멘트 집합체 속에 함유시킨 경우, 필라멘트 집합체가 주로 섬유 연속방향을 따라서 배설액을 확산하기 때문에, 항균 입자가 배설액과 접촉하기 어려워져, 항균 기능이 발현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흡수 요소로서 필라멘트 집합체를 사용하면서 높은 흡수력과 충분한 항균 성능을 발휘시키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
사용면측에 형성된 톱 시트와, 이면측에 형성된 액불투과성 시트와, 이들 톱 시트와 액불투과성 시트의 사이에 형성되어 톱 시트를 투과한 액을 받아들여 보유하는 흡수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흡수 요소는 상기 톱 시트측에 위치하는 상층 흡수체와 이 상층 흡수체의 하측에 인접하는 하층 흡수체를 포함하며,
상기 상층 흡수체는 다수의 필라멘트가 물품 전후방향을 따라서 연속하는 필라멘트 집합체 내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분산시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하층 흡수체는 섬유 집합체 내에 항균 입자를 분산시켜 이루어지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본 발명에서는, 별도로 하측에 인접한 하층 흡수체의 섬유 집합체 내에 항균 입자가 분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흡수 요소 내에 흡수된 배설액은 상층 흡수체에 있어서 필라멘트를 따라서 물품 전후방향으로 확산하면서 하측으로 이동한 후에 하층 흡수체 내로 이행하여 하층 흡수체의 광범위에 많은 배설액이 보유되기 때문에, 배설액은 보다 많은 항균 입자에 대하여 접촉된다. 따라서, 단순히 필라멘트 집합체 내에 항균 입자를 분산시키는 경우에 비해서 항균 성능이 우수해진다. 또, 항균 입자가 소취 기능을 가지는 경우, 충분한 소취 효과가 발휘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
상기 상층 흡수체에 있어서의 상기 필라멘트 집합체의 평량 및 상기 하층 흡수체에 있어서의 상기 섬유 집합체의 평량의 합계가 150g/㎡ 이하이며,
상기 상층 흡수체에 있어서의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량 및 상기 하층 흡수체에 있어서의 상기 항균 입자의 평량의 합계가 250g/㎡ 이상이며,
상기 상층 흡수체에 있어서의 상기 필라멘트 집합체에 대한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중량비가 상기 하층 흡수체의 상기 섬유 집합체에 대한 상기 항균 입자의 중량비보다도 낮은,
청구항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이와 같이, 전체적으로 입자량을 많게 해도, 상층 흡수체에 있어서의 필라멘트 집합체에 대한 입자의 중량비를 하층 흡수에 있어서의 섬유 집합체에 대한 입자의 중량비보다도 낮게 함으로써, 상층 흡수체의 섬유 간극이 많아져 배설액이 상층 흡수체로부터 하층 흡수체로 이행하기 쉬워지므로, 흡수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보다 많은 배설액에 대해서 항균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
상기 상층 흡수체의 필라멘트의 밀도가 상기 하층 흡수체의 섬유의 밀도보다도 저밀도인,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상층 흡수체의 필라멘트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음으로써, 배설액이 상층 흡수체로부터 하층 흡수체로 이행하기 쉬워지므로, 보다 많은 배설액에 대해서 항균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
상기 하층 흡수체의 섬유 집합체가 다수의 단섬유가 집합된 단섬유 집합체인,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단섬유 집합체는 배설액의 확산력에 있어서는 필라멘트 집합체에 뒤떨어지는 것이지만, 확산 방향 및 확산 성능이 균일하고 배설액의 보유 능력 및 항균 입자의 보유 능력도 높다. 따라서, 이러한 단섬유 집합체를 본 발명의 하층 흡수체로서 이용하면, 항균 입자를 고밀도로 보유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하층 흡수체 내에 흡수된 배설액이 전방향으로 또한 광범위하게 확산되면서 보다 많은 항균 입자에 대하여 접촉되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
상기 하층 흡수체는 상기 섬유 및 상기 항균 입자의 혼합물을 원료로 해서 에어레이드법에 의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에어레이드 부직포인, 청구항 4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하층 흡수체를 이러한 에어레이드 부직포로 함으로써, 항균 입자의 보유 능력이 더욱 향상하고, 또한 고밀도에서의 항균 입자의 보유가 가능해진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
상기 상층 흡수체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입자지름은 200㎛ 이상이며,
상기 하층 흡수체에 포함되는 항균 입자의 입자지름은 200㎛ 미만인,
청구항 3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하층 흡수체에 포함되는 항균 입자의 입자지름을 200㎛ 미만으로 함으로써, 입자를 고밀도로 배합해도 하층 흡수체를 얇게 성형할 수 있게 되어, 전체적으로 얇은 흡수 요소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항에 기재된 물품에 있어서는, 제조시에 상층 흡수체와 하층 흡수체를 중첩한 후에, 그 위로부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와 항균 입자를 혼합해서 또는 따로따로 살포하는 것만으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주로 하층 흡수체의 상측(상층 흡수체(56A)의 상측, 내부 및 하측을 포함한다)에 보유되는 동시에, 항균 입자가 상층 흡수체를 통과해서 하층 흡수체 이하(하층 흡수체(56A)의 상측, 내부 및 하측을 포함한다)에 보유되게 되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
상기 하층 흡수체의 항균 입자가 항균 소취성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인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하층 흡수체의 항균 입자가 흡수성을 가짐으로써, 상층 흡수체에 있어서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사용량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
상기 상층 흡수체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항균 소취성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인,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상층 흡수체에 있어서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항균 소취성을 가짐으로써, 하층 흡수체에 있어서의 항균 입자의 사용량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
상기 항균 소취성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제올라이트 중의 이온 교환 가능한 이온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은 이온으로 치환해서 이루어지는 제올라이트 입자를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에 함유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이거나, 혹은 상기 제올라이트 입자를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표면에 정전기에 의해 부착시켜 이루어지는 것인, 청구항 7 또는 8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이러한 제올라이트 중의 이온 교환 가능한 이온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은 이온으로 치환해서 이루어지는 제올라이트 입자를 사용하면, 배설액과 은의 접촉에 의한 항균 소취 효과뿐만 아니라, 제올라이트의 흡착 작용 및 은의 촉매작용에 의해 배설액과의 접촉이 없는 입자에 있어서도 소취 효과가 발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제올라이트 입자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 중에 함유시키는 것도 일체성이 높아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이지만, 정전기에 의해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표면에 부착시키면, 제조가 용이함과 동시에, 제올라이트 입자의 전체가 외부에 노출하고 있기 때문에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게 된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
상기 상층 흡수체는 물품의 전후방향 중앙부에 그 전후보다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함유량이 적거나 또는 존재하지 않는 영역을 가지는,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본 항에 기재된 구조에서는 상층 흡수체에 있어서의 배설액의 확산이 양호해지고 흡수 속도가 향상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
상기 하층 흡수체는 물품의 전후방향 중앙부에 그 전후보다 상기 항균 입자의 함유량이 많은 영역을 가지는, 청구항 1~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물품의 전후방향 중앙부는 배설액이 특히 집중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이 부분의 항균 입자의 양을 다른 부위보다도 많게 함으로써, 항균작용을 효과적으로 발휘시킬 수 있다.
특히, 하층 흡수체에 포함되는 항균 입자까지도 흡수성을 가지는 경우에 있어서는, 본 구성을 취함으로써 배설액이 집중하는 중앙부의 흡수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상층 흡수체의 전후방향 중앙부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함유량을 적게 또는 존재하지 않도록 한 경우에 있어서도, 흡수체 전체로서는 중앙부의 흡수량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
섬유 집합체의 위에 다수의 필라멘트가 물품 전후방향을 따라서 연속하는 필라멘트 집합체를 중첩한 후, 그 위로부터 입자지름 200㎛ 이상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와 입자지름 200㎛ 미만의 항균 입자를 혼합해서 또는 따로따로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요소의 제조방법.
(작용 효과)
이러한 제조방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흡수 요소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흡수 요소로서 연속 섬유 집합체를 사용하면서, 높은 흡수력과 충분한 항균 성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도 1은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전개상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3-3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다른 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테이프식 일회용 기저귀의 전개상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9-9선 단면도이다.
도 7은 흡수 요소의 개요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10A … 테이프식 일회용 기저귀
12 … 외장 시트
12A … 백 시트
20 … 흡수성 본체
30 … 톱 시트
40 … 중간 시트
50 … 흡수 요소
51 … 항균 입자
52 … 필라멘트
52X … 베일
52Y … 토우
52Z … 필라멘트의 집합체
54 …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
55 … 단섬유
56 … 흡수체
56A … 상층 흡수체
56B … 하층 흡수체
58 … 포피 시트
60, 60A … 배리어 커프스
64 … 배리어 시트
70 … 액불투과성 시트
72 … 제2 액불투과성 시트
80 … 보유 시트
E … 열융착 부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 한다.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예>
도 1에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예가 나타나 있다. 이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10)는 외면(이면)측의 외장 시트(12)와 내면(표면)측의 흡수성 본체(20)를 구비하며, 외장 시트(12)에 흡수성 본체(20)가 고정되어 있다. 흡수성 본체(20)는 오줌이나 묽은 변 등의 액(후술하는 생리용 냅킨에서는 생리혈)을 받아들여서 흡수 보유하는 부분이다. 외장 시트(12)는 착용자에게 장착하기 위한 부분이다.
외장 시트(12)는 예를 들면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래시계형상으로 이루어져 양측이 잘록해져 있으며, 여기가 착용자의 다리를 넣는 부위가 된다. 흡수성 본체(20)는 임의의 형상을 취할 수 있지만, 도시하는 형태에서는 장방형이다.
외장 시트(1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20)가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고정된 후, 전후로 접혀져 외장 시트(12)의 앞부분(front section; 12F) 및 뒷부분(back section; 12B)의 양측부의 접합 영역(12A)이 열 융착 등에 의해 접합된다. 이에 따라, 도 1에 나타내는 구조의 허리 개구부(WO)와 한 쌍의 다리 개구부(LO)를 가지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가 얻어진다.
도시하는 흡수성 본체(20)의 길이방향(즉 도 2의 상하방향. 제품의 전후방향이기도 하다.)의 중간의 폭은 외장 시트(12)의 잘록해진 부분을 잇는 폭보다 짧은 형태가 나타나 있다. 이 폭의 관계는 반대여도 되며, 동일한 폭이어도 된다.
외장 시트(12)는 바람직하게는 2매의 예를 들면 발수성 부직포 시트로 이루어지며, 이들 시트 사이에 탄성신축부재를 개재시켜서 그 수축력에 의해 착용자에 게 피트시키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신축부재로서는 실 고무나 탄성발포체의 띠형상물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다수의 실 고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하는 형태에서는, 실 고무(12C, 12C…)가 허리영역(W)에 있어서는 폭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되며, 허리아래영역(U)에 있어서는 양측부분에만 형성되고, 가랑이아래영역(L)에 있어서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실 고무(12C, 12C…)가 허리영역(W) 및 허리아래영역(U)의 양자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실 고무(12C) 자체의 수축력이 약하다 해도, 전체적으로는 허리아래영역(U)에 있어서도 착용자에게 닿으므로 제품이 착용자에게 알맞게 피트된다.
(흡수성 본체)
흡수성 본체(2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투과성의 톱 시트(30)와, 톱 시트를 투과한 액을 흡수 보유하는 흡수 요소(50)를 구비하고 있다. 흡수 요소(50)의 이면측에는 액불투과성 시트(백 시트라고도 불린다)(7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액불투과성 시트(70)의 이면측에는 상기의 외장 시트(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측부에 배리어 커프스(60, 60)를 구비하고 있다.
(톱 시트)
톱 시트(30)는 액을 투과하는 성질을 가진다. 따라서, 톱 시트(30)의 소재는 이 액투과성을 발현되는 것이면 충분하며, 예를 들면, 구멍이 있거나 또는 구멍이 없는 부직포나, 다공성 플라스틱 시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 이 중 부직포는 그 원료섬유가 무엇인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 섬유, 레이온 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면 등의 천연섬유 등이나, 이들로부터 2종 이상이 사용된 혼합 섬유, 복합 섬유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는 어떤 가공에 의해 제조된 것이어도 된다. 가공 방법으로서는, 공지의 방법, 예를 들면, 스펀 레이스법, 스펀 본드법, 서멀 본드법, 멜트 블로운법, 니들 펀치법, 에어 스루법, 포인트 본드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연성, 드레이프성을 요구하는 것이라면 스펀 레이스법이, 부피성, 소프트성을 요구하는 것이라면 서멀 본드법이 바람직한 가공 방법이 된다.
또, 톱 시트(30)는 1매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2매 이상의 시트를 서로 붙여서 얻은 적층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톱 시트(30)는 평면방향에 대해서, 1매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2매 이상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중간 시트)
톱 시트(30)를 투과한 액을 신속하게 흡수체로 이행시키기 위해서, 톱 시트(30)보다 액의 투과 속도가 빠른 중간 시트('세컨드 시트'라고도 불린다)(40)를 마련할 수 있다. 이 중간 시트는 액을 신속하게 흡수체로 이행시켜서 흡수체에 의한 흡수 성능을 높일 뿐만 아니라, 흡수한 액의 흡수체로부터의 '역류' 현상을 방지하여 톱 시트(30) 위를 항상 건조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중간 시트(40)로서는, 톱 시트(30)와 같은 소재나, 스펀 레이스, 펄프 부직포, 펄프와 레이온의 혼합 시트, 포인트 본드 또는 크레이프지를 예시할 수 있다. 특히 에어 스루 부직포 및 스펀 본드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중간 시트(세컨드 시트)(40)는 톱 시트(30)와 포피 시트(58)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 시트(세컨드 시트)(40)를 마련하지 않는 형태도 사용가능하다.
도시 형태의 중간 시트(40)는 흡수체(56)의 폭보다 짧게 중앙에 배치되어 있지만, 전폭에 걸쳐 형성해도 된다. 중간 시트(40)의 길이방향 길이는 흡수체(56)의 길이와 동일해도 되고, 액을 받아들이는 영역을 중심으로 한 짧은 길이 범위내여도 된다. 중간 시트(40)의 대표적인 소재는 액 투과성이 뛰어난 부직포이다.
(흡수 요소)
흡수 요소(50)는 흡수체(56)로서 톱 시트(30)측에 위치하는 상층 흡수체(56A)와, 이 상층 흡수체(56)의 하측에 인접하는 하층 흡수체(56B)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또, 특히 도시하는 형태에서는, 흡수체(56)의 적어도 이면 및 측면을 감싸는 포피 시트(58)와, 흡수체(56)와 포피 시트(58)의 이면측 부위(하측 부분)의 사이에 배치된 보유 시트(holding sheet; 80)를 구비하고 있다.
(상층 흡수체)
상층 흡수체(56A)는 필라멘트(52, 52…)의 집합체에 의해 형성된다. 필라멘트(52, 52…)의 집합체는 필라멘트(실질적으로 연속하는 장섬유)로 구성된 토우(섬유다발)를 개섬(開纖)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필라멘트(52)는 물품의 전후방향(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상층 흡수체(56A)에 사용되는 섬유의 평량은 적당히 정하면 되는데, 예를 들면 50~120g/㎡로 할 수 있고, 특히 60~100g/㎡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 평량 이 지나치게 적으면 고흡수성 폴리머의 탈락(fall off)이 발생하기 쉬워지고, 지나치게 많으면, 고흡수성 폴리머를 섬유 집합체의 외부에서 내부로 진입시키는 제조 방식을 채택할 수 없게 되거나, 제조 라인에 있어서의 반송 등의 취급이 곤란해지거나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필라멘트(52)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다당류 또는 그 유도체(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에스테르, 키틴, 키토산 등), 합성 고분자(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락타아미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등)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셀룰로오스에스테르 및 셀룰로오스가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로서는, 면, 린터, 목재 펄프 등 식물체 유래의 셀룰로오스나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여도 되고, 재생 셀룰로오스는 방사된 것이어도 된다.
적합하게 채용할 수 있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유기산 에스테르;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탈레이트, 질산아세트산 셀룰로오스 등의 혼산(混酸) 에스테르; 및 폴리카프로락톤 그라프트화 셀룰로오스에스테르 등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 유도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셀룰로오스에스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의 점도 평균 중합도는 예를 들면 50~900, 바람직하게는 200~800 정도이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의 평균 치환도는 예를 들면 1.5~3.0(예를 들면, 2~3) 정도이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의 평균 중합도는 예를 들면 10~1000, 바람직하게는 50~900, 더 바람직하게는 200~800 정도로 할 수 있고, 셀룰로오스에스테르의 평균 치환도는 예를 들면 1~3 정도, 바람직하게는 1~2.15, 더 바람직하게는 1.1~2.0 정도로 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의 평균 치환도는 생분해성을 높이는 등의 관점에서 선택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로서는, 유기산 에스테르(예를 들면, 탄소수 2~4 정도의 유기산과의 에스테르), 특히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가 적합하다. 즉,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의 경우, 인공뇨 흡수량은 자중의 0.1~0.3배 정도이다.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의 초화도는 43~62% 정도인 경우가 많지만, 특히 30~50% 정도이면 생분해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셀룰로오스에스테르는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이다.
필라멘트는 각종 첨가제, 예를 들어, 열안정화제, 착색제, 유제(油劑), 수율 향상제, 백색도 개선제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필라멘트의 섬도는 예를 들면 1~16dtex, 바람직하게는 1~10dtex, 더 바람직하게는 1~5dtex이다. 필라멘트는 비권축섬유여도 되지만, 권축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권축섬유의 권축도는 예를 들면 1인치당 5~75개, 바람직하게는 10~50개, 더 바람직하게는 15~50개 정도로 할 수 있다. 또, 균일하게 권축된 권축섬유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권축섬유를 사용하면, 부피가 크고 경량인 흡수체를 제조할 수 있는 동시에, 섬유간의 서로 얽힘에 의해 일체성이 높은 토우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필라멘트의 단면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원형, 타원형, 이 형(異形)(예를 들면, Y자형상, X자형상, I자형상, R자형상 등)이나 중공(中空)형상 등의 어느 것이어도 좋다. 필라멘트는 예를 들면 3,000~1,000,000개, 바람직하게는 5,000~1,000,000개 정도의 단섬유를 묶음으로써 형성된 토우(섬유다발)의 형태로 사용된다. 섬유다발은 3,000~1,000,000개 정도의 필라멘트를 집속해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우는 필라멘트간의 서로 얽힘이 약하기 때문에, 주로 형상을 유지하는 목적으로 필라멘트의 접촉 부분을 접착 또는 융착하는 작용을 가지는 바인더를 이용할 수 있다. 바인더로서는, 트리아세틴,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세테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프로피오네이트, 디부틸프탈레이트, 디메톡시에틸프탈레이트, 구연산 트리에틸에스테르 등의 에스테르계 가소제 외, 각종 수지접착제, 특히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바인더로서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에는 용융·고화에 의해 접착력이 발현되는 수지로서, 수불용성 또는 수난용성 수지 및 수용성 수지가 포함된다. 수불용성 또는 수난용성 수지와 수용성 수지는 필요에 따라 병용할 수도 있다.
수불용성 또는 수난용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등의 올레핀계의 단독 또는 공중합체, 폴리아세트산 비닐,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메틸-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아크릴계 모노머와 스티렌계 모노머와의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수지, 폴리염화비닐, 아세트산 비닐-염화비닐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스티렌계 모노머와 (메타)아크릴계 모노머와의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중합체, 변성 되어 있어도 되는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11, 나일론 12, 나일론 610, 나일론 612 등의 폴리아미드, 로진 유도체(예를 들면, 로진 에스테르 등), 탄화수소 수지(예를 들면, 테르펜 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 수지, 석유 수지 등), 수소첨가 탄화수소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의 열가소성 수지는 1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수용성 수지로서는, 각종 수용성 고분자,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에테르, 비닐 단량체와, 카르복실기, 설폰산기 또는 그들의 염을 가지는 공중합성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등의 비닐계 수용성 수지, 아크릴계 수용성 수지,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수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용성 폴리아미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수용성 수지들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2종 이상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열가소성 수지에는, 산화 방지제, 자외선흡수제 등의 안정화제, 충전제, 가소제, 방부제, 방미제(防黴劑) 등의 각종 첨가제를 첨가해도 된다.
토우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흡수 요소(50)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의 토우의 베일은 셀라니즈사(Celanese AG)나 다이셀카가쿠고교 등에 의해 시판되고 있다.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의 토우의 베일은 밀도는 약 0.5g/㎤이며, 총 중량은 400~600kg이다.
이 베일에서 토우를 떼어내어 원하는 사이즈, 부피가 되도록 넓은 띠형상으로 개섬한다. 토우의 개섬폭은 임의이며, 예를 들면 폭 100~2000mm, 바람직하게는 제품의 흡수체의 폭의 100~300mm 정도로 할 수 있다. 또, 토우의 개섬 정도를 조정함으로써 흡수체의 밀도를 조정할 수 있다.
토우의 개섬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토우를 복수의 개섬 롤에 걸쳐놓고, 토우의 진행에 수반하여 점차 토우의 폭을 확대해서 개섬하는 방법, 토우의 긴장(신장)과 이완(수축)을 반복해서 개섬하는 방법, 압축 에어를 이용해서 폭을 넓히고 개섬하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층 흡수체(56A)에 있어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섬유간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 54…)가 분산된다. 이 경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SAP 입자; 54)는 상층 흡수체(56A)에 있어서의 실질적으로 두께방향 전체에 분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상태를 도 3의 주요부 확대도로서 개념적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상층 흡수체(56A)의 상부, 하부 및 중간부에 SAP 입자(54)가 없는 혹은 있어도 극히 적은 경우에는, '두께방향 전체에 분산되어 있다'라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두께방향 전체에 분산되어 있다'란 상층 흡수체(56A)에 대하여 두께방향 전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형태 외, 상부, 하부 및 또는 중간부에 '편재하고' 있지만, 여전히 상부, 하부 및 중간부의 각 부분에 분산되어 있는 형태도 포함된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부의 SAP 입자가 상층 흡수체(56A) 표면에 잔존하고 있는 형태나, 일부의 SAP 입자가 상층 흡수체(56A)로부터 탈락되어 포피 시트(58) 상에 있는 형태, 하측에 인접하는 하층 흡수체 상에 있는 형태, 보유 시트(80) 상에 있는 형태도 배제되는 것이 아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란, '입자' 이외에 '분체'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의 입자지름은 이 종류의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는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200~1000㎛, 특히 200~400㎛의 것이 바람직하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의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흡수량이 40g/g 이상의 것이 적합하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로서는 전분계, 셀룰로오스계나 합성 폴리머계 등의 것이 있으며, 전분-아크릴산(염) 그라프트 공중합체, 전분-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검화물, 나트륨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가교물이나 아크릴산(염) 중합체 등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의 형상으로서는 통상 사용되는 분립체 형상의 것이 적합하지만, 다른 형상의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층 흡수체(56A)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로서 후술하는 항균 소취성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로서는 흡수 속도가 40초 이하인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흡수 속도가 40초를 넘으면, 흡수체(56) 내에 공급된 액이 흡수체 외로 되돌아 나와버리는 소위 역류를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로서는 겔 강도가 1000Pa 이상인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것에 의해, 액 흡수 후의 끈적거림감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층 흡수체(56A)에 있어서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의 평량은 요구되는 흡수량에 따라 적당히 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일률적으로 말할 수는 없지만, 50~350g/㎡로 할 수 있으며, 특히 150~350g/㎡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의 평량이 50g/㎡ 미만에서는 흡수량을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350g/㎡를 넘으면, 효과가 포화할 뿐만 아니라,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의 과잉에 의해 제품에 접촉했을 때에 까슬까슬한 위화감을 주게 된다.
필요하면,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는 상층 흡수체(56A)의 평면방향에서 살포 밀도 혹은 살포량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의 배설 부위를 다른 부위보다 살포량을 많게 할 수 있다. 남녀차를 고려할 경우, 남성용은 앞측의 살포 밀도(양)를 높이고, 여성용은 중앙부의 살포 밀도(양)를 높일 수 있다.
반대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층 흡수체(56A)의 평면방향에 있어서 국소적(예를 들면 스폿형상)으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가 적거나 또는 존재하지 않는 부분(X)을 형성할 수도 있다. 특히 이 부분(X)은 물품의 전후방향 중앙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앙부(X)의 전후방향 범위는 적당히 정할 수 있는데, 상층 흡수체(56A)의 전 길이의 50~60% 정도의 부분으로 할 수 있다. 이 중앙부(X)에 있어서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양은 적당히 정할 수 있는데, 그 전후에 있어서의 양에 비해 20중량% 이상 적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경우에 따라 상층 흡수체(56A)는 항균 입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의 항균 입자는 하층 흡수체와 같은 종류의 것을 같은 사용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하층 흡수체)
하층 흡수체(56B)는 섬유 집합체 내에 항균 입자(51)를 분산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섬유 집합체로서는 상층 흡수체(56A)와 같은 필라멘트 집합체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다수의 단섬유(55)가 불규칙 또는 규칙적으로 집합된 단섬유 집합체 를 이용하면, 항균 입자를 고밀도로 보유할 수 있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또, 단섬유 집합체로서는 부직포나, 펄프 섬유를 적섬해서 얻어지는 면형상 펄프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체(56B)는 단섬유(55) 및 항균 입자(51)의 혼합물을 이용해서 제조하거나, 혹은 미리 제조한 단섬유(55)의 집합체에 항균 입자(51)를 살포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단섬유'란, 웹 중에서 섬유가 연속하고 있는 장섬유 이외의 모든 섬유형상물을 가리키며, 일반적인 합성 섬유와 같이 섬유길이 2~90mm 정도의 것뿐만 아니라, 펄프 섬유와 같이 섬유길이 2mm 이하의 것도 포함한다.
단섬유(55)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 섬유,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코튼·마·펄프 등의 천연섬유를 사용할 수 있고, 친수성 섬유여도 소수성 섬유여도 되지만, 항균 입자(51)에 대한 액 공급성이 양호한 점에서 친수성 섬유가 특히 바람직하다.
단섬유 집합체로서 부직포를 채용하는 경우 그 제조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에어 스루 부직포, 레진 본드 부직포, 에어레이드 부직포, 스펀 레이스 부직포, 히트 롤 부직포, 서멀 본드 부직포, 니들 펀치 부직포 등, 단섬유 부직포를 제조하는 적당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항균 입자의 보유 성능이 높은 점에서 에어레이드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또, 부직포로서는 단일 또는 다른 종류의 부직포를 복수 적층한 적층 부직포를 이용할 수도 있다.
하층 흡수체(56B)에 사용되는 섬유의 평량은 적당히 정하면 되는데, 예를 들 면 20~80g/㎡로 할 수 있고, 특히 30~60g/㎡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 평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항균 입자의 탈락이 발생하기 쉬워지고, 지나치게 많으면 항균 입자를 섬유 집합체의 외부에서 내부로 진입시키는 제조 방식을 채택할 수 없게 되거나, 제조 라인에 있어서의 반송 등의 취급이 곤란해지거나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하층 흡수체(56B)에 있어서의 항균 입자(51)의 평량은 적당히 정하면 되는데, 예를 들면 25~200g/㎡로 할 수 있으며, 특히 60~100g/㎡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항균 입자(51)는 배설액과의 접촉에 의해 항균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흡수성을 가지지 않는 각종의 무기입자 등도 사용할 수 있는데, 상술한 특허문헌 5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흡수성 폴리머와 항균 물질을 일체화한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제올라이트 중의 이온 교환 가능한 이온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은 이온으로 치환해서 이루어지는 제올라이트 입자(이하, 이것을 항균 소취성 제올라이트라고 한다)를 고흡수성 폴리머중에 함유시키거나, 혹은 항균 소취성 제올라이트 입자를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표면에 정전기에 의해 부착시켜 이루어지는 항균 소취성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적합하다.
항균 소취성 제올라이트에 있어서의 제올라이트로서는 천연 및 합성 제올라이트 중 어느 쪽도 사용할 수 있는데, 비용 및 입수 안정성의 관점에서 합성 제올라이트가 바람직하다. 제올라이트는 삼차원 골격구조를 가지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이며, 일반식 M2 / nO‥Na2O·Al2O3·2.5SiO2·xH2O로 표시되는 것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식 중의 x는 결정수(結晶水)의 수를 나타내는 정수이다. M은 양 이온이며, 양 이온 M으로서는, 은 이온 및 아연 이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 중의 n은 양 이온의 원자가이다. 제올라이트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A형 제올라이트, X형 제올라이트, Y형 제올라이트, T형 제올라이트, 고(高)실리카제올라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소취 효과가 우수하다는 점에서 A형 제올라이트, X형 제올라이트 및 Y형 제올라이트가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A형 제올라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제올라이트의 입자지름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평균 입자지름이 통상 0.1~10㎛, 바람직하게는 0.3~5㎛, 특히 바람직하게는 0.6~2.5㎛인 것을 사용한다. 평균 입자지름이 지나치게 작으면 취급이 곤란해지고, 평균 입자지름이 지나치게 크면 표면적의 감소에 의해 소취 효과가 저하한다.
제올라이트와 같은 다공질 입자의 미세 구멍지름은 표면적의 관점에서 통상 1~10옹스트롬, 특히 3~10옹스트롬인 것이 바람직하다. 미세 구멍지름이 지나치게 크면 표면적 감소에 의해 효과가 저하하고, 지나치게 작으면 분자지름이 큰 악취발생물질의 흡착 능력이 저하한다.
상기 항균 소취성 제올라이트에 상당하는 것으로서는 (주)시나넨제오믹사의 제오믹(ZEOMIC, 등록상표)을 사용할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에 대한 항균 소취성 제올라이트의 부가량은 적당히 정하면 되는데, 중량비로 500pp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00~3000ppm인 것이 바람직하다. 항균 소취성 제올라이트의 부가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항균 소취 효과가 불충분해지고, 지나치게 많으면 항균 입자를 폴리머에 일체화시키는 것이 곤란해진다.
항균 입자(51)의 사용량은 항균 입자(51)의 성능, 흡수성 물품의 종류나 사이즈, 목표로 하는 흡수 성능에 따라 적당히 정할(예를 들면 성인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사용량을 많게 하는 등) 수 있다. 특히 종이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의 항균 소취성 제올라이트를 부가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 제품 1매당 0.02~2.0중량%의 항균 소취성 제올라이트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균물질의 양이 지나치게 적으면 항균효과가 불충분해지고, 지나치게 많으면 비용대비효과가 저하한다.
필요하면, 항균 입자(51)는 하층 흡수체(56B)의 평면방향에서 살포 밀도 혹은 살포량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의 배설 부위를 다른 부위보다 살포량을 많게 할 수 있다. 도 7은 이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하층 흡수체(56B)의 물품 전후방향 중앙부(X)의 항균 입자(51)의 양을 그 전후보다도 많게 한 것이다. 이 중앙부(X)의 전후방향 범위는 적당히 정할 수 있는데, 하층 흡수체(56B)의 전 길이의 50~60% 정도의 부분으로 할 수 있다. 특히, 하층 흡수체(56B)에 포함되는 항균 입자(51)까지도 흡수성을 가지는 경우에 있어서는, 본 구성을 취함으로써 배설액이 집중하는 중앙부의 흡수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상층 흡수체(56A)의 전후방향 중앙부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의 함유량을 적게 또는 존재하지 않도록 한 경우에 있어서도, 흡수 요소(50) 전체로서는 중앙부의 흡수량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흡수성을 가지지 않는 항균 입자(51)를 사용하는 경우(예를 들면 상술의 항균 소취성 제올라이트를 고흡수성 폴리머에 함유시키지 않고, 단체(單體)로 사용하는 경우) 등, 필요에 따라 하층 흡수체(56B) 중에 별도 고흡수성 폴리머를 함유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고흡수성 폴리머로서는 상층 흡수체(56A)와 같은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상층 및 하층 흡수체(56A, 56B)의 양쪽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함유시키는 경우, 각 층에 있어서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량은 같아도 되며, 또 다르게 해도 된다.
(흡수체)
흡수체(56)에 있어서, 상층 흡수체(56A) 및 하층 흡수체(56B)는 인접하고 있으면 고정하지 않아도 되지만, 핫멜트 접착제, 트리아세틴, 바인더, 열 등의 접합 수단을 이용해서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큰 사이즈의 유아용 종이 기저귀나 경실금용의 성인용 종이 기저귀에서는 흡수체(56)에 있어서의 입자함유량을 많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여, 예를 들면 상층 흡수체(56A)에 있어서의 필라멘트의 평량 및 하층 흡수체(56B)에 있어서의 섬유의 평량의 합계를 150g/㎡ 이하로 하는 동시에, 상층 흡수체(56A)에 있어서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의 평량 및 하층 흡수체(56B)에 있어서의 항균 입자(51)의 평량의 합계를 250g/㎡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이 경우, 상층 흡수체(56A)에 있어서의 필라멘트 집합체에 대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의 중량비가 하층 흡수 체(56B)의 섬유 집합체에 대한 항균 입자(51)의 중량비보다도 높으면, 섬유 간극의 감소에 의해 배설액이 상층 흡수체(56A)로부터 하층 흡수체(56B)로 이행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상층 흡수체(56A)에 있어서의 필라멘트 집합체에 대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의 중량비가 하층 흡수체(56B)의 섬유 집합체에 대한 항균 입자(51)의 중량비보다도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배설액이 상층 흡수체(56A)로부터 하층 흡수체(56B)로 이행하기 쉬워지도록, 상층 흡수체(56A)의 필라멘트의 밀도는 하층 흡수체(56B)의 섬유의 밀도보다도 저밀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층 흡수체(56A)의 필라멘트 집합체에 있어서는, 섬유 평량을 60~100g/㎡로 하고, 또한 두께를 1~10mm로 하고, 하층 흡수체(56B)의 섬유 집합체에 있어서는, 섬유 평량을 30~60g/㎡로 하고, 또한 두께를 0.2~2mm로 할 수 있다.
흡수체(56)는 예를 들면 상층 흡수체(56A) 및 하층 흡수체(56B)를 개별로 제조한 후에 적층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 상층 흡수체(56A) 및 하층 흡수체(56B)에 사용되는 섬유의 섬도, 평량 및 섬유 집합체의 두께, 및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의 입자지름 및 항균 입자의 입자지름을 특정 범위로 함으로써, 상층 흡수체(56A)에 사용되는 필라멘트 집합체와 하층 흡수체(56B)에 사용되는 섬유 집합체를 개별로 제조하여, 양자를 적층한 후에, 그 위로부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와 항균 입자(51)를 혼합해서 또는 따로따로 살포하는 제조 형태를 채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층 흡수체(56A)의 필라멘트 집합체에 있어서는, 섬유의 섬 도를 1~16dtex, 특히 1~5dtex로 하고, 섬유 평량을 60~100g/㎡로 하고 또한 두께를 1~10mm로 한다. 하층 흡수체(56B)의 섬유 집합체에 있어서는, 섬유의 섬도를 1~16dtex, 특히 1~5dtex로 하고, 섬유 평량을 30~60g/㎡로 하고, 또한 두께를 0.2~2mm으로 한다. 또, 상층 흡수체(56A)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입자지름은 200㎛ 이상, 특히 250㎛ 이상으로 하고, 하층 흡수체(56B)에 포함되는 항균 입자(51)의 입자지름은 200㎛ 미만, 특히 50㎛ 미만으로 한다. 항균 입자(51)의 입자지름을 200㎛ 미만으로 함으로써, 입자를 고밀도로 배합해도 하층 흡수체(56B)를 얇게 성형할 수 있게 되어, 전체적으로 얇은 흡수 요소를 얻을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이것에 의해, 상층 흡수체(56A)와 하층 흡수체(56B)를 중첩한 후에, 상층 흡수체(56A)의 위로부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와 항균 입자를 혼합해서 또는 따로따로 살포하면,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주로 하층 흡수체(56B)의 상측(상층 흡수체(56A)의 상측, 내부 및 하측을 포함한다)에 보유되는 동시에, 항균 입자가 상층 흡수체(56A)를 통과해서 하층 흡수체(56B) 이하(하층 흡수체(56A)의 상측, 내부 및 하측을 포함한다)에 보유되게 된다.
상층 흡수체(56A)에 관해서, 필라멘트가 지나치게 가늘거나, 필라멘트 평량이 지나치게 적거나, 필라멘트 집합체가 지나치게 얇거나 하는 등에 의해 필라멘트간 공극이 지나치게 커지면, 혹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지나치게 작으면, 필라멘트 집합체 내로부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탈락되기 쉬워진다. 반대로, 필라멘트가 지나치게 굵거나, 필라멘트 평량이 지나치게 많거나, 필라멘트 집합체가 지나 치게 두껍거나 하는 등에 의해 필라멘트간 공극이 지나치게 작아지면, 혹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지나치게 크거나, 항균 입자가 지나치게 크거나 하면,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를 필라멘트 집합체의 내부에 진입시키기 어려워지거나, 항균 입자가 상층 흡수체(56A)를 통과하기 어려워지거나, 제조 라인에 있어서의 반송 등의 취급이 곤란해지거나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 하층 흡수체(56B)에 대해, 섬유가 지나치게 가늘거나, 섬유 평량이 지나치게 적거나, 섬유 집합체가 지나치게 얇거나 하는 등에 의해 섬유공극이 지나치게 커지면, 혹은 항균 입자가 지나치게 작으면, 섬유 집합체로부터의 항균 입자의 탈락이 발생하기 쉬워지고, 반대이면, 항균 입자를 섬유 집합체의 내부에 진입시키기 어려워지거나, 제조 라인에 있어서의 반송 등의 취급이 곤란해지거나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층 흡수체(56A) 및 하층 흡수체(56B)에 있어서의 섬도를 상기 범위내로 함으로써 부드러운 촉감이 가능해진다.
(포피 시트)
포피 시트(58)로서는 티슈페이퍼, 특히 크레이프지, 부직포, 폴리라미 부직포, 작은 구멍이 있는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단,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탈락되어 나오지 않는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크레이프지 대신에 부직포를 사용하는 경우, 친수성의 SMMS(스펀 본드/멜트 블로운/멜트 블로운/스펀 본드) 부직포가 특히 적합하며, 그 재질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평량은 8~20g/㎡, 특히 10~15g/㎡의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포피 시트(58)로서, 필라멘트 집합체보다도 인공뇨 흡수량이 많은 섬유 집합체, 예를 들면 인공뇨 흡수량이 5~30배 정도의 섬유 집합체를 사용하면, 포피 시트(58)에 의해 흡수체(56)의 흡수 성능을 보완할 수 있어, 초기 흡수 속도 및 확산성을 향상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 포피 시트(58)는 도 3과 같이 흡수체(56) 전체를 감싸는 형태 외,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층의 이면 및 측면만을 포피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흡수체(56)의 상면 및 측면만을 크레이프지나 부직포로 덮고, 하면을 폴리에틸렌 등의 액불투과성 시트로 덮는 형태, 흡수체(56)의 상면을 크레이프지나 부직포로 덮고, 측면 및 하면을 폴리에틸렌 등의 액불투과성 시트로 덮는 형태 등이어도 된다(이들 각 소재들이 포피 시트의 구성 요소가 된다). 필요하면, 흡수체(56)를 상하 2층의 시트로 끼우는 형태나 하면에만 배치하는 형태여도 되지만,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이동을 방지하기 어려우므로 바람직한 형태는 아니다.
(보유 시트)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나 항균 입자(51)는 제조 공정 혹은 소비자가 사용하기까지의 유통 과정에서 흡수체(56)로부터 탈락되는 일이 있다. 탈락된 입자군의 요철은 소비자가 사용할 때에 손으로 접촉했을 때 까슬까슬한 위화감을 준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흡수체(56)와 포피 시트(58)의 이면측 부위(하측 부분)의 사이에 입자 보유 성능을 가지는 보유 시트(80)를 개재시키는 것은 바람직하다. 이 보유 시트(80)는 티슈페이퍼(크레이프지) 등의 포피 시트(58)만으로는 부족한 힘을 보강하여, 소비자가 사용할 때에 손으로 접촉했을 때 위화감을 경감 또는 방지한다.
보유 시트(80)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입자 보유 성능을 가지는 것이면 충분하다. 구체적으로는, 부직포, 권축 펄프, 저흡수성 코튼 섬유(예를 들면, 미탈지(未脫脂)의 코튼 섬유, 탈지된 코튼 섬유, 레이온 섬유를 발수제나 소수화제(疎水化劑)로 처리한 것 등.), 폴리에틸렌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아크릴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견, 면, 마, 나일론, 폴리우레탄, 아세테이트 섬유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보유 시트(80)를 부직포로 할 경우, 그 보유 시트(80)는 KES시험에 의거하는 압축 에너지가 0.01~10.00gfcm/㎠, 바람직하게는 0.01~1.00gfcm/㎠이며, 또한 압축 복원력(resilience)이 10~100%, 바람직하게는 70~100%의 부직포이면 좋다.
보유 시트(80)를 마련하는 이유는, 예를 들면 흡수체(56)로부터 아래쪽으로 탈락된(빠져나온)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4) 등을 보유함에 있다. 따라서, 탈락되어 나온 입자에 대하여 포피 시트(58) 및 보유 시트(80)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접촉되므로, 사용자에게 까슬까슬한 위화감으로서 전달될 우려가 없다. 특히 상기의 압축 에너지 및 압축 복원력인 부직포이면, 보유 기능이 충분히 발휘된다.
또, 탈락되어 나온 입자는 보유 시트(80)에 의해 보유되어 포피 시트(58) 위를 이동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흡수 능력의 편재가 생길 우려도 없다. 특히, 보유 시트(80) 위를 고(高)입자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미리 점착성을 가지는 핫멜트 접착제 등을 보유 시트(80) 상에 도포할 수 있다. 또, 보유 시트(80)의 상면(사용면측을 향하는 면)을 거친 면으로 함으로써, 보유 시트(80) 위를 입자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해도 된다. 이를 위한 조면화(粗面化) 또는 보풀 발생수단으로서는, 부직포의 제조시에 있어서의 네트면이 아닌 비네트면으로 하거나, 마블 가공을 행하거나, 니들 펀치에 의해 가공하거나, 브러싱 가공하는 등을 들 수 있다.
보유 시트(80)는 도 3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56)의 아래쪽에만 마련해도, 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56)의 측면을 통과해서 흡수체(56)의 상면으로까지 감아 올려 연장시켜 둬도 된다. 또, 보유 시트(80)를 복수매 겹쳐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예는 흡수체(56)와 포피 시트(58)의 이면측 부위와의 사이에 보유 시트(80)을 마련하는 예이지만, 보유 시트(80)는 포피 시트(58)보다 이면측이어도 되어(그 형태는 도시하지 않고 있다), 요컨대, 흡수체(56)에 대하여 이면측에 보유 시트(80)를 마련하면, 제품의 이면에서 접촉할 경우에 있어서의 까슬까슬한 위화감을 경감시키는 혹은 생기지 않게 하는 것이 된다.
보유 시트(80)를 흡수체(56)와 액불투과성 시트(70)의 사이에 마련하는 경우, 필라멘트 집합체보다도 인공뇨 흡수량이 많은 섬유 집합체, 예를 들면 인공뇨 흡수량이 5~30배 정도인 섬유 집합체를 사용해서 보유 시트(80)를 형성하면, 보유 시트(80)에 의해 흡수체(56)의 흡수 성능을 보완할 수 있어, 초기 흡수 속도 및 확산성을 향상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액불투과성 시트)
액불투과성 시트(70)는 흡수체(56)의 이면측에 배치되는 시트로서, 이 시트와 톱 시트(30)의 사이에 흡수 요소(50)가 개재하고 있다. 액불투과성 시트(70)는 액을 투과하지 않는 것인 한 그 소재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나, 폴리에틸렌 시트 등에 부직포를 적층한 라미네이트 부직포, 방수 필름을 개재시켜서 실질적으로 불투액성을 확보한 부직포(이 경우는, 방수 필름과 부직포로 액불투과성 시트가 구성된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이 외에도, 최근, 답답함(stuffiness) 방지의 관점에서 즐겨 사용되고 있는 불투액성이면서 동시에 투습성을 가지는 소재도 예시할 수 있다. 이 불투액성이면서 동시에 투습성을 가지는 소재의 시트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중에 무기충전제를 혼련하여 시트를 성형한 후, 1축 또는 2축 방향으로 연신해서 얻어진 미세 다공성 시트를 예시할 수 있다.
액불투과성 시트(70)를 측면을 돌아 들어가게 하여 사용면에 연장시킴으로써(도시하지 않음) 측쪽으로의 액의 투과를 방지할 수 있는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옆샘에 대해서는 배리어 커프스(60)를 형성하는 2중의 배리어 시트(64) 사이에 제2 액불투과성 시트(72)를 개재시킴으로써 방지하고 있다. 즉, 배리어 커프스(60)의 기립까지 제2 액불투과성 시트(72)가 연장되어 있으므로, 톱 시트(30)를 거쳐 옆으로 확산한 액이나 배리어 커프스(60, 60) 사이의 묽은 변이 가로방향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리어 커프스)
제품의 양측에 형성된 배리어 커프스(60, 60)는 톱 시트(30) 위를 거쳐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는 오줌이나 묽은 변의 옆샘을 막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도시하는 배리어 커프스(60)는 발수성 부직포 시트를 2중으로 적층해서 형성한 것으로서, 흡수체(56)의 이면측으로부터 톱 시트(30) 아래쪽의 꺾여 구부러진 부분을 덮고, 표면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톱 시트(30) 위를 거쳐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는 오줌을 저지하기 위해서, 특히, 이중의 부직포 시트 사이에 액불투과성 시트(70)의 측부가 삽입되어, 표면측에 돌출하는 배리어 커프스(60)의 도중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 배리어 커프스(60) 자체의 형상은 적절히 설계 가능한데, 도시하는 예에서는, 배리어 커프스(60, 60) 전후 단부가 접힌 상태로 고정되고, 전후방향 중간부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또한 배리어 커프스(60)의 돌출 방향의 선단부 및 중간부에 전후방향을 따라서 탄성신축부재, 예를 들면 실 고무(62)가 신장 하에서 고정되어 있어, 사용 상태에 있어서 그 수축력에 의해 배리어 커프스(60)가 기립하도록 되어 있다.
(기타)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흡수성 본체(20)의 각 구성 부재는 핫멜트 접착제 등의 솔리드(solid), 비드 또는 스파이럴 도포 등에 의해 서로 고정할 수 있다.
(테이프식 일회용 기저귀의 예)
한편 도 5 및 도 6은 테이프식 일회용 기저귀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도 5에 있어서의 9-9선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인데, 흡수성 본체(20)에 대해서는 약간 과장해서 도시하고 있다.
테이프식 일회용 기저귀(10A)는 기저귀의 등측 양측단부에 부착된 걸림편(fastening piece)을 가지며, 이 걸림편의 고정면에 훅 요소를 가지는 동시에, 상기 기저귀의 이면을 구성하는 백 시트를 부직포 적층체로 하고, 기저귀 장착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의 훅 요소를 상기 백 시트의 표면의 임의 개소에 걸어맞춤이 가능하게 이루어진 기저귀이다.
흡수성 본체(20)는 톱 시트(30)와 액불투과성 시트(70)의 사이에 흡수 요소(50)를 구비하고 있으며, 흡수 요소(50)는 흡수체(56)로서 상층 흡수체(56A)와 하층 흡수체(56B)를 인접해서 구비하고 있다. 흡수체(56)는 포피 시트(58)에 의해 전체가 감싸져 있으며, 평면적으로 봐서 장방형을 이루고 있다. 흡수체(56)와 포피 시트(58)의 사이에는 보유 시트(80)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톱 시트(30)와 흡수체(56)의 사이에는 중간 시트(40)가 개재되어 있다. 액불투과성 시트(70)는 흡수체(56)보다 폭이 넓은 장방형을 이루며, 그 바깥쪽에 모래시계형상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백 시트(12A)가 형성되어 있다.
톱 시트(30)는 흡수체(56)보다 폭이 넓은 장방형을 이루며, 흡수체(56)의 측가장자리보다 약간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액불투과성 시트(70)와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기저귀의 양측부에는 사용면측으로 돌출하는 배리어 커프스(60A)가 형성되며, 이 배리어 커프스(60A)는 실질적으로 폭방향으로 연속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배리어 시트(64)와, 탄성신축부재, 예를 들어 실 고무로 이루어지는 1개의 또는 복 수개의 다리둘레용 탄성신축부재로서의 실 고무(6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130은 면 패스너에 의한 걸림편이다.
배리어 시트(64)의 내면은 톱 시트(30)의 측가장자리와 이간한 위치에 있어서 고착 시단(始端)을 가지며, 이 고착 시단으로부터 액불투과성 시트(70)의 연장된 가장자리에 걸쳐 폭방향 바깥쪽 부분이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배리어 시트(64)의 외면은 그 하면에 있어서 백 시트(12A)에 핫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또한, 개스킷 커프스용 탄성신축부재, 예를 들면 실 고무(66)가 형성되어 있다.
배리어 시트(64)의 내면의, 액불투과성 시트(70)로의 고착 시단은 배리어 커프스(60A)의 기립단을 형성하고 있다. 다리둘레에 있어서는, 이 기립단보다 내측은 제품 본체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자유부분이며, 이 자유부분이 실 고무(62)의 수축력에 의해 기립하게 된다.
본 예에서는 걸림편(130)으로서 면 패스너를 사용함으로써, 백 시트(12A)에 대하여 메커니컬(mechanical)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소위 타겟 테이프를 생략할 수도 있고, 또한 걸림편(130)에 의한 고정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걸림편(130)은 플라스틱, 폴리라미 부직포, 종이제품 등의 패스닝 기재(基材)의 기부(基部)가 백 시트(12A)에 예를 들면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으며, 선단측에 훅 요소(130A)를 가진다. 훅 요소(130A)는 패스닝 기재에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훅 요소(130A)는 그 외면측에 다수의 걸어맞춤편을 가진다. 훅 요소(130A)보다 선단측에 가고정 접착제부(130B)를 가진다. 제품의 조립 말기에 있어 서, 가고정 접착제부(130B)가 배리어 시트(64)에 접착됨으로써 걸림편(130)의 선단측의 박리를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사용시에는, 그 접착력에 저항해서 박리하고, 걸림편(130)의 선단측을 앞부분으로 가져오는 것이다. 가고정 접착제부(130B)보다 선단측은 패스닝 기재가 노출해서 손잡이 탭부로 되어 있다.
앞부분의 개구부측에는, 백 시트(12A)의 내면측에 디자인 시트로서의 타겟 인쇄 시트(74)가 마련되어, 걸림편(130)의 훅 요소(130A)를 고정하는 위치의 기준이 되는 디자인된 타겟 인쇄가 이루어져, 외부에서 백 시트(12A)를 통해서 시인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기저귀의 장착시에는 기저귀가 배형(船形)으로 몸에 장착되므로, 그리고 실 고무(62)의 수축력이 작용하므로, 다리둘레에서는 실 고무(62)의 수축력에 의해 배리어 커프스(60A)가 기립한다.
기립부로 둘러싸이는 공간은 오줌 또는 묽은 변의 가둠 공간을 형성한다. 이 공간내에 배뇨되면, 그 오줌은 톱 시트(30)를 통과하여 흡수체(56) 내에 흡수되는 동시에, 묽은 변의 고형분에 대해서는 배리어 커프스(60A)의 기립부가 배리어가 되어, 타고 넘는 것이 방지된다. 만일 기립부의 기립 먼 위치측 가장자리를 타고 넘어 옆으로 샌 오줌은 평면접촉부에 의한 스톱 기능에 의해 옆샘이 방지된다.
본 형태에 있어서, 각 기립 커프스를 형성하는 배리어 시트(64)는 투액성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불투액성(반 투액성이라도 된다)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표면 시트(부직포 적층체)에 대해 실리콘 처리 등에 의해 액체를 튕기는 성질이 되도록 해도 좋다. 어찌되었든 배리어 시트(64) 및 백 시트(12A)는 각각 통기성 이 있고, 또한 배리어 시트(64) 및 백 시트(12A)는 각각 내수압이 100mmH20 이상의 시트인 것이 적합하다. 이것에 의해, 제품의 폭방향측부에 있어서 통기성을 나타내는 것이 되어, 착용자의 답답함(stuffiness)을 방지할 수 있다.
그외의 점, 예를 들면 각 부의 사용 소재 등에 대해서는 상술한 팬츠형 종이 기저귀의 경우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종이 기저귀, 생리용 냅킨, 실금 패드, 기저귀 커버와 병용하는 흡수 패드 등의 흡수성 물품에 적합한 것이다.

Claims (12)

  1. 사용면측에 형성된 톱 시트와, 이면측에 형성된 액불투과성 시트와, 이들 톱 시트와 액불투과성 시트의 사이에 형성되어 톱 시트를 투과한 액을 받아들여 보유하는 흡수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흡수 요소는 상기 톱 시트측에 위치하는 상층 흡수체와 이 상층 흡수체의 하측에 인접하는 하층 흡수체를 포함하며,
    상기 상층 흡수체는 다수의 필라멘트가 물품 전후방향을 따라서 연속하는 필라멘트 집합체 내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분산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하층 흡수체는 섬유 집합체 내에 항균 입자를 분산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 흡수체에 있어서의 상기 필라멘트 집합체의 평량 및 상기 하층 흡수체에 있어서의 상기 섬유 집합체의 평량의 합계가 150g/㎡ 이하이며,
    상기 상층 흡수체에 있어서의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량 및 상기 하층 흡수체에 있어서의 상기 항균 입자의 평량의 합계가 250g/㎡ 이상이며,
    상기 상층 흡수체에 있어서의 상기 필라멘트 집합체에 대한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중량비가 상기 하층 흡수체의 상기 섬유 집합체에 대한 상기 항균 입자의 중량비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 흡수체의 필라멘트의 밀도가 상기 하층 흡수체의 섬유의 밀도보다도 저밀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 흡수체의 섬유 집합체가 다수의 단섬유가 집합된 단섬유 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 흡수체는 상기 섬유 및 상기 항균 입자의 혼합물을 원료로 해서 에어레이드법에 의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에어레이드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 흡수체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입자지름은 200㎛ 이상이며,
    상기 하층 흡수체에 포함되는 항균 입자의 입자지름은 20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 흡수체의 항균 입자가 항균 소취성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 흡수체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항균 소취성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소취성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제올라이트 중의 이온 교환 가능한 이온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은 이온으로 치환해서 이루어지는 제올라이트 입자를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에 함유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이거나, 혹은 상기 제올라이트 입자를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표면에 정전기에 의해 부착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 흡수체는 물품의 전후방향 중앙부에 그 전후보다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함유량이 적거나 또는 존재하지 않는 영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 흡수체는 물품의 전후방향 중앙부에 그 전후보다 상기 항균 입자의 함유량이 많은 영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2. 섬유 집합체의 위에 다수의 필라멘트가 물품 전후방향을 따라서 연속하는 필라멘트 집합체를 중첩한 후, 그 위로부터 입자지름 200㎛ 이상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와 입자지름 200㎛ 미만의 항균 입자를 혼합해서 또는 따로따로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요소의 제조방법.
KR1020087031915A 2006-05-31 2007-05-30 흡수성 물품 및 흡수 요소의 제조방법 KR1014438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52842 2006-05-31
JP2006152842 2006-05-31
PCT/JP2007/060997 WO2007139154A1 (ja) 2006-05-31 2007-05-30 吸収性物品および吸収要素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567A true KR20090028567A (ko) 2009-03-18
KR101443872B1 KR101443872B1 (ko) 2014-09-24

Family

ID=38778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1915A KR101443872B1 (ko) 2006-05-31 2007-05-30 흡수성 물품 및 흡수 요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474480B2 (ko)
KR (1) KR101443872B1 (ko)
CN (1) CN101453971B (ko)
WO (1) WO200713915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151A (ko) * 2016-12-30 2018-07-10 항저우 유홍 새니터리 프로덕츠 씨오., 엘티디. 초박 초강 흡액 영아 기저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08781B2 (ja) * 2009-01-19 2013-06-12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JP5075896B2 (ja) 2009-09-24 2012-11-2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3013430A (ja) * 2011-06-30 2013-01-24 Daio Paper Corp 吸収性物品
JP6021315B2 (ja) * 2011-11-09 2016-11-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体液処理用品の吸収体
JP5933973B2 (ja) * 2011-12-27 2016-06-1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20130211355A1 (en) * 2012-02-13 2013-08-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substantially identical chassis
CN113230030B (zh) * 2013-07-03 2023-11-28 瑞德科技控股有限公司 吸收复合物、采用吸收复合物的吸收制品、制造吸收复合物和/或制品的方法、系统和装置
JP6339471B2 (ja) * 2014-09-30 2018-06-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728123B1 (ja) * 2014-11-19 2015-06-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ペット用吸収性シート
WO2017011234A1 (en) * 2015-07-10 2017-01-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ayered fibrous structure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JP6234492B2 (ja) * 2016-02-10 2017-11-22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ッド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CN106344274A (zh) * 2016-09-14 2017-01-25 天津市中科健新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舒适的卫生制品
CN106333792A (zh) * 2016-09-14 2017-01-18 天津市中科健新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卫生巾
CN106333791A (zh) * 2016-09-14 2017-01-18 天津市中科健新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卫生巾
CN106333795A (zh) * 2016-09-14 2017-01-18 天津市中科健新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包含传感器的纸尿裤
US11220790B2 (en) 2017-01-20 2022-01-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ply fibrous structures
US11149383B2 (en) 2017-01-20 2021-10-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ayered fibrous structures
JP6834081B2 (ja) * 2017-01-23 2021-02-24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吸収性補助パッド
JP6492145B1 (ja) * 2017-09-29 2019-03-27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8245321A (zh) * 2018-01-12 2018-07-06 湖北儿医坊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蒙脱石散的抑菌卫生巾
WO2019177076A1 (ja) * 2018-03-15 2019-09-1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710240B2 (ja) * 2018-03-15 2020-06-17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10786972B2 (en) 2018-06-04 2020-09-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hick and absorbent and/or flexible toilet tissue
US10814587B2 (en) 2018-06-04 2020-10-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ibrous structures comprising a movable surface
DE102018127771A1 (de) * 2018-11-07 2020-05-07 L&R Vertriebs GmbH Einweg-Absorptionsartikel, insbesondere Einweg-Windel oder Einweg-Windelhöschen, mit leichtem, hochsaugfähigem Absorptionskern
WO2020116415A1 (ja) * 2018-12-04 2020-06-11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13164302B (zh) * 2018-12-04 2022-07-01 王子控股株式会社 吸收性物品
JP7046896B2 (ja) * 2018-12-04 2022-04-04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046895B2 (ja) * 2018-12-04 2022-04-04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10123528B (zh) * 2019-04-28 2021-06-18 杭州可靠护理用品股份有限公司 吸收锁水抗菌性能优良的纸尿裤及其加工工艺
JP2021029685A (ja) * 2019-08-26 2021-03-01 花王株式会社 吸収体及び吸収性物品
JP2021186207A (ja) * 2020-05-28 2021-12-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12545761A (zh) * 2020-12-01 2021-03-26 张�杰 一种抗菌型纸尿裤及其生产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9823A (en) * 1985-08-21 1987-10-13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layered absorbent insert having Z-directional superabsorbent concentration gradient
US4834735A (en) * 1986-07-18 1989-05-30 The Proctor & Gamble Company High density absorbent members having lower density and lower basis weight acquisition zones
JPH0779829B2 (ja) * 1988-03-17 1995-08-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材の製造方法
US5972505A (en) * 1989-04-04 1999-10-26 Eastman Chemical Company Fibers capable of spontaneously transporting fluids
JPH0658931U (ja) * 1993-01-08 1994-08-16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積層体
US6632209B1 (en) 1998-03-30 2003-10-14 Paragon Trade Brands, Inc. Thin absorbent core made from folded absorbent laminate
US20030135178A1 (en) * 2002-01-17 2003-07-17 Hansen Ebba A. Absorbent laminate
US7759540B2 (en) * 2002-07-23 2010-07-20 Paragon Trade Brands, Llc Absorbent articles containing absorbent cores having zoned absorbency and methods of making same
SE0303558D0 (sv) * 2003-12-30 2003-12-30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struktur och absorberande alster innefattande den absorberande strukturen
JP4199679B2 (ja) 2004-01-07 2008-12-17 株式会社日本触媒 吸水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吸収体、吸収性物品
JP4477430B2 (ja) * 2004-06-28 2010-06-09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体の製造設備および吸収体の製造方法
US20060184149A1 (en) * 2004-08-20 2006-08-17 Kao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JP3910202B2 (ja) * 2004-08-20 2007-04-25 花王株式会社 吸収体の製造方法
JP3980043B2 (ja) * 2005-04-01 2007-09-1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151A (ko) * 2016-12-30 2018-07-10 항저우 유홍 새니터리 프로덕츠 씨오., 엘티디. 초박 초강 흡액 영아 기저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53971A (zh) 2009-06-10
WO2007139154A1 (ja) 2007-12-06
JPWO2007139154A1 (ja) 2009-10-08
KR101443872B1 (ko) 2014-09-24
CN101453971B (zh) 2013-02-06
JP4474480B2 (ja) 201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3872B1 (ko) 흡수성 물품 및 흡수 요소의 제조방법
JP5290392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4394616B2 (ja) 吸収性物品
JPWO2007023965A1 (ja) 吸収性物品および吸収体の製造方法
JP2007061252A5 (ko)
JP4638333B2 (ja) 吸収性物品および吸収要素の製造方法
JP4537237B2 (ja) 吸収性物品の吸収体の製造方法
JP4320311B2 (ja) 吸収性物品
JP2006305043A5 (ko)
JP3880194B2 (ja) 吸収性物品
JP2010005342A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4841224B2 (ja) 吸収性物品
JP2007159632A (ja) 通気性消臭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2007117231A5 (ko)
JP4790281B2 (ja) 吸収性物品
JP4790296B2 (ja) 吸収性物品
JP7292075B2 (ja) 吸収性物品
JP4414363B2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2009254662A (ja) 吸収性物品
JP4724499B2 (ja) 吸収性物品
JP2006346142A (ja) 吸収性物品
JP2006346142A5 (ko)
JP4769060B2 (ja) 吸収性物品
JP7372889B2 (ja) 吸収性物品
JP2007061319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5